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한국교원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한국교원대학교는 1984년 설립된 대한민국 국립 종합교원양성대학이다. 유치원, 초등학교, 중등학교 교원을 모두 양성하며, 교원 연수 및 교육 연구 기능을 수행한다. 4개의 단과대학과 3개의 대학원, 부설학교 등을 운영하며, 학부 과정에서는 교원 자격증과 학사 학위를 수여한다. 학생들에게는 학비 면제 혜택과 기숙사 비용 지원 등 학비 부담을 줄여주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교원 임용시험에서 높은 합격률을 보이며, 국내외 대학과 학술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교원대학교 - 이규호 (1926년)
    이규호는 1926년 경상남도 진주 출생으로, 한신대학교 학사 및 독일 튀빙겐 대학교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중앙대학교, 연세대학교 교수를 거쳐 국토통일원 장관, 문교부 장관, 대통령 비서실장, 주일대사 등을 역임하고 순신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 한국교원대학교 - 한국교원대학교 부설고등학교
    충청북도 청주시에 있는 국립 고등학교인 한국교원대학교 부설고등학교는 1994년 개교하여 2001년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본관, 생활관, 체육관 등의 시설을 갖추고 3,900명 이상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청주시의 학교 -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는 1951년 개교하여 1977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국립대학교이며, 15개의 단과대학과 다양한 전공을 운영하며, 39개국 113개 대학과 교류하고 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는다.
  • 청주시의 학교 - 충청대학교
    충청대학교는 1982년 설립되어 충청전문대학과 충청대학을 거쳐 2012년 교명을 변경한 사립 전문대학으로, 헬스케어, 스마트바이오 등 5개 계열 33개 학과를 운영하며 중국 북경전력대학교와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 충청북도의 대학교 -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는 1946년 설립된 조선정치학관을 모체로 하여 1959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서울과 충주에 캠퍼스를 두고 13개 학부와 13개 대학원, 7개 학부와 4개 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 혁신을 위해 노력한다.
  • 충청북도의 대학교 -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는 1951년 개교하여 1977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국립대학교이며, 15개의 단과대학과 다양한 전공을 운영하며, 39개국 113개 대학과 교류하고 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는다.
한국교원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대학 이름한국교원대학교
한자 표기韓國教員大學校
로마자 표기Hanguk Gyowon Daehakgyo
영문 표기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별칭교원대
표어사랑, 신뢰, 인내
설립일1984년
학교 종류국립
총장김종우
위치충청북도 청주시
캠퍼스교외
캠퍼스 면적191 에이커 (77.3 헥타르)
상징색하늘색
마스코트황새
소속ICUE
웹사이트www.knue.ac.kr
행정
교직원 수247명
재학생
총 학생 수5,630명
학부생2,393명
대학원생3,237명
박사 과정431명
교수진
교수진 수205명
대학
학부제1대학
제2대학
제3대학
제4대학
대학원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전문대학원
기타 정보
교목느티나무
교화매화

2. 연혁

한국교원대학교의 설립 과정과 주요 발전 단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설립 경과'''

한국교원대학교는 1978년 한국교육개발원의 보고서에서 처음 설립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후 1980년 대통령 자문기관에서 프랑스고등사범학교를 모델로 한 국립사범대학교 설립이 건의되었고, 1981년 한국교육개발원이 '교원교육종합대학교(가칭)' 설립을 제안하면서 구체화되었다. 1982년 문교부는 중학교 의무교육 실시에 대비하여 교원 양성을 위한 종합대학교 설립을 확정하고, 1983년 충청북도 청원군 강내면에 부지를 확정, '한국교원대학교'라는 명칭으로 기공식을 가졌다.

'''1980년대'''

1984년 《한국교원대학교 설치령》 공포와 함께 개교하였으며, 이규호 박사가 초대 총장으로 임명되었다. 1985년 권이혁 박사가 제2대 총장으로 취임하고 첫 입학생을 받았으며, 도서관이 개관하였다. 1986년에는 교육연구원종합교육연수원이, 1987년에는 박물관이 개관하였다. 1988년 신극범 박사가 제3대 총장으로 취임하였고, 부설유치원, 부설초등학교, 부설중학교가 개교하였다.

'''1990년대'''

1990년 일반대학원 계절제 석사과정이 개설되었고, 1992년 신극범 박사가 첫 직선제 총장으로 재취임하였다. 제4대학이 신설되고, 부설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 1996년 우종옥 박사가 제5대 총장으로 취임하였고, 1997년 교육대학원이 개원하였다.

'''2000년대'''

2000년 총장 간선제 도입 후 정완호 박사가 제6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2001년 초등교육과 특별편입이 시행되었고, 2003년 교육정책대학원이 개원하였다. 2004년 박배훈 박사가 제7대 총장으로, 2008년 권재술 박사가 제8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2006년에는 새로운 U.I를 선포하였고, 2008년 교육정책대학원이 교육정책전문대학원으로 전환되었다.

'''2010년대'''

2010년 교육학과가 신설되고 교육박물관이 재개관하였다. 2012년 김주성 박사가 제9대 총장으로 취임하고 유아교육원이 개원하였다. 2013년 영재교육원이 개원하고, 2014년 통합 청주시 출범으로 행정구역이 변경되었다. 2015년 대한민국 최초로 중국어교육과가 신설되었고, 2016년 류희찬 박사가 제10대 총장으로 임명되었다. 2018년 신축 도서관(미래관)이 개관하였고, 2019년 UNESCO-UNITWIN사업을 추진하였다.

'''2020년대'''

2020년 김종우 교수가 제11대 총장으로 임명되었다.

2. 1. 설립 경과

1978년 12월 한국교육개발원은 한국 교육 30년을 기념하여 각계의 여론과 학자들의 연구를 토대로 작성한 《교육발전의 전망과 과제》 보고서에서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을 통합 발전시켜 정예 교원 양성과 교육 연구의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종합 교원 교육 기관’의 설립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1980년 12월에는 대통령 산하 특수자문기관인 경제과학심의회의에서 프랑스고등사범학교를 모델로 하는 국립사범대학교의 설립이 건의되었다.[8] 한국교육개발원은 1981년 6월 《교원인사제도의 개선방향 탐색을 위한 세미나》에서 ‘교원교육종합대학교(가칭)’의 설립을 정식으로 제안하였고, 정부는 이러한 구상을 같은 해 12월 제5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 교육 부문에 반영하였다.

