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디아 제11군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라우디아 제11군단은 기원전 58년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창설된 로마 군단으로, 갈리아 전쟁, 내전, 필리피 전투 등에 참전했다. 이후 발칸 반도에 주둔하며 도로 건설과 지역 안정화에 기여했고, 네 황제의 해, 바타비 반란 진압에도 참여했다. 1세기 말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카티족 원정과 트라야누스 황제의 다키아 전쟁에 참전했으며, 3세기까지 두로스토룸에 주둔하며 다뉴브 강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8년 - 게미나 제10군단
게미나 제10군단은 기원전 1세기경 창설되어 로마 제국 시대에 활약한 군단으로, 갈리아 전쟁, 내전, 파르티아 원정 등 다양한 전역에 참여했으며, 여러 지역에 배치되어 국경 수비와 반란 진압 임무를 수행하다 5세기까지 존속했다. - 기원전 58년 - 풀미나타 제12군단
풀미나타 제12군단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창설되어 로마 제국 시대 다양한 전역에 참여,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기에 재건, 시리아 주둔 후 파르티아 전쟁, 유대-로마 전쟁 등 주요 전투에 투입되었고,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시기 "비의 기적" 설화와 관련, 멜리테네에 장기간 주둔하며 동부 국경을 수비했다. - 로마 군단 - 미네르비아 제1군단
미네르비아 제1군단은 82년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창설한 로마 제국 군단으로,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에서 활동하고 다키아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내전기에 여러 황제를 지지하다 353년경 프랑크족 침공 이후 기록에서 사라졌다. - 로마 군단 - 아디우트릭스 제2군단
아디우트릭스 제2군단은 로마 제국의 군단으로,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에서 시작해 브리튼을 거쳐 다키아 전쟁에 참전했으며, 아퀸쿰에 주둔하며 여러 전쟁에 파견되어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권력 장악에 기여했고, 금석문 자료를 통해 활동 범위를 파악할 수 있다.
클라우디아 제11군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이름 | 클라우디아 제11군단 |
원어 이름 | Legio XI Claudia |
별칭 | 클라우디아, Pia VI Fidelis VI (6배 충실, 6배 충성) |
활동 기간 | 기원전 58년 ~ 425년 이후 |
국가 | 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비잔틴 제국 |
종류 | 로마 군단 |
역할 | 중장보병 |
규모 | 4800명 병력과 장교, 행정, 120명의 기병 (1세기 기준) |
주둔지 | 부르눔 (9년~68년) 빈도니사 (71년~83년) 모군티아쿰 (83년–101년) 브리게티오 (101년–114년) 두로스토룸 (114년~395년 이후) |
마스코트 | 넵투누스, 암늑대가 쌍둥이 젖을 먹이는 모습 |
이미지 | |
![]() | |
전투 및 교전 | |
주요 참전 | 갈리아 전쟁 사비스 전투 알레시아 전투 카이사르의 내전 디라키움 공방전 파르살루스 전투 리베라토레스의 내전 필리피 전투 페루지네 전쟁 악티움 해전 제1차 베드리아쿰 전투 제2차 베드리아쿰 전투 바타비아 반란 트라야누스의 다키아 전쟁 바르 코크바의 난 이수스 전투 (194년) 크테시폰 전투 (198년)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율리우스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오토 베스파시아누스 트라야누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2. 역사
2. 1. 공화정 후기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원전 58년 갈리아 전쟁을 위해 풀미나타 제12군단과 함께 클라우디아 제11군단을 갈리아 키살피나에서 창설했다.[12] 제11군단은 네르비족과의 전쟁,알레시아 포위 공격에 참전했다.[12][1] 갈리아 원정 이후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 사이에 내전이 발발하자, 제11군단은 기원전 49년 1월 카이사르와 함께 이탈리아를 침공했다. 기원전 48년에는 디라키움과 파르살루스에서 활약했다.[13] 카이사르 사후 기원전 45년에 해산되어 보비아눔 운데쿠마노룸 주변에 정착했다.[13][2]기원전 42년, 옥타비아누스는 제11군단을 재창설했다. 제11군단은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로 구성된 제2차 삼두정치 휘하에서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와 카시우스를 상대로 필리피 전투에 참전했다. 이후 이탈리아 페루자에서 지역 반란을 진압하고, 섹스투스 폼페이우스에 대항하여 시칠리아에서 옥타비아누스와 함께 복무했다.[2]
기원전 32년부터 32년까지 아우구스투스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사이의 내전에 참가하여 악티움 해전으로 막을 내렸다.[13][2]
2. 2. 로마 제정 초기
