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세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리아세븐은 1988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편의점 운영 회사로, 1989년 세븐일레븐 1호점을 개점하며 한국 편의점 사업을 시작했다. 롯데백화점이 인수한 후 롯데리아로 편입되었다가 1999년 재설립되었으며, 로손을 인수하여 세븐일레븐 브랜드로 변경했다. 2010년 바이더웨이를 인수하고, 2024년 미니스톱을 인수했다. 2024년 8월 현재 12,620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군위군, 경상북도 울릉군을 제외한 모든 시, 군, 구에 매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븐일레븐 - 세븐 은행
세븐 은행은 2001년 설립된 일본의 은행으로, 편의점 ATM을 중심으로 성장하여 ATM 이용 수수료를 주요 수입원으로 하며, 현재 전국에 2만 7천 대 이상의 ATM을 운영하고 있다. - 세븐일레븐 - 세븐일레븐 (일본)
세븐일레븐 (일본)은 이토요카도가 사우스랜드 코퍼레이션과의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일본에서 사업을 시작한 편의점 체인으로, POS 시스템 도입과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통해 성장하여 현재는 세븐&아이 홀딩스의 핵심 사업 부문이 되었으며, 일본 전국에 진출하여 독자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편의점 - 로손
로손은 1939년 미국에서 시작하여 일본, 대한민국 등에서 운영되는 편의점 브랜드로, 다양한 점포 형태와 자체 브랜드 상품, 로피 단말기 등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회 공헌 활동도 펼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편의점 - 미니스톱
미니스톱은 일본 이온의 출자로 1980년 일본에서 설립되어 패스트푸드와 편의점을 결합한 콤보스토어 형태의 편의점 체인으로, 핫도그, 소프트 아이스크림 등 자체 브랜드 상품 판매, 전자결제 시스템, 환경 보호 노력이 특징이었으나, 현재는 일본과 베트남에서만 운영되고 한국에서는 롯데그룹에 인수되어 세븐일레븐으로 전환되었다. - 1997년 해체된 기업 - 한보그룹
한보그룹은 1974년 정태수 회장이 설립하여 철강 사업으로 급성장한 1990년대 대표 철강 기업이었으나, 1997년 외환 위기, 부실 경영, 정치권 유착 의혹으로 몰락하며 한국 경제사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기록되었고, 기업의 투명성과 윤리 경영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 1997년 해체된 기업 - 대상 (기업)
대상㈜은 1956년 동아화성공업으로 시작하여 미원, 청정원, 종가집 등의 브랜드를 통해 종합식품, 전분당, 라이신, 바이오 사업을 하는 기업이다.
| 코리아세븐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회사 명칭 | 코리아세븐 주식회사 |
| 로마자 표기 | Korea Seven Co., Ltd. |
| 한국어 명칭 | 코리아세븐 주식회사 |
| 한국어 (한글) | 코리아세븐 주식회사 |
![]() | |
| 형태 | 주식회사 |
| 창립 | 1988년 5월 21일 ((주)코리아세븐 (초대)) 1994년 8월 (롯데쇼핑 백화점 CVS 사업부) 1997년 6월 ((주)롯데리아 편의점 사업본부) 1999년 4월 ((주)코리아세븐 (2대))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100, 시그니처타워 5층 |
| 창립자 | (CEO) |
| 웹사이트 | 공식 사이트 |
| 재무 정보 (2016년 기준) | |
| 자본금 | 181,138,170,000원 |
| 매출액 | 3,703,283,356,410원 |
| 영업이익 | 47,306,265,139원 |
| 순이익 | 40,650,527,351원 |
| 자산 총액 | 1,185,140,534,823원 |
| 주주 및 모기업 정보 | |
| 주주 | 롯데쇼핑주식회사 외 특수관계인: 98.94% |
| 모기업 | 롯데그룹 |
| 자회사 및 직원 정보 | |
| 자회사 | 주식회사 바이더웨이 |
| 직원 수 | 1,307명 |
2. 역사
1988년 5월 21일 코리아세븐이 설립되었고[1], 1989년 5월 서울 올림픽선수촌 아파트에 세븐일레븐 1호점(올림픽점)을 열었다. 1994년 8월 롯데쇼핑(주)에서 코리아세븐을 인수하여 백화점 CVS 사업부로 편입시켰다.[1] 1997년 6월 (주)롯데리아에 흡수 합병되어 (주)롯데리아 편의점 사업본부로 개칭되었다가, 1999년 4월 (주)롯데리아에서 분할되어 (주)코리아세븐으로 재설립되었다.
