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헌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의 헌법은 1787년 필라델피아에서 제정되었으며, 미국 정부의 기본 틀을 제공하는 최고 법규이다. 1774년 시작된 제2차 대륙 회의를 거쳐, 연합 규약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헌법 제정 회의가 소집되었다. 헌법은 전문, 7개의 조항, 27개의 수정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권력 분립, 연방주의, 입헌주의를 핵심 원칙으로 한다. 헌법은 입법부인 의회, 행정부인 대통령, 사법부인 연방 대법원을 규정하고 있으며, 각 부서 간의 견제와 균형을 통해 권력 남용을 방지한다. 헌법은 성문법과 불문법이 혼합된 형태로, 대법원의 판례를 통해 헌법 조항의 의미가 해석되고 발전해 왔다. 주요 헌법 관련 판례는 헌법의 적용과 해석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변화에 따라 헌법의 의미를 재정립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9년 법 -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은 1789년 프랑스 혁명 당시 국민 제헌 의회에서 채택되어 프랑스 헌법 제정의 첫 단계로 여겨지며, 계몽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자유, 평등, 재산권 등 기본적인 권리를 명시하여 프랑스 혁명의 이념적 기초를 다졌으나, 당시 시민권을 가진 백인 남성에게만 권리가 보장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 1789년 미국 - 1789년 미국 대통령 선거
조지 워싱턴이 초대 미국 대통령으로 선출되고 존 애덤스가 부통령에 취임한 1789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미국 헌법 제정 후 처음 실시된 선거로, 당시 정당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일부 주는 선거인단을 선출하지 못했다.
| 미국의 헌법 | |
|---|---|
| 기본 정보 | |
![]() | |
| 관할 구역 | 미국 |
| 제정일 | 1787년 9월 17일 |
| 제출일 | 1787년 9월 28일 |
| 비준일 | 1788년 6월 21일 (13개 주 중 9개 주) |
| 효력 발생일 | 1789년 3월 4일 |
| 정치 체제 | 연방 대통령 공화국 |
| 권력 분립 | 3권 |
| 의회 | 양원제 |
| 행정부 | 대통령 |
| 법원 | 대법원, 순회 법원, 지방 법원 |
| 연방주의 | 예 |
| 대통령 선거인단 | 예 |
| 조항 수 | 2개, 1개는 현재 유효 |
| 의회 제정일 | 1789년 3월 4일 (13개 주 중 11개 주) |
| 첫 행정부 | 1789년 4월 30일 |
| 첫 법원 | 1790년 2월 2일 |
| 수정 조항 수 | 27개 |
| 마지막 수정일 | 1992년 5월 5일 |
| 인용 | 미국 수정 헌법 (2007년 7월 25일) |
| 문서 위치 | 미국 워싱턴 D.C. 국립 문서 보관소 |
| 위임 기관 | 필라델피아 연합 회의 |
| 작성자 | 필라델피아 회의 |
| 서명자 | 55명의 대표 중 39명 |
| 매체 유형 | 양피지 |
| 대체 | 연합 규약 |
| 본문 및 조항 | |
| 수정 조항 | |
| 역사 | |
| 타임라인 | 초안 작성 및 비준 타임라인 |
| 헌법 원문 | |
2. 역사
미국 헌법의 역사 참고.
1776년 각 식민지 대표들이 대륙 회의에서 독립 선언을 하고 공화정을 채택하여 13개의 주가 탄생했다. 이들이 독립 시의 13개 주이다. 1781년 영국과의 독립전쟁에서 승리한 후, 각 주의 대표자들은 연합 규약을 채택했다. 연합 규약은 각 주의 대표로 구성되는 연방의회(Confederation Congress)를 설치하는 등 주 간의 정치적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제정되었다.[159]
1785년 9월, 5개 주에서 온 위원들은 애나폴리스 회의에서 만나 상업 증진을 위한 연방 조항 조정을 논의했다. 이들은 각 주 대표를 필라델피아로 소집해 연방정부의 역할 증진을 논의했다. 이 논의 후 1786년 2월 21일 연방 회의(Congress of the Confederation)는 연방조항 개정 계획에 서명했다. 12개 주(로드아일랜드 제외)는 이 초청을 받아들여 1787년 5월에 대표를 보냈다. 소집된 회의의 목적은 연방조항 수정이었으나, 회의에서는 헌법을 다시 쓰기로 제안했다. 필라델피아 헌법 제정 회의는 비밀리에 숙고하기로 결정하고 새로운 정부를 설계하기로 했다.
제임스 매디슨이 초안한 버지니아 안은 강력한 양원제 의회, 의회에서 선출되는 정부 집행자, 종신 임기의 재판관, 국가 의회의 주법 거부권 행사 등을 담고 있었다. 윌리엄 패터슨이 제안한 뉴저지 안은 각 주에 동등한 표결권을 부여하여 작은 주들의 지지를 받았다.[148] 로저 셔먼은 대타협안을 중재했는데,[149] 이에 따라 하원은 주민을 대표하고 상원은 주를 대표하며, 대통령은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1787년 9월 17일 필라델피아 연방 회의에서 새 헌법 초안이 완성된 후, 최소 9개 주의 비준이 필요했다. 여러 주에서 비준을 둘러싸고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고, 특히 뉴욕주에서 반대 의견이 강했다. 알렉산더 해밀턴은 더 페더럴리스트를 통해 헌법 초안을 옹호했다. 새 헌법은 1789년 3월 4일 발효되었고, 수정안 권리 장전은 1791년 12월 15일 발효되었다.
| 주 | 날짜 | 찬성 | 반대 |
|---|---|---|---|
| 델라웨어 | 1787년 12월 7일 | 30 | 0 |
| 펜실베이니아 | 1787년 12월 12일 | 46 | 23 |
| 뉴저지 | 1787년 12월 18일 | 38 | 0 |
| 조지아 | 1788년 1월 2일 | 26 | 0 |
| 코네티컷 | 1788년 1월 9일 | 128 | 40 |
| 매사추세츠 | 1788년 2월 6일 | 187 | 168 |
| 메릴랜드 | 1788년 4월 28일 | 63 | 11 |
| 사우스캐롤라이나 | 1788년 5월 23일 | 149 | 73 |
| 뉴햄프셔 | 1788년 6월 21일 | 57 | 47 |
| 버지니아 | 1788년 6월 25일 | 89 | 79 |
| 뉴욕 | 1788년 7월 26일 | 30 | 27 |
| 노스캐롤라이나 | 1789년 11월 21일 | 194 | 77 |
| 로드아일랜드 | 1790년 5월 29일 | 34 | 32 |
2. 1. 초안과 비준의 요구
1776년 대륙 회의에서 각 식민지 대표들이 독립 선언을 하고 공화정을 채택하여 13개의 주가 탄생했다. 이들이 독립 시의 13개 주이다. 1781년 영국과의 독립전쟁에서 승리한 후, 각 주의 대표자들은 연합 규약을 채택했다. 연합 규약은 각 주의 대표로 구성되는 연방의회(Confederation Congress)를 설치하는 등 주 간의 정치적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제정되었다.[159]1785년 9월, 5개 주에서 온 위원들은 애나폴리스 회의에서 만나 상업 증진을 위한 연방 조항 조정을 논의했다. 이들은 각 주 대표를 필라델피아로 소집해 연방정부의 역할 증진을 논의했다. 이 논의 후 1786년 2월 21일 연방 회의(Congress of the Confederation)는 연방조항 개정 계획에 서명했다. 12개 주(로드아일랜드 제외)는 이 초청을 받아들여 1787년 5월에 대표를 보냈다. 소집된 회의의 목적은 연방조항 수정이었으나, 회의에서는 헌법을 다시 쓰기로 제안했다. 필라델피아 헌법 제정 회의는 비밀리에 숙고하기로 결정하고 새로운 정부를 설계하기로 했다. 마침내 13개 주 중 9개 주가 새 정부가 효력을 발휘하는 것에 대해 비준하였다.(효력은 서명한 9개 주에만 적용됨)
2. 2. 필라델피아 헌법회의에서의 작업
버지니아 안은 헌법에 대한 비공식적인 토의로, 주로 제임스 매디슨이 초안했다. 이 때문에 매디슨은 "미국 헌법의 아버지"로 여겨진다.[147] 이 계획은 큰 주의 이익에 중점을 두었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었다.윌리엄 패터슨이 제안한 뉴저지 안은 각 주에 동등한 표결권을 부여하여 작은 주들의 지지를 받았다.[148] 코네티컷의 로저 셔먼은 대타협안을 중재했는데,[149] 이에 따라 하원은 주민을 대표하고 상원은 주를 대표하며, 대통령은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노예제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았지만, 노예 인구의 5분의 3을 하원 의원 할당 시 각 주 인구에 가산하고, 도망 노예는 원래 있던 곳으로 돌려보내야 한다고 규정했다.
