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플라미니아 가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라미니아 가도는 기원전 220년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에 의해 건설된 고대 로마의 도로이다. 로마에서 아드리아 해안의 리미니까지 이어졌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 이탈리아 중부와 북부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했다. 플라미니아 가도는 여러 차례 개축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라벤나 도로'로 불리며 군사적, 상업적 중요성을 유지했다. 오늘날에는 이탈리아의 국도 SS3의 일부로 사용되며, 밀비오 다리 전투와 같은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기도 했다. 가도에는 여러 다리와 유적이 남아 있으며, 1960년 로마 올림픽 사이클 경주에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케주의 교통 - 살라리아 가도
    살라리아 가도는 고대 로마 시대 소금 운송로로 건설되어 티레니아해 연안과 테베레강 어귀의 소금 채취 및 아드리아해 연안 교역에 활용되었으며, 로마 정착의 기원과 관련된 역사적 의미를 지닌 유럽의 고대 소금길 중 하나이다.
  • 움브리아주의 교통 - 아우토스트라다 A1
    아우토스트라다 A1은 이탈리아의 주요 고속도로인 "아우토스트라다 델 솔레"의 일부로 밀라노에서 나폴리까지 이어지며, 1950년대 후반에 착공하여 1964년에 완공되어 이탈리아 경제 발전에 기여했고, 특히 발리코 우회 도로는 볼로냐와 피렌체 사이의 아펜니노 산맥을 통과하는 구간을 우회한다.
  • 라치오주의 교통 - 살라리아 가도
    살라리아 가도는 고대 로마 시대 소금 운송로로 건설되어 티레니아해 연안과 테베레강 어귀의 소금 채취 및 아드리아해 연안 교역에 활용되었으며, 로마 정착의 기원과 관련된 역사적 의미를 지닌 유럽의 고대 소금길 중 하나이다.
  • 라치오주의 교통 - 아우토스트라다 A1
    아우토스트라다 A1은 이탈리아의 주요 고속도로인 "아우토스트라다 델 솔레"의 일부로 밀라노에서 나폴리까지 이어지며, 1950년대 후반에 착공하여 1964년에 완공되어 이탈리아 경제 발전에 기여했고, 특히 발리코 우회 도로는 볼로냐와 피렌체 사이의 아펜니노 산맥을 통과하는 구간을 우회한다.
플라미니아 가도
기본 정보
카르줄라에의 도로
위치로마에서 리미니
건설 시기기원전 220년
건설 주체로마 공화국,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 로마 감찰관
종류로마 도로
다른 이름플라미니아 가도
로마자 표기Via Flaminia
길이575m

2. 역사

플라미니아 가도는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가 감찰관으로 재임하던 시기에 건설된 이후, 로마 제국, 중세, 르네상스,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수행했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포 평원의 밀을 로마로 운반하고, 로마 쇠퇴기에는 이탈리아 중심부로 향하는 주요 경로로 사용되었다. 밀비우스 다리 전투와 같이 역사적인 전투가 벌어진 장소이기도 하다.

중세에는 ''라벤나 도로''로 불리며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르네상스 시대에 부분적으로 재건되었고, 나폴레옹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까지 군사적 요충지로 활용되었다. 현재는 ''SS 3 (Strada Statale 3)''이라는 이름으로 로마와 아드리아 해 해안을 연결하는 주요 고속도로로 남아있다.

2. 1. 고대 로마 시대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가 감찰관으로 재임하던 기원전 220년에 플라미니아 가도가 건설되었다. 로마 제국 시대에 들어서도 빈번하게 개수되었다.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가도 전체를 개수하면서 각 가도를 원로원 의원에게 분담시켰지만, 플라미니아 가도는 자신이 직접 담당했다. 그는 로마에서 북쪽으로 3km 떨어진 곳에 있는 테베레 강의 밀비우스 다리(기원전 109년에 마르쿠스 아에밀리우스 스카우루스가 건설)와 소재 불명의 Pons Minucius를 제외한 모든 다리를 재건했다.[2] 아우구스투스를 기리기 위해 밀비우스 다리와 리미니에 개선문이 세워졌고, 이 중 리미니 개선문은 현재까지 남아있다. 기원 77년에는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Intercisa''에 새로운 터널을 만들어 새로운 경로를 완성했다(Furlo). 트라야누스 황제 또한 플라미니아 가도 주변의 여러 다리를 수리한 것이 석비를 통해 밝혀졌다.[2]

