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큐스텐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큐스텐딜은 불가리아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4세기 세르비아의 유력자 콘스탄틴 드라가시의 이름을 딴 튀르크어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고대에는 파우탈리아, 중세에는 벨바즈드로 불렸으며, 남극 대륙과 사우스셰틀랜드 제도에 있는 지형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기원전 5-4세기에 트라키아인 정착지로 시작하여 로마 시대에는 파우탈리아로 번성했고, 중세에는 비잔틴 제국과 불가리아 제국의 중심지였다. 15세기에는 현재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고, 오스만 제국 통치를 거쳐 1878년 불가리아에 편입되었다. 현재는 온천, 과일 재배, 경공업이 발달했으며, 여러 자매 도시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큐스텐딜주 - 두프니차
    두프니차는 불가리아 큐스텐딜 주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부터 존재했으며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가 불가리아 해방 이후 현재의 명칭으로 굳어졌고, 현대적인 건축물과 역사적 기념물이 공존하며 릴라 산맥 기슭에 위치하여 휴양지로도 알려져 있다.
  • 큐스텐딜주 - 보보셰보
    보보셰보는 불가리아 서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릴라 산맥, 스트루마 강 계곡, 그리스 국경과 인접하며, 중세 시대 종교적 중심지였고, 루엔 수도원, 스크리노 수도원 등의 역사적 건축물과 슬라티노 유적의 동석기 시대 유물이 있다.
  • 불가리아의 온천 마을 - 벨린그라드
    벨린그라드는 "발칸 반도의 스파 수도"라는 별칭을 가진 불가리아 최대의 스파 리조트 중 하나로, 풍부한 광천 자원, 온화한 기후,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하고 다양한 문화 시설과 교육 기관을 갖춘 도시이다.
  • 불가리아의 온천 마을 - 블라고에브그라드
    불가리아 남서부에 위치한 블라고에브그라드는 스트루마 강 계곡의 산맥들 사이에 자리 잡은 도시로, 고대 트라키아인 마을에서 유래하여 로마 제국 시대 온천 도시로 번성했으며, 오스만 제국 시대를 거쳐 불가리아 공산당 창립자의 이름을 따 개명되었고, 현재는 남서부의 경제 및 문화 중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불가리아의 도시 - 소피아
    소피아는 불가리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발칸 반도 중심부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 유적을 보유한 불가리아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이다.
  • 불가리아의 도시 - 도브리치
    도브리치는 불가리아 북동부 도브루자 지역의 중심 도시로서,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풍부한 문화 유적과 공원을 자랑하는 매력적인 관광지이다.
큐스텐딜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이름Кюстендил (Kyustendil)
지리적 위치불가리아
지방큐스텐딜 주
시장Ognyan Atanasov
면적 (총)28.72 km²
도시 면적979.91 km²
해발 고도560 m
인구 (2024년)43,594명
도시 인구61,642명
인구 밀도2,329명/km²
시간대EET (UTC+2)
여름 시간대EEST (UTC+3)
우편 번호2500
지역 번호078
차량 번호KH
지리
이름
불가리아어Кюстендил (Kyustendil)
로마자 표기Kyustendil
다른 이름Велбъжд (Velbazhd)
Константин Драгаш (Konstantin Dragash)

2. 명칭

현재 명칭은 14세기 세르비아의 유력자 콘스탄틴 드라가시의 튀르크화된 이름인 ''쾨스텐''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라틴어 ''constans''("견고한")과 튀르크어 ''il''("셔, 카운티") 또는 "목욕탕/온천"의 합성어이다.[1][2] 이 도시는 고대에는 ''파우탈리아''(Παυταλία|파우탈리아el)로, 중세 시대에는 ''벨바즈드''(라틴어 Velebusdus|벨레부스두스la, 중세 그리스어: ''Belebousda''; 불가리아어: Велбъжд; 세르비아어: Велбужд)로 알려졌다.

