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징 노르가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텐징 노르가이는 1914년경 네팔에서 태어난 셰르파족 출신으로, 에베레스트 산 등반가이다. 1930년대부터 에베레스트 등반에 참여하여 경험을 쌓았으며, 1953년 에드먼드 힐러리와 함께 세계 최초로 에베레스트 산 정상 등정에 성공했다. 그는 히말라야 등산 학교의 현장 훈련 감독관을 지냈으며, 텐징 노르가이 탐험회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텐징은 영국 조지 메달, 네팔 별 훈장, 인도 파드마 부샨 등 여러 훈장을 받았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텐징 노르가이 국립 모험상, 텐징 몬테스, 텐징-힐러리 공항 등의 명칭이 부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산악인 - 앙 리타 셰르파
앙 리타 셰르파는 '설표'라는 별명으로 불린 네팔의 산악인으로, 1987년 네팔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았으며 신부전으로 사망했다.
텐징 노르가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텐징 노르게 셰르파 |
본명 | 남걀 왕디 |
직업 | 산악인, 여행 안내인, 수필가 |
출생일 | 1914년 5월 |
출생지 | 쿰부, 네팔 또는 티베트 체 추 |
사망일 | 1986년 5월 9일 |
사망지 | 다르질링, 서벵골, 인도 |
국적 | 네팔, 인도 |
종교 | 불교 |
배우자 | 다와 푸티 (사별) 앙 라무 (재혼) 닥쿠 (삼혼) |
자녀 | 펨 펨 니마 잠링 노르부 외 3명 |
![]() | |
로마자 표기 | Tenzing Norgay |
티베트어 표기 | བསྟན་འཛིན་ནོར་རྒྱས |
경력 | |
시작 나이 | 19세 |
주요 분야 | 등반가 |
시작 분야 | 포터 |
주요 등반 | 에베레스트산 첫 등반 (1953년 5월) |
파트너 | 에드먼드 힐러리 |
훈장 | |
영국 | 조지 메달 |
네팔 | 네팔의 별 훈장 1등급 |
인도 | Padma Bhushan 훈장 |
2. 어린 시절
텐징은 셰르파족이 초모룽마라고 부르는 에베레스트 산 인근 네팔 쿰부(Khumbu)의 농민 가정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졌다.[7] 그는 소년 시절 카트만두로 두 번 가출했으며, 19세에는 인도 서벵골 주 다르질링의 투 송 부스티(Too Song Bhusti)에 있는 셰르파족 공동체에 정착하여 인도 시민권을 얻었다.[7][19]
2. 1. 출생 및 가족
텐징은 셰르파족 출신으로, 그의 출생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명이 있다. 그는 자서전에서 네팔 북동부 쿰부 지방의 텡보체에서 태어나고 자랐다고 밝혔으나,[7] 1985년 전인도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는 부모가 티베트 출신이지만 자신은 네팔에서 태어났다고 말했다.[8] 후대의 여러 자료, 특히 아들 잠링 텐진 노르가이가 공동 저술한 책 등에서는 그가 티베트 카마 계곡의 체 추에서 태어나 타메에서 자랐다고 설명한다.[9][10][11] 그는 어린 시절을 그 나라 북쪽 근처인 카르타에서 보냈으며, 쿰부의 셰르파 가족을 위해 일하기 위해 어릴 때 네팔로 갔다.[4][12][13][14][15][16] 1990년대 이후에는 실제 출생지는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 내의 체추이지만 정치적인 이유로 비밀에 부쳐졌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쿰부는 에베레스트 산(셰르파족과 티베트인은 '초모룽마'라고 부름) 인근 지역으로, 표준 티베트어로 "성스러운 어머니" 또는 정상의 여신을 의미한다.[17] 텐징은 불교 신자였다.[7]텐징의 정확한 출생일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본인이 기억하는 날씨와 작물 상태로 미루어 5월 말쯤으로 여겨진다. 그는 1953년 5월 29일 에베레스트 산 등정에 성공한 후, 이 날을 자신의 생일로 삼았다. 출생 연도는 티베트력으로 토끼띠 해인 1914년으로 추정된다.[7] 이는 존 헌트가 1953년 당시 텐징의 나이를 39세로 기록하며 "그의 종족 최고의 등반가일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등반가로 자리 잡았다"고 말한 것과 일치한다.
텐징의 본명은 "남걀 왕디"였으나, 어린 시절 랑북 수도원(융포사)의 수장이자 창설자인 응아왕 텐진 노르부의 조언에 따라 이름을 바꾸었다.[18] '텐징 노르가이'라는 이름은 "부유하고 행운이 따르는 종교의 추종자" 또는 "부유하고 행복한 신도"라는 뜻으로 번역된다.
