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탈라카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탈라카산은 불교 경전, 특히 《화엄경》 입법계품에 처음 언급되는 산으로, 관음보살의 조언을 구하기 위한 여정의 배경으로 묘사된다. 일본 학자들은 이 산이 인도 타밀나두주 티루넬벨리구의 포티카이 산을 가리킨다고 추정하며, 아소카 시대부터 불교 성지로 여겨졌다. 관음 신앙의 확산과 함께 보타락이라는 명칭은 중국의 보타산, 티베트의 포탈라 궁 등 여러 지역으로 퍼졌으며, 일본에서는 구마노나 닛코와 같은 장소가 보타락에 비유되기도 했다. 포탈라카산은 산스크리트어 Potalaka를 음역한 것으로, '광명산' 등의 의미로 번역되며, 일본 불교에서는 정토보다 더 쉽게 도달할 수 있는 이상향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포탈라카산 | |
---|---|
개요 | |
유형 | 산 |
위치 | 인도 남부 해안 |
신앙 | 불교 |
관련 인물 | 관세음보살 |
별칭 | 보타낙가산 (Potalaka) 보타락산 (補陀洛山) 보타산 (普陀山) 보타락가 (普陀洛迦) 해금산 (海金山) |
상세 정보 | |
설명 | 관세음보살이 상주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신성한 산이며, 불교 신앙의 중요한 장소임. |
특징 | 험준한 지형 아름다운 자연 경관 관세음보살의 자비심을 상징 |
중요성 | 불교 신자들의 순례지 예술 및 문학 작품의 영감의 원천 |
전승 | 신라의 혜초가 인도를 방문했을 때 보타락가산에서 관세음보살을 친견했다는 기록이 있음. |
상징 | 관세음보살의 자비, 지혜, 구원을 상징 |
관련 경전 | 화엄경 법화경 능엄경 |
숭배 | 관세음보살을 향한 기도와 명상이 이루어짐. |
한국과의 관계 | 한국의 사찰에서 관세음보살을 모시는 전각을 보타전(補陀殿) 또는 관음전(觀音殿)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음. |
유사 지명 | |
중국 | 저장 성 저우산 군도의 푸퉈 산(普陀山)이 관세음보살의 성지로 알려져 있으며, '보타락가'에서 유래된 이름임. |
2. 기원
이 산은 화엄경의 마지막 장인 입법계품에서 처음 언급되는데, 이 장에서 주인공은 관세음보살의 조언을 구하기 위해 여행을 떠난다.[11]
산스크리트어 (범어) '포탈라카'(Potalakasa)를 소리나는 대로 번역한 것이다.[7] 보달락가, 보타락 등으로도 음역된다. 뜻으로 번역하면 '''광명산''', '''해 island山''', '''소화수산''' 등이 된다.[7]
이 산은 화엄경의 마지막 장인 입법계품에서 처음 언급되는데, 이 장에서 주인공은 관음보살의 조언을 구하기 위해 여행을 떠난다.
일본 유식불교 비구인 조케이 등 후기 일본 불교도들은 아미타불의 더 잘 알려진 정토보다 보타락산에서 다시 태어나는 것을 불교 수행의 길에서 진전을 이루는 더 쉬운 방법으로 옹호했다.[4]
보타락산의 이름을 딴 지명은 다음과 같다.
일본 학자 슈 히코사카는 불교 경전, 고대 타밀어 문학 자료, 현장 조사 등을 바탕으로 『입법계품』과 현장의 대당서역기 기록에 묘사된 포탈라카산이 인도 타밀나두주 티루넬벨리구의 암바사무드람 마을 근처에 위치한 실제 포티가이 산이라는 가설을 제시했다. 이 산은 싱감파티 자민다르 숲 내 한 지역에 위치해 있다.[11] 슈는 또한 포티일/포탈라카 산이 옛날부터 남인도 사람들에게 신성한 장소였다고 말한다.[11]
기원전 3세기 아소카 시대부터 이 지역에 불교가 전파되면서 이곳은 불교도들에게도 성지가 되었고, 많은 은둔자들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점차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하지만 지역 주민들은 주로 힌두교를 신봉했다.[12]
"보타락"은 산스크리트어 (범어)의 '포탈라카' (Potalaka|포탈라카sa)의 음역이다.[7] 다른 음사로는 보달락가, 보타락, 보타락 등이 있다. 의역으로는 '광명산', '해island산', '소화수산' 등이 있다.[7]
3. 명칭
4. 불교 경전에서의 묘사
일본 학자 슈 히코사카는 불교 경전, 고대 타밀어 문헌, 현장 조사 등을 바탕으로, 《입법계품》과 현장의 대당서역기에 묘사된 포탈라카산이 인도 타밀나두주 티루넬벨리구의 암바사무드람 마을 근처에 위치한 실제 포티가이 산이라는 가설을 제시했다. 이 산은 싱감파티 자민다르 숲 내 한 지역에 위치해 있다.[11] 슈는 또한 포티일/포탈라카 산이 옛날부터 남인도 사람들에게 신성한 장소였다고 말한다.[11]
기원전 3세기 아소카 시대부터 이 지역에 불교가 전파되면서 이곳은 불교도들에게도 성지가 되었고, 많은 은둔자들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점차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하지만 지역 주민들은 주로 힌두교를 신봉했다.[12]
보타락은 실차난타 역 『대방광불화엄경』「입법계품」, 반야 역 『대방광불화엄경』「입법계품」, 천수경, 『다라니집경』2 등 다수의 경론에서 보인다. 『다라니집경』의 주에 따르면 해섬이라고도 하며, 대당서역기에 따르면 남인도의 해변 산의 동쪽에 있다고 한다. 팔각형 모양의 산이라고 한다.[7] 흥복사의 남원당의 원형은 이를 본뜬 것이다.
