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올로포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올로포사우루스''는 초기 쥐라기 시대에 살았던, 남극에서 발견된 육식 공룡이다. 1990년에서 1991년 사이에 마운트 키르크패트릭에서 발견되었으며, 독특한 부채꼴 모양의 볏이 특징이다. 크기는 6~7m로 추정되며, 볏의 용도와 분류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쥐라기 남극 - 글라키알리사우루스
글라키알리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에 남극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몸길이 약 1.8미터의 중형 육식 공룡으로, 초기 용각류 분포 연구에 기여하며 판게아 대륙 분열과 용각류 확산 경로 추정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 남극의 공룡 - 안타륵토펠타
안타륵토펠타 올리베로이는 백악기 후기 남극에서 발견된 몸길이 약 4m의 파란킬로사우리아에 속하는 소형 안킬로사우루스류 공룡으로, 몸 전체가 골판으로 덮여 있고 꼬리에 무기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온난하고 습한 환경에서 다른 공룡들과 함께 서식했다. - 남극의 공룡 - 글라키알리사우루스
글라키알리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에 남극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몸길이 약 1.8미터의 중형 육식 공룡으로, 초기 용각류 분포 연구에 기여하며 판게아 대륙 분열과 용각류 확산 경로 추정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 신수각류 - 케라토사우루스류
케라토사우루스류는 오스니얼 찰스 마시가 1884년에 기술한 수각류 공룡의 한 분류군으로, 두개골 높이 증가, 앞다리 축소 등의 특징을 공유하며, 트라이아스기 후기 또는 쥐라기 초기에 다른 수각류에서 분기되어 케라토사우루스과, 아벨리사우루스과, 노아사우루스과 등을 포함한다. - 신수각류 - 딜로포사우루스
딜로포사우루스는 초기 쥐라기 시대에 살았던 두 개의 볏이 특징인 대형 육식 공룡으로,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영화 《쥬라기 공원》에 등장하여 대중에게 알려졌다.
| 크리올로포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Cryolophosaurus |
| 명명자 | Hammer & Hickerson, 1994 |
| 모식종 | Cryolophosaurus ellioti |
| 모식종 명명자 | Hammer & Hickerson, 1994 |
| 생존 시기 | 쥐라기 전기 (플리아스바흐절), |
| 몸길이 | 약 6~7m |
| 몸무게 | 약 350~465kg |
2. 발견 및 명명
''크리올로포사우루스''는 1990-91년 남반구 여름, 트란스안타르크틱 산맥의 비어드모어 빙하 지역에 있는 마운트 키르크패트릭에서 오거스타나 대학교 교수 해머와 그의 팀이 처음 발견했다. 1994년 해머와 히커슨은 사이언스 저널에 이 표본을 정식으로 명명하고 기술했다.[28]
''크리올로포사우루스 엘리오티''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단어 κρυος('차가운' 또는 '얼어붙은'을 의미, 남극에서 발견된 것을 나타냄), λοφος( '볏'을 의미) 및 σαυρος|사우로스grc( '도마뱀'을 의미)에서 유래되었으며, "차가운 볏 도마뱀"을 의미한다. 해머와 히커슨은 이 화석을 처음 발견한 데이비드 엘리엇을 기려 종을 ''C. 엘리오티''라고 명명했다.[28]
