퀸투스 호르텐시우스 호르탈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퀸투스 호르텐시우스 호르탈루스는 고대 로마의 웅변가이자 정치가였다. 그는 19세에 법정에서 첫 연설을 한 후 변호사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특히 니코메데스 3세 또는 4세를 성공적으로 변호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사회 전쟁과 로마 공화정의 주요 정치적 사건에 참여했으며, 퀘스토르, 아이딜, 프라에토르, 집정관을 역임했다. 호르텐시우스는 키케로와 경쟁 관계였지만, 때로는 협력하기도 했다. 그는 아시아주의 수사학을 구사하며, 화려하고 과장된 연설 스타일로 대중의 인기를 얻었다. 호르텐시우스는 막대한 부를 축적하여 화려한 저택, 공원, 연못을 소유했으며, 공작새를 로마의 식탁에 처음 소개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0년 사망 - 유수 (건릉정후)
유수는 전한 선제의 아들로 건릉후에 봉해졌으나 그 해에 사망하여 시호를 정이라 받았으며 그의 작위는 아들 유노가 이었다. - 기원전 50년 사망 - 유건덕
유건덕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요약문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 로마 공화국 - SPQR
SPQR(원로원과 로마 시민)은 고대 로마를 상징하는 라틴어 약어로, 로마 공화정부터 제정 시대까지 공식 표어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로마 시의 문장 및 문서에서 코무네를 나타내는 약자로 사용되고, 로마의 역사와 권위를 상징하는 다의적인 표현이다. - 로마 공화국 - 옵티마테스
로마 공화정 말기 원로원 중심의 귀족 세력이었던 옵티마테스는 기득권 유지를 추구하며 평민파와 갈등하고 공화정 몰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으며, 현대에는 다원적 정치 관계 속에서의 그들의 행태가 분석되고 있다.
퀸투스 호르텐시우스 호르탈루스 | |
---|---|
기본 정보 | |
이름 | 퀸투스 호르텐시우스 호르탈루스 |
로마자 표기 | Quintus Hortensius Hortalus |
직업 | 로마의 변호사, 연설가, 정치가 |
출생 | 기원전 114년 |
사망 | 기원전 50년 |
출신 계급 | 평민 |
씨족 | 호르텐시우스 씨족 |
경력 | |
아우구르 (새점관) | 기원전 91년 이전 - 기원전 50년 |
재무관 | 시기 불명 |
안찰관 | 기원전 75년 |
법무관 | 기원전 72년 |
집정관 | 기원전 69년 |
2. 생애
호르텐시우스는 열아홉 살에 법정에서 처음 연설을 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니코메데스 3세 또는 4세를 성공적으로 변호하면서 변호사로서 명성을 확립했다. 퀸투스 루타티우스 카툴루스와 세르빌리아의 딸 루타티아와 결혼하여 귀족 정당인 ''옵티마테스''에 속했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의 독재 기간과 그 이후, 법원은 원로원의 통제를 받았고 판사들 또한 원로원 의원이었기에 호르텐시우스는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5]
사회 전쟁에 참전했으며, 기원전 81년 ''퀘스토르'', 기원전 75년 ''아이딜'', 기원전 72년 ''프라에토르'', 기원전 69년 ''집정관''을 역임했다. 집정관이 되기 전 해에 가이우스 베레스 사건에서 키케로와 대립한 이후 법정에서의 그의 우위는 사라졌다.[5]
기원전 63년 이후, 키케로는 호르텐시우스가 속한 파벌로 기울었고, 두 사람은 가이우스 라비리우스,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무레나 변호 등 정치 사건에서 종종 같은 편에서 활동했다.[5] 기원전 61년 폼페이우스가 동방에서 돌아온 후, 호르텐시우스는 공직에서 물러나 변호사 일에 전념했다.[5]
기원전 56년, 호르텐시우스는 카토의 딸 포르키아 카토니스와 결혼하고자 했으나, 이미 마르쿠스 칼푸르니우스 비불루스와 결혼하여 아이까지 낳았기 때문에 카토는 대신 자신의 아내 마르시아를 제안했다. 호르텐시우스는 마르시아와 결혼하여 아이를 낳았고, 기원전 50년 그가 사망한 후 마르시아는 그의 재산을 상속받았다. 이후 마르시아는 카토와 재혼하여 두 사람 모두 부자가 되면서 작은 스캔들을 일으켰다.[10]
기원전 50년,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를 변호하여 성공했고, 같은 해에 사망했다.[5]
2. 1. 초기 생애와 경력