1982년 4월 28일 문교부는 1991년으로 예정된 중학교 의무교육 전면 실시에 대비, 적정 수의 교원 확보와 배치를 위해 초·중등 교원을 통합적으로 양성하는 교원양성종합대학교의 설립을 확정하고 설립 기본 계획안을 발표하였다.[9] 설립 기본 계획안에는 전국 규모의 대학으로 별도 설립한다는 기본 방침을 포함하여 부지 약 500000m2, 건평 약 60000m2 규모로 1985년 3월 개교한다는 계획이 담겼다. 이후 설립추진연구위원회와 임시건설본부가 구성되고 학사운영계획·교육과정·입시제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는 등 개교 준비를 시작하였다.[10]

당시 여당이었던 민정당은 긴축 예산 편성으로 인해 신규 사업을 최대한 억제해야 한다는 이유로 정부 측에 설립 연기를 건의하겠다고 밝혔으나[11], 문교부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남·북도의 10여 개 후보지를 두고 학교 설립 입지를 검토한 끝에 충청북도 청원군 강내면을 최종 위치로 확정하고 부지 확보에 나섰다.[12] 여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교원교육종합대학교의 신설 필요성이 설득력을 얻게 되었고, 1983년 2월 1일 《교원교육종합대학교 종합 기본계획》이 확정되면서 시설 규모가 구체화되었다. 같은 해 7월 5일 ‘한국교원대학교’로 명칭을 확정하였으며, 1983년 7월 14일 충청북도 청원군 강내면 다락리 부지에서 기공식을 열었다.[13]

2. 2. 1980년대

1984년 3월 15일 대통령령인 《한국교원대학교 설치령》이 공포되면서 한국교원대학교가 설립되었고, 초대 총장으로 이규호 박사가 임명되었다.[14] 같은 해 3월 27일 설치된 사무국과 교수부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에 있는 한국학술진흥재단 건물에 임시 사무실을 두고 개교를 준비했으며, 1985년 1월 10일 캠퍼스 부지에 완공된 교양학관으로 이전하였다.[15]

1985년 3월 제2대 총장에 권이혁 박사가 취임하고[16] 520명의 신입생을 받아 제1회 입학식을 하였다.[15] 같은 해 4월 17일에는 도서관이 개관하였다. 8월 30일 학부 신입생의 학비 보조 기간을 기존 1년에서 2년으로 늘리는 한국교원대학교 설치령 수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17] 10월 31일에는 제1회 개교기념식이 거행되었다.[18]

1986년 9월 1일에는 교육연구원이 개원하였으며, 11월 12일에는 종합교육연수원이 개원하였다. 1987년 11월 2일에는 박물관이 개관하였다. 1988년 2월 26일 제3대 총장에 신극범 박사가 취임하였다.[19] 3월 1일에는 일반대학원 박사과정의 개설과 함께 부설유치원, 부설초등학교, 부설중학교가 개교하였다.

2. 3. 1990년대

1990년 3월 1일, 동·하계 방학을 이용하여 3주씩, 총 3년 6학기 체제로 운영되는 일반대학원 계절제 석사과정이 개설되어 678명의 신입생이 입학하였다.[20] 1992년 2월 17일, 신극범 박사가 전체 유권자 118명 중 60표를 받아 첫 직선제 총장으로 취임하였다.[21][22] 같은 해 3월 6일, 제4대학이 신설되면서 제3대학에 있던 음악교육과, 미술교육과, 체육교육과가 제4대학으로 소속을 변경하였고, 제3대학에는 컴퓨터교육과와 기술교육과가 신설되었다. 1994년 3월 1일에는 부설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 1996년 2월 9일, 정문 옆 고층 아파트 건립 계획이 알려지면서 범대학 규모의 교육환경 사수 투쟁이 일어났으나[23], 법적 대응 끝에 ‘아파트 공사 중 지상 10층을 초과하는 부분의 공사를 금지한다’는 법원의 승소 판결을 받았을 뿐, 결국 아파트 건설을 막는 데는 실패했다. 1996년 2월 16일, 우종옥 박사가 제5대 총장으로 취임하였고[24], 같은 해 3월 1일 제3대학에 환경교육과가 신설되었다. 1997년 3월 1일에는 일반대학원 계절제 석사과정 등이 분리되어 교육대학원이 개원하였다.

학생회관 옥상에서 북쪽 방향으로 촬영한 한국교원대학교 캠퍼스의 가을 풍경

2. 4. 2000년대

2000년 1월 18일 전교 교수회의에서 총장 간선제 도입안이 통과되었고,[25] 2000년 2월 21일 간선제 방식으로 치러진 선거에서 정완호 박사가 제6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26][27]

2001년 11월 15일 교육인적자원부의 ‘초등교원 충원대책’ 방침에 따라 경기도교육청으로부터 초등교육과 특별학사편입생을 선발하기로 하고, 초등교육과 입학 정원의 400% 규모인 650명의 편입생 모집을 공고했다.[28] 전국교육대학생대표자협의회와 초등교육과의 반발에도 불구하고,[29][30] 특별편입은 성사되어 2002년 3월 5일 특별편입생 입학식이 열렸다.[31]

2003년 3월 3일 교육정책대학원이 개원하고 40명의 신입생이 입학했다.[32] 2004년 3월 2일 직선제 방식으로 전환된 총장 선거에서 박배훈 박사가 제7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33]

2006년 10월 26일 최고의 교사 양성을 의미하는 슬로건 ‘Teacher of Teachers’와 슬로건 모티프, 심볼 마크, 캐릭터 등을 포함한 새로운 U.I 선포식을 열었다.[34]

2008년 3월 2일 권재술 박사가 제8대 총장으로 취임하였고,[35] 같은 해 10월 22일 교육정책대학원이 교육정책전문대학원으로 전환 승인되었다.

2. 5. 2010년대

2010년 3월 1일, 제1대학에 교육학과가 신설되었고, 11월 16일에는 기존의 박물관이 교육박물관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같은 해 12월 2일에는 제1회 전국 대학도서관 평가에서 우수대학으로 선정되었다.[36] 2012년 3월 2일에는 김주성 박사가 제9대 총장으로 취임하였고,[37] 12월 15일에는 유아교육원이 개원하였다.[38] 2013년 4월 13일에는 제3대학 소속의 영재교육연구소가 부속시설인 영재교육원으로 확대 개편·개원하였다.[39]

2014년 7월 1일, 통합 청주시가 출범하면서 학교의 행정구역상 소재지가 '충청북도 청원군 강내면'에서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으로 변경되었다.[40] 2015년 3월 1일, 제2대학에 대한민국 대학 중 최초로 중국어교육과가 신설되어 입학식에 추궈훙(邱國洪) 주한 중국대사가 참석하기도 하였다.[41][42] 2016년 3월 14일에는 류희찬 박사가 제10대 총장으로 임명되었다.[43][44]

2018년 10월 26일에는 총사업비 2820억을 투입해 완공한 신축 도서관(미래관)이 정식 개관하였다.[45] 2019년 8월 2일에는 UNESCO-UNITWIN사업을 추진하여 교사 역량교육을 위한 교육협력 프로그램을 주관하여 실시하기로 하였다.[46]

2. 6. 2020년대

2020년 3월 27일, 한국교원대학교 제11대 총장으로 불어교육과 김종우 교수가 임명되었다.[47]

매년 가을에 열리는 동아리 대동제 행사 모습

3. 특징

한국교원대학교는 교원 양성과 교육 연구 분야에서 권위 있는 국립대학으로서,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유치원, 초등학교, 중등학교 교사를 모두 양성하는 대학교이다. 또한, 교원 연수를 제공하고 종합적인 교육 연구를 수행한다.

