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1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 11세는 1655년부터 1697년까지 스웨덴을 통치한 국왕이다. 어린 시절 난독증을 겪었지만, 스코네 전쟁에서 군사적 역량을 발휘하여 스웨덴의 영토를 지켜냈다. 그는 절대 왕정을 확립하고, 대규모 개혁 정치를 통해 국가 재정을 안정시켰으며, 군사력을 강화했다. 스웨덴화 정책을 추진하여 새로 획득한 영토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고, 덴마크의 울리카 엘레오노라와 결혼하여 7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는 스웨덴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국왕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때로는 가혹한 통치를 펼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츠바이브뤼켄 궁정백 -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는 츠바이브뤼켄 공작과 바이에른 선제후를 거쳐 나폴레옹 전쟁 시기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바이에른 왕국의 초대 국왕이 되었으며, 빈 회의 이후 바이에른의 독립을 지키고 자유주의적인 헌법을 제정하여 바이에른을 진보적인 국가로 만들었다. - 츠바이브뤼켄 궁정백 - 칼 10세 구스타브
칼 10세 구스타브는 1622년에 태어나 1660년에 사망한 스웨덴의 국왕으로, 30년 전쟁 참전, 크리스티나 여왕의 후계자 지명, 제2차 북방 전쟁을 통한 군사적 업적을 남겼으며, 아들 칼 1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 팔츠츠바이브뤼켄가 - 칼 12세
칼 12세는 대북방 전쟁 초기에 군사적 재능을 발휘하여 스웨덴을 강대국으로 이끌었지만, 폴타바 전투 패배 후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 귀환 후 노르웨이 침공 중 사망하며 스웨덴 절대 군주제 종식의 계기가 된 스웨덴의 국왕이다. - 팔츠츠바이브뤼켄가 - 울리카 엘레오노라
칼 11세와 덴마크 울리카 엘레오노라의 딸이자 칼 12세의 동생인 울리카 엘레오노라는 스웨덴 여왕(재위: 1718년 ~ 1720년)으로서, 오빠의 죽음 후 왕위를 계승하여 혼란스러운 정국을 수습하고 스웨덴의 자유 시대를 열었으며 의회 권한을 강화하는 헌법에 동의, 절대 왕정을 종식시킨 후 남편 프레드리크 1세에게 양위했다. - 1697년 사망 - 프란체스코 레디
프란체스코 레디는 곤충이 알에서 발생함을 증명하고 "모든 생명은 생명에서 비롯된다"라는 격언으로 유명한 이탈리아의 의사이자 과학자, 시인으로, 독성학, 기생충학 연구와 문학 활동도 했다. - 1697년 사망 - 신익상
조선 숙종 시대 문신 신익상은 1662년 문과 급제 후 대사헌, 이조참판, 전라도관찰사 등 요직을 거치고 소론에 속하여 숙종의 신임을 받았으며, 기사환국으로 유배 후 갑술환국 이후 공조판서, 우의정을 역임, 시호는 정간이다.
