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리아세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리아세탈(POM)은 포름알데히드의 중합으로 만들어지는 열가소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1920년대 헤르만 슈타우딩거의 연구를 통해 발견되었으나 열 안정성 문제로 상용화되지 못하다가, 1950년대 듀폰과 셀라니즈에 의해 개발되었다. POM은 단독중합체와 공중합체 형태로 생산되며,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의 가공 방법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뛰어난 강도, 탄성률, 내충격성, 내마모성을 갖지만 접착이 어렵고 산이나 염소에 약하다는 특징이 있다. 기어, 전기/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 의료 기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며, 듀폰의 델린, 셀라니즈의 셀콘과 호스타폼, 폴리플라스틱스의 듀라콘 등이 주요 상표로 판매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리에터 - 트라이톤 X-100
    트라이톤 X-100은 실험실 및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세제로, 세포 용해, 단백질 추출 등에 사용되며 바이오 의약품 제조, 백신 성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환경 유해성으로 인해 규제 대상이 되기도 한다.
  • 폴리에터 - 폴리다이옥산온
    폴리다이옥산온(PDS)은 생체 흡수성 고분자로 외과 수술용 봉합사 및 다양한 생의학 분야에 활용되며, 파라디옥사논의 고리 열림 중합을 통해 합성되어 높은 인장 강도와 유연성을 가지며 생체 내에서 가수분해되어 안전하게 흡수된다.
  • 열가소성 플라스틱 -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중합으로 만들어진 열가소성 폴리머로, 내화학성, 내열성, 가벼움 등의 장점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지만, 폐기물과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라는 과제도 안고 있다.
  • 열가소성 플라스틱 - ETFE
    ETFE는 강도가 높고 자외선에 강하며 재활용이 가능한 불소 기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건축, 항공 우주, 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플라스틱 -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필름은 고분자 원료로 만들어진 얇은 막 형태의 재료로, 두께와 소재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며, 다양한 제조 공정을 거쳐 포장재, 광학 필름, 산업용 재료 등 폭넓게 사용된다.
  • 플라스틱 - 고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은 높은 강도 대비 밀도 비율을 가진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직쇄 구조로 인해 강하고 내성이 높으며, 다양한 등급과 성형 가공법으로 생산되어 포장재, 파이프, 필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지만, 환경 문제로 인해 재활용이 중요하다.
폴리아세탈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반복 단위의 전체 구조식
반복 단위 구조
폴리옥시메틸렌 사슬의 공간 채움 모형
폴리옥시메틸렌 사슬 공간 채움 모형
기타 명칭폴리(옥시메틸렌) 글리콜; 폴리메틸렌 글리콜
CAS 등록번호9002-81-7
UNIIQHG55SH7ER
켐스파이더 IDNone
성질
화학식(CH2O)n
몰 질량가변적
외관흰색 고체 (염색 가능)
밀도1.41–1.42 g/cm³
녹는점165 °C
자기 감수율−9.36×10−6 (SI, 22 °C)
전기 저항14×10^15 Ω·cm
열화학
열용량1500 J/kg·K
위험성
관련 화합물
일본어 정보 (참고)
외관 (일본어)유백색 고체
밀도 (일본어)1.41 g/cm³
용해도 (일본어)0
녹는점 (일본어)~ 175 ℃
주요 위험 (일본어)가연성

2. 개발

폴리옥시메틸렌(POM)은 1953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독일 화학자 헤르만 슈타우딩거에 의해 발견되었다.[7] 그는 1920년대에 고분자를 연구하면서 POM의 중합과 구조를 연구했다.[8] 그러나 열 안정성 문제로 인해 당시에는 상용화되지 못했다.[8]