2. 3. 비준
1776년 각 식민지 대표로 구성된 대륙 회의가 미국독립선언을 하고, 공화정을 채택하여 13개 연방이 탄생했다. 이들이 소위 독립 시의 13개 주이다. 1781년에 영국과의 독립전쟁을 승리한 미국 각 주의 대표자들은 연합 규약(혹은 연방헌장, ''Articles of Confederation'', 1781년~1788년)을 채택하였다.[159] 1785년 9월 5개 주에서 온 위원들은 애너폴리스 헌법회의에서 만나 상업을 증진시킬 연방조항의 조정에 대해 토론했다. 그들은 각 주 대표를 소집해 필라델피아로 연방정부의 역할 증진을 토의했다. 이 논의 뒤에 1786년 2월 21일 연방 회의(Congress of the Confederation)는 연방조항을 개정하는 계획에 서명했다. 12개 주는(로드아일랜드가 유일한 예외) 이 초청을 받아들여 1787년 5월에 대표를 보냈다. 소집된 회의의 목적은 연방조항의 수정이었으나 회의에서는 아예 헌법을 다시 쓰기를 제안했다. 필라델피아 헌법 제정 회의는 비밀리에 숙고하기로 결정하고 새로운 기본적인 정부를 설계하기로 결정했다. 마침내 13개 주 중 9개주가 새 정부가 효력을 발휘하는 것에 대해 비준하였다.(효력은 서명한 9개 주에만 적용됨)1787년 9월 17일 새 헌법 초안이 필라델피아 연방 회의에서 완성된 후 벤저민 프랭클린은 모든 주가 비준해줄 것을 호소했다. 새 헌법이 발효되기 위해서는 최소 9개(13의 2/3)의 연방이 비준을 해야 했다. 여러 주에서 비준을 둘러싸고 격렬한 논쟁이 이루어졌고 특히 뉴욕주에서 반대 의견이 강했다. 알렉산더 해밀턴은 이 상황에 위기감을 가지고 매디슨 등과 협력하여 약 7개월 동안 매주 신문에 익명으로 헌법 초안을 옹호하는 글을 계속 발표했다. 이것이 나중에 정리된 것이 더 페더럴리스트이다. 새 헌법은 1789년 3월 4일 발효되었고 수정안 권리 장전(Bill of Rights)은 1791년 12월 15일 발효되었다.
| 주 | 날짜 | 찬성 | 반대 |
|---|---|---|---|
| 델라웨어 | 1787년 12월 7일 | 30 | 0 |
| 펜실베이니아 | 1787년 12월 12일 | 46 | 23 |
| 뉴저지 | 1787년 12월 18일 | 38 | 0 |
| 조지아 | 1788년 1월 2일 | 26 | 0 |
| 코네티컷 | 1788년 1월 9일 | 128 | 40 |
| 매사추세츠 | 1788년 2월 6일 | 187 | 168 |
| 메릴랜드 | 1788년 4월 28일 | 63 | 11 |
| 사우스캐롤라이나 | 1788년 5월 23일 | 149 | 73 |
| 뉴햄프셔 | 1788년 6월 21일 | 57 | 47 |
| 버지니아 | 1788년 6월 25일 | 89 | 79 |
| 뉴욕 | 1788년 7월 26일 | 30 | 27 |
| 노스캐롤라이나 | 1789년 11월 21일 | 194 | 77 |
| 로드아일랜드 | 1790년 5월 29일 | 34 | 32 |
미국 헌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3. 주요 내용
헌법의 주요 조항은 다음과 같다.3. 1. 제정 목적
미국 연방 헌법 전문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명시하고 있다.
# 완전한 연방의 형성
# 정의의 구현
# 국내 평안의 확보
# 공동 방위 체제 구축
# 국민 복지의 증진
# 자유의 보장
1787년 9월 17일 헌법 서명 후 3일 이내에 헌법은 당시 임시 수도였던 뉴욕시에 있던 연합 규약 회의에 제출되었다. 이 문서는 원래 연합 규약을 수정하기 위해 의도되었지만, 대신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정부를 도입했다. 국회의원들이 거부할 권한이 있었지만, 9월 28일에 만장일치로 제안을 13개 주에 비준을 위해 보냈다. 제안된 헌법의 제7조에 명시된 절차에 따라, 주 입법부는 문서를 비준하기 위해 "연방 회의"를 조직해야 했다. 이 절차는 모든 주의 만장일치 승인을 요구했던 연합 규약의 수정 조항을 무시했다. 대신, 제7조는 13개 주 중 단 9개 주의 비준, 즉 3분의 2의 다수를 요구했다.
3. 2. 전문
We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form a more perfect Union, establish Justice, insure domestic Tranquility, provide for the common defense, promote the general Welfare, and secure the Blessings of Liberty to ourselves and our Posterity, do ordain and establish this Constitution for the United States of America.|우리들 미국의 사람은 보다 완벽한 연방을 형성하고, 정의를 수립하고, 국내의 평온을 지키고 국방을 제공하여 일반 복지를 증진하고, 우리와 자손들에게 자유가 가져 오는 혜택을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미국을 위해, 이 헌법을 제정한다.영어
전문에는 미국 헌법이 13개 연방의 주권을 제한하고, 미국이 13 연방의 연합체가 아니라 그들을 합방한 통일 국가임을 선언했다. 또한 국민의 안전과 국방 등 해당 헌법을 제정하는 목적이 열거되어 있다.
3. 3. 제1조 (입법부)
제1조는 연방 정부의 의회, 즉 입법부에 대해 설명한다. 제1절은 "여기에 부여된 모든 입법 권한은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되는 미국 의회에 귀속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이 조항은 각 의원들의 선거 방식과 자격을 규정한다. 하원 의원은 25세 이상이어야 하며, 7년 이상 미국 시민이어야 하고, 대표하는 주에 거주해야 한다. 상원 의원은 30세 이상이어야 하며, 9년 이상 시민권을 가지고, 대표하는 주에 거주해야 한다.
제1조 제8절은 입법부에 위임된 권한을 열거한다. 재정적으로 의회는 조세 부과, 차입, 부채 상환, 공동 방위 및 일반 복지 제공 권한을 가진다. 또한 상업, 파산, 통화 주조를 규제할 수 있다. 내부 문제와 관련하여 군대 및 민병대를 규제하고 통치하며, 반란을 진압하고 침략을 격퇴할 권한을 갖는다. 귀화, 도량형 기준, 우체국 및 도로, 특허를 제공하며, 연방 지구 및 요새와 병기창을 위한 주의 토지 할양을 직접 통치한다. 국제적으로 의회는 해적 행위와 만국법 위반 행위를 정의하고 처벌하며, 전쟁을 선포하고 전쟁 규칙을 제정할 권한을 갖는다. 또한, 필수적이고 적절한 조항으로도 알려진 마지막 신축 조항은 각 권한에 대한 명시적인 위임 요구 사항 없이 의회에 부수적인 권한을 명시적으로 부여한다. 제1조 제9절은 의회 권한에 대한 여덟 가지 구체적인 제한 사항을 열거한다.
연방 대법원은 때때로 제1조의 통상 조항과 필수적이고 적절한 조항을 광범위하게 해석하여 의회가 열거된 권한에 의해 명시적으로 허용되지 않거나 의회에 대한 제한에서 명시적으로 금지되지 않은 법률을 제정할 수 있도록 했다. 맥컬로치 대 메릴랜드 사건 (1819)에서 연방 대법원은 필수적이고 적절한 조항을 해석하여 연방 정부가 "국민에게 가장 유익한 방식으로 [헌법에 의해] 부여된 높은 의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68]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비록 그 조치가 열거된 권한 내에 있지 않더라도 말이다. 존 마셜 대법원장은 다음과 같이 명확히 했다. "목적이 합법적이고, 헌법의 범위 내에 있으며, 그 목적에 적합하고, 그 목적에 분명히 부합하며, 금지되지 않고, 헌법의 문구와 정신에 일치하는 모든 수단은 합헌적이다."[68]
제6절 2항의 규정 "상원 및 하원 의원은 재임 기간 중 신설되거나 증봉된 미국의 문관직에, 그 선출된 임기 동안 임명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원의 정권 진입에 몇 차례 걸림돌이 되었다.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대통령의 Philander C. Knox|필랜더 녹스영어 상원 의원의 미국 국무 장관 지명과 빌 클린턴 대통령의 로이드 벤슨 상원 의원의 미국 재무 장관 지명, 그리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힐러리 클린턴 상원 의원의 국무 장관 지명[152] 및 케네스 리 살라자르 상원 의원의 미국 내무 장관 지명 시, 해당 직책이 각 의원의 임기 중에 증봉되어 취임이 문제가 되었다.
3. 4. 제2조 (행정부)
대통령의 선출 방법, 자격, 선서 및 권한과 의무를 정의하고 있다.
또한 부통령직에 대해서도 규정하며, 대통령이 직무 수행 불능, 사망 또는 사임했을 경우 대통령직을 승계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이 승계가 대행인지, 임기 동안 계속되는 것인지 불분명했다. 실제로는 대통령 취임으로 항상 취급되어 왔으며, 헌법 수정 제25조에 의해 명확히 취임으로 규정되었다. 제2조는 탄핵 제도와 대통령, 부통령, 판사 등의 공직 추방에 대해서도 정의하고 있다.