현장은 『대당서역기』 권 제10에서, 보타락(포달락가) 산은 남인도 말라야(말랄야) 산의 동쪽에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말라야산은 케랄라주의 카다멈 언덕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8]。
5. 일본 불교 전통
보타락산의 이름을 딴 장소는 다음과 같다.
6. 보타락이라는 이름을 딴 곳
일본의 유식불교 비구인 조케이 등은 아미타불의 정토보다 보타락산에서 다시 태어나는 것을 불교 수행의 더 쉬운 방법으로 옹호했다.[4]
6. 1. 대한민국
낙산사 - 강원도[1]
6. 2. 중국
현장은 『대당서역기』 권 제10에서, 보타락(포달락가)산은 남인도 말라야(말랄야)산의 동쪽에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말라야산은 케랄라 주의 카다멈 언덕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8]。 그 장소를 특정하려는 시도나 연구도 있었으며[6], 스리랑카가 지목되기도 했다. 히코사카 슈는 타밀나두 주 남단의 포디이루 산에 비정했다[9]。 관음 신앙이 융성해지면서 영지로서 "보타락"의 명칭이 각지에서 퍼졌다[6]。 특히 중국에서는 현재 저장성에 있는 주산 군도를 보타락(푸퉈산)으로 하여, 멀리 떨어진 곳까지 관음 신앙이 퍼졌다.
티베트도 관음 신앙의 땅으로 알려져 있는데, 라싸에 있는 포탈라궁의 이름도, 산스크리트어의 "포타라카"에서 유래한다[6]。
6. 3. 일본
일본에서는 구마노와 닛코가 보타락에 비유되어 신앙을 모았다. 닛코라는 지명은 보타락, 후타라, 니코, 닛코로 변화되었다는 설도 있다.[6] 중세에는 관음 신앙에 근거하여, 구마노나다나 아시즈리 곶 등에서 작은 배를 타고 보타락을 목표로 하는 "보타락 도해"가 성행했다.
후다라쿠산지와 닛코 후타라산 신사는 보타락의 이름을 따온 지명이다.
7. 기타
보타락은 실차난타 역 『대방광불화엄경』 「입법계품」, 반야 역 『대방광불화엄경』 「입법계품」, 『천수경』, 『다라니집경』 등 다수의 경론에서 보인다. 『다라니집경』의 주에 따르면 해섬이라고도 하며, 『대당서역기』에 따르면 남인도의 해변 산의 동쪽에 있다고 한다.[7] 팔각형 모양의 산이라고 한다. 흥복사의 남원당의 원형은 이를 본뜬 것이다.
현장은 『대당서역기』 권 제10에서 보타락(포달락가) 산은 남인도 말라야(말랄야) 산의 동쪽에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말라야산은 케랄라 주의 카다멈 언덕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8] 그 장소를 특정하려는 시도나 연구도 있었으며[6], 스리랑카가 지목되기도 했다. 히코사카 슈는 타밀나두 주 남단의 포디이루 산에 비정했다.[9] 관음 신앙이 융성해지면서 영지로서 "보타락"의 명칭이 각지에서 퍼졌다.[6] 특히 중국에서는 현재 저장성에 있는 주산 군도를 보타락(보타산)으로 하여, 멀리 떨어진 곳까지 관음 신앙이 퍼졌다.
또한, 일본에서도 구마노와 닛코가 보타락에 비유되어 신앙을 모았다. 닛코라는 지명은 보타락 ~ 후타라 ~ 니코 ~ 닛코가 되었다는 설도 있다.[6] 중세에는 관음 신앙에 근거하여, 구마노나다나 아시즈리 곶 등에서 작은 배를 타고 보타락을 목표로 하는 "보타락 도해"가 성행했다.
덧붙여, 티베트도 관음 신앙의 땅으로 알려져 있는데, 라싸에 있는 포탈라 궁의 이름도 산스크리트어의 "포타라카"에서 유래한다.[6]
참조
[1]
서적
The Thousand-Armed Avalokiteśvara
Abdhinav Publications/ Indira Gandhi National Center for the Arts
[2]
간행물
The Potiyil Mountain in Tamil Nadu and the Origin of the Avalokiteśvara Cult
Institute of Asian Studies
[3]
뉴스
Bodhisattva Avalokiteśvara in the Gandavyuha Sutra
http://www.chibs.edu[...]
2009-09-12
[4]
서적
Jokei and Buddhist Devotion in Early Medieval Japan
Oxford University Press, USA
[5]
문서
佐久間 2015
[6]
문서
岩波仏教辞典 2002
[7]
웹사이트
ふだらく【補陀落/普陀洛】
https://dictionary.g[...]
goo辞書(出典:デジタル大字泉)
[8]
문서
佐久間 2015
[9]
논문
華厳経入法界品と南インドの地名について
https://doi.org/10.4[...]
日本印度学仏教学会
[10]
웹인용
'[행복으로 가는 화엄경] <76> 입법계품(入法界品)㉙'
https://www.ibulgyo.[...]
불교신문
2024-02-08
[11]
간행물
The Potiyil Mountain in Tamil Nadu and the Origin of the Avalokiteśvara Cult
Institute of Asian Studies
[12]
뉴스
Bodhisattva Avalokiteśvara in the Gandavyuha Sutra
http://www.chibs.edu[...]
2009-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