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유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펑유란은 1895년에 태어나 1990년에 사망한 중국의 철학자이다. 그는 칭화 대학 철학과 학과장을 역임했으며, 중국 철학 분야의 대표적인 저서인 《중국 철학사》를 저술했다. 펑유란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존 듀이의 지도를 받아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신실재론의 영향을 받아 신이학 체계를 구축했다. 그는 중일 전쟁 시기 시난 롄허 대학에 참여했고,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연구했으나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펑유란은 말년에 《중국 철학사 신편》을 간행하며 학술 활동을 지속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사회주의자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중국의 사회주의자 -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군사 전략가, 공산주의 이론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아버지로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며 최고지도자로서 중국을 통치했고, 마오쩌둥 사상의 창시자로서 그의 정책과 통치는 중국 사회, 경제, 문화,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철학자 - 슝스리
슝스리는 신해혁명과 호법운동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불교와 유교를 융합한 독자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하여 중국 근현대 사상계에 큰 영향을 미친 후베이성 출신의 철학자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철학자 - 양수명
양수명은 중국의 철학자이자 교육자, 사회운동가로 동서 문화 비교, 농촌 재건, 유교 사상 연구에 기여했으며, 사회주의 노선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중국 근현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하와이 대학교 교수 - 백태웅
백태웅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국제인권 운동가로서, 과거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에 참여했으며 현재 하와이 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재직하며 국제인권법을 강의하고 유엔 인권이사회 강제실종 실무그룹 위원 및 의장을 역임하는 등 국제 인권 활동을 펼치고 있다. - 하와이 대학교 교수 - 구상 (시인)
구상(1919-2004)은 서울 출생으로 원산에서 성장하여 니혼 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 종군 기자, 언론 운동, 영남일보 편집장 등을 거쳐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시집 《초토의 시》 등을 발표했으며, 프랑스 문부성에서 세계 200대 시인으로 선정되었고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펑유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펑유란 |
원어 이름 | 馮友蘭 |
로마자 표기 | Féng Yǒulán |
인물 정보 | |
출생 | 1895년 12월 4일 |
출생지 | 청나라 허난성 난양부 탕허현 |
사망 | 1990년 11월 26일 |
사망지 | 베이징 |
직업 | 철학자 |
학력 | 베이징 대학 |
모교 | 컬럼비아 대학교 |
업적 | 신유학 부흥, 서양 철학과 중국 철학의 통합 |
자녀 | 쭝푸 |
배우자 | 런자이쿤 |
자녀 | 펑중롄, 펑중랴오, 펑중푸, 펑중웨 |
2. 성장과 교육
펑유란은 1895년 12월 4일 허난성 난양시 탕현의 지식인 집안에서 태어났다.[7] 그의 가문은 지방 명문가였으며, 아버지 펑타이이는 청나라 충양현 지현을 지낸 진사였다. 어머니 역시 고전에 조예가 깊은 학자 집안 출신이었다. 그의 여동생 펑위안쥔은 저명한 중국 문학자가 되었다.
1923년 중국으로 귀국하여 중저우 대학(현재의 허난 대학) 교수를 역임했다.[4] 1925년 광둥 대학 교수를 거쳐, 1926년 옌징 대학에 초빙되었다. 1928년 칭화 학교가 국립 칭화 대학으로 개편되면서 펑유란은 철학 교수로 초빙되어 오랫동안 칭화 대학에서 교편을 잡았다. 칭화 대학 철학과에는 옛 친구 진웨린도 재직하고 있었다.[4] 1934년부터 1938년까지(그리고 1946년부터 1949년까지) 펑유란은 칭화 대학 철학과 학과장을 역임했다.[1]
