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라델피아 제헌회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라델피아 제헌회의는 1787년 미국 13개 식민지가 연합 규약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각 주의 상업적 갈등과 연방 정부의 무능력, 셰이즈의 반란과 같은 사건들이 제헌회의 소집의 배경이 되었다. 회의에서는 버지니아 안, 뉴저지 안, 해밀턴 안 등 다양한 정부 형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코네티컷 타협(대타협)을 통해 상원과 하원의 구성 방식을 결정했다. 또한 노예제 문제에 대한 논의와 3/5 타협, 노예 무역 유예 등의 타협을 통해 헌법의 주요 내용을 확정했다. 헌법은 삼권 분립, 연방주의, 견제와 균형의 원칙을 담고 있으며, 1787년 9월 17일 최종 서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7년 미국 - 3/5 타협
3/5 타협은 1787년 미국 헌법 제정 당시 노예의 인구수를 계산하여 하원 의석과 직접세를 배분할 때 노예를 자유인의 5분의 3으로 계산하기로 한 합의이다. - 1787년 미국 - 미국의 헌법
미국 헌법은 연방 정부의 조직, 권한, 시민의 기본권을 규정하는 미국의 최고 법규로서, 수많은 수정을 거치며 통치 체제를 확립하고 사회 변화를 반영해왔으며, 권력 분립, 연방주의, 기본권 보장 등의 원칙으로 세계 각국 헌법에 영향을 주었으나 현재까지도 여러 논쟁점을 안고 있다. - 미국 독립 전쟁 - 차법
차법은 영국이 동인도 회사를 구제하기 위해 북아메리카 식민지에 차를 무관세로 수출하도록 허용한 법률로, 식민지 주민들의 반발을 사 보스턴 차 사건과 미국 독립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미국 독립 전쟁 - 보스턴 차 사건
보스턴 차 사건은 1773년 영국 동인도 회사의 차 수입에 반대하여 보스턴 시민들이 차 상자를 바다에 버린 사건으로, 미국 독립 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필라델피아 제헌회의 | |
---|---|
개요 | |
![]() | |
회의 종류 | 제헌 회의 |
정식 명칭 | 연방 의회 |
다른 명칭 | 필라델피아 회의 헌법 회의 |
google_map | 필라델피아 독립 기념관 |
날짜 | 1787년 5월 25일 ~ 1787년 9월 17일 |
장소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독립기념관 |
의장 | 조지 워싱턴 |
결과 | 미국 헌법 초안 작성 |
참가자 | |
대표 | 12개 주에서 55명의 대표 |
서명자 | 39명 |
배경 | |
소집 이유 | 연합규약의 문제점 해결 |
이전 회의 | 애나폴리스 회의 |
주요 의제 | |
논의 사항 | 국가 정부의 권한 강화 주 대표 방식 노예 제도 대통령 선출 방식 |
주요 타협 | 코네티컷 타협 (대규모 주와 소규모 주 간의 타협) 3/5 타협 (노예 인구 계산 방식) |
결과 및 영향 | |
비준 | 1788년 6월 21일 (9개 주 비준으로 발효) |
영향 | 미국 정부의 구조 확립, 권리장전 추가 |
기타 | |
관련 문서 | 미국 헌법 연방주의자 논고 |
2. 역사적 배경
미국 독립 전쟁 이후, 13개 식민지는 제2차 대륙회의에서 제정한 연합규약에 따라 운영되었다. 그러나 연방 정부는 주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에 충분한 권한을 갖지 못했고, 이는 만성적인 예산 부족 문제로 이어졌다.[28][29][30] 연합 규약은 주의 만장일치 투표로만 수정될 수 있었기 때문에, 개별 주가 사실상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31] 또한 연방 정부는 징세권이 없어 주 정부의 재정 지원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했고, 주 정부가 지원을 거부할 경우 강제할 권한이 없었다.[31]