퀸투스 호르텐시우스 호르탈루스는 기원전 114년에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명문 귀족인 호르텐시우스 가문이었다.[26] 호르텐시우스는 19세에 법정에서 처음으로 연설했다.[43]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로마의 속국이었던 비티니아의 왕 니코메데스 4세를 변호하여 성공을 거두었는데, 니코메데스 4세는 형제에게 왕위를 빼앗긴 상태였다.[46] 이 변호를 통해 호르텐시우스는 변호사로서 명성을 확고하게 다졌다.그는 퀸투스 루타티우스 카툴루스와 세르빌리아의 딸인 루타티아와 결혼하여 귀족 정당인 ''옵티마테스''(보수파)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5]
호르텐시우스는 기원전 91년부터 89년까지 동맹시 전쟁에 참전했다. 기원전 90년에는 일반 병사로 참전했지만, 기원전 89년에는 트리부누스 밀리툼(고위 사관)이 되었다.[47] 그는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휘하에서 캄파니아와 삼니움에서 이탈리아 반란군을 상대로 승리했다.[48]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의 독재 기간 동안과 그 이후에는 원로원이 사법권을 장악했고, 판사들 또한 원로원 의원이었다.[5] 이러한 상황과 그의 능력 덕분에 호르텐시우스는 법정에서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
2. 2. 웅변가로서의 전성기
호르텐시우스는 웅변가로서 공적인 활동을 시작했으며, 그의 웅변가로서의 명성은 기원전 70년까지 쇠퇴하지 않았다.[26] 그는 기원전 95년, 불과 19세의 나이에 "아프리카의 수호자"라는 평가를 받으며 처음 법정에 등장했다.[43] 이 재판의 자세한 내용은 불분명하지만, 젊은 호르텐시우스는 청중의 인기를 얻었으며, 그중에는 당시 집정관이었던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와 퀸투스 무키우스 스카에볼라도 포함되어 있었다.[26]기원전 91년, 호르텐시우스는 비티니아의 니코메데스 4세를 변호했다.[26][46] 그 직후 동맹시 전쟁이 시작되었고, 호르텐시우스도 이에 참여하여 기원전 90년에는 일반 병사, 기원전 89년에는 트리부누스 밀리툼 (고위 사관)을 역임했다.[47]
기원전 88년, 로마의 정치 투쟁은 마리우스파와 술라파의 내전으로 이어졌다. 호르텐시우스는 술라와 관계가 있었는데, 퀸투스 루타티우스 카툴루스 (기원전 102년 집정관)의 딸과 결혼했기 때문이다. 카툴루스는 옵티마테스 (문벌파)였고, 포풀라레스 (민중파)인 마리우스의 정적이었다. 기원전 87년 마리우스와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킨나가 로마를 점령하면서, 호르텐시우스는 로마 최고의 웅변가가 되었다.[26][49]
기원전 89년,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스트라보가 아스쿨룸에서 얻은 전리품 횡령 혐의로 그의 아들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훗날 폼페이우스 마그누스)가 고발되었다. 호르텐시우스는 주 변호인을 맡아 폼페이우스의 무죄를 이끌어냈다.[26][51]
마리우스파 패배 이후, 호르텐시우스의 정치, 사회 활동 제약은 사라졌다.[26] 아피아노스는 술라 장례식에서 "당시 최고의 웅변가"가 연설했다고 기록했는데,[56] 이는 호르텐시우스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26]
기원전 77년경,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도라벨라 (기원전 81년 집정관)가 마케도니아 속주 총독 시절 권력 남용 혐의로 카이사르에게 고발당했다. 호르탈루스는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코타와 함께 변호를 맡아 도라벨라의 무죄를 이끌어냈다.[26]
이후 기원전 70년경까지 호르탈루스는 최고의 웅변가로 명성을 떨쳤다 (코타는 기원전 74년 또는 기원전 73년 사망).[60] 그는 많은 재판에서 승리했지만, 이 시기 정보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61]
2. 3. 베레스 탄핵 재판
기원전 70년, 호르텐시우스는 전 시칠리아 속주 총독 가이우스 베레스를 변호했다. 호르텐시우스와 베레스는 오랜 친구였으며,[63][64] 호르텐시우스는 베레스가 총독 시절 축적한 막대한 재산 덕분에 많은 보수를 받고 변호를 맡았다.[26]변호 측은 재판을 지연시키기 위해 퀸투스 카에킬리우스 니게르라는 인물에게도 베레스를 고발하게 하여, 키케로와 니게르 중 누가 고발자가 될지를 점(divinatio)으로 결정하게 했다.[66] 키케로는 니게르가 호르텐시우스와 같은 뛰어난 변호인에게 맞설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주장하며, 호르텐시우스가 니게르를 쉽게 농락할 것이라고 말했다.[67] 결국 키케로가 원고로 인정받았다(기원전 70년 1월).
