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구스테무르 우스칼 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구스테무르 우스칼 칸은 1378년부터 1388년까지 북원의 칸으로 재위했다. 그는 원 순제의 아들이자 소종 아유르시리다르의 동생으로 추정되며, 1378년 소종의 사망 후 즉위했다. 재위 기간 동안 명나라와의 전쟁에서 연이은 패배를 겪었고, 1388년 부이르 호 전투에서 패배한 후 툴 강 근처에서 이수데르에게 암살당했다. 그의 사망으로 북원은 혼란에 빠졌고, 몽골 제국은 사실상 붕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42년 출생 -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는 1378년 서방 교회 대분열 시기에 교황 우르바노 6세의 선출에 반대하는 추기경들에 의해 선출되어 아비뇽을 중심으로 교황청을 운영했으나 재정난을 겪고 1394년 사망했다.
  • 1342년 출생 - 정도전
    정도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성리학자로서, 조선 건국에 기여하고 통치 체제를 정비했으며, 《조선경국전》 등을 저술했으나, 왕권 중심의 정치를 견제하다가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이방원에게 살해당했다.
  • 테무르 - 티무르
    티무르는 14세기에 활동한 군사 지도자로서, 칭기즈 칸의 후예는 아니었지만 차가타이 칸국의 혼란을 틈타 권력을 잡고 정복 전쟁을 통해 티무르 왕조를 세웠으며, 군사적 재능과 잔혹함으로 평가받는다.
  • 테무르 - 코케 테무르
    코케 테무르는 원나라 말기 홍건적의 난을 진압하며 세력을 키워 하남왕에 봉해진 무장으로, 차간 테무르의 양자로서 그의 군대를 이어받아 원나라 권력 다툼에 관여했으나 명나라 군에 패하여 북원으로 후퇴 후 병사했으며, 여러 대중 매체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 1388년 사망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 1388년 사망 - 최영
    최영은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쌍성총관부를 수복하는 등 국방을 굳건히 했으며,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공민왕을 보필했으나, 우왕의 요동정벌에 참여했다가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에 의해 처형당한 후 무민이라는 시호를 받은 고려 말기의 대표적인 무신이다.
토구스테무르 우스칼 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토구스테무르 우스칼 칸
원어 표기"몽골어: "
"몽골어: "
"중국어: "
"중국어: "
"중국어: "
"중국어: "
칭호황제
몽골 제국 제17대 황제 (칸)
칸호우스칼 칸 (兀思哈勒汗)
묘호일부 출처에서 익종(益宗)이라고 주장함
통치
즉위1378년 5월
재위 기간1378년 5월 – 1388년 11월
연호선광(宣光): 1378년–1379년
천원(天元): 1379년–1388년
가계
왕조보르지긴 가문
분파북원
아버지우카가투 칸 토곤 테무르
자녀천보노
지보노
생애
출생1342년
사망1388년 11월 18일
사망 장소툴 강, 북원
매장지기련곡, 몽골 고원
기타 정보
후계자조리그투 칸 예수데르

2. 생애

1342년 3월 7일에 태어났으며, 1342년생 설과 1349년생 설이 있다.[11] 혜종 토곤테무르의 넷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바야우트씨이다. 소종의 이복 동생으로, 《몽골원류》에는 1342년생이라 했고, 《황사(黄史)》에 의하면 1349년에 태어나 30세에 대칸위에 올랐다고 하여 서로 출생 기록이 모순된다. 토구스테무르는 몽골어로 '토구스'는 '완벽하다', '테무르'는 '철'을 의미한다.

초기 생애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부황 혜종 시절 익왕(益王)에 봉해졌다. 묘호가 익종으로 알려진 것은 익왕 칭호가 잘못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혜종 재위 기간 중, 형 아유르시리다르는 여러 번 정권 찬탈을 시도했으나, 그는 대외 활동을 자제하며 자신을 드러내지 않았다.

1378년 소종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이 사망하자 유조에 따라 제위에 즉위했다. 당시 소종의 아들들의 행방이 묘연하여 부족장들 사이에 논의가 있었다.[12] 1379년 6월 연호를 "천원"으로 고쳤다. 즉위 초, 명나라는 사절을 보내 소종의 아들 마이다리팔라를 돌려보냈다. 토구스테무르는 카라코룸과 응창부 부근에 군사를 집결시켜 화북 지역 수복을 계획했다.

