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충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치는 세균, 당분, 치아와 타액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흔한 만성 질환이다. 충치의 주요 원인균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이며, 당분 섭취는 세균에 의해 산으로 변환되어 치아를 부식시킨다. 충치는 초기에는 통증이 없지만, 진행될수록 시린 증상, 통증을 느끼며 심한 경우 신경 치료나 발치가 필요할 수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구강 위생 관리, 식이 조절, 불소 사용 등이 중요하며, 치아 실란트, 치면 열구 전색 등의 예방 조치도 도움이 된다. 충치는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사회 경제적 상황에 따라 발생률에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과보존학 - 근관 치료
    근관 치료는 감염된 치수 조직을 제거하고 근관을 밀폐하여 치아 기능을 보존하는 치과 시술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 무균 환경 유지가 중요하며, 마취부터 최종 수복까지의 단계로 진행된다.
  • 치과보존학 - 치과용 시멘트
    치과용 시멘트는 수복물이나 보철물 접착, 치수 보호 등에 사용되는 재료로, 인산아연, 폴리카르복실산, 글래스 아이오노머, 산화아연유지놀, 레진 시멘트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임상적 목적, 강도, 생체 적합성, 심미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 구강 질병 - 부정교합
    부정교합은 위턱과 아래턱의 부조화 및 치아 배열 이상으로 발생하는 치과 질환이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고 치아 교정, 악교정 수술 등으로 치료한다.
  • 구강 질병 - 과잉치
    정상적인 치아 수 외에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치아인 과잉치는 유전적, 환경적 요인 또는 특정 질환과 관련되어 발생하며, 인접 치아 맹출 방해나 부정교합을 유발하고 심미적 문제나 치과 교정상의 이유로 제거되기도 한다.
  • 급성 통증 - 강간
  • 급성 통증 - 화상
    화상은 열, 화학물질, 전기, 방사선 등으로 피부와 조직이 손상되는 것으로, 심한 정도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며 원인에 따라 다양한 치료법이 적용되고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충치
개요
치아 질환에 의한 치아의 파괴
치아 질환에 의한 치아의 파괴.
발음Caries [ˈkɛəriːz]
분야치의학
증상통증, 치아 소실, 섭취 곤란
합병증치주염, 치아 소실, 감염 또는 농양 형성
지속 기간장기간
원인병균이 음식 찌꺼기에 의한 산을 만듦
위험 요인단당류가 많이 함유된 식단, 당뇨병, 쇼그렌 증후군, 타액을 감소시키는 약물
예방단당류가 적은 식단, 이 닦기, 플루오린화물, 치실 사용
약물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빈도3,600,000,000 (2016년)
질병 코드
ICD-10K02
ICD-9521.0
MeSHD003644
기타 명칭
동의어Tooth decay, Dental caries, cavities, caries
문화어이삭기

2. 원인

충치는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크게 세균, 음식물(당분), 숙주(치아, 타액)의 세 가지 요인이 관여한다.[20] 치아 표면(에나멜 또는 상아질), 충치를 유발하는 박테리아, 발효 가능한 탄수화물(예: 수크로스), 그리고 시간이 필요하다.

치아는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박테리아 코팅(생물막)을 가지고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한 생물막이 형성되어 치아 표면에 충치 유발 환경이 조성된다.[73][74] 치아의 경조직(법랑질, 상아질 및 백악질)에 있는 무기질은 지속적으로 탈회 및 재광화를 겪는다. 탈회율이 재광화율보다 빠를 때 충치가 발생한다.[75]

충치의 직접적인 원인은 치아 표면에 부착된 세균이 당질을 대사할 때 생성하는 산에 의한 치아의 탈회(칼슘 손실)이다. 우식원성균은 당질로부터 젖산 등의 산을 생성한다. 치태 내에서 산이 대량으로 생성되면 구강 내 pH(수소 이온 지수)가 산성으로 기울어 치아 표면의 에나멜질을 녹이기 시작한다(탈회). 수십 분이 지나면 타액의 작용에 의해 pH가 알칼리성으로 돌아가 녹았던 치아가 보수된다(재석회화).

식습관이나 타액 분비 등도 관련되기 때문에 "식" 생활 습관병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203]

'Caries'는 '썩음'을 의미하는 불가산 명사이다.[11][174] "Cariesology"[175][176] 또는 "cariology"[177]는 치아 우식증 연구를 의미한다.

우식이 법랑질에 국한되어 있는 동안은 통증이 없지만, 상아질에 도달하면 상아세관 노출로 인해 치통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우식이 치수까지 도달하면 치수염을 동반하여 격렬한 자발통이 발생하기도 한다.

치수강이 감염된 상태를 방치하면, 치근단까지 세균 감염이 이르게 되어 치근막염으로 인해 박동감을 동반한 둔통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후 치근낭이나 치근 육아종이 생기기도 하며, 감염 정도에 따라 치루가 생기기도 한다. 결국 치질 붕괴가 진행되어 잔근 상태가 되면, 인체의 이물질 배제 기전에 의해 자연 탈락한다.

2. 1. 세균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와 락토바실러스는 충치의 주 원인균이다. 충치는 전염병으로, 충치의 원인균은 외부 환경이 아니라 인간을 통해서만 전염되며, 신생아는 충치 원인균을 가지고 있지 않다.[270]

입안에는 다양한 구강 세균이 존재하지만, 치아 우식증(충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특정 세균 종은 몇 가지 안 된다. 그중 ''Streptococcus mutans''와 종류의 ''Lactobacillus''가 있다. ''Streptococcus mutans''는 치아 표면에 바이오필름을 형성하는 그람 양성 세균이다. 이 유기체는 식이성 당분을 발효시킨 후 높은 수준의 젖산을 생성할 수 있으며 낮은 pH의 유해한 영향에 저항한다. 이는 치아 우식 유발 세균에 필수적인 특성이다.[24] 세균은 치아와 잇몸 주변에 끈적하고 크림색 덩어리로 모여 치태를 형성하며, 이는 바이오필름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세균 균주, 특히 ''S. mutans''는 간병인의 키스나 미리 씹은 음식을 통해 아이에게 전염될 수 있다.[30]

충치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유아기까지 어른의 입, 특히 충치를 가지고 있는 어른의 입이나 어른의 입과 접촉한 물건이 아기의 입에 닿지 않게 하는 것이다.[273]

2. 2. 음식물 (당분)

구강 내 세균은 포도당, 과당, 그리고 가장 흔하게는 설탕(자당)을 당 분해 과정을 통해 주로 젖산으로 전환한다.[23][25] 이러한 산이 치아에 닿으면 탈회, 즉 치아의 무기질 성분 용해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과정은 역동적이어서, 산이 타액이나 구강 청결제에 의해 중화되면 치아 재광화도 일어날 수 있다. 불소 치약이나 치과용 바니시는 재광화를 돕는다.[31]

스티판 곡선: 포도당 헹굼 후 치태 pH가 급격히 감소했다가 30~60분 후에 정상으로 돌아오는 것을 보여준다. 임계 pH(5.5) 이하에서 치아 경조직의 순 탈회가 발생하며, 노란색으로 표시된다.


당류 중에서도, 설탕의 주성분인 수크로스가 가장 충치 위험을 높이며, 다음으로 포도당이나 과당과 같은 단당류가 충치를 증가시키는 위험이 높다.[235]

식사 후, 구강 내 세균은 설탕을 대사하여 pH를 감소시키는 산성 부산물을 생성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pH는 타액의 완충 능력과 치아 표면의 용해된 무기질 성분으로 인해 정상으로 돌아온다. 치아는 이러한 산성 기간 동안 취약하므로, 충치 발생은 산 노출 빈도에 크게 의존한다.

후생노동성에서 진행하는 21세기 국민 건강 만들기 운동 (건강 일본 21)에서는 간식으로 섭취하는 단맛 식품 및 음료, 특히 설탕이 충치를 유발한다고 보고, 당류에 대한 정확한 지식 보급과 하루 3회 이상 섭취하는 집단의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244]

미국 치과의사 협회와 유럽 소아 치과 협회는 어린이에게 설탕이 포함된 음료를 마시는 횟수를 제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245][246]

특히 설탕은 산을 만들어낸다. 간식으로 초콜릿, 캐러멜 등 점성이 있고 당분이 많이 함유된 것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쿠키, 크래커 등 의외로 당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도 가능하다면 피하는 것이 좋다. 섭취한다면 식후에 칫솔질을 하거나 물로 입을 헹구는 것이 좋다. 또한, 함께 섭취하는 음료는 차나 물, 우유 등 당분이 들어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설탕이 함유된 음료, 청량 음료 등을 계속 마시거나, 구강 내에 오래 남는 사탕류를 계속 섭취하는 것은 좋지 않다. 무설탕 또는 대체 감미료가 사용된 식품이 좋다. 청량 음료에는 10% 전후의 당분이 함유된 음료도 많으며, 스포츠 음료도 5% 전후이다.[247]

2. 3. 숙주 (치아, 타액)

치아의 가장 바깥 면을 구성하는 법랑질(에나멜)은 pH 5.5 이하의 산성 환경에서 탈회(무기질 성분이 녹는 현상)가 시작된다.[45] 상아질과 백악질은 에나멜보다 무기질 함량이 낮아 충치에 더 취약하다.[46] 따라서 잇몸 퇴축 또는 치주 질환으로 인해 치아의 뿌리 표면이 노출되면 충치가 더 쉽게 발생할 수 있다.