호르텐시우스는 재판을 다음 해로 연기하려 했다. 자신이 집정관에 당선되면 베레스의 친구인 마르쿠스 카에킬리우스 메텔루스가 재판장이 되어 유리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70][71] 이를 위해 마케도니아 속주 총독(이름 불명)에 대한 재판을 조직하여 베레스 재판을 8월로 연기시켰다.
그러나 키케로는 짧은 연설과 함께 8일 동안 증인을 소환하여 베레스의 권력 남용을 폭로했다. 호르텐시우스는 증인 심문 동안 거의 침묵했고, 키케로는 변호 측이 아무런 반론도 할 수 없다고 결론지었다.[72][73] 결국 호르텐시우스는 베레스에게 망명을 조언했고, 베레스는 마실리아로 떠났다.[74][75]
베레스 탄핵 재판에서 호르텐시우스는 무조건 항복했고, 로마 최고의 웅변가 지위를 잃었다. 이후 키케로가 로마 제일의 웅변가로 인정받게 되었다.[76][77]
2. 4. 정치 경력
호르텐시우스는 기원전 81년에 재무관, 기원전 75년에 안찰관, 기원전 72년에 법무관, 기원전 69년에 집정관을 역임했다.[5] 안찰관으로서 호르텐시우스는 시민들에게 곡물을 배분하여 인기를 얻었지만, 동시에 동맹 도시에서 예술 작품을 가져와 자신의 집과 별장에 장식했다는 비난을 받았다.[83][84]집정관 임기가 끝난 후, 호르텐시우스는 전직 집정관(프로콘술) 자격으로 속주 총독으로 부임하는 것을 거부하고 로마에 남았다.[87]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이는 호르텐시우스가 재판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였다.[88]
2. 5. 키케로와의 관계
기원전 63년 이후, 키케로는 호르텐시우스가 속한 파벌로 기울었다. 그 결과, 정치 사건에서 두 사람은 종종 같은 편에서 활동했다. 예를 들어 가이우스 라비리우스,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무레나 변호에서 협력했다.[5] 호르텐시우스는 키케로, 크라수스와 함께 소 카토에게 뇌물 증여 혐의로 고발된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무레나를 변호하여 무죄를 이끌어냈다.[103]같은 해, 호르탈루스와 키케로는 "불법적인 괴롭힘" 죄로 기소된 루키우스 바르군티우스와 기원전 100년 포풀라레스(민중파)의 호민관 루키우스 아풀레이우스 사투르니누스 살해에 가담한 가이우스 라빌리우스를 변호했다. 라빌리우스는 민회 심의 없이 로마 시민을 살해한 혐의로 기소되었고, 고소인 티투스 라비에누스는 카이사르의 이익을 위해 행동했다. 민회는 라비에누스에게 유리하게 기울었지만, 표결에는 이르지 못했다.[101][102]
그해 말, 카틸리나 음모가 밝혀지고, 노빌레스 전체의 적인 카틸리나 일파 재판에서 호르탈루스는 다시 키케로를 지지했다.[26] 호르탈루스는 키케로에게 최종 변론을 맡기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이는 판결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100]
2. 6. 말년
기원전 61년 폼페이우스가 동방에서 돌아온 후, 호르텐시우스는 공직에서 물러나 변호사 활동에 전념했다.[5] 기원전 50년에는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를 배신 및 부패 혐의로 성공적으로 변호했는데, 당시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돌라벨라는 키케로의 사위였다.[5] 이것이 그의 마지막 변호였으며, 같은 해 6월에 사망했다.[26]고대 작가들은 그가 내전이 시작되기 전에 사망한 것은 다행이라고 평가했다.[117][118] 키케로는 호르텐시우스가 "미래가 자신이 예상한 대로 되는 것을 보지 않고 죽었으니, 좋은 때에 사망했다"고 말했다.[26]
