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스 아스페르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아스페르거는 오스트리아의 소아과 의사이자,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알려진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한 유형을 처음으로 정의한 인물이다. 그는 1944년 자폐성 정신병을 정의하고, 사회성 부족, 일방적 소통, 특정 대상에 대한 과도한 몰입 등의 특징을 보이는 아이들을 관찰했다. 아스페르거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정권과 협력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그의 이름을 딴 "아스퍼거 증후군" 명칭 사용에 대한 윤리적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 나치 -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에른스트 칼텐브루너는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법학을 전공하고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나치당과 친위대에서 활동하며, 독일의 오스트리아 합병 후 공안 담당 국무장관과 국가안전본부 국장을 역임하며 유대인 학살을 주도했고,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되었다.
  • 오스트리아 나치 - 하인리히 하러
    하인리히 하러는 오스트리아의 탐험가, 등반가, 작가로, 아이거 북벽 초등정에 성공하고 티베트에서 7년간 체류하며 달라이 라마와 친분을 맺었으며, 저서 《티베트에서의 7년》을 통해 티베트의 상황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 오스트리아의 의사 - 한스 셀리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 캐나다의 내분비학자이자 의사인 한스 셀리에는 스트레스 연구의 선구자로, 일반적응증후군 이론을 제시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의 비특이적 반응을 설명했으며, 정신신체의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국제 스트레스 연구소를 설립하는 등 스트레스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 오스트리아의 의사 - 빅토르 프랑클
    빅토르 프랑클은 실존 분석과 로고테라피를 창시하고 나치 강제 수용소 경험을 바탕으로 삶의 의미를 탐구한 오스트리아 출신 신경정신과 의사이자 심리학자이다.
  • 나치 우생학 - T4 작전
    T4 작전은 나치 독일이 우생학에 기반하여 유전 질환이나 정신 질환을 가진 사람들을 살해한 강제 안락사 계획으로, 홀로코스트의 전조가 되었으며 관련자들은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처벌받았다.
  • 나치 우생학 - 의사 재판
    의사 재판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 군사 법정에서 나치 독일의 비윤리적 인체 실험과 안락사 프로그램에 관여한 의사들을 기소한 재판으로, 의학 윤리와 인권에 대한 선례를 남기고 뉘른베르크 강령 제정의 계기가 되었다.
한스 아스페르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40년대의 아스페르거
1940년대의 모습
본명요한 프리드리히 카를 아스페르거
출생1906년 2월 18일
출생지오스트리아-헝가리
사망1980년 10월 21일
사망지오스트리아 빈
직업의사
전문 분야소아과학
연구 분야자폐증
소속 기관빈 대학교 아동 병원
학력빈 대학교
알려진 업적"자폐성 정신병"에 대한 저술
아스페르거 증후군의 에포님

2. 생애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아스페르거는 추축국 군의관으로 유고슬라비아 전선에서 복무했다. 그의 남동생은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전사했다.[47] 전쟁이 끝날 무렵, 아스페르거는 간호사 빅토리네 자크와 함께 아이들을 위한 학교를 세웠으나, 학교는 폭격으로 파괴되고 빅토리네 자크도 사망했으며, 아스페르거의 초기 저작들 역시 소실되었다.[48]

아스페르거는 1944년에 자폐성 정신병(autistic psychopathy)을 정의하는데,[49][50] 공감 능력이 부족하고 사회성이 떨어지며 일방향 소통을 하고, 특정 대상에 과도하게 몰입하며, 어색한 운동기능을 보이는 네 명의 소년을 관찰한 결과였다.[48] 이후 아스페르거는 자폐성 정신병으로 분류했던 아이들 중 일부가 특별한 재능을 발휘하여 천문학 교수가 되는 모습을 보았고,[51][52]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엘프리데 옐리네크도 그의 환자였다.[53]

1944년, 아스페르거는 자폐성 정신병 발견 공로로 빈 대학교에서 테뉴어 교수직을 얻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한스 아스페르거는 1906년 2월 18일 오스트리아 근교의 농장에서 태어났다.[1] 그는 세 아들 중 장남이었으며, 어린 시절 친구를 사귀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언어에 재능을 보였으며, 특히 오스트리아 시인 프란츠 그릴파르처의 작품을 좋아하여 자주 인용했다.