2. 1. 추가 발견

''크리올로포사우루스''는 1990-91년 남반구 여름, 트란스안타르크틱 산맥의 비어드모어 빙하 지역에 있는 마운트 키르크패트릭에서 오거스타나 대학교 교수 해머와 그의 팀이 발견했다.[28] 화석은 한슨 층의 규질 실트스톤에서 발견되었으며, 초기 쥐라기의 플리엔스바키안으로 연대가 추정된다. ''크리올로포사우루스''는 남극에서 발견된 두 번째 공룡이자 최초의 수각류였다. 이 공룡은 ''안타르크토펠타''보다 늦게 발견되었지만, 이름은 먼저 붙여졌다.[28]
1991년, 해머와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지질학자 데이비드 엘리엇은 비어드모어 빙하 근처에서 별도의 노두를 발굴했으며, 물류 비용을 공유했다. 엘리엇의 팀은 해발 4000m 높이, 남극에서 약 640km 떨어진 암석층에서 ''크리올로포사우루스''의 유해를 처음 발견했고, 곧바로 해머에게 알렸다. 이후 3주 동안 해머는 2300kg의 화석을 포함한 암석을 발굴했다. 이 팀은 ''크리올로포사우루스''를 포함하여 100개 이상의 화석 뼈를 회수했다.[28] 이 표본은 1994년 해머와 히커슨에 의해 사이언스 저널에 정식으로 명명되고 기술되었다.[28]
2003년, 현장 팀이 돌아와 원래 현장에서 더 많은 자료를 수집했다. 두 번째 지역은 마운트 키르크패트릭의 섹션에서 약 30m 더 높은 곳에서 발견되었다.[29]
''크리올로포사우루스 엘리오티''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단어 κρυος(남극에서 발견된 것을 언급하여 '차가운' 또는 '얼어붙은'을 의미), λοφος( '볏'을 의미) 및 σαυρος|사우로스grc( '도마뱀'을 의미)에서 유래되었으며, "차가운 볏 도마뱀"을 의미한다. 해머와 히커슨은 이 화석을 처음 발견한 데이비드 엘리엇을 기려 종을 ''C. 엘리오티''라고 명명했다.[28]
3. 특징
'''크리올로포사우루스'''는 당대 가장 큰 수각류 중 하나였으며, 크고 잘 발달된 공룡이었다. 모식 표본은 길이가 6m에서 7m에 달하고 무게는 350kg에서 465kg으로 추정된다.[33][21][2] 2016년, 몰리나-페레즈(Molina-Pérez)와 라라멘디(Larramendi)는 더 큰 추정치인 7.7m와 780kg을 제시했다.[3] 일부 연구자들은 모식 개체가 아마도 아성체일 것이며, 따라서 성체는 더 컸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21][20] ''크리올로포사우루스''는 날씬한 비율에도 불구하고 알려진 가장 큰 초기 쥐라기 수각류 중 하나이다.[20][24]
모식표본 FMNH PR1821은 ''크리올로포사우루스''의 유일하게 완전하게 묘사된 표본이다. 이 표본은 앞쪽 절반이 대부분 없는 불완전한 두개골과 하악골; 아홉 개의 상악 이빨; 조각난 여섯 번째 경추 중심; 경추 척추 7–10; 여러 개의 후방 경추 갈비뼈; 여러 개의 전방 흉추; 대부분의 중간 및 후방 흉추; 여러 개의 흉추 갈비뼈; 다섯 번째 천추; 세 개의 쉐브론; 많은 부분적이고 완전한 미추 척추 및 중심; 두 개의 부분적인 상완골; 근위 요골; 근위 척골; 부분적인 장골; 근위 치골; 양쪽 좌골, 그러나 하나의 원위부; 두 개의 불완전한 대퇴골; 경골의 원위부 끝; 비골의 원위부 끝, 그리고 거골과 종골로 구성되어 있다.[21] 2013년, ''크리올로포사우루스''의 새로운 화석이 남극 대륙에서 발굴되었다. 이 화석에 대한 설명은 아직 초록 형태가 아닌 형태로 출판되지 않았다.[4]