3. 5. 제3조 (사법부)
미국 연방 대법원이라는 법원이 있어야 하며, 의회는 재량에 따라 하급 법원을 창설할 수 있고, 그 판결과 명령은 대법원에서 심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68] 모든 형사 사건에서 배심 재판을 요구하며, 반역죄를 정의하고, 의회는 그 벌칙을 결정하도록 요구하고 있다.[68] 또한 연방 법원에서 심리될 사건의 종류를 정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대법원이 처음 심리하는 것(제1심 관할권) 및 대법원에 의해 심리되는 다른 사건은 상고에 의한 것이라고 규정되어 있다.[68]
3. 6. 제4조 (주와 연방 정부의 관계)
미국 헌법 제4조는 주와 연방 정부의 관계 및 주 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각 주는 다른 주의 공적인 행위, 기록 및 재판 진행에 대해 충분한 신뢰와 신용을 부여할 것을 요구한다. 의회는 그러한 행위, 기록 및 진행의 증거가 수용되는 방법을 입법화할 수 있다.
「특권과 면제 조항」에서는 주 정부가 그 주의 거주자를 위해 다른 주의 시민을 차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예: 미시간 주에서 범죄를 저질러 유죄 판결을 받은 오하이오 주의 거주자에게 더 무거운 형벌을 부과하는 것). 또한 주 간의 범죄자 인도에 대해 규정하고, 주 간의 자유로운 이동과 통행에 대해 법적 근거를 제공하도록 정하고 있다.
오늘날, 이 조항은 특히 주 경계에 가깝게 사는 시민들에게 당연하게 여겨지고 있지만, 연합 규약 시대에는 주 경계를 넘는 것이 매우 어렵고(또한 비용이 많이 드는) 행동이었다. 제4조는 또한 새로운 주의 창설과 미국 가입 방법을 정하고 있다. 영토 조항은 의회에 연방의 재산을 처분하는 규칙을 만들 권한을 부여하고, 아직 주가 되지 않은 미국의 영토를 통치할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제4조 제4절에서는, 미국이 각 주에 공화 정체를 보장하고, 각 주를 침략과 폭력으로부터 보호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3. 7. 제5조 (헌법 개정 절차)
제5조는 헌법 개정 절차를 규정하고 있는데, 헌법이 개정되려면 제청(propose)과 비준(ratified)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헌법 개정안 제청 방법은 다음 두 가지이다.
# 상원과 하원 각각 3분의 2 이상의 찬성
# 3분의 2 이상(50개 주 중 34개 이상)의 주 의회의 찬성으로 헌법회의를 소집
두 번째 방법은 한 번도 사용된 적이 없다.
헌법 개정안이 제청되면, 4분의 3 이상(50개 주 중 38개 이상)의 주에서 비준함으로써 헌법으로서 효력이 발생한다. 헌법 개정안 비준 방법은 다음 두 가지이다.
# 주 의회에 의한 비준
# 주 헌법회의에 의한 비준
연방 의회는 주의 비준을 주 의회에서 할 것인지, 주 헌법회의에서 할 것인지를 선택해 제의할 수 있다. 주 헌법회의에 의한 비준은 수정 헌법 제21조 때에 이용되었다.
미국 헌법은 일반 법률의 입법 절차보다 매우 엄격하고 까다로운 절차를 필요로 하는 대표적인 경성 헌법(硬性憲法)이다.
연방주의자 43번에 따르면, 필라델피아 헌법 회의에서 만들어진 개정 절차는 유연성과 경직성 사이의 균형을 확립하도록 설계되었다.[70]
현재, 미국 국립 문서 기록 관리청은 1미국 법전에 따라 비준 절차를 관리한다. 기록 관리청은 각 주지사에게 통지 서한을 보내 제안된 개정안을 주의 심의에 회부한다. 각 주지사는 공식적으로 개정안을 해당 주의 입법부에 제출한다. 주가 제안된 개정안을 비준하면, 기록 관리청에 해당 주의 조치에 대한 원본 또는 인증된 사본을 보낸다. 비준 문서는 연방 관보 사무국에서 표면적인 법적 타당성과 진본 서명을 검토한다.[73]
제5조는 정부의 새로운 틀의 특정 조항이 개정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으로 끝맺는다. 제1조 제9절 제1항은 의회가 1808년 이전에 미국으로의 노예 수입을 제한하는 법률을 통과하는 것을 금지하며, 같은 조항의 네 번째 항은 직접세가 주 인구에 따라 배분되어야 한다는 헌법적 규칙을 반복한다. 이 조항들은 1808년 이전에 헌법 개정으로부터 명시적으로 보호되었다. 1808년 1월 1일, 허용된 첫날, 의회는 미국으로의 노예 수입을 금지하는 법안을 승인했다. 1913년 2월 3일, 수정 제16조의 비준으로 의회는 소득세를 주에 배분하거나 미국 인구 조사에 근거하지 않고 부과할 권한을 얻었다. 세 번째로 텍스트적으로 고정된 조항은 제1조 제3절 제1항으로, 상원에서 주의 평등한 대표성을 규정한다. 이 조항을 개정 절차로부터 보호하는 방어막 ("어떠한 주도 그 동의 없이 상원에서 평등한 선거권을 박탈당하지 않아야 한다")은 덜 절대적이지만 영구적이다.
3. 8. 제6조 (헌법의 최고성)
제6조는 헌법과 이에 따라 제정된 모든 연방법 및 조약이 주법에 대해 우위를 갖는다고 규정하며, "모든 주의 판사는 이에 구속되며, 어떤 주의 법률이나 헌법에도 불구하고" 이를 따라야 한다고 명시한다. 이 조항은 연방 부채를 인준하며, 모든 연방 및 주 입법자, 공무원, 판사가 헌법을 지지하는 선서 또는 확약을 하도록 요구한다. 이는 주 헌법과 법률이 연방 헌법의 법률과 상충되어서는 안 되며, 충돌이 발생할 경우 주 판사는 어떠한 주의 법률보다 연방 법률과 헌법을 존중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6조는 또한 "어떠한 종교적 시험도 미국 내 공직이나 공적 신뢰를 얻기 위한 자격으로 요구되지 않을 것"이라고 명시한다.
3. 9. 제7조 (비준 요건)
미국 헌법 제7조는 헌법 비준에 필요한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이 헌법은 최소한 9개 주(당시에는 13개 주만 존재)가 비준을 목적으로 특별히 소집된 각 주의 회의에서 비준해야만 유효하다고 규정했다.[28]
4. 특징
미국 헌법은 성문법과 불문법이 혼합된 형태를 띠고 있어, 불문법만 존재하는 영국이나 불문법이 보조적인 역할만 하는 대륙법 국가들과 구별된다. 미국 헌법 제7조는 새로운 정부 체제 수립 절차를 설명하는데, 각 주에서 민선 비준 제헌 의회를 통해 헌법을 비준하도록 규정했다. 이는 주 의회가 반연방주의적일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이며, 판사, 목사 등 주 입법부에 참여할 수 없는 사람들도 의회에 참여할 수 있게 했다. 로드아일랜드가 비준하지 않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9개 주(3분의 2를 반올림)가 비준하면 헌법이 발효되도록 결정했다.[74] 나머지 주들도 비준을 통해 새롭게 형성된 연방에 가입할 수 있었다.[75]
미국 헌법은 중앙정부의 권력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장치를 마련했다. 각 주는 독립적인 헌법과 사법 제도를 가지며, 배심원 제도를 통해 법관의 자의적 판단을 견제한다. 검사의 기소권 남용을 막기 위해 대배심원 제도를 운영하고, 사법부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연방 대법관은 종신 임기로 임명되며 의회는 대법관의 보수를 삭감할 수 없다.[158] 연방 헌법 개정은 주 의회의 3/4 이상의 찬성을 필요로 하며, 국민 투표는 실시하지 않는다.
대법원은 정부 내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루이스 브랜다이스 대법관은 대법원이 헌법적 결정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네 가지 지침을 요약했다. 즉, 헌법 문제에 대한 질문을 예상하지 않고, 사건 결정에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열린 문제에 대해 결정하지 않으며, 헌법 원칙은 사건의 정확한 사실 관계가 요구하는 범위 내에서만 만들고, 헌법적 근거 없이 결정할 수 있다면 법률이나 일반 법률을 결정의 근거로 선택하며, 헌법적 해석이 가능하다면 비록 위헌성에 대한 심각한 의문이 있더라도 의회의 행위에 대한 헌법적 해석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찰스 에반스 휴스 대법원장은 정치적 과정이 미래의 정책 변화를 허용하지만, 사법 판결은 "최종성을 부여"할 것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대법원의 제한을 지적했다. 존 마셜은 대통령이 행정 특권과 같이 상당한 재량을 허용하는 "중요한 정치적 권한"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했다. 로버트 H. 잭슨 대법관은 외교는 본질적으로 정치적이며, "우리 헌법에 의해 정부의 정치 부서에 전적으로 위임되어 있으며... 사법적 침해나 조사 대상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미국 헌법은 입헌주의를 채택하여 권력 분립제를 시행하고 있다. 18세기 후반 건국 초기부터 입법, 행정, 사법권을 엄격하게 분리하는 삼권 분립을 채택하여, 의회와 대통령은 별도로 선출된다. 대통령은 의회 해산권이 없고, 의회는 대통령 선출 권한이 없다. 대통령에게는 법안 제출권이 없지만, 매년 1월 일반 교서 연설을 통해 시정 방침을 제시하고 필요한 입법을 제안한다. 단, 미국 부통령은 헌법 규정에 따라 상원 의장을 겸임한다.
