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 민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 민요는 특정 지역에서 불리는 소박한 토속 민요와 전문 소리꾼에 의해 발전된 통속 민요로 구분된다. 한국 민요는 지방에 따라 가락이 다르며, 경서도 민요, 남도 민요, 동부 민요, 제주도 민요로 분류된다. 경서도 민요는 경기 민요와 서도 민요로 나뉘며, 각 지역의 특징적인 가락과 대표적인 민요를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민요 - 아리랑
    아리랑은 19세기 이후 등장한 한국의 민요로, 슬픔과 희망을 담은 멜로디가 특징이며, 다양한 종류와 어원 해석이 존재하고, 일제강점기 저항의 노래, 남북 분단 이후 통일 염원의 노래로 불렸으며, 유네스코 무형유산으로 등재되어 대중문화에 널리 활용된다.
  • 한국의 민요 - 서도소리
    서도소리는 한반도 서부 지역에서 전승되는 민요로, 짧은 장절 형식의 민요, 긴 통절 형식의 잡가, 한시를 읊는 시창으로 나뉘며 수심가, 난봉가, 산염불 등이 대표적이고, 수심가토리 가락과 속청, 본청 창법을 특징으로 하며 관산융마, 배뱅이굿 등으로도 전승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한국 민요

2. 전문성에 따른 구분

한국 민요는 대개 같은 가락의 사설을 1절, 2절 바꿔 부르는 장절형식(章節形式)이 많고, 흔히 후렴이 붙는다. 전파 정도와 음악적 세련도에 따라 토속민요와 통속민요(창민요)로 구분할 수 있으며, 불리는 지방에 따라 남도민요, 경서민요(京西民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1. 토속 민요

토속민요는 어느 국한된 지방에서 불리는 매우 소박한 민요로, 사설이나 가락이 극히 소박하고 향토적이다. 특히 지역적인 차이가 심하여 고개 하나만 건너도 가락이 달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대개 노동요(勞動謠)·부녀요(婦女謠)·동요(童謠) 등에 많은데, 예를 들면 경상도 모내기, 전라도 김매기, 제주도 해녀 노래, 경상도 메나리, 각 지방 상여 소리 등을 들 수 있다.

2. 2. 통속 민요

통속민요는 유행민요 또는 예술민요라고도 불리며, 그 기원은 토속민요에 있으나 전문 소리꾼들에 의하여 음악적으로 세련되고 다채롭게 발전하여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민요를 말한다. 창민요의 사설은 옛 시구(詩句)나 중국 고사(故事)를 인용하거나 상투적인 내용이 많고, 가락은 장절(章節)마다 달리 변주되는 것이 많다. 예를 들면 전라도 육자배기, 평안도 수심가, 경기도 창부타령, 남도의 성주풀이 등이다.

3. 지방에 따른 구분

한국 민요는 불리는 지방에 따라 가락이 다르다. 크게 경서도 민요와 남도 민요로 나뉘며, 제주도 민요는 별도로 구분된다. 경서도 민요는 다시 경기 민요와 서도 민요로 나뉜다. 각 지방의 민요는 행정구역에 따라 더 세분화되기도 한다.

3. 1. 경서도 민요

경서도 민요는 경기도와 황해도, 평안도 지방의 민요를 아우르는 말이다.

3. 1. 1. 경기 민요

서울을 중심으로 경기도와 그 주변에서 불리는 민요이다. 장단은 굿거리·자진타령·세마치 등이 쓰인다. 가락은 온음 5음계로 되었고 비교적 음의 편중이 적다. 솔(Sol)로 마치는 창부타령형(倡夫打令型), 라(La)로 마치는 한강수타령, 도(Do)로 마치는 경복궁타령형이 있다. 경기민요는 대개 흥겹고 구성지고 경쾌하다. 노랫가락, 창부타령, 이별가, 청춘가, 도라지타령, 사발가, 베틀가, 오봉산타령, 오돌또기, 양류가, 방아타령, 자진방아타령, 양산도, 한강수타령, 경복궁타령, 개성난봉가, 늴리리야, 군밤타령, 는실타령, 건드렁타령, 아리랑, 긴아리랑, 청춘가, 노들강변 등이 경기 민요에 해당하며, 대표적인 것은 창부타령방아타령이다. 경기민요는 서울, 경기, 충청 지역에서 불리던 것으로, 대체로 음색이 맑고 부드러우며 서정적이다. 경기민요에서 사용되는 토리는 경토리이며 솔, 라, 도, 레, 미의 5음 음계를 사용한다.