플라미니아 가도는 고대에 두 가지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전 2세기까지 로마가 팽창하던 시기에는 포 평원에서 수확한 밀을 로마나 중앙 이탈리아로 운반하는 주요 경로였다. 로마가 쇠퇴하면서는 이탈리아 중심부로 향하는 길이 되었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로마 내전에서 이 길을 이용해 로마로 향했고, 수많은 야만족과 동로마 제국의 장군들도 이 길을 통해 로마로 진입했다. 이 때문에 플라미니아 가도 주변에는 수많은 격전지가 있다. 예를 들어 사소페라토 근처의 Sentinum이나 현대의 구알도 타디노에 해당하는 Tadinum 등이 있다.[1] 콘스탄티누스 1세밀비우스 다리 전투 또한 이 도로에서 일어났으며, 이는 그가 근처에서 키로의 꿈을 꾼 후 기독교로 개종하고 로마 제국이 기독교화되는 계기가 되었다.[1] 중세 초기에는 이 가도를 동로마 제국이 점령하고 있었기 때문에, 역사가들은 이 일대를 "비잔틴 회랑(Byzantine corridor)"이라고 부르기도 한다.[5]

2. 2. 중세 시대

중세 시대에는 라벤나가 더 중요한 도시였기 때문에 플라미니아 가도는 ''라벤나 도로''로 알려졌다. 라벤나 총독부가 끝난 후 랑고바르드족 시대에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지만, 르네상스 시대에 부분적으로 재건되었으며 나폴레옹 시대제2차 세계 대전까지 군사적 중요성을 유지했다. 현재는 ''SS 3 (Strada Statale 3)''으로, 로마에서 아드리아 해안으로 가는 주요 고속도로 중 하나이다.

2. 3. 근세 및 현대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가도의 전면적인 개수를 실시했을 때, 각 가도를 원로원 의원에게 분담시켰지만, 플라미니아 가도는 자신이 담당했다. 그리고 로마에서 북쪽으로 3km 떨어진 곳에 있는 테베레 강에 걸쳐 있는 밀비우스 다리(기원전 109년에 마르쿠스 아에밀리우스 스카우루스가 건조)와 소재 불명의 Pons Minucius 이외의 모든 다리를 재건했다. 아우구스투스의 명예를 기려, 밀비우스 다리와 리미니개선문이 세워졌고, 리미니 개선문은 현존하고 있다. 기원 77년에는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새로운 터널을 만들어 ''Intercisa''라는 새로운 경로를 완성했다(Furlo). 또한, 트라야누스 황제가 플라미니아 가도 연변의 몇 개의 다리를 수리한 것이 석비에서 밝혀졌다.[2]

중세 시대에는 ''Ravenna road''라고 불렸으며, 라벤나와 로마를 잇는 길로 알려졌다. 그러나 동로마 제국라벤나 총독부가 함락되고 랑고바르드족이 지배하게 되면서, 이 길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르네상스기에 부분적으로 재건되었고,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때에도 군사적으로 중요한 길로 계속 사용되었다. 현재는 고대 플라미니아 가도에 따라 국도 3호선(strada statale 3)이 정비되어, 로마에서 아드리아 해로 향하는 주요 도로 중 하나가 되었다.

