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퍼지 집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퍼지 집합은 고전적인 집합의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 각 원소가 0과 1 사이의 소속도를 갖는 집합이다. 퍼지 집합은 소속 함수를 통해 정의되며, 0은 비회원, 1은 완전한 회원, 0과 1 사이의 값은 부분적인 회원을 나타낸다. 퍼지 집합은 전체집합, 공집합, α-절단, 지지집합, 핵 등의 기본 개념을 가지며, 여집합,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과 같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퍼지 논리는 다치 논리를 확장하여 점진적인 결론을 도출하며, 퍼지 수는 정규화되고 볼록한 멤버십 함수를 갖는 퍼지 집합이다. 또한, 퍼지 집합의 엔트로피는 불확실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되며, 멤버십 함수를 일반화하여 L-퍼지 집합, 직관적 퍼지 집합, 그림 퍼지 집합, 신트로픽 퍼지 집합, 피타고라스 퍼지 집합 등 다양한 확장된 개념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퍼지 논리 - 퍼지 제어 시스템
    퍼지 제어 시스템은 퍼지 논리를 기반으로 복잡한 시스템을 제어하며, 퍼지 집합, 퍼지 규칙 등을 활용하여 입력, 처리, 출력 단계를 거쳐 제어 결과를 도출한다.
  • 집합론 - 무한 집합
    무한 집합은 유한 집합이 아니며, 자연수보다 큰 크기를 가지고 자신의 진부분집합과 일대일 대응을 가지며, 가산 무한 집합과 비가산 무한 집합으로 나뉜다.
  • 집합론 - 가산 집합
    가산 집합은 자연수 집합의 기수보다 작거나 같은 기수를 가지는 집합으로, 유한 집합이거나 자연수 집합과 일대일 대응을 이루는 가산 무한 집합을 포함하며, 정수 집합과 유리수 집합이 그 예시이다.
  • 수학 - 회귀 분석
    회귀 분석은 종속 변수와 하나 이상의 독립 변수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통계적 기법으로, 최소 제곱법 개발 이후 골턴의 연구로 '회귀' 용어가 도입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예측 및 인과 관계 분석에 활용된다.
  • 수학 - 수학적 최적화
    수학적 최적화는 주어진 집합에서 실수 또는 정수 변수를 갖는 함수의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찾는 문제로, 변수 종류, 제약 조건, 목적 함수 개수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활용된다.
퍼지 집합
개요
설명요소가 멤버십 정도를 가지는 집합
창시자로트피 자데
첫 출판1965년
초기 접근솔리 (1965)
쿠즈민 (1982)
주요 개념
멤버십 정도요소가 집합에 속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 (0과 1 사이)
특성 함수각 요소에 멤버십 정도를 할당하는 함수
응용 분야
설명제어 이론
의사 결정
데이터 분석
생물 정보학
관련 개념
설명러프 집합
다치 집합
베이즈 확률
참고 문헌
설명자데의 퍼지 집합 논문(1965)
고트발트의 퍼지 집합 논문(2010)
BMC Bioinformatics 논문(2006)

2. 정의

퍼지 집합은 집합 U와 소속 함수 \mu_A: \, U \rarr [0, 1]에 의해 정의된다. 이때, x \in U에 대해 \mu_A(x)A에 대한 x의 소속도를 나타내며,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진다. 소속 함수는 고전적인 집합에서의 지시 함수의 확장으로 볼 수 있다.

퍼지 집합은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A = \left\{(x, \mu_A(x))|x \in U \right\}

이를 소속함수 표기법이라 한다.

U유한 집합일 경우 고전적인 집합의 원소나열법과 비슷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 = \left\{ 1, 2, 3, 4, 5 \right\}이고, \mu_A(1) = 0.7,\, \mu_A(2) = 0.5,\, \mu_A(3) = 0.2,\, \mu_A(4) = 0,\, \mu_A(5) = 0이라면, 다음과 같이 순서쌍들의 나열로 표시할 수 있다.

:A = \left\{(1, 0.7), (2, 0.5), (3, 0.2) \right\}

그러나 \left\{ x \in U | \mu_A(x) \ne 0 \right\}에서 U무한 집합일 경우에는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퍼지 집합은 쌍 (U, m)으로 나타내며, 여기서 U는 집합(대개 공집합이 아닌)이고 m\colon U \rightarrow [0,1]은 멤버십 함수이다. 기준 집합 U(때때로 \Omega 또는 X로 표기)는 '''논의 영역'''이라고 하며, 각 x\in U에 대해 값 m(x)(U,m)에서 x의 '''소속도'''라고 한다. 함수 m = \mu_A를 퍼지 집합 A = (U, m)의 '''멤버십 함수'''(소속 함수)라고 한다.