헌법은 종교와 종교의 자유에 대해 두 가지 언급 외에는 전반적으로 침묵한다. 미국 헌법 제1조 7절에서 입법 과정 중 대통령이 거부한 법안이 열흘 내(일요일 제외)에 다시 돌아오지 못하도록 정했는데, 여기서 일요일은 기독교의 주일을 의미한다. 미국 헌법 제6조에서는 공직자 선출 기준에서 종교에 따른 시험을 치르지 않도록 했다. 이는 연방정부의 권한은 종교의 자유권에 대하여 개인과 주정부의 권리로 놓아둠으로 종교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160]
4. 1. 성문법과 불문법의 혼합
성문법과 불문법이 동시에 존재하며, 이는 불문법만 존재하는 영국이나 불문법이 보조적 존재에 불과한 대륙법 국가와 구별된다. 미국 헌법 제7조는 제안된 새로운 정부 체제를 수립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많은 주 정치인들의 영향력이 반연방주의적일 것으로 예상하여, 필라델피아 회의 대표들은 각 주에서 민선 비준 제헌 의회를 통해 헌법을 비준하도록 규정했다. 이 회의 방식은 또한 주 입법부에 참여할 수 없는 판사, 목사 등이 의회에 선출될 수 있게 했다. 적어도 로드아일랜드는 비준하지 않을 수 있다고 의심하여, 대표들은 9개 주(3분의 2를 반올림)가 비준하면 헌법이 발효되도록 결정했다.[74] 나머지 4개 주도 비준을 통해 새롭게 형성된 연방에 가입할 수 있었다.[75]4. 2. 국가 권력 제한
미국 헌법은 중앙정부의 권력 남용을 막기 위해 여러 장치를 마련했다. 각 주는 독립적인 헌법과 사법 제도를 가지며, 배심원 제도를 통해 법관의 자의적 판단을 견제한다. 검사의 기소권 남용을 막기 위해 대배심원 제도를 운영하고, 사법부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연방 대법관은 종신 임기로 임명되며 의회는 대법관의 보수를 삭감할 수 없다.[158]연방 헌법 개정은 주 의회의 3/4 이상의 찬성을 필요로 하며, 국민 투표는 실시하지 않는다.
대법원은 정부 내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법원은 정부의 동등한 기관으로서 판결의 강제력을 유지해야 하지만, 대통령이나 의회보다 우위에 서는 상황은 최소화하려 한다. 연방 공무원에 대한 책임을 묻는 한편, 헌법적 문제에 대한 판단은 스스로 제한한다. 민주주의에서 삶과 통치의 기본적인 문제에 대한 대법원의 지침은 미국의 정치적 현실이 대법원의 판결을 뒷받침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루이스 브랜다이스 대법관은 대법원이 의회와 관련된 헌법적 결정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네 가지 지침을 요약했다.
1. 대법원은 헌법 문제에 대한 질문을 예상하지 않는다.
2. 사건 결정에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열린 문제에 대해 결정하지 않는다.
3. 헌법 원칙은 사건의 정확한 사실 관계가 요구하는 범위 내에서만 만들어진다.
4. 헌법적 근거 없이 결정할 수 있다면 법률이나 일반 법률을 결정의 근거로 선택한다. 헌법적 해석이 가능하다면, 비록 위헌성에 대한 심각한 의문이 있더라도 의회의 행위에 대한 헌법적 해석을 선택한다.
행정부와 관련하여, 에드윈 코윈은 대법원이 때때로 대통령의 주장을 거부하지만, 더 자주 합리화하려 한다고 언급했다. 의회를 상대로는 행위가 "불허"되지만, 행정부의 경우 사법 심사는 일반적인 사법 영역을 넘어선 "외부 세계의 변화"를 야기한다. "정치적 문제" 원칙은 특히 어려운 집행 문제를 제시하는 질문에 적용된다. 찰스 에반스 휴스 대법원장은 정치적 과정이 미래의 정책 변화를 허용하지만, 사법 판결은 "최종성을 부여"할 것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대법원의 제한을 지적했다. 정치적 문제는 "사법적 결정을 위한 만족스러운 기준"이 부족하다.
존 마셜은 대통령이 행정 특권과 같이 상당한 재량을 허용하는 "중요한 정치적 권한"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했다. 이 원칙은 재건 시대 동안 법을 집행해야 하는 율리시스 S. 그랜트 대통령의 의무에 대한 대법원 판결에 적용되었으며, 외교 분야까지 확장된다. 로버트 H. 잭슨 대법관은 외교는 본질적으로 정치적이며, "우리 헌법에 의해 정부의 정치 부서에 전적으로 위임되어 있으며... 사법적 침해나 조사 대상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대법원 비판론자들은 사법 심사에 대한 자기 규제를 두 가지 방식으로 반대한다. 첫째, 대법원의 소극적인 행위가 "입법 예산의 홍수"를 허용하여 주와 연방 정부 사이에 영구적인 불균형을 초래한다고 주장한다. 둘째, 대법원이 의회와 행정부에 대한 존중은 미국의 시민권, 정치적 소수 집단 및 외국인에 대한 보호를 훼손한다고 비판한다.
미국 헌법은 입헌주의를 채택하여 권력 분립제를 시행하고 있다. 18세기 후반 건국 초기부터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을 엄격하게 분리하는 삼권 분립을 채택하여, 의회와 대통령은 별도로 선출된다. 대통령은 의회 해산권이 없고, 의회는 대통령 선출 권한이 없다. 대통령에게는 법안 제출권이 없지만, 매년 1월 일반 교서 연설을 통해 시정 방침을 제시하고 필요한 입법을 제안한다. 단, 미국 부통령은 헌법 규정에 따라 상원 의장을 겸임한다.
4. 3. 종교의 자유
제정된 헌법에서 종교와 종교의 자유에 대하여는 두 가지 언급 외에는 전반적으로 침묵하고 있다. 제1조 7절에서 입법과정에서 대통령이 거부한 법안이 열흘 내(일요일은 제외)에 다시 돌아오지 못하도록 정하였다. 여기서 일요일은 기독교의 주일을 의미한다. 제6조에서 공직자를 선출하는 기준에서 종교에 따른 시험을 치르지 않도록 하였다. 이것은 연방정부의 권한은 종교의 자유권에 대하여 개인과, 주정부의 권리로 놓아둠으로 종교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160]5. 수정안
미국 헌법의 수정 조항은 제1조부터 제27조까지다. 최초의 10개 조항은 권리 장전이라 불리며, 1791년에 동시에 수정되었다. 이후 17개 조항은 각각 다른 시기에 수정되었다.
헌법 수정 절차는 제5조에 요약되어 있으며, 미국 문서 보관관이 감독한다. 수정안 제안은 의회 양원 3분의 2 찬성 또는 주 입법부 3분의 2가 요청한 미국 헌법 수정안 제안을 위한 회의를 통해 채택된다. 제안된 수정안은 4분의 3의 주(현재 50개 주 중 38개 주)가 비준하면 헌법의 효력 있는 부분이 된다.
미국 헌법에는 총 27개의 수정안이 있으며, 헌법의 원본 텍스트와 이전 수정안은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대표적으로 권리 장전(수정 제1조-제10조)과 재건 수정안(수정 제13조-제15조)이 있다.
5. 1. 권리 장전 (수정 제1조 - 제10조)
미국 권리 장전은 미국 헌법의 최초 10개 수정 조항이다. 1788년에 발효된 헌법에 대해 각 주 헌법 비준 회의와 토머스 제퍼슨 같은 저명한 정치인들이 중앙 정부의 독재 가능성을 비판하며 제안되었고, 연방 정부의 권한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수정안들은 1789년 의회에 상정되어 당시 12개 수정 조항으로 구성되었다. 1791년까지 규정 이상의 주가 10개 조항을 비준하여 헌법에 추가되었고, 이를 권리 장전이라고 부른다.제정 초기에는 권리 장전이 각 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해석되었다. 수정 헌법 제1조처럼 "연방 의회는 ......"이라고 명시하여 연방에만 적용되는 것이 분명한 규정도 있었다. 그러나 다른 많은 조항은 주에 적용되는지 여부를 명확히 규정하지 않았고, 1868년 수정 헌법 제14조 비준 전까지는 각 주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해석이 일반적이었다. 수정 제14조는 적법 절차와 평등 보호에 대해 주 정부에도 제약을 가하게 되었다.
