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특성이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특성이론은 개인의 성격을 설명하고 측정하려는 심리학적 접근 방식이다. 고든 올포트가 특성 연구의 선구자였으며, 이후 레이몬드 카텔의 16가지 성격요인 설문, 한스 아이센크의 3요인 모델(EPQ), 5가지 성격 특성 요소(Big Five) 등 다양한 이론과 척도가 개발되었다. 아이센크의 3요인 모델은 신경성, 외향성, 정신병적 경향을, 5요인 모델은 신경증,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을 주요 요인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특성들은 뇌의 특정 영역과 관련되며, 문화적 차이와도 연관되어 연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격 이론 - 인성 교육
    인성 교육은 개인과 사회에 긍정적인 가치 함양을 목표로 하는 다학제적 노력으로, 학교 프로그램, 역사, 인성 이해, 과학적 접근 등 다양한 측면을 가지나, 효과성 논란, 획일적 가치 주입, 이념적 편향성 등의 문제점도 내포한다.
  • 성격 이론 - 본성 대 양육
    본성 대 양육 논쟁은 인간의 행동과 발달에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중 무엇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루는 오랜 논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으며 현대에는 이 두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인간의 특성을 형성한다는 인식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성이론
개요
분야성격심리학
정의인간 성격 연구에 대한 접근 방식
역사
기원1920년대 골턴 올포트의 연구
헨리 머레이
주요 개념
특징개인의 행동, 사고, 감정을 일관되게 나타내는 지속적인 경향성
특질 종류공통 특질
고유 특질
기질 특질
습관
태도
주요 학자
학자골턴 올포트
레이먼드 카텔
한스 아이젱크
로버트 매크레이
폴 코스타
워렌 노먼
진 트웽지
주요 이론
이론5요인 모형
16PF 설문
아이젱크 성격 설문지
3요인 모형
비판
내용상황적 요인을 간과
문화적 편향 가능성
자기 보고식 측정의 한계
응용
분야인사 관리
조직 심리학
마케팅
임상 심리학
교육

2. 역사

고든 올포트는 특성 연구의 초기 선구자이며, 그의 연구는 현대 심리학에서 성격 연구의 시작으로 여겨진다.[125] 올포트는 특성을 기질(disposition)이라고 칭하며, 주요 특성(cardinal traits), 중심 특성(central traits), 부차 특성(secondary traits)으로 분류하였다. 주요 특성은 행동을 지배하고 형성하는 열정이나 강박관념이고, 중심 특성은 모든 사람에게 어느 정도 보이는 정직과 같은 특성이며, 부차 특성은 친한 사람만 아는 호불호와 같이 특정 환경에서만 보이는 기질이다.[126]

이후 다양한 대체 이론과 척도들이 개발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다양한 성격 특성 이론 및 척도' 하위 섹션 참조)

2. 1. 다양한 성격 특성 이론 및 척도

고든 올포트는 특성 연구의 초기 선구자였으며, 그의 연구는 현대 심리학의 성격 연구의 시작으로 여겨진다.[125] 그는 특성을 기질(disposition)이라고 칭했다. 그는 주요 특성(cardinal traits)은 행동을 지배하고 형성하는 열정이나 강박이라고 보았다. 중심 특성(central traits)은 모든 사람에게 어느 정도 보이는 특성인 정직과 같은 것이며, 부차 특성(secondary traits)은 친한 사람만 아는 호불호와 같이 특정 환경에서만 보이는 기질이다.[126]

이후 다양한 성격 특성 이론 및 척도들이 개발되었다.

  • 레이몬드 카텔의 16가지 성격요인 설문(Raymond Cattell's 16PF Questionnaire)
  • J.P.길포드의 지성 구조(J. P. Guilford's Structure of Intellect)
  • 헨리 머레이의 머레이 욕구 체계(Henry Murray's system of needs)
  • 티모시 리어리의 대인관계원형모형(Timothy Leary's Interpersonal circumplex)
  •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yers–Briggs Type Indicator)
  • 제프리 엘런 그레이의 생물심리학 성격 이론(Jeffrey Alan Gray's biopsychological theory of personality)
  • 아이센크 성격 검사(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EPQ) 혹은 세 요인 모델(the three-factor model) : 한스 아이센크는 요인분석을 통해 성격이 신경성(neuroticism), 외향성(extraversion), 정신질환성(psychoticism)의 세 가지 주요 특성으로 축약된다고 하였다.[127][128]
  • 5가지 성격 특성 요소(Big Five personality traits), 혹은 다섯 요인 모델(the five-factor model) : 최근에는 신경성(neuroticism), 외향성(extraversion), 경험에 대한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 친화성(agreeableness), 성실성(conscientiousness)의 다섯 가지 요인이면 충분하다고 본다.[129][130]
  • TCI(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기질 및 성격 검사지