1952년경, 듀폰의 연구 화학자들이 POM의 한 종류를 합성했고,[9] 1956년 이 회사는 단일중합체에 대한 특허를 신청했다.[10] 듀폰은 R. N. 맥도날드를 고분자량 POM의 발명가로 인정한다.[11] 맥도날드와 동료들의 특허는 고분자량의 헤미아세탈 말단 (~O−CH2OH) POM의 제조법을 설명하지만,[12]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열 안정성을 갖추지 못했다. 열 안정성을 가진 POM 단일중합체의 발명가는 스티븐 달 노가레인데,[13] 그는 헤미아세탈 말단과 무수 아세트산을 반응시키면 쉽게 해중합되는 헤미아세탈을 열적으로 안정하고 용융 가공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변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1960년, 듀폰은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주 파커스버그에 아세탈 수지 자체 생산 공장 건설을 완료하고 ''델린(Delrin)''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4] 같은 해 셀라니즈도 자체 연구를 완료했다. 그 직후, 프랑크푸르트의 Hoechst AG와의 합작 투자로 헤센 켈스터바흐에 공장이 건설되었고, 1962년부터 ''셀콘(Celcon)''이 생산되었으며,[15] 1년 후에는 ''호스타폼(Hostaform)''이 합류했다. 이 두 제품 모두 셀라니즈의 관리하에 생산되고 있으며, 현재 '호스타폼/셀콘 POM'이라는 제품군의 일부로 판매되고 있다.

3. 생산

폴리옥시메틸렌(POM)은 1920년대 헤르만 슈타우딩어가 고분자를 연구하던 중 발견되었으나,[7] 열 안정성 문제로 상용화되지는 못했다.[8] 1952년경 듀폰의 연구 화학자들이 POM을 합성하고,[9] 1956년 단일중합체 특허를 신청했다.[10] 듀폰은 R. N. 맥도날드를 고분자량 POM 발명가로 인정했지만,[11] 그의 특허는 열 안정성이 부족했다.[12] 스티븐 달 노가레가 헤미아세탈 말단을 무수 아세트산과 반응시켜 열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을 발견했다.[13]

1960년 듀폰은 웨스트버지니아주 파커스버그에 ''델린(Delrin)'' 생산 공장을 완공했다.[14] 같은 해 셀라니즈도 연구를 완료하고, 헤센 켈스터바흐에 공장을 건설하여 1962년부터 ''셀콘(Celcon)''을, 1년 후 ''호스타폼(Hostaform)''을 생산했다.[15] 이들은 현재 '호스타폼/셀콘 POM' 제품군으로 판매된다.

POM의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생산에는 다양한 제조 공정이 사용된다.

3. 1. 단독중합체 (Homopolymer)

폴리옥시메틸렌(POM) 단독중합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수 포름알데히드를 생성해야 한다. 주된 방법은 수성 포름알데히드와 알코올을 반응시켜 헤미아세탈을 생성하고, 헤미포름알데히드/물 혼합물을 탈수(추출 또는 진공 증류)한 다음, 헤미포름알데히드를 가열하여 포름알데히드를 방출하는 것이다. 그 후 포름알데히드는 음이온 촉매에 의해 중합되고, 생성된 중합체는 아세트산 무수물과의 반응으로 안정화된다. 제조 공정으로 인해 대구경 단면은 중심선 다공성을 나타낼 수 있다.[16] 전형적인 예로는 듀폰의 델린이 있다.

호모폴리머(단독중합체)는 정제된 포름알데히드를 촉매 존재 하에서 음이온 중합에 의해 합성한다.

모노머인 포름알데히드에 물 등의 불순물(연쇄 이동제)이 포함되어 있으면, 연쇄 이동 반응에 의해 폴리머 말단은 옥시메탄올 구조(-OCH2OH)가 된다. 옥시메탄올 구조는 융점 이상이 되면 말단에서 포름알데히드가 차례로 떨어져 나가는 앤지핑 반응(Depolymerization|해중합영어)을 일으킨다. 호모폴리머의 경우 무수 아세트산을 사용한 아세틸화 등의 엔드캡 처리를 함으로써 열 안정성이 개선된다.