유한 집합 U=\{x_1,\dots,x_n\}에 대해 퍼지 집합 (U, m)은 종종 \{m(x_1)/x_1,\dots,m(x_n)/x_n\}으로 표기한다.

x \in U일 때, x는 다음과 같이 불린다.


  • m(x) = 0인 경우 퍼지 집합 (U,m)에 '''포함되지 않음''' (비회원)
  • m(x) = 1인 경우 '''완전히 포함됨''' (정회원)
  • 0 < m(x) < 1인 경우 '''부분적으로 포함됨''' (퍼지 회원).[5]


논의 영역 U의 모든 퍼지 집합의 (명확한) 집합은 SF(U)(또는 때때로 F(U))로 표기한다.[8]

퍼지 집합의 원소가 얼마나 집합에 속하는지는 멤버십 함수(소속 함수)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떤 연령의 사람을 "젊은이", "중년", "노인"의 세 종류로 나누는 것을 생각해 보자. 이때 어느 정도의 나이까지를 젊은이로 할지, 노인으로 할지는 사람에 따라 의견이 갈리는 부분이다. 퍼지 이론(퍼지 집합 이론)은 이러한 애매한 사건을 정량화하여 집합처럼 다루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젊은이에 속하는 집합을 A, 중년에 속하는 집합을 B, 노인에 속하는 집합을 C라고 하면 "35세의 사람" x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u_A(x) = 0.2

:\mu_B(x) = 0.7

:\mu_C(x) = 0.1

여기서는 35세의 사람은 0.7의 비율로 중년에 속하고, 0.2의 비율로 젊은이에 속하며, 0.1의 비율로 노인에 속한다고 설정하고 있다. (단, 각 개념이 이렇게 깔끔하게 분할되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얼마나 속하는가"라는 사항을 비율로 나타낼 수 있는 집합 A, B, C를 '''퍼지 집합'''이라고 하며, 구체적인 비율의 수치를 나타내는 각 \mu_A(x), \mu_B(x), \mu_C(x)를 '''멤버십 함수'''(소속 함수)라고 한다. 멤버십 함수의 값이 0 또는 1밖에 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집합(비퍼지 집합 또는 '''크리스프 집합'''이라고 함)이며, 퍼지 집합은 일반적인 집합의 확장이라고 할 수 있다.

3. 기본 개념

퍼지 집합은 일반적인 집합의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 어떤 원소가 특정 집합에 속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소속도'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예를 들어, '젊은이', '중년', '노인'과 같이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개념을 다룰 때 유용하다.

퍼지 집합은 쌍 (U, m)으로 나타내는데, 여기서 U는 전체 집합(논의 영역)을, m은 각 원소가 집합에 속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멤버십 함수(소속 함수)를 의미한다. 멤버십 함수는 U의 각 원소 x에 대해 0과 1 사이의 값 m(x)를 부여하며, 이 값이 x의 소속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35세'라는 원소는 '젊은이' 집합에 0.2, '중년' 집합에 0.7, '노인' 집합에 0.1의 소속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35세가 중년에 가장 가깝지만, 젊은이나 노인의 특성도 일부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x \in U일 때, x는 소속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m(x) = 0: 해당 퍼지 집합에 포함되지 않음 (비회원)
  • m(x) = 1: 해당 퍼지 집합에 완전히 포함됨 (정회원)
  • 0 < m(x) < 1: 해당 퍼지 집합에 부분적으로 포함됨 (퍼지 회원)[5]


일반적인 집합(크리스프 집합)은 멤버십 함수의 값이 0 또는 1로만 표현되는 특수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유한 집합 U=\{x_1,\dots,x_n\}에 대한 퍼지 집합 (U, m)\{m(x_1)/x_1,\dots,m(x_n)/x_n\}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논의 영역 U의 모든 퍼지 집합의 (명확한) 집합은 SF(U)(또는 때때로 F(U))로 표기한다.[8]

더 나아가, 소속 함수가 일반적인 [0, 1] 구간 대신 다른 대수 구조구조 L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L-퍼지 집합'''이라고 하며, 일반적인 퍼지 집합은 [0, 1]-퍼지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퍼지 집합의 개념은 퍼지 수, 퍼지 구간, 퍼지 범주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3. 1. 전체집합과 공집합

소속함수들의 정의역인 집합 U를 전체집합이라 한다. 전체집합은 고전적인 집합으로, 모든 x에 대해 U에 대한 x의 소속도가 1이다. 쌍대 개념으로, 공집합은 U 안의 모든 x에 대해 그에 대한 x의 소속도가 0인 집합을 말한다.

