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충동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충동성은 갑작스러운 욕구, 즉 소망을 의미하며, 인간의 사고 과정에서 기본적인 부분으로 간주되지만, 특정 질환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충동 조절 능력은 성격 심리학과 사회화의 중요한 요소이며, 만족 지연과 관련이 깊다. 충동적인 행동은 긍정적 긴급성, 부정적 긴급성, 자극 추구, 계획 부족, 지속력 부족의 다섯 가지 특성으로 이어진다. 충동성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약물 남용, 과식, 충동 구매, 기타 충동 조절 장애와 관련이 있으며, 자아 고갈, 자동적 과정 대 통제적 과정, 기간 선택, 억제 제어, 행동/비행동 목표 등의 이론으로 설명된다. 충동성은 성격 검사, 행동 패러다임 등을 통해 평가되며, 뇌 훈련, 정신약물학적 중재, 행동 중재 등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2. 충동성의 개념

충동은 갑작스러운 욕구나 소망을 의미하며, 인간 사고 과정의 정상적인 부분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강박 장애,[23] 경계성 성격 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태아 알코올 스펙트럼 장애와 같은 특정 상황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충동을 조절하는 능력, 즉 충동에 따라 행동하려는 욕구를 억제하는 것은 성격 심리학 및 사회화의 중요한 요소이다. 만족 지연은 초기 충동에 따르지 않고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기다리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아동기에 가르쳐야 할 중요한 가치 중 하나이다.[24]

많은 심리적 문제는 특정 상황에서 통제력을 잃거나 부족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통제력 부족은 약물 남용, 성도착증과 같은 부적응적인 사고와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25]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는 부주의, 충동성, 과잉 행동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장애이다.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IV-TR)[30]은 행동 증상에 따라 ADHD를 주의력 결핍 우세형, 과잉 행동-충동성 우세형, 혼합형의 세 가지 하위 유형으로 구분한다. 과잉 행동-충동성 우세형 증상에는 의자에 앉아 안절부절못하고 꼼지락거림, 끊임없이 이야기함, 주변을 뛰어다니며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만지거나 가지고 놂, 저녁 식사/학교/이야기 시간에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함, 끊임없이 움직임, 조용한 작업이나 활동을 하는 데 어려움 등이 있다. 충동성의 주요 증상으로는 매우 참을성이 없음, 원하는 것을 얻거나 게임에서 차례를 기다리는 데 어려움, 자주 대화나 다른 사람의 활동을 방해, 부적절한 언급을 불쑥 내뱉고, 감정을 자제하지 못하고,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행동함 등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ADHD 유병률은 4%에서 10% 사이로 추정되며, 보고에 따라 2.2%에서 17.8%까지 다양하다.[31] 여성의 ADHD 유병률은 남성의 절반 미만이며, 여성은 주의력 결핍 하위 유형에 더 많이 속한다.[32] ADHD는 학습 장애, 품행 장애, 불안 장애, 주요 우울 장애, 양극성 장애, 물질 사용 장애와 같은 다른 정신 건강 장애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36][37][38]

충동성은 약물 남용의 습득, 확대, 금욕, 재발 및 치료 등 모든 단계와 관련이 있다.[43][44] 충동적인 사람들은 약물에 대한 갈망이 더 크고 재발할 가능성이 더 높다.[48]

충동적인 과식은 건강한 사람의 일시적인 탐닉부터 섭식 장애가 있는 사람의 만성적인 폭식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만성적인 과식은 폭식 장애, 강박적인 과식, 신경성 폭식증의 행동적 구성 요소이다.

충동구매는 구매 의도 없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을 의미하며,[58] 미국에서는 전체 구매의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충동구매는 자기 규제 능력의 고갈,[61] 구매자와 제품 간의 정서적 유대 관계[62][63]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충동 조절 장애(ICD)는 부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충동이나 욕구를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DSM 진단의 한 종류이다.[30] 간헐적 폭발성 장애, 도벽, 병적 도박, 방화광, 발모광 등이 ICD에 포함된다.

2. 1. 충동성의 다섯 가지 특성

오랫동안 충동성은 하나의 특성으로 이해되었지만, 더 분석한 결과 충동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섯 가지 특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긍정적 긴급성
  • 부정적 긴급성
  • 자극 추구
  • 계획 부족
  • 끈기 부족[26][27][28][29]

3. 충동성과 관련된 행동 및 사회적 문제

충동은 인간의 정상적인 사고 과정의 일부이지만, 강박 장애,[23] 경계성 성격 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태아 알코올 스펙트럼 장애와 같은 특정 상황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충동 조절, 즉 만족 지연은 초기 충동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피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사회화의 중요한 요소이다.[24]

충동성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약물 남용, 과식, 충동구매를 포함한 다양한 행동 문제 및 사회적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또한, 간헐적 폭발성 장애, 도벽, 병적 도박, 방화광, 발모광과 같은 충동 조절 장애(ICD)는 충동이나 욕구를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이 특징이다.[30]

3. 1.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ADHD)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는 부주의, 충동성, 과잉 행동을 보이는 복합적인 장애이다.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IV-TR)은 행동 증상에 따라 ADHD를 세 가지 하위 유형으로 구분한다.[30]

  •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 주의력 결핍 우세형
  •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 과잉 행동-충동성 우세형
  •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 혼합형


과잉 행동-충동성 우세형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의자에 앉아 안절부절못하고 꼼지락거림
  • 끊임없이 이야기함
  • 주변을 뛰어다니며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만지거나 가지고 놂
  • 저녁 식사/학교/이야기 시간에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함
  • 끊임없이 움직임
  • 조용한 작업이나 활동을 하는 데 어려움


충동성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매우 참을성이 없음
  • 원하는 것을 얻거나 게임에서 차례를 기다리는 데 어려움
  • 자주 대화나 다른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거나 부적절한 언급을 불쑥 내뱉고, 감정을 자제하지 못하고,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행동함


전 세계적으로 ADHD 유병률은 4%에서 10% 사이로 추정되며, 보고에 따라 2.2%에서 17.8%까지 다양하다. 진단율 차이는 문화적 차이와 진단 방법 차이로 인한 것일 수 있다.[31] 여성의 ADHD 유병률은 남성의 절반 미만이며, 여성은 주의력 결핍 하위 유형에 더 많이 속한다.[32]

충동성은 일반적으로 ADHD의 핵심 특징으로 간주되며, 충동성 및 혼합형은 ADHD와 관련된 사회적 비용의 주요 원인이다.[32][33] ADHD 아동의 연간 질병 관련 추정 비용은 14576USD(2005년 기준)이다.[34] 수감자들 사이의 ADHD 유병률은 일반 인구보다 훨씬 높다.[35]

성인[36]과 아동[37][38] 모두에서 ADHD는 학습 장애, 품행 장애, 불안 장애, 주요 우울 장애, 양극성 장애, 물질 사용 장애와 같은 다른 정신 건강 장애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ADHD의 정확한 유전적, 환경적 요인은 비교적 알려져 있지 않지만, 내부 표현형은 유전자와 증상 사이의 잠재적인 중간 지점을 제공한다.[39] ADHD는 일반적으로 "집행 기능", "지연 회피" 또는 "활성화/각성" 이론과 관련된 "핵심" 결함과 연결된다.[39] 반응 억제 결함은 전전두피질(PFC) 기능의 결함과 관련이 있으며, ADHD 및 기타 충동 조절 장애와 관련된 흔한 기능 장애이다.[40][41]

ADHD에 대한 증거 기반의 정신 약물학적 및 행동 중재가 존재한다.[42]

충동성과 관련된 주요 유전자는 다음과 같다.

  • DAT1: 신경 시냅스에서 도파민의 능동적인 재흡수를 담당하는 도파민 수송체 유전자이다. DAT1 다형성은 과잉 행동 및 ADHD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59]
  • DRD4: 도파민 D4 수용체 유전자이며, ADHD 및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행동과 관련이 있다.[157][160] DRD4가 결핍된 쥐는 새로운 것에 대한 행동 반응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161]
  • 5HT2A: 세로토닌 수용체 유전자이다. 세로토닌 2A 수용체 유전자는 과다 운동성, ADHD, 그리고 충동성과 관련이 있다. 5HT2A 유전자의 특정 다형성을 가진 피험자는 가다/멈춤 과제에서 처벌-보상 조건 동안 더 많은 오류를 범했다.[162]
  • HTR2B: 세로토닌 수용체 유전자이다.[163]
  • CTNNA2: 7860명의 개인을 대상으로 한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GWAS)에서 흥분 추구와 관련이 있는 뇌에서 발현되는 α-카테닌을 암호화한다.[164]


오랜 기간 동안 충동성은 하나의 특성으로 여겨졌지만, 더 깊은 분석을 통해 충동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는 다섯 가지 특성이 밝혀졌다. 그것은 긍정적 긴급성, 부정적 긴급성, 자극 추구, 계획 부족, 그리고 지속력 부족이다.[176][177][178][179]

3. 2. 약물 남용

충동성은 약물 남용의 모든 단계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43][44]

약물 남용의 습득 단계는 한 번 사용하던 것이 규칙적인 사용으로 확대되는 것을 말한다.[43] 충동성이 높은 사람들은 물질이 제공하는 즉각적인 만족감이 물질을 자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더 큰 미래의 이점을 상쇄할 수 있으며, 억제 조절 능력이 손상된 사람들은 압력과 같은 동기 부여 환경 단서를 극복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약물 남용에 더 취약할 수 있다.[45] 즉, 지연된 강화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는 사람들은 일찍이 알코올, 마리화나, 담배를 남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지연된 강화를 덜 깎아내리는 사람들보다 더 광범위한 불법 약물을 남용한다.[46]

확대 또는 조절 장애는 약물 남용의 다음 단계이자 더 심각한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개인은 대량의 약물 소비와 폭음으로 중독에 대한 "통제력"을 잃는다. 동물 연구에 따르면 충동성이 높은 개인은 약물 남용의 확대 단계에 더 취약할 수 있다.[43]

충동성은 약물 남용의 금욕, 재발 및 치료 단계와도 관련이 있다. 바렛 충동성 척도(BIS)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은 코카인 남용 치료를 중단할 가능성이 더 높았고, 치료를 더 짧은 기간 동안 준수했다.[47] 또한 충동적인 사람들은 금단 기간 동안 약물에 대한 갈망이 더 컸고 재발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이러한 효과는 BIS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흡연자가 흡연 단서에 반응하여 갈망이 증가하고 덜 충동적인 흡연자보다 갈망에 더 빨리 굴복한 연구에서 나타났다.[48] 전체적으로 현재 연구는 충동적인 개인은 약물을 자제할 가능성이 낮고 덜 충동적인 개인보다 더 빨리 재발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43]

충동성이 약물 남용에 미치는 영향도 중요하지만, 약물 남용이 충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상호 작용 효과 또한 연구되고 있다.[43] 충동성이 약물 남용을 촉진하는 효과와 약물 남용이 충동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물질 추구 행동을 유지하는 긍정적인 피드백 고리를 생성한다. 또한 인과 관계의 방향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가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현상은 여러 물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모든 물질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알코올은 충동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암페타민은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43]

약물 사용 장애 치료법에는 아캄프로세이트, 부프레노르핀, 디설피람, LAAM, 메타돈, 날트렉손과 같은 약물 처방, 통합 행동 부부 치료, 인지 행동 치료(CBT), 대응 관리, 동기 부여 면담 및 재발 방지와 같은 효과적인 정신 치료가 포함된다.