그의 아버지는 티베트의 야크 목동이었던 강 라 밍마(1949년 사망)였고, 어머니는 독모 킨좀이었다. 어머니는 텐징이 에베레스트 산에 오르는 것을 보았다. 텐징은 13명의 자녀 중 11번째였으며, 형제 대부분은 어린 시절에 사망했다.[7]
텐징은 소년 시절 텡보체 수도원에서 잠시 승려가 되려 했으나 자신에게 맞지 않다고 판단하여 떠났고,[20] 카트만두로 두 번 가출했다. 결국 19세에 인도 서벵골 주 다르질링의 투 송 부스티(Too Song Bhusti) 지역에 있는 셰르파족 공동체에 정착하여 인도 시민권을 얻었다.[7][19]
3. 산악 등정 경력
텐징 노르가이는 1930년대부터 에베레스트 산 등반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그는 영국 원정대에 고산 포터로 합류하여 티베트 북쪽 경로를 통해 세 차례 에베레스트 등정을 시도했다.[7] 또한 인도 아대륙의 여러 산을 등반했으며, 특히 난다 데비 서릉 등반을 가장 힘들었던 경험으로 꼽았다. 1940년대 초에는 현재의 파키스탄 지역에서 지내기도 했다.[7]
1947년에는 캐나다인 얼 덴먼 Earl Denman|얼 덴먼영어, 셰르파 앙 다와와 함께 티베트를 통해 에베레스트 등정을 시도했으나, 6700m 지점에서 만난 악천후로 실패하고 돌아왔다.[7] 같은 해, 스위스 원정대에서는 처음으로 사르다르(등반대장) 역할을 맡아 케다르나트 주봉 등정에 기여했다.[22]
1952년에는 스위스 원정대에 두 차례 참여하여 네팔 남쪽 경로를 통한 에베레스트 등반에 나섰다. 봄 원정에서 그는 레이먼드 람베르트 Raymond Lambert|라이몬트 람베르트de와 함께 남동릉을 통해 당시 최고 기록인 해발 8595m (자료에 따라 8600m[24])까지 도달했다.[23][7] 이 등반은 이듬해 성공적인 등정의 발판을 마련했으며, 텐징은 이 원정에서 처음으로 정식 대원으로 인정받고 스위스 대원들과 깊은 우정을 쌓았다.[7] 가을 원정은 악천후로 인해 8100m 지점에서 중단되었다.[7]
1953년, 텐징은 존 헌트가 이끄는 영국 원정대에 합류하여 그의 일곱 번째 에베레스트 도전에 나섰다. 그는 이미 여섯 차례 에베레스트 등반 경험이 있었다. 원정대원 중 한 명인 에드먼드 힐러리가 크레바스에 빠졌을 때 텐징이 재빨리 아이스 액스로 로프를 확보해 구조하면서, 힐러리는 텐징을 최고의 등반 파트너로 신뢰하게 되었다.[25]
헌트 원정대는 362명의 포터, 20명의 셰르파 가이드, 그리고 약 4535.92kg의 짐을 포함하여 총 400명이 넘는 대규모 팀으로 구성되었다.[27] 1953년 3월 베이스 캠프를 설치하고 등반을 시작했으며, 약 7894.32m 높이의 사우스 콜에 최종 캠프를 구축했다. 첫 번째 정상 공격조였던 톰 보르디옹과 찰스 에반스는 산소 장비 문제로 사우스 서밋(정상 약 91m 아래)에서 하산해야 했다.[28] 이후 헌트는 텐징과 힐러리에게 정상 등정을 지시했다.
눈과 바람으로 인해 이틀 동안 사우스 콜에서 발이 묶였던 텐징과 힐러리는 5월 28일, 앙 니마, 앨프레드 그레고리, 조지 로의 지원을 받으며 출발하여 약 8503.92m 지점에 텐트를 설치했다. 다음 날 아침, 힐러리가 얼어붙은 등반화를 녹이는 데 두 시간을 보낸 후, 두 사람은 약 약 13.61kg의 짐을 메고 마지막 등반을 시작했다.[29] 등반 중 가장 어려운 구간은 약 약 12.19m 높이의 수직 암벽인 '힐러리 스텝'이었는데, 힐러리가 바위와 얼음 사이의 틈을 비집고 오르는 길을 찾아냈고 텐징이 뒤따랐다.[30]
마침내 1953년 5월 29일 오전 11시 30분, 텐징 노르가이와 에드먼드 힐러리는 해발 약 8847.73m의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 함께 섰다.[31] 힐러리는 텐징이 정상에서 아이스 액스를 들고 서 있는 유명한 사진을 찍었으나, 텐징은 카메라 사용법을 몰라 힐러리의 등정 사진은 남기지 못했다. 텐징의 자서전에 따르면, 텐징이 사진을 찍어주겠다고 제안했지만 힐러리가 사양했다고 한다.[7][33][34] 그들은 정상에서 약 15분간 머물며 주변 풍경 사진을 찍은 뒤 하산을 시작했다.[35]
등정 성공 후 텐징은 네팔과 인도에서 국민적인 영웅으로 큰 환영을 받았다. 힐러리와 헌트는 영국 여왕으로부터 기사작위를 받았으나,[36] 텐징은 조지 메달을 수여받았다.[18][37] 일부에서는 당시 인도 총리 자와할랄 네루가 텐징의 기사작위 수여를 거부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8] ''내셔널 지오그래픽''은 텐징이 힐러리와 동등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훈장을 받은 것에 대해 수년간 불만이 제기되어 왔다고 지적하기도 했다.[38]
누가 먼저 정상에 발을 디뎠는지에 대한 언론의 질문 공세에 대해, 원정대장 헌트는 "그들은 팀으로서 함께 도달했다"고 강조했다.[39] 텐징은 1955년 출간된 자서전(미국 작가 제임스 램지 울만 대필)에서 "힐러리가 먼저 정상에 발을 디뎠고, 내가 그를 따라 올라갔다"고 밝히며 논란을 마무리 지었다.[7][40] 그는 당시 '첫 번째'나 '두 번째' 순서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으며, 함께 정상에 도달했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했다고 회고했다.