타액은 입 안의 산성 환경을 중화하고, 치아의 재광화를 돕는 완충 작용을 한다. 타액 분비량이 감소하거나 완충 능력이 저하되면 충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203] 쇼그렌 증후군, 당뇨병, 요붕증, 사르코이드증 등의 질환이나 항히스타민제, 항우울제 등의 약물 복용은 타액 분비량을 감소시켜 충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

3. 증상 및 진단

충치 초기에는 통증이 거의 없으며, 치아 표면에 흰색 반점이나 갈색의 착색이 나타날 수 있다. 이를 백색 반점 병변, 초기 충치 병변 또는 "미세 공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3] 충치가 진행됨에 따라 차갑거나 뜨거운 음식, 단 음식에 시린 증상을 느끼거나, 음식물을 씹을 때 통증을 느낄 수 있다.[276][277] 이는 상아세관이 노출되어 나타나는 증상이다.[15]

충치가 치수(신경)까지 진행되면 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치수 괴사 후에는 통증이 사라질 수도 있다.[276][277] 치아 우식은 구취와 불쾌한 맛을 유발할 수 있으며,[16] 매우 진행된 경우에는 감염이 치아에서 주변 연조직으로 퍼질 수 있다. 해면 정맥동 혈전증 및 루드비히 협심증과 같은 합병증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17][18][19]

치과 검진 시에는 육안 검사, 치과 탐침을 이용한 촉진, 방사선 촬영 등을 통해 충치를 진단한다.[88] 특히, 치아 사이의 충치나 초기 충치는 방사선 사진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유용하다.[88]

충치 진단에 사용되는 치과 탐침


치아 감염으로 인한 농양과 상악동의 염증




'''(A)''' 치아 표면에 보이는 작은 충치 부위. '''(B)''' 방사선 사진은 상아질 내의 광범위한 탈회 영역을 보여준다(화살표). '''(C)''' 충치 제거를 시작하면서 치아 옆면에 구멍이 발견되었다. '''(D)''' 모든 충치를 제거함; 충전 준비 완료.


충치의 진행 단계에 따른 증상은 다음과 같다.

단계증상치료
1단계치아 표면(법랑질)에 검은 점이나 실선, 통증 거의 없음[276][277]충치 부위 제거 후 레진 치료[276][277]
2단계차거나 뜨거운 것에 시린 증상, 음식물 씹을 때 통증[276][277]충치 부위 제거 후 레진 인레이 또는 골드 인레이 치료[276][277]
3단계치수(신경)까지 충치 진행, 심한 통증 반복, 치수 괴사 시 통증 사라짐[276][277]신경 치료 후 크라운[276][277]
4단계치근에 염증, 치관 부서짐, 통증 없음[276][277]발치 후 임플란트 고려[276][277]



신경 치료 중에는 해당 부위로 음식물을 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임시 충전물이 파손되거나 탈락하면 소독 중인 근관이 오염될 수 있으며,[268] 신경과 혈관 제거로 치아가 약해져 부서지기 쉽기 때문이다.[268]

충치 발생 과정은 다음과 같다.

# 구강 내에는 많은 세균이 존재하며 (구강 상재균), 이 중에는 많은 원인균이 존재한다. 세균은 공생하며 세균총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 균에 원인을 찾는 것은 어렵다[203] . 충치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균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이지만, 세균의 양이나 종류에 따라 충치의 진행 속도가 달라진다[204]

# 음식물 찌꺼기, 타액은 결합하여 치태(플라크)가 되어 치아에 결합한다. 치태 부착은 어금니의 교합면의 틈새, 모든 치아의 치은연, 치과 수복 재료와 치아의 경계에서 가장 현저하다. 이것들은 실제로 충치가 많이 발생하며, '''우식 호발 부위'''라고 불린다. 성숙한 치태는 바이오필름이라고 불린다.

# 치태가 산성으로 기울었다가 알칼리성으로 돌아가는 상태를 그래프상의 곡선으로 나타낸 것을 스테판 곡선이라고 한다[205] .

# 법랑질에 국한되어 있는 동안, 일반적으로 우식은 무통이다. 상아질에 도달함으로써, 상아세관의 노출을 보고 처음으로 치통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때의 통증은 상아세관 내의 통각 신경 종말에 대한 직접 자극이나, 상아세관 내의 조직액 압력 변화에 의한 치수 통각 신경 종말에 대한 자극이 일어나는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 우식이 치수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는 치수염을 병발함으로써 격렬한 자발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치관 붕괴로 우식이 치수까지 도달하면 수강 내압이 낮아지므로, 자발통은 일시적으로 소퇴한다.

# 치수강이 감염된 상태를 방치하면, 치질의 붕괴는 현저해지고, 치근단까지 세균 감염이 이르게 되어, 치근막염을 일으킴으로써 박동감을 동반한 둔통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후, 치근단 주위에 치근낭이나 치근 육아종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감염 정도에 따라서는 치루가 생기기도 한다.

# 결국 치질의 붕괴가 진행되어, 잔근 상태가 되면, 인체의 이물질 배제 기전에 의해 자연 탈락에 이르게 된다.

4. 분류

충치는 발생 부위, 병소 형태, 진행 정도, 영향을 받는 경조직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93] 이러한 분류는 특정 충치 사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어 다른 사람에게 상태를 더 정확하게 알리고, 치아 파괴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데 사용된다.

G. V. Black은 충치의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설명
1급소구치, 대구치의 교합면, 어금니의 협측 또는 설측 와, 상악 앞니의 치경 근처 설측 와에 발생한 충치
2급구치부(어금니)의 인접면에 발생한 충치
3급전치부(앞니)의 절단연을 포함하지 않은 인접면에 발생한 충치
4급전치부(앞니)의 절단연을 포함하는 인접면에 발생한 충치
5급모든 치아의 순면, 설면, 협면에 위치한 치경(치은)측 ⅓에 발생한 충치
6급전치부(앞니)의 절단연 또는 구치부(어금니)의 교두에 발생한 충치



이 외에도, 충치는 진행 속도 및 발생 원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진행 속도
  • 급성 우식: 젊은 층에서 많이 나타나며, 빠르게 진행된다.
  • 만성 우식: 성인에게서 많이 나타나며, 진행 속도가 느리다. 제3 상아질(수복 상아질)이 많이 형성된다.
  • 발생 원인
  • 일차 우식(원발성 우식): 정상적인 치아 표면에 발생한다.
  • 이차 우식(재발성 우식): 치료 시 와동 형성이 불충분하거나, 수복물의 변형 또는 파절로 인해 발생한, 치질과 수복물 사이의 틈새로 인해 수복물 주변에서 발생한다.
  • 병소 형태
  • 표면 충치: 표면에서 넓게 퍼지는 충치이다.
  • 하굴성 충치: 표층부보다 내부에서 퍼져 있는 충치이다.
  • 천공성 충치: 가늘고 깊게 진행되는 충치이다.
  • 얕은 우식: 표면에서 넓게 퍼져 얕게 진행된 우식이다.
  • 깊은 우식: 상아질 깊은 곳까지 진행된 우식이다.
  • 활동성 우식: 진행 중인 우식으로, 진행을 멈추는 처치가 필요하다.
  • 비활동성 우식: 진행이 멈춘 우식으로, 진행을 멈추는 처치는 필요하지 않다. 탈회의 흔적이 남을 수 있다.

4. 1. 발생 부위에 따른 분류

치아는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박테리아 코팅(생물막)에 의해 덮여 있다. 이 생물막이 성숙하면서 치아 표면에 충치를 유발하는 환경이 조성된다.[73][74] 충치는 발생 부위, 병소의 형태, 진행 정도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소와 열구 우식: 어금니 씹는 면의 홈과 틈새(소와 열구)에 발생하는 충치이다. 이 부위는 세척이 어렵고 음식물 찌꺼기가 쌓이기 쉬워 충치가 많이 발생한다.
  • 평활면 우식: 치아 옆면이나 치아와 잇몸 경계 부위에 발생하는 충치이다. 인접면 우식은 X선 촬영으로 확인되는 경우가 많다.
  • 치근면 우식: 잇몸 퇴축으로 노출된 치아 뿌리 표면에 발생하는 충치이다. 잇몸 퇴축으로 인해 음식물 찌꺼기가 쌓이기 쉬운 부분이 노출되면서 발생하며, 주로 고령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 치은연하 우식: 치주 포켓이 깊어진 곳에서 발생하며, 백악질 우식으로부터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4. 2. 진행 정도에 따른 분류 (C0-C4)

C0 단계는 치아 표면에 불투명감이나 백반, 색소 침착이 보이지만, 우식(구멍)은 확인되지 않는 초기 상태이다.[276][277]

C0 치아의 불투명감이나 백반, 색소 침착이 보이지만 우치를 확인할 수 없다.


C1 단계는 법랑질에 국한된 충치이다.[276][277] 이 단계에서는 충치 부위를 긁어내고 레진으로 덮는 간단한 치료를 할 수 있다. 통증이 거의 없어 정기검진을 통해서만 주로 발견된다.[276][277]

C1 법랑질로 진행된 우식(법랑질 우식). 대책에 따라 C0으로 돌아갈 가능성도 있다.