3. 3. 과식

충동적인 과식은 건강한 사람이 일시적으로 탐닉하는 경우부터 섭식장애 환자가 만성적으로 폭식하는 경우까지 넓은 범위에서 나타난다.

유혹적인 음식을 비임상 개인이 섭취하는 것은 이전에 다른 과제로 인해 자기 통제력 자원이 고갈되었을 때 증가하는데, 이는 자기 통제력의 붕괴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49] 건강에 좋지 않은 간식을 충동적으로 섭취하는 것은 자기 통제력이 약한 경우에는 개인의 충동성에 따라, 자기 통제력이 강한 경우에는 간식과 건강한 식단에 대한 태도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난다.[50] 또한 슬픈 기분일 때 사람들이 더 많은 음식을 섭취한다는 증거가 존재하지만, 이는 자기 통제력 부족보다는 감정 조절의 문제일 수 있다.[51] 이러한 경우, 과식은 음식이 그 사람에게 맛있을 때만 발생하며, 개인의 충동성 차이가 섭취량을 예측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52]

만성적인 과식은 폭식 장애, 강박적인 과식, 신경성 폭식증의 행동적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질병은 여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나며, 한 번에 수천 칼로리를 섭취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다. 과식의 동기는 이러한 장애 중 어떤 것이 근본적인 원인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세 가지 장애의 공통적인 특징은 낮은 자존감, 우울증, 신체적으로 배고프지 않은 상태에서의 식사, 음식에 대한 집착, 당혹감으로 인한 혼자 식사, 그리고 과식 후의 후회나 혐오감 등이다. 이러한 경우, 과식은 맛있는 음식에만 국한되지 않는다.[53]

충동성은 음식 섭취를 과도하게 통제하는 신경성 식욕 부진증과 같은 장애와 음식 섭취 통제가 부족한 신경성 폭식증과 같은 장애에 서로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 위험 감수와 같은 인지적 충동성은 제한적인 장애를 포함하여 많은 섭식 장애의 구성 요소이다.[54] 그러나 과식 에피소드를 포함하는 장애가 있는 사람들만이 반응 억제 능력 감소와 같은 운동 충동성이 증가한다.[54]

한 이론에 따르면, 폭식은 슬픔, 분노, 지루함과 같은 감정에서 단기적인 탈출구를 제공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61] 또 다른 이론은 폭식 장애가 보상 추구를 포함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폭식 장애가 있는 여성의 세로토닌 결합 수용체가 체중이 일치하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것[55]과 기능 장애적인 식습관에서 강화된 보상 민감도/추진력의 예측 가치로 입증되었다.[56]

임상 수준의 과식에 대한 치료법으로는 인지 행동 치료, 대인 관계 심리 치료, 항우울제 및 SSRI를 포함한 약물 치료법 등이 있다. 인지 행동 치료는 사람들이 식습관과 행동을 추적하고 변경하는 방법을 가르치며, 대인 관계 심리 치료는 사람들이 장애에 대한 친구와 가족의 기여를 분석하도록 돕는다.

3. 4. 충동 구매

충동구매는 구매하려는 의도 없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을 말한다.[58] 미국에서는 전체 구매의 80%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충동구매에 대한 여러 가지 이론이 있다.

  • 보상 이론: 보상을 얻을 수 있는 속도와 결합된 노출이 개인이 나중에 얻을 수 있는 더 큰 보상보다 더 적은 즉각적인 보상을 선택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60]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가게에 들어오기 전에 사탕을 사지 않기로 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사탕 코너에 있기 때문에 사탕을 살 수도 있다.
  • 자기 규제[61] 이론: 충동구매를 자제하는 능력은 유한한 자원이며, 이 능력이 반복적인 자제 행위로 고갈됨에 따라 충동적으로 다른 품목을 구매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 정서적, 행동적 유대 관계 이론: 구매자와 제품 간의 정서적, 행동적 유대 관계가 충동구매의 가능성과 구매 결과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62][63] 일부 연구에 따르면 많은 사람(한 연구에서 41%[64])이 충동구매에 만족하는데, 이는 구매를 시작할 가능성과 구매 후 만족도를 높이는 긍정적인 정서적 애착으로 설명된다.[63] 예를 들어, 특정 팀과 관련된 대학교 기념품을 충동적으로 구매하는 것은 그 팀과의 긍정적인 유대 관계와 관련이 있다.[63]


충동구매는 개인적 특성이자 상황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61][63] 개인적 특성은 각 개인이 미리 조건화되거나 유전적으로 할당받는 것이며, 상황적 요인에는 구매 시점의 감정 및 개인이 제품과 맺고 있는 관계 등이 있다.

충동-강박 구매 장애 환자에게는 정신 요법 및 약물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65] 정신 요법에는 탈감작 기법,[66] 자가 도움 도서[67] 사용, 지원 그룹 참석[67] 등이 있다. 약물 치료에는 플루복사민[68][69], 시탈로프람[70][71], 에스시탈로프람[72], 날트렉손[73][74]과 같은 SSRI 사용이 포함된다.

3. 5. 기타 충동 조절 장애

DSM 진단에서 충동 조절 장애(ICD)는 다른 진단 범주(예: 물질 사용 장애)에 속하지 않으며, 부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충동이나 욕구를 조절하는 데 극심한 어려움을 겪는 특징을 가진 정신 질환의 한 부류이다.[30] 충동 조절 장애를 겪는 개인은 종종 강렬한 충동이나 욕망, 충동 억제 실패, 각성감 증가, 충동에 굴복(보통 긴장 완화), 행동 완료 후 죄책감 또는 후회 가능성의 5단계 증상을 경험한다.[75]

이 범주에 포함된 특정 장애에는 간헐적 폭발성 장애, 도벽, 병적 도박, 방화광, 발모광(머리카락 뽑기 장애) 및 달리 명시되지 않은 충동 조절 장애(ICD NOS)가 있다.[30] ICD NOS에는 충동성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지만 특정 DSM 진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기타 중요한 어려움이 포함된다.[30]

ICD가 자체 진단 범주를 가질 자격이 있는지, 아니면 강박 장애(OCD), 정동 스펙트럼, 중독과 같은 다른 주요 정신 질환과 현상학적 및 역학적으로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한 많은 논쟁이 있었다.[76] 2013년 5월에 DSM-V가 출시되면서 ICD 분류는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77] 제안된 개정 사항에는 발모광(머리카락 뽑기 장애로 이름 변경) 및 피부 뜯기 장애를 강박 및 관련 장애로 재분류하고, 간헐적 폭발성 장애를 파괴적, 충동 조절 및 행동 장애의 진단 제목으로 옮기고, 도박 장애를 중독 및 관련 장애에 포함시키는 것이 포함된다.[77]

ICD에서 충동성의 역할은 다양하다. 도벽 및 방화광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지만, 도벽의 심각성이 클수록 실행 기능이 저하된다는 증거가 있다.[78]

발모광과 피부 뜯기 장애는 주로 운동 충동성을 수반하는 장애인 것으로 보이며,[79][80] DSM-V에서는 강박 및 관련 장애 범주 내에서 분류될 가능성이 높다.[77]

병적 도박은 (물질 사용 장애와 유사하게) 충동성 및 비정상적인 보상 체계의 다양한 측면을 수반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비물질 또는 행동 중독으로 점점 더 개념화되고 있다.[81] 병적 도박에서 충동성의 역할을 설명하는 증거가 축적되고 있으며, 병적 도박 샘플은 비교 대조군 샘플보다 반응 충동성, 선택 충동성 및 반사 충동성을 더 많이 보인다.[81] 또한 병적 도박꾼은 실험실 도박 작업에서 대조군에 비해 반응 집착(강박성) 및 위험한 의사 결정을 보이는 경향이 있지만, 주의력과 작업 기억이 병적 도박꾼에게 손상되었다는 강력한 증거는 없다.[81] 이러한 충동성과 병적 도박 간의 관계는 뇌 기능 연구로 확인된다. 병적 도박꾼은 반응 충동성, 강박성, 위험/보상을 활용하는 행동 작업 동안 대조군에 비해 전두엽 피질 영역(충동성과 관련됨)의 활성이 적다.[81] 예비적이지만 가변적인 결과는 또한 선조체 활성이 도박꾼과 대조군 간에 다르며, 신경 전달 물질 차이(예: 도파민, 세로토닌, 오피오이드, 글루타메이트, 노르에피네프린)도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81]

간헐적 폭발성 장애(충동적 공격성이라고도 함)가 있는 개인은 세로토닌 이상을 보였으며, 감정적 자극 및 상황에 대한 반응에서 차별적인 활성을 보인다.[82] 간헐적 폭발성 장애는 다른 ICD 중 어떤 것으로 진단될 가능성이 더 높지 않지만, 아동기의 파괴적 행동 장애와 매우 공존한다.[82] 간헐적 폭발성 장애는 DSM-V에서 파괴적, 충동 조절 및 행동 장애의 제목으로 재분류될 가능성이 높다.[77]

이러한 종류의 충동 조절 장애는 특정 유형의 정신 약리학적 중재(예: 항우울제)와 인지 행동 치료와 같은 행동 치료를 사용하여 가장 자주 치료된다.