아스페르거는 빈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고, 프란츠 함부르거 밑에서 실습했다. 1931년에 의학 학위를 받았으며, 1932년에는 빈 대학교 아동 병원의 특수 교육 부서 책임자가 되었다.

2. 2. 나치 시대와의 연관성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아스페르거는 추축국 군의관으로 유고슬라비아 전선에서 복무했다.[28][29] 그의 동생은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전사했다.[47] 아스페르거는 나치와 협력하여[31] "부적격자"로 간주되는 아이들을 암 슈피겔그룬트 클리닉으로 이송할 것을 권장했다. 그곳에서 수십 명의 아이들이 살해되었다.[32][33][34] 아스페르거는 자신의 환자를 나치로부터 보호하고 게슈타포에게 아이들을 넘겨주는 것을 거부하고 싶었다고 주장했다.[35]

아스페르거는 1934년 5월 10일에 오스트리아 조국 전선에 가입했는데, 이는 엥겔베르트 돌푸스 오스트리아 수상이 독재자가 되는 새로운 헌법을 통과시킨 지 9일 후였다.[46]

2. 3. 전후 활동 및 사망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아스페르거는 빈 대학교 소아과 병원 소아과 주임 교수로 20년간 재직했다.[54] 이후 인스브루크로 옮겨 근무했다. 1964년부터는 힌터브륄의 SOS 어린이 마을 대표직을 맡았다.[54] 1977년에 명예 교수가 되었으며,[54] 1980년에 사망했다.

3. 업적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아스페르거는 추축국유고슬라비아 전선에서 복무했다. 그의 남동생은 스탈린그라드에서 사망했다.[47] 전쟁이 끝날 무렵, 아스페르거는 간호사 빅토리네 자크와 함께 아이들을 위한 학교를 세웠으나 학교는 폭격으로 파괴되고 빅토리네 자크도 사망했으며, 그의 초기 저작들도 함께 소실되었다.[48]

1944년, 아스페르거는 자폐성 정신병을 발견한 공로로 빈 대학교에서 테뉴어 교수직을 얻었다. 전쟁 후 빈 대학교 소아과장을 맡아 20년간 근무했고, 이후 인스브루크에서 근무했다. 1964년 초 힌터브륄의 SOS 어린이 마을 대표직을 맡았으며,[54] 1977년에 명예교수가 되었다. 1994년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 4차 개정판에서 그의 업적을 기념하여 아스퍼거 증후군이 새로 분류되었으나,[55] DSM-5에서는 자폐 스펙트럼의 하위 분류에 포함되었다.[56]

3. 1. 아스페르거 증후군의 정의

1944년, 한스 아스페르거는 4명의 소년을 관찰하여 "공감 능력 부족, 친구 관계 형성 능력 부족, 일방적인 대화, 특정 관심사에 대한 강한 몰두, 어색한 동작" 등의 행동 및 능력 패턴을 규명했다.[30] 그는 이를 "자폐증적 정신병질"이라고 칭하며, 아스페르거 증후군의 최초 정의를 제시했다.

당시에는 자폐증이라는 개념이 지금과 달랐으며, 여기서 "자폐적"은 조현병의 무위자폐와 같은 상태를 의미한다. 아스페르거는 아스페르거 증후군을 가진 아이들이 관심사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말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그들을 "작은 교수들"이라고 불렀다.

아스페르거는 자신이 자폐성 정신병으로 진단한 아이들 중 일부가 특별한 재능을 발휘하여 천문학 교수가 되는 것을 보았다.[51][52] 그의 환자 중에는 노벨 문학상 수상자 엘프리데 옐리네크도 있었다.[53]

아스페르거의 긍정적인 아스페르거 증후군 관점은 레오 카너의 자폐증 기술과 대조적이지만, 둘은 같은 상태를 지칭하고 있다.[27]

3. 2. 주요 논문


  • Die "Autistischen Psychopathen" im Kindesalter|소아기 자폐성 정신병질자de (1944)
  • Zur Differentialdiagnose des kindlichen Autismus|소아 자폐증의 감별 진단에 대하여de (1968)
  • Problems of infantile autism|유아 자폐증의 문제영어 (1979)