  • 퍼지 집합 A = (U, m)는 만약 그리고 오직 만약(iff) A = \varnothing일 때 '''공집합'''이다.

:모든 x \in U: \mu_A(x) = m(x) = 0

3. 2. α-절단

임의의 퍼지 집합 A = (U,m)\alpha \in [0,1]에 대해 다음과 같은 크리스프(crisp) 집합이 정의된다.

  • A^{\ge\alpha} = A_\alpha = \{x \in U \mid m(x)\ge\alpha\}는 '''α-절단'''(또는 '''α-수준 집합''')이라고 한다.
  • A^{>\alpha} = A'_\alpha = \{x \in U \mid m(x)>\alpha\}는 '''강 α-절단'''(또는 '''강 α-수준 집합''')이라고 한다.

3. 3. 지지집합과 핵

임의의 퍼지 집합 A = (U,m)에 대해 다음과 같은 집합들이 정의된다.

  • '''지지집합'''(Support): S(A) = \operatorname{Supp}(A) = A^{>0} = \{x \in U \mid m(x)>0\}는 퍼지 집합에서 멤버십 함수(소속 함수) 값이 0보다 큰 모든 원소 x의 집합이다. 즉, 조금이라도 해당 퍼지 집합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이다.
  • '''핵'''(Core): C(A) = \operatorname{Core}(A) = A^{=1} = \{x \in U \mid m(x)=1\}는 퍼지 집합에서 멤버십 함수 값이 1인 모든 원소 x의 집합이다. 즉, 완전히 해당 퍼지 집합에 속하는 원소들의 집합이다. 핵은 때때로 '''커널'''(\operatorname{Kern}(A))이라고도 한다.[28]

3. 4. 기타 정의


  • 퍼지 집합 A = (U, m)A = \varnothing일 때 '''공집합'''이다. (모든 x \in U에 대해 \mu_A(x) = m(x) = 0인 경우)
  • 두 퍼지 집합 A와 B는 A = B일 때 '''같다'''. (\forall x \in U: \mu_A(x) = \mu_B(x)인 경우)
  • 퍼지 집합 A는 A \subseteq B일 때 퍼지 집합 B에 '''포함된다'''. (\forall x \in U: \mu_A(x) \le \mu_B(x)인 경우)
  • 임의의 퍼지 집합 A에 대해, \mu_A(x) = 0.5를 만족하는 원소 x \in U는 '''교차점'''이라고 한다.
  • 퍼지 집합 A의 '''높이'''는 \operatorname{Hgt}(A) = \sup \{\mu_A(x) \mid x \in U\} = \sup(\mu_A(U))이다. (\sup는 최소 상한을 나타내며, \mu_A(U)는 공집합이 아니고 1보다 작거나 같으므로 존재한다.)
  • 퍼지 집합 A는 \operatorname{Hgt}(A) = 1일 때 '''정규화'''되었다고 한다. 공집합이 아닌 퍼지 집합 A는 높이로 멤버십 함수를 나누어 \tilde{A}라는 결과로 정규화할 수 있다. (\forall x \in U: \mu_{\tilde{A}}(x) = \mu_A(x)/\operatorname{Hgt}(A)인 경우)
  • 실수의 퍼지 집합 A (U \subseteq \mathbb{R})유계인 지지집합을 가질 때, '''폭'''은 \operatorname{Width}(A) = \sup(\operatorname{Supp}(A)) - \inf(\operatorname{Supp}(A))이다.
  • 실수 퍼지 집합 A (U \subseteq \mathbb{R})는 (명확한 볼록 집합과 혼동해서는 안 되는 퍼지 의미에서) \forall x,y \in U, \forall\lambda\in[0,1]: \mu_A(\lambda{x} + (1-\lambda)y) \ge \min(\mu_A(x),\mu_A(y))일 때 '''볼록'''하다고 한다.