3. 역사

기원전 5-4세기, 고대 트라키아인들이 현재 도시 위치에 정착했으며, 아스클레피오스 신전인 아스클레피온으로 유명했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파우탈리아'''(Παυταλία|파우탈리아grc)라고 불렸으며, 1세기에는 마케도니아에 속했다가 이후 다키아 메디테라니아 속주의 세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2~4세기에는 29ha가 넘는 요새와 4세기에는 2ha 면적의 히사르라카 요새가 건설되었다.

1019년 비잔티움 제국 황제 바실리오스 2세의 칙령에서 '''벨바즈드'''(Велбъжд, "낙타"라는 뜻)라는 슬라브어 이름으로 언급되었고, 비잔티움 제국의 주요 종교 및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1201년에서 1203년 사이 칼로얀이 이 지역을 정복하여 제2차 불가리아 제국에 편입되었다. 1282년, 세르비아 왕 스테판 밀루틴이 벨바즈드를 정복했고, 1330년 벨바즈드 전투에서 세르비아인이 불가리아인을 물리쳐 세르비아 왕국에 귀속되었다. 이후 데얀과 그의 아들 요반 드라가스, 콘스탄틴이 다스렸으나, 오스만 제국에 복속되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 큐스텐딜은 룸멜리아 총독부, 비톨라, 니시 빌라예트 (주)에 속하는 산자크의 중심지였다. 1878년 불가리아 공국 수립 전까지 다뉴브 주 소피아 산자크의 카자 중심지였다. 큐스텐딜 주민들은 불가리아 민족 부흥 운동에 참여했으며, 1878년 1월 29일 오스만 제국에서 해방되었다.

3. 1. 선사 및 로마 시대

고대 트라키아인 정착지는 기원전 5-4세기에 현재 도시의 자리에 세워졌으며, 의학의 신 아스클레피오스에게 헌정된 신전인 아스클레피온으로 유명했다.

트라키아인기원전 5세기 또는 기원전 4세기경부터 거주하며 요새, 휴양지, 교역의 거점으로서 번성했으며, 기원 1세기로마인에게서 '''파우탈리아'''(Παυταλία|파우탈리아grc)라고 불렸다. 이는 트라키아어로 샘, 수원지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19]。푸이팅거 지도에 따르면 파우탈리아는 큐스텐딜에 위치해 있으며, 이 도시가 스트리몬강의 수원에 있다는 점은 파우탈리아 자치 화폐에 새겨진 "스트리몬"이라는 "전설"과 강 신의 모습, 그리고 다른 화폐에 새겨진 ΕΝ. ΠΑΙΩ. ("En. Paio")라는 글자와 매우 일치하는데, 이는 주민들이 그 강둑의 다른 주민들처럼 파이오니아인이라고 생각했음을 보여준다. 파우탈리아의 또 다른 화폐에는 금, 은, 포도주, 곡물 등 이 지역의 생산물이 언급되어 있다.[5]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대에 파우탈리아와 세르디카의 사람들은 황제로부터 받은 혜택으로 추정되는 울피아를 도시 이름에 추가했다.

벨바즈드 요새 계획


서기 1세기에 이 도시는 행정적으로 마케도니아의 일부였다. 이후 이 도시는 다키아 메디테라니아 속주에 속했으며 이 속주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였다.

2~4세기 로마 시대의 파우탈리아 요새는 29ha가 넘는 면적을 가지고 있었다. 요새 벽은 주로 화강암 블록으로 지어졌으며, 특이하게도 정면은 기둥과 아치로 지지되었다. 벽의 폭은 2.5m로, 소형 투석기를 설치할 수 있었다.

4세기에 도시에는 2ha 면적의 두 번째 소규모 요새가 건설되었다(후에 오스만 시대에 ''히사르라카''로 알려짐).

많은 트라키아 시대와 로마 시대 유물들이 도시의 [http://www.kyustendilmuseum.primasoft.bg/en/index.php 지역 역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특히 인상적인 화폐 수집품이 눈에 띈다.