발굴된 화석은 아직 소수이며, 모식 표본은 미성숙 개체이기 때문에 성숙 개체는 더 커질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41][42] 화석에는 알로사우루스류에서 보이는 특징과 딜로포사우루스 등에서 보이는 원시적인 특징이 섞여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 공룡이 진화상 어떤 계통에 속하는지는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3. 1. 두개골 및 볏

크리오로포사우루스의 모식 표본은 높고 좁은 두개골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나머지 골격과 연결된 상태로 발견되었다.[33] 두개골은 약 65cm 길이로 추정된다. 눈 바로 위에 위치하며 두개골에 수직으로 솟아올라 부채꼴 모양을 이루는 특이한 코뼈 볏이 있다. 이것은 얇고 매우 주름져 독특한 "뽀마도르" 모양을 하고 있으며, "엘비스사우루스"라는 별명을 얻게 해주었다.[5] 볏은 눈물관 근처의 두개골 뼈의 연장선이며, 안와에서 솟아오르는 궤도 뿔의 양쪽에 융합되어 있다. ''모노로포사우루스''와 같은 다른 수각류에도 볏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두개골을 가로지르는 대신 따라 뻗어 있다.[22]
2013년 버논 메이드링거-친(Vernon Meidlinger-Chin)이 실시한 미출판 연구에 따르면 이전 연구들은 내두개골 세부 사항에 대한 초점이 부족했다. 이 연구는 ''크리오로포사우루스'' 화석이 거의 완전하고 왜곡되지 않은 두개강을 가지고 있으며, 살아있는 뇌의 대략적인 모양과 크기를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완전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내두개골 주형은 두개골이 알로사우루스류 및 코일루로사우루스류와 다르다는 것을 명확히 하여 ''크리오로포사우루스''가 수각류 내에서 기저 위치에 있음을 보여주었다.[24] 두개골 뼈가 융합된 방식을 자세히 조사한 결과 ''딜로포사우루스''와 매우 유사한 주둥이와 이마의 세부 사항이 밝혀졌다.[6]
발굴된 화석은 아직 소수이며, 이들로부터 추정되는 두개골의 길이는 65cm 정도이다.[41][42] 가장 큰 특징은 누골이 변화하여 형성된 얇은 부채 모양의 볏으로, 시각적인 과시 기능을 가졌을 것으로 보인다.
4. 분류
''크리오로포사우루스''의 분류는 원시적 특징과 진보된 특징이 섞여 있어서 어렵다.[37] 대퇴골은 초기 수각류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두개골은 중국의 ''신랍토르''와 ''양추안노사우루스''와 같은 분지 테타누라의 훨씬 후기 종과 유사하다. 폴 세레노 외 (1994)는 ''크리오로포사우루스''를 알로사우루스과로 분류했다.[25]

원래 해머와 동료들은 ''크리오로포사우루스''가 케라토사우루스이거나 초기 아벨리사우루스일 수 있다고 생각했고, 일부 특징은 더 진보된 테타누란의 특징과 수렴 진화했지만, 결국 테타누란 그룹의 가장 초기의 구성원이라고 결론 내렸다.[28] 해머가 (스미스, 커리와 함께) 수행한 연구에서 ''크리오로포사우루스''가 테타누란으로 다시 분류되었지만, 같은 저자의 후기 (2007) 연구에서는 ''딜로포사우루스''와 ''드라코베나토르''와 더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22][26] 스털링 네스비트 외 (2009)는 ''타와''의 특징을 사용하여 ''크리오로포사우루스''가 딜로포사우루스과도 아니고 아베로스트라 네오테로포드도 아닌, 딜로포사우루스과와 아베로스트라로 구성된 분지군의 자매군이라고 밝혔다.