4. 충동성의 이론

충동성은 오랫동안 단일 특성으로 여겨졌지만, 심층 분석 결과 긍정적 긴급성, 부정적 긴급성, 자극 추구, 계획 부족, 끈기 부족 등 다섯 가지 특성이 충동적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6][27][28][29]

이중 과정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정신 과정은 자동적 과정과 통제적 과정으로 나뉜다. 자동적 과정은 무의식적이고 빠르게 진행되며 경험이나 직관에 의존하는 반면,[94] 통제적 과정은 의식적이고 신중하며 더 많은 인지적 노력을 필요로 한다.[95]


  • 자동적 과정: 의도 없이 발생, 적은 정신 자원 소모, 중단 어려움, 무의식적 사고.[95]
  • 통제적 과정: 의도적 발생, 인지 자원 소모, 자발적 중단 가능, 의식적 사고.[95]


과거에는 모든 행동이 자동적이거나 통제적인 것으로만 여겨졌지만,[95] 현대에는 대부분의 충동적 행동이 두 가지 속성을 모두 가진 연속선상에 있는 것으로 본다.[95]

기간 선택은 "시간 경과에 따라 결과가 나타나는 결정"[98]으로, 서로 다른 시점에서 보상에 부여하는 상대적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기간 선택은 미래 보상 가치를 절하하는 "지연 할인" 패러다임으로 측정된다.[98] 이 때, 더 작고 빠른 보상을 선택하는 것이 충동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경제 이론은 시간 경과에 따른 가치의 지수 할인을 제안하지만,[98] 실제로는 쌍곡선 할인 곡선에 따라 미래 가치를 할인한다. 즉, 할인 계수가 지연 시간에 따라 감소한다. 기간 선택은 예상, 자제력, 표현[98] 등을 고려하므로 경제 모델과 다르며, 선호도 역전(매력적인 보상이 즉시 제공될 때만 금욕보다 높은 가치를 갖는 현상)[1] 가능성을 내포한다. "프림로즈 길" 이론은 이러한 선호도 역전이 장기적으로 중독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105]

최근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행동 및 비행동 목표는 일상생활에서 행동 차이의 근본 원인일 수 있다.[117]

4. 1. 자아 (인지) 고갈

자기 통제는 자신의 반응을 변화시키는 능력, 특히 이상, 가치, 도덕, 사회적 기대와 같은 기준에 맞춰 장기적인 목표 추구를 지원하는 능력을 의미한다.[83] 자기 통제는 사람이 한 가지 반응을 억제하거나 무시하고 다른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83]

자기 통제 행위에 참여하는 것은 자기 통제의 제한된 "저장소"에서 비롯되며, 이 저장소가 고갈되면 추가적인 자기 규제 능력이 감소한다는 것이 이 이론의 주요 원칙이다.[84][85] 자기 통제는 근육과 유사하게 간주된다. 근육이 일정 기간 동안 힘을 발휘하려면 힘과 에너지가 필요한 것처럼, 높은 자기 통제력을 요구하는 행위도 수행하기 위해 힘과 에너지가 필요하다.[86] 마찬가지로, 근육이 지속적인 운동 후에 피로해지고 더 이상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이 감소하는 것처럼, 자기 통제 자원이 일정 기간 동안 요구를 받으면 자기 통제도 고갈될 수 있다. 감소된 자기 통제력 상태를 자아 고갈(또는 인지 고갈)이라고 한다.[85]

자기 통제의 강도 모델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 운동이 근육을 강하게 만들 수 있는 것처럼, 규칙적인 자기 통제력 발휘가 의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징후가 있다.[87] 이러한 개선은 일반적으로 고갈에 대한 저항의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통제 과제 수행 능력이 더 느린 속도로 저하된다는 의미이다.[83]
  • 운동선수가 근육이 피로해지기 시작하면 남은 힘을 보존하기 시작하는 것처럼, 자기 조절 자원의 일부가 소모된 사람도 자기 통제력을 발휘한다. 고갈 중에 행동 손상의 심각성은 사람이 추가적인 도전과 요구를 예상하는지 여부에 부분적으로 달려 있다.[83]
  • 보존 가설과 일치하게, 사람들은 자아 고갈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높은 위험이 있다면 자기 통제를 발휘할 수 있다. 현금 인센티브 또는 좋은 성과를 위한 다른 동기를 제공하는 것은 자아 고갈의 영향을 상쇄한다.[89]


자아 고갈 효과에 대한 경험적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이중 과제 패러다임을 채택한다.[84][90][91] 실험 자아 고갈 그룹에 배정된 참가자는 자기 통제를 요구하는 두 개의 연속적인 과제에 참여해야 한다.[86] 대조 참가자도 두 개의 연속적인 과제에 참여해야 하지만, 두 번째 과제만 자기 통제를 요구한다. 강도 모델은 두 번째 자기 통제 과제에서 실험 그룹의 수행이 대조 그룹의 수행과 비교하여 손상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이는 실험 참가자의 제한된 자기 통제 자원이 초기 자기 통제 과제 후에 감소하여 두 번째 과제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거의 남지 않기 때문이다.[83]

자아 고갈의 효과는 기분이나 각성의 산물인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기분과 각성은 자기 통제를 발휘한 참가자와 그렇지 않은 참가자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84][92]

4. 2. 자동적 과정 vs. 통제적 과정/인지적 통제

이중 과정 이론에서는 정신 과정이 자동적 과정과 통제적 과정, 두 가지로 구분된다고 설명한다. 자동적 과정은 무의식적이고 빠르게 진행되며, 경험이나 직관에 의존한다.[94] 반면 통제적 과정은 의식적이고 신중하며, 더 많은 인지적 노력을 필요로 한다.[95]

자동적 과정과 통제적 과정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95]

구분특징
자동적 과정
통제적 과정



과거에는 모든 행동이 자동적이거나 통제적인 것으로만 여겨졌지만,[95] 현대에는 대부분의 충동적 행동이 두 가지 속성을 모두 가진 연속선상에 있는 것으로 본다.[95] 예를 들어, 선택 상황에서 확률이 같음에도 더 유리해 보이는 쪽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는데,[97] 이는 자동적 과정과 통제적 과정이 함께 작용한 결과이다. 즉, 충동적인 결정은 사전 정보와 경험에 기반하지만, 신중한 고려를 통해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도 있다.

4. 3. 기간 선택

기간 선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과가 나타나는 결정"[98]으로 정의된다. 이는 사람들이 서로 다른 시점에서 보상에 부여하는 상대적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실험 대상자에게 선택을 하게 하거나,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행동 선택을 검토하는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기간 선택은 보통 실험실에서 "지연 할인"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지연 할인이란 미래에 일어나는 보상과 처벌의 가치를 절하하는 과정을 말한다.[98] 이 패러다임에서 피험자는 더 작고 빨리 제공되는 보상과, 미래에 지연되어 제공되는 더 큰 보상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이때 더 작고 빨리 제공되는 보상을 선택하는 것은 충동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선택을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무차별점을 추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 어떤 사람이 지금 70달러보다 일주일 후에 100달러를 선택했지만, 지금 60달러보다 일주일 후에 100달러를 선택했다면, 일주일 후에 100달러와 60달러에서 70달러 사이의 중간 값에 대해 무차별하다고 추론할 수 있다.


각 참가자에 대한 지연 할인 곡선은 서로 다른 보상 금액과 시간 지연을 사용하여 무차별점을 표시하여 얻을 수 있다. 할인 곡선의 개인차는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성격 특성: 충동성에 대한 자기 보고, 통제 소재
  • 개인적 특성: 연령, 성별, 지능 지수, 인종, 문화
  • 사회 경제적 특성: 소득, 교육
  • 기타: 약물 중독[100][101]


핵주위 피각 부위[102] 또는 기저 외측 편도체[103]의 병변은 더 작고 빨리 제공되는 보상을 선택하는 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는 이러한 뇌 영역이 지연 강화제에 대한 선호도에 관여함을 시사한다. 또한 안와전두피질이 지연 할인에 관여한다는 증거가 있지만, 이 부위의 병변이 더 많은 충동성을 유발하는지 아니면 덜 충동성을 유발하는지에 대해서는 현재 논쟁이 있다.[147]

경제 이론은 최적 할인이 시간 경과에 따른 가치의 지수 할인을 포함한다고 제안한다. 즉, 사람과 기관이 보상과 처벌의 가치를 얼마나 지연되는지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할인해야 한다는 것이다.[98] 그러나 최근 증거에 따르면 사람과 동물은 지수적으로 할인하지 않는다. 많은 연구에 따르면 인간과 동물은 쌍곡선 할인 곡선에 따라 미래 가치를 할인한다. 할인 계수가 지연 길이와 함께 감소하는 것이다. (예: 오늘부터 내일까지 기다리는 것은 20일에서 21일까지 기다리는 것보다 가치의 손실이 더 많다).

비일정한 지연 할인에 대한 추가 증거는 즉각적인 결과와 지연된 결과를 평가할 때 다양한 뇌 영역의 차등적 관여에 의해 시사된다. 특히, 전전두피질은 짧은 지연 또는 긴 지연으로 보상 중에서 선택할 때 활성화되지만, 즉각적인 강화제 옵션이 추가되면 도파민 시스템과 관련된 영역이 추가로 활성화된다.[104]

기간 선택은 경제 모델과 다른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기간 선택에는 예상이 포함된다. (강화제가 지연되더라도 신경학적 "보상"을 포함할 수 있음)
  • 자제력 (유혹에 직면했을 때의 붕괴)
  • 표현 (선택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따라 강화제의 바람직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98]


경제적 합리성을 가정하는 모델에서는 이러한 사항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기간 선택의 한 측면은 선호도 역전의 가능성이다. 매력적인 보상이 즉시 제공될 때만 금욕하는 것보다 더 높은 가치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1] 예를 들어, 혼자 집에 있을 때, 어떤 사람은 담배를 피우지 않는 것이 담배를 피우는 것보다 건강에 더 좋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밤에 담배를 즉시 사용할 수 있게 되면, 담배에 대한 주관적 가치가 상승하고 담배를 피울 수도 있다.