3. 1. 초기 등반 경험 (1930년대 ~ 1940년대)

텐징 노르가이는 20세였던 1935년, 에릭 쉽턴이 이끌던 1935년 영국 에베레스트 정찰 원정대에 참여하며 에베레스트 산 원정에 처음으로 발을 들였다. 당시 다른 두 명의 참가 예정자가 신체검사를 통과하지 못하자, 193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에 참여했던 친구이자 사르다르였던 앙 타르카이의 추천을 받았다. 텐징의 밝은 미소가 쉽턴의 마음에 들어 원정대에 합류하게 되었다.[21]
1930년대 동안 텐징은 티베트 북쪽을 통해 에베레스트 산을 오르려 했던 영국의 공식 원정대에 세 차례 고산 포터로 참여했다.[7] 1936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에서는 존 모리스와 함께 일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인도 아대륙의 여러 다른 등반에도 참여했다. 텐징 자신은 난다 데비 서릉 등반이 가장 힘들었다고 회고했는데, 이 등반에서는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1940년대 초반, 텐징은 당시 인도령이었으나 후에 파키스탄의 일부가 된 치트랄 지역에서 영국군 장교 메이저 채프먼의 집사로 일하며 지냈다. 이 시기에 그의 첫 번째 부인이 세상을 떠나 그곳에 묻혔다.[7] 1947년 인도 분할이 일어나자, 그는 두 딸과 함께 다즐링으로 돌아왔다. 이때 메이저 채프먼이 준 낡은 군복을 입고 있었으며, 기차표 없이 인도를 횡단했지만 별다른 제지를 받지 않았다고 한다.[7]
1947년, 텐징은 캐나다 출신 등반가 얼 덴먼 Earl Denman영어, 셰르파 앙게 다와와 함께 에베레스트 정상 등반을 시도했다. 이들은 등반 허가 없이 티베트로 들어가 등반을 강행했으나, 해발 6700m (약 6705.60m) 지점에서 강한 폭풍을 만나 결국 실패하고 안전하게 돌아왔다.[7] 같은 해, 텐징은 스위스 원정대에 참여하여 처음으로 사르다르 역할을 맡았다. 그는 등반 중 심각한 부상을 입고 추락한 동료 사르다르 왕디 노르부를 구조하는 데 기여했다. 이 원정대는 텐징을 포함한 등반 팀과 함께 서부 가르왈 히말라야에 위치한 케다르나트의 주봉(해발 약 6939.99m)을 성공적으로 등정했다.[22]
3. 2. 1947년 에베레스트 등정 실패
1947년, 텐징 노르가이는 캐나다인 얼 덴먼(Earl Denman영어)과 또 다른 셰르파인 앙 다와와 함께 에베레스트 산 등정을 시도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이들은 등반 허가 없이 티베트로 불법적으로 진입하여 등반을 감행했다. 하지만 해발 약 6700m 지점에서 강한 폭풍을 만나면서 더 이상 나아가지 못했다. 결국 덴먼이 등반 포기를 결정했고, 세 사람 모두 안전하게 귀환할 수 있었다.[7]3. 3. 1952년 스위스 에베레스트 원정
1952년, 텐징은 스위스 원정대에 합류하여 에베레스트 산 남쪽 네팔 방면에서의 등반에 참여했다. 이 해에는 봄과 가을, 두 차례의 스위스 원정이 있었다. 봄 원정은 에두아르 위스-두난(Édouard Wyss-Dunant)이 이끌었으며, 이는 1950년과 1951년의 미국 및 영국 정찰 탐험 이후 에베레스트 남쪽 면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본격적인 등반 시도였다. 이 원정에서 텐징과 레이먼드 람베르트( Raymond Lambert|라이몬트 람베르트de)는 남동 능선을 따라 등반하여 약 8595m 고도에 도달하며 새로운 등반 고도 기록을 세웠다.[23] 5월 28일, 두 사람은 당시 기록적인 높이인 해발 8600m 지점까지 오르는 데 성공했다.[24] 이 원정은 다음 해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가 성공적으로 등정하는 데 바탕이 된 새로운 등반 경로를 개척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 원정을 통해 텐징은 처음으로 정식 원정대원으로 인정받는 영광을 누렸으며("나에게 주어진 가장 큰 영광"), 람베르트를 비롯한 스위스 대원들과 깊은 우정을 쌓게 되었다.[7]가을에는 가브리엘 슈발리(Gabriel Chevalley)가 이끈 두 번째 스위스 원정에 참여했으나, 팀은 악천후를 만나 8100m 고도에서 등반을 중단해야 했다.[7]
4. 1953년 에베레스트 등정 성공
텐징은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에 참가하여, 에드먼드 힐러리와 함께 세계 최초로 에베레스트 산 정상 등정에 성공하였다. 이는 텐징의 일곱 번째 에베레스트 등정 시도였다.[73] 이 성공으로 텐징은 인도와 네팔 양국에서 큰 찬사를 받았으며, 일부 사람들은 그를 부처나 시바의 화신으로 여기며 숭배하기도 했다.[73]
등정 이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힐러리와 원정대장 존 헌트에게 기사작위( Knighthoodeng )를 수여했으나, 텐징에게는 조지 메달( George Medaleng )을 수여했다.[73][18][37] 이러한 서훈의 차이는 이후 여러 해석과 논의를 낳기도 했다.
텐징과 힐러리가 에베레스트 정상에 처음으로 도달한 사람들이라는 것은 명확하지만, 등정 직후부터 언론과 대중은 둘 중 누가 먼저 정상에 발을 디뎠는지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보였다. 원정대장 존 헌트는 "그들은 팀으로서 함께 도착했다"고 발표하며 논란을 일축하려 했다.[39] 텐징 역시 팀워크와 공동의 성공을 강조했으나, 이 질문은 오랫동안 계속되었다. 텐징과 힐러리는 이 역사적인 등정 이후 평생 동안 친구로 지냈다.
4. 1. 등정 과정
텐징은 1930년대에 영국대가 티베트 북쪽 기슭에서 시도한 세 차례의 에베레스트 산 원정에 고산 등반에서 짐을 운반하는 셰르파로 참여했다. 또한 인도 아대륙의 다양한 등산에 참여했으며, 1940년대 초에는 현재 파키스탄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텐징 본인에 따르면, 그가 경험한 가장 어려운 등반은 난다 데비 서릉 등반이었으며, 이 과정에서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고 한다.1947년에는 영국인 아를 덴먼, 셰르파 앙제 다와와 함께 에베레스트 등반에 도전했으나 실패로 끝났다. 이들은 티베트에 밀입국하여 등반에 나섰지만, 해발 6700m 부근에서 강한 폭풍을 만나 등반을 포기하고 귀환해야 했다.