[27] 그러나 2012년 매튜 카라노는 ''크리오로포사우루스''가 테타누란이며, ''시노사우루스''와 관련이 있지만, ''딜로포사우루스''와는 관련이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7] 2020년 ''딜로포사우루스'' 단행본에서는 ''크리오로포사우루스''가 ''주파이사우루스''보다 더 진화된 위치에 있지만 ''딜로포사우루스''보다는 덜 진화된, 아베로스트라에 가까운 파생된 네오테로포드라는 것을 발견했다.[8]
2015년 헨드릭스 외가 편집한 초기 수각류 그룹의 관계도는 다음과 같다.[9]
{| class="wikitable"
|-
| 네오테로포다
|
{| class="wikitable"
|-
| 코엘로피시스과 
|-
|
{| class="wikitable"
|-
| ''릴리엔스테르누스''
|-
|
{| class="wikitable"
|-
| ''주파이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딜로포사우루스과
|-
! 아베로스트라
|-
|
{| class="wikitable"
|-
| 케라토사우루스 
|-
! 테타누라
|-
|
{| class="wikitable"
|-
| '''''크리오로포사우루스''''' --
|-
| ''시노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모노로포사우루스''
|-
! 오리오니데스
|-
|
{| class="wikitable"
|-
| 메갈로사우루스상과 
|-
! 아베테로포다
|-
|
알로사우루스상과 ![]() |
코엘루로사우루스 ![]() |
|}
|}
|}
|}
|}
|}
아담 마쉬와 티모시 로위가 수행한 2020년 연구에서는 크리오로포사우루스가 기저 네오테로포드임을 발견했다. 코엘로피소이데아보다 아베로스트라에 더 가깝지만 딜로포사우루스보다 더 기저에 있었다.[10]
{| class="wikitable"
|-
| 네오테로포다
|
| ((Lepidus,Liliensternus),(Coelophysis? kayentakatae,(Coelophysis,(Megapnosaurus,Camposaurus))))코엘로피소이데아,(Zupaysaurus,(Cryolophosaurus,(Dilophosaurus,(Ceratosauria,Tetanurae)Averostra)))) |
|}
5. 고생물학
''크리올로포사우루스''의 두개골에는 눈 위에 볏이 달려 있는데, 이는 종 내에서 서로를 인식하고 사회적 행동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케빈 패디언 등은 이러한 두개골 구조가 종 내 인식에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했으며,[31][32] 토마스 R. 홀츠 주니어도 같은 결론을 내렸다. 토마스 리치와 동료들은 볏이 무기로 사용되지는 않았을 것이며, 짝짓기와 같은 사회적 행동에서 과시용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23]
발견된 화석은 아직 소수이며, 모식 표본은 미성숙 개체이기 때문에 성체의 크기는 더 컸을 가능성이 있다. 두개골 길이는 65cm, 전체 몸길이는 6~7m 정도로 추정된다.[41][42] 볏은 누골이 변화하여 형성된 얇은 부채 모양으로, 시각적 과시 기능을 가졌을 것으로 보인다. 화석에서는 알로사우루스류의 특징과 딜로포사우루스 등에서 보이는 원시적인 특징이 모두 나타나, 진화 계통은 아직 불분명하다.