기원전 56년에는 카토를 "매우 존경하여 그들이 단지 친구가 아닌 친족이 되기를 원했다."[9]며 당시 20세 정도였던 카토의 딸 포르키아 카토니스와 결혼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포르키아가 이미 마르쿠스 칼푸르니우스 비불루스와 결혼하여 아이까지 낳았기 때문에 카토는 이 제안을 거절했다. 대신 카토는 자신의 아내 마르시아를 호르텐시우스에게 제안했고, 호르텐시우스는 마르시아와 결혼하여 아이를 낳았다. 호르텐시우스 사후 마르시아는 그의 재산을 상속받았고, 이후 카토와 재혼하여 두 사람 모두 부자가 되면서 작은 스캔들을 일으키기도 했다.[10]
호르텐시우스는 만년에 장남과의 대립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조카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루푸스 (기원전 53년 집정관)를 후계자로 삼으려 했으나, 결국 이 뜻을 포기했다.[115]
3. 가족 관계
퀸투스 호르텐시우스 호르탈루스는 퀸투스 루타티우스 카툴루스의 딸 루타티아와 처음 결혼했다.[131] 이 결혼으로 아들 퀸투스와 딸 호르텐시아 두 자녀를 두었다. 아들 퀸투스는 카이사르파에 속했다가 나중에 카이사르 암살자를 지지했고, 필리피 전투에서 전사했다.[133] 딸 호르텐시아는 기원전 42년에 로마의 부유한 여성들에게 부과된 특별세에 반대하는 연설을 하여 일부 세금을 감면받는 데 성공했다.[134]
호르탈루스는 카토와 친족 관계를 맺기 위해 그의 딸과 결혼하려 했으나, 그녀가 이미 마르쿠스 칼푸르니우스 비불루스와 결혼하여 자녀가 있었기 때문에 거절당했다.[136] 대신 카토의 아내 마르시아와 결혼했다. 마르시아는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의 딸이자 훗날 아우구스투스가 되는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투리누스의 이복 여동생이었다. 호르탈루스가 사망한 후, 마르키아는 그의 재산을 상속받고 다시 카토와 재혼했다.[137]
두 번째 결혼에서 자녀가 있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타키투스의 기록에 따르면 호르탈루스의 손자가 서기 16년에 티베리우스에게 자금 지원을 요청했다고 한다.[138] 또한 서기 25년에 법무관을 역임한 마르키우스 호르탈루스라는 인물이 있는데, 이 사람이 호르탈루스와 마르키아 사이의 아들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139][140]
호르탈루스의 아버지 루키우스는 가이우스 셈프로니우스 투디타누스의 딸과 결혼하여 호르탈루스와 딸을 낳았다.[31] 호르탈루스의 누이는 가이우스 마리우스의 부사령관을 맡은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시알라와 결혼하여 기원전 53년 집정관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메시알라 루푸스를 낳았다.[32]
4. 유산 및 평가
호르텐시우스는 당대 최고의 웅변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으나, 그의 연설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25] 퀸틸리아누스는 서기 1세기의 수사학자로 호르텐시우스의 원본 작품을 읽고 논평한 마지막 사람이다.[25]
키케로는 자신의 저서 "브루투스"에서 호르텐시우스를 높이 평가하며,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24] 키케로는 호르텐시우스가 "최고의 덕, 명예로운 지위, 부, 용기와 재능"을 갖추고 있었다고 말했다.[144] 키케로는 호르텐시우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브루투스"를 헌정했으며, 여러 부분에서 호르텐시우스를 비판하기도 했지만,[23] 키케로가 호르텐시우스를 존경하는 마음은 작품 전반에 걸쳐 드러난다.[24]