1952년에는 레이먼드 람베르가 이끄는 스위스 등산대의 두 차례 탐험에 동행했다. 이는 에베레스트 남쪽 기슭의 네팔 측에서 본격적으로 시도된 최초의 등반으로, 당시 최고 기록인 해발 8599m까지 도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1953년, 텐징은 존 헌트 경이 이끄는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에 참가했다. 이는 텐징의 일곱 번째 에베레스트 도전이었다. 당시 신문 보도에서는 텐징을 텐싱, 텐징 보티아, 텐징 노르가이, 텐징 노키, 텐징 셰르파, 단 신 등 다양하게 불렀다.[26] 이 원정대에는 에드먼드 힐러리 경도 참여했는데, 그는 등반 중 크레바스에 빠졌으나 텐징이 즉시 아이스 도끼로 로프를 확보하여 추락을 막아냈다. 이 사건을 계기로 힐러리는 텐징을 최고의 등반 파트너로 신뢰하게 되었다.[25]
헌트 원정대는 362명의 짐꾼, 20명의 셰르파 가이드, 약 4535.92kg의 짐을 포함하여 총 400명이 넘는 대규모 인원으로 구성되었으며, 팀의 공동 노력을 통해 등반을 진행했다.[27] 힐러리는 1975년 회고록에서 1953년 3월 5일 카트만두에서 텐징을 처음 만났을 때의 인상을 다음과 같이 적었다.
"나는 텐징 노르가이를 만나고 싶어 안달이었다. 그의 명성은 스위스 원정대와 함께 한 두 번의 위대한 노력 이전에도 매우 인상적이었다 ... 텐징은 정말 그럴 만한 모습이었다. 다른 셰르파보다 덩치가 컸고, 매우 강하고 활동적이었다. 그의 눈부신 미소는 저항할 수 없었고, 그는 우리의 모든 질문과 요청에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참을성이 있었다. 과거의 성공은 그에게 엄청난 신체적 자신감을 주었다. 나는 그때조차도 그가 최종 공격조의 일원이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생각한다 ... 그러나 한 가지 메시지가 매우 긍정적인 방식으로 전달되었다. 텐징은 내가 만났던 어떤 셰르파보다 훨씬 더 큰 개인적인 야망을 가지고 있었다."
원정대는 1953년 3월 베이스 캠프를 설치하고 점차 고도를 높여 약 7894.32m 높이의 사우스 콜에 마지막 캠프를 설치했다. 5월 26일, 톰 보르디옹과 찰스 에반스가 첫 번째 등정조로 나섰으나, 에반스의 산소 장비 고장으로 사우스 서밋(정상에서 수직으로 약 91m 아래 지점)까지만 도달하고 하산해야 했다.[28] 이에 헌트 대장은 텐징과 힐러리에게 정상 등정을 지시했다.
눈보라로 인해 이틀간 사우스 콜에 머물렀던 텐징과 힐러리는 5월 28일, 앙 니마, 앨프레드 그레고리, 조지 로로 구성된 지원조와 함께 출발했다. 텐징과 힐러리는 이날 약 8503.92m 높이에 텐트를 설치했고, 지원조는 하산했다. 다음 날 아침, 힐러리는 밤새 텐트 밖에 둔 부츠가 얼어붙은 것을 발견하고 두 시간 동안 녹여야 했다. 이후 텐징과 힐러리는 각자 약 13.61kg의 짐을 메고 마지막 등반에 나섰다.[29] 등반 막바지에는 높이 약 12.19m의 수직 암벽 구간, 일명 '힐러리 스텝'이 나타났다. 힐러리는 바위와 얼음 사이의 틈새로 몸을 밀어 넣어 오르는 길을 찾아냈고, 텐징이 그 뒤를 따랐다.[30]
이후 비교적 수월하게 나아가, 1953년 5월 29일 오전 11시 30분, 마침내 해발 약 8847.73m의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 도달했다.[31] 힐러리는 "단단한 눈에 아이스 도끼를 몇 번 더 휘두르니 우리가 꼭대기에 서 있었다."라고 당시 상황을 묘사했다.[32]
그들은 정상에서 약 15분간 머물렀다. 힐러리는 텐징이 아이스 도끼를 들고 서 있는 유명한 사진을 찍었으나, 텐징은 카메라 사용법을 몰랐기 때문에 힐러리의 정상 등정 사진은 남지 못했다. 그러나 텐징의 자서전 ''에베레스트의 사나이''(Man of Everesteng)에 따르면, 텐징이 힐러리의 사진을 찍어주겠다고 제안했지만 힐러리가 "어떤 이유에서인지 고개를 저었다. 그는 그것을 원치 않았다."며 거절했다고 한다.[7][33][34] 정상 등정을 증명하기 위해 주변 풍경을 담은 사진들이 추가로 촬영되었다.[35] 하산 시에는 눈이 내려 발자국이 덮이는 바람에 길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며, 따뜻한 수프를 가지고 마중 나온 로와 처음으로 다시 만났다.
등정 성공 후 텐징은 인도와 네팔에서 국민적인 영웅으로 큰 환영을 받았다. 일부 사람들은 그를 붓다나 시바의 화신으로 여기며 숭배하기도 했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힐러리와 원정대장 존 헌트에게 기사작위를 수여했지만,[36] 텐징에게는 조지 메달(George Medaleng)을 수여하는 데 그쳤다.[18][37][73] 일각에서는 당시 인도 총리였던 자와할랄 네루가 텐징의 기사작위 수훈을 거부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8]
"오랜 여정이었다 ... 산의 쿨리, 짐꾼에서 비행기로 옮겨 다니며 메달이 늘어선 코트를 입고 소득세를 걱정하는 사람까지." - 텐징 노르가이[7]
이러한 서훈의 차이에 대해 ''내셔널 지오그래픽''은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38]
"힐러리는 에베레스트 꼭대기에 오른 최초의 사람으로 기사작위를 받았다. 그러나 동시에 정상에 도달한 텐징은 명예 훈장만을 받았다. 그 이후 수년 동안 공식적인 인정을 받지 못한 것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다."