모식 표본의 입 안에서 프로사우로포드 공룡의 경추 갈비뼈가 발견되어, 이 공룡을 먹다가 질식사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33] 이후 이 뼈는 크리올로포사우루스 자신의 것으로 밝혀졌다.[26] 트리티로돈의 이빨도 함께 발견되어 위 내용물의 일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34]
''크리올로포사우루스''는 육식 동물로, 날카로운 이빨과 발톱을 이용해 사냥과 시체 줍기를 했을 것으로 보인다. 과거에는 글라키알리사우루스의 뼈가 ''크리올로포사우루스''의 목에서 발견되었다는 보고가 있었으나,[43]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45] 그러나 동족 포식 흔적과 트리티로돈류를 먹은 흔적이 발견되어 여전히 포식 동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6][47]
일부 ''크리올로포사우루스'' 뼈에서는 청소 동물의 공격 흔적으로 보이는 병리학적 특징이 발견되었다. 근처에서 어린 ''크리올로포사우루스''의 부러진 이빨이 발견되었는데,[23] 이는 성체의 시체를 청소하는 과정에서 빠졌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거골에서 비골 조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병리학적 특징일 수도 있고, ''크리올로포사우루스''의 독특한 특징일 수도 있다.[21]
5. 1. 두개골 장식

두개골 장식과 같은 특징은 ''크리올로포사우루스''가 가진 것과 같이 사회적이고 군집 생활을 하는 동물들에게서 의미가 있다. 종 내의 다른 구성원들이 성적 지위의 메시지를 관찰하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30] 케빈 패디언 외 (2004)는 공룡의 기괴한 두개골 구조와 몸통 외골격의 목적이 짝을 유인하거나, 집단 내 경쟁자를 위협/싸우거나, 다른 종의 잠재적 포식자를 위협하는 것이라는 기존의 가설에 이의를 제기했다. 패디언 외는 계통 발생학적, 조직학적, 기능적 증거를 바탕으로 이러한 기괴한 구조가 화석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는 종 내 인식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31][32] 토마스 R. 홀츠 주니어(2010)는 ''크리올로포사우루스''의 기괴한 볏이 관련 종의 증거와 뼈 질감 연구를 바탕으로 주로 종 내 인식을 위한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토마스 리치와 그의 동료들에 따르면, 볏은 무기로서 효과가 없었을 것이며, 짝짓기와 같은 특정 유형의 사회적 행동 동안 과시적 특징으로 기능했을 가능성이 있다.[23] 2019년에는 종 인식 기능이 논쟁의 대상이 되었지만, 사회 성적 과시 구조 모델이 제안되었다.[40]
발굴된 화석은 아직 소수이며, 이들로부터 추정되는 크기는 두개골의 길이가 65cm 정도, 전체 길이는 6~7m 정도로 추정되지만, 지금까지의 모식 표본은 미성숙 개체이기 때문에, 성숙 개체는 더 커질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41][42] 최대 특징은 누골이 변화하여 형성된 얇은 부채 모양의 볏으로, 시각적인 과시 기능을 가졌을 것으로 보인다. 화석에는 알로사우루스류에서 보이는 특징과, 딜로포사우루스 등에서 보이는 원시적인 특징이 섞여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 공룡이 진화상 어떤 계통에 속하는지는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5. 2. 식성
모식 표본이 발견되었을 때, 크리올로포사우루스의 입 안에서 프로사우로포드 공룡으로 추정되는 여러 개의 긴 경추 갈비뼈가 발견되었다. 해머(1998)는 이것이 죽었을 때 프로사우로포드를 먹고 있었다고 결론 내렸다. 해머는 또한 갈비뼈가 수각류의 목 부위까지 뻗어 있었기 때문에, 이 개체가 이 갈비뼈 때문에 질식사했을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33] 그러나 스미스 등은 이 유해가 해머의 "프로사우로포드"가 아니라, 크리올로포사우루스 표본 자체에 속한다고 결론 내렸다.[26] 해머는 또한 유해와 함께 발견된 트리티로돈(초기 포유류 친척)의 송곳니 뒤쪽 이빨이 죽었을 때 위 내용물의 일부였다고 결론 내렸다.[34]크리올로포사우루스는 순수한 육식 동물로 여겨지며, 날카로운 이빨과 발톱을 사용하여 사냥과 시체 줍기를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 함께 산출된 용각류인 글라키알리사우루스의 뼈가 본종의 목에서 발견되었다고 보고된 적이 있었다.[43] 이에 근거하여 포식자 크리올로포사우루스가 피식자 글라키알리사우루스를 습격하는 내용의 작품이 여러 개 만들어지기도 했다.[44] 하지만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목에 있던 뼈는 본종의 것으로 밝혀져 위의 두 종의 관계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증거는 사라졌다.[45]
그러나 크리올로포사우루스가 동족의 시체를 먹은 흔적과, 키노돈류인 트리티로돈류를 먹은 흔적이 새롭게 발견되었기 때문에, 여전히 포식 동물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46][47]
5. 3. 고병리학
일부 ''크리오로포사우루스'' 뼈는 청소 동물의 공격 흔적으로 보이는 병리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근처에서 어린 ''크리오로포사우루스''의 부러진 이빨이 발견되었다.[23] 이 이빨에는 뿌리가 없어, 성체 ''크리오로포사우루스''의 시체를 청소하는 동안 자연적으로 빠졌을 가능성이 높다.