키케로 외에도 코르넬리우스 네포스는 호르텐시스를 로마 최고의 웅변가라고 칭했으며,[147] 발레리우스 막시무스는 호르텐시스가 "그의 권위와 웅변술 때문에", "우수하고 뛰어난 시민 중에서도" 으뜸이 되었다고 썼다.[146] 파테르쿨루스는 키케로와 호르텐시스를 나란히 두고 "뛰어난 재능"을 가진 인물들의 으뜸으로 여겼다.[148]
호르텐시우스는 웅변으로 막대한 부를 축적하여 사치스러운 생활을 했으며, 공작새 고기를 로마에 처음 소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20] 그는 화려한 별장, 공원, 양어장, 값비싼 연회, 포도주, 그림 및 기타 예술 작품에 돈을 아낌없이 썼다.[5][20]
5. 호르텐시우스의 수사학
퀸투스 호르텐시우스 호르탈루스의 연설은 현재 남아있지 않지만, 키케로는 그의 웅변술이 화려한 아시아주의 수사학으로, 읽는 것보다 듣는 것이 더 나았다고 평가했다. 그의 스타일 외에도 뛰어난 기억력과 훌륭한 음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능숙하게 구사했다.[17][5]
그는 웅변, 에로틱 시, 역사가로서 상당한 명성을 얻은 ''연대기''를 저술했다.[18][19] 호르텐시우스의 연설은 세 개의 짧은 인용문 외에는 남아 있지 않아, 키케로의 논설을 바탕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 키케로는 호르텐시우스가 경구를 사용하는 세련됨과 격렬하고 빠른 스타일 모두에 뛰어났다고 평가했다.
몇몇 연설은 출판되었지만, 고대 작가들은 연설에 비해 글쓰는 것을 잘하지 못했다고 인정하고 있다.[127][128] 파테르쿨루스는 호르탈루스의 『연대기(Annals)』를 언급하며, 특히 동맹시 전쟁 중 파테르쿨루스의 증조부의 공적이 매우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고 평가했다.[129] 아마도, 헬레니즘 정신에 기반한 시적 서사시였을 것으로 보인다.[130] 전반적으로, 호르탈루스는 헬레니즘 문화에 조예가 깊은 인물이었다.[26]
5. 1. 아시아풍 수사학
호르텐시우스는 화려함, 과장된 표현, 복잡한 어휘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아시아주의 수사학을 구사했다.[119][120] 키케로에 따르면, 호르텐시우스는 경구를 많이 사용하는 세련된 방식과 격렬하고 빠른 스타일을 모두 잘 구사했다.[121] 그의 연설은 웅변에 대한 열정, 뛰어난 기억력, 우렁차고 쾌적한 목소리로 뒷받침되었다.[5][17][122] 그는 옷차림과 몸짓에도 신경을 썼으며, 많은 사람들이 그를 배우에 비유했다.[9][124] 당대 최고의 배우들인 퀸투스 로스키우스 갈루스와 클라우디우스 에솝스는 그의 변론을 배우기 위해 찾아오기도 했다.[125]5. 2. 연기력과 기억력
호르텐시우스는 뛰어난 연기력과 몸짓으로 청중을 사로잡는 것으로 유명했다. 키케로에 따르면, 그의 웅변술은 화려한 아시아주의 수사학 스타일로, 읽는 것보다 듣는 것이 더 인상적이었다.[16] 그는 "재능 있는 연기자였기에 전문 배우들조차 연습을 멈추고 그가 토가를 휘두를 때마다 청중을 사로잡는 모습을 지켜보곤 했다."[9]라고 할 정도로 연기에 능숙했다.호르텐시우스는 상대방의 주장과 증거를 모두 기억하는 놀라운 기억력을 가지고 있었다.[17] 그는 끈기 있는 기억력을 바탕으로 상대방 주장의 모든 요점을 기억할 수 있었다.[5] 또한, 훌륭하고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는 목소리를 가지고 있었다.[5]
5. 3. 키케로의 평가
키케로는 호르텐시우스의 웅변술이 화려한 아시아주의 수사학에 속하며, 읽는 것보다 듣는 것이 더 낫다고 평가했다.[16] 그의 몸짓은 매우 인위적이었고, 토가를 접는 방식은 당시 비극 배우들의 주목을 받았다.[16] 그는 "재능 있는 연기자였기에 전문 배우들조차 연습을 멈추고 그가 토가를 휘두를 때마다 청중을 사로잡는 모습을 지켜보곤 했다."[9]키케로는 호르텐시우스가 경구풍의 세련된 방식과 격렬하고 빠른 스타일 모두에 뛰어났다고 보았다. 하지만 구세대 사람들은 그의 웅변을 좋아하지 않았고, 젊은 사람들이 이 스타일에 열광했다.[26]