3. 주요 성격 특성 모델

한스 아이젠크의 3요인 모델과 5가지 성격 특성 요소(Big Five) 모델은 주요 성격 특성 모델로 꼽힌다. 아이젠크는 요인분석을 통해 성격이 신경증, 외향성, 정신병적 경향의 세 가지 주요 특성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 반면,[127][128] 5요인 모델은 신경증,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의 다섯 가지 요인으로 성격을 설명한다.[129][130]

두 모델 모두 외향성과 신경증을 공통적으로 포함한다. 외향성은 사교성 및 긍정적인 정서와 관련이 있으며, 신경증은 정서적 불안정 및 부정적 정서와 관련이 있다.[16] 정신병적 경향은 아이젠크의 3요인 모델에만 존재하는 특성으로, 5요인 성격 특성 요소(5요인 모델)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3. 1. 아이젠크 성격 검사 (EPQ) - 3요인 모델

요인분석을 통해 한스 아이젠크는 성격이 신경증, 외향성, 정신병적 경향의 세 가지 주요 특성으로 축약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127][128]

  • 신경증(Neuroticism): 정서적 불안정 및 부정적 정서와 관련이 있으며, 신경증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수면 장애나 정신 신체 장애에 더 취약하다.[14]
  • 외향성(Extraversion): 사교성 및 긍정적인 정서와 관련이 있다. 아이젠크는 외향적인 사람은 피질 각성 수준이 낮고, 내향적인 사람은 높은 수준을 보여 외향적인 사람이 더 많은 자극을 추구한다고 주장했다.[18]
  • 정신병적 경향(Psychoticism): 5요인 성격 특성 요소(5요인 모델)에는 포함되지 않는 특성이다. 점수가 높은 경우는 드물지만, 반사회성 인격 장애 및 분열성 성격 장애와 같은 정신과적 상태와 상당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16] 아이젠크는 정신병적 경향성이 테스토스테론 수치와 관련이 있으며, 처음에는 세로토닌계의 역기능이라고 제안했지만, 나중에는 도파민계와 연관시켰다.[20][21]


아이젠크는 이러한 성격 특성들이 뇌의 특정 영역과 관련되어 있으며, 유전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다.[17] 그는 3요인 모델에서 뇌의 망상체와 변연계를 각각 피질 각성과 정서적 반응을 조절하는 핵심 요소로 지목했다.

3. 2. 5가지 성격 특성 요소 (Big Five) - 5요인 모델

5가지 성격 특성 요소(Big Five personality traits)는 현대 심리학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모델로, 신경증(neuroticism), 외향성(extraversion), 경험에 대한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 친화성(agreeableness), 성실성(conscientiousness)의 다섯 가지 요인으로 성격을 설명한다.[129][130] 5요인 모델은 미래의 정신 질환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5]

5가지 성격 특성 요소한스 아이젠크의 아이센크 성격 검사(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EPQ) 3요인 모델(the three-factor model)과 다르게 정신병적 경향(psychoticism) 특성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3. 3. EPQ와 Big Five 비교

아이센크 성격 검사(EPQ)와 5가지 성격 특성 요소(Big Five)는 모두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성격의 계층적 분류 체계를 구성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두 모델에서 외향성과 신경증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상위 요인이다. 외향성은 사교성 및 긍정적인 정서와 관련이 있으며, 신경증은 정서적 불안정 및 부정적 정서와 관련이 있다.[16]

정신병적 경향은 EPQ에만 존재하는 특징이다. 5요인 모델에는 정신병적 경향이 포함되지 않으며, 이 점이 두 모델을 구분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정신병적 경향은 정규 분포 곡선에 잘 맞지 않고, 높은 점수를 받는 경우가 드물어 정규 분포를 왜곡시킨다.[16] 그러나 높은 점수는 반사회성 인격 장애 및 분열성 인격 장애와 같은 정신 질환과 관련성을 보인다.[14]

5요인 모델의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은 EPQ의 정신병적 경향과 일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정신병적 경향에서 강인함에 대한 점수가 높은 사람은 친화성에서 부드러움에 대한 점수가 낮다.