칼 1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스웨덴 국왕 |
스웨덴어 | Karl XI |
출생일 | 1655년 11월 24일 |
출생 장소 | 스톡홀름, 트레 크로노르 |
사망일 | 1697년 4월 5일 |
사망 장소 | 스톡홀름, 트레 크로노르 |
매장일 | 1697년 11월 24일 |
매장 장소 | 스톡홀름, 리다르홀멘 교회 |
종교 | 루터교 |
통치 | |
즉위 | 1660년 2월 13일 |
대관식 | 1675년 9월 28일 |
섭정 | 헤드비그 엘레오노라 폰 홀슈타인-고토르프 (1660–1672) |
이전 통치자 | 칼 10세 구스타브 |
다음 통치자 | 칼 12세 |
가문 | |
왕가 | 팔츠-츠바이브뤼켄 가문 |
아버지 | 칼 10세 구스타브 |
어머니 | 헤드비그 엘레오노라 폰 홀슈타인-고토르프 |
배우자 및 자녀 | |
배우자 | 울리카 엘레오노라 아브 단마르크(1680년 5월 6일 결혼, 1693년 7월 26일 사별) |
자녀 | 헤드비그 소피아 아브 스베리예 칼 12세 울리카 엘레오노라 아브 스베리예 |
기타 | |
![]() |
2. 어린 시절
1671년 스웨덴의 섭정은 프랑스와 계약을 체결했는데, 전쟁 발생 시 프랑스가 스웨덴을 지원하고 스웨덴의 어려운 경제를 개선할 보조금을 제공한다는 내용이었다.[15] 그러나 스웨덴은 덴마크와 전쟁 위기에 놓이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닐스 브라헤 재상은 울리카 엘레오노라 덴마르크를 칼 11세와 약혼시키는 결혼 동맹을 제안했으나,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5세는 페르벨린 전투에서 스웨덴이 패배한 후 스웨덴에 선전포고했다.[17]
1682년, 칼 11세는 원로원의 지지를 얻어 신분제 의회의 세력을 억누르고 주권을 국왕에게 집중시켜 스웨덴을 절대 군주제로 이행시켰다. 이를 '''칼 왕조 절대주의'''라고 부른다. 1680년부터 1682년까지의 대규모 국정 개혁은 측근 요한 유렌셰나의 협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1680년에 유렌셰나가 급사하는 사고가 있었지만, 같은 해 열린 의회에서 대귀족의 토지를 왕령지로 변경하여 귀족의 세력을 대폭 삭감했다. 재상 마그누스 데 라 가르디를 비롯한 섭정단의 책임 추궁과 배상금 청구로 귀족의 권위도 실추되었고, 왕은 신에게만 책임을 진다는 결의가 채택되어 중소 귀족과 시민의 지지 속에 절대 군주제가 성립되었다.[28] 1682년에는 토지 환원 정책을 실행하여 귀족의 대토지를 몰수함으로써 왕령지가 국토의 3할을 넘었다.[29] 이로 인해 수입을 증가시키고, 징병제를 통해 병사를 모아 상비군을 보유하는 군사 국가로 다시 태어났으며, 1693년 의회에서 왕의 절대성이 선언되어 권리의 합법성도 인정받았다.[19][30][31]
칼 11세는 전쟁으로 큰 타격을 입어 재정 위기에 처한 경제를 회복하는 데 힘을 쏟았다. 1680년 '계급의 국회'를 소집하여 절감 조건을 토론하고, 왕실 재산이었던 토지나 칭호를 되찾는 정책을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이 정책을 감독하기 위한 단위가 세워졌고, 왕실은 그의 사망 시점까지 대지의 거의 30%를 차지하게 되었다. 귀족들은 호화로운 생활 방식을 포기해야 했고, 칼 11세는 해외 기부에 의존하지 않고 경제의 급진적인 개혁을 통해 스웨덴의 재정적 안정을 회복했다.[25]
칼 11세는 1655년 11월 스톡홀름의 트레 크로노르 성에서 칼 10세 구스타브와 헤트비히 엘레오노라 폰 슐레스비히고트로프의 외아들로 태어났다.[4] 4세 때 부왕이 사망하면서 왕위를 계승하였으나, 너무 어린 나이였기 때문에 모후 헤드비그 엘레오노라가 섭정을 맡았다.[4]
어린 시절 칼 11세는 난독증으로 인해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했다.[8][9][10] 이 때문에 독일어 외에는 외국어를 구사하지 못했고, 외국 사절들과의 소통은 모후에게 의존해야 했다.[12] 하지만 스포츠와 곰 사냥 등 신체 활동에는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13][14]