고등교육법 제43조에 근거하여,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의 목적을 모두 수행하는 종합교원양성대학이다.[6] 교원양성, 교원연수, 교육연구의 세 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6] 1984년 고등교육법 제43조 및 한국교원대학교 설립에 관한 대통령령에 따라 설립되었다.


  • 교원양성: 학부 과정에서 유치원, 초등학교, 중등학교 교사를 양성하며, 유·초·중등 구분 없이 복수전공을 허용한다. 졸업생에게는 교원자격증과 교육학사(B.Ed.) 학위를 수여한다.[48]
  • 교원연수: 종합교육연수원과 교육대학원을 통해 현직 교원의 재교육과 전문성 신장을 지원한다.
  • 교육연구: 대학원, 교육연구원, 유아교육원 등 학내 연구 기관들을 중심으로 실천 중심의 연구 활동을 수행한다.[62]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50] 이후 1991년부터는 교원 임용시험을 통과해야만 공립 학교 교원이 될 수 있다. 시험 도입 후에도 매년 많은 합격자를 배출하여[51][52][53] 전국 교원양성기관 중 전체 정원 대비 교원 배출 비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54][55]

최근 5개년 공립 학교 교원 임용시험 합격자 수[56][59]
구분20152016201720182019
유치원 교사211683212
초등학교 교사175172154122104
중등학교 교사313353317332353
합계509541479486469
정원대비 합격률93.1%98.9%87.6%88.8%85.9%



대한민국의 국·공립대 중 등록금이 가장 저렴하고,[70][71] 학생 장학금 수혜율이 가장 높아[72][73] 재학생들의 학비 부담은 타 대학보다 적은 편이다. 2019학년도 평균 등록금은 3180000KRW으로 전국 4년제 대학교 중 7위였다.[74]

2019학년도 학부 등록금 현황
계열입학금수업료
인문·사회계열0원1437000KRW
자연계열수학교육1437000KRW
수학교육 외
공학계열1800000KRW
체육계열1800000KRW
예술계열1951000KRW
평균0원1591400KRW


3. 1. 종합교원양성대학

고등교육법 제43조에 근거하여 설립된 한국교원대학교는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의 목적을 모두 수행하는 종합교원양성대학이다.[6] 교원양성, 교원연수, 교육연구의 세 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6] 이러한 특수성으로 인해, 다른 교육대학 총장들이 차관급 공무원으로 분류되는 것과 달리, 한국교원대학교의 총장은 장관급 공무원으로 예우받는다.

1978년 한국교육개발원은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을 통합하여 교원 양성과 교육 연구의 중심 역할을 할 종합교원교육기관 설립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1980년에는 프랑스고등사범학교를 모델로 하는 국립사범대학교 설립이 건의되었다.[8] 1981년 한국교육개발원은 '교원교육종합대학교(가칭)' 설립을 제안했고, 정부는 이를 제5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에 반영하였다.

1982년 문교부는 중학교 의무교육 실시에 대비하여 초·중등 교원을 통합 양성하는 교원양성종합대학교 설립을 확정했다.[9] 1983년 '한국교원대학교'로 명칭을 확정하고 충청북도 청원군 강내면에 부지를 마련하여 기공식을 가졌다.[13] 1984년 대통령령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설치령》이 공포되면서 설립되었고, 초대 총장으로 이규호 박사가 임명되었다.[14]

1985년 제1회 입학생 520명을 받았고,[15] 도서관이 개관하였다. 1986년에는 교육연구원종합교육연수원이 개원하였다. 1988년에는 부설유치원, 부설초등학교, 부설중학교가 개교하였다. 1990년 일반대학원 계절제 석사과정이 개설되었고,[20] 1992년 첫 직선제 총장으로 신극범 박사가 취임하였다.[21][22] 1994년에는 부설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

2000년 총장 간선제 도입 후 정완호 박사가 제6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26][27] 2001년 교육인적자원부의 ‘초등교원 충원대책’에 따라 초등교육과 특별학사편입생을 선발했다.[28] 2004년 다시 직선제로 전환된 총장 선거에서 박배훈 박사가 당선되었다.[33]

2010년 교육학과가 신설되었고, 교육박물관이 재개관하였다. 2012년 김주성 박사가 제9대 총장으로 취임하고,[37] 유아교육원이 개원하였다.[38] 2014년 통합 청주시 출범으로 행정구역상 소재지가 변경되었다.[40] 2015년 중국어교육과가 신설되었다.[41][42] 2020년 김종우 교수가 제11대 총장으로 임명되었다.[47]

3. 1. 1. 교원양성

한국교원대학교는 학부 과정을 통해 유치원, 초등학교, 중등학교 교원을 양성한다. 유·초·중등 구분 없이 복수전공을 허용하여 통합적인 교원 양성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1대학에는 유아교육과와 초등교육과를, 제2·3·4대학에는 중등학교 사범계 학과를 두고 있다. 졸업생에게는 교원자격증과 교육학사(B.Ed.) 학위를 수여한다.[48] 2018년까지 1만 7천여 명의 학부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이들 대부분은 국·공·사립 학교의 교원 및 교육전문직으로 활동하거나 교육계 학자, 관료, 연구원 등으로 일하고 있다.[49]

1990년까지 졸업생들은 원하면 자동으로 공립 학교 교원으로 임용되었으나, 1990년 10월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 이후[50] 1991년부터는 교원 임용시험을 통과해야만 공립 학교 교원이 될 수 있게 되었다. 시험 도입 후에도 매년 많은 수의 합격자를 배출하여[51][52][53] 전국 교원양성기관 중 전체 정원 대비 교원 배출 비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54][55] 2018학년도에는 총 486명의 최종 합격자를 배출하여 정원 대비 88.8%의 합격률을 기록하였고,[56] 2019학년도에는 총 469명이 최종 합격하여 전국 최고 수준의 합격률(85.9%)을 달성하였다.[57] 한국교육개발원교육부가 2018년에 실시한 5주기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에서 최고 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58]