1380년 명나라 군대가 카라코룸을 침공했으나, 잘라이르부의 나하추 등의 도움으로 물리쳤다. 1381년 허베이 성을 공격했으나 명나라 군대의 반격으로 큰 피해를 보았다.

1381년 12월 명나라 군대가 운남성을 공격, 1382년 1월 6일 운남성이 함락되고 운남을 다스리던 양왕(元梁) 바라바치르미가 자살했다.[1] 1382년 2월 23일 명나라 장군 남옥(藍玉), 목영(沐英)이 대리성(大理城)을 공격, 원나라에서 대리성총관(大理城總管)을 세습하던 단세(段世)가 명나라군에 투항했다.[1] 이로써 운남성, 사천성 일대를 명나라에 빼앗겼다.[1]

1387년 10월 북원나하추명나라 장군 남옥(蓝玉)에게 투항하면서 북원은 든든한 좌익을 잃고 곤경에 빠졌다. 이로 인해 동북 지구는 명나라에 넘어갔다. 우스칼 칸은 부이르 노르(호수)로 가서 고려에 사절을 보내 도움을 요청했으나, 고려와는 이미 관계가 단절된 상태였다.

1387년, 북원에 협력해오던 나하추명나라에 투항하면서 북원은 곤경에 빠졌다. 1388년(천원 10년) 홀룬보이 지방의 부이르 노르에서 명나라 군대의 기습 공격에 대패했다(''부이르 노르 전투''). 이 전투에서 토구스테무르 우스칼 칸의 차남 지보로와 후궁 50여 명[13], 군사 3,000명 등이 명나라에 포로로 끌려갔다.[13] 지보로는 홍무제에 의해 류큐로 유배되었다.[14][15]

1388년 부이르 노르 전투에서 패한 토구스테무르는 카라코룸으로 도망쳤지만, 도중에 아리크부케 계통의 황족 예스델의 습격을 받아 남은 군대마저 거의 궤멸되었다.[16] 토구스테무르는 장남 텐보드(천보노), 지원의 네케레이, 승상 시렘룬 등 겨우 16기(騎)와 함께 간신히 도망쳤지만, 폭설에 막혀 카라코룸에 도착하지 못하고 톨 강에서 예스델의 군대에게 따라잡혀 텐보드와 함께 살해되었다.[16] 이로써 쿠빌라이의 황통은 일단 단절되었다.

토구스 테무르를 살해한 예스델은 조리크투 칸(Joligtü Khan)으로 즉위했지만, 그의 왕통은 오래가지 못하고, 몽골은 긴 혼란기에 접어들게 된다.[17]

토구스테무르 우스칼 칸의 시신은 수습되지 못했다. 청나라는 그의 존호 우스칼을 우사갈 칸(ᠤᠰᠠᠬᠠᠯ ᠬᠠᠭᠠᠨ 烏薩哈爾汗)으로 음역했다가 청 멸망 후 다시 우스칼 칸(兀思哈勒可汗)으로 번역하였다. 1388년 11월 4일 그의 암살 소식이 전해지자, 북원의 일부 장군과 백성들은 명나라로 투항하였다. 1389년 명 태조는 이들을 전녕위와 중국 화북 지역에 살게 하였다. 우스칼 칸이 죽은 뒤 황금씨족은 패권을 잃었고, 이수데르 조리그투 칸이 몽골의 대칸이 되었으나, 사실상 무정부 상태나 다름없었다. 몽골의 상당수 부족들은 황금씨족의 종주권을 인정하지 않고 각자의 지역에서 독립하였다. 후대에 익성영효황제(益聖寧孝皇帝)라는 시호가 추서되었다.[21]

명나라 장군 남옥(藍玉)에게 끌려간 우스칼 칸의 후비 중 한 명이 남옥과 사통한다는 의혹을 받자 자결했고, 지보로는 이를 원망하다가 주원장의 분노를 사 류큐로 유배되어 이후 어떻게 되었는지 알 수 없다.

토구스테무르 우스칼 칸을 시해한 이수데르는 가계가 불분명하다. 일설에는 세조 쿠빌라이 칸의 동생 아리크 부케의 5세손이며, 우스칼 칸의 형인 소종의 사위라고도 알려져 있으나, 계보가 소실되어 명확하지 않다. 일설에는 이수데르가 토구스테무르 우스칼 칸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다. 한편 《신원사》에 따르면 조리그투 칸, 엥크 칸, 엘베그 칸 모두 우스칼 칸의 아들이라고 한다. 1400년부터는 오이라트 부족의 세력이 강해졌으며, 다얀 칸이 즉위하기 전까지 혼란이 계속되었다.