C2 단계는 상아질까지 진행된 충치이다.[276][277] 차거나 뜨거운 것에 시린 증상을 느끼고, 심하면 음식물을 씹을 때 통증을 느낀다.[276][277] 충치 부위를 삭제하고 빈 공간을 레진 인레이나 골드 인레이로 채워 넣는 치료가 필요하다.[276][277]

C2 상아질에 도달한 우식(상아질 우식)


C3 단계는 혈관과 신경이 분포해 있는 치수 부위까지 충치가 진행된 상태이다.[276][277] 치신경이 썩기 시작하여 극심한 치통이 반복되고, 치수가 괴사된 경우에는 통증이 사라지기도 한다.[276][277] 이 경우 신경 치료 후 크라운을 씌울 수 있다.[276][277] 신경 치료는 치아 근관 안의 손상된 신경을 제거하는 '근관 치료'이다.[276][277]

C3 치아의 신경인 치수까지 도달한 우식


C4 단계는 치관(치아 머리)이 붕괴되어 뿌리만 남은 상태이다.[276][277] 치근에 염증이 생긴 상태로, 신경이 완전히 썩어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276][277] 신경 치료를 받더라도 예후가 좋지 않아 발치 후 임플란트 수술을 해야 할 수 있다.[276][277]

4. 3. G.V. Black 분류법

G. V. Black은 충치의 위치에 따라 1급에서 6급까지 분류하는 방법을 제시했다.[93] 이 분류법은 충치 사례를 특정화하고, 다른 사람에게 상태를 더 정확하게 전달하며, 치아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충치 위치와 관련된 분류를 디지털 방식으로 그린 차트.
G. V. Black의 수복물 분류


G.V. Black 분류법은 다음과 같다.

급수설명
1급소구치, 대구치의 교합면, 상악 전치부 설측(설면결절)에 생긴 충치
2급구치부(어금니)의 인접면에 생긴 충치
3급전치부(앞니)의 절단연을 포함하지 않은 인접면에 생긴 충치
4급전치부(앞니)의 절단연을 포함하는 인접면에 생긴 충치
5급모든 치아의 순면, 설면, 협면에 위치한 치경(치은)측 ⅓에 생긴 충치
6급전치부(앞니)의 절단연 또는 구치부(어금니)의 교두에 생긴 충치


5. 치료

충치는 진행 단계에 따라 다른 치료법이 적용된다. 충치의 단계는 1단계에서 4단계까지 나눌 수 있으며, 각 단계별 증상과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단계증상치료법
1단계치아 표면(법랑질)에 검은 점이나 실선 형태. 통증은 거의 없음.충치 부위를 긁어내고 레진으로 덮음.
2단계치아 안쪽(상아질)까지 진행. 차거나 뜨거운 것에 시린 증상, 음식물 씹을 때 통증.충치 부위 삭제 후 레진 인레이나 골드 인레이로 채움.
3단계치수 부위까지 진행. 심한 치통, 치수가 괴사되면 통증이 사라지기도 함.근관 치료 후 크라운 씌움.
4단계치근에 염증. 치관이 부서질 수 있으며, 신경이 썩어 통증이 없음.발치 후 임플란트 등 고려.



수력학 이론에 따르면, 상아세관 내 체액이 치수의 통증 수용체를 자극한다.[84] 경화상아질은 이러한 체액의 통과를 막아 통증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최근에는 최소 침습(MI, Minimally Invasive) 개념이 중요해지면서, 감염되지 않은 치아는 최대한 보존하는 방향으로 치료법이 변화하고 있다.

5. 1. 비수술적 치료

초기 충치의 경우, 불소 도포, 식이 조절, 구강 위생 관리 등을 통해 충치의 진행을 억제하고 재광화를 유도할 수 있다.

급성 우식은 급속하게 진행되는 우식으로, 주로 젊은 층에서 많이 나타난다. 반면, 만성 우식은 진행 속도가 느린 우식으로, 주로 성인에게서 많이 나타나며, 제3 상아질(수복 상아질)이 많이 형성된다.[82]

5. 2. 수술적 치료

충치가 상아질 이상으로 진행된 경우(C2 이상), 충치 부위를 제거하고 치과용 재료로 수복하는 치료가 필요하다.[276][277] 수복 재료에는 아말감, 복합 레진,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도자기, 금 등이 있다.[142] 복합 레진과 도자기는 환자의 자연 치아 색상과 일치하도록 만들 수 있어 미관이 중요할 때 사용한다. 하지만 복합 수복물은 아말감이나 금만큼 강하지 않아서, 씹는 힘이 큰 어금니 부위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143]

An extracted tooth displaying an amalgam metal restoration on the occlusal surface
치아에 사용되는 수복재인 아말감


충치가 너무 광범위하면 크라운 치료를 한다. 크라운은 금, 도자기, 금속 융합 도자기 등으로 만들어진다.[142]

충치가 치수까지 진행된 경우(C3)에는 근관 치료 후 크라운 치료를 시행한다.[276][277] 근관 치료는 치아 근관 안에 있는 손상된 신경을 제거하는 치료이다.[276][277] 근관 치료 중에는 해당 치아 부위로 음식을 씹지 않아야 한다. 임시 충전물이 부서지면 침이나 이물질이 근관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신경과 혈관을 제거한 치아는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해 부서지기 쉽다.[268]

충치가 심하게 진행되어 치아를 보존할 수 없는 경우(C4)에는 발치 후 임플란트 등의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276][277]

6. 예방

충치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유아기까지 충치를 가진 어른의 입이나 어른의 입과 접촉한 물건이 아기의 입에 닿지 않게 하는 것이다.[273] 충치 원인균인 뮤탄스 균은 치아 표면에서만 증식하는데, 생후 30개월 전후까지는 유치가 완성되지 않아 이 시기까지는 뮤탄스 균이 증식하기 어렵다. 유아기 동안 어른들의 입으로부터 뮤탄스 균에 감염되지 않으면 입 안에 다른 구강 세균이 자리를 잡아 뮤탄스 균이 새로 진입하기 어려워져 유아기 이후 충치에 걸릴 확률이 현저히 낮아진다.

이미 원인균에 전염되었을 경우에는 양치질을 자주하고 입 안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일단 뮤탄스 균이 구강 내에 자리잡았다면 박멸은 불가능하며, 다른 구강 세균을 이용하여 충치를 예방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274][275] 칫솔질을 할 때 치아 바깥쪽, 안쪽, 씹는 면 등을 잘 닦아야 하며, 치실을 이용해 꼼꼼하게 잔여물을 제거하고 정기적으로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281][282] 흡연니코틴의 독성으로 인한 면역력 저하와 조직 파괴 외에도 흡연 시 구강 내 온도 상승, 흡연 후 입마름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악화 환경을 조성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283]

불소 적용은 확실한 근거를 가진 충치 예방법이다


20세기 중반에는 세균이 생성하는 산에 의해 치아가 침식된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꼼꼼한 칫솔질을 통해 플라크의 세균총을 제거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 후, 뮤탄스균과 같은 병원균을 살균하려 했다. 21세기에는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상재균) 연구가 진전되어 플라크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한다는 생각도 나타났다.

구강 청결은 우식을 예방한다는 증거가 없고, 우식 발생과 관련성이 높은 것은 음식물 섭취이다.[230] 불소 적용은 불소 함유 치약으로 20~30%, 불소 가글로 40~60%로 확실하게 우식 발생을 억제한다.[215] 위험이 높은 부위에는 1년에 1번 X선 사진을 찍는 것도 좋다.

일본에서는 태평양 전쟁 이후 학교 보건에서 충치 예방이 중시되었다. 초등학교 ~ 고등학교의 치과 검진에서 충치가 발견되어도, 보호자가 아이의 건강에 관심이 없거나 경제적으로 곤궁한 경우에는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190]

1958년(쇼와 33년)에는 학교 보건 안전법에 의해 치과 건강 진단이 정해졌고, 1965년(쇼와 40년)에는 모자 보건법에 의해 1세 6개월 건강 진찰, 3세 건강 진찰이 정해졌다.[192] 이것들은 일본의 치과 보건에 있어서 대표적인 공중 위생 시책이 되고 있다. 미취학 아동에 대한 불화물 치면 도포가 추진되고[193], 보육원,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에서 불화물 가글에 임하고 있는 자치체가 있다[194]

2021년, 세계 보건 기구(WHO)의 제74회 세계 보건 총회에서 구강 보건 결의가 채택되었다.[195][196] 선진국에서는 1970년대부터 충치의 감소가 보고되었고, 이로 인해 "어린이의 충치는 줄었으니 충치 대책은 필요 없다"라는 오해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 국제적으로 지적되었다.[197] 2020년대의 일본에 있어서 충치 예방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후생 노동성의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198]

  • 이전보다 줄었지만, 어린이의 충치는 여전히 다른 질환보다 많다.
  • 유병률이 높은 치과 질환은, 어린이 질환별 의료비에서 상위이다.
  • 어린이의 충치는 줄고 있지만, 성인 이후에 치료가 필요한 충치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전 연령을 통해 높으므로, 젊은 시절부터의 예방이 필요하다.
  • 지역이나 사회 집단에 의한 큰 건강 격차가 인정된다.

6. 1. 구강 위생 관리

칫솔을 사용하여 하루 2회 이상, 식사 후와 잠자기 전에 칫솔질을 하고, 치실을 이용하여 칫솔이 닿지 않는 치아 사이의 치태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103][105] 칫솔은 접근 가능한 표면의 치태를 제거할 수 있지만, 치아 사이 또는 씹는 면의 홈과 틈새 안쪽은 제거하기 어렵다. 치실은 이러한 부위의 치태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치은열구의 깊이가 손상되지 않은 경우에만 가능하다.[106] 치간 칫솔, 구강 세정기, 구강 청결제 등도 추가적인 보조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회전식 전동 칫솔은 치태와 치은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지만, 임상적으로 중요한지는 불분명하다.[107]

칫솔은 일반적으로 치아를 세척하는 데 사용된다.