호르텐시우스는 변론에 대한 열정, 뛰어난 기억력, 우렁차고 쾌적한 목소리를 가졌으며, 그의 자세와 움직임에는 웅변가에게 필요한 것 이상의 예술이 있었다.[122] 옷차림도 신중했고, 몸짓도 풍부하여 많은 사람들이 그를 배우에 비유했다.[124] 당대 최고의 배우들인 퀸투스 로스키우스 갈루스와 클라우디우스 에솝스는 그의 변론을 배우기 위해 찾아오기도 했다.[125]
키케로는 "젊은 시절 호르텐시우스의 변론은 권위가 부족했지만, 그의 젊음에 어울렸다. 그러나 연장자의 권위를 갖추게 되자 묵직함이 필요했지만, 그는 더 이상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게 된 화법을 바꾸지 않았다. 게다가 변론 훈련을 그만두고, 이전의 격렬한 열의도 약해졌기" 때문에 인기가 없어졌다고 평가했다.[126]
참조
[1]
서적
History of Rome to A.D. 565
The Macmillan Company
1965
[2]
서적
Rubicon
[3]
서적
Rubicon; On Agriculture
[4]
서적
Rubicon
[5]
백과사전
Hortensius, Quintus (orator)
[6]
웹사이트
Div. in Caecil.
http://attalus.org/c[...]
[7]
논문
Magistrates of 55 BC in Cicero's Pro Plancio and Catullus 52
1968
[7]
서적
Form as Argument in Cicero's Speeches: A Study of Dilemma
Scholars Press
[8]
웹사이트
A country house with a view
https://www.romanpor[...]
[9]
서적
Rome's Last Citizen: The Life and Legacy of Cato, Mortal Enemy of Caesar
[10]
서적
Rome's Last Citizen: The Life and Legacy of Cato, Mortal Enemy of Caesar
[11]
웹사이트
Instit.; Valerius Maximus
https://penelope.uch[...]
[12]
웹사이트
Quintus Hortensius Hortalus in Macedonia (44-42 BC); The last generation of the Roman Republic; M. Hortensius M. f. Q. n. Hortalus
http://www.tekmeria.[...]
[13]
서적
The Fragments of the Roman Historia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Valerius Maximus, 'Facta et dicta memorabilia', Book 8: Text, Introduction, and Commentary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19
[15]
서적
Patriarchy, Property and Death in the Roman Famil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Saturnalia
[17]
웹사이트
Brutus
http://attalus.org/c[...]
[18]
웹사이트
Tristia
https://www.poetryin[...]
[19]
웹사이트
Velleius Paterculus
https://penelope.uch[...]
[20]
서적
Natural History
[21]
서적
[22]
서적
Confessions
[23]
웹사이트
Brutus
http://attalus.org/c[...]
[24]
웹사이트
Brutus
http://attalus.org/c[...]