4. 퍼지 집합 연산

퍼지 집합의 여집합은 하나의 일반적인 정의를 가지지만, 합집합과 교집합 같은 주요 연산들은 다소 모호한 부분이 있다. t-norm을 t, 해당 s-norm (t-conorm이라고도 함)을 s라고 할 때, 두 퍼지 집합 A, B의 교집합 A∩B는 ∀x ∈ U: μA∩B(x) = t(μA(x), μB(x))로, 합집합 A∪B는 ∀x ∈ U: μA∪B(x) = s(μA(x), μB(x))로 정의된다.[6]

t-norm 정의에 따르면, 합집합과 교집합은 교환법칙, 단조성, 결합법칙을 따르며, 흡수원소와 항등원을 모두 갖는다. 하지만 퍼지 집합과 그 여집합의 합집합이 전체 집합이 되지 않거나, 교집합이 공집합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표준 연산자는 최대값(max)과 최소값(min) 연산자이다.[6]

표준 부정 연산자 n(α) = 1 - α (α ∈ [0, 1])가 다른 강한 부정 연산자로 대체되면, 퍼지 집합 차집합은 일반화될 수 있다. 퍼지 교집합, 합집합, 여집합은 드 모르간 삼중항을 형성한다.[6]

퍼지 교집합은 일반적으로 멱등이 아니다. 산술 곱셈이 t-norm으로 사용되면,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퍼지 교집합 연산은 멱등이 아니다. 대신, 퍼지 집합의 m제곱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비정수 지수로 일반화할 수 있다. 임의의 퍼지 집합 A와 ν ∈ R+에 대해, A의 ν제곱은 ∀x ∈ U: μAν(x) = μA(x)ν로 정의된다. 지수가 2인 경우, CON(A) = A2는 집중(concentration)이라고 하며, ∀x ∈ U: μCON(A)(x) = μA2(x) = μA(x)2로 정의된다.

Dubois와 Prade (1980)는 절댓값을 이용해 퍼지 집합의 대칭 차집합을 제안했다. ∀x ∈ U: μA△B(x) = |μA(x) - μB(x)|, 또는 max, min, 표준 부정 연산자를 조합하여 ∀x ∈ U: μA△B(x) = max(min(μA(x), 1 - μB(x)), min(μB(x), 1 - μA(x)))로 정의했다.[7]

일반적인 집합과 달리, 퍼지 집합에 대해서는 평균 연산도 정의할 수 있다. 서로소 퍼지 집합에 대해서는 명확성이 존재한다. 두 퍼지 집합 A, B가 서로소라는 것은 모든 x에 대해 A의 멤버십 함수 값이 0이거나 B의 멤버십 함수 값이 0인 것을 의미한다.

유한한 지지집합(support)을 갖는 퍼지 집합 A의 크기(스칼라 크기, 시그마 계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지며,

: |A| = Σx∈U μA(x)

U 자체가 유한 집합이라면, 상대적 크기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A|| = |A|/|U|

이는 비어있지 않은 퍼지 집합으로 나누는 경우로 일반화될 수 있다. 퍼지 집합 A, G에 대해, G ≠ ∅ 이면, 다음과 같이 상대적 크기를 정의할 수 있다.

: sc(A|G) = sc(A∩G)/sc(G)

이는 조건부 확률의 표현과 매우 유사하다.

조셉 고건(Joseph Goguen)은 1967년에 [0, 1] 값 멤버십 함수를 사용하는 대신, 단위 구간 [0, 1]이 아닌 다른 대수 구조 L을 사용하는 L-퍼지 집합을 제안했다.[9]

크라시미르 아타나소프(Krassimir Atanassov)는 퍼지 집합을 확장하여 직관적 퍼지 집합(IFS)을 제시했다. IFS A는 두 함수, 즉 x의 소속도 μA(x)와 비소속도 νA(x)로 특징지어진다.

이는 어떤 사람이 제안 A에 대해 찬성, 반대, 기권으로 투표하는 상황과 유사하다.

그림 퍼지 집합(PFS)은 IFS를 확장한 것으로, 긍정적 소속도, 중립적 소속도, 부정적 소속도를 나타내는 세 함수로 특징지어진다. 이는 투표 예시에 "투표 거부"라는 추가적인 가능성을 확장한 것이다.[10][11]

일반적인 집합의 각 기본 연산에 대응하는 퍼지 집합의 기본 연산이 각각 정의되어 있다. 퍼지 이론에서는 특히 멤버십 함수의 크기가 큰 영향을 미치므로, a∧b := min(a,b)와 a∨b := max(a,b)로 미리 정의된다.