미국 독립 전쟁에서 승리한 후, 각 주는 자국의 이익을 우선시하기 시작했고, 이는 주 간의 분쟁으로 이어졌다. 예를 들어, 메릴랜드와 버지니아는 포토맥 강을 두고 갈등을 빚었고, 로드아일랜드는 보스턴 주요 도로를 통과하는 모든 교통 수단에 대한 세금 부과에 반대했다.[32]
1786년 1월 21일, 버지니아 의회는 제임스 매디슨의 제안에 따라 각 주 대표단을 메릴랜드 애나폴리스로 초청하여 주 간 분쟁을 완화할 방안을 논의했다. 1786년 9월, '애너폴리스 회의'라고 불리는 이 회의에서 5개 주 대표들은 연합규약의 개선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해 1787년 5월 14일 필라델피아에서 헌법 회의를 개최할 것을 요청했다. 로드아일랜드는 이 회의에 불참했고, 헌법이 주에 상정되었을 때 처음에는 비준을 거부했다.[33]
2. 1. 연합 규약의 한계
미국 독립 전쟁 이후, 13개 주는 연합 규약에 따라 느슨한 연합 형태를 유지했다. 연합 규약 하의 연방 정부는 과세권과 통상 규제권 등 핵심 권한이 없어서 주 간의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했다.[31] 셰이즈의 반란(1786-1787)은 연방 정부의 무능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강력한 중앙 정부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2] 1786년 애나폴리스 회의에서 각 주 대표들은 연합 규약 개정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1787년 필라델피아에서 헌법 제정 회의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33]구체적으로, 연합 규약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 주의 만장일치 동의가 있어야만 수정이 가능했기에, 개정이 매우 어려웠다.[31]
- 연방 정부는 징세권이 없어, 재정 문제에 대해 주에 의존해야 했고 주 정부가 재정 지원을 거부하면 강제할 방법이 없었다.[31]
- 포토맥 강을 둘러싼 메릴랜드와 버지니아 간의 갈등, 로드아일랜드의 세금 반대 등 주 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어려웠다.[32]
이러한 한계로 인해, 제임스 매디슨은 주 정부 대표자 회의를 제안했고, 1786년 1월 21일 버지니아 주의회는 애나폴리스 회의를 소집하여 주 간 분쟁을 줄이는 방안을 논의했다.[32] 이 회의에서 대표자들은 1787년 5월 14일 필라델피아에서 헌법 회의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33]
2. 2. 한국의 관점
미국 독립 전쟁과 연합 규약 시기는 한국 역사에서 조선 후기에 해당한다. 당시 조선은 중앙 집권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붕당정치의 폐단과 세도 정치의 등장으로 정치적 혼란을 겪고 있었다. 미국의 연방 정부 구성 논의는 중앙 집권 체제와 지방 분권 체제 간의 균형 문제를 고민하던 조선의 상황과 비교해 볼 수 있다.3. 제헌 회의
버지니아주 주지사 에드먼드 랜돌프는 버지니아 계획을 제시했다. 이 계획은 단원제 연합회의를 양원제 의회로 대체하는 것을 제안했다. 버지니아 계획에 따르면, 의회는 "개별 주가 무능한 모든 경우"에 법을 제정할 권한을 가지는, 사실상의 국가 입법부였으며, 주법에 대한 거부권도 행사할 수 있었다. 의회의 양원 모두에서 대표성은 ''기여 몫'' (주가 납부한 세금에 반영된 주의 재산) 또는 각 주의 노예가 아닌 인구 규모에 따라 배분될 예정이었다. 의회의 하원은 국민에 의해 직접 선출되고, 상원은 주 의회가 지명한 후보자 중에서 하원에 의해 선출될 것이었다.[30]
3. 1. 회의 개요