1826년 장-밥티스트 카미유 코로의 그림에 나타난 나르니 다리

3. 경로

플라미니아 가도는 고대 로마의 세르비우스 성벽에 있는 폰타날리스 문에서 시작하여 카피톨리노 언덕의 북쪽 경사면을 따라 뻗어 있었다. 캄피돌리오에서 포르타 플라미니아로 이어지는 비아 델 코르소를 따라갔고, 이는 아우렐리아누스 성벽과 피아잘레 플라미니오의 도시 성문이었다.[6] 이 구간은 플라미니아 가도의 도시 구간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 후 가도는 밀비오 다리에서 테베레강을 건넜다. 카시아 가도가 북쪽으로 갈라지는 동안, 플라미니아 가도는 동쪽으로 방향을 틀었다가 다시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테베레 강을 따라 삭사 루브라와 프리마 포르타까지 이어졌다. 프리마 포르타 너머 오른쪽에 있는 언덕에는 아우구스투스의 아내인 리비아가 소유했던 아드 갈리나스 유적이 있다.[7][8]

이후, "로마 - 나르니", "나르니 - 포룸 플라미니이", "포룸 플라미니이 - 아리미눔" 섹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경로를 따라서, ''오크리쿨룸''(오트리콜리), ''나르니아''(나르니), ''포룸 플라미니이''(S. 조반니 프로피암마), ''누케리아 카멜라리아''(노체라 움브라), ''포룸 셈프로니이''(포솜브로네), ''파눔 포르투나에''(파노) 등의 도시를 지나 ''아리미눔''(리미니)에 도달하였다.

로마로부터의 총 거리는 이전 도로를 이용하면 210로마 마일(296km), 새로운 도로를 이용하면 222로마 마일(328km)이었다. 이 도로는 2세기부터 이탈리아 사법 구역의 이름이 되었는데, 이전 세노네스족의 영토는 처음에는 움브리아와 연결되었지만 (아우구스투스 시대에는 이탈리아의 여섯 번째 지역인 ''움브리아 에트 아게르 갈리쿠스''를 형성), 콘스탄티누스 이후에는 항상 ''피케눔''과 함께 관리되었다.[2]

플라미니아 마이너(Via Flaminia Militare)는 기원전 187년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가 볼로냐의 ''보노니아''에서 아레초의 ''아레티움''까지 건설한, 보다 서쪽에 있는 도로이다.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중세 이후에는 사라졌다. 정확한 경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1977년 프랑코 산티와 체사레 아고스티니가 잔해를 발견했다고 주장했지만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10]

로마 교량 위치 개요는 로마 교량 목록을 참조하면 된다.

플라미니아 가도의 현존하는 유적은 포장 도로의 드문 조각(가장 큰 조각은 북부 라치오의 리냐노 플라미니오에 있는 약 800미터 길이의 간헐적인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대부분은 다리이다.

카글리의 말리오 다리


플라미니아 가도 상의 다리 유적
구간다리 이름
로마 - 나르니밀비오 다리
아우구스투스의 파일
나르니 남쪽의 폰테 산구이나로
나르니의 거대한 다리
서부 지선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파괴된 폰테 칼다로
상제미니 전의 폰테 칼라모네
아쿠아스파르타 근처의 폰테 포나이아
아쿠아스파르타 바로 외곽의 다리, 그 위에 아쿠아스파르타의 산 조반니 데 부트리스 교회가 건설됨
바스타르도 근처 카발라라의 폰테 델 디아볼로
스폴레토의 폰테 산구이나로
동부 지선폰테바리에 다리의 희미한 잔해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 재결합 후피에베 파노니카의 다리 같은 구조물
노체라 움브라 근처의 레 스푸네
포사토 디 비코 코뮌의 다리 3개(그 중 하나는 실제로 플라미니아의 주요 간선에서 벗어난 지선에 속함)
코스타차로의 폰테 스피아노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폭파된 빌라 시르카의 웅장한 다리
폰테다초와 폰테리치올리 근처의 칸티아노 코뮌에 있는 다리 5개
카글리의 폰테 말리오(또는 만리오), 로마 이전(움브리아) 건설의 일부인 것으로 보임
푸를로 고개터널



개별 마을 내에 있는 유적 외에 이 도로를 따라 주목할 만한 로마 유적지로는 베바냐와 폴리뇨 사이에 있는 한 쌍의 탑 무덤이 있으며, 특히 플라미니아의 동부 지선인 스폴레토와 트레비 사이 지역에는 재사용된 로마 석재(spolia)로 부분적으로 지어진 많은 작은 로마네스크 양식의 교회(몇 개의 비문을 포함)가 있어 도로의 직선을 매우 명확하게 표시한다. 카르술라에 유적에 작은 도로 구간이 남아 있으며, 이곳은 아르코 디 트라이아노를 통과한다.