4. 1. 기본 연산

퍼지 집합의 기본 연산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여집합: 퍼지 집합 A의 여집합 A^c는 다음 소속함수에 의해 정의된다.[6]

:\mu_{A^c}(x) = 1 - \mu_A(x)

  • 합집합: 두 퍼지 집합 AB의 합집합 A \cup B는 다음 소속함수에 의해 정의된다.[6]

:\mu_{A \cup B}(x) = \max \left ( \mu_A \left ( x \right ), \mu_B \left ( x \right ) \right )

:즉, 두 퍼지 집합에 대한 소속도 중에서 큰 쪽의 소속도를 가진다.

  • 교집합: 두 퍼지 집합 AB의 교집합 A \cap B는 다음 소속함수에 의해 정의된다.[6]

:\mu_{A \cap B}(x) = \min \left ( \mu_A \left ( x \right ), \mu_B \left ( x \right ) \right )

:퍼지 교집합은 퍼지 차집합과 상대적으로, 소속도 중에서 작은 쪽의 소속도를 가진다.

  • 차집합: 고전적인 집합에서와 같이, 두 퍼지 집합 AB의 차집합 A - B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7]

:A - B = A \cap B^c

:또는,

:\forall x \in U: \mu_{A\B}(x) = \min(\mu_A(x), 1 - \mu_B(x)).

퍼지 집합의 여집합은 가장 일반적인 정의가 하나 있지만, 합집합과 교집합과 같은 다른 주요 연산들은 다소 모호성을 지닌다. 예를 들어, 표준 부정 연산자 n(\alpha) = 1 - \alpha, \alpha \in [0, 1]이 다른 강한 부정 연산자로 대체되면, 퍼지 집합 차집합은 일반화될 수 있다.[7]

퍼지 교집합, 합집합, 여집합의 세 가지는 드 모르간 삼중항을 형성한다. 즉, 드 모르간 법칙이 이 삼중항으로 확장된다.[6]

4. 2. 추가 연산

퍼지 집합에는 다음과 같은 고유한 연산들이 정의되어 있다.[10][11]

  • 대수합: A\boxplus B, A\dotplus B, 또는 A + B로 표기하며, 멤버십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u_{A+B}(x) := \mu_A(x) + \mu_B(x) - \mu_A(x)\cdot\mu_B(x)

  • 대수곱: A \cdot B로 표기하며, 멤버십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u_{A\cdot B}(x) := \mu_A(x)\cdot\mu_B(x)

  • 한계합: A \oplus B로 표기하며, 멤버십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u_{A\oplus B}(x) := (\mu_A(x) + \mu_B(x))\wedge 1

  • 한계차: A \ominus B로 표기하며, 멤버십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u_{A \ominus B}(x) := (\mu_A(x) - \mu_B(x))\vee 0

  • 한계곱: A \odot B 또는 A \otimes B로 표기하며, 멤버십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u_{A\otimes B} := (\mu_A(x) + \mu_B(x) - 1)\vee 0

  • 격렬합: A\dot\vee B로 표기하며, 멤버십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u_{A\dot\vee B}(x):=\begin{cases}

\mu_A(x), & \text{if }\mu_B(x) = 0 \\ \mu_B(x), & \text{if }\mu_A(x) = 0 \\ 1, & \text{otherwise}\end{cases}

  • 격렬곱: A\dot\wedge B로 표기하며, 멤버십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u_{A\dot\wedge B}(x):=\begin{cases}

\mu_A(x), & \mbox{if }\mu_B(x) = 1 \\ \mu_B(x), & \mbox{if }\mu_A(x) = 1 \\ 0, & \text{otherwise}\end{cases}

4. 3. 서로소 퍼지 집합

두 퍼지 집합 A, B는 모든 x ∈ U에 대해 μA(x) = 0 또는 μB(x) = 0 일 때 서로소이다.[6]

이는 다음과 동일하다.

:∃x ∈ U: μA(x) > 0 ∧ μB(x) > 0

그리고 다음과도 동일하다.

:∀x ∈ U: min(μA(x), μB(x)) = 0

/가 t/s-norm 쌍임을 기억하자. 다른 어떤 쌍도 여기서 잘 작동한다.

퍼지 집합은 그것들의 지지집합(support)이 서로소일 경우에만 서로소이다.