"프림로즈 길"이라는 이론은 선호도 역전이 장기적으로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식을 설명한다.[105] 예를 들어, 평생 금주하는 것이 평생 알코올 중독자가 되는 것보다 더 높은 가치를 가질 수 있지만, 동시에 지금 한 잔의 술이 지금 마시지 않는 것보다 더 높은 가치를 가질 수 있다. 항상 "지금"이기 때문에 술을 항상 선택하게 되고, 더 가치 있는 장기적 대안은 항상 더 가치 있는 단기적 대안을 선택하기 때문에 달성되지 않는 역설적인 효과가 발생한다. 이것은 복잡한 양가성의 예이다.[106] 즉, 두 개의 구체적인 대안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즉각적이고 유형적인 대안(예: 술을 마시는 것)과 지연되고 추상적인 대안(예: 금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다.

기간 선택에서 인간과 비인간 동물의 유사성이 연구되었다. 비둘기[107][108]도 쌍곡선으로 할인하며, 타마린 원숭이는 음식 보상의 양을 세 배로 늘리기 위해 8초 이상 기다리지 않는다.[109] 이러한 차이가 상동성인지 유추인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된다. 즉, 동일한 기본 프로세스가 인간과 동물의 유사성의 근간인지, 아니면 서로 다른 프로세스가 유사한 결과 패턴으로 나타나는지 여부이다.

4. 4. 억제 제어

억제 제어는 흔히 집행 기능으로 개념화되며, 우세한 반응을 억제하거나 보류하는 능력이다.[110] 충동적인 행동은 이러한 반응을 억제하는 능력의 결핍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론화된다.[110] 억제 제어는 다면적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112] 조엘 니그는 인지 심리학 및 성격 심리학 분야에서 많은 부분을 차용하여 8가지 유형의 억제를 제안했다.[112]

4. 4. 1. 집행 억제

집행 기능으로 개념화되는 억제 제어는 우세한 반응을 억제하거나 보류하는 능력이다.[110] 충동적인 행동은 이러한 반응을 억제하는 능력의 결핍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론화된다. 충동적인 사람은 행동을 억제하는 것이 더 어려울 수 있는 반면, 충동적이지 않은 사람은 그렇게 하는 것이 더 쉬울 수 있다.[110] 정상적인 성인에서 억제 제어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행동 측정은 충동성의 표준 자기 보고 측정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증거가 있다.[111]

억제 제어는 자체적으로 다면적일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고 특정 유형의 정신 병리와 관련된 수많은 개별 억제 구성을 통해 입증된다.[112] 조엘 니그는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억제에 대한 유용한 작업 분류법을 개발했으며, 인지 및 성격 심리학 분야에서 많은 부분을 차용했다.[112]

4. 4. 2. 동기적 억제

만족 지연 또는 충동 조절 장애라고도 하는 충동 조절은 주로 사람이 원하거나 욕망하는 것과 관련된 충동에 대한 예시이다. 만족 지연은 초기 충동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피할 때 발생한다. 만족 지연은 아동기 비만과 관련하여 연구되었다. 충동에 따라 행동하려는 욕구를 억제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만족 지연의 가치를 가르치기 때문이다.[24]

4. 4. 3. 주의의 자동적 억제

조엘 니그는 인지 심리학 및 성격 심리학 분야에서 많은 부분을 차용하여 다양한 유형의 억제에 대한 유용한 작업 분류법을 개발했다.[112] 니그가 제안한 8가지 유형의 억제 중 주의와 관련된 자동적 억제에 대한 설명은 원문에 제시되어 있지 않다.

4. 5. 행동/비행동 목표

오랫동안 충동성은 단일 특성으로 이해되었지만,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충동적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다섯 가지 특성이 밝혀졌다. 이러한 특성에는 긍정적 긴급성, 부정적 긴급성, 자극 추구, 계획 부족, 끈기 부족이 포함된다.[26][27][28][29]

최근 연구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목표 설정과 관련하여 충동성의 상태를 밝혔다. 행동 및 비행동 목표는 "전반적인 활동 수준의 자연스러운 변화와 비교할 수 있는 패턴"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행동 차이의 근본 원인일 수 있다.[117] 구체적으로, 사람들이 가진 충동성과 조증의 정도는 일반적인 행동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 및 목표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며, 일반적인 비행동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 및 목표에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다.

5. 충동성의 평가

충동성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크게 성격 검사와 행동 패러다임 두 가지가 있다. 성격 검사는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충동성과 관련된 성격 특성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행동 패러다임은 특정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나타나는 행동 양상을 통해 충동성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여러 가지 성격 검사와 행동 패러다임에 대한 내용이 자세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단하게 요약만 하고 넘어가도록 한다.


  • 성격 검사: 배럿 충동성 척도(BIS), 아이젱크 충동성 척도(EIS), 딕만 충동성 척도 등 다양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충동성을 측정한다.
  • 행동 패러다임: 마시멜로 테스트, 지연 할인, 아이오와 도박 과제(IGT) 등 특정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나타나는 행동 양상을 통해 충동성을 평가한다.

5. 1. 성격 검사 및 보고

오랫동안 충동성은 하나의 특성으로 이해되었지만, 더 분석한 결과 충동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섯 가지 특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것은 긍정적 긴급성, 부정적 긴급성, 자극 추구, 계획 부족, 그리고 끈기 부족이다.[26][27][28][29]

충동성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검사 도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검사 도구는 다음과 같다.

  • 배럿 충동성 척도(BIS)
  • 아이젱크 충동성 척도(EIS)
  • 딕만 충동성 척도
  • UPPS 충동적 행동 척도
  • 평생 충동적 행동 이력(LHIB)
  • 행동 억제 시스템/행동 활성 시스템(BIS/BAS)
  • 충동적/계획적 공격성 척도(IPAS)
  • 파두아 설문지(Padua Inventory, PI)

5. 1. 1. 배럿 충동성 척도 (BIS)

배럿 충동성 척도(Barratt Impulsiveness Scale, BIS)는 충동적 성격 특성을 측정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척도 중 하나이다. 1959년 어니스트 배럿(Ernest Barratt) 박사가 최초의 BIS를 개발했다.[118] 이 척도는 (1) 테일러 명시 불안 척도(Taylor Manifest Anxiety Scale, MAS) 또는 카텔 불안 척도(Cattell Anxiety Scale)로 측정된 "불안" 항목과 직교하는 "충동성" 항목 식별, (2) 아이쉥크의 외향성 차원 또는 주커만의 감각 추구 차원(특히 탈억제 하위 요인)과 같은 관련 성격 특성 구조 내에서 충동성 정의라는 두 가지 목표를 위해 광범위하게 개정되었다.[118]

1995년에 30개 문항으로 구성된 BIS-11이 개발되었다.[119] 패튼(Patton)과 동료들에 따르면, BIS-11은 3개의 하위 척도와 6개의 요인으로 구성된다.[119]

하위 척도요인
주의력현재 작업에 집중
운동 충동성즉흥적으로 행동
자기 통제신중하게 계획하고 생각
인지 복잡성도전적인 정신적 과제 즐기기
지속성일관된 생활 방식
인지 불안정성사고 삽입 및 빠른 사고


5. 1. 2. 아이젱크 충동성 척도 (EIS)

아이젱크 충동성 척도(EIS)는[120] 충동성을 측정하기 위해 설계된 54개 문항의 예/아니오 설문지이다. 이 척도에서는 충동성, 모험성, 공감이라는 세 가지 하위 척도가 계산된다. 충동성은 "생각 없이, 그리고 행동에 관련된 위험을 깨닫지 못한 채 행동하는 것"으로 정의되며,[121] 모험성은 "행동의 위험을 의식하면서도 행동하는 것"으로 개념화된다.[121] 이 설문지는 요인 분석을 통해 충동성과 모험성에 가장 높은 부하를 갖는 항목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121] EIS는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타당성이 입증된 척도이다.[121]

5. 1. 3. 딕만 충동성 척도

딕만 충동성 척도는 1990년 스콧 J. 딕만(Scott J. Dickman)이 개발한 심리 검사 도구이다.[122] 이 척도는 딕만이 제안한 두 가지 유형의 충동성, 즉 기능적 충동성과 역기능적 충동성을 측정한다.[122]

기능적 충동성은 최적의 상황에서 빠른 의사 결정을 내리는 경향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고 자부심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122] 반면, 역기능적 충동성은 최적이 아닌 상황에서 성급하게 결정을 내려 문제 행동이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경향을 의미한다.[123]

딕만 충동성 척도는 총 63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23개는 역기능적 충동성, 17개는 기능적 충동성, 23개는 채움 문항이다.[123] 딕만은 이 두 가지 충동성 경향이 서로 상관관계가 없으며, 다른 인지적 특성과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1]

이 척도는 아동용 버전[124]과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다.

5. 1. 4. UPPS 충동적 행동 척도

UPPS 충동성 행동 척도[125]는 성격의 5요인 모델 차원에서 충동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45개 항목의 자기 보고식 설문지이다. UPPS는 다음 4가지 하위 척도를 포함한다.

  • 사전 계획 부족: 어떤 행동을 하기 전에 미리 생각하고 계획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을 의미한다.
  • 긴급성: 강한 감정, 특히 부정적 감정(부정적 긴급성)이나 긍정적 감정(긍정적 긴급성)을 경험할 때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 끈기 부족: 어려운 과제나 지루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꾸준히 과제를 지속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을 의미한다.
  • 자극 추구: 새롭고 흥미로운 경험과 자극을 추구하고, 위험을 감수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UPPS-P 충동성 행동 척도(UPPS-P)[126]는 UPPS의 확장판으로, 59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의 네 가지 척도(긴급성, 사전 계획 부족, 끈기 부족, 자극 추구)에 더하여 긍정적 긴급성 척도가 추가되었다.

UPPS-P 단축형(UPPS-Ps)[127]은 5가지 충동성 측면을 각각 4개 항목으로 측정하는 20개 항목 척도이다.

UPPS-R 면접[128]은 UPPS-P에서 평가하는 충동성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개인이 어느 정도 나타내는지 측정하는 반구조화된 면접이다.