1787년 5월 25일, 필라델피아 인디펜던스 홀에서 헌법 제정 회의가 개최되었다.[21] 원래 예정일은 5월 14일이었으나, 18세기 후반의 열악한 교통 및 통신 사정으로 인해 대표들이 제때 도착하기 어려워 연기되었다. 7개 주 이상의 대표가 참석하여 정족수가 충족되자 회의가 시작되었다. 조지 워싱턴이 만장일치로 회의 의장에 선출되었다.[21] 윌리엄 잭슨이 서기로 선출되었지만, 그의 기록은 간략하여 제임스 매디슨의 "1787년 연방 회의에서의 논의 노트"가 회의의 가장 완전한 기록으로 남아있다.[20]3. 2. 주요 참가자 (건국의 아버지)
필라델피아 제헌회의에는 총 55명의 대표가 참여했으며, 이들은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로 불린다.[16][15] 각 주는 70명의 대표를 임명했지만, 일부는 임명을 수락하지 않거나 참석할 수 없었다.[16] 이들 중 39명만이 최종 헌법안에 서명했다.[15]회의 참가자 대부분은 혁명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며, 최소 29명은 대륙군에서 복무했다.[17] 대다수는 연방 회의 의원이었거나 혁명 기간 동안 대륙 회의 의원이었다.[6][17] 로저 셔먼과 로버트 모리스는 독립 선언, 연합 규약, 미국 헌법에 모두 서명한 유일한 인물이다.[17]
대표 중 절반 이상은 변호사였지만, 4분의 1 정도만이 변호사를 주업으로 삼았다. 다른 대표들은 상인, 제조업자, 선박업자, 토지 투기꾼, 은행가 등이었다.[17] 25명은 노예 소유주였으며, 이들 중 16명은 노예 노동에 의존했다.[17] 조지 워싱턴과 로버트 모리스 등은 당시 미국에서 가장 부유한 인물이었다.[17]
주 | 대표 |
---|---|
코네티컷 | 올리버 엘스워스*, 윌리엄 새뮤얼 존슨, 로저 셔먼 |
델라웨어 | 리처드 배셋, 거닝 베드포드 주니어, 재이콥 브룸, 존 디킨슨, 조지 리드 |
조지아 | 에이브러햄 볼드윈, 윌리엄 퓨, 윌리엄 휴스턴*, 윌리엄 피어스* |
메릴랜드 | 대니얼 캐롤, 루터 마틴*, 제임스 맥헨리, 존 프랜시스 머서*, 대니얼 오브 세인트 토머스 제니퍼 |
매사추세츠 | 엘브리지 게리*, 너새니얼 고럼, 루퍼스 킹, 캘럽 스트롱* |
뉴햄프셔 | 니컬러스 길먼, 존 랭던 |
뉴저지 | 데이빗 브리어리, 조나단 데이턴, 윌리엄 휴스턴*, 윌리엄 리빙스턴, 윌리엄 패터슨 |
뉴욕 | 알렉산더 해밀턴, 존 랜싱 주니어*, 로버트 예이츠* |
노스캐롤라이나 | 윌리엄 블라운트, 윌리엄 리처드슨 데비*, 알렉산더 마틴*, 리처드 돕스 스파이트, 휴 윌리엄슨 |
펜실베이니아 | 조지 클라이머, 토머스 피츠시먼스, 벤저민 프랭클린, 재러드 잉거솔, 토머스 미플린, 거버뉴 모리스, 로버트 모리스, 제임스 윌슨 |
사우스캐롤라이나 | 피어스 버틀러, 찰스 코츠워스 핑크니, 찰스 핑크니, 존 러틀리지 |
버지니아 | 존 블레어, 제임스 매디슨, 조지 메이슨*, 제임스 맥클러그*, 에드먼드 랜돌프*, 조지 워싱턴, 조지 와이드* |
로드아일랜드 | 대표를 파견하지 않음 |
*최종 헌법안에 서명하지 않은 대표 |
몇몇 주요 인사들은 회의에 불참했다. 토머스 제퍼슨은 프랑스 대사로,[18][19] 존 애덤스는 영국 대사로 해외에 있었다. 패트릭 헨리는 "군주제로 향하는 듯한 수상함"을 이유로[20], 새뮤얼 애덤스, 존 핸콕 등도 불참했다.
3. 3. 대표단 구성
헌법을 기초한 55명의 대의원에는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로 불리는, 새로운 국가의 가장 뛰어난 지도자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토머스 제퍼슨은 존 애덤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대의원들을 ‘반신’ 모임으로 칭했다.[30] 그러나 존 애덤스, 패트릭 헨리, 존 핸콕, 새뮤얼 애덤스는 불참했다. 많은 주의 경험 많고 노련한 지도자들은 지방 행정 업무에 바빴으며, 이 회의는 기존의 연합규약을 개정하기로 계획되었었지, 완전히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기로 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로드아일랜드주는 회의에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았다. 각 주별 대표단 구성과 명단은 다음과 같다.
