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벌은 특정 대상에 대한 처벌이나 억압을 목적으로 하는 군사적 행동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다양한 국가와 시기에 걸쳐 징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대에는 아케메네스 제국, 로마, 악숨 왕국 등에서 토벌이 이루어졌으며, 중세에는 칭기즈 칸과 쿠빌라이 칸이 몽골 제국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토벌을 활용했다. 근대에 들어서 스페인, 영국, 프랑스, 미국 등 열강들이 식민지 개척, 자국민 보호, 외교적 문제 해결 등을 명분으로 토벌을 감행했다. 특히 19세기와 20세기에는 아편 전쟁, 프랑스, 조선 원정, 베닌 원정, 의화단 운동 진압, 판초 비야 원정, 1965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중월 전쟁,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다양한 사례가 존재한다.

일본에서도 간토 평정, 오다와라 정벌, 기슈 정벌, 규슈 정벌, 조선 정벌 등 다양한 토벌 사례가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벌 - 남한 대토벌 작전
    남한 대토벌 작전은 1909년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 군대 해산 이후 항일 의병 투쟁을 진압하기 위해 전라남도 지역에서 실시한 3단계 초토화 작전이다.
  • 토벌 - 1986년 미국의 리비아 공습
    1986년 미국의 리비아 공습은 서베를린 미군 디스코텍 폭탄 테러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이 리비아의 군사 시설과 카다피 거주지를 공격한 사건으로, 민간인 피해와 국제적 비난을 야기했으며 미국과 리비아 간 긴장 고조와 테러와의 전쟁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 형벌학 - 사형
    사형은 국가가 범죄자에게 내리는 가장 오래된 최고 형벌로, 존폐 여부와 집행 방법을 둘러싸고 범죄 예방 효과, 사법 오류 가능성, 인권 침해 등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형벌학 - 사형 집행인
    사형 집행인은 영장에 따라 사형을 집행하는 사람으로, 사형 방법에 따라 교수형 집행인이나 참수 집행인 등으로 불리며, 문화권에 따라 사회적 인식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토벌
개요
유형군사 작전
목적특정 국가 또는 집단에 대한 처벌, 보복, 위협
특징일방적인 무력 사용
목표 대상에 대한 불균형적인 공격
정치적, 경제적 목적 달성 수단
역사적 맥락
어원'징벌(Punitive)'과 '원정(Expedition)'의 결합
배경제국주의 시대 식민지 확장 및 유지
현대 국제 관계에서의 강대국의 영향력 행사
법적, 윤리적 문제
국제법자위권 행사 기준의 모호성
비례성의 원칙 위반 가능성
인도주의적 개입과의 구별 필요
윤리적 논쟁민간인 피해 발생 가능성
침략 행위와의 유사성
정의로운 전쟁론과의 관계
정치적 의미
프로파간다공권력을 배경으로 정치적 적대 세력에 대한 무력 행사를 정당화하는 수단
목적정복보다는 정적 및 정부의 적을 처벌하는 데 중점
관련 개념
관련 개념침략
보복
군사 개입
제재