3. 스코네 전쟁
스웨덴 추밀원은 내분으로 혼란스러웠고, 20세의 젊은 왕 칼 11세는 경험이 부족하여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18] 그는 스코네 전쟁을 대비하여 스웨덴 군대를 강화하는 데 힘썼다. 덴마크 군은 스웨덴 군보다 수적으로 우세했고 장비도 더 좋았다. 1676년 5월, 덴마크 군은 란스크로나와 헬싱보리를 점령하고 보후슬렌을 거쳐 할름스타드로 진격했다.[19][20]
할름스타드 전투 (1676년 8월 17일)에서 칼 11세와 그의 총사령관 시몬 그룬델-헬름펠트는 덴마크 군을 격파하며 첫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칼 11세는 남쪽으로 진격하여 캐블링강 근처에 도착했으나, 강 건너편에 덴마크 군이 주둔하고 있어 진격이 어려웠다. 12월 4일 강이 얼자, 칼 11세는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룬드 전투를 벌였다.[19] 이 전투는 2만 명이 넘는 참전병 중 약 8,000명이 사망한, 당시 가장 치열했던 전투 중 하나였다.[19][21][22] 칼 11세는 용맹함을 보여주었고, 이 전투는 스코넬랜드 통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사건이 되었다. 칼 11세는 남은 생애 동안 이 날을 기념했다.[23][24]
1677년 칼 11세는 란스크로나 전투에서 덴마크 군을 다시 격파했다. 1679년 프랑스의 루이 14세가 중재하여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고, 칼 11세는 마지못해 이에 동의했다. 스웨덴은 스웨덴 제국을 거의 손상시키지 않고 평화를 유지할 수 있었다.[19] 덴마크와는 퐁텐블로 조약과 룬드 조약으로,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과는 생제르맹 앙 레 조약으로 평화가 맺어졌다.
4. 절대 왕정 확립
5. 개혁 정치
1680년 10월, 칼 11세는 신분 의회를 소집했다. 이 회의는 신분 의회가 개최한 가장 중요한 회의 중 하나로 묘사되었다.[28] 여기서 국왕은 환수 정책을 추진했는데, 이는 이전에 왕실이 소유하고 대여하거나 증여한 토지나 물건(군, 남작령, 영주)을 회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 정책은 많은 저명한 귀족들에게 영향을 미쳤고, 그들 중 일부는 파산했다. 전 스웨덴 대법원장이자 스웨덴 섭정이었던 마그누스 데 라 가르디는 다른 많은 영지들과 함께 248개의 방이 있는 뢰쾨 성을 반환해야 했다.[29] 환수 과정에는 지배령을 포함한 왕국의 모든 권리증서 검토가 포함되었으며, 그 결과 국가 재정의 완전한 재조정이 이루어졌다.[19][30][31]
칼 11세는 루터교 신자였으며, 1686년 그의 발의로 교회법이 제정되었다. 이 교회령은 국왕이 세상을 다스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회를 다스린다고 선언했다. 일요일 설교 참석은 의무화되었고, 평민들은 올로프 스베빌리우스 대주교와 하크빈 스페겔 주교가 쓴 교리문답을 읽고 배워야 했다.[42][43] 칼 11세는 찬송가 제작을 장려했으며, 그의 후계자 칼 12세의 이름을 딴 새로운 성경을 1703년에 완성했다.[42][43]
1682년, 칼 11세는 원로원의 지지를 얻어 신분제 의회의 세력을 억누르고 주권을 국왕에게 집중시켜 스웨덴을 절대 군주제로 이행시켰다. 이를 '''칼 왕조 절대주의'''라고 부른다. 1680년에 측근 요한 유렌셰나가 급사했지만, 같은 해 열린 의회에서 대귀족의 토지를 왕령지로 변경하여 귀족의 세력을 대폭 삭감했다. 재상 마그누스 데 라 가르디를 비롯한 섭정단의 책임 추궁과 배상금 청구로 귀족의 권위도 실추되었으며, 왕은 신에게만 책임을 진다는 결의가 채택되어 중소 귀족과 시민의 지지 속에 절대 군주제가 성립되었다. 토지 환원 정책으로 왕령지가 국토의 3할을 넘었으며, 징병제를 통해 상비군을 보유하는 군사 국가로 다시 태어났다. 1693년 의회에서 왕의 절대성이 선언되어 권리의 합법성도 인정받았다.