5. 1. 5. 평생 충동적 행동 이력 (LHIB)

평생 충동적 행동 이력(LHIB)은 충동적 성향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충동적 행동과 관련된 고통 및 손상 정도를 포함하여 평생 동안의 충동적 행동 이력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된 53개 항목 설문지이다.[129][130]

이 평가 도구는 다음 6가지 차원을 측정한다.[130]

  • (a) 충동성
  • (b) 자극 추구
  • (c) 특성 불안
  • (d) 상태 우울증
  • (e) 공감
  • (f) 사회적 바람직성


LHIB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충동성, 임상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충동성, 그리고 충동과 관련된 고통/손상에 대한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130]

5. 1. 6. 행동 억제 시스템/행동 활성 시스템 (BIS/BAS)

행동 억제 시스템/행동 활성 시스템(BIS/BAS) 척도[131]는 그레이의 생물 심리적 성격 이론에 기반하여 개발되었다. 이 이론은 행동과 정서의 അടിസ്ഥാന을 이루는 두 가지 일반적인 동기 시스템, 즉 행동 억제 시스템(BIS)과 행동 활성 시스템(BAS)이 있다고 제안한다. BIS/BAS 척도는 이러한 기질적인 BIS 및 BAS 민감성을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20문항 자기 보고 설문지이다.

5. 1. 7. 충동적/계획적 공격성 척도 (IPAS)

충동적/계획적 공격성 척도(IPAS)는 30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설문지이다.[132] 이 척도는 충동적 공격성과 계획적 공격성이라는 두 가지 뚜렷한 공격성 하위 유형을 측정한다. 문항의 절반은 충동적 공격성을, 나머지 절반은 계획적 공격성을 설명한다.[132]

충동적 공격성은 자극에 대한 즉각적인 공격적 반응으로, 행동 통제를 잃는 것으로 정의된다.[132] 반면, 계획적 공격성은 자발적이지 않거나 흥분된 상태와 관련이 없는, 계획되거나 의식적인 공격적 행위이다.[132]

IPAS는 공격적 행동의 특성을 주로 충동적이거나 주로 계획적인 것으로 분류하도록 설계되었다.[132] 충동적 요인에 묶인 피험자들은 광범위한 정서적 및 인지적 손상을 보였고, 계획적 요인에 묶인 피험자들은 공격성과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경향을 더 많이 보였다.[132][133]

5. 1. 8. 파두아 설문지 (PI)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파두아 설문지(PI)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이전 답변은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을 유지한다.

파두아 설문지(PI)의 구성과 강박적이고 강제적인 행동 조사 가능성을 설명하는 내용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는다.

5. 2. 행동 패러다임

충동성은 다양한 행동 검사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검사들은 단독으로 임상 진단을 내리지는 못하지만, 다른 진단 기준과 함께 사용되어 충동성의 특정 측면을 파악하고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주요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마시멜로 테스트: 즉각적인 만족을 지연시키는 능력을 평가한다.
  • 지연 할인: 작고 즉각적인 보상과 크지만 지연된 보상 중 선택하게 하여 충동성을 측정한다.
  • 긍정/부정 반응 과제: '긍정' 신호에는 반응하고 '정지' 신호에는 억제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 풍선 유사 위험 과제(BART): 풍선을 부풀려 보상을 얻지만, 터지면 보상을 잃는 방식으로 위험 감수 행동을 측정한다.[141]
  • 아이오와 도박 과제(IGT): 4개의 카드 덱을 선택해 보상을 얻는 과정에서 의사 결정 방식을 평가한다.[152]
  • 저반응률 차등 강화 과제(DRL): 일정 시간 동안 반응하지 않아야 보상을 주는 방식으로 낮은 반응률 유지 능력을 평가한다.
  • 기타 과제: 지속 수행 과제(CPT), 5-선택 연속 반응 시간 과제(5-CSRTT), 스트룹 과제, 친숙한 그림 맞추기 과제 등이 충동성 측정에 활용된다.

5. 2. 1. 마시멜로 테스트

마시멜로 테스트는 충동성을 측정하는 널리 알려진 테스트 중 하나이다.[60] 1960년대에 미취학 아동의 '의지력'과 자기 통제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마시멜로 테스트는 아이 앞에 마시멜로 하나를 놓고, 실험자가 잠시 방을 비운다고 알려준다. 실험자가 돌아왔을 때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기다리면 두 번째 마시멜로를 받을 수 있으며, 두 개 모두 먹을 수 있다고 아이에게 말한다.[135]

이 실험은 단순하고 시행하기 쉽지만, 종단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취학 아동이 두 번째 마시멜로를 얻기 위해 기다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예측한다.

  • 더 높은 SAT 점수[136]
  • 청소년기의 더 나은 사회적 및 정서적 대처 능력[137]
  • 더 높은 학업 성취도[137]
  • 코카인/크랙 사용 감소[138]

5. 2. 2. 지연 할인

기간 선택은 실험실에서 "지연 할인"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측정하는데, 이는 미래의 보상과 처벌의 가치가 얼마나 절하되는지를 나타내는 과정이다.[98] 이 패러다임에서 피험자는 더 작고 빨리 제공되는 보상과 더 크지만 미래에 지연되어 제공되는 보상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이때, 더 작고 빨리 제공되는 보상을 선택하는 것은 충동적인 선택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선택을 반복함으로써 무차별점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지금 70달러를 받는 것보다 일주일 후에 100달러를 받는 것을 선택했지만, 지금 60달러를 받는 것보다 일주일 후에 100달러를 받는 것을 선택했다면, 이 사람은 일주일 후의 100달러와 60달러에서 70달러 사이의 어떤 중간 값에 대해 무차별하다고 추론할 수 있다.

각 참가자에 대한 지연 할인 곡선은 서로 다른 보상 금액과 시간 지연을 사용하여 이러한 무차별점들을 표시하여 얻을 수 있다. 할인 곡선의 개인차는 충동성에 대한 자기 보고 및 통제 소재와 같은 성격 특성, 연령, 성별, 지능 지수, 인종 및 문화와 같은 개인적 특성, 소득 및 교육과 같은 사회 경제적 특성, 그리고 약물 중독[100][101]과 같은 여러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지연 할인은 만족 지연 패러다임의 일종이다.[139] 이는 강화물의 주관적 가치가 강화까지의 지연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거나 '할인'된다는 원리에 기반한다. 피험자들은 더 작고 즉각적인 보상과 더 크지만 지연된 보상 사이에서 다양한 선택을 하게 된다. 여러 차례에 걸쳐 보상 규모나 보상 지연 시간을 조작함으로써, 작고 즉각적인 보상이나 크고 지연된 보상을 선택할 가능성이 거의 동일한 '무차별' 지점을 추정할 수 있다. 일반 인구 집단에 비해 지연에 따른 무차별 지점이 더 가파르게 감소하는 피험자는 충동적인 것으로 분류된다 (즉, 즉각적인 보상에 대한 선호도가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5. 2. 3. 긍정/부정 반응 과제 및 신호 정지 반응 시간 과제

긍정/부정 반응 과제는 제시된 자료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바탕으로 결정을 내리는 '뜨거운 의사 결정'과 합리적인 인지적 판단을 사용하는 '차가운 의사 결정' 과정을 측정한다. 아이오와 도박 과제(IGT)는 이러한 의사 결정 과정을 측정하는 검사 중 하나로, 복내측 전전두피질 손상 환자의 의사 결정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되었다.[152] IGT에서는 4개의 카드 덱이 제공되며, 이 중 두 개는 높은 보상을 제공하지만 공제액도 높고, 나머지 두 개는 보상이 낮지만 공제액도 낮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높은 보상 덱을 선택하는 사람은 돈을 잃고, 낮은 보상 덱을 선택하는 사람은 돈을 벌게 된다. 건강한 사람은 낮은 수익 덱으로 이동하여 더 많은 돈을 벌지만, 감정적 결핍이 있는 사람은 높은 가치 보상의 흥분에 영향을 받아 계속 돈을 잃는다.

정지 신호 반응 시간(SSRT) 과제는 주어진 원문에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이 섹션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5. 2. 4. 풍선 유사 위험 과제 (BART)

풍선 유사 위험 과제(BART)는 위험을 감수하는 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된 실험이다.[141] 실험 참가자는 컴퓨터 화면에 나타나는 풍선을 보고, 응답 키를 눌러 풍선을 조금씩 부풀릴 수 있다. 풍선이 커질수록 참가자는 키를 누를 때마다 보상을 받는다.

풍선은 일정한 확률로 터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풍선이 터지면 그동안 쌓았던 보상은 모두 사라진다. 참가자는 언제든지 풍선 부풀리기를 멈추고 그때까지 얻은 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키를 많이 누를수록 더 큰 보상을 얻을 수 있지만, 동시에 풍선이 터져 보상을 잃을 위험도 커진다.

BART 실험에서는 '위험 감수'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풍선을 더 크게 부풀리다가 터뜨릴 가능성이 높으며, 일반적인 사람들보다 전체적으로 더 적은 보상을 얻는 경향이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있다.

5. 2. 5. 아이오와 도박 과제 (IGT)

아이오와 도박 과제(IGT)는 복내측 전전두피질 손상 환자의 의사 결정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검사이다.[152] IGT에서 충동성은 과도한 감정적/신체적 보상의 증폭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기능으로 정의된다.[142]

IGT 절차는 다음과 같다. 참가자에게는 4개의 카드 덱이 주어지고, 이 중 두 덱은 높은 보상을 제공하지만 공제액도 높다. 나머지 두 덱은 카드당 보상은 낮지만 공제액도 낮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높은 보상 덱을 주로 선택하면 돈을 잃게 되고, 작은 보상 덱을 선택하면 돈을 벌게 된다.

IGT는 뜨겁고 차가운 의사 결정 과정을 사용한다.[142] 뜨거운 의사 결정은 보상과 처벌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포함하며, 차가운 과정은 합리적인 인지적 판단을 사용한다. 건강한 참가자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선택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 반응을 얻고,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선택에 대해 부정적 감정 반응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IGT에 건강하게 반응하는 사람은 낮은 수익 덱이 일관되게 보상을 제공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꾸준히 이기는 것과 관련된 감정을 통해 낮은 수익 덱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감정적 결핍이 있는 사람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돈을 잃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손실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에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가치 보상의 흥분에 계속 영향을 받는다.

5. 2. 6. 저반응률 차등 강화 과제 (DRL)

임상 및 실험 환경에서 충동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행동 검사가 고안되었다. 단일 검사로는 실제 임상 진단을 완벽하게 예측하거나 대체할 수 없지만, 부모/교사 보고서, 행동 설문 조사 및 기타 진단 기준과 함께 사용될 때 행동 패러다임은 충동성 범위 내의 특정하고 개별적인 측면을 좁힐 수 있다는 유용성이 있다. 특정 결손을 정량화하는 것은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치료 효과를 얻는 데 관심이 있는 임상의와 실험자 모두에게 유용하다.