최근에는 모노머인 포름알데히드에서 물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고도 정제 기술이 개발되었다. 호모폴리머의 경우 무수 아세트산을 연쇄 이동제로 사용하여 포름알데히드의 중합을 수행하면, 연쇄 이동 반응에 의해 폴리머 말단이 아세틸기(-COCH3)로 엔드캡된 안정적인 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3. 2. 공중합체 (Copolymer)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는 약 1~1.5%의 −CH2O− 그룹을 −CH2CH2O−로 대체한다.[17]

폴리옥시메틸렌 공중합체를 만들기 위해, 포름알데히드는 일반적으로 트리옥산(구체적으로는 1,3,5-트리옥산, 트리옥신이라고도 함)으로 전환된다.[18] 이는 산 촉매( 황산 또는 산성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수행되며, 증류 및/또는 추출을 통해 트리옥산을 정제하여 물 및 기타 활성 수소를 함유한 불순물을 제거한다. 일반적인 공중합체로는 셀라니즈의 호스타폼(Hostaform)과 BASF의 울트라폼(Ultraform)이 있다.

공단량체는 일반적으로 디옥솔란이지만, 에틸렌 옥사이드도 사용할 수 있다. 디옥솔란은 에틸렌 글리콜과 수성 포름알데히드를 산 촉매 하에서 반응시켜 형성된다. 다른 다이올도 사용할 수 있다.

트리옥산과 디옥솔란은 산 촉매, 종종 삼플루오르화 붕소 에테르산염 BF3OEt2를 사용하여 중합된다. 중합은 비극성 용매에서 (이 경우 고분자가 슬러리 형태로 형성됨) 또는 순수한 트리옥산에서 (예: 압출기에서) 일어날 수 있다. 중합 후, 불안정한 말단 그룹을 제거하기 위해 산성 촉매를 비활성화하고 용융 또는 용액 가수분해를 통해 고분자를 안정화해야 한다.

안정적인 고분자는 용융 혼합되어 열 및 산화 방지제와 선택적으로 윤활제 및 기타 충전제를 첨가한다.

코폴리머는 1,3,5-트리옥산과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1,3-디옥솔란의 혼합물에 삼플루오르화 붕소 등의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첨가한 개환 중합에 의해 합성한다.

모노머인 포름알데히드 또는 1,3,5-트리옥산에 물 등의 불순물(연쇄 이동제)이 포함되어 있으면, 연쇄 이동 반응에 의해 폴리머 말단은 옥시메탄올 구조(−OCH2OH)가 된다. 옥시메탄올 구조는 융점 이상이 되면 말단에서 포름알데히드가 차례로 떨어져 나가는 앤지핑 반응(Depolymerization|해중합영어)을 일으킨다. 코폴리머의 경우 융점 이상에서 말단의 불안정 부분 ([−CH2O−]nH)을 해중합시켜 안정적인 말단(−CH2CH2OH)으로 끝내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코폴리머의 경우 메티랄(CH3OCH2CH3)을 연쇄 이동제로 하여 1,3,5-트리옥산과 코모노머와의 공중합을 수행하면, 연쇄 이동 반응에 의해 폴리머 말단이 메톡시 기(−OCH3)로 엔드캡된 안정적인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4. 특징

이 수지는 포름알데히드의 탄소-산소 카르보닐(carbonyl)기가 벌어져 다수의 분자가 결합하여 사슬 모양으로 결합된 것이다. 이 분자 사슬은 탄소-산소의 에테르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탄소-탄소 결합은 그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120°마다 에너지 저항이 있지만, 탄소-산소 결합에서는 자유롭게 회전하기 쉽다. 따라서 주사슬에 에테르 결합이 있으면 분자 사슬은 대체로 운동하기 쉽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옥시드도 폴리아세탈 수지와 같이 탄소-산소 에테르 결합으로 이어진 사슬 모양의 고분자이고, 탄소-산소 결합으로 이루어지므로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고무 모양의 물질이다. 이들은 아직 충분히 실용화되지는 않았지만 특색 있는 플라스틱이다. 폴리아세탈 수지의 경우, 분자의 단위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사슬이 서로 중첩되어 결정을 만든다. 그 때문에 한층 더 단단하고 강한 수지가 되며, 이 성질을 이용하여 경금속을 대체하는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폴리아세탈(POM)은 접착할 수 없는 단단한 플라스틱이지만, 용융하여 POM끼리 결합할 수 있다. 용융된 POM은 모양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강철 도구에 달라붙지 않는다.[20][21]

폴리아세탈(POM)의 물리적 특성
밀도 (kg/dm³)1.41
융점 (℃)165°C
비열 (J/kg/K)1500
열전도율 (W/m/K)0.31 ~ 0.37
열팽창 계수 (ppm/K)120[21]



POM은 비교적 강한 플라스틱으로, 에폭시 또는 알루미늄과 거의 비슷하지만 약간 더 유연하다.