1389년 차가타이 칸의 후손인 우나시리신장 위구르 자치구 동부 하미 일대에서 세력을 키워 카라델 칸국을 세우고 북원에서 분리되었다. 카라델 칸국은 명나라에 조공을 바치고 북원의 영향에서 벗어났다. 우스칼 칸 토구스테무르는 하밀에 남아있던 츄베이의 후손 울루스의 후원자이기도 했다. 또한 오이라트부와 동몽골의 부족들 역시 북원의 종주권을 거부하고 자립하여 독자적인 세력을 만들었다.

2. 1. 즉위 이전

토구스테무르는 1342년 3월 7일에 태어났으며, 1342년생 설과 1349년생 설이 있다.[11] 혜종 토곤테무르의 넷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바야우트씨이다. 소종의 이복 동생이다. 《몽골원류》에는 1342년생이라 했고, 《황사(黄史)》에 의하면 1349년에 태어나 30세에 대칸위에 올랐다고 하여 서로 출생 기록이 모순된다. 토구스테무르는 몽골어로 '토구스'는 '완벽하다', '테무르'는 '철'을 의미한다.

그의 초기 생애는 알려져 있지 않다. 부황 혜종 시절에 익왕(益王)에 봉해졌다. 한때 그의 묘호가 익종으로 알려진 것은 익왕 칭호가 잘못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부황 혜종의 재위 기간 중, 여러 번 정권을 찬탈하려던 형 아유르시리다르와 달리 그는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대외 활동을 자제했다.

2. 2. 재위 기간

1378년 소종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이 사망하자 유조에 따라 제위에 즉위했다. 당시 소종의 아들들의 행방이 묘연하여 부족장들 사이에 논의가 있었다.[12] 1379년 6월 연호를 "천원"으로 고쳤다. 즉위 초, 명나라는 사절을 보내 소종의 아들 마이다리팔라를 돌려보냈다. 토구스테무르는 카라코룸과 응창부 부근에 군사를 집결시켜 화북 지역 수복을 계획했다.

1380년 명나라 군대가 카라코룸을 침공했으나, 잘라이르부의 나하추 등의 도움으로 물리쳤다. 1381년 허베이 성을 공격했으나 명나라 군대의 반격으로 큰 피해를 보았다.

2. 2. 1. 운남성, 서남 지역 상실

1381년 12월 명나라 군대가 운남성을 공격, 1382년 1월 6일 운남성이 함락되고 운남을 다스리던 양왕(元梁) 바라바치르미가 자살했다.[1] 1382년 2월 23일 명나라 장군 남옥(藍玉), 목영(沐英)이 대리성(大理城)을 공격, 원나라에서 대리성총관(大理城總管)을 세습하던 단세(段世)가 명나라군에 투항했다.[1] 이로써 운남성, 사천성 일대를 명나라에 빼앗겼다.[1]

2. 2. 2. 고려와의 관계 단절

1387년 10월 북원나하추명나라 장군 남옥(蓝玉)에게 투항하면서 북원은 든든한 좌익을 잃고 곤경에 빠졌다. 이로 인해 동북 지구는 명나라에 넘어갔다. 우스칼 칸은 부이르 노르(호수)로 가서 고려에 사절을 보내 도움을 요청했다.

2. 2. 3. 명나라와의 전쟁에서의 패배

1387년, 북원에 협력해오던 나하추명나라에 투항하면서 북원은 곤경에 빠졌다. 1388년(천원 10년) 홀룬보이 지방의 부이르 노르에서 명나라 군대의 기습 공격에 대패했다(''부이르 노르 전투''). 이 전투에서 토구스테무르 우스칼 칸의 차남 지보로와 후궁 50여 명[13], 군사 3,000명 등이 명나라에 포로로 끌려갔다.[13] 지보로는 홍무제에 의해 류큐로 유배되었다.[14][15]

2. 3. 암살과 최후

1388년(천원 10년) 부이르 노르 전투에서 패한 토구스테무르는 수도 카라코룸으로 도망쳤지만, 도중에 아리크부케 계통의 황족 예스델의 습격을 받아 남은 군대마저 거의 궤멸되었다.[16] 토구스테무르는 장남 텐보드(천보노), 지원의 네케레이, 승상 시렘룬 등 겨우 16기(騎)와 함께 간신히 도망쳤지만, 폭설에 막혀 카라코룸에 도착하지 못하고 톨 강에서 예스델의 군대에게 따라잡혀 텐보드와 함께 살해되었다.[16] 이로써 쿠빌라이의 황통은 일단 단절되었다.