3. 1. 로마 - 나르니

카줄라에의 플라미니아 가도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안의 로마에서는 포폴로 광장이 플라미니아 가도의 출발점이다. 거기에서 캄피돌리오까지 비아 델 코르소(Via del Corso, ''Via Lata'')가 이어지며, 플라미니아 가도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가도는 북쪽으로 향하지만, 지금은 현대적인 포장이 되어 있다. 에트루리아인의 도시 ''팔레리''(현재의 치비타 카스텔라나)의 약간 동쪽을 지나, 테베레 강을 건너 움브리아주로 들어간다. 그 후 ''오크리쿨룸''(현재의 오트리콜리)과 ''나르니아''(현재의 나르니)를 지나는데, 나르니에서는 네라 강과 교차한다. 그곳에 놓여 있던 다리는 마르티알리스에 따르면 4개의 아치로 구성된 최대의 로마 다리였으며[11], 지금도 하나의 아치와 모든 교각이 남아 있다. 또한 ''카수엔툼''(현재의 산제미니)을 지나, 2개의 보존 상태가 좋은 고대 다리를 건너, 카줄라에(Carsulae)를 경유하여 ''메바니아''(현재의 베바냐)를 지나, 폴리뇨(''Forum Flaminii'')로 이어진다. 후에 ''나르니아''에서 ''Forum Flaminii''까지 더 멀리 돌아가는 경로가 채택되면서, 길이 12로마 마일 (18km) 늘어났다. 이 경로는 ''인테르암나 나하르스''(테르니), ''스폴레티움''(스폴레토), ''풀기니움''(폴리뇨)을 지나며, 거기에서 페루자 방면으로 분기하는 지선이 있었다.

3. 2. 나르니 - 포룸 플라미니이 (서부 및 동부 지선)

플라미니아 가도는 ''오크리쿨룸''(오트리콜리)과 ''나르니아''(나르니)로 이어졌는데, 나르니에서는 네라강을 아우구스투스 다리로 건넜다. 이 다리는 마르티알리스가 언급한 4개의 아치로 된 웅장한 구조물로, 로마 시대에 건설된 가장 큰 다리 중 하나였으며, 현재 아치 하나가 남아있다.[9]

이후 플라미니아 가도는 ''카수엔툼''(산 제미니)으로 이어지며, 두 개의 잘 보존된 고대 다리를 지나 ''카르술라에''를 거쳐 ''비쿠스 마르티스 투데르티움''(현대 마사 마르타나 근처), ''메바니아''(베바냐), 그리고 ''포룸 플라미니이''(S. 조반니 프로피암마)로 이어졌다. 나중에는 ''나르니아''에서 ''포룸 플라미니이''로 가는 더 우회적인 경로가 채택되어 거리가 12로마 마일(18km) 증가했고, ''인테르암나 나하르스''(테르니), ''스폴레티움''(스폴레토) 및 ''풀기니움''(폴리뇨)을 지나갔으며, 이 지점에서 ''페루시아''(페루자)로 이어지는 지선이 갈라졌다.[2]

3. 3. 포룸 플라미니이 - 아리미눔

플라미니아 가도는 ''포룸 플라미니이''(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두 갈래 길로 나뉘었다가 다시 합쳐진다. ''포룸 플라미니이''에서 ''누케리아 카멜라리아''(노체라 움브라)로 향했는데, 여기서 갈라진 길은 ''셉템페다''를 거쳐 안코나나 ''톨렌티눔''(톨렌티노)과 ''우르비 살비아''(우르비살리아)로 이어졌다.[2] 또 다른 길은 ''헬빌룸''(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으나, 시질로 또는 포사토 디 비코로 추정)을 지나 아펜니노 산맥의 주 능선을 넘었다. 고대 기록에 따르면, 한때 고개 정상 부근에 유피테르 아펜니누스 신전이 있었다고 한다.[2]

플라미니아 가도는 ''칼레스''(칼리)로 내려간 후 부라노 협곡을 따라 북동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가장 좁은 곳은 바위를 깎아 만든 터널을 통과했는데, 기원전 3세기의 첫 번째 터널은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만든 인접한 터널로 대체되었다. 이곳이 현대의 ''골라 델 푸를로''이며, 고대 이름인 ''인테르치사''는 터널과 관련하여 "잘라 통과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현대의 2차선 도로인 ''SS 3 플라미니아''는 여전히 베스파시아누스 터널을 사용하며, 황제의 헌사 비문도 남아 있다. 이전 터널의 잔해도 볼 수 있다.