정기적인 치과 검진 및 전문가에 의한 치석 제거(스케일링)도 구강 위생 관리에 필수적이다.[281] 치과의사 또는 치과 위생사는 치태를 완전히 제거하고, 고위험 부위의 충치 발생 가능성을 감지하기 위해 교익 방사선 사진과 같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2일 이상 경과한 치태는 설탕액에 의해 산을 생성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216] 칫솔질을 기본으로 치태를 제거하여 충치 원인균을 줄이고 산 생성을 방지해야 한다. 스스로 할 수 있는 구강 청결 관리로는 주로 하루 최소 2회의 칫솔질과 최소 1회의 치실 등을 이용한 치간 청소가 있다. 치과는 수개월마다 정기적인 치과 검진과 전문가 기계적 치면 청소(PMTC)를 시행한다.

치아 사이를 닦기 위해서는 치실이나 치간 칫솔, 이쑤시개를 이용할 수 있다. 치간 틈새나 잇몸의 홈을 물로 씻어내는 구강 세정기도 사용된다.

살균 효과가 있는 클로르헥시딘 등이 배합된 치약이나 구강 청결제도 유효하다.[217] 다만, 구강 내 세균은 균형을 이루며 존재하므로, 항균제 등의 사용은 구강 상재균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불소 배합 치약의 사용은 충치 예방에 효과적이다.[218] 캐나다 예방 의료 연구반은 불소 배합 치약을 사용하지 않는 칫솔질의 우식 예방 효과 검증은 불충분하다고 보고 있다.[219]

6. 2. 식이 조절

당분 섭취 빈도와 양을 줄이는 것이 충치 예방에 중요하다.[230] 특히 설탕(자당)이 많이 함유된 음식이나 음료 섭취를 줄이고, 간식 섭취 횟수를 줄이는 것이 좋다. 쫄깃하고 끈적거리는 음식(사탕, 캐러멜, 젤리 등)은 치아에 오래 남아 충치 발생 위험을 높이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114] 식사 후에는 물이나 차로 입안을 헹구어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고, 구강 내 산성도를 낮추는 것이 좋다.

세계 보건 기구(WHO)의 2003년 보고서에 따르면 설탕 섭취량이 적을 경우 충치 발생이 적다.[230] 2014년에는 설탕 섭취량을 하루 10% 이하, 가능하다면 5% 이하로 줄이면 충치 예방에 더 많은 이점이 있다는 가이드라인 초안을 공개했다.[233]

식사 직후에는 구강 내 세균이 당분으로부터 산을 생성하여 치태의 pH가 저하된다. 이로 인해 치아의 탈회가 진행되며, 임계 pH (일반적으로 pH 5.5 이하)를 넘어서면 치아의 에나멜질이 녹기 시작한다. 당류 중에서도 설탕의 주성분인 수크로스가 가장 충치 위험을 높이며, 포도당이나 과당과 같은 단당류도 충치 위험을 높인다.[235]

식습관과 충치의 관계에 대한 과학적 근거와 관련성의 정도 (WHO/FAO, 2003년[230][231])
위험 감소관련 없음위험 증가
확실불소전분 (, 감자 또는 과 같이 조리되거나 생 전분 식품. 설탕이 첨가된 케이크, 비스킷 및 스낵 제외.)유리당의 양, 유리당의 빈도
가능성 높음딱딱한 치즈
무설탕 껌
통째로 된 신선한 과일
가능성 있음자일리톨
우유, 식이 섬유
영양 실조
불충분통째로 된 신선한 과일말린 과일



후생노동성의 21세기 국민 건강 만들기 운동 (건강 일본 21)에서는 간식으로 섭취하는 단맛 식품 및 음료, 특히 설탕이 충치를 유발한다고 보고, 당류에 대한 정확한 지식 보급과 하루 3회 이상 섭취하는 집단의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244]

미국 치과의사 협회와 유럽 소아 치과 협회는 어린이에게 설탕이 포함된 음료를 마시는 횟수를 제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245][246]

특히 설탕은 산을 만들어낸다. 간식으로 초콜릿, 캐러멜 등 점성이 있고 당분이 많이 함유된 것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쿠키, 크래커 등 의외로 당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도 가능하다면 피하는 것이 좋다. 섭취한다면 식후에 칫솔질을 하거나 물로 입을 헹구는 것이 좋다. 또한, 함께 섭취하는 음료는 차나 물, 우유 등 당분이 들어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청량 음료에는 10% 전후의 당분이 함유된 음료도 많으며, 스포츠 음료도 5% 전후이다.[247] 이러한 음료는 1분 만에 치아를 녹이기 시작한다.[250]

6. 3. 불소 사용

불소는 치아의 재광화를 돕고, 법랑질을 강화하여 충치 예방에 효과적인 물질이다. 불소가 함유된 치약, 구강 청결제 등을 사용하고, 정기적으로 치과에서 불소 도포를 받는 것이 좋다.[126] 특히, 일반 불소 치약(1,000–1,500ppm)은 저불소 치약(600ppm 미만)보다 충치 예방에 더 효과적이다.[128] 모든 성인은 1350ppm 이상의 불소 함유 치약을 사용하고, 하루에 두 번 이상, 특히 잠자리에 들기 직전에 칫솔질하는 것이 권장된다. 어린이와 청소년은 1350ppm에서 1500ppm의 불소 함유 치약을 사용하고, 하루에 두 번 칫솔질하며, 잠자리에 들기 직전에 칫솔질하는 것이 좋다. 만 3세 미만의 어린이는 소량의 불소 치약을 사용해야 하며, 만 8세 미만의 어린이는 치약을 삼키지 않도록 감독 하에 칫솔질해야 한다.[129] 칫솔질 후에는 헹구지 않고 과도한 양은 뱉어내야 한다.[130]

불소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치과 트레이


불소는 충치 예방을 위해 정제 형태로 판매된다.


불소는 수산화인회석 결정에 결합하여 에나멜질의 탈회를 줄이고 우식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한다.[123] 저농도 불소 이온은 정균 치료제로 작용하고, 고농도 불소 이온은 살균 작용을 한다.[124]

불소에 의한 충치 예방은 불화물 응용이라고 하며, 국소 응용과 전신 응용이 있다.[220] 국소 응용에는 불화물 양치, 불소 함유 치약, 불소 치아 표면 도포 등이 있다.[220] 전신 응용에는 수돗물 불소 첨가, 식염에 불화물 첨가, 불화물 정제 복용 등이 있다.[220] 1년에 몇 번 고농도의 불화물을 도포하는 것보다 치약이나 양치로 자주 소량의 불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재광화를 촉진할 수 있다.[221]

칫솔질을 할 때는 불소 함유 치약을 사용하고, 불소를 구강 내에 조금 남기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한 번 닦은 직후에 다시 닦고, 두 번째는 입을 헹구지 않고 뱉어내기만 하는 방법이 있다. 만 6세 미만의 어린이에게는 부모가 반드시 감시하고, 아주 소량(직경 5mm 미만)의 치약을 사용해야 한다. 많은 치과의사는 치아의 지속적인 관리(유지 관리)를 위해 불화물 치아 표면 도포(건강 보험 적용)를 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일부 지역에서 수돗물 불소화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학교에서 불화물 양치 사업을 시행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어 충치 발생률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국제 암 연구 기관이 발표하는 IARC 발암성 위험 목록에서는 음료수 중의 무기 불소 화합물을 Group3(사람에 대한 발암성을 분류할 수 없음)의 화학 물질로 분류하고 있다.[223]

6. 4. 기타 예방 조치

치면열구전색는 충치를 예방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어금니의 씹는 면에 있는 소와 열구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치태 축적을 막는다. 일반적으로 치면열구전색은 어금니가 맹출된 직후 어린이 치아에 시행하지만, 성인에게도 충치 예방에 도움이 된다.[227] 건강 보험이 적용된다.

자일리톨수크로스 등과 달리 충치의 원인이 되지 않으며, 단맛이 있어 타액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S. 뮤탄스''(충치균)는 자일리톨 존재 하에서 이를 호흡 기질로 삼도록 효소 유도가 일어난다. 그 결과, 세균이 구강 내 점액에 머물기 어려워지고 타액에 의해 씻겨 나가기 쉬워져 충치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설이 있다.

미국 치과의사 협회와 유럽 소아 치과 협회는 어린이에게 설탕이 포함된 음료를 마시는 횟수를 제한하고, 유아에게는 수면 중 젖병으로 먹이는 것을 삼가도록 권고하고 있다.[245][246]

7. 역학

전 세계적으로 약 36억 명이 영구치에 충치를 가지고 있으며,[7] 유치에는 약 6억 2천만 명(인구의 9%)이 영향을 받는다.[9] 충치는 미국에서 가장 흔한 소아 만성 질환으로, 천식보다 최소 5배 더 흔하다.[149] 50세 이상 성인의 29%에서 59%가 충치를 경험한다.[151]

일부 선진국에서는 구강 위생 개선과 불소 치료 등 예방 조치로 충치 발생이 감소했다.[153] 그러나 여전히 불균형이 존재하여, 미국과 유럽 어린이 중 20%가 전체 충치 발생의 60~80%를 차지한다.[165] 오스트레일리아, 네팔, 스웨덴은 어린이 충치 발생률이 낮지만, 코스타리카슬로바키아는 높다.[154]

충치는 개인 및 집단의 사회 경제 상황에 따라 발생에 차이가 있다.


