푼다멘토 데 에스페란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푼다멘토 데 에스페란토(Fundamento de Esperanto)는 에스페란토의 기본 규칙을 담은 문서로, 에스페란토 문법의 핵심 내용과 기초 어휘를 정의한다. 16개의 조항으로 구성된 문법 섹션은 관사, 명사, 형용사, 수사, 대명사, 동사, 부사 등을 다루며, 발음, 강세, 형태론, 목적격 사용법 등 기본적인 언어 규칙을 제시한다. 이 문서는 프랑스어, 영어, 독일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등 5개 국어로 번역되었으며, 1888년 라자로 루드비코 자멘호프의 이전 작품에서 내용을 가져왔다. 1905년 제1회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 에스페란토의 공식적인 근거로 지정되었으며, 에스페란토 학술회가 푼다멘토를 수정할 수 있다. 푼다멘토 데 에스페란토는 에스페란토의 안정성을 위해 언어의 기본 구조와 어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푼다멘티스모는 푼다멘토를 준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페란토의 역사 - L. L. 자멘호프
러시아 제국 출신 안과 의사 L. L. 자멘호프는 국제어 에스페란토를 창시하고 에스페란토 운동에 헌신하며 관련 저작물을 번역하는 데 몰두했다. - 에스페란토의 역사 - 프라하 선언
프라하 선언은 1996년 프라하에서 열린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 채택된 문서로, 에스페란토를 통해 달성할 수 있는 민주주의, 다국적 교육 등 7가지 원칙을 제시한다. - 에스페란토 문학 - 안토니 그라보프스키
폴란드의 화학 공학자이자 초기 에스페란토 운동가인 안토니 그라보프스키는 화학 분야에서의 업적과 에스페란토 번역 및 창작 활동을 통해 "에스페란토 문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에스페란토 발전과 확산에 기여했다. - 에스페란토 문학 - 버기 줄러
헝가리의 에스페란티스토 작가, 시인, 번역가인 버기 줄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시베리아 포로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평화와 인류애를 강조하는 에스페란토 문학 작품을 창작했으며, 특히 시인으로서 두각을 나타내며 에스페란토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푼다멘토 데 에스페란토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저자 | L. L. 자멘호프 |
언어 | 영어 에스페란토 프랑스어 독일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
출판일 | 1905년 |
ISBN | 90-77066-19-5 |
내용 | |
주제 | 에스페란토 |
내용 | 서문(Antaŭparolo) 문법(Gramatiko) 연습(Ekzercaro) 보편 사전(Universala Vortaro) |
2. 16조 문법
16조 문법은 에스페란토 문법의 기본 규칙을 정리한 것이다. 세부 사항은 포함하지 않는다. 16조 문법은 프랑스어, 영어, 독일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5개 국어로 번역되었지만, 정작 공식 에스페란토 번역은 없다.[3] (에스페란토 기본 예문집에 에스페란토 번역이 수록되어 있지만, 비공식적이다.) 또한, 5개 국어 번역본의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4]
각 조항은 다음과 같다.
- 제1조 ~ 제7조: 관사, 명사, 형용사, 수사, 인칭 대명사, 동사, 부사를 다룬다.
- 제8조 ~ 제15조: 전치사, 발음, 강세, 형태론, 이중 부정, 목적격, 전치사 je|에eo, 외래어를 다룬다.
- 제16조: 명사와 관사의 어미 생략 및 아포스트로피 대체에 대해 다룬다.
2. 1. 제1조 - 제7조
# 제1조는 관사를 다룬다. 부정관사는 없고, 정관사는 성과 격에 대해 불변이다.[3]# 제2조는 명사를 다룬다. 명사의 어미(語尾)와 복수형, 목적격 어미에 대하여 정의한다.[3]
# 제3조는 형용사를 다룬다. 형용사의 어미와 비교급, 최상급에 대하여 정의한다.[3]
# 제4조는 수사를 다룬다. 기수와 서수 등에 대하여 다룬다.[3]
# 제5조는 인칭 대명사를 다룬다.[3]
# 제6조는 동사를 다룬다. 동사의 어미와 활용을 정의한다.[3]
# 제7조는 부사를 다룬다. 부사의 어미를 정의한다.[3]
2. 2. 제8조 - 제15조
# 제8조는 전치사를 다룬다. 전치사구에서 명사는 주격을 쓴다.[3]# 제9조는 발음을 다룬다. 모든 단어는 쓰인 대로 읽고, 묵음은 없다.[3]
# 제10조는 강세를 다룬다. 모든 단어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를 준다.[3]
# 제11조는 형태론을 다룬다. 합성어는 어근만을 조합하여 만들고, 오직 맨 마지막 어근의 어미만 남긴다.[3]
# 제12조는 이중 부정을 금지한다.[3]
# 제13조는 목적격의 쓰임새를 다룬다.[3]
# 제14조는 전치사 jeeo를 다룬다. 이는 다른 전치사를 쓰기 애매할 때 일반적으로 쓰인다.[3]
# 제15조는 외래어를 다룬다. 널리 쓰이는 단어는 어근을 그대로 빌리되, 그 어미와 활용은 에스페란토의 문법을 따른다.[3]
2. 3. 제16조
명사와 관사의 어미를 생략하고, 대신 아포스트로피로 대체하는 것을 허용한다.[3]3. ''에스페란토의 기초''(Fundamento de Esperanto)
''에스페란토의 기초''(Fundamento de Esperanto)는 1905년 불로뉴 선언에서 에스페란토의 공식적인 기초로 지정되었다. 서문, 문법, 연습 문제, 사전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자멘호프의 초기 저작에서 가져왔다.
