맨위로가기

최신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신해는 일제강점기 국어학자 최현배의 아들로, 경성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연구했다. 이후 미국 하버드 대학교 부속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 연구를 이어갔다. 1949년부터 1954년까지 대한민국 육군에서 군의관으로 복무했으며, 국립 서울청량리뇌병원 원장, 서울대학교 및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를 역임했다. 대한신경정신과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화랑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 저서로는 《국보 찾아 10만리》, 《훔친 사과가 맛있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마구치 대학 동문 - 김상협
    김상협은 삼양그룹 창업주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의 조카로, 도쿄대 졸업 후 고려대 교수와 총장,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교육자이며, 친일 행적 논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 야마구치 대학 동문 - 김성한 (소설가)
    1950년 등단한 소설가 김성한은 토속적인 소재와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 소설의 현대화에 기여했으며, 역사 소설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문단에서 인정받으며 교육 및 정치 활동도 병행했다.
  • 대한민국의 정신과 의사 - 신의진
    신의진은 대한민국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이자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으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소아정신과 의사로 활동하며 아동 성폭력 문제 해결에 기여했고, 제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아동 및 여성 대상 범죄에 대한 법률 제정 및 개정에 힘썼으나, 조두순 사건 피해 아동의 이름을 공개적으로 언급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정신과 의사 - 김창기 (음악가)
    김창기는 대한민국 음악가이자 정신과 의사이며, 연세대학교에서 의학, 철학, 심리학을 전공하고 2000년과 2013년에 각각 정규 앨범을 발매했으며, CBS 라디오 진행과 저술 활동을 하다가 현재는 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동문 - 안철수
    안철수는 의사이자 기업가, 정치인으로, V3 백신을 개발하고 안철수연구소를 창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을 역임하고 정치에 입문하여 국회의원과 서울시장 후보 등을 지냈다.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동문 - 방영주
    방영주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수석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로 재직하며 위암 및 초기 임상시험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는 대한민국 의사, 의학자이다.
최신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최신해
원래 이름崔臣海
직책前 대한민국 보건사회부 특임행정촉탁위원
(前 大韓民國 保健社會部 特任行政囑託委員)
대통령전두환
총리노신영
전임김경인
장관이해원 (대한민국 보건사회부 장관)
차관이헌기 (대한민국 보건사회부 차관)
최수일 (대한민국 보건사회부 차관)
임기1985년 12월 6일 ~ 1986년 12월 17일
출생일1919년 4월 24일
사망일1991년 3월 24일 (71세)
출생지경상남도 부산
사망지서울특별시
부모최현배(부), 이장련(모)
배우자이혜자
종교유교(성리학) → 개신교
본관경주(慶州)
가족 관계
자녀최은희(장녀)
최은경(차녀)
최문식(장남)
최홍식(차남)
최은미(3녀)
친인척최병수(조부)
최현구(숙부)
최동식(조카)
최규식(족질)
형제최영해(첫째형)
최순해(둘째형)
최철해(아우)
병역 정보
복무 기간1949년 3월 20일 ~ 1954년 7월 30일
계급[[파일:소령.JPG|35px]] 대한민국 육군 소령
참전한국 전쟁
서훈화랑무공훈장
학력 및 경력
학력日本 야마구치 醫科大學院 의학박사
근무육군 수도사단
육군군의학교
지휘군의관
군의무장교
공중보건의
군의무교관
경력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정신과의학교육 저술가
수필가 겸 대학 교수
국립 서울청량리뇌병원 원장
서울대 의과대학 대우교수
정당 활동
정당통일민주당 보건행정특임위원
신민주공화당 문화예술행정특임고문

2. 생애

최신해는 경주를 본관으로 하며 는 삼락당(三樂堂, 三落黨), 향당(鄕黨)이다. 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부산부에서 국어학자 외솔 최현배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경상북도 경주황해도 해주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이후 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울산군 울산면에서 성장하였다.

경성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부 정신과 교실에서 연구하다가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 대학교 부속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 연구를 계속하였다.

1949년부터 1954년까지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복무하였다. 1949년부터 1951년까지 대한민국 육군 수도사단 예하 의무대대 군의무장교로 복무하였으며, 1951년 육군군의학교 교관을 거쳐 1954년 육군 소령으로 예편하였다.