후생노동성은 정기적으로 "치과 질환 실태 조사"를 통해 충치 발생 상황을 보고한다.[200][201] 일본의 충치 유병률은 선진국 중 최악이다.

CDC는 사회 경제적 수준이나 부모의 교육 수준이 낮고, 정기적인 치과 진료를 받기 어렵거나 치과 보험이 없어 치과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사람들을 충치 고위험군으로 정의한다.[210]

8. 공중 위생

한국에서는 학교 보건 사업을 통해 어린이와 청소년의 구강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학교 구강 보건 교육, 불소 도포 사업, 치아 홈 메우기 사업 등이 시행되고 있다.

9. 기타

옴네 보눔(14세기)에 묘사된 치과의사가 포셉으로 치아를 발치하는 모습


충치는 인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질병이다. 백만 년도 더 전에 살았던 파란트로푸스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게서도 충치의 흔적이 발견되었다.[156][254] 구석기 시대 화석 인류에게는 충치가 극히 드물었으나,[254] 신석기 시대에 탄수화물 섭취가 늘면서 증가했다.[160] 남아시아 쌀 재배와 함께 여성의 충치가 증가한 것으로 여겨지지만,[161] 일부 유적지에서는 쌀 농업 의존도가 증가함에 따라 오히려 충치 비율이 감소했다는 증거도 있다.[162]

기원전 5000년경 수메르인들은 충치의 원인을 "치아 벌레"라고 묘사했으며,[163] 이는 인도사, 이집트사, 일본사, 중국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158] 고대 이집트에서는 정제된 탄수화물이 없어 충치가 현대인보다 적었지만, 맷돌 사용으로 인한 치아 마모 문제는 있었다. 일부 미라는 충치 치료를 위해 금을 사용하기도 했다.[254] 파키스탄에서는 기원전 5500년에서 7000년경 치아에서 치과 드릴로 만든 구멍이 발견되기도 했다.[164]

로마 제국에서는 조리된 음식 소비 증가로 충치 발생률이 약간 증가했으며,[165] 그레코로만 문명은 이집트와 함께 충치 통증 치료법을 가지고 있었다.[158] 청동기 시대철기 시대에는 충치 발생률이 낮았지만, 중세 시대에 급격히 증가했다.[157] 서기 1000년경 사탕수수 도입은 충치 환자 비율을 크게 늘렸다.[254] 당시 치료는 약초 요법, 부적, 사혈 등을 포함했으며,[166] 이발 외과 의사들은 치아 발치를 시행했다.[158]

북아메리카 원주민은 옥수수 중심 식단으로 변화하면서 충치가 증가했다.[157] 유럽 계몽주의 시대에는 "치아 벌레"설이 부정되었고, 피에르 포샤르는 설탕이 치아와 잇몸에 나쁘다고 주장했다.[255] 1850년경 식단 변화로 충치 발생률이 다시 급증했다.[158]

1890년대 윌로비 D. 밀러는 구강 세균이 탄수화물을 발효시켜 산을 생성하고, 이것이 치아를 손상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170] 1924년 킬리안 클라크는 뮤탄스 연쇄상구균이 충치 원인균이라고 주장했지만, 1960년대에야 증명되었다.[256]

1930년대 미국 국립 보건원은 불소가 충치를 효과적으로 줄인다는 것을 발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노르웨이, 아일랜드에서 설탕 배급으로 충치가 감소했다.[254] 산업 혁명으로 정제 설탕과 밀가루가 널리 보급되면서 19세기 충치 발생률이 크게 증가했다.[158]

9. 1. 동물에서의 충치

야생 동물에게는 충치가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지만,[257] 초식 동물은 과일 등 당분을 포함한 음식을 먹고 입 안에 충치균을 보유하게 된다.[258] 이때의 충치균은 생물 종에 따라 다를 수 있다.[258] 그러나 야생에서는 식물의 단단한 섬유질 때문에 치태(플라크)가 쌓이지 않아 충치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258]

하지만 동물원이나 반려동물처럼 사람이 사육하면서 과일을 많이 주는 등 편식을 하는 경우에는[259] 충치가 생길 수 있다. 반려동물에게 충치가 종종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치과 진료를 하는 동물 병원도 있다. 영장류 중에서 충치가 발생하는 빈도는 침팬지, 오랑우탄, 고릴라 순으로 높다.[254]

9. 2. 충치와 관련된 역사

충치는 인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질병이다. 백만 년도 더 전에 살았던 파란트로푸스와 같은 호미닌에게서도 충치의 흔적이 발견되었다.[156]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게도 충치가 있었다.[254]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충치는 선사 시대부터 존재했다. 구석기 시대중석기 시대의 두개골은 물론, 백만 년 전부터 신석기 시대까지의 두개골에서도 충치 징후가 발견된다.[159] 구석기 시대의 화석 인류에게는 충치가 극히 드물었다.[254] 신석기 시대에 충치가 증가한 것은 탄수화물을 함유한 식물성 식품 섭취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160] 남아시아에서 쌀 재배가 시작되면서 여성의 충치가 증가한 것으로 여겨지지만,[161] 태국의 코크 파놈 디와 같은 유적지에서는 쌀 농업 의존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인 충치 비율이 감소했다는 증거도 있다.[162]

기원전 5000년경 수메르인들은 충치의 원인을 "치아 벌레"라고 묘사했다.[163] 이와 유사한 믿음은 인도사, 이집트사, 일본사, 중국사에서도 발견되었다.[158] 고대 이집트인의 충치는 현대인보다 훨씬 적었는데, 당시에는 정제된 탄수화물이 없었기 때문이다. 다만, 맷돌을 사용해서 곡물 가루를 만들었기 때문에 돌 알갱이가 섞여 이가 마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어떤 미라에게는 충치가 3개 있었고, 고도의 기술로 치료를 받아 금으로 충전되어 있었다.[254] 파키스탄에서는 기원전 5500년에서 기원전 7000년경의 치아에서 원시적인 치과 드릴로 만들어진 거의 완벽한 구멍이 발견되기도 했다.[164] 기원전 1550년의 이집트 텍스트인 에버스 파피루스에는 치아 질환이 언급되어 있다.[163]

로마 제국에서는 조리된 음식 소비가 늘면서 충치 발생률이 약간 증가했다.[165] 그레코로만 문명은 이집트 문명과 더불어 충치로 인한 통증 치료법을 가지고 있었다.[158] 기원전 668년부터 626년까지 아시리아의 사르곤 왕조 시대에 왕의 의사가 작성한 글에는 확산되는 염증으로 인해 치아를 발치해야 할 필요성이 명시되어 있다.[158]

청동기 시대철기 시대 동안 충치 발생률은 낮게 유지되었지만, 중세 시대에 급격히 증가했다.[157] 서기 1000년경 사탕수수가 서양 사회에 소개되면서 충치를 가진 사람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여 24~25% 정도가 되었다.[254] 치료는 주로 약초 요법과 부적을 포함했지만, 때로는 사혈도 포함되었다.[166] 당시의 이발 외과 의사들은 치아 발치를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했다.[158] 로마 가톨릭 신자들은 치과 분야의 수호성인인 성 아폴로니아에게 치아 감염으로 인한 통증을 치유해달라고 기도했다.[167]

북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수렵 채집 식단에서 옥수수를 포함한 식단으로 바꿨을 때, 그리고 유럽 식민주의자들과의 접촉 이후 옥수수에 대한 의존도가 더 커지면서 충치가 증가했다.[157]

유럽의 계몽주의 시대 동안, "치아 벌레"가 충치를 일으킨다는 믿음은 더 이상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68] '근대 치과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피에르 포샤르는 벌레가 충치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255], 설탕이 치아와 잇몸에 나쁜 영향을 주어 생긴다고 말했다. 1850년경, 광범위한 식단 변화로 인해 충치 발생률이 다시 급증했다.[158] 사탕수수, 정제된 밀가루, 빵, 설탕을 넣은 차의 가용성이 증가하면서 와동 충치가 더 많이 발생했다.

1890년대에 윌로비 D. 밀러는 입 안에 세균이 살고 있으며, 세균이 발효 가능한 탄수화물이 있을 때 치아 구조를 녹이는 산을 생성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70] 이러한 설명은 화학 기생충 충치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171] 1924년, 런던의 킬리안 클라크는 충치 병변에서 연쇄상구균의 뮤탄스 연쇄상구균을 발견하고[256] 이것이 충치의 원인균이라고 주장했지만, 1960년대가 되어서야 증명되었다.

1930년대에 미국 국립 보건원의 H. 트렌들리 딘 등은 1mg/L(1ppm)의 불소가 효과적으로 충치를 줄인다는 것을 보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설탕 부족으로 일본, 노르웨이, 아일랜드에서는 설탕 배급제가 시행되어 충치가 감소했다.[254]

산업 혁명으로 정제 설탕과 밀가루와 같은 특정 품목을 쉽게 구할 수 있게 되면서 19세기에 충치 발생률이 극적으로 증가했다.[158] 당시 "새로 산업화된 영국 노동 계급"[158]의 식단은 빵, 잼, 설탕을 넣은 차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설탕 소비와 충치가 모두 크게 증가했다.