4. 윤리적 논쟁 및 비판

2010년대 후반, 역사학자 헤르비히 체흐와 에디스 셰퍼 등의 연구를 통해 아스페르거가 나치 정권의 인종 위생 정책에 협력하고, 장애 아동들을 안락사 시설로 보내는 데 관여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8][9][10] 이러한 사실은 아스페르거의 업적에 대한 윤리적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아스페르거 증후군' 명칭 사용에 대한 재고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4. 1. 나치 협력 의혹

2010년대 후반, 역사학자 헤르비히 체흐(Herwig Czech)와 에디스 셰퍼(Edith Sheffer) 등의 연구를 통해 아스페르거가 나치 정권의 인종 위생 정책에 협력하고, 장애 아동들을 안락사 시설로 보내는 데 관여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8][9][10]

헤르비히 체흐는 2017년 논문에서 아스페르거가 나치 정권에 적응했으며 충성을 맹세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경력 기회를 얻었고, 강제 불임 시술을 포함한 '인종 위생' 정책을 공개적으로 정당화했으며, 여러 차례 아동 '안락사'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고 결론 내렸다.[1] 그는 NSDAP의 오랜 핵심 당원인 프란츠 함부르거의 지시를 받으며 일했고,[7] 1938년 이후 나치당과 관련된 조직(독일 노동 전선, 국가 사회주의 인민 복지, 국가 사회주의 독일 의사 연맹)에 가입했다.[9]

에디스 셰퍼는 2018년에 아스페르거가 나치 정권과 협력했으며, 안락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암 슈피겔그룬트 클리닉에 아이들을 보낸 것을 포함한다고 썼다.[10] 셰퍼에 따르면, 아스페르거는 균질한 아리아 민족이라는 나치의 이상에 맞지 않는 아이들을 제거하려는 나치의 목표를 지지했다.

딘 팔크는 한스 아스페르거에 대한 체흐와 셰퍼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다.[12] 팔크는 아스페르거가 그가 이전한 아이들에게 닥칠 운명을 알고 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주장한다.[13] 체흐는 팔크의 결론을 반박하며, 아스페르거가 암 슈피겔그룬트 클리닉으로 환자를 의뢰하기 몇 달 전에 빈의 인구가 정신병원에서의 사망률에 항의하고 있었고, 그가 그곳으로 의뢰한 아이들을 죽이려는 클리닉 관계자들의 의도에 대해 알지 못했더라도 그는 필연적으로 이러한 사망률과 클리닉으로의 이송이 아이들에게 제기할 위험에 대해 알고 있었다고 지적한다.[14]

이러한 사실들은 아스페르거의 업적에 대한 윤리적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아스페르거 증후군 명칭 사용에 대한 재고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4. 2. "아스페르거 증후군" 명칭 논쟁

한스 아스페르거의 나치 협력 사실이 알려지면서, "아스페르거 증후군"이라는 명칭 사용에 대한 논쟁이 일어났다.

역사학자 에디스 셰퍼(Edith Sheffer)와 헤르비히 체흐(Herwig Czech) 등의 연구에 따르면, 아스페르거는 나치 정권에 협력하여 안락사 프로그램에 가담한 암 슈피겔그룬트 클리닉에 아동들을 보냈다.[10] 그는 나치의 '인종 위생' 정책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아동 '안락사'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10]

암 슈피겔그룬트(Am Spiegelgrund) 진료소 입구


이러한 사실이 밝혀지자, 일부 학자들과 자폐 당사자들은 "아스페르거 증후군" 명칭을 폐기하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주장한다.[19] 세계 보건 기구(WHO)의 ICD-10 2015 버전은 아스페르거 증후군을 "불확실한 병리적 타당성을 가진 장애"로 묘사하고 있다.[20]

그러나 "아스페르거 증후군"이라는 명칭이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자폐 스펙트럼 내의 다양한 특성을 구분하는 데 유용하다는 반론도 있다.