미국 연방 대법원은 당초 수정 헌법 제14조가 권리 장전과 무관하게 기본권을 보장한다고 해석했다. 그러나 1960년대 얼 워런 대법원장 시절, 권리 장전에 보장된 기본적 권리가 수정 헌법 제14조를 통해 주 정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선택적 시행 해석'이 다수 의견을 차지하게 되었다.[161]
그 결과, 수정 헌법 제2조(인민 무장 권한), 수정 헌법 제3조(군대 주둔 제한), 수정 헌법 제5조 일부(대배심 보장), 수정 헌법 제7조(민사 배심원 보장) 등을 제외한 대부분 규정이 주 정부에도 적용되게 되었다.[162] 다만, 수정 헌법 제6조 중 범죄지 배심원 재판 보장, 수정 헌법 제8조 중 과도한 보석금·벌금 금지에 대한 대법원 판례는 아직 없다.[163]
권리 장전은 1789년에 상정된 12개 수정 조항 중 뒤쪽 10개 조항이다. 12개 조항 중 두 번째 조항은 상하원 의원 보수에 관한 것으로, 200년 후인 1992년 수정 헌법 제27조로 비준되었다. 첫 번째 조항은 현재도 의회 비준 대상으로 남아 있으며, 10년마다 인구조사를 하여 하원 의원 정수를 조정하는 내용이다. 이 안건을 최근에 비준한 주는 1792년 켄터키주였다.
권리 장전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수정 제1조: 종교, 언론, 출판, 집회의 자유, 청원권
- 수정 제2조: 인민의 무장 권리
- 수정 제3조: 군대 주둔에 대한 제한
- 수정 제4조: 불합리한 수색, 체포, 압수 금지
- 수정 제5조: 대배심 보장, 이중 처벌 금지, 적법 절차, 재산권 보장
- 수정 제6조: 배심, 신속하고 공개적인 재판 등 형사상 인권 보장
- 수정 제7조: 민사 사건에서의 배심 심리 보장
- 수정 제8조: 잔혹하고 비정상적인 형벌 금지 등
- 수정 제9조: 인민의 권리에 관한 일반 조항
- 수정 제10조: 주 또는 인민에게 유보된 권한
5. 2. 이후의 수정 조항 (제11조 – 제27조)
수정 헌법 제11조 이후의 조항은 많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그중에서도 개인과 시민의 자유와 정치적 자유를 확대한 것이 많았고, 일부는 기본적인 정부의 구조를 바꾸는 것이 있었다. 수정 헌법 제21조는 수정 헌법 제18조를 철폐하는 것이므로, 27개 수정안 중 26개가 현재 효력을 발생하고 있다.| 수정 조항 | 내용 | 비준 연도 |
|---|---|---|
| 제11조 | 각 주의 주권 면제 | 1795년 |
| 제12조 | 대통령과 부통령 선거에서 선거인 투표 규정 | 1804년 |
| 제13조 | 노예제 폐지 | 1865년 |
| 제14조 | 시민권의 정의, 시민의 특권·면제, 적법 절차의 권리와 법의 평등의 주에 의한 침해 금지 및 하원 의원 정수의 규정 | 1868년 |
| 제15조 | 흑인 참정권 | 1870년 |
| 제16조 | 소득세의 과세 | 1913년 |
| 제17조 | 상원 의원의 선출 규정 | 1913년 |
| 제18조 | 금주법 제정 | 1919년 |
| 제19조 | 여성 참정권 | 1920년 |
| 제20조 | 미국 의회의 회기와 대통령 임기 및 계승의 규정 | 1933년 |
| 제21조 | 수정 헌법 제18조(금주법)의 폐지 | 1933년 |
| 제22조 | 대통령의 당선 횟수를 2기로 제한 | 1951년 |
| 제23조 | 컬럼비아 특별구에 대통령 선거인을 인정하는 규정 | 1961년 |
| 제24조 | 인두세 등 세금 납부 유무를 이유로, 대통령, 연방 의회 등의 선거권을 제한하는 것의 금지 | 1964년 |
| 제25조 | 대통령이 궐위 시 부통령의 승계 규정 및 부통령이 궐위 시 이를 채우는 규정 | 1967년 |
| 제26조 | 18세 이상 선거권 부여 | 1971년 |
| 제27조 | 미국 의회 의원 보수의 변경 규정 | 1992년 |
5. 3. 비준되지 않은 수정안
1789년 헌법 제정 이후 1만 건 이상의 수정안이 국회에 제출되었다. 최근 몇 년만 보더라도 매년 100건에서 200건이 제출되고 있다. 이들 대다수는 의회 위원회 단계에서 폐기되고, 의회에서 심의되어 비준 청구까지 가는 경우는 더 적다. 수정안 제안자는 안건이 폐기되어도 제5조의 개정 규정의 대안(헌법 회의의 청구)에서 다시 제안할 수 있지만, 적용까지 이르는 길은 험난하다. 주 의회에서 제안하는 형태를 취한 것은 2건뿐이다. 하나는 1960년 의원 정수 배분 개정안이며, 다른 하나는 1970년대에서 1980년대의 연방 예산 균형에 관한 것이었다. 이들은 2개 주 의회에서만 채택되었지만, 그 후 진전은 없었다.비준이 청구된 것은 총 33건이고, 이들 중 27건이 통과되었으며, 6개 수정안은 3/4 정족수를 충족하지 못했다. 이 중 4건은 지금도 "진행 중"에 있다. 수정 제18조 이후는 약간의 예외를 제외하고 법 성립을 위한 최종 기한이 설정되어 있지만, 이전 것은 기한이 없기 때문에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의회에서 승인되어 주(州)의 심의를 위해 제안되었지만, 헌법의 일부가 되기 위한 필요 수의 주에 의해 비준되지 않은 6개의 수정 헌법안은 다음과 같다.
| 제안 연도 | 수정안 | 내용 요약 | 비고 |
|---|---|---|---|
| 1789년 | 의회 할당 수정안 | 하원의 적절한 규모와 미국 인구 조사 이후 주별 대표자 할당 공식을 확립. | 버몬트, 켄터키 연방 가입(1791년, 1792년)으로 비준 필요 주 수가 12개로 증가했지만, 이후 추가 비준 없음. |
| 1810년 | 귀족 칭호 수정안 | 외국 귀족 칭호 수락 시 미국 시민권 박탈. | 루이지애나 연방 추가(1812년)로 비준 필요 주 수가 14개로 증가했지만, 이후 추가 비준 없음. |
| 1861년 | 코윈 수정안 | 주(州)의 "국내 제도" (노예 제도 포함)를 헌법 수정 및 의회 간섭으로부터 보호. | 1860년대 초 5개 주 비준. 1865년 제13차 수정안에서 노예 제도 폐지.[119] |
| 1924년 | 아동 노동 수정안 | 18세 미만 청소년 노동 제한, 규제 및 금지 권한을 의회에 부여. | 해머 대 다겐하트(1918), 베일리 대 드렉셀 퍼니처 회사(1922) 판결에 대한 응답. 1937년 초까지 28개 주 비준. 1938년 연방 법률 합헌 판결(1941)로 추진 종결.[120][121] |
| 1972년 | 평등권 수정헌법 | 성별에 따른 평등권(차별) 침해 금지. | 7년 비준 기한, 3년 연장. 최초 기한까지 35개 주 비준(5개 주 철회). 2017년 네바다주, 2018년 일리노이주, 2020년 버지니아주 비준으로 38개 주 비준 추정되나, 법적 불확실성 존재.[122][123][124][125] |
| 1978년 | 컬럼비아 특별구 투표권 수정헌법 | 컬럼비아 특별구에 주와 동등한 의회 대표성, 23차 수정헌법 폐지, 선거인단 투표권, 헌법 수정 절차 참여권 부여. | 7년 비준 기한. 16개 주 비준. |
1923년에 조항이 기안되고 1972년 연방 의회에서 가결된 남녀평등 헌법 수정 조항(ERA)은 1982년까지 성립에 필요한 주 의회 비준을 얻지 못해 불성립되었다.
6. 사상가
미국 헌법은 제임스 매디슨과 그의 친구 알렉산더 해밀턴이 주도한 헌법제정회의에서 제정되었다.[164] 연방주의자 논집의 편집자였던 이들은 다수 대중의 횡포로부터 소수를 보호하는 데 가장 큰 관심을 가졌다.[164]
제임스 매디슨은 민주제보다는 대의제와 같은 것으로 이해되는 공화제를 선호하였다. 그는 공화제 정부 이념의 창시자이자 유일한 변호자였다.[166] 그는 민주제는 개개인이 모여 직접 통치하는 것이고, 공화제는 대표자와 집행자들이 통치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167]
알렉산더 해밀턴은 영국의 귀족주의를 숭배하였으며, 민주주의가 국민들의 변덕과 감정에 좌우되는 통치라고 이해하였다.[168][169] 제임스 매디슨과 달리, 미국 상원을 국민의 대표가 아니라 귀족의 대표라고 보았다.