참조

[1] 문서
[2] 논문 Diseases of the mouth 2014-03-01
[3] 논문 Common Dental and Periodontal Diseases: Evaluation and Management 2014-11-01
[4] 논문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oral health of young children 2014-12-01
[5] 논문 Socioeconomic Inequality and Ca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1-01
[6] 논문 Stem cell sources for tooth regeneration: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7] 웹사이트 Oral health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09-14
[8] 웹사이트 Oral health Fact sheet N°318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04-01
[9] 논문 Years lived with disability (YLDs) for 1160 sequelae of 289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2012-12-15
[10] 논문 The global increase in dental caries. A pending public health crisis 2009-02-01
[11] 서적 Taber's cyclopedic med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F.A. Davis Co. 2013-01-01
[12] 웹사이트 Health Promotion Board: Dental Caries https://web.archive.[...] 2010-09-01
[13] 뉴스 A Closer Look at Teeth May Mean More Fillings https://www.nytimes.[...] 2011-11-28
[14] 웹사이트 Biology of the Human Dentition https://web.archive.[...] 2015-10-30
[15] 웹사이트 Dental Cavities
[16] 웹사이트 Tooth Decay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Cavernous Sinus Thrombosis https://web.archive.[...] 2008-05-27
[18] 웹사이트 Ludwig's Anigna
[19] 웹사이트 Ludwig's Angina in Children https://web.archive.[...] 2008-07-09
[20] 서적 Oral pathology Oxford Univ. Press
[21] 논문 Raisins and oral health 2013-06-01
[22] 서적 Pickard's manual of operative dentistry Oxfo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Molecular Medical Microbiology Elsevier
[24] 논문 The microbiology of dental caries 1982-05-01
[25] 논문 The role of sugar in the etiology of dental caries 1983-09-01
[26] 웹사이트 Social inequalities in oral health: from evidence to action http://nebula.wsimg.[...] 2015-06-19
[27] 논문 Dental plaque as a biofilm and a microbial community—Implications for treatment https://www.scienced[...]
[28] 논문 Microbial ecology of dental plaque and its significance in health and disease
[29] 웹사이트 Cavities/tooth decay https://web.archive.[...] 2008-03-15
[30] 논문 Association of mutans streptococci between caregivers and their children 2008-09-01
[31] 논문 Remineralization and enamel caries: new concepts 1983-05-01
[32] 서적 Biology of Microorganisms Pearson
[33] 웹사이트 Dental Caries https://web.archive.[...] 2006-06-30
[34] 서적 Fundamentals of Operative Dentistry: A Contemporary Approach. Quintessence Publishing Co, Inc
[35] Review Understanding MIH: definition, epidemiology, differential diagnosis and new treatment guidelines http://admin.ejpd.eu[...] 2013-09-01
[36] 논문 Etiology of molar incisor hypomineralization — A systematic review 2016-08-01
[37] Review Molar incisor hypomineralization: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management http://www.aapd.org/[...] 2006
[38] 웹사이트 Dental Enamel Defects and Celiac Disease http://celiac.nih.go[...]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IH) 2016-03-07
[39] Review The oral manifestations of celiac disease: information for the pediatric dentist 2012
[40] Review Oral manifestations of celiac disease: a clinical guide for dentists http://www.jcda.ca/a[...] 2011
[41] Review Oral signs in the diagnosis of celiac disease: review of the literature 2010
[42] 서적 Oral & Maxillofacial Pathology 2002
[43] 서적 Oral & Maxillofacial Pathology 2002
[44] 문서 Nanci
[45] 논문 What is the critical pH and why does a tooth dissolve in acid? http://www.cda-adc.c[...] 2003-12-01
[46] 논문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of root surface caries 1986
[47] 논문 Association between orthodontic treatment need and caries experience 2011
[48] 논문 Dental crowding as a caries risk factor: A systematic review 2012
[49] 서적 Oral & Maxillofacial Pathology 2002
[50] 웹사이트 Oral Complications of Chemotherapy and Head/Neck Radiation http://www.cancer.go[...]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7-01-08
[51] 웹사이트 ADA — EBD::Systematic Reviews http://ebd.ada.org/S[...] 2013-07-30
[52] 논문 Relationship of fluid transport through dentation to the incidence of dental caries 1971
[53] 서적 Oral & Maxillofacial Pathology 2002
[54] 웹사이트 Tobacco Use Increases the Risk of Gum Disease http://www.perio.org[...] American Academy of Periodontology 2007-01-09
[55] 웹사이트 The Diagnosis of Root Caries http://www.nidcr.nih[...] National Institute of Dental and Craniofacial Research 2006-08-15
[56] 웹사이트 Executive Summary of U.S. Surgeon General's report titled,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https://www.cdc.gov/[...] CDC 2007-01-09
[57] 논문 Physical, behavioral, and cognitive effects of prenatal tobacco and postnatal secondhand smoke exposure 2014-09-01
[58] 논문 The distribution of lead in human enamel 1956
[59] 논문 Lead in enamel and saliva, dental caries and the use of enamel biopsies for measuring past exposure to lead 1977
[60] 논문 Transplacental transport of lead 1990
[61] 논문 Association of dental caries and blood lead levels 1999
[62] 논문 The association between caries and childhood lead exposure 2000
[63] 논문 Blood Lead Level and Dental Caries in School-Age Children 2002
[64] 논문 Teeth 2004
[65] 논문 Structure and substitutions in fluorapatite 2001
[66] 논문 Association of environmental cadmium exposure with pediatric dental caries 2008
[67] 논문 Trends in Oral Health by Poverty Status as Measured by Healthy People 2010 Objectives 2010
[68] 논문 Dental caries 2007
[69] 웹사이트 ADA Caries Risk Assessment Form Completion Instructions https://web.archiv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70] 논문 Evidence on existing caries risk assessment systems: are they predictive of future caries? 2013
[71] 논문 Review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biology
[72] 논문 Iodine in evolution of salivary glands and in oral health
[73] 서적 Dental caries : the disease and its clinical management https://archive.org/[...] Blackwell Munksgaard
[74] 서적 Pickard's manual of operative dentistry
[75] 서적 Pathology of dental caries Blackwell Munksgaard
[76] 논문 What constitutes dental caries? Histopathology of carious enamel and dentin related to the action of cariogenic biofilms
[77] 논문 Resistance of the enamel to dental caries
[78] 논문 The chemistry of enamel caries
[79] 문서 Nanci
[80] 웹사이트 Teeth & Jaws: Caries, Pulp, & Periapical Conditions https://web.archive.[...] 2007-06-22
[81] 서적 Histology: a text and atlas
[82] 문서 Nanci
[83] 서적 Fundamentals of Operative Dentistry: A Contemporary Approach Quintessence Publishing Co, Inc
[84] 논문 Dentine hypersensitivity – an enigma? A review of terminology, mechanisms, aetiology and management 1999-12
[85] 논문 Trans-dentinal stimulation of tertiary dentinogenesis 2001-08
[86] 서적 Fundamentals of Operative Dentistry: A Contemporary Approach Quintessence Publishing Co, Inc
[87] 서적 Illustrated Embryology, Histology, and Anatomy Elsevier
[88] 웹사이트 Clinical Diagnosis of Dental Caries: A North American Perspective https://web.archive.[...] 2006-08-13
[89] 서적 Fundamentals of Operative Dentistry: A Contemporary Approach Quintessence Publishing Co, Inc
[90] 논문 Hidden Occlusal Caries – Challenge for the Dentist https://web.archive.[...] 2008-06
[91] 서적 Dental Caries: The Disease and its Clinical Management John Wiley & Sons 2015-05
[92] 논문 Detection of early carious lesions using contrast enhancement with coherent light scattering (speckle imaging)
[93] 서적 Dental Secrets https://archive.org/[...] Hanley & Belfus
[94] 문서 Early Childhood Caries: Prevalence, Risk Factors, and Prevention
[95] 웹사이트 ADA Early Childhood Tooth Decay (Baby Bottle Tooth Decay) https://web.archive.[...] 2006-08-14
[96] 웹사이트 Statement on Early Childhood Caries https://web.archive.[...] 2013-07-30
[97] 웹사이트 Radiographic Classification of Caries https://web.archive.[...] 2006-08-14
[98] 웹사이트 ADA Methamphetamine Use (METH MOUTH) https://web.archive.[...] 2007-02-14
[99] 간행물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ental Caries in Children Scottish Dental Clinical Effectiveness Programme 2010-04
[100] 논문 Caries prediction on the basis of past caries including precavity lesions