폴리아세탈(POM)의 기계적 특성
속성값 (단위)
인장 항복 응력62 MPa
인장 탄성 계수2700 MPa
항복점 신율2.5 %
인장 파단 응력67 MPa
파단점 신율35 %
충격 강도80 kJ/m²



POM은 내마모성이 있다.

폴리아세탈(POM)의 마찰 특성
속성조건
강철과의 마찰 계수0.3 m/s, 0.49 MPa0.31
강철과의 마찰 계수0.3 m/s, 0.98 MPa0.37
강철에 대한 비마모0.49 MPa0.65 mm³/N/km
강철에 대한 비마모0.98 MPa0.30 mm³/N/km
POM과의 마찰 계수0.15 m/s, 0.06 MPa0.37



폴리아세탈은 비정질 부분과 결정질 부분이 혼재하기 때문에, 강도, 탄성률, 내충격성이 뛰어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사용된다. 또한, 활주 특성이 뛰어나 베어링 부품으로도 이용된다. 분자 구조에 산소 원자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한계 산소 지수는 15~16[37]이며, 가장 타기 쉬운 폴리머 중 하나이다.

시판되는 폴리아세탈의 예로는, 셀라니스사의 셀콘과 호스타폼, 듀폰사의 델린(호모폴리머)과 [https://www.polyplastics.com/jp/ 폴리플라스틱스]사ポリプラスチックス|폴리플라스틱스일본어(다이셀의 완전 자회사)의 듀라콘(코폴리머), 아사히카세이의 테낙(호모폴리머, 코폴리머 및 블록 코폴리머), 미쓰비시 가스 화학의 유피타르(코폴리머) 등이 있다.

호모폴리머인 델린을 사출 성형기로 취급할 때에는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고장 등으로 기계가 정지하여 융점 이상의 온도에 장시간 노출되면, 언지핑 반응(해중합)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폴리아세탈은 일반적으로 유백색이지만, 카본 블랙, 각종 안료 등을 배합하여 착색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착색제를 고농도로 배합한 마스터배치도 입수 가능하며, 성형 시 배합하여 사용된다.

성형 전에 80~90℃에서 3~4시간의 건조(탈수)가 권장된다.

5. 가공

POM은 과립 형태로 공급되며 열과 압력을 가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다.[19] 가장 일반적인 성형 방법은 사출 성형과 압출 성형이다. 회전 성형 및 블로우 성형 또한 가능하다.

사출 성형된 POM의 일반적인 응용 분야로는 고성능 엔지니어링 부품(예: 기어 휠, 스키 바인딩, 요요, 패스너, 잠금 시스템)이 있다. 이 재료는 자동차 및 소비 가전 산업에서 널리 사용된다. 더 높은 기계적 강성, 강성 또는 낮은 마찰/마모 특성을 제공하는 특수 등급이 있다.

POM은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의 연속 길이로 압출된다. 이 단면은 절단하여 가공용 바 또는 시트 형태로 판매할 수 있다. POM은 압출 막대 또는 시트 형태로 공급될 때 선삭, 밀링, 드릴링 등과 같은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생산 경제성이 용융 가공의 비용을 정당화하지 못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하다. 이 재료는 절삭성이 좋지만, 높은 여유각을 가진 날카로운 공구가 필요하다. 수용성 절삭 윤활유의 사용은 필요하지 않지만 권장된다.

POM 시트는 CO2 레이저 절단기와 같은 적외선 레이저를 사용하여 깨끗하고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 재료는 대부분의 금속만큼 강성이 없기 때문에 가벼운 클램핑력과 공작물에 충분한 지지력을 사용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많은 폴리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공된 POM은 특히 벽 두께가 크게 변동하는 부품에서 치수적으로 불안정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필렛 또는 보강 리브를 추가하여 "설계에서 제거"하는 것이 좋다. 최종 마무리를 하기 전에 미리 가공된 부품을 어닐링하는 것도 대안이다. 일반적으로 POM으로 가공된 작은 부품은 뒤틀림이 적다는 경험적 규칙이 있다.