주 | 대표단 |
---|---|
코네티컷 | 올리버 엘스워스*, 윌리엄 새뮤얼 존슨, 로저 셔먼 |
델라웨어 | 리처드 배셋, 거닝 베드포드 주니어, 재이콥 브룸, 존 디킨슨, 조지 리드 |
조지아 | 애이브러햄 볼드윈, 윌리엄 퓨, 윌리엄 휴스톤*, 윌리험 피어스* |
메릴랜드 | 대니얼 캐롤, 루터 마틴*, 제임스 맥헨리, 존 프랜시스 머서*, 대니얼 오브 세인트 토머스 제니퍼 |
매사추세츠 | 엘비릿지 게리*, 나대니얼 고햄, 루퍼스 킹, 캘럽 스트롱* |
뉴햄프셔 | 니콜라스 길먼, 존 랭든 |
뉴저지 | 데이빗 브리어리, 조나단 데이턴, 윌리엄 휴스턴*, 윌리엄 리빙스턴, 윌리엄 패터슨 |
뉴욕 | 알렉산더 해밀턴, 존 랜싱 주니어*, 로버트 예이츠* |
노스캐롤라이나 | 윌리엄 블라운트, 윌리엄 리처드슨 데비*, 알렉산더 마틴*, 리처드 돕스 스파이트, 휴 윌리엄슨 |
펜실베이니아 | 조지 클라이머, 토머스 피치먼스, 벤저민 프랭클린, 재러드 잉거솔, 토머스 미플린, 고버뉴 모리스, 로버트 모리스, 제임스 윌슨 |
사우스캐롤라이나 | 피어스 버틀러, 찰스 코츠워스 핑크니, 찰스 핑크니, 존 러틀리지 |
버지니아 | 존 블레어, 제임스 매디슨, 조지 매이슨*, 제임스 맥클러그*, 에드먼드 랜돌프*, 조지 워싱턴, 조지 와이드* |
로드아일랜드 | 대표단 파견 없음 |
(*) 미국 헌법 최종안에 서명하지 않은 인물
4. 주요 쟁점 및 타협
필라델피아 제헌회의에서는 각 주 대표 방식, 노예제 등 주요 쟁점을 둘러싸고 다양한 의견이 대립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타협안이 제시되고 논의되었다.
대표 방식 관련 논의
- 버지니아 안: 제임스 매디슨이 초안을 작성. 인구 비례로 하원 의원을 선출하고, 하원에서 상원 의원을 선출하는 양원제 의회 제안.[35]
- 뉴저지 안: 윌리엄 패터슨 제시. 연합 규약 개정 수준으로, 각 주 동등 대표권을 갖는 단원제 의회 유지 및 의회 과세권 부여.[35]
- 알렉산더 해밀턴 안: 영국 정부와 유사. 주민 선출 선거인이 종신 임기 상원 의원 선출, 주지사도 선거인으로 선출되어 종신 임기 및 법안 거부권 보유.[22]
코네티컷 타협 (대타협)로저 셔먼이 하원은 인구 비례, 상원은 각 주 동등 대표 선출 방식을 제안하여 타협의 물꼬를 텄다.[22] 6월 29일 존슨이 셔먼과 비슷한 의견을 제시하며 분위기가 조성되었고,[13] 미국 독립 기념일 휴일 동안 벤저민 프랭클린의 제안을 바탕으로 하원 인구 비례, 상원 각 주 동등 대표, 하원 예산 법안 발의권 부여 타협안이 마련되었다. 7월 16일 타협안 채택,[32] 7월 23일 각 주 2명 상원 의원, 각 의원 개별 투표권 결정.[33]
노예제 문제남부는 노예제 유지 및 노예 수 인구 포함을 통한 의회 대표성 확보를 주장했고,[25] 북부는 노예 수 인구 제외를 주장했다.[25] 제임스 윌슨의 "3/5 타협" 채택으로 노예 5명을 3명으로 계산하여 인구에 반영하기로 했다.[25] 노예 무역은 조지아,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 반대로 즉각 금지되지 못하고 1808년 금지.[22]
4. 1. 버지니아 안, 뉴저지 안, 해밀턴 안



제임스 매디슨은 회의가 열리기 전에 버지니아 안의 초안을 작성했다.[35] 이 안은 강력한 양원제 의회를 제안했다. 하원은 인구 비례로 의원을 선출하고, 상원은 하원에서 선출하는 방식이었다.[35] 행정부는 의회의 의지를 실행하기 위해 존재하고, 의회에서 선출되며, 사법부와 함께 의회 법안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지만, 의회에서 거부권을 무효화할 수 있도록 했다.[35]
찰스 핑크니는 버지니아 안이 제출된 직후 독자적인 안을 제출했다. 핑크니는 사본을 제출하지 않아 자세한 내용은 불분명하지만,[36] 양원제 의회로 구성되며, 하원은 주민 1,000명당 1명, 상원은 4년 임기로 4개 지역에서 1명씩 선출하는 방식이었다.[37] 의회는 양원 합동회의를 통해 대통령을 선출하고 장관을 임명하며, 주 간 분쟁에 대한 항소심 법원 역할을 수행한다.