5. 1. 군사 개혁
1682년 칼 11세는 군대를 할당 제도로 개혁하기로 결정하였다. 지주들이 카롤리너로 알려진 상비군을 갖도록 하였다.[15] 연대는 신속성과 민첩성으로 알려졌고 군인들은 공격 훈련을 받았다.[15] 칼 11세는 현대전 기술에 투자하기도 했고, 장교들을 현대 전쟁 방법에 대한 훈련을 받기 위해 외국으로 보냈다.[15]
5. 2. 정부 개혁
1680년 스웨덴 의회는 칼 11세가 국가의 총수이며 평의회는 자문 역할만 수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칼 11세는 친족주의보다 능력주의를 지지하는 "순위표"를 도입하여 평민들이 문관 근무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고, 조직의 기능을 예의주시하였다.[25] 1682년 스웨덴 의회는 그의 주권을 확인하는 설계에 따라 "국가평의회"에서 "왕의 회의"로 이름을 변경하였다.[25]
6. 스웨덴화 정책
칼 11세는 스코네, 블레킹에, 할란드 등 남부 스웨덴과 보후슬렌(서부 스웨덴), 예믈란드(북부 스웨덴), 고틀란드 섬 등 새로 얻은 영토에 대한 스웨덴화 정책을 추진했다. 그는 로스킬데 조약의 약속을 어기고 덴마크어나 노르웨이어 서적을 금지하고, 스웨덴어 사용을 강제했다. 또한 스웨덴 출신 성직자와 교사를 파견했다.[40][41]
특히 스코네 지역에 대해서는 스코네 전쟁 당시 스코네 농민들의 격렬한 저항에 대한 보복으로 가혹한 정책을 시행했다. 스코네 출신 병사들을 스코네 연대에 배속시키지 않았고, 북부 지역 출신 병사들을 스코네에 주둔시켰다. 초대 스웨덴 총독 요한 옐렌셰르나(1679–1680년 재임)는 지역 주민들을 매우 잔혹하게 대우했으며, 루트게르 폰 아셰베르크(1680–1693년 재임) 때에 이르러서야 통치가 다소 완화되었다.[40][41]
7. 가족 관계
배우자 | 울리카 엘레오노라 (1656년 ~ 1693년) |
---|---|
자녀 |
울리카 엘레오노라 왕비는 덴마크 출신이라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자선 활동으로 스웨덴 국민들의 호감을 얻었다.[44] 그러나 잦은 출산으로 건강이 쇠약해져 1693년 사망했고, 칼 11세는 큰 슬픔에 빠졌다.[19][46]
8. 죽음
칼 11세는 1694년부터 복통을 호소했다. 1696년 여름, 통증이 계속 심해지자 의사들에게 진단을 요청했지만, 효과적인 치료법을 찾지 못했다. 그는 평소처럼 직무를 계속 수행했지만, 1697년 2월 통증이 너무 심해져 스톡홀름으로 돌아갔다. 의사들은 그의 위에서 크고 단단한 덩어리를 발견했고, 국왕의 고통을 완화시키는 것 외에는 별다른 조치를 취할 수 없었다. 칼 11세는 1697년 4월 5일 4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부검 결과 암이 복강 전체로 퍼진 것으로 밝혀졌다.[49]
9. 유산 및 평가
칼 11세는 스웨덴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국왕 중 한 명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그의 치세는 아버지와 아들의 업적에 가려져 과소평가되기도 했다.[19] 초기에는 그를 의존적이고 우유부단한 인물로 평가하기도 했지만,[50] 최근 연구에서는 경제 개혁을 통해 스웨덴의 재정과 군사력을 강화한 강한 의지를 가진 군주로 재평가하고 있다.[51]
칼 11세는 이전 500 크로나 지폐와 현재 스웨덴 크로나 지폐 500크로나에 그의 초상이 사용되고 있다. 그의 초상은 에렌슈트랄의 그림에서 가져온 것이다.[52] 브레멘 근처의 요새 도시 칼스부르크와 스웨덴 도시 칼스크로나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탈린의 찰스 교회도 칼 11세에게 헌정되었다.