미국 헌법은 마그나 카르타와 기타 연방제 연구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헌법의 적법 절차 조항은 관습법과 통치자의 자의적인 권력 행사에 대항하는 영국 자유의 기초가 된 마그나 카르타(1215)에 근거했다.[34][35] 헌법에 내재된 권력 분립 사상은 몽테스키외와 존 로크와 같은 18세기 계몽주의 철학자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36]
에드워드 코크는 그의 ''영국 법률 연구''에서 마그나 카르타의 보호와 권리가 귀족뿐만 아니라 모든 영국 신민에게 적용된다고 해석했다. 윌리엄 블랙스톤의 ''영국 법 해설''은 신생 공화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법률 서적으로 여겨진다.[37][41]
존 로크는 그의 ''통치론''에서 피치자의 동의 원칙을 발전시켰다. 주권적인 국민 간의 사회 계약에 따른 정부의 의무는 국민의 생명, 자유 및 재산권을 보호하는 것이었다.[46]
몽테스키외는 폭정을 방지하기 위해 균형 잡힌 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이는 로마 공화국의 견제와 균형에 대한 폴리비우스의 기원전 2세기 논문의 영향을 반영). 몽테스키외는 그의 ''법의 정신''에서 국가 권력 분립은 입법, 행정, 사법의 3권 분립을 통해 국민의 자유에 봉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9][50]
7. 헌법 관련 주요 판례
헌법이 어떻게 이해되는지는 법원 판결, 특히 대법원의 판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판결을 선례라고 한다. 사법 심사는 연방 입법, 연방 행정부 및 모든 주 정부 기관을 심사하여 합헌성을 결정하고 위헌으로 판명될 경우 무효화하는 법원의 권한이다.
사법 심사는 특정 사건에 적용되는 헌법의 의미를 설명하는 법원의 권한을 포함한다. 수년에 걸쳐, 라디오 및 텔레비전의 정부 규제에서 형사 사건 피고인의 권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제에 대한 법원 판결은 헌법의 실제 텍스트를 수정하지 않고도 많은 헌법 조항이 해석되는 방식을 바꾸었다.
헌법을 시행하거나 변화하는 상황에 맞게 이러한 시행을 조정하기 위해 통과된 법률은 헌법의 단어에 부여된 의미를 넓히고 미묘한 방식으로 변경한다. 어느 정도까지는 많은 연방 행정 기관의 규칙과 규정도 비슷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의회나 기관의 조치가 제기될 경우, 법원 시스템은 궁극적으로 이러한 조치가 헌법에 따라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1801년 연방 대법원의 대법원장으로 올리버 엘스워스를 이어 존 마셜이 취임했을 때, 연방 사법부는 사법부 법에 의해 확립되었지만, 사건은 거의 없었고 명성도 적었다. "사법 심사의 운명은 대법원 자체의 손에 달려 있었다." 주 법률 검토와 주 대법원의 상소는 이해되었다. 그러나 법원의 수명, 주 법률에 대한 관할권은 제한되었다. 마셜 법원의 획기적인 판례인 ''배런 대 볼티모어''는 권리 장전이 연방 정부에만 제한되고 주에는 제한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획기적인 ''마버리 대 매디슨'' 사건에서 대법원은 의회 법률에 대한 사법 심사 권한을 주장했다. 1789년 사법부 법 제13조와 제3조 사이의 갈등을 발견하여, 헌법에 의해 창설된 미국 정부는 제한된 정부이므로, 연방 법원은 갈등이 있다고 판단되면 의회법보다 헌법을 선택해야 했다.
대법원은 논란이 많은 드레드 스콧 대 샌퍼드 판결에서 1857년에 또 다른 의회 법률을 위헌으로 선언했는데, 이는 무효화된 미주리 타협 법안이 이미 폐지된 후에 이루어졌다. 남북 전쟁 이후 제2차 세계 대전까지 80년 동안 법원은 77건의 의회 법률을 무효화했는데, 평균적으로 거의 1년에 한 건이었다.
1935년과 1936년에 대법원이 뉴딜 정책과 관련된 12건의 의회 법률을 무효화하는 결정을 내리면서 위기가 발생했다. 당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실패로 돌아간 "법원 개편 계획"으로 대응했다. 다른 제안으로는 의회 입법을 뒤집기 위한 법원의 슈퍼 과반수나, 대법관이 법에 의해 지정된 연령에 은퇴하도록 요구하는 헌법 개정안이 있었다. 현재까지 대법원의 사법 심사 권한은 유지되어 왔다.
사법 심사 권한은 합리적인 수준의 사법 자제로 행사되지 않고, 미스터 두리가 말했듯이 "선거 결과"에 어느 정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민주주의에서 오래 보존될 수 없었을 것이다. 실제로 대법원은 사법 심사 권한을 스스로 제한하는 교리와 실천 체계를 발전시켜 왔다.
대법원은 어떤 사건을 심리할지, 즉 상고 허가 명령을 선택함으로써 거의 모든 업무를 통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난처하거나 어려운 사건에 대한 판결을 피할 수 있다. 대법원은 "재판 가능한 문제"를 정의함으로써 스스로를 제한한다.
후임 대법원장들의 지도 하에 연방 대법원은 개인, 주, 연방 정부 간의 헌법 해석을 위해 사법 심사를 사용해 왔다. 주목할 만한 공헌은 체이스 법원, 태프트 법원, 워렌 법원, 그리고 렌퀴스트 법원에 의해 이루어졌다.
샐먼 P. 체이스는 링컨이 임명한 인물로, 1864년부터 1873년까지 대법원장을 역임했다. 그의 경력은 미국 상원의원과 오하이오 주지사로 봉사하는 것을 포함했다. 그는 "자유로운 토지, 자유로운 노동, 자유로운 사람들"이라는 슬로건을 만들었다. 링컨의 "경쟁자 팀" 중 한 명인 그는 남북 전쟁 중 재무 장관으로 임명되어 "그린백"을 발행했다. 부분적으로는 급진 공화당원들을 달래기 위해 링컨은 로저 B. 태니가 사망하자 그를 대법원장으로 임명했다.
체이스는 첫 공식 행동 중 하나로, 대법원 앞에서 변론한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인 존 록을 변호사로 인정했다. 체이스 법원은 파괴할 수 없는 주들의 영구적인 연합을 주장한 ''텍사스 대 화이트'' 사건으로 유명하다. ''Veazie Bank v. Fenno''는 주 은행권에 대한 남북 전쟁 세금을 지지했다. ''Hepburn v. Griswold''는 법정 통화법의 일부가 위헌이라고 판결했지만, 대법원의 후기 다수에 의해 뒤집혔다.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는 1921년부터 1930년까지 하딩이 대법원장으로 임명했다. 오하이오 출신의 진보 공화당원이었으며, 한 번 임기를 역임한 대통령이었다.
대법원장으로서 그는 연방 지방 법원을 대법원의 행정 관할권 아래 두는 1925년 사법부 법을 옹호했다. 태프트는 컬럼비아 특별구, 알래스카 및 하와이 영토와 같은 비주에 대한 법원 관할권 확장을 성공적으로 모색했다.
1925년, 태프트 법원은 권리 장전에 대한 마셜 법원의 판결을 뒤집는 판결을 내렸다. ''Gitlow v. New York''에서, 법원은 권리 장전을 주에 적용하는 "권리 장전 적용" 원칙을 확립했다. 중요한 사건으로는 의회의 상업 규제를 지지한 ''Board of Trade of City of Chicago v. Olsen''이 있다. ''Olmstead v. United States''는 부당한 수색에 대한 제14차 수정 조항의 적용을 근거로 영장 없이 얻은 증거의 배제를 허용했다. ''Wisconsin v. Illinois''는 미국의 공정한 권한이 다른 주의 피해를 막기 위해 주의 소극적인 행위에 긍정적인 조치를 부과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얼 워렌은 아이젠하워가 지명한 인물로, 1953년부터 1969년까지 대법원장을 역임했다. 워렌의 법조계에서의 공화당 경력은 카운티 검사, 캘리포니아 주 법무 장관, 그리고 주지사 세 번의 연임에 이르렀다. 그의 프로그램은 진보적인 효율성, 주 교육 확대, 참전 용사 재통합, 인프라 및 고속도로 건설을 강조했다.
1954년, 워렌 법원은 정부와 상업에서 인종 차별을 "분리하되 평등하게" 허용하는 것으로 해석한 제14차 수정 조항에 대한 랜드마크 풀러 법원 판결을 뒤집었다. 워렌은 1962년 이후 헌법에 보장된 자연권을 발전시킨 판사들의 연합을 구축했다.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는 공립학교의 차별을 금지했다. ''베이커 대 카''와 ''레이놀즈 대 심스''는 법원이 명령한 "1인 1표"를 확립했다. 권리 장전 수정 조항은 주에 적용되었다. 적법 절차는 ''기디언 대 웨인라이트''와 ''미란다 대 애리조나''에서 확대되었다. 제1차 수정 조항의 권리는 사생활에 관한 ''그리스월드 대 코네티컷''과 언론의 자유에 관한 ''엥겔 대 비탈레''에서 다루어졌다.