1999년 12월 코오롱마트 주식회사의 편의점 사업 부문인 로손(LAWSON)을 인수했고[5], 2000년 1월 편의점 브랜드를 '로손(LAWSON)'에서 '세븐일레븐'으로 변경했다. 2010년 1월에는 바이더웨이(Buy the way)를 인수했고,[1] 2024년 4월에는 미니스톱 인수를 완료했다.[7]
2. 1. 롯데세븐
1979년12월 17일 롯데그룹은 서울 소공동에 롯데백화점을 개점하며[1] 유통 전 분야 최고를 목표로 편의점 사업에 진출했다. 1981년7월 일본 이토요카도의 세븐일레븐 사업 제안을 받았으나, 프랜차이즈 사업의 불확실성과 높은 로열티 부담으로 1982년11월 자체적인 롯데세븐 1호점을 신당동에 개점했다.[1] 그러나 소비자 이해 부족으로 1983년 3개 점포 모두 폐점하고 철수했다.[1] 같은 시기 뉴코아의 "뉴타운", 한양유통의 "한양스토어"도 편의점 사업을 시작했으나, 모두 실패했다.[3]2. 1. 1. 롯데세븐의 설립과 좌절
1981년7월, 일본에서 세븐일레븐을 운영하던 이토요카도가 롯데그룹에 편의점 사업을 제안했다. 1981년9월 롯데백화점 내에 CVS 사업부가 구성되어 국내 전개를 목표로 했다.[1] 그러나 프랜차이즈 사업의 불확실성과 높은 로열티 부담 때문에, 롯데는 자체 테스트 점포를 운영한 후 사업 전개를 최종 결정했다.[1]1982년11월, 롯데세븐 1호점을 서울 신당동에 열었다. 당시 2000종류의 생필품과 인스턴트 식품 등을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연중무휴로 판매했다.[1] 그러나 소비자들이 편의점을 잘 이해하지 못해, 1983년 신당동점을 포함한 3개 점포 모두 문을 닫고 철수했다.[1]
2. 2. 코리아세븐의 설립 (1988)
1988년 5월 21일 코리아세븐이 설립되었다[1]. 초대 사장은 동화산업 회장의 차남인 문영종[4]이 선임되었다[1]. 그는 유학 시절 미국의 세븐일레븐을 접하고, 이를 한국에 도입하기 위해 코리아세븐을 설립했다[1].코리아세븐은 미국 사우스랜드와 기술 제휴 조약을 맺고, 초기 계약금을 지불하는 한편 가맹점 월 매출액의 1%를 6개월마다 지급하는 조건으로 계약했다[1]. 이후 신입 사원 약 20명을 고용하고 준비 기간을 거쳐, 1989년 5월 6일 올림픽 선수촌 상가 입구에 한국 최초의 세븐일레븐 1호점을 개점했다[1].