텐징과 힐러리가 최초 등정자라는 사실은 명확했지만, 언론과 대중은 둘 중 누가 먼저 정상에 발을 디뎠는지에 대해 집요하게 질문했다. 원정대장 헌트는 "그들은 팀으로서 함께 도착했다"고 강조하며 논란을 잠재우려 했다.[39] 텐징 역시 팀워크와 공동의 성공을 강조하며 이러한 질문을 일축했다.
결국 텐징은 1955년 발간된 자서전(여러 언어를 구사했지만 읽고 쓰지 못했던 텐징을 대신해 미국 작가 제임스 램지 울만이 대필)에서 힐러리가 먼저 정상에 발을 디뎠다고 밝혔다. 그들은 약 6피트 간격으로 로프에 묶여 있었으며, 텐징은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40]
"정상 바로 아래에서 힐러리와 나는 멈춰 섰다. ... 나는 '첫 번째'와 '두 번째'에 대해 생각하지 않았다. 나는 나 자신에게 저기에 황금 사과가 있다고 말하지 않았다. 나는 힐러리를 밀치고 그것을 향해 달려갈 것이다. 우리는 천천히, 꾸준히 나아갔다. 그리고 우리는 거기에 있었다. 힐러리가 먼저 꼭대기에 발을 디뎠다. 그리고 나는 그를 따라 올라갔다 ... 이제 진실이 밝혀졌다. 그리고 나는 그것에 의해 판단될 준비가 되었다."
텐징은 "에베레스트 산에 두 번째로 올랐다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라면, 나는 앞으로 부끄러운 마음으로 살 것이다"라고 덧붙이며, 팀으로서의 성취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태도를 보였다. 힐러리와 텐징은 이후 평생 친구로 지냈다.
4. 2. 등정의 의의
텐징은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에 참가하여 에드먼드 힐러리와 함께 세계 최초로 에베레스트 산 정상 등정에 성공하였다. 이는 그의 일곱 번째 등정 시도였다.[73] 이 성공으로 텐징은 인도와 네팔에서 큰 찬사를 받았으며, 일부에서는 그를 부처나 시바의 화신으로 여기며 숭배하기도 했다.[73]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이 업적을 기려 힐러리와 원정대장 존 헌트에게 기사작위( Knighthood영어 )를 수여했으나, 텐징에게는 조지 메달( George Medal영어 )을 수여했다.[73][18][37] 이러한 차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인도 총리 자와할랄 네루가 텐징의 기사작위 수여를 거부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고,[18]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에서는 텐징이 힐러리와 동등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의 훈장을 받은 것에 대한 공식적인 인정 부족 문제가 수년간 지적되어 왔다고 보도했다.[38]
텐징과 힐러리가 에베레스트 정상에 처음 도달한 사람들이라는 사실은 명확했지만, 언론과 대중은 둘 중 누가 먼저 정상에 발을 디뎠는지에 대해 지속해서 관심을 보였다.[39] 원정대장 존 헌트는 "그들은 팀으로서 함께 도착했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하며 논란을 잠재우려 했다.[39] 텐징 역시 팀워크와 공동의 성공을 강조하며 이러한 질문들에 개의치 않았으나, 1955년에 출간된 자서전 '에베레스트의 사나이'(Man of Everest)에서 힐러리가 먼저 정상에 발을 디뎠다고 밝혔다.[7][40] 그는 "에베레스트 산에 두 번째로 올랐다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라면, 나는 앞으로 부끄러운 마음으로 살 것이다"라고 덧붙이며, 순서보다는 등정 자체의 의미를 강조했다.[40]
정상에서 찍힌 사진에는 텐징의 모습만 담겨 있는데, 이는 텐징이 카메라 작동법을 몰랐고 정상의 극한 상황에서 이를 배울 여유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힐러리는 설명했다.[7][33][34] 그러나 텐징의 자서전에 따르면, 텐징이 힐러리의 사진을 찍어주겠다고 제안했으나 힐러리가 이를 사양했다고 한다.[7][33][34] 힐러리와 텐징은 이 역사적인 등정 이후 평생 동안 깊은 우정을 나누었다.
4. 3. 누가 먼저 올랐는가?
텐징과 에드먼드 힐러리가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 처음으로 발을 디딘 사람이라는 것은 확실하다.[73] 그러나 등정 직후부터 언론과 대중은 둘 중 누가 먼저 정상에 발을 디뎠는지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며 질문했다.당시 원정대장 존 헌트는 "그들은 팀으로서 함께 도착했다"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했으며,[39] 텐징과 힐러리 역시 초기에는 팀워크를 강조하며 "동시"에 올랐다고 답했다. 텐징은 팀으로서의 단결과 그들이 이룬 성공을 강조하며, 사람들이 제기하는 어떤 의혹에 대해서도 개의치 않았다.
하지만 결국 텐징은 1955년 출간된 자서전 ''에베레스트의 사나이''(Man of Everest영어)에서 에드먼드 힐러리가 자신보다 먼저 정상에 발을 디뎠다고 밝혔다. 이 자서전은 여러 언어를 구사했지만 글을 읽거나 쓰지 못했던 텐징을 대신해 미국 작가 제임스 램지 울만이 대필한 것이다.[7][40] 텐징은 자서전에서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정상 바로 아래에서 힐러리와 나는 멈춰 섰다. ... 나는 '첫 번째'와 '두 번째'에 대해 생각하지 않았다. 나는 나 자신에게 저기에 황금 사과가 있다고 말하지 않았다. 나는 힐러리를 밀치고 그것을 향해 달려갈 것이다. 우리는 천천히, 꾸준히 나아갔다. 그리고 우리는 거기에 있었다. 힐러리가 먼저 꼭대기에 발을 디뎠다. 그리고 나는 그를 따라 올라갔다 ... 이제 진실이 밝혀졌다. 그리고 나는 그것에 의해 판단될 준비가 되었다."[40] 그는 또한 "에베레스트 산에 두 번째로 올랐다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라면, 나는 앞으로 부끄러운 마음으로 살 것이다"라고 덧붙이며, 순서 자체보다는 등정 성공의 의미를 강조했다.