5. 2. 7. 기타

충동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몇 가지 과제는 다음과 같다.[135]

  • 지속 수행 과제 (Continuous performance task, CPT): 컴퓨터 화면에 일련의 문자가 제시되고, 특정 문자가 나타날 때마다 버튼을 눌러야 한다. 이 과제는 지속적인 주의력과 충동 억제 능력을 평가한다.
  • 5-선택 연속 반응 시간 과제 (5-choice serial reaction time task, 5-CSRTT): 쥐를 대상으로 하는 실험에서 주로 사용되며, 5개의 구멍 중 하나에 불이 켜지는 것을 보고 해당 구멍에 코를 찔러 넣어야 한다. 이 과제는 주의력과 충동 조절 능력을 평가한다.
  • 스트룹 과제 (Stroop task): 단어의 의미와 글자 색상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예: "빨강"이라는 단어가 파란색으로 쓰여 있는 경우) 글자 색상을 말해야 한다. 이 과제는 간섭 억제 능력을 평가한다.
  • 친숙한 그림 맞추기 과제 (Matching familiar figures test, MFFT): 여러 개의 비슷한 그림 중에서 표적 그림과 동일한 그림을 찾아야 한다. 이 과제는 충동성과 인지 스타일을 평가한다.


이 외에도 '마시멜로 테스트']로 알려진 보상 지연 패러다임[60]이 충동성을 측정하는 테스트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60년대에 개발된 이 실험은 아이에게 마시멜로 하나를 주고, 실험자가 돌아올 때까지 먹지 않으면 마시멜로를 하나 더 받을 수 있다고 말한다.[135] 이 테스트는 만족 지연 능력과 충동 조절 능력을 평가하며, 더 높은 SAT 점수, 더 나은 사회적, 정서적 대처 능력, 더 높은 학업 성취도, 그리고 적은 코카인/크랙 사용을 예측한다.[136][137][138]

6. 약리학 및 신경생물학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는 부주의, 충동성, 과잉 행동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장애로, 전 세계적으로 4%에서 10% 사이의 유병률을 보인다.[31] ADHD는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IV-TR)에 따라 주의력 결핍 우세형, 과잉 행동-충동성 우세형, 혼합형의 세 가지 하위 유형으로 구분된다.[30]

ADHD의 주요 약물 치료법은 메틸페니데이트(리탈린)와 암페타민이다. 이 약물들은 시냅스 이전 뉴런에서 도파민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차단하여 시냅스 후의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 수치를 증가시킨다.[154] 도파민 가용성 증가는 ADHD 약물 개선 효과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며, 노르에피네프린 수치 증가는 도파민에 대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따라 효과적일 수 있다.[154] 도파민 재흡수 억제제의 효과는 ADHD가 낮은 수준의 도파민에서 기인할 수 있다는 가설로 이어졌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엇갈리고 있다.[155][156]

충동성과 관련된 유전자는 다음과 같다.


  • DAT1: 신경 시냅스에서 도파민의 능동적인 재흡수를 담당하는 도파민 수송체 유전자이다. DAT1 다형성은 과잉 행동 및 ADHD와 관련이 있다.[159]
  • DRD4: 도파민 D4 수용체 유전자이며, ADHD 및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행동과 관련이 있다.[157][160]
  • 5HT2A: 세로토닌 수용체 유전자이다. 세로토닌 2A 수용체 유전자는 과다 운동성, ADHD, 그리고 충동성과 관련이 있다.[162]
  • HTR2B: 세로토닌 수용체 유전자이다.[163]
  • CTNNA2: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GWAS)에서 흥분 추구와 관련이 있는 뇌에서 발현되는 α-카테닌을 암호화한다.[164]


충동성은 오랫동안 하나의 특성으로 여겨졌지만, 심층 분석을 통해 긍정적 긴급성, 부정적 긴급성, 자극 추구, 계획 부족, 지속력 부족의 다섯 가지 특성으로 구성됨이 밝혀졌다.[176][177][178][179]

6. 1. 신경생물학적 발견

충동성의 정확한 신경 메커니즘은 완전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전두엽 피질(PFC)은 충동성과 가장 널리 관련된 뇌 영역이다.[145] 전두엽 피질 손상은 행동 준비, 반응 대안 간 전환, 부적절한 반응 억제 등의 어려움과 관련이 있다.[146]

안와전두피질은 탈억제에,[149] 오른쪽 아래 이마이랑은 정지 신호 억제 결함과 관련이 있다.[150] 핵의 중심 영역은 반응 억제와 관련이 있으며,[151] 전대상피질 병변은 충동적인 반응을 증가시킨다.

6. 1. 1. 지연 할인

핵주위 피각 부위[102] 또는 기저 외측 편도체[103]의 병변은 더 작고 빨리 제공되는 보상을 선택하게 한다. 이는 이러한 뇌 영역이 지연 강화제에 대한 선호도에 관여함을 시사한다. 내측 측좌핵의 흥분성 병변은 작고 즉각적인 보상에 대한 선호를 증가시키지만, 외측 측좌핵의 병변은 관찰 가능한 효과가 없었다. 또한, 전전두피질과 밀접하게 관련된 부위인 기저외측 편도체의 병변은 측좌핵 중심부 병변과 유사하게 충동적인 선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47] 배쪽선조체 역시 복잡한 방식으로 충동적인 선택에 관여할 수 있다.[148]

6. 1. 2. 긍정/부정 반응 과제 및 신호 정지 반응 시간 과제

안와전두피질은 탈억제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며,[149] 전두엽 피질(PFC)의 특정 하위 영역인 오른쪽 아래 이마이랑 같은 다른 뇌 구조의 손상은 정지 신호 억제 결함과 관련이 있다.[150]

6. 1. 3. 5-선택 연속 반응 시간 과제 (5-CSRTT) 및 저반응률 차등 강화 과제 (DRL)

핵의 중심 영역은 지연 할인, DRL 및 5-CSRTT 모두에 대한 반응 억제와 관련이 있다. 5-CSRTT의 조기 반응은 복측선조체 내의 다른 시스템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 5-CSRTT에서 전대상피질의 병변은 충동적인 반응을 증가시키며, 전전두피질 병변은 주의력 수행을 손상시킨다.[151]

6. 1. 4. 아이오와 도박 과제 (IGT)

복내측 전전두피질 손상은 행동 준비, 반응 대안 간 전환, 부적절한 반응 억제 등의 어려움과 관련된다.[146]

6. 2. 신경화학 및 약리학적 발견

메틸페니데이트(리탈린)와 암페타민은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의 주요 약물 치료법이다. 이 약물들은 시냅스 이전 뉴런에서 도파민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차단하여, 시냅스 이후의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 수치를 증가시킨다.[154] 이 두 가지 모노아민 중, 도파민의 가용성 증가는 ADHD 약물의 개선 효과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며, 노르에피네프린 수치 증가는 도파민에 대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따라 효과적일 수 있다.[154]

도파민 재흡수 억제제가 ADHD 증상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ADHD가 (특히 전두엽-변연계 회로에서) 낮은 수준의 도파민에서 기인할 수 있다는 가설로 이어졌지만, 이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엇갈리고 있다.[155][156]

7. 유전학

충동성과 같은 복잡한 형질의 유전자를 식별하는 데에는 여러 어려움이 따른다. 예를 들어 유전적 이질성이 존재한다.[157] 또 다른 어려움은 문제의 유전자가 때때로 불완전 침투, 즉 "특정 유전자 변이가 항상 표현형을 유발하지 않는 경우"를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157]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와 같은 충동성 관련 장애의 유전학 연구는 대부분 가족 연구 또는 연관 연구에 기반한다.[158]

연구된 주요 유전자는 다음과 같다:


  • DAT1: 신경 시냅스에서 도파민의 능동적인 재흡수를 담당하는 도파민 수송체 유전자이다. DAT1 다형성은 과잉 행동 및 ADHD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59]
  • DRD4: 도파민 D4 수용체 유전자이며, ADHD 및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행동과 관련이 있다.[157][160]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행동은 충동성과 관련이 있다고 제안되었다. DRD4가 결핍된 쥐는 새로운 것에 대한 행동 반응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161]
  • 5HT2A: 세로토닌 수용체 유전자이다. 세로토닌 2A 수용체 유전자는 과다 운동성, ADHD, 그리고 충동성과 관련이 있다. 5HT2A 유전자의 특정 다형성을 가진 피험자는 가다/멈춤 과제에서 처벌-보상 조건 동안 더 많은 오류를 범했다.[162]
  • HTR2B: 세로토닌 수용체 유전자이다.[163]
  • CTNNA2: 7860명의 개인을 대상으로 한 전장 유전체 연관 연구(GWAS)에서 흥분 추구와 관련이 있는 뇌에서 발현되는 α-카테닌을 암호화한다.[164]

8. 중재

충동성을 조절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충동성은 인간의 사고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부분이지만, 강박 장애, 경계성 성격 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태아 알코올 스펙트럼 장애와 같은 특정 상황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다.[23] 이러한 충동성을 조절하기 위해 심리학적 접근, 행동 치료, 약물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된다.

만족 지연은 원하는 것을 즉시 얻으려는 욕구를 억제하는 능력으로, 충동 조절에 해당한다.[24] 이는 사회생활과 성격 심리학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아동기에 만족 지연의 가치를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24]

많은 심리적 문제는 특정 상황에서 통제력을 잃거나 부족한 것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약물 남용, 성도착증과 같은 부적응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25]

8. 1. 일반적인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

충동성에 대한 자아(인지) 고갈 이론에 따르면, 자기 통제는 자신의 반응을 변화시키는 능력, 특히 이상, 가치, 도덕, 사회적 기대와 같은 기준에 맞춰 장기적인 목표 추구를 지원하는 능력을 의미한다.[83] 자기 통제는 한 가지 반응을 억제하거나 무시하고 다른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83]

충동성은 병적인 형태(예: 약물 사용 장애, ADHD)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심각하지 않은 비임상적인 형태로도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적 충동성에 대한 연구는 의사 결정 방식을 바꾸고 충동적인 행동을 줄이기 위한 작은 개입에 도움이 될 수 있다.[165] 예를 들어, 보상에 대한 인지적 표상을 변경하거나(예: 장기적인 보상을 더 구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것) "사전 약속" 상황을 만드는 것(나중에 마음을 바꿀 수 있는 선택지를 없애는 것)은 즉각적인 보상에 대한 선호를 줄일 수 있다.