자폐인들 사이에서도 이 명칭에 대한 의견은 다양하다. 어떤 사람들은 "아스페르거 증후군"이라는 용어에 애착을 느끼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이 이름을 버리는 것을 지지한다.[25]

5.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한스 아스페르거의 사례는 우생학적 사고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이 얼마나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아스페르거는 나치 정권에 협력하여 안락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암 슈피겔그룬트 클리닉에 아이들을 보냈으며,[10] 아동 '안락사'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11]

이는 한국 사회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첫째,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발달 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한다. 아스페르거는 '민족(Volk)'에 맞지 않는 아이들을 제거하려는 나치의 목표를 지지했다.[10] 이러한 차별적 시선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혐오와 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둘째, 다양성을 존중하고 포용하는 사회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아스페르거는 강제 불임 시술을 포함한 '인종 위생' 정책을 공개적으로 정당화했다.[11] 이는 개인의 존엄성과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이다.

셋째,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은 장애인 인권 보호와 사회적 포용을 위한 정책 마련에 더욱 힘써야 한다. 아스페르거는 나치 정권에 충성을 맹세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경력 기회를 얻었다.[11] 권력과 이익을 위해 약자를 희생시키는 일은 없어야 한다.

넷째, 과거사 문제에 대한 진상 규명과 반성을 통해 역사적 과오가 반복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아스페르거는 제3제국에서 예외가 아닌 규범처럼 과학자와 대학교수들의 협력을 받았다.[9]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고,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aufbuch – 01-73 {{!}} 07., Altlerchenfeld {{!}} Wien/Niederösterreich (Osten): Rk. Erzdiözese Wien {{!}} Österreich {{!}} Matricula Online' https://data.matricu[...] 2023-05-04
[2] 논문 Eberhard Kranzmayer’s dovetailing with Nazism: His fascist years and the ‘One Standard German Axiom (OSGA)’ https://journals.sag[...] 2024-08-07
[3] 논문 Die schizoiden Psychopathien im Kindesalter (Part 2 of 2) 1926
[4] 논문 Die "Autistischen Psychopathen" im Kindesalter
[5] 서적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6] 서적 Elfriede Jelinek: Ein Porträt https://archive.org/[...] Rowohlt Verlag GmbH 2006
[7] 서적 Glimpflich entnazifiziert: die Universität Wien nach dem Krieg
[8] 논문 Did Hans Asperger actively assist the Nazi euthanasia program? 2018-04-19
[9] 논문 Eberhard Kranzmayer's dovetailing with Nazism: his fascist years https://journals.sag[...]
[10] 간행물 'De-Nazifying the "DSM": On "Asperger''s Children: The Origins of Autism in Nazi Vienna"' https://lareviewofbo[...] 2018-12-13
[11] 논문 An assessment of what Hans Asperger knew about child euthanasia in Vienna during the Nazi occupation 2023
[12] 웹사이트 Why Did It Take So Long to Expose Hans Asperger's Nazi Ties? https://www.theatlan[...] 2021-09-01
[13] 논문 Autismus und NS-Rassengesetze in Österreich 1938. Hans Aspergers Verteidigung der 'autistischen Psychopathen' gegen die NSEugenik http://www.dr-brita-[...] 2002
[14] 논문 Das Syndrom des 'Autistischen Psychopathen.' Hans Asperger zwischen Pädiatrie, Kinderpsychiatrie und Heilpädagogik 2003
[15] 논문 Asperger's syndrome: a clinical account 1981-02
[16] 논문 What's so special about Asperger Syndrome? 2006-06
[17] 논문 A Concise History of Asperger Syndrome: The Short Reign of a Troublesome Diagnosis 2016
[18] 서적 Asperger Syndrome or High-Functioning Autism? https://www.springer[...] Plenum Press
[19] 웹사이트 DSM-5 Development: 299.80 Asperger's Disorder http://www.dsm5.or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6-01-01
[20] 웹사이트 F84.5 Asperger syndrome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01-01
[21] 웹사이트 Les enfants d'Asperger. Le dossier noir des origines de l'autisme https://www.en-atten[...] 2021-09-03