2. 3. 대한민국 세븐일레븐의 시작 (1989)
1988년 5월 21일 코리아세븐이 설립되었다.[1] 초대 사장은 동화산업 회장의 차남인 문영종이었다.[1][4] 그는 유학 시절 미국의 세븐일레븐을 접하고 한국 도입을 위해 코리아세븐을 설립했다.[1] 미국 사우스랜드에 초기 계약금을 지불하고, 가맹점 월 매출액의 1%를 6개월마다 지급하는 조건으로 기술 제휴 조약을 맺었다.[1] 신입 사원 약 20명을 고용하고 준비 기간을 거쳐, 1989년 5월 6일 서울 올림픽선수촌 아파트 상가 입구에 대한민국 최초의 세븐일레븐 1호점인 올림픽점을 개점했다.[1] 이를 통해 한국 편의점의 역사가 시작되었다고 보는 자료도 있다.2. 4. 롯데마트의 전개와 성장
1992년 3월, 롯데백화점 CVS 사업부가 재발족했다.[1] "롯데마트"라는 새로운 점포명으로 사업을 시작하여, 1993년 12월에는 롯데마트 1호점인 사당점을 열었다.[1] 이후 4개 점포까지 확장되었지만, 1994년 8월 롯데백화점이 코리아세븐을 인수하면서 롯데마트 점포는 모두 세븐일레븐으로 전환되었다.[1]2. 4. 1. 경쟁 심화와 인수 합병
1994년 8월 롯데쇼핑(주)에서 코리아세븐을 인수하여 백화점 CVS 사업부로 편입시켰다.[1] 이후 1999년에는 코오롱상사[5]가 전개하던 로손의 한국 부문(코오롱마트)을 인수하여 업계 1위가 되었다. 2000년 1월에는 편의점 브랜드 '로손(LAWSON)'을 '세븐일레븐' 브랜드로 변경하였다.그러나 2002년에는 훼미리마트에, 2003년에는 GS25에도 추월당하여 업계 3위로 전락하기도 하였다.
2010년에는 바이더웨이(Buy the way)를 인수하고[1], 2019년에는 흡수 합병했다.[6]
2022년 3월에는 일본의 이온 그룹이 직접 경영하던 미니스톱의 한국 법인을 모회사인 롯데가 인수했다. 2024년 4월에 편의점 브랜드 미니스톱 인수를 완료하고, 통합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7][8]
3. 연혁
- 1988년 5월 21일 '''(주)코리아세븐''' 설립[1]
- 1989년 5월 6일 세븐일레븐 1호점 (올림픽점) 개점 (서울 올림픽선수촌 아파트 내)[1]
- 1994년 8월 롯데쇼핑에서 인수, '''백화점 CVS 사업부'''로 편입[1]
- 1997년 5월 (주)롯데리아로 흡수 합병, '''(주)롯데리아 편의점 사업본부'''로 개칭
- 1999년 5월 '(주)롯데리아'에서 분할, '''(주)코리아세븐''' 재설립
- 1999년 12월 코오롱마트 주식회사 편의점 사업부문 '(주)로손' 인수[1]
- 2000년 1월 편의점 브랜드 '(주)로손'에서 '세븐일레븐' 브랜드로 변경
- 2001년 12월 1000호점 개점
- 2010년 4월 편의점 브랜드 '바이더웨이' 인수, 통합 운영
- 2019년 11월 1만호점 개점[9]
- 2022년 3월 한국 미니스톱 인수[7]
- 2024년 4월 편의점 브랜드 미니스톱 인수
4. 매장 현황
2024년 8월 현재 코리아세븐의 매장 수는 12,620개이다.[10]
4. 1. 매장 지역
2024년 8월 현재 대구광역시 군위군, 경상북도 울릉군을 제외한 시군구에 최소 1곳 이상의 코리아세븐 매장이 있다.| 광역 자치 | 기초 자치 점포수 | 총계 |
|---|---|---|
| 서울특별시 | 강남구(171), 강동구(76), 강북구(53), 강서구(107), 관악구(103), 광진구(17), 구로구(66), 금천구(61), 노원구(61), 도봉구(49), 동대문구(75), 동작구(60), 마포구(111), 서대문구(57), 서초구(100), 성동구(49), 성북구(66), 송파구(132), 양천구(55), 영등포구(92), 용산구(52), 은평구(54), 종로구(70), 중구(87), 중랑구(53) | 1,877개점 |
| 인천광역시 | 강화군(43), 계양구(65), 남동구(118), 동구(12), 미추홀구(80), 부평구(113), 서구(120), 연수구(60), 옹진군(8) | 619개점 |
| 부산광역시 | 강서구(36), 금정구(4), 기장군(35), 남구(49), 동구(20), 동래구(48), 부산진구(77), 북구(29), 사상구(36), 사하구(41), 서구(53), 수영구(39), 연제구(38), 영도구(13), 중구(21), 해운대구(60) | 599개점 |