또 다른 가능한 병리학적 특징은 ''크리오로포사우루스''의 거골(발목뼈)에서 발견된다. 이 뼈는 발목 바로 위에 위치한 비골의 작은 조각과 함께 보존되었다. 그러나 이 조각은 ''크리오로포사우루스''의 독특한 형태학적 특징일 수도 있다.[21]
6. 고환경

크리올로포사우루스의 모든 표본은 남극 대륙에서 발견된 두 개의 주요 공룡 포함 암석 지층 중 하나인 핸슨 층에서 발견되었다. 크리올로포사우루스는 남극점에서 약 650k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지만,[33] 살았던 당시에는 이보다 약 1000km 정도 더 북쪽에 있었다.[36] 핸슨 층은 활동적인 판탈라사 해의 남부 곤드와나 가장자리에 있는 동남극 크레이톤 뒤에 있는, 대략 남위 60도에서 70도 사이의 균열 환경에서 축적되었으며, 두 가지 유형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께를 기준으로 1천만 년 이상 퇴적된 것으로 추정되는 하천 및 화산 지층의 "응회질" 실트스톤이다.[11] 초기 쥐라기 시대에 남극은 적도에 더 가까웠고, 당시 세계는 오늘날보다 훨씬 더 따뜻했지만, 기후는 현대 남부 칠레와 유사한 서늘한 온대 기후였으며, 온도는 17~18도 사이로 습했다. 쥐라기 시대의 기류 모델에 따르면 연안 지역은 거의 얼지 않았을 것이지만, 내륙 지역에는 더 극심한 기후 조건이 존재했다.[38]
6. 1. 당시의 동식물
알려진 모든 ''크리올로포사우루스'' 표본은 남극 대륙에서 발견된 두 개의 주요 공룡 포함 암석 지층 중 하나인 핸슨 층에서 발견되었다. ''크리올로포사우루스''는 남극점에서 약 650k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지만,[33] 살았던 당시에는 이보다 약 1000km 정도 더 북쪽에 있었다.[36] 핸슨 층은 활동적인 판탈라사 해의 남부 곤드와나 가장자리에 있는 동남극 크레이톤 뒤에 있는, 대략 남위 60도에서 70도 사이의 균열 환경에서 축적되었으며, 두 가지 유형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께를 기준으로 1천만 년 이상 퇴적된 것으로 추정되는 하천 및 화산 지층의 "응회질" 실트스톤이다.[11] 초기 쥐라기 시대에 남극은 적도에 더 가까웠고, 당시 세계는 오늘날보다 훨씬 더 따뜻했지만, 기후는 현대 남부 칠레와 유사한 서늘한 온대 기후였으며, 온도는 17~18도 사이로 습했다. 쥐라기 시대의 기류 모델에 따르면 연안 지역은 거의 얼지 않았을 것이지만, 내륙 지역에는 더 극심한 기후 조건이 존재했다.[38]
이 지층에서는 두 개의 작은 수각류, 용각류형 공룡 ''글라시아리사우루스'',[12] 까마귀 크기의 익룡 (디모르포돈과), 트리티로돈과 초식성 단궁류, 그리고 명명되지 않은 두 개의 작은 용각류형 공룡의 유해가 발견되었다.[13][14] 척추동물 외에도 곤충 (바퀴벌레목, 딱정벌레목), 새새류, 갑각류와 절지동물 흔적 화석 (''디플리크니테스, 플라놀리테스, 스코이에니아'')이 게어 메사, 마운트 카슨 또는 셰이퍼 피크와 같은 동시대 지역에서 알려져 있다.[15] 식물 유적 또한 매우 흔하며, 마운트 카슨의 큰 나무 줄기 (+50 cm)에서 셰이퍼 피크의 팔리노모프까지 발견된다.[16] 거대 잎과 큐티클 잔해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여기에는 구과 식물 (나한송과, 검은솔과, 측백나무과, 소나무과 또는 볼치알레스), 소철류 (베네티테스목), 씨앗 고사리 (코리스토스페르뭄과), 고사리 (디프테리과, 마토니과, 고비과 및 양치류), 속새과, 부들과 우산이끼 (마르칸티아목) 등이 포함된다.[17] 일부 식물 유적은 딕로이디움의 가장 최근 기록과 같이 잔존하는 속이다.[18] 무척추동물 이크노속 ''플라놀리테스''의 흔한 존재는 그 지역의 하천, 충적 또는 호수의 물이 1년 내내 지속되었을 가능성을 나타내며, 풍부한 ''오토자미테스''의 존재는 높은 습도를 시사하는 경향이 있다.[17] 전반적으로 높은 위도를 감안할 때, 계절성이 강한 환경을 나타내며, 아마도 뉴질랜드 북섬과 같이 온대 기후의 서리가 없는 숲과 개방된 숲과 유사했을 것이다. 적절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이탄 축적은 지역 화산 활동의 영향으로 인해 드물었으며, 숯이 된 석탄화된 식물 잔해에서 볼 수 있듯이 일반적인 산불 활동이 있었다.[17]