플라미니아 가도는 아펜니노 산맥의 협곡에서 ''포룸 셈프로니이''(포솜브로네)를 거쳐 아드리아 해 해안의 ''파눔 포르투나에''(파노)에 도달했다. 그 후, ''피사우룸''(페사로)을 거쳐 북서쪽으로 ''아리미눔''(리미니)까지 이어졌다. 로마로부터의 총 거리는 이전 도로를 이용하면 210로마 마일(296km), 새로운 도로를 이용하면 222로마 마일(328km)이었다.[2]

2세기부터 이 도로는 이탈리아 사법 구역의 이름이 되었는데, 이전 세노네스족의 영토는 처음에는 움브리아와 연결되었지만 (아우구스투스 시대에는 이탈리아의 여섯 번째 지역인 ''움브리아 에트 아게르 갈리쿠스''를 형성), 콘스탄티누스 이후에는 항상 ''피케눔''과 함께 관리되었다.[2]

3. 4. Via Flaminia minor

플라미니아 미노르(Via Flaminia minor)는 기원전 187년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전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의 아들)가 볼로냐의 ''보노니아''(Bononia)에서 아레초의 ''아레티움''(Arretium)까지 건설한, 보다 서쪽에 있는 도로이다.[10] 이 도로는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중세 이후에는 사라졌다. 정확한 경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1977년 프랑코 산티와 체사레 아고스티니가 잔해를 발견했다고 주장했지만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10]

4. 유적

플라미니아 가도에는 포장 도로의 일부 구간(북부 라치오의 리냐노 플라미니오에 있는 약 800미터 길이의 구간 등), 다리, 터널 등 여러 유적이 남아있다.

플라미니아 가도의 유적은 크게 다리, 터널, 기타 유적으로 나눌 수 있다.


  • 다리: 로마에서 나르니까지, 서부 지선, 동부 지선, 두 지선이 합쳐진 후 구간별로 다양한 다리가 남아있다.


구간다리 이름비고
로마에서 나르니까지밀비오 다리 (Ponte Milvio)
로마에서 나르니까지아우구스투스의 파일
로마에서 나르니까지나르니 남쪽의 폰테 산구이나로
로마에서 나르니까지나르니의 거대한 다리[9]4개의 아치 구조물 중 현재 아치 하나만 남아있으며, 로마 시대 건설된 가장 큰 다리 중 하나
서부 지선폰테 칼다로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
서부 지선상제미니 전의 폰테 칼라모네
서부 지선아쿠아스파르타 근처의 폰테 포나이아
서부 지선아쿠아스파르타 바로 외곽의 다리그 위에 아쿠아스파르타의 산 조반니 데 부트리스 교회가 건설됨
서부 지선바스타르도 근처 카발라라의 폰테 델 디아볼로
동부 지선스폴레토의 폰테 산구이나로
동부 지선폰테바리에 다리의 희미한 잔해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 재합류 후피에베 파노니카의 다리 같은 구조물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 재합류 후노체라 움브라 근처의 레 스푸네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 재합류 후포사토 디 비코 코뮌의 다리 3개그 중 하나는 플라미니아 주요 간선에서 벗어난 지선에 속함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 재합류 후코스타차로의 폰테 스피아노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 재합류 후빌라 시르카의 웅장한 다리제2차 세계 대전 중 폭파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 재합류 후폰테다초와 폰테리치올리 근처의 칸티아노 코뮌에 있는 다리 5개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 재합류 후칼리의 폰테 말리오(또는 만리오)로마 이전 움브리아 건설의 일부로 추정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 재합류 후푸를로 고개의 터널기원전 3세기의 첫 번째 터널은 베스파시아누스에 의해 인접한 터널로 대체됨. 현대의 2차선 도로인 SS 3 플라미니아는 여전히 베스파시아누스 터널을 사용하며, 황제의 헌사 비문이 남아있음. 이전 터널의 잔해도 볼 수 있음.