[25]
논문
Rivals into Partners: Hortensius and Cicero
2008
[26]
서적
Hortensius
[27]
서적
Hortensius
[28]
서적
Hortensius
[29]
서적
Hortensius
[30]
서적
Hortensius
[31]
서적
アッティクス宛書簡集
[32]
서적
Hortensius
[33]
서적
Hortensius
[34]
서적
対比列伝:スッラ
[35]
서적
Hortensius
[36]
서적
[37]
서적
Hortensius
[38]
서적
아ッ티クス宛書簡集
[39]
서적
ブルトゥス
[40]
서적
ブルトゥス
[41]
서적
ブルトゥス
[42]
서적
Hortensius
[43]
서적
弁論家について
[44]
서적
弁論家の教育
[45]
서적
Hortensius
[46]
서적
Hortensius
[47]
서적
ブルトゥス
[48]
서적
[49]
서적
ブルトゥス
[50]
서적
対比列伝:ポンペイウス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友人宛書簡集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ローマ史:内戦
[57]
서적
Marcius
[58]
서적
[59]
서적
アッティカ夜話
[60]
서적
Aurelius
[61]
서적
Hortensius
[62]
서적
クィントゥス・カエキリウスの予言について
[63]
서적
クィントゥス・カエキリウスの予言について
[64]
서적
ブルトゥス
[65]
서적
ウェッレス弾劾
[66]
서적
[67]
서적
クィントゥス・カエキリウスの占いに関して
[68]
서적
クィントゥス・カエキリウスの占いに関して
[69]
서적
クィントゥス・カエキリウスの占いに関して
[70]
서적
[71]
서적
Hortensius
1913
[72]
서적
キケロ『ウェッレス弾劾』
[73]
서적
キケロ『ウェッレス弾劾』
[74]
서적
Grimal
1991
[75]
서적
Hortensius
1913
[76]
서적
Grimal
1991
[77]
서적
Hortensius
1913
[78]
서적
キケロ『ウェッレス弾劾』
[79]
서적
キケロ『ウェッレス弾劾』
[80]
서적
Karetnikova
2011
[81]
서적
Broughton
1952
[82]
서적
キケロ『義務について』
[83]
서적
キケロ『ウェッレス弾劾』
[84]
서적
キケロ『ウェッレス弾劾』
[85]
서적
Broughton
1952
[86]
서적
Broughton
1952
[87]
서적
Hortensius
1913
[88]
서적
カッシウス・ディオ『ローマ史』
[89]
서적
スエトニウス『皇帝伝:神君アウグストゥス』
[90]
서적
キケロ『アッティクス宛書簡集』
[91]
서적
Hortensius
1913
[92]
서적
マクロビウス『サトゥルナリア』
[93]
서적
マクロビウス『サトゥルナリア』
[94]
서적
Hortensius
1913
[95]
서적
キケロ『ブルトゥス』
[96]
서적
Hortensius
1913
[97]
서적
Grimal
1991
[98]
서적
Hortensius
1913
[99]
서적
キケロ『プブリウス・コルネリウス・スッラ弁護』
[100]
서적
キケロ『ブルトゥス』
[101]
서적
Grimal
1991
[102]
서적
Utchenko
1976
[103]
서적
Grimal
1991
[104]
서적
キケロ『アッティクス宛書簡集』
[105]
서적
Grimal
1991
[106]
서적
ミロ弁護
[107]
서적
友人宛書簡集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プブリウス・セスティウを弁護
[111]
서적
アッティクス宛書簡集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ミロ弁護
[115]
서적
有名言行録
[116]
서적
友人宛書簡集
[117]
서적
ブルトゥス
[118]
서적
ローマ世界の歴史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ブルトゥス
[122]
서적
ブルトゥス
[123]
서적
サトゥルナリア
[124]
서적
アッティカ夜話
[125]
서적
有名言行録
[126]
서적
ブルトゥス
[127]
서적
弁論家について
[128]
서적
弁論家の教育
[129]
서적
ローマ世界の歴史
[130]
서적
[131]
서적
弁論家について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対比列伝:小カト
[137]
서적
対比列伝:小カト
[138]
서적
年代記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Bobrovnikova, 2006
[142]
서적
キケロ『アッティクス宛書簡集』
[143]
서적
Hortensius 13
[144]
서적
キケロ『ポンペイウスにインペリウムを与える際の演説』
[145]
서적
Hortensius 13
[146]
서적
ウァレリウス・マクシムス『有名言行録』
[147]
서적
コルネリウス・ネポス『アッティクス伝』
[148]
서적
パテルクルス『ローマ世界の歴史』
[149]
서적
タキトゥス『年代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