참조
[1]
논문
From the Transantarctic Basin to the Ferrar Large Igneous Province—new palynostratigraphic age constraints for Triassic–Jurassic sedimentation and magmatism in East Antarctica
https://www.scienced[...]
2022-02-20
[2]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서적
Récords y curiosidades de los dinosaurios Terópodos y otros dinosauromorfos
Larousse
[4]
논문
New Dinosaurs from the Early Jurassic Hanson Formation of Antarctica, and Patterns of Diversity and Biogeography in Early Jurassic Sauropodomorphs
http://gsa.confex.co[...]
2013-12-20
[5]
웹사이트
Antarctic Dinosaurs
https://www.fieldmus[...]
2018-12-31
[6]
웹사이트
VERTEBRAL ANATOMY OF CRYOLOPHOSAURUS ELLIOTI, A THEROPOD DINOSAUR FROM THE EARLY JURASSIC OF ANTARCTICA
https://gsa.confex.c[...]
2018-12-31
[7]
논문
The phylogeny of Tetanurae (Dinosauria: Theropoda)
[8]
논문
A comprehensive anatomical and phylogenetic evaluation of Dilophosaurus wetherilli (Dinosauria, Theropoda) with descriptions of new specimens from the Kayenta Formation of northern Arizona
2020-07
[9]
논문
An Overview of Non- Avian Theropod Discoveries and Classification
[10]
논문
A comprehensive anatomical and phylogenetic evaluation of Dilophosaurus wetherilli (Dinosauria, Theropoda) with descriptions of new specimens from the Kayenta Formation of northern Arizona
2020-07
[11]
논문
The Lower Jurassic Hanson Formation of the Transantarctic Mountains: implications for the Antarctic sector of the Gondwana plate margin
https://www.cambridg[...]
2022-03-07
[12]
논문
Anatomy of a basal sauropodomorph dinosaur from the Early Jurassic Hanson Formation of Antarctica
http://app.pan.pl/ac[...]
[13]
논문
A dinosaur assemblage from the Transantarctic Mountains
https://s3.amazonaws[...]
1994
[14]
논문
New Dinosaurs from the Early Jurassic Hanson Formation of Antarctica, and Patters of Diversity and Biogeography in Early Jurassic Sauropodomorphs.