최근 발굴 조사를 통해 초기 기독교 시대, 로마 시대 후기의 기념비적인 주교 궁전이 발견되었다.[7] 히사르라카(Hisarlaka) 요새는 4세기에 세워졌다.

3. 2. 중세 시대

이 도시는 1019년 비잔틴 황제 바실리오스 2세의 칙령에서 슬라브어 이름인 '''벨바즈드'''(Велбъжд, "낙타"라는 뜻)로 언급되었다.[16] 이곳은 비잔틴 제국의 주요 종교 및 행정 중심지가 되었으며, 이후 칼로얀이 1201년에서 1203년 사이에 이 지역을 정복한 후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의 중심지가 되었다.

벨바즈드 전투, 비스키 데차니의 프레스코화


1282년, 세르비아 왕 스테판 밀루틴은 비잔틴 제국을 격파하고 벨바즈드를 정복했다.

1330년, 벨바즈드 전투에서 세르비아인은 근처에서 불가리아인을 물리쳐 이 지역을 세르비아 왕국에 효과적으로 귀속시켰다. 세르비아 제국과 그 이후의 세르비아 제국의 붕괴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인 세르비아의 영주 데얀은 초기에 두샨 아래에서 쿠마노보 지역의 광대한 영토를 소유했고, 나중에 우로쉬 5세 아래에서 '데스포트'로 벨부즈드와 함께 상부 스트루마 강을 할당받았다.[8][9] 데얀이 죽자 그의 Žegligovo와 상부 스트루마의 영지는 그의 두 아들인 요반 드라가스 (1378년 사망)와 콘스탄틴 (1395년 사망)에게 주어졌다. 데야노비치 형제는 제국의 남부 지역인 동부 마케도니아에서 광대한 영토를 다스렸으며,[10] 1373년까지 우로쉬 5세에게 충성을 유지했으나,[11] 오르한 가지의 오스만 군대가 요반에게 오스만 종속을 인정하도록 강요했다.[12]

칼로얀(Калоянbg) 시대에 이 도시는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6세기에 과거 이 도시를 지배했던 콘스탄틴 드라가시의 이름을 따서 현재의 도시 이름이 되었다.[19]

1330년 7월 28일, 도시 근교에서 불가리아와 세르비아 간의 대규모 전투(벨바즈드 전투)가 일어났다. 약 1355년경, 이 도시는 콘스탄틴 드라가시가 지배하는 반독립적인 봉건 영토인 벨부즈드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15세기에 콘스탄틴 드라가시의 이름을 따서 이 도시는 큐스텐딜로 불리게 되었다. 1372년에 투르크인에게 정복되어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3. 3. 오스만 제국 시대

칼로얀 아센(bg) 시대에 이 도시는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6세기에 과거 이 도시를 지배했던 콘스탄틴 드라가시의 이름을 따서 현재의 도시 이름이 되었다.[19]

11세기에 이 도시는 벨부즈드(Велбъжд)라고 불렸다. 1330년 7월 28일, 도시 근교에서 불가리아와 세르비아 간의 대규모 전투(벨부즈드 전투)가 일어났다. 약 1355년경, 이 도시는 콘스탄틴 드라가시가 지배하는 반독립적인 봉건 영토인 벨부즈드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15세기에 콘스탄틴 드라가시의 이름을 따서 이 도시는 큐스텐딜(Köstendil)로 불리게 되었다. 1372년에 투르크인에게 정복되어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큐스텐딜 주민들은 불가리아 민족 부흥 운동에 참여했으며, 불가리아 민족 부흥기에 이 도시는 공예와 무역으로 번영했다. 이 도시는 1878년 1월 29일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해방되었다.

요제프 오버바우어가 그린 피르고바 쿨라, 1908년


이 도시는 처음에는 룸멜리아 총독부에, 그 후에는 비톨라니시 빌라예트(주)에 속하는 산자크의 중심지였다. 1878년 불가리아 공국이 수립될 때까지 다뉴브 주의 소피아 산자크에 속하는 카자의 중심지였다.