1939년 펑유란은 신이학(新理學)을 발표하였다. 이학은 중국 신유학의 한 분파로 자리매김하였다. 신이학에서 그는 '이(理)'와 '도(道)' 같은 사상 개념을 가져와 분석하고 그 함의를 자신의 철학 계통에 입각해 발전시키는 신실재론적 이학 체계를 만들어냈다. 그는 또한 동서양 철학을 하나의 사상적 틀로 융합해서 도덕의 본질을 풀어내고자 하였고, 당시 장둥쑨, 장쥔마이 등 선배 철학자들에게서 흡수한 이념의 조각들을 가지고 정신분석학의 인격심리학 관점에서 인간의 도덕적 발전 구조를 설명하기도 했다.[8]
그는 1934년 프라하에서 열린 학회 참석 뒤 구소련의 학회에 참석해 잠시 머무는 동안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 변화와 사회적 동요를 지켜보았다.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국립 칭화 대학에 돌아간 뒤 연 두 차례의 공식 연설에서 공산주의의 유물사관을 찬양하여 중화민국 정부에 체포되어 조사를 받았지만, 대학 측 인사들의 선처 호소로 열흘 여 만에 풀려났고, 대학 내부 징계 후에는 다시 유가 철학의 대표자로 활동하였다.[8]
펑유란은 1912년부터 1915년까지 상하이의 중국 공립 학교(대학 예비 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1915년부터 1918년까지 우한의 중화대학(나중에 화중사범대학에 통합됨)과 베이징 대학에서 서양 철학, 논리학, 중국 철학을 공부했다. 베이징 대학에서는 리다자오, 천두슈, 차이위안페이 등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7]
1919년, 펑유란은 미국으로 건너가 경자배관장학금을 받으며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그는 이곳에서 지도 교수였던 실용주의 철학자 존 듀이와 신실재론을 가르쳐준 윌리엄 몬태규 등, 그의 사상과 진로에 큰 영향을 준 철학자들을 만났다.[7] 1923년, 펑유란은 "인생 이상에 대한 비교 연구(A Comparative Study on Life Ideals)"라는 논문으로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4]
3. 학문적 경력과 활동
펑유란은 칭화 대학 재직 시절, 그의 대표작이자 가장 영향력 있는 저작인 '중국철학사'(1934년, 2권)를 출판했다. 이 책에서 그는 당시 유행하던 서양 철학의 영향을 받은 관점에서 중국 철학사를 제시하고 검토했다. 이 책은 중국 사상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해당 분야의 표준 저작으로 자리 잡았다.
중일 전쟁 기간, 펑유란은 국립 시난 연합 대학에서 교편을 잡았다.[4] 1946년 펑유란은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객원 교수로 초빙되었다.[4] 1948년 12월부터 1949년 5월까지 펑유란은 칭화 대학 총장 대행을 역임했다. (1949년 1월까지는 국립 칭화 대학으로 알려짐).
4. 신이학(新理學) 체계
5. 정치적 격변과 말년
중일 전쟁 기간에는 중국 국민당 당원으로서 장제스의 신생활 운동을 지지하는 글을 발표하였다. 신생활 운동은 장제스가 일제 침략에 대항해 폈던 유교주의적 생활 운동이었다. 펑유란은 이에 호응하였고, 국민정부 교육계 실권자 쿵샹시의 후원을 받은 학술대회에서 1등을 하여 1만 위안의 거금을 받았고, 중국 국민당 제5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전국대표로 선출되기도 하였다.[8]
1949년 중국 공산당 집권 이후 펑유란은 마르크스-레닌주의 사상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50년대 중반, 그의 철학적 접근 방식은 당국의 공격을 받았다. 그는 자신의 이전 저작의 많은 부분을 부인하고, 문화 대혁명의 사상에 부합하도록 그의 '역사'를 포함한 나머지 부분을 다시 써야 했다.
문화대혁명 시기, 펑유란은 사인방의 편에 서서 문혁을 찬양하는 활동을 하기도 했다. 이는 사후 그의 평가에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이 되었다.[4] 1980년대 개혁개방 이후, 펑유란은 학술 활동을 재개하여 85세부터 95세로 사망하기 몇 달 전까지 마오쩌둥주의 철학 관점이 반영된 7권으로 이루어진 '중국철학사 신편'을 간행했다. 1990년 11월 26일, 펑유란은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6. 주요 저작
참조
[1]
웹사이트
DEPARTMENT OF PHILOSOPHY
http://www.tsinghua.[...]
2012-04-05
[2]
문서
Feng Youlan
http://www.iep.utm.e[...]
[3]
웹사이트
Tsinghua University
http://www.tsinghua.[...]
2011-11-02
[4]
문서
REDIRECT
[5]
서적
「知の問題」と「哲学の合法性」との関連 : 東アジア「近代知」の反省にあるべき一視点について
https://aichiu.repo.[...]
愛知大学国際コミュニケーション学会
[6]
간행물
二十世紀中国哲学研究の詳察と新世紀の展望
https://hdl.handle.n[...]
筑波大学倫理学原論研究会
[7]
뉴스
중국만큼 큰 철학자, 펑유란을 아십니까?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12-01-20
[8]
뉴스
중국 특사는 왜 박근혜 만나 펑유란을 말했나?
http://weekly.chosun[...]
주간조선
2013-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