[101] 논문 Past caries recordings made in Public Dental Clinics as predictors of caries prevalence in early adolescence
[102] 논문 Micro-invasive interventions for managing proximal dental decay in primary and permanent teeth 2015-11-05
[103]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Dental Plaque https://web.archive.[...] 2006-08-14
[104] 논문 Personal oral hygiene and dental carie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105] 논문 Flossing for the management of periodontal diseases and dental caries in adults 2011-12-07
[106] 논문 Dental Flossing and Proximal Caries in the Primary Dentition: A Systematic Review
[107] 논문 Different powered toothbrushes for plaque control and gingival health
[108] 논문 Fluoride toothpaste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2019-03-04
[109] 논문 Two-Year Caries Clinical Study of the Efficacy of Novel Dentifrices Containing 1.5% Arginine, an Insoluble Calcium Compound and 1,450 ppm Fluoride https://www.research[...] 2018-05-26
[110] 논문 Fluoride gels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5-06-15
[111] 논문 Fluoride mouthrinses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6-07-29
[112] 논문 Periodontal treatment needs among Saudi Arabian adults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use of the Miswak
[113] 논문 A new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gars, dental caries and fluoride use: implications for limits on sugars consumption. 2014-10
[114] 논문 Lack of correlation between food retention on the human dentition and consumer perception of food stickiness 1991-10-01
[115] 웹사이트 Nutrition and tooth decay in infancy https://www.eapd.eu/[...] Kyriaki Tsinidou 2019-04-06
[116] 웹사이트 Oral Health Topics: Baby Bottle Tooth Decay http://www.ada.org/p[...] 2006-08-14
[117] 웹사이트 Guideline on Infant Oral Health Care http://www.aapd.org/[...] 2007-01-13
[118] 논문 The evidence base for professional and self-care prevention--caries, erosion and sensitivity
[119] 논문 Evidence of Effectiveness of Current Therapies to Prevent and Treat Early Childhood Caries http://www.ingentaco[...]
[120] 논문 Xylitol-containing products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in children and adults 2015-03
[121] 논문 Caries-preventive effect of fissure sealants: a systematic review
[122] 논문 Pit and fissure sealants versus fluoride varnishes for preventing dental decay in the permanent tee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2016-01-18
[123] 문서 Nanci
[124] 논문 Effect of Fluoride Varnish on Streptococcus mutans Count in Saliva of Caries Free Children Using Dentocult SM Strip Mutans Test: A Randomized Controlled Triple Blind Study 2008-01-01
[125] 서적 Histology: A Text and Atlas
[126] 논문 Fluoride supplementation in pregnant women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in the primary teeth of their children
[127] 웹사이트 ADA — EBD::Systematic Reviews http://ebd.ada.org/S[...] 2013-07-30
[128] 논문 Effects of low and standard fluoride toothpastes on caries and fluoros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3-01-01
[129] 논문 Fluoride toothpaste use for young children 2014-02
[130] 웹사이트 Delivering Better Oral Health: An evidence-based toolkit for prevention, second edition http://dh.gov.uk/pro[...] Department of Health / British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Community Dentistry 2009-04
[131] 웹사이트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ental caries in children: Dental clinical guidance http://www.sdcep.org[...] 2016-03-07
[132] 논문 Chlorhexidine treatment for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ttps://doi.org/10.1[...] 2015-04-13
[133] 웹사이트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ental caries in children: Dental clinical guidance http://www.sdcep.org[...] 2016-03-07
[134] 논문 A Caries Vaccine? The state of the science of immunization against dental caries 2004-05-06
[135] 논문 Anti–cell-associated glucosyltransferase immunoglobulin Y suppression of salivary mutans streptococci in healthy young adults https://jada.ada.org[...] 2019-01-11
[136] 서적 Dental caries : the disease and its clinical management Blackwell Munksgaard
[137] 웹사이트 Oral Health Topics: Anesthesia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ada.org/p[...] 2006-08-16
[138] 서적 Fundamentals of Operative Dentistry: A Contemporary Approach Quintessence Publishing Co, Inc
[139] 논문 Lasers for caries removal in deciduous and permanent teeth
[140] 논문 Intraoral Air Abrasion: A Review of Devices, Materials, Evidence, and Clinical Applications in Restorative Dentistry.
[141] 논문 The application of air abrasion in dentistry National Library of Serbia
[142] 웹사이트 Aspects of Treatment of Cavities and of Caries Disease https://www.ncbi.nlm[...] 2006-08-15
[143] 웹사이트 Oral Health Topics: Dental Filling Options http://www.ada.org/p[...] 2006-08-16
[144] 웹사이트 What is a Root Canal? http://www.agd.org/c[...] 2006-08-16
[145] 웹사이트 FAQs About Root Canal Treatment http://www.aae.org/p[...] 2006-08-16
[146] 웹사이트 Wisdom Teeth http://www.aaoms.org[...] 2006-08-16
[147] 웹사이트 WHO Disease and injury country estimates https://www.who.int/[...] 2009-11-11
[148] 웹사이트 The World Oral Health Report 2003: Continuous improvement of oral health in the 21st century – the approach of the WHO Global Oral Health Programme https://www.who.int/[...] 2006-08-15
[149] 웹사이트 Healthy People: 2010 http://www.healthype[...] 2006-08-13
[150]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adha.org/[...] 2006-08-15
[151] 웹사이트 Dental caries https://www.ncbi.nlm[...] 2006-08-15
[152] 웹사이트 Guideline: sugars intake for adults and children https://www.who.int/[...] 2024-07-14
[153] 웹사이트 World Water Day 2001: Oral health https://www.who.int/[...] 2006-08-14
[154] 웹사이트 Table 38.1. Mean DMFT and SiC Index of 12-Year-Olds for Some Countries, by Ascending Order of DMFT https://www.ncbi.nlm[...] 2007-01-08
[155] 논문 Anaerobes and Bacterial Vaginosis in Pregnancy: Virulence Factors Contributing to Vaginal Colonisation
[156] 논문 Oral Microbiome and Dental Caries Development 2022-09-00
[157] 웹사이트 Epidemiology of Dental Disease http://www.uic.edu/c[...] 2007-01-09
[158] 논문 Historical perspectives of oral biology: a series
[159] 문서 Caries Through Time: An Anthropological Overview
[160] 논문 A brief review of the archaeological evidence for Palaeolithic and Neolithic subsistence 2002-12-00
[161] 논문 Sex Differences in Dental Caries Rates With the Origin of Agriculture in South Asia https://zenodo.org/r[...] 2017-09-24
[162] 논문 Agriculture and dental caries? The case of rice in prehistoric Southeast Asia
[163] 웹사이트 History of Dentistry: Ancient Origins http://www.ada.org/p[...] 2007-01-09
[164] 논문 Palaeontology: early Neolithic tradition of dentistry 2006-04-00
[165] 논문 Sugars and dental caries 2003-10-00
[166] 논문 Dental treatment in Medieval England 2004-10-00
[167] 뉴스 Medieval teeth 'better than Baldrick's' http://news.bbc.co.u[...] BBC news 2004-10-08
[168] 논문 The tooth-worm: historical aspects of a popular medical belief 1999-03-00
[169] 웹사이트 Pierre Fauchard (1678–1761) http://www.fauchard.[...] 2007-01-17
[170] 논문 A mixed-bacteria ecolog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 oral bacteria in dental caries causation: an alternative to Streptococcus mutans and the specific-plaque hypothesis 2002-03-01
[171] 논문 Potential of diagnostic microbiology for treatment and prognosis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https://web.archive.[...] 2019-01-13
[172] 서적 Textbook of Preventive and Community Dentistry https://books.google[...] Elsevier India 2011
[173] 논문 Dental caries 2007-01-00
[174] 웹사이트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http://www.dorlands.[...] 2015-01-01
[175] 웹사이트 Dentistry for All / International Dental Review – General Info http://sdvint.com/o-[...] 2019-09-26
[176] 웹사이트 The Faculty of Dental Medicine http://mu-varna.bg/E[...] 2019-09-26
[177] 웹사이트 "Cariology" entry https://medical-dict[...] thefreedictionary.com 2019-09-26
[178] 논문 Global Economic Impact of Dental Diseases 2015-08-28
[179] 웹사이트 AVDS Cavities information page — Dog Tooth Health — Cat Tooth Health http://www.avds-onli[...] American Veterinary Dental Society 2013-11-10