호모폴리머인 델린을 사출 성형기로 취급할 때에는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고장 등으로 기계가 정지하여 융점 이상의 온도에 장시간 노출되면, 언지핑 반응(해중합)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폴리아세탈은 일반적으로 유백색이지만, 카본 블랙, 각종 안료 등을 배합하여 착색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착색제를 고농도로 배합한 마스터배치도 입수 가능하며, 성형 시 배합하여 사용된다. 성형 전에는 80~90℃에서 3~4시간 동안 건조(탈수)하는 것이 권장된다.

6. 접착

폴리아세탈은 일반적으로 접착이 매우 어려우며,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단일중합체보다 기존 접착제에 대한 반응이 좋지 않다.[24]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수한 공정과 처리가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정에는 표면 에칭, 화염 처리, 특정 프라이머/접착제 시스템 사용 또는 기계적 마모가 포함된다.

전형적인 에칭 공정은 고온에서 크롬산을 사용한다. 듀폰(DuPont)은 폴리아세탈 단일중합체 처리를 위한 특허 공정을 사용하는데, 이는 미세 기계적 맞물림에 충분한 표면 조도를 생성하는 새틴 처리라고 불린다. 또한 산소 플라즈마 및 코로나 방전을 포함하는 공정도 있다.[25][26] 특수 도구, 처리 또는 거칠기 없이 높은 접착 강도를 얻기 위해 록타이트(Loctite) 401 프리즘 접착제와 록타이트 770 프리즘 프라이머를 결합하여 약 1700psi의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다.[24]

표면이 준비되면 에폭시, 폴리우레탄,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등 여러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는 150psi에서 1050psi의 전단 강도를 보였다.[24] 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금속, 가죽, 고무, 면 및 기타 플라스틱에 접착하는 데 유용하다.

용접은 폴리아세탈의 우수한 용매 저항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폴리아세탈 중합체에서는 성공적이지 않다. 다양한 방법을 통한 열 용접은 단일중합체와 공중합체 모두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27]

7. 용도

이 수지는 경금속을 대체하는 재료로 사용될 만큼 단단하고 강하며, 이 특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분야사용 예시
기계기어, 슬라이딩 및 가이드 요소, 하우징 부품, 스프링, 체인, 나사, 너트, 팬 휠, 펌프 부품, 밸브 본체 등
전기 공학절연체, 보빈, 커넥터, 텔레비전, 전화 등 전자 장치 부품
차량연료 센더 유닛, 조명/제어 스위치 (방향 지시등 포함), 파워 윈도우, 도어 잠금 시스템, 연결 쉘 등
모델트럭(보기) 및 손잡이(핸들 바)와 같은 모델 철도 부품 (ABS보다 튼튼하고 밝은 반투명 색상을 가지며 페인트칠은 할 수 없음)
취미무선 조종 헬리콥터 메인 기어, 랜딩 스키드, 요요, 베이핑 드립 팁, 3D 프린터 휠, K'Nex,[28] 구체관절 인형[29]
의료인슐린 펜, 정량 흡입기(MDI)
식품 산업식품의약국 승인 일부 등급의 POM (우유 펌프, 커피 스피곳, 필터 하우징 및 식품 컨베이어)[30]
가구하드웨어, 잠금 장치, 손잡이, 경첩, 가구 슬라이딩 메커니즘용 롤러 등
건설구조 유리 - 포인트용 포드 홀더
포장에어로졸 캔, 차량 탱크
펜 몸체 및 캡 재료
스포츠페인트볼 액세서리, 에어소프트 건, 롱보드
의류지퍼
음악피크, 아일랜드 플루트, 백파이프, 연습 챈터, 하프시코드 플렉트라, 악기 마우스피스, 일부 드럼 스틱 팁[31][32]
다이닝완전 자동 커피 메이커, 칼 손잡이(특히 접는 칼)
시계 제조술기계식 무브먼트 부품(예: Lemania 5100[33]), 시계 팔찌(예: IWC 포르쉐 디자인 3701)
베이퍼/전자담배 액세서리대부분의 "드립 팁"(마우스피스) 제조
담배 제품BIC 그룹 라이터[34]
키보드 키캡체리 G80 및 G81 시리즈 키보드[35]



