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따니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빠따니주는 말레이 반도에 위치한 태국의 주로, 타이만 해안에 접해 있으며 산칼라키리 산맥과 부도-수응아이 빠디 국립공원을 포함한다. 역사적으로는 말레이족의 빠따니 왕국의 중심지였으며, 1909년 방콕 조약으로 시암에 병합되었다. 현재는 말레이족 무슬림이 다수를 차지하며, 빠따니 말레이어를 사용한다. 주요 경제 활동은 어업이며, 관광객 수는 적은 편이다. 빠따니 주의 상징은 '프라야 타니' 대포이며, 왓 랏 부라나, 렁 추 키앙 신사, 끄루세 모스크 등 다양한 종교 유적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빠따니주 - 파야 타니
파야 타니는 과거 파타니 왕국에서 제작된 대포로, 시암과의 갈등 이후 방콕으로 옮겨졌으며 현재 파타니 주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중요한 유물이다. - 태국 남부 - 말레이반도
말레이 반도는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3개국이 영토를 나누어 통치하는 동남아시아의 반도로,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으로 덮여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며 해상 무역의 요충지이자 말라카 해협을 중심으로 중요한 해상 교통로 역할을 한다. - 태국 남부 - 얄라주
태국 최남단 말레이반도에 위치한 얄라주는 과거 파타니 왕국 영토였으나 태국에 편입되었고, 말레이어 사용 무슬림 주민이 많으며, 2004년부터 파타니 분리주의 운동이 활발한 지역으로 3개의 국립공원과 8개의 군으로 구성된다. - 타이만 - 방콕
방콕은 태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차오프라야 강 하구에 위치하고, 1782년 라타나코신 왕국 건국 이후 태국 경제의 중심지로서 관광, 무역, 제조업 등이 발달했으며, 왕궁, 사찰 등 다양한 명소와 대중교통 및 항공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다. - 타이만 - 라용주
라용 주는 태국 동부에 위치한 주로, 아유타야 왕국 시대부터 역사를 지니고 딱신 대왕의 해군 건설지로 유명하며, 아름다운 해안선과 국립공원 등의 자연경관, 그리고 동부경제회랑의 중심지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발달한 경제 중심지이다.
| 빠따니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공식 명칭 | 빠따니주 |
| 현지어 명칭 | ปัตตานี (태국어) |
| 모토 | 아름다운 세 문화 도시. 훌륭한 할랄 센터. 신앙을 존중하는 사람들. 아름다운 자연의 땅. 빠따니, 남부의 평화로운 땅. |
| 국가 | 태국 |
| 주도 | 빠따니 |
| 주지사 | 파띠모 사디야무 (2022년 이후) |
| 지리 | |
| 면적 | 1,940 제곱킬로미터 |
| 면적 순위 | 태국 68위 |
| 인구 통계 | |
| 인구 (2018년) | 718,077명 |
| 인구 순위 | 태국 37위 |
| 인구 밀도 | 370 명/제곱킬로미터 |
| 인구 밀도 순위 | 태국 9위 |
| 인간 발전 지수 (2022년) | 0.6149 "낮음" |
| 인간 발전 지수 순위 (2022년) | 70위 |
| 경제 | |
| 총 GDP (2019년) | 560억 바트 (16억 미국 달러) |
| 행정 구역 | |
| 암프 (군) | 므앙빠따니군 코크포군 농찍군 야링군 마요군 마에란군 타웅군 사이부리군 파나레군 카포군 마르틷군 므앙빠따니군 |
| 기타 정보 | |
| 시간대 | ICT (+7) |
| 우편 번호 | 94xxx |
| 지역 번호 | 073 |
| ISO 3166-2 | TH-94 |
| 웹사이트 | 빠따니 주 공식 웹사이트 |
![]() | |
![]() | |
![]() | |
2. 지리
빠따니주는 말레이 반도의 타이만 쪽에 위치한다. 북쪽은 타이만 해안에 접하며, 남쪽은 산깔라키리 산맥의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산림 면적은 110km2으로, 주 전체 면적의 5.6%에 해당한다.[5] 송클라주, 얄라주, 나라티왓주와 접한다.
