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근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근찬은 1931년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천에서 태어나, 2007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1957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수난이대》가 당선되어 등단했으며, 한국 전쟁의 상처와 당시 시대상을 해학적으로 그린 작품들을 주로 발표했다. 주요 작품으로 《수난이대》, 《나룻배 이야기》, 《흰 종이 수염》, 《남한산성》 등이 있으며, 한국문학상, 조연현문학상, 요산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주사범학교 동문 - 신직수
신직수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 법무관,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을 거쳤으며, 중앙정보부장 재직 시 울릉도 간첩단 사건 등 여러 논란에 휘말렸고, 이후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핀들레이 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 요산김정한문학상 수상자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요산김정한문학상 수상자 - 성석제
성석제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를 그려내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유머와 비애를 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 진주 하씨 - 하춘화
1961년 만 6세에 데뷔한 가수 하춘화는 《물새 한 마리》, 《잘했군 잘했어》, 《영암 아리랑》, 《알고 계세요》 등 수많은 히트곡과 8,500회 이상의 공연, 2,400여 곡의 취입곡, 박사 학위 취득, 꾸준한 기부 활동으로 유명하다. - 진주 하씨 - 하하
하하는 1979년생 대한민국의 방송인이자 가수로, 《무한도전》, 《런닝맨》 등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MC와 가수로 활동하며, 2012년 가수 별과 결혼하여 2남 1녀를 두고 있다.
하근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한글) | 하근찬 |
이름 (한자) | 河瑾燦 |
로마자 표기 | Ha Geun-chan |
출생일 | 1931년 10월 21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천시 |
사망일 | 2007년 11월 25일 (77세)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본관 | 진주 |
호 | 동학(東鶴)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소설가 |
학력 | |
최종 학력 | 동아대학교 토목학과 중퇴 |
가족 | |
배우자 | 이종순 |
자녀 | 2남 1녀 |
부모 | 아버지: 하재중, 어머니: 박연악 |
경력 | |
주요 경력 | 전 교련공제조합 기자 |
작품 활동 | |
데뷔작 | 『수난시대』 (1957년) |
대표작 | 『수난시대』 |
2. 생애
1931년 10월 21일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천에서 태어났다.[2][7] 전주사범학교 재학 중 교원 시험에 합격하여 1954년까지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했으며, 이후 동아대학교 토목과에 입학했으나 1957년 중퇴하였다.[7]
1957년 한국일보 신춘 문예에 단편 《수난이대》가 당선되면서 문단에 등단했다.[7] 1959년에는 교육주보와 교육자료사에서 기자로 활동하기도 했다.[7] 그의 작품은 한국 현대사의 비극 속에서 민중이 겪는 시련과 애환을 해학적으로 그려낸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작으로는 《수난이대》, 《나룻배 이야기》, 《흰 종이 수염》, 《왕릉과 주둔군》 등이 있다.[7]
2007년 11월 25일 밤 10시, 경기도 안양시 평촌 한림대학교성심병원에서 노환으로 인해 향년 77세로 세상을 떠났다.[7]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931년 10월 21일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천에서 하재중과 박연학의 장남으로 태어났다.[2][7] 당시 한국은 일제강점기였으며, 그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육은 일본 식민 정부가 한국인을 일본 신민으로 동화시키려 했던 내선일체(内鮮一体) 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로 인해 그는 사범대학에 입학할 때까지 한국어를 제대로 배우지 못했다고 한다.[3]전주사범학교 재학 중이던 1945년 교원 시험에 합격하였고,[7] 졸업 후 1954년까지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했다.[7] 이후 1954년 부산 동아대학교 토목과에 입학했으나, 1957년 중퇴하였다.[7] 1958년 군 복무를 마쳤다.[3]
2. 2. 등단과 작가 활동
1957년 한국일보 신춘 문예에 단편 《수난이대》가 당선되어 문단에 등장했다.[7] 등단 이전에는 전주사범학교 재학 중 교원 시험에 합격하여 1954년까지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했으며, 이후 부산 동아대학교 토목과에 입학했으나 1957년 중퇴했다.[7]1959년에는 교육주보와 교육자료사에서 기자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의 작품은 역사적 현실을 반영하는 작가 정신이 두드러지며, 1960년대 이후 여러 문제작을 발표했다. 특히 한국 현대사의 시련 속 민중의 애환을 해학적으로 그려내는 데 뛰어난 역량을 보였다. 한국경제신문에 "금병매"를 연재하기도 했다.