제11군단은 발칸 반도에 배치되어 부르눔(오늘날 크로아티아 키스타네)에 주둔하며 클라우디아 제7군단과 함께 도로 건설 등 지역 안정화에 기여했다.[13][2] 분견대는 살로나와 가둔에도 주둔했다. 42년 달마티아 총독 스크리보니아누스가 클라우디우스에게 반란을 일으키자 이를 진압하고 '클라우디아 피아 피델리스'(Claudia Pia Fidelis, 충성스럽고 믿음직한 클라우디아) 칭호를 받았다.[13][2]'네 황제의 해'(69년)에는 오토, 베스파시아누스 편에서 두 차례의 베드리아쿰 전투에 참전했다.[13][2] 70년에는 케리알리스 휘하의 원정대 일원으로 라인강에서 바타비 반란을 진압했다.[13][2]
2. 3. 로마 제정 중기 ~ 후기
1세기 말, 제11군단은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카티족 원정에 참여했으며, 101년부터 106년까지는 트라야누스 황제의 다키아 전쟁에 참전했다.[13] 이를 기념하여 로마에는 기둥이 세워졌다.[13] 114년부터 제11군단은 두로스토룸(실리스트라)에 주둔하며 최소 3세기 동안 본부를 유지했다.[14] 이들은 크림반도 점령, 프라호바주 드라냐 요새 건설, 토미스(Tomis)에서의 관료 기능 수행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14]132년에는 바르 코흐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이끄는 벡실라티오(분견대)가 유대 지역으로 파견되었다.[13] 193년, 제11군단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를 지지하여 페스첸니우스 나이거를 포위하고 격파했다.[13] 또한 이수스 전투에서 승리하고, 세베루스 황제의 파르티아 원정에 참여하여 198년 크테시폰을 함락시켰다.[13]
260년에서 268년까지 제11군단은 갈리에누스 황제가 갈리아 제국의 포스투무스에 대항하는 전쟁을 지원하여 5번째와 6번째 ''피아 피델리스(Pia Fidelis)'' 칭호를 받았다.[2] 273년에는 요르단 지역의 도로 건설에 참여했고,[2] 295년에는 이집트에, 298년에는 마우레타니아에 분견대가 주둔했다.[2] 302년에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에 의해 제11군단 소속 기독교인 율리우스와 헤시키우스가 박해를 받았다.[2]
4세기 후반까지도 제11군단은 두로스토룸에 주둔하며 다뉴브 강 방어 임무를 수행했으며,[5] 동로마 제국 초기까지 존속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주요 인물
루키우스 보레누스와 티투스 풀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 등장하는 백인대장이다. 이들은 기원전 54년에 퀸투스 툴리우스 키케로 휘하에서 복무했다. 카이사르는 이들의 소속 군단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지만, '그 군단에서'(''in ea legione'') 복무했다고 언급했다.
루키우스 안니우스 바수스는 서기 69년 내전 당시 군단장으로 활약했으며, 타키투스의 《역사》에 기록되어 있다. 가이우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바수스[6]는 99-101년에 군단장을 역임했다.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프론토[8]는 158-161년경에 군단장을 맡았다.
4.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서적
Caesar's Greatest Victory: The Battle of Alesia, Gaul 52 BC
https://books.google[...]
Casemate
2016-12-31
[2]
웹사이트
Legio XI Claudia Pia Fidelis
https://www.livius.o[...]
2017-05-26
[3]
간행물
Drajna De Sus: Archaeological Excavation Report
http://cronica.cimec[...]
1994
[4]
서적
Archaeological Researches in Palestina during the Years 1873-74
[5]
웹사이트
The Undecimani
http://lukeuedasarso[...]
2015-08-03
[6]
문서
"Legio X Fretensis: A Prosopographical Study of its Officers (I-III c. A.D.)"
Franz Steiner
1993
[7]
문서
"Les carrières sénatoriales dans les provinces romaines d'Anatolie au Haut-Empire (31 av. J.-C. - 284 ap. J.-C.)"
http://www.persee.fr[...]
Institut Français d'Études Anatoliennes-Georges Dumézil
1989
[8]
문서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Rudolf Habelt Verlag
1977
[9]
문서
Konsulat und Senatorenstand
[10]
문서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J.C. Gieben
1989
[11]
문서
M. Aquilius Felix
https://www.jstor.or[...]
1946
[12]
서적
Caesar's Greatest Victory: The Battle of Alesia, Gaul 52 BC
https://books.google[...]
Casemate
2016-12-31
[13]
웹인용
Legio XI Claudia Pia Fidelis
https://www.livius.o[...]
2017-06-16
[14]
논문
Drajna De Sus: Archaeological Excavation Report
http://cronica.cimec[...]
1994
[15]
웹인용
The Undecimani
http://lukeuedasarso[...]
2017-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