2. 1. 국립공원
빠따니주는 말레이 반도에 위치하며, 북쪽은 타이만 해안에 접해 있다. 남쪽은 산깔라키리 산맥의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얄라주, 나라티왓주와의 경계에는 부도-수응아이 빠디 국립공원이 자리 잡고 있다. 이 국립공원은 희귀 식물을 포함한 숲을 보호하고 있다. 또한 송클라주, 얄라주와의 경계에 있는 남톡 사이 카오 국립공원은 사이카오 폭포로 유명하다.빠따니주에는 2개의 국립공원이 있으며, 이들은 다른 3개의 국립공원과 함께 태국 보호 구역 제6지역(빠따니 지부)을 구성한다.[6]
빠따니라는 이름은 빠따니 말레이어로 '이 해변'을 의미하는 '파타니'(ڤتنا|파타니ms)에서 유래했다.
빠따니주는 12개의 암프(군)로 구성되며, 이들은 다시 115개의 땀본(읍/면)과 629개의 무반(마을)으로 나뉜다.[2]
빠따니주의 6개 지역은 태국만 해안에 위치해 있다. 2019년 기준으로 빠따니주의 어업 종사자는 8만 명을 넘어선다.[12] 빠따니주는 태국 농업협동부가 해안선에서 4 해리 이내에서 트롤 어선 및 파괴적인 어망 사용을 금지하는 태국 유일의 주이다. 이러한 조치 덕분에 지역 어족 자원이 회복되었다.[12]
42번 국도는 빠따니 주의 주요 도로로, 주변에 관광 명소가 많고 여러 지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43번 국도는 므앙 빠따니를 우회하는 두 번째 주요 도로이며, 이동 시간과 연료를 절약하는 데 도움을 준다. AH18 노선은 42번 국도와 43번 국도의 일부 구간을 포함한다.
빠따니 주의 문장에는 พระยาตานี|프라야 타니tha(Sri Patani|스리 빠따니msa)라고 불리는 대포가 그려져 있다. 이 대포는 과거 빠따니 왕국의 관료였던 림또꽌이 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 빠따니에 있었으나, 1785년 (태국 불교력 2328년) 방콕으로 옮겨져 현재 방콕의 국방부 본부 청사 앞에 전시되어 있다. 대포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라자 빌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말레이 반도에 위치하며 북쪽은 타이만과 접한다. 남쪽 산깔라키리 산맥 지역에는 얄라 주, 나라티왓 주와의 경계에 부도-수-응아이 빠디 국립공원이 있어 희귀 식물을 포함한 숲이 보호되고 있다. 송클라 주, 얄라 주와의 경계에 있는 남똑사이카오 삼림 공원은 사이카오 폭포로 유명하다.
3. 역사
태국 남부 말레이 반도 북부 지역에는 2세기부터 14세기까지 힌두교를 믿는 랑카수카 왕국이 번성했다. 13세기에 랑카수카 왕국이 수마트라 섬 팔렘방을 중심으로 한 스리위자야 왕국의 영향력 아래 들어가자, 빠따니 지역에는 말레이족이 세운 파타니 왕국(14세기 또는 1516년 ~ 1902년)이 들어섰다. 이 왕국은 역사적으로 빠따니 주의 중심 세력이었다. 1516년에는 포르투갈 탐험가 마누엘 고디뉴 데 에레디아가 이곳을 방문하여 서양에 알려지게 되었다.