1956년 국립 서울청량리뇌병원 원장이 되었다. 1961년 일본 야마구치 대학교 의과대학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고 귀국하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대한신경정신과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화랑무공훈장을 받았으며, 저서로는 《국보 찾아 10만리》, 수필집 《훔친 사과가 맛있다》, 《공부 못하는 천재》, 《고독을 이겨야 하는 현대인》 등이 있다.

2. 1. 유년기와 학창 시절

경주를 본관으로 하며 는 삼락당(三樂堂, 三落黨), 향당(鄕黨)이다. 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부산부에서 국어학자 외솔 최현배의 셋째 아들로 출생하였고, 경상북도 경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황해도 해주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다. 이후 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울산군 울산면에서 성장하였다. 그는 경성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부 정신과 교실에서 연구하다가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 대학교 부속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 연구를 계속하였다.

2. 2. 의학자의 길

경성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부 정신과 교실에서 연구하다가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 대학교 부속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 연구를 계속하였다.

1949년부터 1954년까지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복무하였다. 1949년부터 1951년까지 대한민국 육군 수도사단 예하 의무대대 군의무장교로 복무하였으며, 같은 시기에 대한민국 육군 수도사단에서 함께 장교로 복무한 이기령과 그의 동생 이춘녕(이 둘은 국사학자 두계 이병도의 자제이다)은 1950년부터 1953년까지 같은 대한민국 육군 수도사단에서 각각 군의무장교 혹은 정훈장교 등의 보직으로 복무하였다. 약학자 겸 저술가 채동규(물리학자 동운 최규남의 손아랫처남) 또한 같은 시기인 1949년부터 1955년까지 대한민국 육군 수도사단에서 정훈장교로 복무하였다.

이후 1951년에 대한민국 육군군의학교 교관으로 이임되어 복무하다가 1954년 육군 소령으로 예편하였으며, 1956년에는 국립 서울청량리뇌병원 원장이 되었다. 1961년일본 야마구치 대학교 의과대학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고 대한민국에 귀국하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대한신경정신과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2. 3. 군 복무

1949년부터 1954년까지 대한민국 육군에서 장교로 복무하였으며, 1949년부터 1951년까지 대한민국 육군 수도사단 예하 의무대대 군의무장교로 복무하였다. 같은 시기에 대한민국 육군 수도사단에서 함께 장교로 복무한 이기령과 그의 동생인 이춘녕 (이 둘은 국사학자 두계 이병도의 자제)은 1950년부터 1953년까지 같은 대한민국 육군 수도사단에서 각각 군의무장교 혹은 정훈장교 등의 보직으로 복무하였고, 동운 최규남의 손아랫처남인 채동규 또한 1949년부터 1955년까지 대한민국 육군 수도사단에서 정훈장교로 복무하였다.

이후 1951년에 대한민국 육군군의학교 교관으로 이임되어 복무하다가 1954년 육군 소령으로 예편하였다.

2. 4. 주요 경력

2. 5. 서훈 및 저서

화랑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 저서로는 《국보 찾아 10만리》, 수필집 《훔친 사과가 맛있다》, 《공부 못하는 천재》, 《고독을 이겨야 하는 현대인》 등이 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아버지최현배1894년 10월 19일 ~ 1970년 3월 23일
어머니이장련(李長連)1891년 ~ 1970년 12월 19일
첫째 형최영해(崔暎海)1914년 ~ 1981년
둘째 형최순해(崔舜海)
부인이혜자(李惠子)
장녀최은희(崔恩姬)1948년 ~
첫째 사위이상우(李尙雨)1945년 ~
차녀최은경(崔恩卿)1950년 3월 26일 ~
둘째 사위송인성(宋仁誠)1946년 8월 22일 ~내과 전문의·의학박사,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장남최문식(崔文植)1950년 3월 26일 ~정신건강의학 전문의·의학석사,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
장자부윤난지(尹蘭芝)1953년 10월 12일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인문과학 박사
차남최홍식(崔洪植)1953년 10월 28일 ~이비인후과 전문의·의학박사,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차자부임인경(林仁京)1953년 3월 5일 ~임상병리과 전문의·의학박사,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3녀최은미(崔恩美)1960년 ~
셋째 사위홍민표(洪敏杓)1959년 ~
동생최철해(崔澈海)


4. 학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