정신병적 경향에 대한 하위 요인과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의 측면 간의 유사점 (Matthews, Deary & Whiteman, 2003)


3요인 모델은 생물학적 기반을 강조하는 반면, 5요인 모델은 명확한 인과적 설명을 제공하지 않는다. 3요인 모델은 의 망상계와 변연계를 각각 피질 각성과 정서적 반응의 핵심 요소로 보았다. 한스 아이젠크는 외향적인 사람은 피질 각성 수준이 낮고, 내향적인 사람은 높아 외향적인 사람이 더 많은 자극을 추구한다고 주장했다.[18] 신경증은 변연계의 각성 수준에 따라 결정되며, 개인 간 활성화 임계값 차이로 인해 개인차가 발생한다고 보았다. 5요인 모델은 유전[8]과 환경[30]의 역할을 가정하지만, 구체적인 인과 관계는 제시하지 않는다.

3요인 모델에서 정신병적 경향성의 생물학적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아이젠크는 초기에는 테스토스테론 수치 및 세로토닌계 역기능과 관련지었으나,[20] 이후 도파민계와 연관시켰다.[21]

4. 성격 특성 목록

특성설명
경험에 대한 개방성폭넓은 관심, 상상력과 통찰력을 가지며, 배외측전전두엽 활동과 관련이 있다. 주로 인지적 특성으로 여겨진다.[131]
성실성꼼꼼하고 세심하며 원칙에 입각한 행동을 보이며, 배외측전전두엽과 관련이 있다.[132][133][134]
외향성사교적이고 외향적이며 사회성이 밝다. 전두엽편도체 영역과 관련이 있다.[135][136][137]
붙임성복종, 신뢰, 공감, 동정, 우호, 협동적인 성향을 보인다.[138][139][140]
신경증심리적 불안에 취약하며, 불안, 우울, 자의식, 충동, 취약함이 강하고 호전성을 보인다. 섬 피질 활동과 관련이 있다.[141][142][143]
정직성-겸손진정성, 겸손, 공정, 청렴과 관련이 있다.
자존감 (낮은 경우)자신에 대한 비호의적인 태도를 가진다.[145][146][147]
피해 회피수줍음, 두려움, 불확실함, 걱정하는 경향을 보인다. 편도체 좌측 부피 및 안와, 후두, 두정부 영역의 회색질 부피와 관련이 있다.[149][150][151][152]
참신성 추구충동, 탐구, 변덕, 흥분, 성급, 사치와 관련이 있다.
감각 처리 예민성(SPS)과잉자극, 감정 반응, 공감, 자극에 대한 예민성이 높다.[153][154]
완벽주의완벽을 추구하며, 강박 행동과 연관되어 있고 기저핵의 통제를 받는 것으로 보인다.[155][156][157]
감정불능증감정 표현을 하지 못한다. 섬 피질, 후대상피질, 시상의 반응과 관련이 있다.[158][159][160]
엄격성유연하지 못하고 전환이 어려우며, 기존 패턴을 고수한다. 전두엽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161][162][163][164]
충동성위험 감수, 계획성 부족, 섣부른 결정을 내린다. 우측 전두회 병변, 복부전두엽피질 손상과 연관되어 있다.[165][166][167][168][169][170]
탈억제충동 억제 능력이나 의지가 부족하다. 안와전두엽 증후군의 징후일 수 있다.
정신병성향공격성과 대인관계상의 호전성을 보인다. 조현병과 같은 정신병에 취약하다.[179][180]
강박성지속적이고 불편한 생각이나 이미지, 감정이 자주 혼란스럽고 반추하며 불안 상태를 유도한다. 기저핵 기능부전으로 발생하기도 한다.[181][182][183]


5. 문화와 성격 특성

문화는 다양한 정도로 서로 다르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고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특성의 의미와 표현이 문화 집단 내에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성격 연구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특성이론은 특성의 계층을 사용하여 문화와 특성을 분리한다. 즉, 개인의 특성에 집중하고 이것이 개인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보기 위해 문화를 무시한다고 말할 수 있다.[9] 고든 올포트의 특성이론은 성격 심리학의 기초적인 접근 방식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특성이론 내에서 그가 문화를 어떻게 접근했는지에 대한 이유로 인류학 등 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계속해서 연구되고 논의되고 있다.[9]

특성이론은 개인이 처한 상황보다는 개인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10] 이러한 초점은 현대 연구에서 완화되어 자기 자신 외의 외부 요인을 고려할 수 있게 되었다. 초점이 더 완화됨에 따라(하지만 여전히 이론의 주요 부분이기 때문에 중요) 연구가 확장된다.