| 대구광역시 | 남구(55), 달서구(120), 달성군(65), 동구(70), 북구(95), 서구(156), 수성구(81), 중구(50) | 692개점 |
| 광주광역시 | 광산구(103), 남구(33), 동구(31), 북구(89), 서구(72) | 328개점 |
| 대전광역시 | 대덕구(49), 동구(44), 서구(106), 유성구(95), 중구(54) | 348개점 |
| 울산광역시 | 남구(63), 동구(27), 북구(30), 울주군(48), 중구(30) | 198개점 |
| 세종특별자치시 | 세종특별자치시(36) | 36개점 |
| 경기도 | 가평군(39), 고양시(189), 과천시(9), 광명시(41), 광주시(84), 구리시(46), 군포시(54), 김포시(115), 남양주시(159), 동두천시(27), 부천시(133), 성남시(200), 수원시(247), 시흥시(131), 안산시(184), 안양시(91), 양주시(232), 양평군(40), 여주시(31), 연천군(13), 오산시(57), 용인시(227), 의왕시(32), 의정부시(115), 이천시(102), 파주시(106), 평택시(235), 포천시(67), 하남시(50), 화성시(272) | 4,062개점 |
| 강원특별자치도 | 강릉시(115), 고성군(7), 동해시(23), 삼척시(25), 속초시(39), 양구군(4), 양양군(10), 영월군(6), 원주시(117), 인제군(15), 정선군(15), 철원군(9), 춘천시(88), 태백시(10), 평창군(17), 홍천군(15), 화천군(9), 횡성군(11) | 535개점 |
| 충청북도 | 괴산군(6), 단양군(8), 보은군(3), 영동군(8), 옥천군(8), 음성군(70), 제천시(32), 증평군(13), 진천군(41), 청주시(223), 충주시(68) | 480개점 |
| 충청남도 | 계룡시(14), 공주시(27), 금산군(8), 논산시(27), 당진시(57), 보령시(36), 부여군(13), 서산시(52), 서천군(11), 아산시(103), 예산군(18), 천안시(207), 청양군(7), 태안군(15), 홍성군(17) | 612개점 |
| 전북특별자치도 | 고창군(14), 군산시(64), 김제시(13), 남원시(11), 무주군(9), 부안군(16), 순창군(5), 완주군(18), 익산시(62), 임실군(5), 장수군(2), 전주시(165), 정읍시(15), 진안군(4) | 403개점 |
| 전라남도 | 강진군(5), 고흥군(7), 곡성군(6), 광양시(39), 구례군(5), 나주시(20), 담양군(4), 목포시(48), 무안군(26), 보성군(6), 순천시(48), 신안군(3), 여수시(67), 영광군(10), 영암군(18), 완도군(8), 장성군(4), 장흥군(5), 진도군(7), 함평군(1), 해남군(17), 화순군(9) | 363개점 |
| 경상북도 | 경산시(76), 경주시(80), 고령군(10), 구미시(115), 김천시(21), 문경시(15), 봉화군(3), 상주시(10), 성주군(10), 안동시(40), 영덕군(9), 영양군(3), 영주시(23), 영천시(22), 예천군(6), 울진군(14), 의성군(2), 청도군(5), 청송군(4), 칠곡군(42), 포항시(90) | 600개점 |
| 경상남도 | 거제시(72), 거창군(13), 고성군(10), 김해시(102), 남해군(10), 밀양시(27), 사천시(22), 산청군(3), 양산시(62), 의령군(2), 진주시(60), 창녕군(15), 창원시(162), 통영시(36), 하동군(7), 함안군(19), 함양군(5), 합천군(7) | 634개점 |
| 제주특별자치도 | 서귀포시(104), 제주시(228) | 332개점 |
4. 2. 경영 상황
대한민국 내 세븐일레븐의 점포 수는 2019년 11월에 1만 점포를 돌파했지만, 5년 계약 기간이 만료되는 점포가 늘어남에 따라 재계약을 하는 점포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9]대한민국 국회의원 우원식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 점포의 39%에 해당하는 3369개 점포의 일매출이 110만 원 미만이며, 가맹료, 임대료, 아르바이트 노동자 임금 등을 공제하면 적자가 된다고 밝혔다.[9] GS25 및 CU의 저매출 점포 비율은 각각 8%, 18%로 세븐일레븐보다 훨씬 적었다.[9]