3. 1. 2. 서도 민요

서도 민요는 황해도와 평안도 지방에서 불리던 민요이다. 콧소리를 섞어 부르는 것이 특징이며, 애수적이고 감상적인 느낌을 준다. 수심가토리로 되어 있으며, '레', '미', '솔', '라', '도'의 5음 음계를 사용한다. 대표적인 곡으로는 산염불, 긴아리, 자진아리, 수심가, 싸름 등이 있다.

3. 2. 동부 민요

함경도, 강원도, 경상도 지역에서 불리는 민요를 동부민요라 한다. 동부 민요는 지역에 따라 특징이 다른데, 함경도와 강원도는 한탄조, 탄식조가 많고, 경상도는 경쾌하며 빠른 곡조의 곡이 많다. 메나리토리를 사용하며, '미, 솔, 라, 도, 레'의 5음 음계를 사용한다. 밀양아리랑, 쾌지나칭칭나네, 한오백년, 강원도아리랑, 정선아리랑 등이 대표적이다.

3. 3. 남도 민요

남도 지역의 민요는 굵은 목을 사용하여 굵게 떨거나 꺾는 음 등의 시김새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육자배기 토리로 되어 있으며, 미, 라, 시의 3음 음계를 사용한다. 대표적인 곡으로는 새타령,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농부가, 진도아리랑 등이 있다.

3. 4. 제주도 민요

제주도에서는 수많은 민요가 불리는데, 대부분 토속민요이다. 널리 알려진 창민요로는 오돌또기와 이야홍타령이 있다. 제주도 토속민요는 자유리듬이 많고, 굿거리 장단과 같은 고정 리듬도 있다. 가락은 대개 레로 마치는 것이 많다. 제주도 방언을 사용하여 이국적인 느낌이다. 특정 토리는 없다. 대표곡으로 이어도사나, 이야홍타령, 오돌또기, 너영나영 등이 있다.

4. 각 지방별 민요 상세

각 지방별 민요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경상도 민요: 빠른 가락이 많으며, 세마치 장단(밀양아리랑)이나 굿거리 장단(골패타령, 쾌지나칭칭)이 사용된다. 가락은 메나리조이지만, 빠른 곡들은 씩씩하고 꿋꿋한 느낌을 준다. 밀양아리랑, 울산아가씨, 쾌지나칭칭, 뱃노래, 튀전타령, 골패타령, 담바구타령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 전라도 민요: 토속민요와 창민요의 가락이 다른 경우가 많다. 창민요는 대부분 육자배기형 선율을 띠지만, 토속민요는 육자배기형이 아닌 경우가 많다. 중모리(흥타령, 긴농부가), 중중모리-굿거리(개구리타령, 자진농부)가 가장 많고, 진양(육자배기)과 자진모리(까투리타령)도 있다. 느린 가락의 민요는 슬픈 느낌을 주고, 빠른 가락의 민요는 구성지고 멋스럽다.

  • 강원도 민요: 아리랑과 관계가 깊으며, 메나리조로 된 느린 가락은 애절한 느낌을 준다. 강원도 민요, 정선아리랑, 한오백년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5박 장단(강원도아리랑)·세마치(정선아리랑)·중모리(한오백년)가 있다.

  • 함경도 민요: 강원도 민요와 비슷하지만, 비교적 빨라서 애절함 속에 거센 느낌이 있다. 신고산타령, 애원성, 궁초댕기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장단은 볶는타령(신고산타령) 혹은 잦은 굿거리(애원성)가 쓰인다.

  • 황해도 민요: 수심가형이 많지만, 경기도 민요와 비슷한 부분도 있다. 평안도 민요보다 밝고 서정적이며 구성진 가락도 보인다. 산염불, 자진염불, 긴난봉가, 자진난봉가, 사리원난봉가, 병신난봉가, 몽금포타령, 수천난봉가 등이 있으며, 산염불과 긴난봉가가 대표적이다.

  • 평안도 민요: 사설이 길고 후렴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자유 리듬이나 불규칙 장단으로 된 것이 많다. 수심가, 배따라기, 긴아리랑 등이 대표적이다. 짧은 사설에 고정 장단으로 된 것도 있는데, 이것들은 도드리 장단이 쓰인다.