참조

[1] 서적 Psychology Prentice-Hall, Inc.
[2] 서적 Leadership: theory and practice / https://cmc.marmot.o[...] Sage Publications 2010
[3] 웹사이트 What Is a Trait Two Basic Formulations https://www.doctorab[...] 2018-02-06
[4] 간행물 Alfred Adler and Gordon W. Allport: A Comparison on Certain Topics in Personality Theory https://www.proquest[...] 2018-03-23
[5] 서적 Pattern and growth in personality https://archive.org/[...] Holt, Rinehart and Winston 1961
[6] 서적 Dimensions of personality: 16: 5 or 3? Criteria for a taxonomic paradigm Thomas
[7] 간행물 Validation of the five-factor model across instruments and observers
[8] 간행물 Four ways five factors are basic
[9] 간행물 The measurement of personality across cultures: Historical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and considerations 2000
[10] 간행물 Reconciling processing dynamics and personality dispositions 1998-02-01
[11] 서적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Guilford
[12] 간행물 The Big Three or the Big Five—the EPQ-R vs the NEO-PI: a research note, replication and elaboration
[13] 간행물 A reply to Costa and McCrae. P or A and C: The role of theory
[14] 서적 The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Revised Hodder & Stoughton
[15] 간행물 Adolescent psychopathy and the Big Five: Results from two samples
[16] 서적 Personality trai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A natural science approach Plenum
[18] 서적 The biological basis of personality Thomas
[19] 간행물 Creativity and personality: Word association, origence, and Psychoticism
[20] 간행물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psychoticism
[21] 간행물 Personality and experimental psychology: The unification of psychology and the possibility of a paradigm
[22] 서적 Of Anchors & Sails: Personality-Ability Trait Constellations https://umnlibraries[...] University of Minnesota 2023-11-20
[23] 기타 Taxonomies and Compendia of Cognitive Ability and Personality Constructs and Measures Relevant to Industrial,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http://sk.sagepub.co[...] SAGE Publications Ltd 2024-02-24
[24] 간행물 Sources of openness/intellect: cognitive and neuropsychological correlates of the fifth factor of personality 2005-08
[25] 간행물 Personality dimensions in eating disorders and their relevance for subtyping 1992-09
[26] 간행물 Acquired extroversion associated with bitemporal variant of frontotemporal dementia https://zenodo.org/r[...] 2006-12
[27] 간행물 Agreeableness: dimension of personality or social desirability artifact? 2002-10
[28] 간행물 Scores on Three Personality Variables as a Function of Age, Sex and Social Class Wiley
[29] 간행물 Regional cerebral brain metabolism correlates of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2007-09
[30] 간행물 Mutual Reinforcement Between Neuroticism and Life Experiences: A Five-Wave, 16-Year Study to Test Reciprocal Causation https://www.research[...]
[31] 서적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 간행물 Self-esteem: a comparison study between eating disorders and social phobia Academic Press 1997-01
[33] 간행물 Eating disorders and antecedent anxiety disorders: a controlled study
[34] 간행물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reflect structural variance in specific brain regions 2009-06
[35] 간행물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A review in the light of the evolution of biological responsivity http://scottbarrykau[...]
[36] 논문 The many faces of perfectionism 2003-11
[37] 논문 The impa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physiological experience of a clinical interview 2003-09
[38] 논문 When a patient has no story to tell: Alexithymia
[39] 논문 Alexithymia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an investigation using a new projective technique 1997-08
[40] 논문 Affect, cognition, awareness and behavior in eating disorders. Comparison between obesity and anorexia nervosa 2009-06
[41] 논문 The place of impulsiveness in a dimensional system of personality description 1977-02
[42] 논문 The neuropsychiatry of impulsivity 2007-05
[43] 논문 Neuropsychiatric symptoms of patients with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and Parkinson's disease http://128.138.139.9[...] 2009-04
[44] 서적 A Neurotransmitter Basis for Eysnenck's Theory of Personality Hodder and Stoughton
[45] 논문 Appraisals of obsessional thoughts in normal samples 2008-01
[46] 서적 Psychology Prentice-Hall, Inc.
[47] 서적 Leadership : theory and practice / https://cmc.marmot.o[...] Sage Publications 2010
[48] 웹사이트 What Is a Trait Two Basic Formulations https://www.doctorab[...] 2018-02-06