서로소 퍼지 집합 A, B에 대해, 어떤 교집합도 ∅(공집합)을 주고, 어떤 합집합도 동일한 결과를 주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A ∪˙ B = A ∪ B

그것의 멤버십 함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x ∈ U: μA∪˙B(x) = μA(x) + μB(x)

두 항 중 하나만 0보다 크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서로소 퍼지 집합 A, B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Supp(A∪˙B) = Supp(A) ∪ Supp(B)

이는 유한한 퍼지 집합들의 집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일반화될 수 있다.

색인 집합 I (예: I = {1, 2, 3, ..., n})을 갖는 퍼지 집합들의 집합 A = (Aᵢ)ᵢ∈ᵢ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 집합은 다음과 같을 때 (쌍으로) 서로소이다.

:모든 x ∈ U 에 대해 μAᵢ(x) > 0 인 i ∈ I 는 최대 하나 존재한다.

퍼지 집합들의 집합 A = (Aᵢ)ᵢ∈ᵢ는 그것의 기저가 되는 지지집합들의 집합 Supp ∘ A = (Supp(Aᵢ))ᵢ∈ᵢ 이 서로소일 경우에만 서로소이다.

t/s-norm 쌍과 무관하게, 서로소 퍼지 집합들의 집합의 교집합은 다시 ∅(공집합)을 주는 반면, 합집합은 모호성이 없다.

:∪˙ᵢ∈ᵢ Aᵢ = ∪ᵢ∈ᵢ Aᵢ

그것의 멤버십 함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x ∈ U: μ∪˙ᵢ∈ᵢ Aᵢ(x) = Σᵢ∈ᵢ μAᵢ(x)

다시 한번, 항 중 하나만 0보다 크다.

서로소 퍼지 집합들의 집합 A = (Aᵢ)ᵢ∈ᵢ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Supp(∪˙ᵢ∈ᵢ Aᵢ) = ∪ᵢ∈ᵢ Supp(Aᵢ)

5. 퍼지 관계 방정식

''A'' · ''R'' = ''B'' 형태의 방정식으로, 여기서 ''A''와 ''B''는 퍼지 집합이고, ''R''은 퍼지 관계이며, ''A'' · ''R''은 ''A''와 ''R''의 합성을 나타낸다.

6. 퍼지 논리

다치 논리의 확장으로서, 명제 변수의 값 매김을 멤버십 정도 집합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술어(술어)를 퍼지 집합(더 정확히는 퍼지 쌍의 순서 집합인 퍼지 관계)으로 매핑하는 멤버십 함수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값 매김을 통해 다치 논리를 확장하여, 점진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퍼지 전제를 허용할 수 있다.[18]

이러한 확장은 때때로 "좁은 의미의 퍼지 논리"라고 불리는데, 이는 자동 제어 및 지식 공학의 공학 분야에서 유래한 "넓은 의미의 퍼지 논리"와 대조된다. "넓은 의미의 퍼지 논리"는 퍼지 집합과 "근사 추론"을 포함하는 많은 주제를 포함한다.[19]

7. 퍼지 수

퍼지 수[20]는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퍼지 집합이다.


  • A는 정규화되어 있다.
  • A는 볼록 집합이다.
  • 멤버십 함수 \mu_{A}(x)는 값 1을 적어도 한 번 달성한다.
  • 멤버십 함수 \mu_{A}(x)는 적어도 구간적으로 연속적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A는 퍼지 수가 아니다. 이 퍼지 수의 핵심은 단원집합이며, 그 위치는 다음과 같다.

: \, C(A) = x^* : \mu_A(x^*)=1

퍼지 수는 누군가 참가자의 몸무게를 추측하는 놀이공원 게임 "몸무게 맞히기"에 비유할 수 있다. 더 가까운 추측일수록 더 정확하며, 추측자가 참가자의 몸무게에 충분히 가깝게 추측하면 "이긴다". 실제 몸무게는 완벽하게 정확하다(멤버십 함수에 의해 1에 매핑됨).

볼록하고 정규화된 소속 함수를 가지는 실수로 이루어진 퍼지 집합이 퍼지 수라는 것은, 그 소속 함수가 적어도 구간적으로 연속이고, 적어도 한 점에서 \mu_{A}(x) = 1이 되는 것을 말한다. 이 개념은 상대의 체중을 추측하여 정답에 더 가까운 값을 대답한 쪽이 이기는 "체중 맞히기" 놀이와 비슷한 점이 있다. 이 경우, 실제 체중을 정확히 맞히는 것이 소속 함수의 값이 1이 되는 것에 해당한다.