최근 5개년 공립 학교 교원 임용시험 합격자 수[56][59]
구분20152016201720182019
유치원 교사211683212
초등학교 교사175172154122104
중등학교 교사313353317332353
합계509541479486469
정원대비 합격률93.1%98.9%87.6%88.8%85.9%


3. 1. 2. 교원연수

종합교육연수원과 교육대학원을 설치하여 현직 교원의 재교육과 전문성 신장을 돕고 있다. 종합교육연수원은 유치원장·원감, 초·중·고등학교 교장, 수석교사의 자격연수를 담당하며, 중등교원 특별양성과정, 영어교사 심화연수(IETTP), 자율형 공립고 교원 연수, 학력향상 중점학교 연수, 교원 상담역량 강화 연수 등의 직무연수를 시행해 교원의 전문성 향상을 도모한다.[60] 특히 교장 자격연수의 경우 정책 연수, 시·도 연수, 본연수로 구성된 총 204시간(31일) 중 180시간 분량의 본연수를 반드시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육연수원에서 이수하도록 하고 있어 전국의 예비 교장들은 이 과정을 거쳐야만 교장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61] 개원 이래 2019년까지 총 22만여 명의 교원을 대상으로 각종 자격연수와 직무연수를 진행했다.[49]

교육정책전문대학원은 교육정책에 대한 전문적 소양을 배양하고 실무적 이해를 증진하며, 실제적인 적용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전문대학원이다. 시·도 교육청 및 교육부의 교육전문직과 일반직 5급 공무원의 연수 기능을 담당한다. 교육정책학과 아래에 교육정책전공, 인적자원정책전공, 교육시설환경정책전공의 세부 전공이 있으며, 전공별로 2년 과정의 석사(M.Ed.) 및 3년 과정의 박사(D.Ed.) 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2019년까지 석사 798명, 박사 31명을 배출하였다.[49]

3. 1. 3. 교육연구



교육연구는 대학원, 교육연구원, 유아교육원 등 학내 연구 기관들을 중심으로 정부, 대학, 학교 현장 간 협력을 통해 실천 중심의 연구 활동을 지향하고 있다.[62] 교육연구원은 교육의 기초 이론과 교과교육, 교원교육, 교육과정, 통일교육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학교 교육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표로 한다. 최근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스마트교육정책 중점연구소’[63][64]와 '유아교육 대학중점연구소'[65]로 선정되었고, 한국과학창의재단으로부터 '창의·인성교육 거점센터'를 유치하는 등[66] 국가 재정이 투입되는 연구 사업을 다수 수행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는 지리적으로 대한민국의 중심부에 있고, 종합교원양성대학이라는 지위를 바탕으로 전국 단위의 교육 정책 관련 공청회와 학술 행사가 많이 개최된다.[67][68]

3. 2. 학비 보조

1990년까지 학부 졸업생들은 공립 학교 교원으로 자동 임용되었으나, 1990년 10월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 이후 1991년부터 교원 임용시험을 통과해야 했다.[50] 시험 도입 후에도 매년 많은 합격자를 배출하여 전국 교원양성기관 중 전체 정원 대비 교원 배출 비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54][55]

개교부터 2014년까지는 한국교원대학교 설치령에 따라 학부생 전원의 입학금과 수업료가 면제되어 기성회비만 납부하면 되었다. 2015년 3월 3일 대한민국 국회에서 '국립대학의 회계 설치 및 재정 운영에 관한 법률안'이 통과된 후 기성회비가 수업료에 편입되어, 입학금은 면제되지만 기존 기성회비만큼 수업료를 징수하게 되었다.[69]

대한민국의 국·공립대 중 등록금이 가장 저렴하고,[70][71] 학생 장학금 수혜율이 가장 높아[72][73] 재학생들의 학비 부담은 타 대학보다 적은 편이다. 2019학년도 평균 등록금은 318만원으로 전국 4년제 대학교 중 7위였다.[74] 학부 1, 2학년은 전원 사도교양교육원 입사가 의무이며, 2년간 식비를 포함한 생활관비와 피복비는 국고에서 지급된다.[5]

2019학년도 학부 등록금 현황
계열입학금수업료
인문·사회계열0원1437000KRW
자연계열수학교육1437000KRW
수학교육 외
공학계열1800000KRW
체육계열1800000KRW
예술계열1951000KRW
평균0원1591400KRW


3. 3. 사도교육과정

사도교양교육원에서 학부생을 대상으로 2년간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개교 당시 기존 교원양성 시스템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도입되었으며, 교원양성의 대안적 모델을 표방한다.[75]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 개념으로 운영되며, 졸업을 위한 학칙상의 필수 요건이므로 모든 학부 입학생은 최초 4학기 동안 의무적으로 사도교양교육원 생활관에 입사해 이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공동체 의식 및 인성 함양을 위해 서로 다른 지역 출신과 서로 다른 전공의 학생들을 룸메이트로 매칭하는 호실 배정 규정을 두고 있다.[76]

세부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신입생 대상의 공동체 인성 함양 프로그램, 2학년 대상의 리더십 함양 프로그램, THC(Teacher-Healer-Counselor) 양성 교육과정, 퍼실리테이터형 교육리더 양성과정, 명사 초청 특강, 환경 미화 활동, 호신술 교육, 심폐소생술 교육, 안전 교육 등이 있다. 각 프로그램을 이수할 때마다 소정의 사도교육과정 점수를 부여하며, 매 학기 60점 이상 취득해야 해당 학기 사도교육과정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된다. 재학 중 총 4회 이수 확인을 받아야 졸업 요건을 충족한다.[77]

3. 4. 학술 교류

북경사범대학(중국), 도쿄 가쿠게이 대학(일본), 켄터키 주립 대학교(미국) 등 51개 외국 대학과 학술 교류 협정을 체결하고 있으며, 2009년 12월 결성된 대학간 협의체인 동아시아 교원양성 국제컨소시엄의 회원 대학으로 참여하고 있다.[78] 2014년 11월에는 ‘디지털 시대의 스마트교육과 교사교육’을 주제로 제9회 동아시아 교사교육 국제심포지엄을 주관하기도 했다.[7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개 시·도 교육청 등 국내 교육 관련 기관 및 64개 국내 대학과도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80]

2013년 7월 ‘글로벌 교원양성 거점대학’(GTU, Global Teacher's University)으로 선정되어 교육부로부터 매년 2억씩, 12년간 약 23억의 사업비를 받는다. 학부와 대학원 과정에 글로벌 교원양성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해외 대학과의 공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복수학위 및 해외 교원자격증 취득을 지원한다.[81] 2015년 9월에는 길림사범대학(중국)과 공동 운영하는 ‘한‧중 유아교육전공 본과 교육 프로그램’의 첫 신입생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두 학교가 공동으로 구성하는 유아교육과정을 이수하는 학생에게 길림사범대학 학위 및 중국 유아교사 자격증을 수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중국 교육부의 정식 인가를 받아 정규 유아교사 양성과정으로 운영된다.[82]

4. 구성

한국교원대학교는 교원 양성, 교원 연수, 교육 연구라는 세 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조직을 갖추고 있으며, 행정 기구와 학술 기구로 나눌 수 있다.