[49] 웹사이트 Alfred Adler and Gordon W. Allport: A Comparison on Certain Topics in Personality Theory - ProQuest https://www.proquest[...] 2018-03-23
[50] 서적 Pattern and growth in personality https://archive.org/[...] Holt, Rinehart and Winston 1961
[51] 서적 The biological basis of personality. Thomas
[52] 논문 Dimensions of personality: 16: 5 or 3? Criteria for a taxonomic paradigm
[53] 논문 Validation of the five-factor model across instruments and observers
[54] 논문 Four ways five factors are basic
[55] 논문 The measurement of personality across cultures: Historical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and considerations 2000
[56] 논문 Reconciling processing dynamics and personality dispositions 1998-02-01
[57] 서적 Biological dimensions of personality. In L. A. Pervin (Ed.),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Guilford
[58] 논문 A contrarian view of the five-factor approach to personality description
[59] 논문 The Big Three or the Big Five - the EPQ-R vs the NEO-PI: a research note, replication and elaboration
[60] 논문 A reply to Costa and McCrae. P or A and C: The role of theory
[61] 서적 Personality trai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문서 The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Revised Hodder & Stoughton
[63] 논문 Personality disorders and the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64] 논문 Adolescent psychopathy and the Big Five: Results from two samples
[65] 서적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A natural science approach. Plenum
[66] 서적 The biological basis of personality. Thomas
[67] 논문 Creativity and personality: Word association, origence, and Psychoticism
[68] 논문 Mutual Reinforcement Between Neuroticism and Life Experiences: A Five-Wave, 16-Year Study to Test Reciprocal Causation https://www.research[...]
[69] 논문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psychoticism
[70] 논문 Personality and experimental psychology: The unification of psychology and the possibility of a paradigm
[71] 논문 Sources of openness/intellect: cognitive and neuropsychological correlates of the fifth factor of personality 2005-08
[72] 논문 Female students' disordered eating and the big five personality facets 2009-08
[73] 논문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as predictors of emotional, external, and restrained eating behaviors 2001-09
[74] 논문 Personality dimensions in eating disorders and their relevance for subtyping 1992-09
[75] 논문 Personality Traits of Agreeableness and Extraversion are Associated with ADH4 Variation
[76] 논문 Neuroanatomical correlates of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2006-12
[77] 논문 Acquired extroversion associated with bitemporal variant of frontotemporal dementia https://zenodo.org/r[...]
[78] 논문 Right and left medial orbitofrontal volumes show an opposite relationship to agreeableness in FTD
[79] 논문 Agreeableness: dimension of personality or social desirability artifact? 2002-10
[80] 논문 Gene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n Adoption/Twin Study https://onlinelibrar[...] 1993-06
[81] 논문 Neuroticism and introversion: a risky combination for disordered eating among a non-clinical sample of undergraduate women 2006-01
[82] 논문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personality trait and serotonin transporter binding 2007-09
[83] 논문 Regional cerebral brain metabolism correlates of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84] 논문 Self-esteem, eating proble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 cohort of school age 15–16: question and interview 1997-01
[85] 논문 Personality factors in anorexia nervosa
[86] 논문 Self-esteem: a comparison study between eating disorders and social phobia
[87] 논문 Eating disorders and antecedent anxiety disorders: a controlled study
[88]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obstetric complications and temperament in eating disorders: a mediation hypothesis 2008-04
[89] 논문 Volume of left amygdala subregion predicted temperamental trait of harm avoidance in female young subjects. A voxel-based morphometry study
[90] 논문 Personality dimensions in bulimia nervosa, binge eating disorder, and obesity 2010-01
[91] 논문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reflect structural variance in specific brain regions 2009-06
[92] 논문 Sensory-Processing Sensitivity and its Relation to Introversion and Emotionality http://www.hsperson.[...]
[93] 논문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A review in the light of the evolution of biological responsivity http://scottbarrykau[...]
[94] 논문 Perfectionism in anorexia nervosa: variation by clinical subtype, obsessionality, and pathological eating behavior 2000-11