윌리엄 렌퀴스트는 레이건이 임명한 대법원장으로, 1986년부터 2005년까지 재임했다. 그는 ''부시 대 고어''와 같이 주 대법원의 결정을 뒤집는 데 동의했지만, 1994년 이후 제10차 수정 조항에 규정된 연방주의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전시킨 판사들의 연합을 구축했다. 대법원의 손에, 헌법과 그 수정 조항은 ''보언 시 대 플로레스''와 같이 의회를 억제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렌퀴스트 법원은 ''스타인버그 대 카하트''에서 후기 낙태 금지, ''로렌스 대 텍사스''에서 소도미 금지, 또는 ''텍사스 대 존슨''에서 언론의 자유 보호, 또는 ''그루터 대 볼린저''에서 소수자 우대 정책과 관련하여 현대 "문화 전쟁"에서 주법을 뒤집은 것으로 유명했다.
- '''마버리 대 매디슨 사건''' 판결 (Marbury v. Madison, 5 U.S. 137 (1803)) - 1803년, 위헌 법률 심사제를 확립했다.
- '''플레시 대 퍼거슨 사건''' 판결 (Plessy v. Ferguson, 163 U.S. 537 (1896)) - 1896년, 인종별 공공 시설 설치에 대해 "분리하되 평등 (Separate, but Equal)"이라고 판시했다.
- '''셴크 대 미국 사건''' 판결 (Schenck v. United States, 249 U.S. 47 (1919)) - 1919년, 표현 내용 규제에 관한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 (clear and present danger)"의 기준을 제시했다.
- '''브라운 대 토피카 교육위원회 사건''' 판결 ('''브라운 판결''', Brown v. Board of Education of Topeka, Kansas, 347 U.S. 483 (1954), 349 U.S. 294 (1955)) - 1954년·1955년, 위의 "분리하되 평등"의 원칙을 헌법 수정 제14조(평등 조항, 적법절차 조항) 위반으로 뒤집고, 시민권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란다 대 애리조나 사건''' 판결 ('''미란다 판결''', Miranda v. Arizona, 384 U.S. 436 (1966)) - 1966년, 신병이 구속된 피의자의 진술 거부권·변호인 선임권을 절차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이러한 권리의 고지 등을 결여한 채 얻은 자백은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 미란다 원칙이 만들어지는 원인이 되었다.
- '''레몬 대 커츠먼 사건''' 판결 (Lemon v. Kurtzman, 403 U.S. 602 (1971)) - 1971년, 정교 분리에 관한 엄격 심사 기준 (레몬 테스트)을 제시했다.
- '''로 대 웨이드 사건''' 판결 (Roe v. Wade, 410 U.S. 113 (1973)) - 1973년, 인공 임신 중절을 선택하는 것은 헌법 수정 제14조에 의해 보장되는 여성의 권리라고 판시했다.
- '''로렌스 대 텍사스 사건''' 판결 (Lawrence v. Texas, 539 U.S. 558 (2003)) - 2003년, 동성애 행위를 포함한 사적인 합의에 따른 성인 간의 성행위가 수정 제14조로 보장되는 자유 중 하나라고 했다.
참고로 미국 헌법에는 사회권 규정이 없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정 조항이 불성립하므로 남녀평등 규정도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Engrossed in the Constitution
https://www.uh.edu/e[...]
2022-04-08
[2]
서적
The Constitution went into effect in March of 1789
Owings v. Speed, 18 U.S. 420, 5 L. Ed. 124 (1820)
1820
[3]
뉴스
Goodlatte says U.S. has the oldest working national constitution
http://www.politifac[...]
Politifact Virginia website
2014-09-22
[4]
서적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5]
웹사이트
Constitution Day
https://www.senate.g[...]
United States Senate
2016-09-10
[6]
웹사이트
Bill of Rights
http://www.annenberg[...]
Leonore Annenberg Institute for Civics of the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4-09-21
[7]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Bill of Rights
http://teachingameri[...]
The Ashbrook Center at Ashland University
2014-09-21
[8]
웹사이트
America's Founding Documents
https://www.archives[...]
2015-10-30
[9]
웹사이트
Differences between Parchment, Vellum and Paper
https://www.archives[...]
2016-08-15
[10]
웹사이트
Pasquale Paoli | Corsican statesman
https://www.britanni[...]
2023-04-22
[11]
웹사이트
Paoli: Hero of the Sons of Liberty
https://allthingslib[...]
Journal of the American Revolution
2017-05-20
[12]
서적
American Sovereigns: The People and America's Constitutional Tradition Before the Civil Wa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3]
논문
(출처 미상)
2010
[14]
서적
An Oration, Delivered July 4, 1787, at the Request of the Inhabitants of the Town of Boston, in Celebration of the Anniversary of American Independence
Samuel Hall
1787
[15]
웹사이트
Resolution of Congress, 21 Feb. 1787
http://press-pubs.uc[...]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
웹사이트
Proceedings of Commissioners to Remedy Defects of the Federal Government: 1786
http://avalon.law.ya[...]
[16]
논문
(출처 미상)
2010
[17]
논문
(출처 미상)
2010
[18]
웹사이트
America's Founding Fathers-Delegates to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https://www.archives[...]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5-10-30
[19]
웹사이트
Variant Texts of the Virginia Plan, Presented by Edmund Randolph to the Federal Convention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2016-04-16
[20]
웹사이트
The Debates in the Federal Convention of 1787 reported by James Madison: on June 15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2016-04-16
[21]
웹사이트
Committee Assignments Chart and Commentary
http://teachingameri[...]
TeachingAmericanHistory.org
2016-04-16
[22]
웹사이트
Madison Debates July 16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2014-03-31
[23]
웹사이트
Committees at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http://www.usconstit[...]
U.S. Constitution Online
2016-04-16
[24]
웹사이트
Madison Debates August 6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2016-04-16
[25]
웹사이트
Madison Debates September 12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2016-04-16
[26]
서적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of 1787: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America's Founding (Volume 1: A-M)
https://books.google[...]
ABC-CLIO
2005
[27]
웹사이트
Madison Debates September 15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2016-04-16
[28]
서적
Soldier-Statesmen of the Constitution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9]
웹사이트
Resolution of Congress of September 28, 1787, Submitting the constitution to the Several States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2014-08-31
[30]
웹사이트
1787 Convention Minutes
http://www.nj.gov/st[...]
New Jersey Department of State
[31]
웹사이트
Resolution of the Congress, of September 13, 1788, Fixing Date for Election of a President, and the Organization of the Government Under the Constitution, in the City of New York
https://avalon.law.y[...]
Avalon Project
1788-09-13
[32]
웹사이트
North Carolina, Vol. 2
https://asset.librar[...]
Wisconsin Historical Society Press
[33]
웹사이트
"Rogue Island": The last state to ratify the Constitution
https://prologue.blo[...]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5-05-18
[34]
논문
(출처 미상)
2003
[35]
문서
(출처 미상)
Library of Congress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학술지
The Separation of Powers in the Eighteenth Century
1928-01-01
[48]
웹사이트
D.C. Circuit Reviewed: The Baron Montesquieu
http://yalejreg.com/[...]
2016-04-10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논문
[57]
논문
[58]
학술지
Litigation
[59]
문서
1787-08-06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논문
[64]
논문
[65]
논문
[66]
논문
[67]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on the Preamble
https://constitution[...]
Constitution Annotated: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U.S. Constitution
2023-01-16
[68]
법률
[69]
웹사이트
FindLaw for legal professionals
http://www.findlaw.c[...]
2011-11-28
[70]
뉴스
Essays on Article V: Amendments
http://www.heritage.[...]
The Heritage Foundation
2014-07-31
[71]
웹사이트
Proposed Amendments
http://www.clayton.e[...]
Clayton State University
2014-07-10
[72]
논문
Toward a Theory of Constitutional Amendment
[73]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Process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4-07-27
[74]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5]
웹사이트
The Six Stages of Ratification of the Constitution: Stage I—Now For the Bad News
https://teachingamer[...]
The Ashbrook Center at Ashland University
2022-12-01
[76]
서적
The Writings of James Madison, vol. 4, 1787: The Journal of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Part II
https://oll.libertyf[...]
[77]
웹사이트
Attestation Clause
http://www.heritage.[...]
The Heritage Foundation
2016-11-25
[78]
웹사이트
The Proposed Equal Rights Amendment: Contemporary Ratification Issues
http://www.equalrigh[...]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4-07-27
[79]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Article on the Bill of Rights
https://www.archives[...]
2007-12-16
[80]
웹사이트
Amendment I
http://constitutionc[...]
Leonore Annenberg Institute for Civics of the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4-08-06
[81]
법원판결
https://archive.org/[...]