주요 작품 목록
구분 | 작품명 | 발표 연도 |
---|---|---|
단편 | 수난이대 | 1957 |
단편 | 나룻배 이야기 | |
단편 | 흰 종이 수염 | |
단편 | 왕릉과 주둔군 | 1963 |
단편 | 삼각의 집 | |
단편 | 일본도 | 1971 |
단편 | 임진강 오리떼 | 1976 |
중편 | 기울어지는 강 | 1972 |
중편 | 직녀기 | 1973 |
장편 | 남한산성 | 1979 |
장편 | 월례는 본래 그런 여자가 아니었습니다-월례소전 | 1981 |
장편 | 산에 들에 | 1984 |
연재 | 금병매 (한국경제신문) |
2. 3. 작품 세계
`하근찬`은 전후 세대 작가로 분류되지만, 동시대 다른 작가들이 주로 다룬 도시의 황폐함이나 전쟁 후 형성된 쁘띠 부르주아 의식과는 다른 문학적 관심을 보였다. 그는 한국 전쟁이 한국인에게 남긴 또 다른 차원의 충격적인 영향을 조명하기 위해 농촌 풍경과 순박한 시골 사람들을 작품의 중심 소재로 삼았다.대표작 「두 세대의 고통」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팔을 잃은 아버지와 한국 전쟁에서 다리를 잃고 귀향한 외아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들 부자는 자신들의 비극을 극복해야 할 운명으로 받아들이는 단순함을 통해 오히려 회복과 갱생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여준다. 다른 작품 「변(糞)」에서는 아들이 징병 면제를 받지 못하자 어머니가 읍사무소에서 대변을 보며 항의하는 충격적인 모습을 그렸고, 「왕릉과 주둔군」에서는 신성한 왕릉이 주둔군에 의해 매춘 장소로 사용되는 것을 막으려 애쓰는 헌신적인 묘지기가 등장한다. 그는 자신의 외동딸마저 외국 군인과 성관계를 맺었다는 사실에 경악한다.
하근찬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때로는 희극적이거나 심지어 둔해 보일 수 있지만, 강인한 생존 의지와 어려움을 견뎌내는 힘, 그리고 단순한 믿음에 뿌리를 둔 재생력을 지닌 존재로 그려진다. 작가는 이러한 인물들을 묘사하면서 감상주의에 빠지지 않고, 대상에 대한 깊은 공감의 태도를 일관되게 유지한다.[4]
2. 4. 작품 경향
하근찬은 '전후 세대' 작가로 분류되지만, 그의 문학적 관심은 동시대 다른 작가들이 주로 다룬 도시의 황폐함이나 전쟁 후 형성된 쁘띠 부르주아 의식과는 거리가 멀다. 대신 그는 한국 전쟁이 한국인에게 미친 또 다른 차원의 충격적인 영향을 조명하기 위해 농촌 풍경과 순박한 시골 사람들을 주요 소재로 삼았다.대표작 「두 세대의 고통」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팔을 잃은 아버지와 한국 전쟁에서 다리를 잃고 귀향한 그의 외아들을 그린다. 이들 부자는 자신들의 비극을 극복해야 할 운명으로 받아들이는 단순함을 통해 오히려 회복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 다른 작품 「변(糞)」에서는 아들이 징병 면제를 받지 못하자 어머니가 읍사무소에서 항의의 의미로 대변을 보는 파격적인 장면을 담고 있다. 「왕릉과 주둔군」에서는 신성한 왕릉이 매춘 장소로 이용되는 것을 막으려 애쓰던 묘지기가 자신의 외동딸이 외국 군인과 성관계를 맺었다는 사실을 알고 충격에 빠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하근찬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때로는 희극적이거나 다소 둔하게 묘사되기도 하지만, 강인한 생존 의지와 어려움을 견뎌내는 힘, 그리고 소박한 믿음에 뿌리를 둔 재생력을 지닌 존재로 그려진다. 작가는 감상주의에 빠지지 않으면서도 대상에 대한 공감 어린 시선을 유지하며 작품을 전개한다.[4]
2. 5. 말년
2007년 11월 25일 밤 10시, 안양시 평촌 한림대학교성심병원에서 노환으로 인해 향년 77세로 세상을 떠났다.3. 작품 목록
(내용 없음)
3. 1. 단편 소설
- 1972년, 수난이대
- 1972년, 야호
- 1973년~1975년, 월례소전
- 1977년, 흰 종이 수염
- 1977년, 일본도
- 1977년, 서울 개구리
- 1981년, 제복의 상처
- 1984년, 산에 들에
- 1986년, 은장도 이야기
- 1987년, 여제자
- 1988년, 화가 남궁씨의 수염
- 1999년, 내 마음의 풍금
- 봄
- 불운한 부자
- 쑥의 색깔
- 두 여행자
- [https://www.amazon.com/Suffering-Generations-Bi-lingual-Edition-Literature/dp/8994006850/ref=sr_1_2?ie=UTF8&qid=1384236531&sr=8-2&keywords=%22the+suffering+of+two+generations%22 두 세대의 고통] (2013) (''수난이대'' 영어 번역본)
3. 2. 중편 소설
- ''요강'' (''야호'', 1972)
- ''월례 소전'' (''월례 소전'', 1978)
- ''산(山)에 드는'' (''산에 드는'', 1984)
- ''작은 용'' (''작은 용'', 1989)
3. 3. 장편 소설
- 월례 소전 (1978)
- 산에 들에 (1984)
4. 수상 경력
wikitext
참조
[1]
웹아카이브
하근찬 biographical PDF
http://klti.or.kr/ke[...]
2013-09-21
[2]
웹사이트
하근찬
http://people.search[...]
2013-11-12
[3]
서적
IThe Suffering of Two Generations
Asia Publishers
[4]
웹아카이브
Ha Geunchan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5]
웹사이트
하근찬
http://people.search[...]
2014-00-00 #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0000-00-00으로 설정
[6]
웹사이트
한국현대문학대사전
http://terms.naver.c[...]
2014-00-00 #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0000-00-00으로 설정
[7]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