정상에서 찍힌 사진에 텐징만 있다는 점도 흥미로운 일화이다. 에드먼드 힐러리는 텐징이 카메라 작동법을 몰랐고, 에베레스트 정상은 카메라 작동법을 가르칠 만한 장소가 아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7] 그러나 텐징은 자서전에서 자신이 힐러리의 사진을 찍어주겠다고 제안했지만 힐러리가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는 고개를 저었다. 그는 그것을 원치 않았다"라며 거절했다고 다르게 설명했다.[33][34]
이러한 논란과 별개로, 힐러리와 텐징은 평생 친구 관계를 유지했다.
5. 에베레스트 등정 이후
1954년 다르질링에 히말라야 등산 학교가 설립되었을 때 초대 야외 훈련 소장이 되었다. 이후 같은 학교의 현장 훈련 감독관을 지냈다.
1963년에는 일본 외무성의 초청으로 일본을 방문했다. 이때 자신의 이름 발음이 일본어 '덴진'(天神)과 같다는 말을 듣고 기뻐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1964년 2월 2일에는 일본 산악회의 초청으로 다시 일본을 방문했다.
1975년 1월, 부탄 국왕 지그메 싱게 왕추크의 허가를 받아 부탄에 입국이 허가된 최초의 미국인 관광객 그룹의 시르다르(가이드)로 활동했다.[41][42] 이 그룹은 마운틴 트래블(Mountain Travel, 현재 마운틴 트래블-소벡)이라는 회사에 의해 모집되었으며, 트레킹 시작 전 인도에서 노르가이를 처음 만났다. 공식 트레킹은 부탄 북부의 파로에서 시작되었으며, 파로 탁상이라는 고대 불교 사원을 방문한 후 네팔과 시킴을 거쳐 인도로 돌아오는 여정이었다. 노르가이는 그룹을 당시 시킴 왕국의 마지막 왕이었던 팔덴 톤두프 남걀에게 소개하고, 작별 기념 행사를 위해 인도의 자택으로 초대하기도 했다.[42]
1978년에는 히말라야에서 트레킹 및 배낭여행 모험을 제공하는 회사인 텐징 노르가이 어드벤처스(Tenzing Norgay Adventures)를 설립했다.[43] 2003년부터는 1996년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 오른 그의 아들 잠링 텐징 노르가이(Jamling Tenzing Norgay)가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44]
1984년 5월 10일, 텐징 노르가이는 히말라야 등산 학교 교장 A. J. S. Grewal 공군 대령과 함께 카르나타카 주 마이소르의 마이소르 기술 협회 강당에서 열린 모험학교 창립 10주년 기념 행사에 참석했다.
텐징은 1986년 5월 9일 다르질링에서 뇌출혈로 사망했다. 그의 장례식에는 에드먼드 힐러리도 참석하여 오랜 친구를 추모하는 메시지를 관에 담았다.
6. 죽음
텐징은 1986년 5월 9일 인도 서벵골 주 다르질링에서 뇌출혈로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7][58][59] 그의 유해는 그가 오랫동안 실지 훈련 감독으로 활동했던 다르질링의 히말라야 등산 학교에서 화장되었다.[60] 그의 오랜 친구이자 에베레스트를 함께 등정했던 힐러리는 장례식에 참석하여 애도를 표했다.
7. 가족사
텐징은 셰르파족이 초모룽마라고 부르는 에베레스트 산 인근 네팔 쿰부(Khumbu)의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7] 에베레스트 등정 당시부터 오랫동안 그의 고향은 이곳으로 알려졌으나, 1990년대 들어 실제로는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 내의 체추에서 태어났으나 정치적인 이유로 비밀에 부쳐졌다는 주장이 일부에서 제기되기도 했다.
정확한 출생일 기록은 없으나, 본인이 기억하는 날씨와 곡물 상황으로 미루어 5월 말쯤으로 추정된다. 이후 그는 세계 최초 에베레스트 등정일인 5월 29일을 자신의 생일로 삼았다.[55] (이 설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그의 본명은 "남걀 왕디"(Namgyal Wangdi)였으나, 어린 시절 융포사(絨布寺)의 창설자인 응아왕 텐진 노르부(Ngawang Tenzin Norbu) 라마의 권유로 "부유하고 행복한 신도" 또는 "행운"을 의미하는 "텐징 노르가이"로 개명했다.[7] 아버지는 야크 목동이었던 강 라 밍마(Ghang La Mingma, 1949년 사망)였고, 어머니는 독모 킨좀(Dokmo Kinzom, 텐징의 에베레스트 등정 당시 생존)이었다.[7] 그는 13남매 중 11번째였으며, 형제 대부분은 유아 시절에 사망했다.[7]
소년 시절 카트만두로 두 번 가출했으며, 19세에 인도 서벵골 주 다르질링의 투 송 부스티(Too Song Bhusti)에 위치한 셰르파족 공동체에 정착했다.[7]
텐징은 세 번 결혼했다.
다른 친척으로는 1953년 에베레스트 원정대에 함께 참여했던 조카 나왕 곰부(Nawang Gombu)와 톱가이(Topgay)가 있다.[7][55] 손자로는 호주 시드니에 거주하는 타시 텐징(Tashi Tenzing)과 트레이너 손자 텐징, 칼덴(Kalden), 욘덴(Yonden)이 있다.[7][55] 손자 중 배우로 활동하는 텐징 노르가이 트레이너(Tenzing Norgay Trainor)는 ''리브 앤 매디''에 출연했다.[56] 아들 잠링은 아버지의 등반 50주년이 되는 2003년에 에드먼드 힐러리의 아들 피터 힐러리(Peter Hillary)와 함께 에베레스트 산을 등반했다.[55]
텐징 노르가이는 1986년 5월 9일 인도 서벵골 주 다르질링에서 뇌출혈로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7][58][59] 그의 유해는 그가 생전 가장 좋아했던 장소인 다르질링의 히말라야 산악 연구소에서 화장되었다.[60]
8. 서훈 및 수상
1938년, 세 번째 에베레스트 원정을 마친 후, 고산 등반 공로를 인정받아 히말라야 클럽으로부터 타이거 메달을 받았다.[18]
- '''1953년'''
-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조지 메달(George Medal영어)을 받았다.[45][46] 이는 6월 7일 여왕이 노르가이의 업적을 기리고자 한다는 발표 후, 영국 총리실(10번가 다우닝가)이 인도 및 네팔 정부와 협의를 거쳐 7월 1일 수여를 승인한 결과였다. 그는 또한 다른 에베레스트 등반대원들과 함께 엘리자베스 2세 대관식 메달도 받았다.