[95] 논문 Stress situation reveals an associ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drive for thinness 2003-09
[96] 논문 The impa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physiological experience of a clinical interview
[97] 논문 Alexithymia in PTSD: psychometric and FMRI studies 2006-07
[98] 논문 "[Alexithymia and depression in eating disorders]"
[99] 논문 Alexithymia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an investigation using a new projective technique 1997-08
[100] 논문 Cerebral anoxia and disability 2004-12
[101] 논문 Barker RAHuntington's disease patients have selective problems with insight 2006-03
[102] 논문 Perceptual illusions in eating disorders: rigid and fluctuating styles 2001-09
[103] 논문 Affect, cognition, awareness and behavior in eating disorders. Comparison between obesity and anorexia nervosa 2009-06
[104] 논문 The place of impulsiveness in a dimensional system of personality description 1977-02
[105] 논문 Insensitivity to future consequences following damage to human prefrontal cortex 1994-04
[106] 논문 Impulsivity or comorbidity in bulimia nervosa. A controlled study of deliberate self-harm and alcohol and drug misuse in a community sample 1996-10
[107] 논문 Trauma and multi-impulsivity in the eating disorders 2007-01
[108] 논문 The neuropsychiatry of impulsivity 2007-05
[109] 논문 Factor structure of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1995-11
[110] 논문 Association of dietary restraint and disinhibition with eating behavior, body mass, and hunger 1998-03
[111] 논문 Disinhibition: its effects on appetite and weight regulation 2008-09
[112] 논문 Personality and substance dependence symptoms: modeling substance-specific traits 2006-12
[113] 논문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behavioral disinhibition http://128.138.139.9[...] 2000-10
[114] 논문 Behavioral disinhibition: liability for externalizing spectrum disorders and its genetic and environmental relation to response inhibition across adolescence 2009-02
[115] 논문 Structural and functional neuroanatomy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2009-04
[116] 논문 The successful treatment of disinhibition due to a possible case of non-human immunodeficiency virus neurosyphilis: a proposed pathophysiological explanation of the symptoms and treatment
[117] 논문 Neuropsychiatric symptoms of patients with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and Parkinson's disease
[118] 서적 Psychoticism as a Dimension of Personality Hodder and Stoughton
[119] 논문 A Neurotransmitter Basis for Eysnenck's Theory of Personality
[120] 논문 Obsessionality in eating-disorder patients: relationship to clinical presentation and two-year outcome
[121] 논문 Cognitive-behavioural approach to understanding obsessional thinking
[122] 논문 Appraisals of obsessional thoughts in normal samples 2008-01
[123] 문서 Psychology Prentice-Hall, Inc.
[124] 웹인용 What Is a Trait Two Basic Formulations https://www.doctorab[...] 2018-02-06
[125] 웹인용 Alfred Adler and Gordon W. Allport: A Comparison on Certain Topics in Personality Theory - ProQuest https://search.proqu[...] 2018-03-23
[126] 서적 Pattern and growth in personality https://archive.org/[...] Holt, Rinehart and Winston 1961
[127] 문서 The biological basis of personality. Thomas
[128] 논문 Dimensions of personality: 16: 5 or 3? Criteria for a taxonomic paradigm
[129] 논문 Validation of the five-factor model across instruments and observers
[130] 논문 Four ways five factors are basic
[131] 논문 Sources of openness/intellect: cognitive and neuropsychological correlates of the fifth factor of personality 2005-08
[132] 논문 Female students' disordered eating and the big five personality facets 2009-08
[133] 논문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as predictors of emotional, external, and restrained eating behaviors 2001-09
[134] 논문 Personality dimensions in eating disorders and their relevance for subtyping 1992-09
[135] 논문 Personality Traits of Agreeableness and Extraversion are Associated with ADH4 Variation
[136] 논문 Neuroanatomical correlates of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2006-12
[137] 논문 Acquired extroversion associated with bitemporal variant of frontotemporal dementia https://zenodo.org/r[...]
[138] 논문 Right and left medial orbitofrontal volumes show an opposite relationship to agreeableness in FTD
[139] 논문 Gene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n adoption/twin study 1993-06
[140] 논문 Agreeableness: dimension of personality or social desirability artifact? 2002-10