행정 기구는 총장 산하에 1부 2처 1국으로 구성되어 대학 운영 전반을 지원한다. 학술 기구는 크게 학부 과정인 4개의 단과대학, 대학원 과정인 3개의 대학원, 그리고 연구 및 연수 기능을 담당하는 부속시설 및 부설학교로 구성된다.

교원 양성을 위한 학부 과정은 유아, 초등, 중등 교원 양성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며, 복수 전공을 허용한다. 졸업생에게는 교원 자격증과 교육학사(B.Ed.) 학위를 수여한다. 1985년 개교 이후 2018년까지 1만 7천여 명의 학부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이들은 대부분 교직으로 진출하여 교원, 교육전문직, 학자, 관료, 연구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49]

1990년까지는 졸업생 전원이 공립 학교 교원으로 자동 임용되었으나, 1991년부터는 교원 임용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시험 도입 이후에도 매년 높은 합격률을 기록하며, 전국 교원양성기관 중 정원 대비 교원 배출 비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54][55] 2018학년도에는 486명, 2019학년도에는 469명의 공립 학교 교원 임용시험 합격자를 배출했다.[56][57]

최근 5개년 공립 학교 교원 임용시험 합격자 수[56][59]
구분20152016201720182019
유치원 교사211683212
초등학교 교사175172154122104
중등학교 교사313353317332353
합계509541479486469
정원대비 합격률93.1%98.9%87.6%88.8%85.9%



교원 연수를 위해 종합교육연수원과 교육대학원을 운영한다. 종합교육연수원은 유치원 및 초·중·고등학교 교장, 수석교사 등의 자격 연수와 직무 연수를 담당하며, 특히 교장 자격 연수의 경우 필수적으로 이곳에서 본연수를 이수해야 한다.[61] 2019년까지 22만여 명의 교원이 연수를 받았다.[49]

교육 연구는 교육연구원, 유아교육원 등 학내 연구 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학교 현장과의 협력을 통한 실천 중심 연구를 지향한다.[62] 교육연구원은 교육 이론, 교과 교육, 교원 교육, 교육 과정, 통일 교육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며, 최근에는 한국연구재단한국과학창의재단 등으로부터 연구 사업을 수주하고 있다.[63][64][65][66]

개교 초기에는 학부생 전원의 등록금이 면제되었으나, 2015년부터는 기성회비가 수업료에 편입되어 일부 수업료를 징수하고 있다.[69] 그러나 여전히 국·공립대 중 등록금이 가장 저렴하고 장학금 수혜율이 높아 학생들의 학비 부담은 적은 편이다.[70][71][72][73] 2019학년도 평균 등록금은 318만원으로 전국 4년제 대학교 중 7위였다.[74] 또한, 1, 2학년은 생활관 입사가 의무이며, 2년간 식비, 생활관비, 피복비를 국고에서 지원받는다.[5]

2019학년도 학부 등록금 현황
계열입학금수업료
인문·사회계열0원1,437,000원
자연계열수학교육1,437,000원
수학교육 외
공학계열1,800,000원
체육계열1,800,000원
예술계열1,951,000원
평균0원1,591,400원



북경사범대학, 도쿄 가쿠게이 대학 등 해외 대학 및 동아시아 교원양성 국제컨소시엄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78] 국내 교육 기관 및 대학과도 교류하고 있다.[80] 2013년에는 '글로벌 교원양성 거점대학(GTU)'으로 선정되어 해외 대학과의 공동 교육과정 운영, 복수 학위 및 해외 교원 자격증 취득을 지원한다.[81]

총장 산하에는 11개의 부속시설과 4개의 부설학교가 있다.[83]

4. 1. 대학

한국교원대학교는 학사(B.Ed.) 과정으로 25개의 사범계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이 학과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계열별로 묶어 4개의 단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과대학 명칭은 편의상 숫자로만 표시되어 특별한 의미는 없다.[83]

단과대학구성 학과
제1대학유아교육과, 초등교육과, 교육학과
제2대학국어교육과, 윤리교육과, 영어교육과, 사회교육과, 독일어교육과, 지리교육과, 프랑스어교육과, 역사교육과, 중국어교육과
제3대학수학교육과, 가정교육과, 물리교육과, 기술교육과, 화학교육과, 컴퓨터교육과, 생물교육과, 환경교육과, 지구과학교육과
제4대학음악교육과, 미술교육과, 체육교육과[3]


4. 2. 대학원

한국교원대학교에는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교육정책전문대학원이 있다.

교육대학원은 현직 교원 재교육을 위한 특별전형 과정만 운영하며, 교육정책전문대학원은 시·도 교육청 및 교육부 교육전문직과 일반직 5급 공무원 연수 기능을 담당한다.

4. 2. 1. 일반대학원

일반대학원은 일반전형으로 선발된 학사 학위 소지자와 특별전형으로 선발된 교직 경력 3년 이상의 현직 교원에게 입학이 허용된다. 석사(M.A.) 및 박사(Ph.D.) 과정이 개설되어 있으며, 대학의 교수 요원과 기타 교육 연구 기관에서 활동할 교육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2019년까지 석사 11,118명, 박사 1,097명을 배출하였다.[49]

4. 2. 2. 교육대학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은 다른 대학교와 달리 현직 교원의 재교육을 위한 특별전형 과정만 운영하며, 원생 전원이 현직 교원으로 구성된다.[49] 교육 경력 2년 이상이면서 학사 학위를 소지한 현직 교원, 장학관, 장학사, 교육연구관, 교육연구사면 별도의 추천 없이 지원할 수 있다. 석사(M.Ed.) 과정만 개설되어 있으며, 2019년까지 9,026명의 석사 학위자를 배출하였다.[49]

4. 2. 3.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육정책전문대학원은 2년제 석사과정과 3년제 박사과정을 운영한다.[47]

5. 캠퍼스



전체 약 78만m2의 부지에 부설학교를 제외한 총 58동의 건물이 있다.[49] 2017년 기준으로 교지 확보율은 734.6%로 대한민국의 국·공립대 중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교사 확보율도 238%로 서울대학교에 이은 2위에 올라 있어 재학생 수에 비해 확보하고 있는 교지·교사 면적이 매우 넓은 편이다.[84]

캠퍼스는 서쪽 끝 정문과 동쪽 끝 제2체육관을 잇는 약 900m 길이의 청람대로가 동서축, 북쪽 후문과 청람대로 중간 지점을 잇는 느티나무길이 남북축 역할을 한다. 두 길이 만나는 지점에 중앙 로터리가 있으며, 캠퍼스 내 건물은 중심 도로축인 청람대로와 중앙 로터리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캠퍼스는 위치와 기능에 따라 중앙 지역, 교육 지역, 연수·연구 지역, 생활관 지역, 녹지 지역으로 구분된다.