2. 역사적 사례

역사적으로 '토벌'은 특정 세력에 대한 응징이나 반란 진압을 위한 군사 행동을 의미한다. 다양한 시대와 지역에서 이러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 1784년, 덴마크 골드 코스트와 현지 동맹국들은 안로 에웨를 상대로 짧은 원정을 수행했는데, 이는 소위 사그바드레 전쟁이라고 불린다.
  • 일본의 경우, 3세기 삼한 정벌을 시작으로, 고대부터 14세기까지 에조 정벌이 여러 차례 있었다.
  • 1189년 가마쿠라 막부는 오슈 정벌(오슈 합전)을 단행했다.
  • 1590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오슈 시치를 단행했다.
  • 야마토 타케루와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의 동정, 1333년 가마쿠라 막부 타도(당시 "가마쿠라 막부"라는 용어는 없었음) 역시 동이 정벌로 볼 수 있다.
  • 간토 정벌은 야마토 타케루의 동정, 고다이고 천황의 호령, 아시카가 요시노리와 아시카가 모치우지의 대립으로 인한 에이쿄의 난 등 다양한 사례가 있다. 1560-1569년 우에스기 겐신의 간토 원정, 도요토미 히데요시오다와라 정벌(오다와라 합전)도 이에 해당한다. 에도 시대 하기번모리 가문의 신년 의례 인사도 간토 정벌과 관련이 있다.
  • 1577년 기슈 정벌(기슈 공격)은 오다 노부나가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각각 단행했다.
  • 1582년 고슈 정벌은 다케다 정벌(다케다 공격)이라고도 한다.
  • 1585년 시코쿠 정벌(시코쿠 공격)이 있었다.
  • 1585년 엣추 정벌(도야마의 역)은 사사 나리마사에 대한 정벌이었다.
  • 1585년 우에다 정벌(우에다 합전)은 사나다 정벌(우에다성 전투)이라고도 하며, 1차(1585년)와 2차(1600년)가 있었다.
  • 1587년 규슈 정벌(시마즈 정벌, 규슈 평정)이 있었다.
  • 1590년 오다와라 정벌(호조 정벌, 오다와라 합전)이 있었다.
  • 1591-98년 임진왜란·정유재란은 조선 정벌(조선 출병)이라고도 하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을 의미한다.
  • 1600년 아이즈 정벌(우에스기 정벌, 아이즈 공격)이 있었다.
  • 1609년 류큐 정벌(사쓰마번류큐 침공)이 있었다.
  • 평충상의 난과 다이라노 마사카도의 난 때에도 조정은 추토사를 임명하거나 포고를 내렸다.
  • 지쇼·주에이의 난 때 야스다 요시사다가 추토사로 임명되었다(1183년).

2. 1. 고대 및 중세


  • 기원전 5세기에 아케메네스 제국이오니아 반란에 관여한 일부 그리스 도시 국가들을 처벌하기 위해 고대 그리스에 일련의 원정을 시작했다.
  • 서기 1세기 초, 게르마니쿠스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에서 파괴된 로마 군단의 보복으로 게르만 부족을 상대로 징벌 원정을 벌였다.
  • 518년, 악숨 왕국의 네구스 칼레브는 히미아르 유대인들의 기독교 박해에 대한 대응으로 히미아르 왕국에 대한 징벌 원정을 파견했다.
  • 13세기에 몽골 제국의 창시자 칭기즈 칸은 종종 징벌 원정을 수행했는데, 이는 구실일 수도 있고 자신의 통치에 대한 반란을 진압하기 위한 것이었다. 주목할 만한 예로는 호라즘 침공과 서하 왕국에 대한 원정이 있다.
  • 13세기에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원나라의 창시자인 쿠빌라이 칸자바의 싱가사리 왕국에 조공을 요구하는 사절을 보냈다. 싱가사리 왕국의 통치자 케르타나가라는 조공을 거부하고 중국 사신 멍치를 얼굴에 문신으로 새겼다. 쿠빌라이 칸이 보낸 징벌 원정대는 1293년 자바 해안에 도착했다. 케디리 왕국의 반군 자야카트왕은 그 당시 케르타나가라를 살해했다. 몽골군은 자야카트왕에 대항하여 마자파힛의 라덴 비자야와 동맹을 맺었고, 싱가사리 왕국이 파괴된 후 비자야는 몽골군을 배신하여 혼란 속에 철수하도록 강요했다.
  • 1599년, 스페인 정복자 후안 데 오냐테는 조카 비센테 데 살디바르에게 아코마 푸에블로의 케레스족 원주민을 상대로 징벌 원정을 벌이도록 명령했다. 스페인군이 도착했을 때 그들은 케레스족과 3일간의 전투를 벌여 약 800명의 남녀와 어린이가 사망했다.
  • 80년 전쟁 동안 스페인 제독 루이스 파하르도는 1605년 함대를 이끌고 카리브해로 성공적인 습격을 감행했다. 그는 스페인에서 베네수엘라 해안의 아라야로 항해하여 그 지역을 막고 불법적으로 소금을 채취하던 밀수업자와 네덜란드 사략선을 학살했다.
  • 제1차 잉글랜드-포우하탄 전쟁 (1610–1614) 동안, 영국의 귀족인 토마스 웨스트, 제3대 드 라 워 남작 (1577–1618)은 버지니아 식민지의 초대 왕실 총독으로 임명되어 포우하탄에 대항하여 식민지를 방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드 라 워 경은 포우하탄이 식민지의 의회 의장인 존 래트클리프를 살해한 후 포우하탄을 제압하기 위해 징벌 원정을 벌였다.
  • 1614년 여름, 다마트 할릴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군은 트리폴리의 반군인 세페르 다일을 상대로 성공적인 징벌 원정을 벌였다.