8. 엔트로피

퍼지 집합 A의 '''엔트로피'''는 퍼지 집합의 불확실성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유한 집합 U = {x1, x2, ... xn}에 대해 퍼지 집합 A의 엔트로피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25][26]


  • d(A) = -k Σni=1 S(μA(xi))


여기서 S(x)는 샤논 함수이다.

  • S(α) = -α ln α - (1-α) ln (1-α), α ∈ [0, 1]


k는 측정 단위와 사용된 로그의 밑(여기서는 자연로그의 밑 e를 사용)에 따라 달라지는 상수이다. k의 물리적 해석은 볼츠만 상수 kB이다.

A가 연속적인 멤버십 함수(퍼지 변수)를 갖는 퍼지 집합이라면, 그 엔트로피는 다음과 같다.

  • d(A) = -k ∫-∞ S(Cr{A ≥ t}) dt.[25][26]

9. 퍼지 집합의 확장

L영어-퍼지 집합은 소속 함수가 일반적인 실수 구간 [0, 1] 대신, 격자 등의 더 일반적인 대수 구조 L영어의 값을 가지는 경우이다.[23][24]

직관적 퍼지 집합(Intuitionistic Fuzzy Sets, IFS)은 소속도(\mu_A(x))와 비소속도(\nu_A(x))를 함께 고려하며, \mu_A(x) + \nu_A(x) \le 1 조건을 만족한다.[12]

신트로픽 퍼지 집합은 1998년 스마란다체(Smarandache)에 의해 도입되었다.[13] IFS와 마찬가지로 소속 함수 \mu_A(x)와 비소속 함수 \nu_A(x)를 갖지만, 추가로 불확정도 함수 i_A(x)를 통해 불확실성의 정도를 나타낸다.[14]

피타고라스 퍼지 집합(Pythagorean fuzzy sets)은 \mu_A(x)^2 + \nu_A(x)^2 \le 1 조건을 만족하는, IFS보다 더 유연한 집합이다.[15][16][17]

그림 퍼지 집합(Picture Fuzzy Sets, PFS)은 긍정 소속도, 중립 소속도, 부정 소속도를 나타내는 세 함수로 특징지어지며, \mu_A(x) + \eta_A(x) + \nu_A(x) \le 1 조건을 만족한다.[12]

1965년 자데(Zadeh)가 퍼지 집합을 처음 소개한 이후, 불명확성, 부정확성, 모호성, 불확실성 및 취약성을 다루기 위해 퍼지 집합 이론은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어 왔다. 다음은 퍼지 집합의 주요 확장 및 관련 이론들이다.

발표년도명칭제안자
1965퍼지 집합자데(Zadeh)
1966구간 집합무어(Moore)
1967L영어-퍼지 집합고건(Goguen)
1968불명확 집합 (flou sets영어)겐틸옴므(Gentilhomme)
19752종 퍼지 집합 및 n영어종 퍼지 집합자데(Zadeh)
1975구간 값 퍼지 집합그라탕-기네스(Grattan-Guinness), 얀(Jahn), 삼뷕(Sambuc), 자데(Zadeh)
1977수준 퍼지 집합 (level fuzzy sets영어)라데츠키(Radecki)
1982조잡 집합 (rough sets영어)파블락(Pawlak)
1983직관적 퍼지 집합 (intuitionistic fuzzy sets영어)아타나소프(Atanassov)
1986퍼지 다중 집합 (fuzzy multisets영어)예거(Yager)
1986직관적 L영어-퍼지 집합 (intuitionistic L-fuzzy sets영어)아타나소프(Atanassov)
1987조잡 다중 집합 (rough multisets영어)그르지말라-부세(Grzymala-Busse)
1988퍼지 조잡 집합 (fuzzy rough sets영어)나카무라(Nakamura)
1989실수 값 퍼지 집합 (real-valued fuzzy sets영어)블리자드(Blizard)
1993모호 집합 (vague sets영어)웬룽 가우(Wen-Lung Gau)와 뷰러(Buehrer)
1997α-수준 집합야오(Yao)
1998그림자 집합 (shadowed sets영어)페드리츠(Pedrycz)
1998중립소 집합 (neutrosophic sets영어, NSs)스마란다체(Smarandache)
1998양극 퍼지 집합 (bipolar fuzzy sets영어)웬란 장(Wen-Ran Zhang)
1999진정 집합 (genuine sets영어)데미르치(Demirci)
1999소프트 집합 (soft sets영어)몰로초프(Molodtsov)
2002복소 퍼지 집합 (complex fuzzy set영어)람(Ram)
2003직관적 퍼지 조잡 집합 (intuitionistic fuzzy rough sets영어)코넬리스(Cornelis), 드 콕(De Cock) 및 케레(Kerre)
2004L영어-퍼지 조잡 집합 (L-fuzzy rough sets영어)라지코프스카(Radzikowska) 및 케레(Kerre)
2009다중 퍼지 집합 (multi-fuzzy sets영어)사부 세바스찬(Sabu Sebastian)
2010일반화된 조잡 퍼지 집합 (generalized rough fuzzy sets영어)펭(Feng)
2011조잡 직관적 퍼지 집합 (rough intuitionistic fuzzy sets영어)토마스(Thomas) 및 네어(Nair)
2011소프트 조잡 퍼지 집합 (soft rough fuzzy sets영어)멩(Meng), 장(Zhang) 및 친(Qin)
2011소프트 퍼지 조잡 집합 (soft fuzzy rough sets영어)멩(Meng), 장(Zhang) 및 친(Qin)
2011소프트 다중 집합 (soft multisets영어)알카잘레(Alkhazaleh), 살레(Salleh) 및 하산(Hassan)
2012퍼지 소프트 다중 집합 (fuzzy soft multisets영어)알카잘레(Alkhazaleh) 및 살레(Salleh)
2013피타고라스 퍼지 집합 (pythagorean fuzzy set영어)예거(Yager)
2013그림 퍼지 집합 (picture fuzzy set영어)쿠옹(Cuong)
2018구면 퍼지 집합 (spherical fuzzy set영어)마흐무드(Mahmood)