3. 4. 근현대

큐스텐딜 주민들은 불가리아 민족 부흥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수공예와 무역이 번성했다. 1878년 1월 29일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해방되었다.[19]

4. 종교

오늘날 큐스텐딜은 정교회 행정 구조상 소피아 교구에 속해 있다. 이 도시는 대리구와 큐스텐딜 교구의 중심지이며, 과거에는 교구의 소재지였으나 1884년에 폐쇄되었다. 오늘날 도시 인구의 대다수는 정교회 신앙을 따른다.[14][15]

개신교와 관련된 여러 기독교 종파와 작은 유대교 공동체가 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 큐스텐딜은 대부분 이슬람교를 믿는 인구로 구성되었지만, 당시의 많은 모스크 중 현재는 두 곳만 남아 있다. 오늘날 이 도시에는 기독교 교회만 운영되고 있다.[14][15]

5. 지리

큐스텐딜은 오소고보 산 기슭, 반쉬차 강 양쪽에 위치해 있으며, 온천학과 과일 재배의 중심지로 잘 알려져 있다. 이 도시는 소피아에서 남서쪽으로 90km, 블라고에브그라드에서 북서쪽으로 69km 떨어져 있으며, 북마케도니아세르비아 국경에서 22km 떨어져 있다.

큐스텐딜은 해발 500~600미터에 위치한 국립 온천 휴양지이다. 이 도시에는 40개 이상의 광천수가 있다. 이 물은 황산염 화합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운동 계통, 부인과 질환 및 기타 질병 치료에 사용된다. 휴양 지역에는 여러 목욕탕, 온천 단지 등이 있다.[16][17][18][20][21]

로마인에 의해 건설된 요새가 있으며, 테르메, 바실리카, 바닥 모자이크가 발굴되었다.

5. 1. 기후

큐스텐딜은 온대 기후를 보이며, 스트루마강의 영향으로 지중해성 및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띤다. 연평균 기온은 약 13°C이다. 최고 평균 기온은 7월과 8월로 22°C~23°C이며, 1월의 최저 기온은 1°C~2°C이다. 연교차는 23°C이다.

여름은 덥고 길며, 겨울은 짧고 시원하다. 봄은 3월 초부터 일찍 시작되어 안정적으로 지속되고, 가을은 길고 따뜻하며 햇볕이 잘 들고 11월 말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강수량은 적당하며, 평균 624mm이고, 겨울에는 평균 10~12일 정도 눈이 내리지만, 이는 상당히 변동될 수 있다. 구름이 적고 안개가 끼는 날이 적어 (연평균 20일) 일조량이 많아 연간 약 2,349시간의 햇볕이 든다. 여름의 후반과 초가을이 일년 중 가장 햇볕이 좋은 시기이며, 구름은 주로 겨울에 많이 낀다. 습도는 중간 정도인 65~70% 사이에서 변동하며, 여름철(특히 8월)에는 비교적 낮다.

큐스텐딜 계곡은 바람이 적은 특징을 보이며, 봄이 가장 바람이 많이 불고 가을이 가장 조용하다. 연평균 풍속은 1.4m/s이다. 겨울과 봄에는 따뜻하고 돌풍이 부는 바람인 "푄"이 나타나 갑작스러운 기온 상승을 유발한다. 기온 체제는 몇 가지 특징을 보인다. 겨울철에는 온도 역전 현상이 발생하며, 여름철에는 일 최고 기온이 35°C~38°C까지 상승한다. 여름밤은 온화하거나 따뜻하며 18°C~23°C의 기온을 보이지만, 새벽 2시간 정도 동안 기온이 19°C 아래로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시내의 최저 기온은 1967년 1월 20일에 -22.4°C로 기록되었으며, 최고 기온은 7월과 8월에 43.2°C로 기록되었으며, 가장 최근 기록은 2007년 7월 24일이다.[20][21][17][18]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6.28.713.518.924.028.131.831.526.220.113.57.519.2
평균 기온 (°C)1.52.57.512.417.621.224.023.519.013.47.82.013.0
평균 최저 기온 (°C)-3.3-2.32.57.010.514.115.815.512.17.52.8-1.47.1
강수량 (mm)484542526865543638596255624
평균 강수일수 (≥ 0.1 mm)1098898446781192
평균 강설일수 (≥ 0.1 cm)431000000013-
평균 일조 시간85117168214261314323312223151106752349