윌리엄 패터슨은 뉴저지 안을 통해 버지니아 안에 반박했다. 뉴저지 안은 연합 규약을 개정하는 수준으로, 단원제 의회를 유지하되 과세권을 부여하고, 의회에서 선출하는 행정부를 두며(복수 인물 가능), 1기 임기에 주지사 요청으로 소환 가능하도록 했다. 또한, 행정부에서 임명하는 종신 임기의 사법부를 두고, 의회 법률이 주 법률보다 우선하도록 했다.[35]
알렉산더 해밀턴은 영국 정부와 유사한 구조의 독자적인 안을 제시했다. 양원제 의회에서 하원은 3년 임기로 주민이 선출하고, 상원은 주민이 선출한 선거인이 종신 임기로 선출한다. 선거인으로 선출되는 주지사는 종신 임기이며 법안에 대한 절대적 거부권을 가진다. 주 지사는 국가 의회에서 지명하고, 국가 의회는 주 법률에 대한 거부권을 갖는다고 했다.[22]
4. 2. 코네티컷 타협 (대타협)
코네티컷 타협은 코네티컷의 대의원 로저 셔먼이 6월 11일에 제안한 타협안이다[22]. 셔먼은 대의원들 사이에서 존경받는 인물이었으나, 그의 제안은 처음에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22].
셔먼은 제1원(하원)은 인구 비례로 의원을 선출하고, 제2원(상원)은 각 주가 동등하게 1표씩(후에 2표로 변경) 가져야 한다고 제안했다[22]. 그는 각 주가 고유한 권리를 가지므로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몇몇 큰 주가 나머지를 지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6월 29일, 존슨은 "한 의원에서는 국민을, 다른 의원에서는 주를 대표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셔먼과 비슷한 의견을 제시했다[13]. 그러나 당시에는 주와 연방 정부 간의 분할된 주권 개념을 받아들일 준비가 된 사람은 거의 없었다[14].
미국 독립 기념일 휴일 동안, 대위원회는 벤저민 프랭클린의 제안을 바탕으로 타협안을 마련했다. 이 타협안은 하원은 인구 비례, 상원은 각 주 동등 대표로 구성하되, 하원이 예산 관련 법안을 발의하는 권한을 갖는다는 내용이었다.

7월 16일, 이 타협안(대타협)은 근소한 표 차이로 채택되었다[32]. 7월 23일에는 각 주가 2명의 상원 의원을 갖도록 결정되었고, 상원 의원 각자에게 개별 투표권을 부여하여 주의 이익보다는 국가적 관점에서 법률을 제정하도록 유도했다[33].