''에스페란토의 기초''는 프랑스어, 영어, 독일어, 러시아어, 폴란드어의 5개 국어로 번역되어 있다.
자멘호프는 1888년 ''제2서 부록''에서 시간 상관어(when, then, always, sometimes, never)의 어미를 '-ian'에서 '-iam'으로 변경했기 때문에 ''에스페란토의 기초''의 에스페란토는 ''제1서''의 에스페란토와 약간 다르다.[1]
3. 1. 역할
에스페란토의 안정을 위하여 에스페란토의 기본적 구조 및 어휘를 절대 불변으로 고정시킨 것이 푼다멘토 데 에스페란토이다. 푼다멘토 데 에스페란토는 국가의 헌법에 비유되기도 한다.[1]불로뉴 선언의 네 번째 조항에 따르면, 모든 에스페란티스토에게 구속력을 가지는 에스페란토의 유일한 기초는 "푼다멘토 데 에스페란토"이다. 누구도 이 기초를 변경할 권리가 없으며, 만약 누군가가 이 기초에서 벗어난다면, "에스페란토의 저자가 그렇게 원하거나 조언했다"라는 말로 자신을 정당화할 수 없다.
단, 푼다멘토는 에스페란토 전체를 절대 불변으로 정의하지는 않는다. 푼다멘토 머리말에 따르면, 다음 조건 아래 에스페란토의 어휘와 규정은 수정될 수 있다.
- "강대국들"(plej ĉefaj regnoj|플레이 체파이 레그노이eo)이 에스페란토를 받아들여 법으로 보호한다면, 해당 정부가 임명한 위원회에서 수정안을 고려할 수 있다.
- "논란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만인에게 그 권위를 인정받는 기관"(por ĉiuj aŭtoritata kaj nedisputebla institucio|포르 추이 아우토르타타 카이 네디스푸테블라 인스티투치오eo)이 푼다멘토를 수정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 사항은 "공식 부록"(Oficiala Aldono|오피치알라 알도노eo)이라는 이름으로 출판된다. 단, 이전 어휘 및 문법을 폐지할 수는 없으며, 새로운 대체 어휘 및 문법을 제정할 수 있다. 이러한 권위있는 기관은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의 "언어 위원회"(Lingva Komitato|링그바 코미타토eo)이며, 오늘날 에스페란토 학술회의 모태다.
- 에스페란토 권위자들의 조언을 받아 신조어를 도입할 수 있다. 신조어는 푼다멘토에 포함되지 않은 개념에 대하여서만 만들 수 있다. (불로뉴 선언 4조)
''에스페란토 기초''와 동등한 것은 ''공식적인 추가'' (''Oficialaj Aldonoj'')이다. 현재까지 아홉 개의 공식적인 추가가 있었다. ''에스페란토 기초''의 서문에는 "얼마 후, 많은 새로운 단어들이 완전히 정착되면, 어떤 권위 있는 기관이 그들을 '에스페란토 기초의 추가'로서 공식적인 사전에 수록할 것이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그 권위 있는 기관은 에스페란토 아카데미이다.
"에스페란토의 기초"는 일본에서는 종종 헌법에 비유된다. "에스페란토의 기초"는 에스페란토의 언어로서 문법의 원칙, 기초 어휘 등을 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3. 2. 공식 부록 (Oficialaj Aldonoj)
에스페란토 학술회(Akademio de Esperanto)는 새로운 단어나 문법 요소 등을 공식화하는 역할을 하며, 이렇게 공식화된 내용은 "공식 부록"(Oficiala Aldonoeo)이라는 이름으로 출판된다.[3] ''에스페란토 기초''와 동등한 효력을 가지는 공식 부록은 현재까지 아홉 개가 발표되었다.[3]''에스페란토 기초'' 머리말에 따르면, 에스페란토의 어휘와 규정은 다음 조건 아래 수정될 수 있다.[3]
- "강대국들"(plej ĉefaj regnojeo)이 에스페란토를 법으로 보호한다면, 이들 정부가 임명한 위원회에서 수정안을 고려할 수 있다. (푼다멘토 머리말 ¶1)
- "논란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만인에게 그 권위를 인정받는 기관"(por ĉiuj aŭtoritata kaj nedisputebla institucioeo)이 푼다멘토를 수정할 수 있다. (푼다멘토 머리말 ¶3) 이러한 기관은 1905년 8월 제1차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 "언어 위원회"(Lingva Komitatoeo)로 설립되었으며, 이는 오늘날 에스페란토 학술회의 모태다.[3]
"공식 부록"으로 출판되는 수정 사항은 이전 어휘 및 문법을 폐지할 수는 없고, 새로운 대체 어휘 및 문법을 제정할 수 있다. (푼다멘토 머리말 ¶8) 이는 기존 문학의 가치 및 가독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3]
4. 푼다멘티스모 (Fundamentismo)
"푼다멘티스모"(Fundamentismo)는 원리주의라는 의미 외에도 "에스페란토의 기초를 준수하는 것"이라는 의미가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Dua Libro de l' Lingvo Internacia
http://esperanto.dav[...]
2017-11-16
[2]
기타
Bertilo Wennergren, Plena Manlibro de Esperanta Gramatiko, Rektaj gramatikaj instruoj el la Fundamenta Ekzercaro
http://bertilow.com/[...]
[3]
블로그
Gramatiko el la Fundamento: en Esperanto, en la reto
http://akademio-de-e[...]
2011-07-14
[4]
기타
Bertilo Wennergren, PMEG, §40 Gramatiko en la Fundamento
http://bertilow.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