- 네팔: 트리부반 국왕으로부터 1등급 네팔 별 훈장(Supradipta-Manyabara-Nepal-Tarane)을 받았다.[49]
- '''1959년'''
- 인도: 인도 정부로부터 세 번째로 높은 시민 훈장인 파드마 부샨을 받았다.[50] 또한 인도 산악 연맹으로부터 금메달을 받았다.[51]
- '''1963년'''
- 소련: 3월 1일, 외국인 최초로 소련 공훈 스포츠 마스터 명예 칭호를 받았다.[52]
2013년 5월, 노르가이의 손자 타시 텐징은 할아버지가 조지 메달이 아닌 기사 작위를 받았어야 했다고 생각한다고 밝히기도 했다.[47][48]
'''기념'''
- 2003년, 에베레스트 등정 50주년을 기념하여 인도 정부는 자국의 최고 모험 스포츠 상의 명칭을 텐징 노르가이 국립 모험상으로 변경하여 그를 기렸다.
- 2013년 9월, 네팔 정부는 그를 기리기 위해 네팔에 있는 7916m 높이의 봉우리를 텐징 피크로 명명할 것을 제안했다.[53]
- 2015년 7월, 왜행성 명왕성에서 가장 높은 산맥 중 하나로 알려진 3.4km 높이의 산맥이 텐징 몬테스로 명명되었다.[54]
참조
[1]
웹사이트
A Lofty Legacy
https://www.unh.edu/[...]
University of New Hampshire
2020-03-10
[1]
뉴스
Connected to the Khumbu / Tenzing Norgay's son, Norbu, and Richard Blum exemplify the Bay Area's rich shared history with Mount Everest and its denizens. This month marks 50 years since the mountain's first conquering
https://www.sfgate.c[...]
SFGATE
2003-05-18
[1]
뉴스
Son Of Tenzing Norgay Calls For Better Climbing Benefits For The Sherpa Community
https://www.forbes.c[...]
Forbes
2017-06-15
[1]
뉴스
Sherpa: Norbu Tenzing on the Everest 'circus' and the inevitability of another disaste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6-03-30
[2]
서적
Touching My Father's Soul: In the Footsteps of Sherpa Tenzing
https://books.google[...]
Ebury Press
2002
[3]
웹사이트
Tenzing Norgay and the Sherpas of Everest — Sherpa Tenzing Norgay Nepalese Mountaineer- Information on Tenzing Norgay
https://web.archive.[...]
tenzingasianholidays.com
[4]
뉴스
Secret past of the man who conquered Everest
https://www.theguard[...]
The Observer
2000-12-24
[5]
간행물
The Conquerors HILLARY & TENZING
https://web.archive.[...]
1999-06-14
[6]
간행물
TIME 100 Persons of The Century
http://content.time.[...]
1999-06-06
[7]
문서
Tenzing & Ullman
[8]
Youtube
Tenzing Norgay Sherpa's interview, in Tibetan, with All India Radio, Kurersong, India.
https://www.youtube.[...]
2013-08-27
[9]
서적
Touching My Father's Soul: a Sherpa's Journey to the Top of Everest
HarperSanFrancisco
[10]
서적
Everest : Mountain Without Mercy
https://archive.org/[...]
National Geographic Society
[11]
웹사이트
Leadership
http://www.thamesher[...]
Thames Sherpa Fund
2016-03-01
[12]
ODNB
Tenzing Norgay
[13]
서적
Snow in the Kingdom : my storm years on Everest
Mountain Imagery
2000
[14]
뉴스
The Fortunate Son
http://himalaya.soca[...]
Nepali Times
2003-05-30
[15]
뉴스
Sixty years of the dream conquest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Calcutta
2014-04-06
[16]
뉴스
Honours: Honours for Tenzing
http://www.sherpals.[...]
2014-10-07
[17]
서적
Everest
http://www.netflix.c[...]
1998
[18]
뉴스
Tenzing Norgay [Sherpa Tenzing] (1914–1986)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9]
웹사이트
Tenzing gets a new name
https://timesofindia[...]
The Times of India
2009-03-28
[20]
서적
Life and Death on Mt. Everest: Sherpas and Himalayan Mountaineering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1]
서적
That Untravelled World: An Autobiography
https://books.google[...]
Mountaineers Books
2015-02-24
[22]
서적
Fallen Giants : A History of Himalayan Mountaineering from the Age of Empire to the Age of Extrem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008
[23]
웹사이트
Tenzing Norgay GM
https://web.archive.[...]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24]
웹사이트
The Himalayan Database
http://www.himalayan[...]
n.d.
[25]
뉴스
Sir Edmund Hillary
https://www.telegrap[...]
[26]
문서
Everest 1953
Mountaineers Books
2014
[27]
뉴스
Hillary of New Zealand and Tenzing reach the top | World news
https://www.theguard[...]
[28]
웹사이트
Reaching The Top
https://web.archive.[...]
Royal Geographical Society
[29]
서적
High Adventure: The True Story of the First Ascent of Everest
https://archive.org/[...]
[30]
서적
Ascent: Two Lives Explored – The Autobiographies of Sir Edmund and Peter Hillary
Doubleday
[31]
웹사이트
Environment & Nature News — Everest not as tall as thought – 10/10/2005
http://www.abc.net.a[...]