던롭 "Delrin 500" 기타 피크


폴리옥시메틸렌 바디와 캡이 있는 만년필
폴리옥시메틸렌 바디와 캡이 있는 만년필


가전, 전기/전자 제품, 자동차 패널, 문구·잡화, 사무용 가구 부재, 브러시 자루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또한, 결로 방지 대책으로 리코더를 비롯한 목관 악기나 금관 악기에도 사용된다.

그 외에도 모형의 가동부 부품, 플라스틱 재질의 철도 모형 대차 프레임, 연결기 등에도 사용되며, 업계에서는 '''쥬라콘'''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8. 분해

아세탈 수지 배관 접합부의 염소 공격


아세탈 수지는 무기산염소와 같은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가수 분해와 산화에 민감하다.[36] POM 단독 중합체는 알칼리 공격에도 취약하며, 뜨거운 물에서 분해되기 쉽다. 따라서 식수 공급에서 낮은 수준의 염소(1–3 ppm)만으로도 환경 응력 균열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미국과 유럽의 가정 및 상업용 급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불량한 성형품이 균열에 가장 민감하지만, 물이 뜨거우면 정상적인 성형품도 파손될 수 있다. POM 단독 중합체와 공중합체 모두 이러한 유형의 분해를 완화하기 위해 안정화되어 있다.

화학 분야에서 이 폴리머는 대부분의 유리 기구 작업에 적합하지만, 치명적인 실패를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류 과정에서 유리 기구의 뜨거운 부분(플라스크-컬럼, 컬럼-헤드 또는 헤드-응축기 연결부 등)에 폴리머 클립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폴리머는 염소와 산 가수 분해에 모두 민감하기 때문에, 반응성 가스, 특히 염화 수소 (HCl)에 노출될 때 성능이 매우 저조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밀봉된 조인트에서 겉으로는 중요하지 않은 노출로도 경고 없이 빠르게 (부품이 갈라지거나 부서짐)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유리가 열리거나 깨질 수 있으므로 심각한 건강 위험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PTFE 또는 고급 스테인리스강이 더 적절한 선택일 수 있다.

또한, POM은 연소 시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불꽃은 자체 소화되지 않으며, 연기가 거의 또는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푸른 불꽃은 주변 빛에서 거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연소는 또한 코, 목, 눈 조직을 자극하는 포름알데히드 가스를 방출한다.

9. 주요 제조사 및 점유율 (2014년 기준)

제조사상표점유율비고
폴리플라스틱스DURACON18%
셀라니스Hostaform, Celcon15%
듀폰Delrin10%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Kepital8%셀라니스와 미쓰비시 가스 화학의 합작 회사이다.
미쓰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Iupital7%미쓰비시 가스 화학(75%)과 미쓰비시 케미컬(25%)의 합작 회사[39]이다.
아사히카세이Tenac, Tenac-C4%
쿼드란트 폴리펜코 재팬(없음)(없음)스위스 :de:Quadrant AG사의 자회사이다. 2019년 4월 1일자로 미쓰비시 케미컬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주식회사로 변경되었다[40].
중국 각사(없음)26%

[38]