오랜 기간 동안 충동성은 하나의 특성으로 여겨졌지만, 더 깊은 분석을 통해 긍정적 긴급성, 부정적 긴급성, 자극 추구, 계획 부족, 그리고 지속력 부족이라는 다섯 가지 특성이 충동적인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것이 밝혀졌다.[176][177][178][179]

뇌 훈련 중재에는 억제 제어 훈련과 작업 기억 훈련 등이 있다.[76]

8. 1. 1. 뇌 훈련

뇌 훈련 중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 실험실 기반 중재는 주로 집행 기능과 자기 통제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둘째, 지역 사회, 가족, 학교 기반 중재는 이러한 환경에서 충동성을 조절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76]

억제 제어 훈련(Inhibitory control training)과 작업 기억 훈련(working memory training)은 뇌 훈련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하지만 이 두 훈련의 효과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이러한 훈련이 특정 인지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하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그 효과가 제한적이거나 일반화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76]

8. 2. 특정 충동성 장애 치료

충동성을 수반하는 장애에 대해서는 행동 치료, 심리 사회적 치료, 정신 약물 치료가 일반적이다.[76]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경우, 행동 부모 훈련, 행동 교실 관리, 또래 중심 행동 개입, 조직 훈련 등이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173][174]

물질 사용 장애에는 통합 행동 부부 치료, 인지 행동 치료(CBT), 대처 관리, 동기 강화 치료, 재발 방지 등의 행동 치료법이 효과적이다.

방화광도벽은 연구가 부족하지만, CBT, 단기 상담, 주간 치료 프로그램 등이 방화광 치료에 효과적이며, 도벽은 SSRI 사용이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76] 폭발적인 공격적 행동에는 CBT, 가족 치료, 사회성 기술 훈련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76]

8. 2. 1. 정신약물학적 중재

충동성 장애에 대한 정신약물학적 중재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는 증거가 있다. 일반적인 약물학적 중재에는 흥분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및 기타 항우울제 사용이 포함된다.[76]

8. 2. 2. 행동 중재

충동 조절 장애에 대한 행동 치료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는 증거가 많다.[76]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경우, 행동 부모 훈련, 행동 교실 관리, 또래 중심 행동 개입은 엄격한 지침을 충족하여 증거 기반 치료로 인정받는다.[173] 또한, 최근 ADHD 치료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 조직 훈련이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나타났다.[174]

물질 사용 장애에 대한 행동 치료법은 전반적으로 유사하며, 통합 행동 부부 치료, 인지 행동 치료(CBT), 대처 관리, 동기 강화 치료, 재발 방지 등이 있다.

방화광도벽은 연구가 부족하지만 (주로 불법적인 행동이기 때문), 정신 치료적 개입(CBT, 단기 상담, 주간 치료 프로그램)이 방화광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증거가 있으며, 도벽은 SSRI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76] 또한, CBT, 가족 치료, 사회성 기술 훈련과 같은 치료법이 폭발적인 공격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76]