2012-03-30
[82]
웹사이트
Permanent Resident Aliens Have Second Amendment Rights Too
http://monachuslex.c[...]
2012-04-02
[83]
서적
Constitu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senotes
2009-12-06
[84]
서적
American Government: Political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 Chan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1-04
[85]
논문
After Heller: What Now for the Second Amendment
http://heinonline.or[...]
2014-01-30
[86]
웹사이트
US Senate Annotated Constitution
https://www.senate.g[...]
2014-01-30
[87]
웹사이트
Amendment II
http://constitutionc[...]
Leonore Annenberg Institute for Civics of the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4-08-06
[88]
서적
Constitutional Law for a Changing America: Rights, Liberties and Justice
https://books.google[...]
CQ Press
[89]
웹사이트
Amendment III
http://constitutionc[...]
Leonore Annenberg Institute for Civics of the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4-08-06
[90]
웹사이트
Amendment IV
http://constitutionc[...]
Leonore Annenberg Institute for Civics of the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4-08-06
[91]
웹사이트
Amendment V
http://constitutionc[...]
Leonore Annenberg Institute for Civics of the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4-08-06
[92]
웹사이트
Amendment VI
http://constitutionc[...]
Leonore Annenberg Institute for Civics of the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4-08-06
[93]
웹사이트
Amendment VII
http://constitutionc[...]
Leonore Annenberg Institute for Civics of the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4-08-06
[94]
웹사이트
Amendment VIII
http://constitutionc[...]
Leonore Annenberg Institute for Civics of the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4-08-06
[95]
웹사이트
Amendment IX
http://constitutionc[...]
Leonore Annenberg Institute for Civics of the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4-08-06
[96]
웹사이트
Amendment X
http://constitutionc[...]
Leonore Annenberg Institute for Civics of the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4-08-06
[97]
웹사이트
Dobbs v. Jackson Women's Health Organization {{!}} Definition, Abortion, Background, Arguments, Roe v. Wade, & Planned Parenthood v. Casey
https://www.britanni[...]
2022-11-15
[98]
웹사이트
Eleventh Amendment: Lawsuits Against States
https://constitution[...]
FindLaw
2023-05-01
[99]
웹사이트
Do States Have Sovereign Immunity?
https://constitution[...]
FindLaw
2023-05-01
[100]
웹사이트
Amendment XVI
http://constitutionc[...]
National Constitution Center
2014-08-06
[101]
웹사이트
Amendment XVIII
http://constitutionc[...]
Annenberg Classroom
2014-08-06
[102]
웹사이트
Amendment XXI
http://constitutionc[...]
Annenberg Classroom
2014-08-06
[103]
웹사이트
The Emancipation Proclamation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4-08-06
[104]
웹사이트
Thirteenth Amendment – Abolition of Slavery
https://constitution[...]
FindLaw
2023-05-01
[105]
웹사이트
Amendment XIV
http://constitutionc[...]
Leonore Annenberg Institute for Civics of the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4-08-06
[106]
웹사이트
Amendment XV
http://constitutionc[...]
Leonore Annenberg Institute for Civics of the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4-08-06
[107]
웹사이트
Amendment XIX
http://constitutionc[...]
Annenberg Classroom
2014-08-06
[108]
웹사이트
Amendment XXIII
http://constitutionc[...]
Annenberg Classroom
2014-08-06
[109]
웹사이트
Amendment XXIV
http://constitutionc[...]
Annenberg Classroom
2014-08-06
[110]
웹사이트
Amendment XXVI
http://constitutionc[...]
Annenberg Classroom
2014-08-06
[111]
웹사이트
Amendment XII
http://constitutionc[...]
Leonore Annenberg Institute for Civics of the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4-08-06
[112]
웹사이트
Amendment XVII
http://constitutionc[...]
Annenberg Classroom
2014-08-06
[113]
웹사이트
Amendment XX. Presidential Term and Succession
https://www.law.corn[...]
[114]
웹사이트
Amendment XX
http://constitutionc[...]
Annenberg Classroom
2014-08-06
[115]
웹사이트
Amendment XXII
http://constitutionc[...]
Annenberg Classroom
2014-08-06
[116]
웹사이트
Amendment XXV
http://constitutionc[...]
Annenberg Classroom
2014-08-06
[117]
웹사이트
Amendment XXVII
http://constitutionc[...]
Annenberg Classroom
2014-08-06
[118]
웹사이트
Capitol Questions
http://www.c-span.or[...]
C-SPAN
2008-05-29
[119]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20]
서적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Amendments Thereto
Virginia Commission on Constitutional Government
[121]
서적
American Constitutionalism: From Theory to Politic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2]
뉴스
Nevada Ratifies The Equal Rights Amendment ... 35 Years After The Deadline
https://www.npr.org/[...]
NPR
2017-04-06
[123]
간행물
Congressional Record—September 12, 2018
https://www.govinfo.[...]
[124]
트윗
BREAKING: The House of Delegates just passed HJ1, my resolution to have Virginia be the 38th and final state to ratify the Equal Rights Amendment.
2020-01-15
[125]
뉴스
Virginia becomes 38th state to ratify Equal Rights Amendment—but it may be too late
https://wtop.com/vir[...]
WTOP-FM
[126]
뉴스
Three Democratic attorneys general sue to have Equal Rights Amendment added to Constitution
https://www.cnn.com/[...]
CNN
2020-01-30
[127]
서적
How to Hide an Empire: A History of the Greater United States
Farrar, Straus and Giroux
[128]
웹사이트
Chief Justice Nomination Rejected
https://www.senate.g[...]
2024-01-11
[129]
서적
The constitution of a federal commonwealth: the making and meaning of the Australian constitu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130]
뉴스
The Declining Influence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http://journalistsre[...]
Harvard Kennedy School of Government Shorenstein Center on Media, Politics and Public Policy
2013-04-09
[131]
논문
The Declining Influence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132]
웹사이트
Expansion of Rights and Liberties—The Right of Suffrage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2015-04-21
[133]
웹사이트
U.S. Voting Rights
http://www.infopleas[...]
Infoplease
2015-04-21
[134]
논문
Voting in Early America
http://www.history.o[...]
2015-04-21
[135]
웹사이트
The Reconstruction Amendments: Official Documents as Social History
http://www.gilderleh[...]
The Gilder Lehrman Institute of American History
2012-12-05
[136]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The 19th Amendment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2-12-05
[137]
웹사이트
'We the People' Loses Appeal With People Around the World - NYTimes.com
https://www.nytimes.[...]
2012-02-15
[138]
웹사이트
Biden's new Supreme Court reform proposals are mostly useless
https://www.vox.com/[...]
2024-07-29
[139]
서적
Tyranny of the Minority: why American democracy reached the breaking point
Crown
2023
[140]
간행물
Smithsonian National Postal Museum, bulletin, Sesquicentennial
[141]
간행물
Smithsonian National Postal Museum, bulletin, Ratification
[142]
웹사이트
Constitution Rankings
https://comparativec[...]
2022-09-10
[143]
서적
「200年経過し、今も機能している世界最古の憲法」
知恵蔵
2015
[144]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Article on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http://www.archives.[...]
2007-12-16
[145]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Article on the Constitution
http://www.archives.[...]
2007-12-16
[146]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Article on the Constitution
http://www.archives.[...]
2007-12-16
[147]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Article on James Madison
http://www.archives.[...]
2007-12-16
[148]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Article on William Patterson
http://www.archives.[...]
2007-12-16
[149]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Article on Roger Sherman
http://www.archives.[...]
2007-12-16
[150]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Article on the Entire Constitutional Convention
http://www.archives.[...]
2007-12-16
[151]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Article on the Bill of Rights
http://www.archives.[...]
2007-12-16
[152]
뉴스
クリントン氏、憲法上は国務長官の就任資格なし?米団体が指摘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08-12-04
[153]
서적
Criminal Procedure Constitutional Limitations
West
2006
[154]
서적
英米法律情報辞典
研究社
2002
[155]
서적
Criminal Procedure Constitutional Limitations
West
2006
[156]
서적
Criminal Procedure Constitutional Limitations
West
2006
[157]
서적
영미법
박영사
1996-07-30
[158]
서적
영미법
박영사
1996-07-30
[159]
서적
영미법
박영사
1996-07-30
[160]
서적
Religion and the American constitutional experiment
https://www.worldcat[...]
Westview Press
2011
[161]
서적
Criminal Procedure Constitutional Limitations
West
2006
[162]
서적
Criminal Procedure Constitutional Limitations
West
2006
[163]
서적
Criminal Procedure Constitutional Limitations
West
2006
[164]
서적
헌법연구 1
철학과 현실사
1994
[165]
서적
헌법연구 1
철학과 현실사
1994
[166]
서적
헌법연구 1
철학과 현실사
1994
[167]
서적
헌법연구 1
철학과 현실사
1994
[168]
서적
헌법연구 1
철학과 현실사
1994
[169]
서적
Hamilton, Alexander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