  • 터널: 푸를로 고개의 터널이 대표적이다. 기원전 3세기의 첫 번째 터널은 베스파시아누스에 의해 인접한 터널로 대체되었다. 현대의 2차선 도로인 SS 3 플라미니아는 여전히 베스파시아누스 터널을 사용하며, 황제의 헌사 비문이 남아있다. 이전 터널의 잔해도 볼 수 있다.

  • 기타 유적:
  • 베바냐폴리뇨 사이에 있는 한 쌍의 탑 무덤
  • 스폴레토트레비 사이 지역: 재사용된 로마 석재(spolia)로 부분적으로 지어진 많은 작은 로마네스크 양식의 교회 (몇 개의 비문을 포함)
  • 카르술라에 유적: 작은 도로 구간, 아르코 디 트라이아노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안의 로마에서는 포폴로 광장이 플라미니아 가도의 출발점이다. 캄피돌리오까지 비아 델 코르소(Via del Corso, ''Via Lata'')가 이어져 있으며, 플라미니아 가도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가도는 북쪽으로 뻗어 있지만, 현대적인 포장이 되어 있다. 에트루리아인의 도시 ''팔레리''(현재의 치비타 카스텔라나)의 약간 동쪽을 지나, 테베레 강을 건너 움브리아주로 들어간다. ''오크리쿨룸''(현재의 오트리콜리)과 ''나르니아''(현재의 나르니)를 지나, 네라 강과 교차한다. 마르티알리스에 따르면 나르니를 지나는 다리는 4개의 아치로 구성된 최대의 로마 다리였으며[11], 지금도 하나의 아치와 모든 교각이 남아 있다. ''카수엔툼''(현재의 산제미니)을 지나, 2개의 보존 상태가 좋은 고대 다리를 건너, 카줄라에 (Carsulae)를 경유하여 ''메바니아''(현재의 베베르냐)를 지나, 폴리뇨(''Forum Flaminii'')로 이어진다. ''나르니아''에서 ''Forum Flaminii''까지의 더 멀리 돌아가는 경로가 채택되면서, 길이 12로마 마일 (18km) 늘어났다. 이 경로는 ''인테르암나 나하르스''(테르니), ''스폴레티움''(스폴레토), ''풀기니움''(폴리뇨)을 지나, ''페루시아''(페루자) 방면으로 분기하는 지선이 있었다.

''Forum Flaminii'' 앞에서 ''누케리아 카멜라리아''(노체라 움브라)로 향하고, ''셉템페다''로 향하는 지선, 안코나로 향하는 지선, ''톨렌티눔''(토렌티노)과 ''우르브 살비아''(우르비살리아)로 향하는 지선이 있었다. 가도는 ''헬빌룸''(현재의 시질로 또는 포사토 디 비코로 추정)을 지나 아펜니노 산맥을 넘는다. 고대 문헌에 따르면, 고개 부근에 유피테르 신전이 있었다. 그 후 ''칼레스''(칼리)에 이르며, 북동쪽으로 꺾여 브라노 계곡을 따라 진행했다.

가장 좁은 부분에서는 바위를 파낸 터널을 사용해 통과시킨다. 기원전 3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터널은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새로 건설한 터널로 대체되었다. 이것이 현재의 ''골라 델 푸를로''이며, 고대에는 ''인테르치사''("잘라서 통과하다"라는 뜻)라고 불렸다. 2차선 국도 3호선 ''Flaminia''는 지금도 베스파시아누스의 터널을 사용하고 있으며, 황제가 헌납한 비석이 남아 있으며, 이전의 오래된 터널의 흔적도 보인다.