6. 경제

큐스텐딜은 경공업 및 제조업 중심지이며, 제재, 신발, 니트웨어, 기성복, 장난감, 포장, 주류 생산, 제빵, 인쇄, 통조림 산업이 발달했다. 축전기, 전력 변압기, 가정용 및 주방 가구, 목공 제품 생산 기업도 있다. 호텔 및 관광 산업도 최근 몇 년간 발전했다. 이 지역은 과일 재배와 신선 및 건조 과일 거래 전통을 가지고 있다.

큐스텐딜은 수 세기 동안 과일 재배 전통을 가진 농업 지역 중심지이며, "불가리아의 과수원"으로 알려져 있다.

7. 주요 인물


  • 콘스탄틴 드라가시 : 14세기 세르비아 지역 통치자
  • 일리요 보이보다 (1805–1898) : 하이두크, 혁명가이자 불가리아 해방 투사 (큐스텐딜에서 사망)
  • 블라디미르 디미트로프(1882–1960) : 화가
  • 디미타르 페셰프 (1894–1973) : 제2차 세계 대전 법무부 장관이자 국회의 부의장으로, 불가리아 유대인의 나치 강제 수용소로의 추방을 막음.
  • 토도르 앙겔로프 (1900–1943) : 공산주의자 혁명가이자 벨기에 레지스탕스 투사
  • 니콜라이 디울게로프 (1901–1982) : 미래주의 예술가
  • 마린 골레미노프 (1908–2000) : 작곡가
  • 이리나 타세바 (1910–1990) : 배우
  • 베넬린 베네프 (1973- ) : 불가리아 국방 정보국 국장

8. 자매 도시

도시국가
클린치Клинцы|클린치ru
코코아비치Cocoa Beach|코코아 비치영어
레스코바츠Лесковац|레스코바츠sr
기바타임גבעתיים|기브아타임he


참조

[1] 문서 Ćorović 2001, ch. 3, XIII. Boj na Kosovu
[2] 서적 Югозападните български земи през XIV век http://www.promacedo[...] Наука и изкуство
[3] 웹사이트 Kyustendil Ridge. https://data.aad.gov[...]
[4] 웹사이트 Pautalia Glacier. https://data.aad.gov[...]
[5] 문서 Joseph Hilarius Eckhel, Doctrina numorum veterum, vol. ii. p. 38
[6] 간행물 Pautalia
[7] 웹사이트 Archaeologists Discover Residence of Early Christian Bishop of Ancient Roman City Pautalia in Bulgaria's Kyustendil http://archaeologyin[...] 2018-04-28
[8] 문서 Mihaljčić 1989, pp. 79-81
[9] 문서 Fajfric, 42
[10] 인용구 Samardzic 1892 p. 22
[11] 문서 Fine 1994, p. 358
[12] 문서 Edition de l'Académie bulgare des sciences, 1986, "Balkan studies, Vol. 22", p. 38
[13]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по градове и пол | Национален статистически институт https://nsi.bg/bg/co[...] 2024-01-03
[14] 웹사이트 Population by age http://www.nsi.bg/OR[...]
[15] 웹사이트 Population by ethnos http://www.nsi.bg/OR[...]
[16] 서적 Placenames of the World McFarland & Company
[17] 웹사이트 Stringmeteo.com Retrieved May 4, 2013. http://www.stringmet[...]
[18] 웹사이트 Фактически данни » начало https://www.stringme[...] 2024-01-03
[19] 서적 Placenames of the World McFarland & Company
[20] 웹사이트 Stringmeteo.com Retrieved May 4, 2013. http://www.stringmet[...]
[21] 웹사이트 http://www.stringm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