2013
[15]
논문
Fossil sites in the continental Victoria and Ferrar groups (Triassic-Jurassic) of north Victoria Land, Antarctica
https://www.research[...]
2021-11-15
[16]
논문
Early Jurassic fossiliferous black shales in the Exposure Hill Formation, Ferrar Group of northern Victoria Land, Antarctica
https://www.research[...]
2021-11-17
[17]
논문
Plant assemblages from the Shafer Peak Formation (Lower Jurassic), north Victoria Land, Transantarctic Mountains
https://www.research[...]
2011
[18]
논문
Polar regions of the Mesozoic–Paleogene greenhouse world as refugia for relict plant groups
https://www.diva-por[...]
2022-02-13
[19]
서적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Books for Young Readers
[20]
서적
Prehistoric Life: A Definitive Visual History of Life on Earth
Dorling Kindersley
[21]
논문
Osteology of ''Cryolophosaurus ellioti''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Early Jurassic of Antarctica and implications for early theropod evolution
https://01182bb5-a-6[...]
[22]
논문
Osteolog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Cryolophosaurus ellioti'' (Dinosauria: Theropoda): Implications for basal theropod evolution
[23]
서적
Encyclopedia of Dinosaurs
Academic Press
[24]
논문
Braincase and Endocranial anatomy of ''Cryolophosaurus ellioti''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Early Jurassic of Antarctica
http://gsa.confex.co[...]
[25]
논문
Early Cretaceous dinosaurs from the Sahara
[26]
논문
The Dinosaurs of the Early Jurassic Hanson Formation of the Central Transantarctic Mountains: Phylogenetic Review and Synthesis
[27]
논문
A complete skeleton of a Late Triassic saurischian and the early evolution of dinosaurs
[28]
논문
A Crested Theropod Dinosaur from Antarctica
[29]
간행물
The Strange Lives of Polar Dinosaurs
http://www.smithsoni[...]
2008-01-24
[30]
서적
Encyclopedia of Dinosaurs
Academic Press
[31]
서적
Dinosaurs, the Encyclopedia, Supplement 4
McFarland & Company, Inc
[32]
논문
Species recognition as the principal cause of bizarre structures in dinosaurs
[33]
논문
Gondwana Dinosaurs from the Jurassic of Antarctica
[34]
서적
Dinosaurs, the Encyclopedia, Supplement 1
McFarland & Company, Inc
[35]
서적
Ultimate Dinosaurs: Giants from Gondwana
Toronto:Royal Ontario Museum
[36]
서적
Encyclopedia of Dinosaurs
Academic Press
[37]
서적
The Dinosauria (Second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8]
논문
Pangaean climate during the Early Jurassic: GCM simulations and the sedimentary record of paleoclimate
https://pubs.giss.na[...]
1992
[39]
뉴스
Two New Dinosaurs Discovered in Antarctica
http://news.national[...]
2013-12-20
[40]
논문
An enigmatic theropod Cryolophosaurus: Reviews and Comments on its paleobiology
[41]
논문
Osteology of ''Cryolophosaurus ellioti''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Early Jurassic of Antarctica and implications for early theropod evolution
https://01182bb5-a-6[...]
[42]
서적
Prehistoric Life: A Definitive Visual History of Life on Earth
Dorling Kindersley
[43]
간행물
Gondwana Dinosaurs from the Jurassic of Antarctica
Proceedings of the Second Gondwana Dinosaur Symposium National Science Museum Monographs
1999
[44]
기타
ディスカバリーチャンネル制作、蘇る恐竜の時代
[45]
간행물
The Dinosaurs of the Early Jurassic Hanson Formation of the Central Transantarctic Mountains: Phylogenetic Review and Synthesis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2007
[46]
서적
Polar dinosaurs
Academic Press
1997
[47]
서적
Dinosaurs, the Encyclopedia, Supplement 1
McFarland & Company, Inc.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