참조

[1] 서적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https://archive.org/[...] APA
[2] 서적 The Impulsive Client: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 서적 Impulsivity: The Behavioral and Neurological Science of Discountin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 학술지 Varieties of impulsivity
[5] 학술지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Personality and cognitive correlates https://archive.org/[...]
[6] 서적 The Science of Self-Control Harvard University Press
[7] 학술지 Is ADHD a disinhibitory disorder?
[8] 학술지 Relationships Among Laboratory and Psychometric Measures of Impulsivity: Implications in Substance Abuse and Dependence
[9] 학술지 Impulsive and self-control choices in opioid-dependent patients and non-drug-using control patients: Drug and monetary rewards
[10] 학술지 Affective instability and impulsivity in borderline personality and bipolar II disorder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11] 학술지 Response inhibition and impulsivity: An fMRI study https://archive.org/[...]
[12] 학술지 Impulsivity, self-control, and delay discounting in persons with acquired brain injury https://archive.org/[...]
[13] 학술지 Decision-making cognition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14] 서적 The Dictionary of Psychology Psychology Press
[15] 학술지 Impulsivity, time perception, emotion and reinforcement sensitivity in patients with orbitofrontal cortex lesions
[16] 학술지 Deficits in Decision-Making in Head Injury Survivors
[17] 학술지 Dissociable frontostriatal white matter connectivity underlies reward and motor impulsivity
[18] 학술지 Adolescent impulsivity phenotypes characterized by distinct brain networks
[19] 학술지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Impulsivity and Compulsivity http://www.psychiatr[...] 2008-07-01
[20] 서적 Impulsivity and Compulsivity American Psychiatric Press
[21] 학술지 Impulsivity and compulsivity in bulimia nervosa https://archive.org/[...]
[22] 학술지 The Effects of Alcohol Problems and Smoking on Delay Discounting in Individuals with Gambling Problems Informa UK Limited
[23] 웹사이트 Acting on Impulse https://www.psycholo[...] Psychology Today 2016-02-20
[24] 웹사이트 Childhood Obesity and Delayed Gratification Behavior: A Systematic Review of Experimental Studies https://www.scienced[...] 2016-02-01
[25] 웹사이트 Psychological Impulse Control Disorders http://www.psycholog[...] 2022-09-07
[26] 학술지 Integrating affect and impulsivity: The role of positive and negative urgency in substance use risk 2016-06
[27] 학술지 Clarifying the role of impulsivity in bulimia nervosa 2003-05
[28] 학술지 A Comparison of Two Models of Urgency: Urgency Predicts Both Rash Action and Depression in Youth 2013-07
[29] 학술지 The Five-Factor Model of Impulsivity-Like Traits and Emotional Lability in Aggressive Behavior: Impulsivity, Emotional Lability, and Aggression 2013-05
[30]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1] 학술지 Variations in prevalenc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orldwide 2006-12-21
[32] 학술지 Prevalence,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a National Sample of US Children
[33] 학술지 The ecological validity of delay aversion and response inhibition as measures of impulsivity in AD/HD: A supplement to the NIMH multimodal treatment study of AD/HD https://archive.org/[...]
[34] 학술지 The Economic Impact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35] 학술지 Prevalence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comorbid disorders in young male prison inmates
[36] 논문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Adult ADHD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37] 논문 Psychiatric Comorbidity and Functioning in Clinically Referred Preschool Children and School-Age Youths with ADHD
[38] 논문 Epidemiology of ADHD in school-age children
[39] 논문 The Cognitive Neuroscience of Response Inhibition: Relevance for Genetic Research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40] 논문 Neurocognitive mechanisms of cognitive control: The role of prefrontal cortex in action selection, response inhibition, performance monitoring, and reward-based learning
[41] 논문 Implication of Right Frontostriatal Circuitry in Response Inhibition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https://zenodo.org/r[...]
[42] 논문 Book Review: Pliszka, S. R., UTHSCSA Treating ADHD and Comorbid Disorders: Psychosocial and Psycho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New York: Guilford, 2008 http://dx.doi.org/10[...] 2010-12-09
[43] 논문 The role of impulsive behavior in drug abuse https://archive.org/[...]
[44] 논문 Impulsivity as a determinant and consequence of drug use: A review of underlying processes
[45] 논문 Dual determinants of drug use in humans: Reward and impulsivity
[46] 논문 Delay discounting is associated with substance use in college students https://archive.org/[...]
[47] 논문 The impact of impulsivity on cocaine use and retention in treatment https://archive.org/[...]
[48] 논문 Effect of impulsivity on craving and behavioral reactivity to smoking cues https://archive.org/[...]
[49] 논문 Self-Regulatory Failure: A Resource-Depletion Approach
[50] 논문 Reflective and impulsive influences on unhealthy snack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food related self-control
[51] 논문 Emotional distress regulation takes precedence over impulse control: If you feel bad, do it! https://archive.org/[...]
[52] 논문 Three ways to resist temptation: The independent contributions of executive attention, inhibitory control, and affect regulation to the impulse control of eating behavior https://hal.archives[...]
[53] 논문 Binge eating as escape from self-awareness https://archive.org/[...]
[54] 논문 Impulsivity in women with eating disorders: Problem of response inhibition, planning, or attention? https://archive.org/[...]
[55] 논문 Reduced serotonin transporter binding in binge eating women https://archive.org/[...]
[56] 논문 The role of impulsivity in the development of substance use and eating disorders
[57] 논문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the Eating Disorders 2021-05-07
[58] 논문 Impulse buying: Modeling its precursors https://archive.org/[...]
[59] 간행물 The joy of candy National Petroleum News Supplement
[60] 논문 Cognitive and attentional mechanisms in delay of gratification https://archive.org/[...]
[61] 논문 Spent Resources: Self-Regulatory Resource Availability Affects Impulse Buying https://archive.org/[...]
[62] 논문 Reflective and Impulsive Determinants of Consumer Behavior https://archive.org/[...]
[63] 논문 Impulse Purchases of Sport Team Licensed Merchandise: What Matters? http://journals.huma[...]
[64] 논문 The Buying Impulse https://archive.org/[...]
[65] 서적 Impulse-contro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66] 논문 Cue exposure in compulsive buying https://archive.org/[...]
[67] 서적 Consuming passions: help for compulsive shoppers NewHarbinger Publications
[68] 논문 Fluvoxamine in the treatment of compulsive buying
[69] 논문 A Double-Blind Comparison of Fluvoxamine Versus Placebo in the Treatment of Compulsive Buying Disorder
[70] 논문 Citalopram Treatment of Compulsive Shopping
[71] 서적 ECDEU assessment manual for psychopharmacology, Publication ADM 76 338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72] 논문 Escitalopram for Compulsive Buying Disorder https://archive.org/[...]
[73] 논문 Opioid Antagonists in the Treatment of Impulse-Control Disorders
[74] 논문 Three cases of compulsive buying treated with naltrexone
[75] 서적 Clinical manual of impulse-contro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Press
[76] 논문 Epidemiologic and clinical updates on impulse control disorders: A critical review
[77] 웹사이트 DSM-5 http://www.dsm5.org/[...] 2013-01-30
[78] 논문 Neuropsychological functioning in kleptomania☆ https://archive.org/[...]
[79] 논문 Probing Compulsive and Impulsive Behaviors, from Animal Models to Endophenotypes: A Narrative Review
[80] 논문 Motor inhibition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pathologic skin picking
[81] 논문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athological gambling and substance use disorders: A focus on impulsivity and compulsivity
[82] 논문 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 as a Disorder of Impulsive Aggression for DSM-5 https://archive.org/[...]
[83] 논문 The Strength Model of Self-Control
[84] 논문 Ego depletion: Is the active self a limited resource? https://archive.org/[...]
[85] 논문 Self-regulation and depletion of limited resources: Does self-control resemble a muscle? https://archive.org/[...]
[86] 논문 Ego depletion and the strength model of self-control: A meta-analysis https://archive.org/[...]
[87] 논문 Self-Regulation and Personality: How Interventions Increase Regulatory Success, and How Depletion Moderates the Effects of Traits on Behavior https://archive.org/[...]
[88] 논문 Conserving self-control strength https://archive.org/[...]
[89] 논문 Mechanisms of Self-Control Failure: Motivation and Limited Resources https://archive.org/[...]
[90] 논문 Self-control as a limited resource: Regulatory depletion patterns https://archive.org/[...]
[91] 논문 High-maintenance interaction: Inefficient social coordination impairs self-regulation https://archive.org/[...]
[9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Human Moti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93] 논문 The Effects of Success versus Failure Feedback on Further Self-Control
[94] 논문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Irrational Judgments on Gambling Tasks: A Dual-Process Account https://archive.org/[...]
[9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Social Cognition Oup USA
[96] 논문 The self-regulation of automatic associations and behavioral impulses https://escholarship[...]
[97] 논문 Cognitive-experiential self-theory and subjective probability: Further evidence for two conceptual systems https://archive.org/[...]
[98] 논문 Intertemporal choice –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http://nrs.harvard.e[...]
[99] 논문 Things for Those Who Wait: Predictive Modeling Highlights Importance of Delay Discounting for Income Attainment
[100] 논문 Delayed reward discounting and addictive behavior
[101] 서적 Impulsivity: The behavioral and neurological science of discounting
[102] 논문 Impulsive Choice Induced in Rats by Lesions of the Nucleus Accumbens Core
[103] 논문 Contrasting Roles of Basolateral Amygdala and Orbitofrontal Cortex in Impulsive Choice
[104] 논문 Separate Neural Systems Value Immediate and Delayed Monetary Rewards
[105] 서적 Choice Over Time Russell Sage Foundation
[106] 서적 The Science of Self-Control Harvard University Press
[107] 논문 Preference reversal and delayed reinforcement
[108] 논문 Preference reversals with food and water reinforcers in rats
[109] 논문 The ecology and evolution of patience in two New World monkeys
[110] 논문 Impulsivity and Inhibitory Control https://archive.org/[...]
[111] 논문 Associations between laboratory measures of executive inhibitory control and self-reported impulsivity https://archive.org/[...]
[112] 논문 On inhibition/disinhibition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Views from cognitive and personality psychology and a working inhibition taxonomy https://archive.org/[...]
[113] 논문 Optimizing the use of information: Strategic control of activation of responses
[114] 학회발표 Executive functions: Developmental perspective University of Toronto Division of Child Psychiatry 1997-05-00
[115] 논문 Imaging Cognition: An Empirical Review of PET Studies with Normal Subjects https://archive.org/[...]
[116] 논문 On the ability to inhibit simple and choice reaction time responses: A model and a method
[117] 논문 Increasing and decreasing motor and cognitive output: A model of general action and inaction goals
[118] 논문 Anxiety and Impulsiveness Related to Psychomotor Efficiency
[119] 논문 Factor structure of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https://archive.org/[...]
[120] 논문 Age norms for impulsiveness, venturesomeness and empathy in adults
[121] 논문 Assessing self-injurious behaviors on a College Campus http://commons.emich[...]
[122] 논문 Impulsivity and Rapid Decision-Making for Reward 2012-05-22
[123] 논문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Personality and cognitive correlates
[124] 논문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in children and their relationship to Eysenck's impulsiveness and venturesomeness dimensions
[125] 논문 The Five Factor Model and impulsivity: Using a structural model of personality to understand impulsivity https://archive.org/[...]
[126] 논문 Integration of impulsivity and positive mood to predict risky behavio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of positive urgency https://archive.org/[...]
[127] 논문 Validation of a short French version of the UPPS-P Impulsive Behavior Scale
[128] 학회발표 Toward a comprehensive model of multiple dispositions to rash action
[129] PhD Thesi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ifetime History of Impulsive Behaviors Interview and Self-Report Measures
[130] 논문 Evaluation of behavioral impulsivity and aggression tasks as endophenotypes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31] 논문 Behavioral inhibition, behavioral activation, and affective responses to impending reward and punishment: The BIS/BAS Scales https://archive.org/[...]
[132] 논문 Characterizing Aggressive Behavior
[133] 논문 Characterizing aggressive behavior with the Impulsive/Premeditated Aggression Scale among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2007-06-00
[134] 웹사이트 Padua Inventory-Washington State University Revision http://www.commondat[...]
[135] 논문 Cognitive and attentional mechanisms in delay of gratification. https://archive.org/[...] 1972-00-00
[136] 논문 The nature of adolescent competencies predicted by preschool delay of gratification https://archive.org/[...]
[137] 논문 Predicting adolescent cognitive and self-regulatory competencies from preschool delay of gratification: Identifying diagnostic conditions https://scholarworks[...]
[138] 논문 Regulating the interpersonal self: Strategic self-regulation for coping with rejection sensitivity https://archive.org/[...]
[139] 서적 The effect of delay and of intervening events on reinforcement value Erlbaum
[140] 논문 Global 5-HT depletion attenuates the ability of amphetamine to decrease impulsive choice on a delay-discounting task in rats https://archive.org/[...] 2003-11-00
[141] 논문 Evaluation of a behavioral measure of risk taking: The Balloon Analogue Risk Task (BART) https://archive.org/[...]
[142] 논문 Construct Validity of the Iowa Gambling Task
[143] 서적 Schedules of reinforcement Appleton-Century-Crofts
[144] 논문 The assessment of impulsivity and mediating behaviors in hyperactive and nonhyperactive boys https://archive.org/[...]
[145] 논문 Neuroscience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The search for endophenotypes
[146] 논문 Behavioral models of impulsivity in relation to ADHD: Translation between clinical and preclinical studies
[147] 논문 Impulsivity, Compulsivity, and Top-Down Cognitive Control
[148] 논문 The role of the dorsal striatum in choice impulsivity
[149] 논문 Impulsivity, time perception, emotion and reinforcement sensitivity in patients with orbitofrontal cortex lesions
[150] 논문 Stop-signal inhibition disrupted by damage to right inferior frontal gyrus in humans
[151] 논문 The Cerebral Cortex of the Rat and Visual Attentional Function: Dissociable Effects of Mediofrontal, Cingulate, Anterior Dorsolateral, and Parietal Cortex Lesions on a Five-Choice Serial Reaction Time Task
[152] 논문 Insensitivity to future consequences following damage to human prefrontal cortex
[153] 논문 Different Contributions of the Human Amygdala and 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 to Decision-Making
[154] 논문 Mechanism of Action of Agents Used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http://article.psych[...]
[155] 논문 Dopamine transporter density in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156] 논문 Evaluating Dopamine Reward Pathway in ADHD: Clinical Implications
[157] 논문 Review: Genetics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158] 서적 The Genetics of Cognitive Neuroscience https://archive.org/[...] MIT Press
[159] 논문 The analysis of 51 genes in DSM-IV combined typ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ssociation signals in DRD4, DAT1 and 16 other genes
[160] 논문 Dopamine D4 receptor gene DRD4 and its association with psychiatric disorders
[161] 논문 Dopamine D4 Receptor-Knock-Out Mice Exhibit Reduced Exploration of Novel Stimuli
[162] 논문 Involvement of a polymorphism in the 5-HT2A receptor gene in impulsive behavior https://archive.org/[...]
[163] 논문 A population-specific HTR2B stop codon predisposes to severe impulsivity
[164] 논문 Meta-analysis of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identifies common variants in CTNNA2 associated with excitement-seeking
[165] 논문 How behavioral decision research can enhance consumer welfare: From freedom of choice to paternalistic intervention
[166] 논문 Training Self-Control: A Domain-General Translational Neuroscience Approach
[167] 논문 Executive functions and self-regulation
[168] 논문 Training inhibitory control. A recipe for resisting sweet temptations https://zenodo.org/r[...]
[169] 논문 Resisting temptation: Decreasing alcohol-related affect and drinking behavior by training response inhibition https://cris.maastri[...]
[170] 논문 Is working memory training effective? https://archive.org/[...]
[171] 논문 Clinical Relevance of the Primary Findings of the MTA: Success Rates Based on Severity of ADHD and ODD Symptoms at the End of Treatment
[172] 논문 Evidence-based practices for substance use disorders
[173] 논문 Evidence-Based Psychosocial Treatments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174] 논문 Evidence-based psychosocial treatment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175] 웹사이트 衝動性の神経発達学的見解〜ダルナほか (1993) https://archive.org/[...] 2024-10-30
[176] 웹사이트 感情と衝動性の統合: 薬物使用リスクにおけるポジティブおよびネガティブな緊急性の役割〜スミス、グレゴリー・T.サイダーズ、メリッサ A. (2016) https://pmc.ncbi.nlm[...] 2024-11-01
[177] 웹사이트 神経性過食症における衝動性の役割の解明〜フィッシャー、サラ。スミス、グレゴリー・T.アンダーソン、クリステン G. (2003) https://onlinelibrar[...] 2024-11-01
[178] 웹사이트 緊急性の 2 つのモデルの比較: 緊急性は若者の性急な行動とうつ病の両方を予測する〜スミス、グレゴリー・T.ガラー、レイラ。ザポルスキー、タミカ C.B. (2013) https://pmc.ncbi.nlm[...] 2024-11-01
[179] 웹사이트 攻撃的行動における衝動性のような特性と情緒不安定性の 5 要素モデル: 衝動性、情緒不安定性、攻撃性 https://pmc.ncbi.nlm[...] 2024-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