2. 2. 근대

1816년 영국-네덜란드 함대가 알제 공습을 통해 백인 노예 석방을 요구하는 최후 통첩을 지원함


프랑스 해군이 과자 전쟁 (1838) 중 베라크루스를 급습 (멕시코)

  • 1838년부터 1842년까지 미국 탐험대는 태평양 섬 주민들을 상대로 세 차례 징벌 원정을 벌였다.
  • 제1차 아편 전쟁 (1839–1842)은 임칙서의 아편 제품 소각에 대한 보복으로, 여러 항구 개방, 홍콩의 영국 할양, 난징 조약으로 이어졌다.
  • 1842년 아이보리 코스트 원정은 매튜 C. 페리가 서아프리카의 베레비족을 상대로 이끈 것으로, 아메리카 상선에 대한 두 차례의 공격에 대한 보복이었다.
  • 1842년 카불 전투는 16,000명이 사망한 카불 철수 이후 영국군이 아프간을 상대로 수행한 것이다.
  • 1866년 프랑스 원정은 조선에서 선교 활동을 하던 프랑스 신부들을 처형한 것에 대한 대응이었다.
  • 1867년 포르모사 원정은 미국의 실패한 대만 징벌 작전이었다.
  • 1868년 영국 에티오피아 원정은 테오드로스 2세 황제가 군사 지원 요청에 영국 정부가 응할 것을 강요하기 위해 여러 선교사와 영국 정부 대표 두 명을 감금한 것에 대한 구출 임무이자 징벌 원정이었다. 원정대 사령관 로버트 네이피어 경은 테오드로스 군대와의 모든 전투에서 승리했고, 에티오피아 수도를 점령했으며, 모든 인질을 구출했다.
  • 1871년 미국, 조선 원정은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가 평양에 진입하다 불탄 사건에 대한 보복이었다.
  • 1874년 일본의 대만 원정.
  • 1897년 베닌 원정은 베닌 왕국의 병합으로 이어진 영국의 징벌 조치였다. ''뉴욕 타임스''는 1897년 1월 13일 "베닌 시 원정 살인자들을 처벌하기 위해" "징벌 원정"이 구성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 8개국 연합군의 1900년 중국 침공은 의화단 운동 중 국제 공사관 포위전에 대한 대응이었다.
  • 1903년 12월-1904년 9월 영국 티베트 원정. 영국령 인도군이 티베트 국경 위원회의 후원으로 수행한 일시적인 침략으로, 외교 관계 수립 및 티베트와 시킴 간의 국경 분쟁 해결을 위한 것이었다.
  • 1916년부터 1917년까지 존 J. 퍼싱 장군이 이끈 판초 비야 원정은 판초 비야의 미국 침공에 대한 보복이었다.
  • 1864년 조슈 정벌 (조슈 정벌)은 조슈 전쟁, 막장 전쟁, 정장의 역, 조슈의 역으로 불렸다.