4. 1. 충청도 민요

충청도에서 불리는 창민요는 경기도 민요를 부르거나 전라도 혹은 강원도 민요를 부르기 때문에 충청도 창민요가 따로 없다. 경기흥타령이 첫마루 사설에 천안삼거리라는 지명이 나온다 하여 충청도 민요로 알려진 것 같다.

4. 2. 평안도 민요

평안도 민요는 사설이 길고 후렴이 없어 잡가와 같이 된 것이 많으며(수심가, 배따라기 등), 자유 리듬이나 불규칙 장단으로 된 것이 많다(수심가, 배따라기, 긴아리랑 등). 한편 짧은 사설에 고정 장단으로 된 것도 있는데, 이것들은 도드리 장단이 쓰인다. 가락은 수심가형(愁心歌型)으로 되었다. 널리 알려진 평안도 민요로는 수심가, 배따라기, 자진배따라기가 있다.

4. 3. 황해도 민요

황해도에서 불리는 민요들은 중모리 장단, 빠른 것은 자진굿거리 장단으로 친다. 가락은 수심가형이 많으나 목 구성이 다르고, 경기도 경복궁타령이나 한강수타령과 비슷한 부분도 있다. 평안도 민요처럼 처절하지 않고, 보다 밝고 서정적이며, 한편 구성진 가락도 보인다. 산염불, 자진염불, 긴난봉가, 자진난봉가, 사리원난봉가, 병신난봉가, 몽금포타령, 수천난봉가 등이 있으며, 산염불과 긴난봉가가 대표적이다.

4. 4. 강원도 민요

강원도에서 불리는 민요 중 널리 알려진 것은 강원도 민요, 정선아리랑, 한오백년 등이다. 이 세 민요들은 모두 아리랑과 관계가 있는 민요인 것으로 봐서, 각도에 흩어진 아리랑 민요들의 원형이 강원도 민요에서 나왔다고 하겠다. 강원도 민요에는 5박 장단(강원도아리랑)·세마치(정선아리랑)·중모리(한오백년)가 있지만, 어느 것이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인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가락은 이른바 메나리조로 되었고, 느린 가락은 퍽 애절한 느낌을 준다.

4. 5. 함경도 민요

함경도에서 널리 알려진 민요는 신고산타령, 애원성, 궁초댕기 등이다. 함경도 민요 가락은 강원도 민요 가락과 비슷하다. 강원도 민요는 느린 가락으로, 애절한 가락이 많으나, 함경도 민요는 비교적 빨라서 애절한 중에도 거세게 들린다. 장단은 볶는타령(신고산타령) 혹은 잦은 굿거리(애원성)가 쓰인다. 선율은 강원도 메나리조와 비슷하나 음 조직과 시김새가 좀 다르다.

4. 6. 경상도 민요

경상도 지방에서 불리는 토속민요는 강원도와 같이 느린 것도 있으나( 메나리, 초부가 ) 대개는 빠른 가락이 많다. 세마치(밀양아리랑)·굿거리(골패타령, 쾌지나칭칭) 등이 쓰인다. 가락은 강원도와 같이 메나리조로 되었으나, 빠른 가락으로 된 것들은 슬픈 느낌보다 오히려 씩씩하고 꿋꿋하다. 경상도 지방에서 널리 알려진 창민요는 밀양아리랑, 울산아가씨, 쾌지나칭칭, 뱃노래, 튀전타령, 골패타령, 담바구타령 등이 있다. 토속민요로는 메나리, 초부가 따위가 알려졌고, 근래에는 이 지방 토속민요가 개발되어 보리타작, 상주 모내기, 통영 개타령 따위가 알려졌다. 성주풀이는 경상도 민요로 치나 근원은 다른 데에 있는 것 같다.

4. 7. 전라도 민요

전라도에서 불리는 민요는 토속민요와 창민요의 가락이 다른 경우가 많다. 창민요는 대부분 육자배기형 선율을 띠지만, 토속민요는 육자배기형이 아닌 경우가 많아 주목된다. 창민요의 장단은 중모리(흥타령, 긴농부가), 중중모리-굿거리(개구리타령, 자진농부)가 가장 많고, 진양(육자배기)과 자진모리(까투리타령)도 있다. 느린 가락의 민요는 슬픈 느낌을 주고, 빠른 가락의 민요는 구성지고 멋스럽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