캠퍼스 남쪽에는 학군단, 청람천문대, 청람황새공원, 테니스장 및 골프장이 있으며, 교육박물관 남쪽 옛 총장 공관 건물 옆에는 유아교육원이 있다. 유아교육원과 인접한 곳에 2019년 신축, 이전한 부설유치원이 있다. 부설고등학교 서쪽에는 1997년 대교그룹이 건립, 기증한[89] 교수아파트 다섯 동이 있다.

5. 1. 중앙 지역

한국교원대학교 중앙 지역은 대학의 기본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들이 모여 있는 곳이다. 총장실 및 각종 행정 부서가 있는 대학본부, 도서관(미래관・호연관), 학생회관, 교원문화관, 교육박물관이 이 지역에 위치한다. 학생회관은 2013년 8월부터[85] 2014년 12월까지 약 1년 4개월 동안 내진 보강 공사와 리모델링을 거쳐 새롭게 개관하였고,[86] 도서관은 기존 건물인 호연관 앞쪽에 연면적 14,200m2 규모의 ‘미래관’을 신축하여 2018년 10월에 확장 개관하였다.[87]

교육 학술 분야 전문도서관인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미래관)의 모습

5. 2. 교육 지역

캠퍼스 동쪽과 남쪽에는 각 단과대학이 사용하는 건물들이 모여 있다. 교양학관, 인문과학관, 종합교육관, 자연과학관, 융합과학관, 응용과학관, 음악관, 미술관, 제1체육관, 제2체육관이 이에 해당한다. 인문과학관과 종합교육관, 자연과학관과 융합과학관은 각각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 건물에는 단과대학 학장실과 행정실, 각 학과 사무실, 부속 연구소, 교수 연구실, 강의실 등이 있다. 인문과학관 앞 넓은 잔디광장은 청람대로 바로 옆에 있어 캠퍼스 어디에서든 접근성이 좋아 청람축전, 동아리 대동제, 어린이날 행사, 각종 집회 등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행사장으로 활용된다.[49]

5. 3. 연수·연구 지역



캠퍼스 북쪽 지역은 교원 연수와 교육 연구 기능을 담당하며, 중앙 로터리에서 후문으로 이어지는 느티나무길 주변에 관련 기관들이 위치한다. 느티나무길 동편에는 대학원, 교수회관, 교육연구관, 함덕당, 교원연수관, 국제연수관, 연수원 기숙사, 지진관측소가 있다. 서편에는 부설고등학교, 종합교육연수원 문화관, 함인당이 있다.[49]

5. 4. 생활관 지역

캠퍼스 북동쪽 지역에는 사도교양교육원이 운영하는 4~5층 높이의 생활관 건물들이 모여 있다. 관리동, 사랑관, 신뢰관, 청람관, 다락관, 인내관, 사임당관, 율곡관, 복지관, 퇴계관(대학원관), 지혜관이 있다.[88] 관리동에는 제1・2학생식당이 있고, 복지관에는 구내매점, 안경원, 세탁소, 체력단련실, 정보검색실, 노래방, 탁구장 등 편의 시설이 있다.

5. 5. 녹지 지역

캠퍼스는 크게 중심 도로축인 청람대로와 중앙 로터리를 중심으로 여러 구역으로 나뉜다. 녹지 지역은 청람대로 북쪽에 위치하며, 학군단, 청람천문대, 청람황새공원, 유아교육원, 부설유치원, 교수아파트 등이 이 지역에 속한다.

6. 학생 활동

한국교원대학교에는 총학생회, 동아리연합회 등 학생 자치 활동과 학내 언론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학내 언론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한국교원대신문''': 1985년 3월 31일 《한국교원대학교신문》으로 창간되었다. 1986년 3월 5일 제호를 《교원대신문》으로 변경하고 판형을 바꾸었으며, 1997년 11월 현재의 제호로 변경하여 신문방송사 국자신문편집실에서 발행하고 있다. 현재는 블랭킷판 12면으로 학기 중 6회, 동계 방학 중 1회 발행하며, 격주 월요일에 학내외에 배포한다.[98]
  • '''INDIGO''': 신문방송사 영자신문편집실에서 발행하는 계간 학내 영문 매거진이다. 1996년 10월 14일 《The Kyowondae Times》로 창간 후 16호에서 현재의 제호로 변경하였다. 2000년 11월 매거진 형태로 전환하여 발행하고 있다.[99]
  • '''KNUE TV''': 1998년 10월 16일 교내 TV 방송국으로 개국하여[100] ‘교육방송국’으로 불렸으나, 2012년 5월 1일 신문방송사 방송편성실로 통합되었다. 학내 정규방송, 입시특별생방송, 인터넷 방송 등을 담당한다.
  • '''교지 《청람문화》''': 확대운영위원회 산하 교지편집위원회에서 발행하는 책자 형식의 교지로, 연 2회 발행하며 학내와 각 대학 교지편집위원회에 무료로 배포된다.


한국교원대학교에는 체육 특기생이 없어, 학교 대항 스포츠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들은 체육교육과 학생들을 주축으로 하는 아마추어 선수들이다. 1987년 창단된 한국교원대 축구부는 대학축구연맹에 정식 팀으로 등록되어 있으나, 1988년 첫 전국대회에서 숭실대 축구부에 0대 19로 패한 것을 시작으로 연패를 기록하고 있다.[101][102] 2015년에는 농구부를 창단하여 대한농구협회에 등록 후 전국대학농구대회에 출전하였으나 예선에서 전패하였다.[103]

6. 1. 총학생회

총학생회는 학생들의 요구를 대외적으로 관철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학생 자치 기구이다. 1985년 4월 2일에 제1대 총학생회장단을 선출하고 집행부를 구성하면서 발족하였다.[90] 총학생회는 1988년 관선총장 취임에 반대하며 학원 자율화를 요구하는 취임식 농성을 시작으로,[90] 국가고시제 도입 철회를 위한 총장실 점거 농성과 수업거부 투쟁,[91] 1991년 반민자당 투쟁 및 동맹휴업 결의,[92] 1999년 학부 정원 축소 및 총·학장 선출의 간선제 도입 등 6개 구조조정안에 대한 저지 투쟁,[93][94] 2005년 기성회비 인상 반대 총궐기[95] 등을 주도하며 학내·외의 크고 작은 사안에 대해 학생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역할을 해오고 있다.