Abc.net.au
2005-10-10
[32]
웹사이트
NOVA Online | Everest | First to Summit (2)
https://www.pbs.org/[...]
Pbs.org
[33]
뉴스
Asia-Pacific | Obituary: Sir Edmund Hillary
http://news.bbc.co.u[...]
2008-01-11
[34]
문서
Norgay left chocolates in the snow as an offering, and Hillary left a cross that he had been given.
[35]
웹사이트
The Photographs
https://web.archive.[...]
Imagingeverest.rgs.org
1953-05-29
[36]
간행물
London Gazette
1953-06-12
[37]
뉴스
Man of the mountains Tenzing dies
1986-05-10
[38]
웹사이트
Sherpas and the ethics of Everest
https://www.national[...]
NGS
2019-05-17
[39]
뉴스
Sir Edmund Hillary, 88, a conqueror of Everest
https://www.nytimes.[...]
2017-01-18
[40]
문서
Tenzing & Ullman
[41]
웹사이트
Dragonfly Wars: 'Branding Bhutan' — or the story of a 'Trek through Time'
http://keagiles.blog[...]
Keagiles.blogspot.com
2014-02-21
[42]
뉴스
Trek through Time
1982-06-28
[43]
웹사이트
Welcome to the site of Tenzing Norgay Adventures
http://www.tenzing-n[...]
Tenzing-norgay.com
2014-02-21
[44]
웹사이트
Introduction by Tenzing Norgay Adventures – Jamling
http://www.tenzing-n[...]
2021-08-05
[45]
뉴스
George Medal for Tensing — Award Approved by the Queen
1953-07-02
[46]
문서
Hansen (2004): "In Britain the queen gave Tenzing the George Medal, a comparatively obscure but high civilian award for gallantry"
[47]
뉴스
Tenzing 'should have been knighted'
http://www.3news.co.[...]
2013-05-30
[48]
뉴스
Everest anniversary: Tenzing Norgay's grandson calls for 'gesture' from Britain
https://www.theguard[...]
2016-12-16
[49]
웹사이트
Tenzing Norgay photograph
http://www.achieveme[...]
Achievement.org
2014-02-21
[50]
웹사이트
Padma Awards
http://mha.nic.in/si[...]
Ministry of Home Affairs, Government of India
2015-07-21
[51]
웹사이트
Legendary Mountaineers of HMI – Himalayan Mountaineering Institute
https://hmidarjeelin[...]
2022-10-12
[52]
웹사이트
Highest Russian Award for Shri Tenzing Norgay: Soviet Union Honours Everest Hero
https://archive.pib.[...]
Press Information Bureau, Government of India
2022-09-17
[53]
뉴스
Mount Everest: Hillary and Tenzing to have peaks named after them
https://www.theguard[...]
2016-12-16
[54]
웹사이트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 IAU
https://www.iau.org/[...]
2018-03-27
[55]
문서
Tenzing and Barnes
[56]
웹사이트
‘On My Block’ Spinoff ‘Freeridge’ at Netflix Casts Tenzing Norgay Trainor and Peggy Blow
https://variety.com/[...]
2023-11-04
[57]
서적
Touching My Father's Soul: a Sherpa's Journey to the Top of Everest
HarperSanFrancisco
[58]
웹사이트
Tenzing Norgay: Interesting facts about the Mountaineer's Life
http://indiatoday.in[...]
2018-03-27
[59]
간행물
TENZING NORKAY, 72, IS DEAD: CLIMBED EVEREST WITH HILLARY
https://www.nytimes.[...]
2018-10-16
[60]
웹사이트
Daku Norgay
https://www.orlandos[...]
2018-03-27
[61]
뉴스
Prime Minister Inaugurates Golden Jubilee Celebrations of the first assent of Mount Everest
http://pib.nic.in/ar[...]
Press Information Bureau, India
2021-02-01
[61]
뉴스
Vajpayee to inaugurate celebrations marking Everest conquest
https://zeenews.indi[...]
2021-02-01
[62]
웹사이트
Tenzing Norgay — Amar Chitra Katha
http://www.amarchitr[...]
2015-01-04
[63]
서적
The Big Book of Glamour: 200 Secrets for Easier, Quicker and More Dynamic Photography
Amherst Media
2021-04-13
[64]
웹사이트
Intolerable Cruelty (2003) – Deep Focus Review – Movie Reviews, Critical Essays, and Film Analysis
https://deepfocusrev[...]
2021-04-13
[65]
웹사이트
Introducing Tenzing Hillary Airport — Travel Blog
http://www.worldhum.[...]
World Hum
2014-02-21
[66]
웹사이트
Pluto Features Given First Official Names
http://pluto.jhuapl.[...]
NASA
2017-09-25
[67]
웹사이트
(6481) Tenzing = 1950 QK = 1978 UC3 = 1981 SV5 = 1987 DA = 1988 RH2 = 1994 EP2
https://minorplanetc[...]
Minor planet center
2020-03-20
[68]
웹사이트
Knoxville Zoo's Red Panda Cubs Officially Named – City of K...
http://www.knoxville[...]
2018-03-27
[69]
웹사이트
San Francisco Zoo's Adorable New Red Panda Named 'Tenzing'
http://www.nbcbayare[...]
2018-03-27
[70]
웹사이트
Tenzing Norgay's family learns of red panda namesake – Hamilton Zoo
http://hamiltonzoo.c[...]
2018-03-27
[71]
웹사이트
Red pandas now classified as endangered – Hamilton Zoo
http://hamiltonzoo.c[...]
2017-08-31
[72]
웹사이트
Out Story - Team TENZING
https://tenzingnatur[...]
2022-10-10
[73]
문서
영국 연방의 시민권이 없는 사람은 기사 서임 대상이 되지 않는다. 외국인이 영국의 군주에게 기사 서임을 받아 영국의 전통 양식에 따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외국인에게는 텐징과 같이 메달을 주거나 정원에 구애받지 않는 명예 훈장을 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