[141] 저널 Neuroticism and introversion: a risky combination for disordered eating among a non-clinical sample of undergraduate women 2006-01
[142] 저널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personality trait and serotonin transporter binding 2007-09
[143] 저널 Regional cerebral brain metabolism correlates of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144] 저널 Mutual Reinforcement Between Neuroticism and Life Experiences: A Five-Wave, 16-Year Study to Test Reciprocal Causation https://www.research[...]
[145] 저널 Self-esteem, eating proble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 cohort of school age 15–16: question and interview 1997-01
[146] 저널 Personality factors in anorexia nervosa
[147] 저널 Self-esteem: a comparison study between eating disorders and social phobia
[148] 저널 Eating disorders and antecedent anxiety disorders: a controlled study
[149] 저널 The relationship between obstetric complications and temperament in eating disorders: a mediation hypothesis 2008-04
[150] 저널 Volume of left amygdala subregion predicted temperamental trait of harm avoidance in female young subjects. A voxel-based morphometry study
[151] 저널 Personality dimensions in bulimia nervosa, binge eating disorder, and obesity 2010-01
[152] 저널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reflect structural variance in specific brain regions 2009-06
[153] 저널 Sensory-Processing Sensitivity and its Relation to Introversion and Emotionality http://www.hsperson.[...]
[154] 저널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A review in the light of the evolution of biological responsivity http://scottbarrykau[...]
[155] 저널 Perfectionism in anorexia nervosa: variation by clinical subtype, obsessionality, and pathological eating behavior 2000-11
[156] 저널 Stress situation reveals an associ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drive for thinness 2003-09
[157] 저널 The impa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physiological experience of a clinical interview
[158] 저널 Alexithymia in PTSD: psychometric and FMRI studies 2006-07
[159] 저널 "[Alexithymia and depression in eating disorders]"
[160] 저널 Alexithymia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an investigation using a new projective technique 1997-08
[161] 저널 Cerebral anoxia and disability 2004-12
[162] 저널 Barker RAHuntington's disease patients have selective problems with insight 2006-03
[163] 저널 Perceptual illusions in eating disorders: rigid and fluctuating styles 2001-09
[164] 저널 Affect, cognition, awareness and behavior in eating disorders. Comparison between obesity and anorexia nervosa 2009-06
[165] 저널 Insensitivity to future consequences following damage to human prefrontal cortex 1994-04
[166] 저널 The place of impulsiveness in a dimensional system of personality description 1977-02
[167] 저널 Impulsivity or comorbidity in bulimia nervosa. A controlled study of deliberate self-harm and alcohol and drug misuse in a community sample 1996-10
[168] 저널 Trauma and multi-impulsivity in the eating disorders 2007-01
[169] 저널 Factor structure of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1995-11
[170] 저널 The neuropsychiatry of impulsivity 2007-05
[171] 저널 Association of dietary restraint and disinhibition with eating behavior, body mass, and hunger 1998-03
[172] 저널 Disinhibition: its effects on appetite and weight regulation 2008-09
[173] 저널 Personality and substance dependence symptoms: modeling substance-specific traits 2006-12
[174] 저널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behavioral disinhibition http://128.138.139.9[...] 2000-10
[175] 저널 Behavioral disinhibition: liability for externalizing spectrum disorders and its genetic and environmental relation to response inhibition across adolescence 2009-02
[176] 논문 Structural and functional neuroanatomy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2009-04
[177] 논문 The successful treatment of disinhibition due to a possible case of non-human immunodeficiency virus neurosyphilis: a proposed pathophysiological explanation of the symptoms and treatment
[178] 논문 Neuropsychiatric symptoms of patients with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and Parkinson's disease
[179] 서적 Psychoticism as a Dimension of Personality Hodder and Stoughton
[180] 논문 A Neurotransmitter Basis for Eysnenck's Theory of Personality
[181] 논문 Obsessionality in eating-disorder patients: relationship to clinical presentation and two-year outcome
[182] 논문 Cognitive-behavioural approach to understanding obsessional thinking
[183] 논문 Appraisals of obsessional thoughts in normal samples 20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