하지만 칼 11세는 핀란드에 대한 가혹한 스웨덴화 정책을 펼쳐 핀란드인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그의 유언은 "유럽 대륙에서 일어나는 전쟁에 관여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지만,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주변 국가들에게 좋은 기회가 되었고, 그의 아들 칼 12세는 전란의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참조
[1]
백과사전
Karl XI
https://runeberg.org[...]
[2]
문서
[3]
웹사이트
Karl
https://runeberg.org[...]
2019-11-30
[4]
서적
Åberg (1958)
[5]
서적
Hedvig Eleonora
Wahlström & Widstrand
[6]
서적
Rystad (2003), p. 26
[7]
서적
'Historien om Sverige: Storhet och Fall'
[8]
문서
Nationalencyclopedin, article ''Karl XII''
[9]
서적
Rystad (2003), p. 23
[10]
서적
[11]
서적
'Charles XI and Swedish Absolutism, 1660–169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Upton, p. 91.
[13]
서적
Rystad (2003) p. 37
[14]
서적
Åberg (1958), pp. 63–65
[15]
서적
Åberg (1959) pp. 50–53
[16]
서적
Åberg, p. 66
[17]
서적
Åberg (1958), pp. 71–72
[18]
서적
Åberg (1958), pp. 72–74
[19]
서적
Bain (1911b)
[20]
서적
Åberg (1958), pp. 75–76
[21]
서적
Åberg (1958), pp. 77–79
[22]
서적
Rystad (2003), p. 95, estimates that 8,000–9,000 men fell out of 20,000
[23]
서적
Åberg (1958) p. 81
[24]
서적
Rystad (2003) p. 97
[25]
문서
[[Nationalencyklopedin]], article ''Karl XI''
[26]
서적
Åberg (1958), pp. 106–107
[27]
서적
Rystad (2003) p. 165
[28]
서적
Rystad (2003), p. 167
[29]
서적
Rystad (2003) p. 181
[30]
서적
Åberg (1958), pp. 93–94
[31]
서적
The People's Chronology
https://archive.org/[...]
Holt, Rinehart & Winston
[32]
서적
Sverige och dess regenter under 1000 år
[33]
웹사이트
Libris
http://libris.kb.se/[...]
2021-11-20
[34]
서적
Karl XI: en biografi
Historiska media
2001
[35]
서적
Åberg (1958), p. 111
[36]
문서
Åberg (1958), p. 190
[37]
문서
Åberg (1958) pp. 125–134
[38]
문서
Rystad (2003), pp. 241–265
[39]
서적
Karl XI: en biografi
Historiska media
2001
[40]
문서
Åberg (1958), pp. 135–146
[41]
문서
Rystad (2003) pp. 307–344
[42]
문서
Åberg (1958), pp. 157–166
[43]
문서
Rystad (2003) pp. 345–357
[44]
서적
Hedvig Eleonora.
Wahlström & Widstrand
1947
[45]
문서
Ulrika Eleonora of Denmark in CF Bricka, Danish biographical encyclopaedia (1st edition, 1904)
[46]
문서
Rystad (2003), pp.287–289
[47]
간행물
Karl XI
https://runeberg.org[...]
[48]
문서
"[[Ulf Sundberg]] ln ''Kungliga släktband''"
[49]
문서
Rystad (2003), pp. 368–369
[50]
문서
Back-cover of Åberg (1958)
[51]
문서
Back-cover of Rystad (2003)
[52]
웹사이트
500-kronorssedeln
http://www.riksbank.[...]
2008-04-08
[53]
서적
A Pathology of Sacral Kingship: Putrefaction in the Body of Charles XI of Sweden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5-15
[54]
간행물
Hedvig Eleonora
https://sok.riksarki[...]
[55]
간행물
Johan Kasimir
https://sok.riksarki[...]
[56]
간행물
Katarina
https://sok.riksarki[...]
[57]
문서
"{{NDB|5|583|584|Friedrich III.|Kellenbenz, Hermann|11870320X}}"
[58]
간행물
Marie Elizabeth of Saxony (1610–1684)
https://www.encyclop[...]
Gale
[59]
웹사이트
カルル11世
2023-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