또한 새내기 미리 배움터, 해오름식, 청람축전(대동제), 명사 초청 특강, 교육봉사 활동, 귀향버스 운행, 퇴사택배 사업 등을 기획하고 추진하는 일도 맡고 있다. 매년 선거를 통해 총학생회장과 부총학생회장을 선출하고 있으며, 학생 복지를 관장하는 학생복지위원회와 자치 언론인 교지편집위원회가 총학생회의 하위 기구로 설치되어 있다.[96]

6. 2. 동아리연합회

동아리연합회는 공연 분과, 사회 분과, 전시 분과, 종교 분과, 체육 분과, 학술 분과 소속의 40여 개의 동아리로 구성된 학생 자치 기구이다.[97] 매년 10월에는 동아리 대동제를 개최한다.[97]

6. 3. 학내 언론

총학생회는 1985년 4월 2일에 제1대 총학생회장단을 선출하고 집행부를 구성하면서 발족하였다.[90] 총학생회는 학생들의 요구를 대외적으로 관철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학생 자치 기구이다.[96]

6. 4. 스포츠팀

주어진 원본 소스에 스포츠팀 관련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동일)

7. 사건·사고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7. 1. 농활 대학생 익사 사고

참조

[1] 웹사이트 Characteristics http://en.knue.ac.kr[...]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6-04-03
[2] 웹사이트 Scholarships http://en.knue.ac.kr[...]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6-04-03
[3] 웹사이트 School http://en.knue.ac.kr[...]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6-04-03
[4] 웹인용 대학알리미 대학개별공시 http://academyinfo.g[...] 대학정보공시센터 2021-05-13
[5] 웹인용 한국교원대학교 설치령 https://www.law.go.k[...] 한국교원대학교 2021-06-16
[6] 웹인용 본교의 특색 https://knue.ac.kr/i[...] 한국교원대학교 2021-06-16
[7] 웹인용 학위과정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http://grad.knue.ac.[...]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06-17
[8] 웹사이트 https://www.archives[...]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2021-06-17
[9] 웹인용 교원양성종합대학교 설립추진 http://www.archives.[...] 문교부 2021-06-22
[10] 뉴스 師範大·교육대 내년부터 敎員大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2-04-28
[11] 뉴스 民正,敎員大 설립 延期 건의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2-07-08
[12] 뉴스 敎員大 장소 확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2-09-01
[13] 뉴스 敎員대학교 起工 85년에 開校 계획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3-07-14
[14] 뉴스 한국敎員大 총장에 李奎浩씨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3-20
[15] 뉴스 본교 역사적 첫 입학식 한국교원대학교소식 1985-03-05
[16] 뉴스 權彜赫 敎員大 총장 內定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5-02-27
[17] 뉴스 教員大 기숙사學生 2年 동안 경비지급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5-08-30
[18] 뉴스 全大統領 教員大 개교식 致辭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5-10-31
[19] 뉴스 敎員大 총장 愼克範씨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8-02-16
[20] 뉴스 계절제 대학원을 알아본다 교원대신문 1990-04-12
[21] 뉴스 신극범 후보 최다 득표 교원대신문 1992-01-29
[22] 뉴스 교원대 신극범 총장 유임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2-02-08
[23] 뉴스 교원대 정문옆에 아파트건설 웬말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6-07-26
[24] 뉴스 교원대 총장 禹鍾玉씨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6-02-17
[25] 뉴스 총장 간선제 시행 결정 한국교원대신문 1999-10-25
[26] 뉴스 6대 총장 선거결과 정완호 총장 당선 한국교원대신문 2000-02-22
[27] 뉴스 정부, 한국교원대 총장에 정완호 교수 임명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00-02-20
[28] 뉴스 경기도 교육청 특별학사편입 공고 한국교원대신문 2001-11-26
[29] 뉴스 교대협, 특별편입제 법적 대응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1-11-09
[30] 뉴스 4개교대 특별편입학 무효가처분신청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1-11-21
[31] 뉴스 초등교육과 특별편입 학사일정 시작 한국교원대신문 2002-03-18
[32] 뉴스 교육정책대학원 개원 한국교원대신문 2003-03-17
[33] 뉴스 교원대 총장에 박배훈씨 https://news.naver.c[...] 한겨레 2004-03-04
[34] 뉴스 한국교원대 새 U.I 개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10-23
[35] 뉴스 한국교원대 권재술 총장 취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3-18
[36] 뉴스 전국 대학도서관 평가 1위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0-12-01
[37] 뉴스 한국교원대 제9대 김주성 총장 취임 http://www.kyosu.net[...] 교수신문 2012-03-08
[38] 뉴스 교원대 대학중 처음 유아교육원 개원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2-11-15
[39] 웹인용 연혁 http://www.knue.ac.k[...] 한국교원대학교 2013-08-09
[40] 뉴스 인구 84만명 통합 청주시 출범 http://www.hani.co.k[...] 한겨레 2014-06-30
[41] 뉴스 한국교원대 국내 최초 中교육과 신설…9명 입학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2-28
[42] 뉴스 추궈홍(邱國洪) 주한 중국대사, 교원대 입학식 참석 http://www.inews365.[...] 충북일보 2015-03-02
[43] 뉴스 교원대 신임 총장에 류희찬 교수 http://app.yonhapnew[...] 연합뉴스 2016-03-14
[44] 뉴스 한국교원대 10대 총장에 류희찬 교수 임명 http://news.unn.net/[...] 한국대학신문 2016-03-14
[45] 웹인용 신축도서관 개관식 행사 알림 https://lib.knue.ac.[...]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2021-06-22
[46] 뉴스 한국교원대, UNESCO-UNITWIN 국제세미나 개최 http://edu.donga.com[...] 에듀동아 2019-06-18
[47] 웹인용 김종우 교수 총장 임명 https://news.knue.ac[...] 2021-06-18
[48] 웹인용 대학안내 http://www.knue.ac.k[...] 한국교원대학교 2013-10-10
[49] 웹인용 2019년 학교통계연보 https://www.knue.ac.[...] 한국교원대학교 2021-06-18
[50] 뉴스 국공립 師大 출신 우선임용 교육공무원법 違憲 결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0-10-08
[51] 뉴스 한국교원대·공주대·이화여대 2년째 교원시험 최다 합격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5-10-02