파타니 왕국은 오랫동안 태국의 수코타이 왕국과 아유타야 왕국에 조공을 바치는 관계였으나, 반독립적인 지위를 유지했다. 1767년 아유타야 왕국이 버마에 의해 멸망하자 파타니 왕국은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다. 하지만 이후 차크리 왕조의 라마 1세가 1786년에 다시 정복하여[9], 빠따니는 다시 시암(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770년경에는 송클라를 거점으로 한 시암 군대가 침략하여 속국으로 삼기도 했다.
19세기 후반, 랏타나코신 왕국(방콕 왕조)의 차크리 개혁에 의해 중앙 집권화가 추진되면서, 1902년 반독립 상태였던 파타니 왕국은 폐지되었다. 시암은 기존의 파타니 지역을 파타니, 농칙, 라만, 라응애, 사이부리, 얄라, 야링 등 7개의 작은 주로 나누었다가, 1906년에는 이를 다시 파타니, 방나라(현재의 나라티왓), 사이부리, 얄라의 4개 주로 재편성했다.[9]
1909년, 시암은 대영 제국과 방콕 조약(영-시암 조약)을 체결하여 남부 말레이 지역에 대한 국경을 확정했다. 이 조약은 버니 조약에서 확인된 시암의 통치권을 바탕으로 영국 제국과 협상하여 체결되었으며, 시암은 케다, 클란탄, 페를리스, 테렝가누에 대한 권리를 영국에 넘겨주었다. 그러나 말레이인이 다수 거주하는 빠따니 지역은 이 조약에 포함되지 않고 시암의 영토로 공식 편입되었다.[9] 이후 20세기 초의 행정 개혁 과정에서 얄라와 나라티왓은 빠따니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주가 되었다. 사뚠과 송클라 지역 역시 과거에는 반독립적인 상태를 유지했었다.
파타니 왕국이 폐지된 직후부터 이 지역에서는 독립 운동이 꾸준히 이어져 왔다. 특히 2004년 이후에는 빠따니 분리주의 운동이 격화되어 많은 사상자를 낸 무력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다.[16]
4. 인구
빠따니 주는 얄라, 나라티왓, 사툰과 함께 태국에서 무슬림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4개의 주 중 하나이다. 2014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약 88%가 무슬림이었다. 이는 주로 말레이 혈통의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며, 이들 대부분은 빠따니 말레이어를 사용한다(물론 태국어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빠따니에 거주하는 말레이족은 민족적, 문화적으로 말레이시아의 켈란탄 주에 사는 말레이족과 매우 유사하다. 타이족보다는 말레이인이 주로 거주하며, 화교 등 다른 민족 집단도 존재한다.
5. 행정 구역
번호 이름 태국어 자위 문자 말레이어 1 므앙빠따니 เมืองปัตตานี فطاني Patani/Fathoni 2 콕포 โคกโพธิ์ خوكفور Khuppur 3 농찍 หนองจิก نوڠجيك Nongjik 4 빠나레 ปะนาเระ فناريق Penarik 5 마요 มายอ مايور Mayu 6 퉁양댕 ทุ่งยางแดง طوڠيڠديڠ Thungyangdeng 7 사이부리 สายบุรี سليندوڠ بايو ، تلوبن Selindung Bayu, Teluban 8 마이깬 ไม้แก่น مايكين Maikaen 9 야링 ยะหริ่ง جمبو Jambu 10 야랑 ยะรัง ياليمو Yalimo 11 까포 กะพ้อ كأفور Kapor 12 매란 แม่ลาน ميلان Melan
과거 차나(말레이어: Chenok), 테파(말레이어: Tiba), 사바 요이(말레이어: Sebayu)는 1796년 시암 정부에 의해 빠따니에서 분리되어 송클라주로 이관되었다.