토구스 테무르를 살해한 예스델은 조리크투 칸(Joligtü Khan)으로 즉위했지만, 그의 왕통은 오래가지 못하고, 몽골은 긴 혼란기에 접어들게 된다.[17]

2. 4. 사후

토구스테무르 우스칼 칸의 시신은 어떻게 되었는지 알려진 바가 없다. 청나라는 그의 존호 우스칼을 우사갈 칸(ᠤᠰᠠᠬᠠᠯ ᠬᠠᠭᠠᠨ 烏薩哈爾汗)으로 음역했다가 청 멸망 후 다시 우스칼 칸(兀思哈勒可汗)으로 번역하였다. 1388년 11월 4일 토구스테무르 칸이 암살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북원의 일부 장군과 백성들은 명나라로 투항하였다. 1389년 명 태조는 이들을 전녕위와 중국 화북 지역에 살게 하였다. 우스칼 칸이 죽은 뒤 황금씨족은 패권을 잃었고, 이수데르 조리그투 칸이 몽골의 대칸이 되었으나, 사실상 무정부 상태나 다름없었다. 몽골의 상당수 부족들은 황금씨족의 종주권을 인정하지 않고 각자의 지역에서 독립하였다. 후대에 익성영효황제(益聖寧孝皇帝)라는 시호가 추서되었다.[21]

명나라 장군 남옥(藍玉)에게 끌려간 우스칼 칸의 후비 중 한 명이 남옥과 사통한다는 의혹을 받자 자결했고, 지보로는 이를 원망하다가 주원장의 분노를 사 류큐로 유배되어 이후 어떻게 되었는지 알 수 없다.

토구스테무르 우스칼 칸을 시해한 이수데르는 가계가 불분명하다. 일설에는 세조 쿠빌라이 칸의 동생 아리크 부케의 5세손이며, 우스칼 칸의 형인 소종의 사위라고도 알려져 있으나, 계보가 소실되어 명확하지 않다. 일설에는 이수데르가 토구스테무르 우스칼 칸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다. 한편 《신원사》에 따르면 조리그투 칸, 엥크 칸, 엘베그 칸 모두 우스칼 칸의 아들이라고 한다. 1400년부터는 오이라트 부족의 세력이 강해졌으며, 다얀 칸이 즉위하기 전까지 혼란이 계속되었다.

1389년 차가타이 칸의 후손인 우나시리신장 위구르 자치구 동부 하미 일대에서 세력을 키워 카라델 칸국을 세우고 북원에서 분리되었다. 카라델 칸국은 명나라에 조공을 바치고 북원의 영향에서 벗어났다. 우스칼 칸 토구스테무르는 하밀에 남아있던 츄베이의 후손 울루스의 후원자이기도 했다. 또한 오이라트부와 동몽골의 부족들 역시 북원의 종주권을 거부하고 자립하여 독자적인 세력을 만들었다.

3. 가계

항목내용
아버지원 순제
어머니미상
황후미상
장남황태자 천보노
차남황자 지보노



천보로와 지보로 외에도 2명의 자녀가 더 있었다고 하나, 아들, 딸의 여부는 불분명하다. 하라크친 역시 그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다.[22]

4. 연호

연호기간
천원1379년 ~ 1388년


참조

[1] 서적 細說元朝 傳記文學出版社 1981
[2] 서적 《中國蒙古史學會論文選集(1981)》 https://books.google[...] [[內蒙古人民出版社]] 1986
[3] 서적 《中國歷史大辭典: A-J》 https://books.google[...] [[上海辭書出版社]] 2007-08-01
[4] 문서 Chinggis bogdoos Ligden khutaghtu hurtel (khaad)
[5] 서적 中國歷史大辞典: A-J 上海辞书出版社
[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7] 서적 《北虏始末志》
[8] 문서 Mongol ulsyin tuuh
[9] 서적 The Mongol empire and its legacy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Wikisource 明史/卷327
[15] Wikisource 球陽記事/卷之一
[16] 문서
[17] 문서
[18] 서적 The Mongol empire and its legacy
[19] 문서
[20] 문서
[21] 서적 The Mongol Empire and Its Legacy Brill
[2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