10.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Fuzzy sets http://www.cs.berkel[...]
[2] 논문 An early approach toward graded identity and graded membership in set theory
[3] 서적 Fuzzy Sets and Systems Academic Press
[4] 논문 FM-test: A fuzzy-set-theory-based approach to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data analysis
[5] 웹사이트 AAAI http://www.aaai.org/[...]
[6] 논문 On the analytic formalism of the theory of fuzzy sets
[7] 간행물 Set Difference and Symmetric Difference of Fuzzy Sets http://www.math.sk/f[...] Fuzzy Sets Theory and Applications 2014
[8] 간행물 Similarity measures for fuzzy sets https://www.research[...] Applied and Computational Mathematics 2016-11-23
[9] 논문 L-fuzzy sets
[10] 간행물 A classification of representable t-norm operators for picture fuzzy sets http://digitalcommon[...] Departmental Technical Reports (CS)
[11] 간행물 Complement of an Extended Fuzzy Set https://web.archive.[...]
[12] 논문 A Systematic Survey of Computer-Aided Diagnosis in Medicine: Past and Present Developments.
[13] 서적 Neutrosophy: Neutrosophic Probability, Set, and Logic: Analytic Synthesis & Synthetic Analysis. American Research Press
[14] 논문 The Seven Key Challenges for the Future of Computer-Aided Diagnosis in Medicine.
[15] 논문 Pythagorean fuzzy subsets
[16] 논문 Pythagorean membership grades in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17] 서적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Pythagorean fuzzy sets. Springer, Cham.
[18] 서적 A Treatise on Many-Valued Logics Research Studies Press Ltd.
[19] 논문 The concept of a linguistic variable and its application to approximate reasoning https://pdfs.semanti[...]
[20] 논문 Fuzzy sets as a basis for a theory of possibility https://www.semantic[...]
[21] 논문 Categories of fuzzy sets: applications of non-Cantorian set theor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2] 서적 Goguen Categories:A Categorical Approach to L-fuzzy Relations Springer
[23] 논문 Representation theory of Goguen categories 2003-08-16
[24] 논문 L-fuzzy sets
[25] 논문 Entropy, distance measure and similarity measure of fuzzy sets and their relations
[26] 논문 Fuzzy cross-entropy
[27] 문서
[28] 웹사이트 AAAI http://www.aaai.org/[...]
[29] 논문 L-fuzzy sets
[30] 논문 Fuzzy sets as a basis for a theory of possibility
[31] 논문 Categories of fuzzy sets : applications of non-Cantorian set theor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32] 서적 Goguen Categories:A Categorical Approach to L-fuzzy Relations Springer
[33] 논문 Representation theory of Goguen categories 2003-08-16
[34] 논문 L-fuzzy se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