2. 3. 현대


  • 1838년부터 1842년까지 미국 탐험대는 태평양 섬 주민들을 상대로 세 차례의 토벌 작전을 벌였다.
  • 제1차 아편 전쟁 (1839–1842)은 임칙서가 아편을 소각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여러 항구 개방, 홍콩의 영국 할양, 난징 조약으로 이어졌다.
  • 1842년 아이보리 코스트 원정은 매튜 C. 페리가 서아프리카의 베레비족을 상대로 이끌었다.
  • 1842년 카불 전투는 카불 철수 이후 영국군이 아프간을 상대로 수행했다.
  • 1866년 프랑스 원정은 조선이 프랑스 신부들을 처형한 것에 대한 대응이었다.
  • 1867년 포르모사 원정은 미국의 실패한 대만 토벌 작전이었다.
  • 1868년 영국 에티오피아 원정은 테오드로스 2세 황제에 대한 구출 임무이자 토벌 원정이었다. 로버트 네이피어 경은 에티오피아 수도를 점령하고 모든 인질을 구출했다.
  • 1871년 미국, 조선 원정은 제너럴 셔먼호 사건에 대한 보복이었다.
  • 1874년 일본의 대만 원정.
  • 1897년 베닌 원정은 베닌 왕국의 병합으로 이어진 영국의 징벌 조치였다.
  • 1900년 8개국 연합군의 중국 침공은 의화단 운동 중 국제 공사관 포위전에 대한 대응이었다.
  • 1903년 12월-1904년 9월 영국 티베트 원정은 영국령 인도군이 수행한 일시적인 침략이었다.
  • 헤레로와 나마 학살은 독일 제국에 의한 독일령 남서아프리카에서 발생했다.
  • 제1차 세계 대전 중 아시아고 전투는 Strafexpeditionde (징벌 원정)이라고 불렸는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이탈리아 왕국을 상대로 시작한 반격 작전이었다.
  • 1916년부터 1917년까지 판초 비야의 미국 침공에 대한 보복으로 존 J. 퍼싱 장군이 이끈 판초 비야 원정이 있었다.
  • 영국 메소포타미아 위임통치령에 대한 1920년 이라크 반란 진압.
  •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독일 Einsatzgruppende은 폴란드와 소련의 민간인 대량 학살에 관여했다.
  • 1965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동안, 인도가 국경을 넘어 파키스탄으로 진격했다.
  • 1979년 중국의 베트남 침공은 덩샤오핑에 의해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에 대한 징벌 행위로 규정되었다.
  • 1988년 프레잉 맨티스 작전미국 해군에 의한 이란 이슬람 공화국 해군의 작전 선박 절반 파괴.
  • 2016년 인도-파키스탄 군사적 대치는 인도가 수행한 징벌적인 "외과 수술"로 시작되었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징벌 원정으로 묘사되었다.
  • 2023년 하마스 주도의 이스라엘 공격 이후 이스라엘의 2024년 가자 지구 침공은 징벌 원정으로 명명되었다.

3. 일본의 징벌 사례

참조

[1] 간행물 In Defence of the Coast (I) - The Bastioned Towers http://www.militarya[...] 2015-12-21
[2] 뉴스 A Victory for the Chinese; Japanese Driven with Heavy Loss from Ping-yang https://query.nytime[...] 1894-08-22
[3] 뉴스 To Punish the Murderers; Great Britain Will Send Another Expedition to Benin City https://query.nytime[...] 1897-01-13
[4] 뉴스 Assure Pershing of Co-operation; Gen. Herrera and Staff Greet Villa's Pursuers After 100-Mile Ride in Desert https://query.nytime[...] 1916-04-14
[5] 뉴스 Cowboys and Indians https://www.nytimes.[...] 2005-05-24
[6] 뉴스 China is treading on dangerous ground http://blogs.telegra[...] 2010-11-24
[7] 웹사이트 Does Ukraine Spell the Death of the Operational-Level Offense? https://smallwarsjou[...] 2022-05-25
[8] 웹사이트 Putin's War Is an Existential Crisis for the United Nations https://foreignpolic[...] 2022-05-25
[9] 웹사이트 Russia Could Still Salvage Victory in Ukraine https://www.wsj.com/[...] 2022-05-25
[10] 웹사이트 Gaza-Israel: The Legal and the Military View https://www.gresham.[...] Gresham College 2024-08-08
[11] 논문 歴史用語と歴史教育 歴史学研究 第628号 1992-01
[12] 서적 豊臣平和令と戦国社会 東京大学出版会 1985-05
[13] 서적 日本中世史研究事典 東京堂出版 1995
[14] 논문 壬辰倭乱の歴史的意味-壬辰倭乱に対する韓・日両国の歴史認識- http://www.jkcf.or.j[...] 日韓歴史共同研究報告書 2005
[15] 서적 上泉信綱伝新陰流軍学「訓閲集」 スキージャーナル株式会社 2008
[16] 서적 古事記の植物 文芸社
[17] 서적 太平記
[18] 서적 大名列伝 人物往来社
[19] 서적 日本戦史 九州役 参謀本部 1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