[22] 논문 NeuroTribes: The Legacy of Autism and the Future of Neurodiversity by Steve Silberman (review) https://muse.jhu.edu[...] 2016-11-12
[23] 웹사이트 On Hans Asperger, the Nazis, and Autism: A Conversation Across Neurologies http://www.thinkinga[...] 2021-09-02
[24] 뉴스 Was Autism a Nazi Invention? https://www.nytimes.[...] 2021-09-04
[25] 웹사이트 Ne dites pas à Josef Schovanec qu'il est "Asperger" https://dailyscience[...] 2021-09-05
[26] 서적 Dictionnaire de la psychanalyse Fayard 2011
[27] 문서 "カナー型自閉とアスペルガー型自閉はスペクトラム(連続性)はあっても、異なるものという見解が一般的で「同じ状態」ではない。[[ナチス]]の[[障害者]]への[[迫害]]に代表される当時の[[政治]]的背景が、彼にポジティブな形でアスペルガー症候群を表現させたとも言えるかもしれない"
[28] 논문 Letter to the Editor: Did Hans Asperger (1906–1980) have Asperger Syndrome? https://link.spring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6-01-01
[29] 서적 A History of Autism: Conversations with the Pioneers http://www.wiley.com[...] Wiley-Blackwell 2010-07
[30] 서적 Asperger’s Syndrome: A Guide for Parents and Professionals https://www.amazon.c[...]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18-04-20
[31] 논문 Did Hans Asperger actively assist the Nazi euthanasia program? https://molecularaut[...] 2018-04-19
[32] 웹사이트 The Doctor and the Nazis http://www.tabletmag[...] 2016-04-14
[33] 웹사이트 Was Dr. Asperger A Nazi? The Question Still Haunts Autism https://www.npr.org/[...] 2016-10-24
[34] 뉴스 The Nazi History Behind ‘Asperger’ https://www.nytimes.[...] 2018-04-01
[35] 웹사이트 Hans Asperger 'collaborated with Nazis' in WWII http://www.bbc.co.uk[...] 2018-04-19
[36] 서적 NeuroTribes: The Legacy of Autism and the Future of Neurodiversity Avery Publishing
[37] 서적 On the origins and diagnosis of Asperger syndrome: a clinical, neuroimaging and genetic study http://ethesis.helsi[...] University of Helsinki
[38] 간행물 Die schizoiden Psychopathien im Kindesalter (Part 2 of 2) http://content.karge[...] 1926
[39] 간행물 Die "Autistischen Psychopathen" im Kindesalter https://link.springe[...]
[40] 서적 Elfriede Jelinek: Ein Porträt https://www.amazon.c[...] Rowohlt Verlag GmbH 2006-01-31
[41] 웹사이트 Hans Asperger https://www.whonamed[...] Ole Daniel Enersen
[42] 서적 The Autistic Brain: Thinking Across the Spectrum http://www.hmhco.com[...]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3-04-30
[43] 웹사이트 DSM-5 Development: 299.80 Asperger’s Disorder http://www.dsm5.or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ecember 25, 2010
[44] 웹사이트 Committee for International Asperger's Year http://www.aspires-r[...]
[45] 저널 Hans Asperger, National Socialism, and "race hygiene" in Nazi-era Vienna 2018-04-19
[46] 저널 Non-complicit: Revisiting Hans Asperger's Career in Nazi-era Vienna 2020-07
[47] 저널 Did Hans Asperger (1906-1980) have Asperger syndrome? https://www.research[...] 2007-11
[48] 서적 Asperger's Syndrome: A Guide for Parents and Professionals https://archive.org/[...]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16-01-01
[49] 서적 On the origins and diagnosis of Asperger syndrome: a clinical, neuroimaging and genetic study http://ethesis.helsi[...] University of Helsinki 2022-11-16
[50] 저널 Die schizoiden Psychopathien im Kindesalter (Part 2 of 2) 1926
[51] 저널 Die "Autistischen Psychopathen" im Kindesalter
[52] 서적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53] 서적 Elfriede Jelinek: Ein Porträt https://archive.org/[...] Rowohlt Verlag GmbH 2006-01-31
[54] 웹인용 Hans Asperger https://embryo.asu.e[...] Alexandra Bohnenberger 2021-02-21
[55] 서적 The Autistic Brain: Thinking Across the Spectrum http://www.hmhco.com[...]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6-01-01
[56] 웹인용 DSM-5 Development: 299.80 Asperger's Disorder http://www.dsm5.or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6-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