[180] 논문 Dental caries https://www.nature.c[...] 2017
[181]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28 diseases and injuries for 195 countries, 1990–2016: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Burden of Disease Study 2016 https://www.scienced[...]
[182] 웹사이트 Oral health https://www.thelance[...] 2021-01-02
[183] 간행물 平成28年歯科疾患実態調査、結果の概要の図9 https://www.mhlw.go.[...]
[184] 웹사이트 学校保健統計調査:文部科学省 https://www.mext.go.[...] 2021-01-02
[185] 웹사이트 歯科疾患実態調査|厚生労働省 https://www.mhlw.go.[...] 2021-01-02
[186] 논문 わが国における歯科診療所の受療率と現在歯数の推移の関連 患者調査と歯科疾患実態調査の公表データを用いた分析 https://www.fihs.org[...] 2010
[187] 간행물 う蝕治療ガイドライン 第2版 http://www.hozon.or.[...] 日本歯科保存学会
[188] 간행물 う蝕治療ガイドライン 第3版 http://www.hozon.or.[...] 日本歯科保存学会
[189] 간행물 今後のわが国における望ましいフッ化物応用への学術的支援 http://www.kokuhoken[...] 日本口腔衛生学会
[190] 뉴스 「検診で虫歯見つかった子 過半数、治療せず 保団連調べ」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7-14
[191] 웹사이트 学校保健の歴史 https://www.gakkohok[...]
[192] 간행물 乳幼児健康診査事業実践ガイド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ウェブサイト
[193] 웹사이트 フッ化物塗布 http://ii-ha.net/fus[...]
[194] 간행물 新潟県における新潟県フッ化物洗口マニュアル https://www.kenko-ni[...] 新潟県、新潟県教育委員会、新潟県歯科医師会、新潟県歯科保健協会 2015
[195] 웹사이트 World Health Assembly Resolution paves the way for better oral health care https://www.who.int/[...]
[196] 간행물 第 74 回 WHO 総会議決書を踏まえた口腔衛生学会の提言 http://www.kokuhoken[...] 日本口腔衛生学会
[197] 서적 Global Burden of Oral Conditions Springer, Cham 2021
[198] 간행물 フッ化物洗口マニュアル(2022 年版) https://mhlw-grants.[...] 厚生労働省令和3年度厚生労働行政推進調査事業費補助金(地域医療基盤開発推進研究事業)「歯科口腔保健の推進に資するう蝕予防のための手法に関する研究」班 編
[199] 서적 Oxford Textbook of Public Health 9.8 Dental public health
[200] 웹사이트 平成11年歯科疾患実態調査の概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 웹사이트 平成17年歯科疾患実態調査結果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 논문 Dental caries in the Syrian hamster. X. The natural history of the disease in a single family. 1963
[203] 서적 デンタルカリエス原著第2版 医歯薬出版 2013
[204] 문서 (정보 부족) 2018-08
[205] 논문 A quantitative method for evaluating physical and chemical agents which modify production of acids in bacterial plaques on human teeth 1943
[206] 웹사이트 https://www.toothfri[...] 2018-08
[207] 웹사이트 オゾンによるう蝕治療 http://minds.jcqhc.o[...] 2018-08
[208] 서적 Dentistry, Dental practice and the community 1999
[209] 논문 Coronal caries in the primary and permanent denti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1-17 years of age: United States 1988-1991 1996
[210] 논문 The medical management of dental caries 1994
[211] 논문 Sociodemographic distribution of pediatric dental caries: NHANES III, 1988−1994
[212] 논문 Risk assessment and caries prediction
[213] 간행물 Recommendations for Using Fluoride to Prevent and Control Dental Caries in the United States http://www.cdc.gov/m[...]
[214] 서적 唾液-歯と口腔の健康 医歯薬出版 1998-01-01
[215] 웹사이트 奈良県歯科医師会ウェブサイト http://www.nashikai.[...] 2019-05-09
[216] 논문 Plaque pH and calcium sucrose phosphate: a telemetric study 1971-02-01
[217] 웹사이트 小児と思春期のう蝕予防のためのフッ化物配合歯磨剤 http://minds.jcqhc.o[...] 2018-08-01 # 링크 끊김 날짜
[218] 웹사이트 虫歯予防のための異なるフッ化物濃度の歯磨き粉 https://www.cochrane[...]
[219] 웹사이트 Periodic health examination, 1995 update: 2. Prevention of dental caries. The Canadian Task Force on the Periodic Health Examination. https://www.ncbi.nlm[...] Canadian Task Force on Preventive Health Care
[220] 웹사이트 Fluoride and different vehicles to provide fluoridefor Prevention or Control of Dental Caries http://www.db.od.mah[...] マルメ大学 2018-08-15
[221] 서적 初期う蝕のマネージメント-う蝕を進行させないために クインテッセンス出版 2004-08-01
[222] 보고서 Comments on the WHO Draft Guideline: Sugars intake for adults and children http://wphna.org/wp-[...] ロンドン大学名誉教授
[223] 웹사이트 発がん性評価Group3分類 https://web.archive.[...]
[224] 웹사이트 フッ素毒警告ネットワーク https://archive.ph/C[...]
[225] 서적 フッ化物と口腔保健-WHOのフッ化物応用と口腔保健に関する新しい見解
[226] 간행물 フッ素洗口で口腔・咽頭ガンなどの危険 2003-12-01
[227] 웹사이트 sealant http://www.ada.org/p[...]
[228] 웹사이트 虫歯を劇的に減らす方法を調査せよ(特命リサーチ) https://web.archive.[...]
[229] 웹사이트 東京予防歯科研究会 https://web.archive.[...]
[230] 보고서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http://www.fao.org/d[...] Report of a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231] 보고서 Summary of strength of evidence linking diet to dental caries http://www.fao.org/3[...]
[232] 논문 Effect on Caries of Restricting Sugars Intake: Systematic Review to Inform WHO Guidelines
[233] 웹사이트 WHO opens public consultation on draft sugars guideline http://www.who.int/m[...]
[234] 서적 新予防歯科学3版-上 医歯薬出版 2003-11-01
[235] 논문 Acid production from different carbohydrate sources in human plaque in situ.
[236] 서적 う蝕の診断とリスク予測:実践編 クインテッセンス出版 2003-06-01
[237] 서적 う蝕の診断とリスク予測:実践編 クインテッセンス出版 2003-06-01
[238] 논문 Effects of processed cheese on human plaque pH and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1990-10-01
[239] 논문 Cheese consumption and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dental caries 2002-04-01
[240] 서적 唾液-歯と口腔の健康 医歯薬出版 1998-01-01
[241] 논문 Sugar substitutes, chewing gum and dental caries-a review 1998-01-10
[242] 서적 う蝕の診断とリスク予測:実践編 クインテッセンス出版 2003-06-01
[243] 서적 初期う蝕のマネージメント-う蝕を進行させないために クインテッセンス出版 2004-08-01
[244] 웹사이트 健康日本21 https://www.kenkouni[...]
[245] 웹사이트 European Academy of Paediatric Dentistry http://www.eapd.gr/P[...]
[246] 웹사이트 American Dental Association http://www.ada.org/p[...]
[247] 서적 清涼飲料上手な飲み方選び方 芽ばえ社 2003-04-00
[248] 서적 唾液-歯と口腔の健康 医歯薬出版 1998-01-00
[249] 논문 清涼飲料水がおよぼす歯の脱灰作用 https://cir.nii.ac.j[...] 2001-06-01
[250] 논문 清涼飲料水によるエナメル質の脱灰 https://cir.nii.ac.j[...] 1995-07-30
[251] 웹사이트 トゥースフレンドリー協会 http://www.toothfrie[...]
[252] 서적 歯科臨床におけるガム徹底活用法 2015-00-00
[253] 뉴스 虫歯より深刻「酸蝕歯」 ちびちび飲み、歯には負担 https://style.nikkei[...] NIKKEI STYLE 2018-06-25
[254] 웹사이트 Epidemiology of Dental Caries http://www.uic.edu/c[...]
[255] 서적 概説 ピエール・フォシャール 歯科外科医 近代歯科医学の端緒、最初の歯科医学書および200年前の歯科医に関する論述 時空出版 2015-11-15
[256] 논문 On the Bacterial Factor in the Ætiology of Dental Caries http://www.ncbi.nlm.[...] 1924-06-00
[257] 간행물 野生の動物も歯が命 http://www.coara.or.[...] アフリカンサファリ
[258] 뉴스 動物(どうぶつ)は歯磨(はみが)きなしで大丈夫(だいじょうぶ)?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5-11-28
[259] 논문 カリンズ森林保護区におけるチンパンジーの歯周疾病 http://www.saga-jp.o[...] 2010-03-00
[260] 논문 Common Dental and Periodontal Diseases: Evaluation and Management 2014-11-00
[261] 웹사이트 Oral health Fact sheet N°318 http://www.who.int/m[...] 2012-04-00
[262] 서적 Taber's cyclopedic med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F.A. Davis Co. 2013-00-00
[263] 논문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oral health of young children 2014-12-00
[264] 논문 Dental Flossing and Proximal Caries in the Primary Dentition: A Systematic Review 2017-00-00
[265] 논문 Diseases of the mouth 2014-03-00
[266] 웹사이트 Oral health https://www.who.int/[...] 2019-09-14
[267] 뉴스 디지털 시대의 원데이 치과 진료 https://news.naver.c[...] 내일신문 2013-03-25
[268] 뉴스 신경치료 받으신다구요?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13-12-27
[269] 뉴스 치과위생사 업무에 임시충전 등 허용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11-11-08
[270] 뉴스 '헬스포인트'충치는 전염병이다 http://weekly.khan.c[...] 주간경향 2009-07-28
[271] 뉴스 자연치아의 수명을 연장해주는 ‘신경치료’ http://www.naeil.com[...] 내일신문 2015-02-26
[272] 뉴스 치아 교정, 언제 시작?…영구치 완성되는 10대 초반이 효과적 https://news.naver.c[...] MBC 2015-02-15
[273] 뉴스 충치균, 어른 입에서 아이들 입 속으로 전염됩니다 http://www.koreaheal[...] 헬스로그 2010-10-26
[274] 뉴스 입안 박테리아로 충치 박테리아 차단 http://biz.chosun.co[...] 조선비즈 2011-04-12
[275] 뉴스 뮤탄스균 보균자, 어린아이에 ‘입술 뽀뽀’ 자주하면 충치 옮을 수도 https://news.naver.c[...] 한국경제TV 2014-08-20
[276] 뉴스 충치치료 비용 때문에 미루다 신경 손상 및 임플란트 수술 상황까지 번져 https://news.naver.c[...] 헤럴드경제 2015-01-28
[277] 뉴스 충치, 통증 심해졌을 땐 치아유실 가능성 껑충 https://news.naver.c[...] 뉴스1 2015-02-16
[278] 뉴스 세균덩어리 플라크, '칫솔질·치실·스케일링+α'로 잡는다 https://news.naver.c[...] 중앙일보 2015-02-23
[279] 뉴스 바나나, 치아미백 효과 있다? 없다?… 치아 건강에 좋은 음식 http://news.kukinews[...] 쿠키뉴스 2015-02-26
[280] 뉴스 건강에 좋은 '레드와인' 충치도 예방 http://www.mdtoday.c[...] 메디컬투데이 2014-05-27
[281] 뉴스 건강한 치아를 만드는 중요한 습관 ‘올바른 양치법’ http://www.hidoc.co.[...] 하이닥 2015-02-23
[282] 뉴스 치통환자 증가, 6개월에 한 번씩 정기 검진과 스케일링 받아야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15-02-21
[283] 뉴스 치주질환 예방 위해선 정기적인 치과검진과 스케일링 필수 https://news.naver.c[...] 머니위크 2015-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