4. 3. 노예제 문제
많은 문제가 미해결 상태로 남아 있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문제는 노예제를 둘러싼 논쟁이었다. 미국 식민지에는 인구의 약 5분의 1에 해당하는 노예가 있었다. 그 대부분은 남부 식민지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인구의 40%에 달했다. 새 헌법 하에서 노예제가 허용되어 존속될 것인가가 북부와 남부 사이의 쟁점이 되었으며, 남부의 몇몇 주는 노예제가 인정되지 않으면 연합에 가입하는 것을 거부하겠다고 주장했다.[25]노예제와 관련하여 가장 논쟁을 일으킨 문제 중 하나는, 노예의 수가 의회에서의 대표 수를 결정하기 위한 인구의 일부로 간주될 것인지, 아니면 대표를 파견할 수 없는 재산으로 간주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었다. 노예 인구가 많은 주에서 온 대의원은 대표 수를 결정할 때는 인간으로 간주해야 하지만, 새로운 정부가 인구를 기준으로 주에 과세한다면 재산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예제가 소멸되었거나 소멸하려 하는 주에서 온 대의원은 노예가 과세의 근거에는 포함되어야 하지만, 대표 수를 결정할 때는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25]
결국 대의원 제임스 윌슨이 "3/5 타협"을 제안했고[25], 이 안이 회의에서 채택되었다.
회의에서 또 다른 문제는 노예 무역에 관한 것이었다. 10개의 주는 이미 그것을 불법으로 규정했다. 많은 대의원은 격렬하게 이를 비난했지만, 나머지 3개 주, 조지아와 노스캐롤라이나 및 사우스캐롤라이나는 만약 노예 무역이 금지된다면, 회의장에서 나가겠다고 위협했다. 노예 무역은 이견이 많은 성격이었기 때문에, 이 문제의 결착은 연기되었다. 회의의 대의원들은 노예제와 관련된 논쟁 때문에 헌법이 비준되지 않기를 원하지 않았다. 연방 의회는 노예 무역을 금지할 권한이 있었지만, 실제로는 20년 이상이 지난 1808년에 금지했다.[22]
5. 헌법의 주요 내용
미국 헌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삼권 분립: 헌법은 입법부(의회), 행정부(대통령), 사법부(법원) 간의 권력 분립을 명시했다. 이는 영국법의 전통을 따른 것으로, 정부 기능을 입법과 집행으로 나누는 것에서 출발했다.[1] 각 부서는 서로 독립적이며 상호 견제와 균형을 통해 권력 남용을 방지한다.
- 연방주의: 헌법은 연방 정부와 주 정부 간의 권한 배분을 규정했다. 연방 정부는 국방, 외교, 통화 등 전국적인 사안을 담당하고, 주 정부는 교육, 치안, 지역 개발 등 지역적인 사안을 담당한다. 이러한 권한 배분은 중앙 정부의 권력 집중을 막고, 각 주의 특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 견제와 균형: 헌법은 각 권력 기관 간 상호 견제와 균형을 통해 권력 남용을 방지하는 장치를 마련했다. 예를 들어, 의회는 법률을 제정하지만 대통령은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고, 법원은 위헌법률심사권을 통해 의회의 법률을 무효화할 수 있다. 대통령은 행정부를 지휘하지만, 의회는 예산 심의와 탄핵 소추를 통해 대통령을 견제할 수 있다.
이러한 헌법의 주요 내용은 미국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반영하며, 권력 분립과 견제와 균형을 통해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6. 헌법 비준 및 발효
7월 말, 제헌 회의는 합의된 사항을 바탕으로 헌법 초안 작성을 위한 위원회를 지명했다. 한 달 간의 논의와 조정을 거쳐, 거버너 모리스를 위원장으로 해밀턴, 윌리엄 새뮤얼 존슨, 루퍼스 킹, 제임스 매디슨이 참여하는 두 번째 위원회(양식 및 정돈 위원회)가 구성되어 헌법 최종 초안을 작성, 9월 17일 서명을 위해 제출했다.[26] 모리스는 감동적인 서문을 포함한 최종 초안의 주요 기안자로 인정받고 있다.