플라미니아 가도는 아펜니노 산맥의 계곡에서 ''Forum Sempronii''(포솜브로네)로 나와, 아드리아 해에 면한 ''파눔 포르투나에''(파노)에 이른다. 북서쪽으로 향하여 ''피사우룸''(페사로)을 경유하여 ''아리미눔''(리미니)에 이른다. 로마에서의 거리는, 오래된 경로는 210로마 마일 (311km), 새로운 경로는 222로마 마일 (329km)이다.

4. 1. 다리

플라미니아 가도에는 여러 개의 다리가 남아있다. 각 다리는 로마에서 나르니까지의 구간, 서부 및 동부 지선, 그리고 두 지선이 합쳐진 후의 구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구간다리 이름비고
로마에서 나르니까지밀비오 다리 (Ponte Milvio)
로마에서 나르니까지아우구스투스의 파일
로마에서 나르니까지나르니 남쪽의 폰테 산구이나로
로마에서 나르니까지나르니의 거대한 다리[9]마르티알리스가 언급한 4개의 아치 구조물로, 현재 아치 하나가 남아있다. 로마 시대에 건설된 가장 큰 다리 중 하나였다.
서부 지선폰테 칼다로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파괴됨
서부 지선상제미니 전의 폰테 칼라모네
서부 지선아쿠아스파르타 근처의 폰테 포나이아
서부 지선아쿠아스파르타 바로 외곽의 다리그 위에 아쿠아스파르타의 산 조반니 데 부트리스 교회가 건설됨
서부 지선바스타르도 근처 카발라라의 폰테 델 디아볼로
동부 지선스폴레토의 폰테 산구이나로
동부 지선폰테바리에 다리의 희미한 잔해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이 다시 합쳐진 후피에베 파노니카의 다리 같은 구조물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이 다시 합쳐진 후노체라 움브라 근처의 레 스푸네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이 다시 합쳐진 후포사토 디 비코 코뮌의 다리 3개그 중 하나는 실제로 플라미니아의 주요 간선에서 벗어난 지선에 속함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이 다시 합쳐진 후코스타차로의 폰테 스피아노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이 다시 합쳐진 후빌라 시르카의 웅장한 다리제2차 세계 대전에서 폭파됨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이 다시 합쳐진 후폰테다초와 폰테리치올리 근처의 칸티아노 코뮌에 있는 다리 5개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이 다시 합쳐진 후카글리의 폰테 말리오(또는 만리오)로마 이전(움브리아) 건설의 일부인 것으로 보임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이 다시 합쳐진 후푸를로 고개의 터널기원전 3세기의 첫 번째 터널은 베스파시아누스에 의해 인접한 터널로 대체됨. 현대의 2차선 도로인 SS 3 플라미니아는 여전히 베스파시아누스 터널을 사용하며, 황제의 헌사 비문은 여전히 제자리에 있음. 이전 터널의 잔해도 볼 수 있음.



4. 2. 기타 유적

플라미니아 가도에는 다음과 같은 유적들이 남아있다.

구간유적
로마에서 나르니까지
서부 지선
동부 지선
S. 조반니 프로피암마에서 지선 재합류 후



개별 마을 내 유적 외에도, 플라미니아 가도를 따라 주목할 만한 로마 유적은 다음과 같다.


  • 베바냐폴리뇨 사이에 있는 한 쌍의 탑 무덤
  • 플라미니아의 동부 지선인 스폴레토트레비 사이 지역: 재사용된 로마 석재(spolia)로 부분적으로 지어진 많은 작은 로마네스크 양식의 교회 (몇 개의 비문을 포함)
  • 카르술라에 유적: 작은 도로 구간, 아르코 디 트라이아노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안의 로마에서는 포폴로 광장이 플라미니아 가도의 출발점이다. 캄피돌리오까지 비아 델 코르소(Via del Corso, ''Via Lata'')가 이어져 있으며, 플라미니아 가도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가도는 북쪽으로 뻗어 있지만, 현대적인 포장이 되어 있다. 에트루리아인의 도시 ''팔레리''(현재의 치비타 카스텔라나)의 약간 동쪽을 지나, 테베레 강을 건너 움브리아주로 들어간다. ''오크리쿨룸''(현재의 오트리콜리)과 ''나르니아''(현재의 나르니)를 지나, 네라 강과 교차한다. 마르티알리스에 따르면 나르니를 지나는 다리는 4개의 아치로 구성된 최대의 로마 다리였으며[11], 지금도 하나의 아치와 모든 교각이 남아 있다. ''카수엔툼''(현재의 산제미니)을 지나, 2개의 보존 상태가 좋은 고대 다리를 건너, 카줄라에 (Carsulae)를 경유하여 ''메바니아''(현재의 베베르냐)를 지나, 폴리뇨(''Forum Flaminii'')로 이어진다. ''나르니아''에서 ''Forum Flaminii''까지의 더 멀리 돌아가는 경로가 채택되면서, 길이 12로마 마일 (18km) 늘어났다. 이 경로는 ''인테르암나 나하르스''(테르니), ''스폴레티움''(스폴레토), ''풀기니움''(폴리뇨)을 지나, ''페루시아''(페루자) 방면으로 분기하는 지선이 있었다.