[52] 뉴스 교원대 임용고사 합격률 전국 최고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6-11-08
[53] 뉴스 한국교원대, 2013학년도 교원임용시험에 455명 합격 http://news1.kr/arti[...] 뉴스1 2013-03-07
[54] 뉴스 선생님 꿈, 대학 교직과정 이수한 학생 4.6%만 이뤄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0-05-12
[55] 뉴스 한국교원대, 교사 임용시험 전국 최고 합격률 http://www.inews365.[...] 충북일보 2014-02-26
[56] 웹인용 한국교원대, 교원 임용시험 합격률 전국 최고 수준 http://www.knue.ac.k[...] 한국교원대학교 2018-02-27
[57] 웹인용 우리대학, 교원 임용시험 합격률 전국 최고 수준 https://www.knue.ac.[...] 한국교원대학교 2019-02-25
[58] 뉴스 한국교원대, 전국 최우수 교원양성기관 인정받아 http://www.anewsa.co[...] 노컷뉴스 2019-01-01
[59] 뉴스 우리 대학, 교원 임용시험 합격률 전국 최고 수준 https://www.knue.ac.[...] 한국교원대 청람동정 2019-02-25
[60] 웹인용 연수과정 안내 http://tcie.knue.ac.[...]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육연수원 2013-10-18
[61] 웹인용 교장자격연수 http://tcie.knue.ac.[...]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육연수원 2013-10-31
[62] 뉴스 한국교원대, 교과용 도서연구개발기관 선정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7-06-08
[63] 뉴스 한국교원대 스마트교육 정책중점연구소에 선정 http://www.hangyo.co[...] 한국교육신문 2013-07-22
[64] 웹인용 「스마트교육정책중점연구소」 개소식 행사 개최 http://www.knue.ac.k[...] 한국교원대학교 2013-12-10
[65] 웹인용 한국교원대 유아교육원 '대학 중점연구소' 선정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9-09
[66] 뉴스 한국교원대, 창의·인성교육 거점센터 선정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5-06-04
[67] 뉴스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공청회 http://news1.kr/arti[...] 뉴스1 2014-09-11
[68] 뉴스 "초등 교과서 漢字, 병기 또는 각주로 넣겠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5-08-25
[69] 뉴스 불법 논란 기성회비 52년만에 폐지…수업료로 받는다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5-03-03
[70] 뉴스 교원대 국공립대중 등록금 가장 저렴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6-09-26
[71] 뉴스 '천차만별' 대학 입학금..고대 '103만원' vs 한국교원대 '0원'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3-11-29
[72] 뉴스 국공립대 장학금 수혜율 한국교원대 1위 http://news.unn.net/[...] 한국대학신문 2009-10-14
[73] 뉴스 “국가장학금은 우리것” https://news.naver.c[...] 한겨레 2003-07-12
[74] 뉴스 충북서 등록금 가장 싼 대학은 교원대, 비싼 곳은 청주대 https://newsis.com/v[...] NEWSIS 2019-10-04
[75] 웹인용 사도교육과정 안내 http://rec.knue.ac.k[...] 한국교원대학교 사도교육원 2013-08-09
[76] 웹인용 사도교육원 규정시행세칙 http://rec.knue.ac.k[...] 한국교원대학교 사도교육원 2013-08-09
[77] 웹인용 사도교육과정 개요 http://rec.knue.ac.k[...] 한국교원대학교 사도교육원 2014-12-09
[78] 웹인용 동아시아 교원양성 국제컨소시엄 조직 소개 http://www.u-gakugei[...] 동아시아 교원양성 국제컨소시엄 2013-11-01
[79] 웹인용 제9차 동아시아 교사교육 국제심포지엄 개최 http://knue.ac.kr/ma[...] 한국교원대학교 2014-12-09
[80] 웹인용 학술교류협정 체결대학 https://www.knue.ac.[...] 한국교원대학교 2021-06-18
[81] 뉴스 2013년 「글로벌 교원양성 거점대학(GTU) 지원사업」 지원대학 선정 http://www.korea.kr/[...] 공감코리아 2013-07-09
[82] 웹인용 “교원대 길림 프로젝트”, 유아교육의 한류를 이끌다 http://knue.ac.kr/bo[...] 한국교원대학교 2015-09-18
[83] 웹인용 한국교원대학교 조직도 http://www.knue.ac.k[...] 한국교원대학교 2018-03-08
[84] 웹인용 <대교연 통계> 교지·교사 http://khei-khei.tis[...] 대학교육연구소 2018-06-18
[85] 웹인용 학생회관 입주 부서·단체별 이전 일정 안내 http://www.knue.ac.k[...] 한국교원대학교 2013-08-09
[86] 웹인용 학생회관 준공식 일정 안내 http://bbs.knue.ac.k[...] 한국교원대학교 2014-12-08
[87] 웹인용 신축 도서관 개관, 지역과 함께, 이웃과 함께 더불어 상생하는 도서관 될 것 http://www.knue.ac.k[...] 한국교원대학교 2018-10-26
[88] 웹인용 기숙사 안내 https://knue.ac.kr/i[...] 한국교원대학교 2021-06-23
[89] 뉴스 교원대 교수아파트 기증식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9-30
[90] 뉴스 신임총장 취임반대 시위 교원대신문 1988-03-17
[91] 뉴스 총장실 점거 농성과 수업거부 투쟁 교원대신문 1988-06-08
[92] 뉴스 반민자당 투쟁 전국 확산 교원대신문 1991-05-15
[93] 뉴스 교원대 구조조정, 정당한가? 한국교원대신문 1999-05-31
[94] 뉴스 교원대 총학생회, 정원 축소 철회 등 요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10-19
[95] 뉴스 교원대 총학생회, 총장실 집기 들어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03-16
[96] 웹인용 총학생회 https://knue.ac.kr/i[...] 한국교원대학교 2021-06-23
[97] 웹인용 동아리연합회 https://knue.ac.kr/i[...] 한국교원대학교 2021-06-23
[98] 웹인용 한국교원대학교 신문 https://news.knue.ac[...] 한국교원대학교 신문사 2021-06-23
[99] 웹인용 INDIGO http://www.knue.ac.k[...] 한국교원대학교 2021-06-23
[100] 뉴스 교내 TV방송국 개국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8-10-29
[101] 뉴스 통산 전적 50승 50패 한국교원대 축구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8-08-12
[102] 뉴스 '너희가 골맛을 알아?' 행복한 만년꼴찌 축구부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07-06-27
[103] 뉴스 [31MBC배] 승리 보다 값진 패배, MBC배 처녀 출전한 ‘교원대’ http://sports.news.n[...] 점프볼 2015-07-23
[104] 뉴스 農活 대학생 2명 실종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0-06-28
[105] 뉴스 죽음부른 不法 골재채취 웅덩이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0-07-02
[106] 뉴스 익사한 농활 대학생 의사상자 보상 건의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0-06-30
[107] 뉴스 어린이 구하려다 익사 농활학생 보상금 지급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0-07-31
[108] 웹인용 KNUE Historical Trail 30 http://essaycontest.[...] 한국교원대학교 2015-10-1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