또한 영업 이익률도 낮아, GS25 및 CU가 3%대인 반면 세븐일레븐은 1%대 초반에 불과하며, 2019년 하반기에는 일본 기업 불매 운동의 여파로 0%대까지 하락했을 가능성도 있다.[9] 같은 해 9월 기준 부채비율도 297%로 높은 편이었다.[9]
5. 사업장 현황
| 종류 | 주소 |
|---|---|
| 본점 |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1077 이스트센트럴타워 16~18층 |
| 양주물류센터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광적로155번길 12 |
| 구성상온센터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죽전대로 289 (중동) |
| 성남물류센터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사기막골로45번길 15 (상대원동) |
| 양산물류센터 | 경상남도 양산시 산막공단북3길 9 (산막동) |
| 광주지점 |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218번길 55 (신안동) |
| 대구지점 | 대구광역시 동구 장등로 86 (신천동) |
| 제주상온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와흘로 241 |
| 세종상온센터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시목부강로 608-7 |
| 서이천상온센터 |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둔터로 42 |
| 원주상온센터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호저면 호매곡1길 97 |
| 울산상온센터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활천산업로 131 |
| 경인화성센터 |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주석로325번길 19 |
| 인천상온센터 | 인천광역시 서구 북항로363번길 58 (원창동) |
참조
[1]
웹사이트
브랜드 스토리 韓(한) 편의점 30년 역사 이끈 '세븐일레븐'
http://www.inews24.c[...]
2018-05-19
[2]
문서
日本名(いわゆる通名):重光武雄。
[3]
문서
当時の韓国には夜間通行禁止制度が存在し、深夜営業や24時間営業が不可能であったこともあった。
[4]
문서
ハングル表記:{{lang|ko|문용준}}。
[5]
문서
太寅流通が展開していたが、後にコーロン商事が買収。
[6]
웹사이트
코리아세븐, 10년 묵은 바이더웨이 장착…시너지 주목
https://paxnetnews.c[...]
2020-06-15
[7]
웹사이트
ミニストップ、韓国子会社の売却完了
https://www.nikkei.c[...]
2022-03-29
[8]
웹사이트
セブンとミニストップ、統合作業を本格化 韓国・小売り・卸売り
https://www.nna.jp/n[...]
2022-04-01
[9]
웹사이트
편의점 FA 쟁탈 '폭풍전야'…세븐일레븐, 1만 점포 붕괴?
http://www.upinews.k[...]
2020-01-09
[10]
웹사이트
[웹데일리 FOCUS] '적자 전환' 한국미니스톱, 지난해 모회사에 55억원 로열티
https://news.webdail[...]
2020-06-15
[11]
뉴스
韓国ロッテがコンビニ「バイ・ザ・ウェイ」買収、ファミリーマート追撃へ
https://jp.mobile.re[...]
ロイター
2010-01-25
[12]
웹사이트
코리아세븐, 바이더웨이 '브랜드 통합' 잰걸음
http://www.thebell.c[...]
2019-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