''Forum Flaminii'' 앞에서 ''누케리아 카멜라리아''(노체라 움브라)로 향하고, ''셉템페다''로 향하는 지선, 안코나로 향하는 지선, ''톨렌티눔''(토렌티노)과 ''우르브 살비아''(우르비살리아)로 향하는 지선이 있었다. 가도는 ''헬빌룸''(현재의 시질로 또는 포사토 디 비코로 추정)을 지나 아펜니노 산맥을 넘는다. 고대 문헌에 따르면, 고개 부근에 유피테르 신전이 있었다. 그 후 ''칼레스''(칼리)에 이르며, 북동쪽으로 꺾여 브라노 계곡을 따라 진행했다.

가장 좁은 부분에서는 바위를 파낸 터널을 사용해 통과시킨다. 기원전 3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터널은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새로 건설한 터널로 대체되었다. 이것이 현재의 ''골라 델 푸를로''이며, 고대에는 ''인테르치사''("잘라서 통과하다"라는 뜻)라고 불렸다. 2차선 국도 3호선 ''Flaminia''는 지금도 베스파시아누스의 터널을 사용하고 있으며, 황제가 헌납한 비석이 남아 있으며, 이전의 오래된 터널의 흔적도 보인다.

플라미니아 가도는 아펜니노 산맥의 계곡에서 ''Forum Sempronii''(포솜브로네)로 나와, 아드리아 해에 면한 ''파눔 포르투나에''(파노)에 이른다. 북서쪽으로 향하여 ''피사우룸''(페사로)을 경유하여 ''아리미눔''(리미니)에 이른다. 로마에서의 거리는, 오래된 경로는 210로마 마일 (311km), 새로운 경로는 222로마 마일 (329km)이다.

5. 스포츠

이 도로는 1960년 로마 하계 올림픽 사이클 개인 도로 경주의 일부로 사용되었다.

로마에서는 플라미니오 경기장을 지나며 그 이름을 따왔다.

참조

[1] 웹사이트 Cardinal Gregory: 'These are the people I am called to love, care for, serve' - Vatican News https://www.vaticann[...] 2021-09-27
[2] 서적
[3] 논문 "''At tum Instantius, Salvianus et Priscillianus Romam profecti'':" el viaje de los priscillianistas hacia la ciudad eterna 2014
[4] 서적 Variae Weidmann 1894
[5] 논문 Digital Perspectives on Overland Travel and Communications in the Exarchate of Ravenna (Sixth through Eighth Centuries) 2022
[6] 기타 Flaminia, Via https://www.treccani[...] Treccani 1932
[7] 웹사이트 Places: 422809 (Ad Gallinas Albas) http://pleiades.stoa[...] Pleiades 2021-01-12
[8] 기타 Plin. xv. 30. s. 40; Suet. Galb. 1
[9] 기타 Epigr. vii. 93, 8
[10] 기타 La strada Bologna-Fiesole del II secolo a.C. (Flaminia Militare) http://www.flaminiam[...] Clueb, Bologna 2000
[11] 기타 Epigr. vii. 93, 8
[12] 웹인용 Cardinal Gregory: ‘These are the people I am called to love, care for, serve' - Vatican News https://www.vaticann[...] 2021-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