모든 대의원이 헌법 최종안에 만족한 것은 아니었다. 일부는 서명 전에 회의를 떠났고, 남은 사람 중 3명은 서명을 거부했다. 버지니아의 에드먼드 랜돌프와 조지 메이슨, 매사추세츠의 엘브리지 게리였다. 조지 메이슨은 헌법 지지 조건으로 권리 장전을 요구했다.[26] 몇몇 주는 헌법 비준 시 이러한 수정을 구체적으로 요구했고, 다른 주는 권리 장전이 곧 추가될 것이라는 전제하에 헌법을 비준했다.[26] 헌법에 서명한 39명 역시 모두 완전히 만족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현재 이 헌법의 여러 부분에 동의하지 않지만, 언젠가 동의하지 않으리라고 확신하지는 않습니다. ... 다른 협약이라도 우리가 얻을 수 있을지, 더 나은 헌법을 만들 수 있을지 의심스럽습니다. ... 그래서 이 시스템이 완벽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9]
참조
[1]
서적
The League of States
https://books.google[...]
C.B. Richardson
[2]
웹사이트
Observing Constitution Day
https://www.archives[...]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6-08-21
[3]
웹사이트
Committees of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https://www.usconsti[...]
2024-01-30
[4]
서적
History Alive! Pursuing American Ideals
Teachers' Curriculum Institute
2013-04
[5]
웹사이트
Madison at the Federal Convention
https://founders.arc[...]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9-10-01
[6]
서적
The Summer of 1787
Simon & Schuster
[7]
웹사이트
United States Postage Stamps
http://www.junior-ph[...]
2010-05-27
[8]
웹사이트
Bill of Rights
https://www.archives[...]
2015-10-30
[9]
웹사이트
Speech of Benjamin Franklin – The U_S_ Constitution Online – USConstitution_net
http://www.usconstit[...]
2013-04-14
[10]
간행물
"Rising Sun" in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of 1787: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America's Founding''
ABC-CLIO
[11]
Webarchive
Madison Notes for September 17, 1787
http://avalon.law.ya[...]
2015-11-05
[12]
서적
America's Constitution: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Digital, Inc.
[13]
서적
A Century of Population Growth: From the First Census of the United States to the Twelfth, 1790–1900
https://archive.org/[...]
Government Printing Office
[14]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and Slavery
http://www.crf-usa.o[...]
2016-09-15
[15]
서적
55 Men: The Story of the Constitution, Based on the Day-by-Day Notes of James Madison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16]
웹사이트
Meet the Framers of the Constitution
https://www.archives[...]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17]
웹사이트
The Founding Fathers: A Brief Overview
https://www.archives[...]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5-10-30
[18]
웹사이트
Doubting a little of one's infallibility: The real miracle at Philadelphia – National Constitution Center
https://constitution[...]
2018-10-15
[19]
웹사이트
Letter of Thomas Jefferson to John Adams, August 30, 1787
https://www.loc.gov/[...]
2018-10-15
[20]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http://www.teachinga[...]
2007-10-06
[21]
웹사이트
"Constitutional Convention Overview"
http://www.jmu.edu/m[...]
2007-10-06
[22]
웹사이트
Constitutional Topic: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http://www.usconstit[...]
2007-10-17
[23]
웹사이트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http://avalon.law.ya[...]
2009-01-09
[24]
웹사이트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http://avalon.law.ya[...]
2007-01-09
[25]
웹사이트
Constitutional Topic: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http://www.usconstit[...]
2007-10-17
[26]
웹사이트
Bill of Rights
http://www.archives.[...]
2007-11-21
[27]
웹인용
Pop Culture: 1790
http://www.census.go[...]
2012-07-15
[28]
서적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A Narrative History from the Notes of James Madison
https://archive.org/[...]
The Modern Library
[29]
서적
Plain Honest Men: The Making of the American Constitution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30]
웹인용
Introduction to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http://www.teachinga[...]
2007-10-06
[31]
문서
Articles of Confederation, Art. 13.
[32]
서적
The Life of James Madison
http://books.google.[...]
Doubleday
[33]
뉴스
The Ratification of the Constitution
http://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34]
웹인용
"Constitutional Convention Overview"
http://www.jmu.edu/m[...]
2007-10-06
[35]
웹인용
Constitutional Topic: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http://www.usconstit[...]
2007-10-17
[36]
웹인용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http://avalon.law.ya[...]
2009-01-09
[37]
웹인용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http://avalon.law.ya[...]
2007-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