참조

[1] 논문 Magnetic properties of materials for MR engineering, micro-MR and beyond 2014
[2] 웹사이트 MatWeb:acetal http://www.matweb.co[...]
[3] 웹사이트 Colored Delrin https://www.alro.com[...] 2021-03-12
[4] 웹사이트 Ticona MSDS for Hostaform http://tools.ticona.[...]
[5] 웹사이트 Data Sheet: POM (Delrin, Acetal) https://xometry.eu/w[...] 2021
[6] Acetal (Polyoxymethylene) Acetal (Polyoxymethylene) https://www.curbellp[...]
[7]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53 https://www.nobelpri[...] 2016-03-08
[8] 웹사이트 Acetal - Polyoxymethylene (POM) - Thermoplastic https://www.polymers[...] 2024-05-13
[9] 서적 How to Invent and Protect Your Invention: A Guide to Patent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07-31
[10] 웹사이트 A History of Plastics http://www.bpf.co.uk[...] 2016-03-08
[11] 간행물 News & Media Relations Home - DuPont EMEA http://uk.news.dupon[...]
[12] 특허 Polyoxymethylenes
[13] 특허 Polyoxymethylene carboxylates of improved thermal stability
[14] 서적 Essentials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DEStech Publications, Inc
[15] 서적 Thermoplastic Materials: Properties, Manufacturing Method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1-04-25
[16] 웹사이트 Acetal Products Comparison: Acetal vs. Delrin http://lionep.com/up[...] Lion Engineering Plastics 2016-10-01
[17] 웹사이트 How to Maximise the Property Advantages of DuPont Delrin Acetal Homopolymer over Acetal Copolymer http://www.dupont.co[...] DuPont 2016-10-01
[18] 특허 Process for producing polyoxymethylene copolymer having reduced amount of unstable terminal groups https://patents.goog[...]
[19] 웹사이트 Polyoxymethylene https://www.atamanch[...] 2024-09-18
[20] 웹사이트 POM standard values https://heutecomp.de[...] 2023-11-03
[21] 웹사이트 General Properties of M90-44 https://www.polyplas[...] 2023-11-03
[22] 웹사이트 Polyoxymethylene (POM) price index https://businessanal[...] 2020-10-07
[23] 웹사이트 POM-C staf wit Ø 100mm https://richkunststo[...] 2023-11-03
[24] 웹사이트 Design Guide for Bonding Plastics https://www.ellswort[...] 2020-02-22
[25] BASF Ultraform product information BASF Ultraform product information http://www.plasticsp[...]
[26] 서적 Handbook of Surface Preparation Palmerton Publishing Co.
[27] 웹사이트 Tamshell Engineering Corner https://tamshell.com[...] 2017-09-15
[28] 웹사이트 Ticona Polymer and Processing Expertise Helps Rodon Deliver Successes, Including K'NEX® Toys http://www.celanese.[...] Celanese Corporation 2016-03-19
[29] The Smart Doll Body The Smart Doll Body https://dannychoo.co[...]
[30] 웹사이트 Acetal Plastic Sheet, Rod, Tube and Accessories https://www.intersta[...] 2015-09-01
[31] 웹사이트 The Loud Buzzer http://www.loudmouth[...] unknown 2012-03-17
[32] 웹사이트 Saxscape Mouthpieces http://www.saxscape.[...]
[33] 웹사이트 Chronography 4: Lemania 5100 https://wornandwound[...] 2015-10-19
[34] 웹사이트 BiC® Werbefeuerzeuge für Geschäftskunden http://www.bic-feuer[...] 2017-08-14
[35] 웹사이트 ABS vs PBT vs POM Keycap Plastic https://www.numpad.c[...] 2020-01-18
[36] PDF https://www.industri[...] 2024-08
[37] 웹사이트 難燃性とは?燃焼の仕組みからプラスチックの難燃性についてまで解説 https://www.y-skt.co[...] 吉田SKT 2023-09-19
[38] 간행물 特集 統計でみるプラスチック産業の一年 : 2014年プラスチック産業統計資料集 日本工業出版 2015-06
[39] 웹사이트 会社概要(概要、沿革) https://www.m-ep.co.[...]
[40] 뉴스 三菱ケミカル、グループ会社(クオドラント社)が4月1日付で社名変更 https://www.nikkei.c[...] 2019-02-25
[41] 저널 Magnetic properties of materials for MR engineering, micro-MR and beyond 2014
[42] 웹인용 MatWeb:acetal http://www.matweb.co[...]
[43] 웹인용 Ticona MSDS for Hostaform http://tools.ticona.[...]
[44] 웹인용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53 https://www.nobelpri[...] 2016-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