2019년 11월 26일 기준으로,[11] 빠따니 주에는 1개의 빠따니 주 지방 행정 기구(ongkan borihan suan changwat)와 17개의 시(thesaban)가 있다. 빠따니와 탈루반은 도시(thesaban mueang) 지위를 가진다. 또한 15개의 읍(thesaban tambon)이 있다. 시가 아닌 지역은 96개의 읍 행정 기구(ongkan borihan suan tambon, SAO)에 의해 관리된다.[2]
6. 경제
흥미로운 장소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빠따니주는 태국에서 가장 방문객이 적은 주 중 하나이다. 태국 관광체육부의 2018년 자료에 따르면, 빠따니주를 방문한 총 관광객 수는 2만~3만 명에 불과했으며, 그마저도 대부분 태국인이었다.[13]
7. 교통
항공 교통 시설로는 태국 공군 소속의 빠따니 공항이 있다. 이 공항은 주로 대테러 작전 수행에 이용되며, 민간 항공편은 운항하지 않는다. 따라서 빠따니 주민이나 방문객이 항공편을 이용할 때는 사실상 나라티왓 공항을 이용하게 된다.
빠따니의 주요 버스 정류장은 빠따니 버스 터미널이며, 이곳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철도 교통의 경우, 코크포 철도역이 빠따니 주의 주요 철도역이다.
8. 상징
주의 꽃은 중국 부용(Hibiscus rosa-sinensis)이며, 주의 나무는 철목 또는 타키안(Hopea odorata)이다. 주의 수생 생물은 뱀가죽고라미(Trichopodus pectoralis)이다.
9. 주요 명소
빠따니는 불교, 이슬람, 중국 종교의 세 종교가 공존하는 땅으로 불리며[15], 각 종교의 중요한 예배 장소가 있다.
참조
[1]
간행물
Advancing Human Development through the ASEAN Community, Thailand Human Development Report 2014, table 0:Basic Data
http://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Thailand
2016-01-17
[2]
웹사이트
รายงานสถิติจำนวนประชากรและบ้านประจำปี พ.ศ.2561
http://stat.bora.dop[...]
2019-06-20
[3]
논문
Gross Regional and Provincial Product, 2019 Edition
https://www.nesdc.go[...]
Office of the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uncil (NESDC)
2020-01-22
[4]
웹사이트
ข้อมูลสถิติดัชนีความก้าวหน้าของคน ปี 2565 (PDF)
https://www.nesdc.go[...]
2024-03-12
[5]
웹사이트
ตารางที่ 2 พี้นที่ป่าไม้ แยกรายจังหวัด พ.ศ.2562
https://www.forest.g[...]
2021-04-06
[6]
웹사이트
ข้อมูลพื้นที่อุทยานแห่งชาติ ที่ประกาศในราชกิจจานุบกษา 133 แห่ง
https://catalog.dnp.[...]
2022-11-01
[7]
논문
A Thai Version of Newbold's "Hikayat Patani"
1967-12
[8]
웹사이트
"{ms} Sejarah Malaysia - Asal Usul nama Sungai Petani"
http://sejarahmalays[...]
Sejarahmalaysia.pnm.my
2012-08-24
[9]
웹사이트
A Brief Introduction to the Malay Kingdom of Patani
https://www.ihrc.org[...]
2004-12-21
[10]
서적
Pattani : Selamat Datang Ke Pattani
http://www.pattani20[...]
IQ Media
[11]
웹사이트
Number of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s by province
http://www.dla.go.th[...]
Department of Local Administration (DLA)
2019-12-10
[12]
뉴스
From Pattani seas to Bangkok plates
https://www.bangkokp[...]
2019-09-02
[13]
뉴스
เมืองที่ไม่มีใครแล
https://www.posttoda[...]
2020-01-01
[14]
뉴스
Isoc power boost 'not political'
https://www.bangkokp[...]
2018-01-08
[15]
웹사이트
สุขสุดใจ 'ปัตตานี' สัมผัสของดีในแดนใต้
https://mgronline.co[...]
2019-01-15
[16]
서적
タイ南部のマレー人:東南アジア漁村民族誌
風響社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