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르스는 동슬라브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이름의 어원은 이란어군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호르스는 키예프 대공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 숭배되었으며, 『초기 연대기』에 언급되어 있다. 학자들은 호르스가 태양신 또는 달의 신이라고 추정하며, 이란 신화의 태양신, 튀르크계 민족, 이집트 신화의 호루스와 관련이 있다는 설이 있다. 프스코프 지역에서 호르스 숭배와 관련된 조각상이 발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라브 남신 - 페룬
페룬은 슬라브 신화에서 천둥과 번개의 신이자 전사의 수호신으로, 금빛 또는 구릿빛 수염을 가진 모습으로 도끼 몰니야를 들고 다니며 동슬라브족에게 최고신으로 숭배받았고, 기독교 전파 후 엘리야와 결부되어 현대 슬라브 네오페이건교에서도 중요한 신으로 여겨진다. - 슬라브 남신 - 데이보스
데이보스는 슬라브 신화에서 세계의 근원이자 우주의 창조자로서 어둠과 빛을 분리하고 생명을 부여하며 운명을 할당하는 창조신이자 최고신으로, 고대 슬라브족의 중요한 신앙 대상이었다. - 태양의 남신 - 아폴론
아폴론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빛, 음악, 예술, 치유, 궁술, 예언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중요한 신으로, 제우스와 레토의 아들이며 포이보스라고도 불린다. - 태양의 남신 - 호루스
호루스는 매의 머리를 가진 고대 이집트 신화의 하늘의 신으로, 아버지 오시리스의 복수를 위해 세트와 싸워 이집트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그의 눈은 보호와 왕권을 상징하고 파라오는 그의 화신으로 여겨졌다.
호르스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슬라브 신 |
그룹 | 남신 |
유형 | 태양신 |
행성 | 태양 |
탈것 | 태양 전차 |
그리스 동등신 | 헬리오스 |
로마 동등신 | 솔 |
인도 동등신 | 수리야 |
조로아스터교 동등신 | 흐바레크샤에타 |
이름 | |
슬라브어 | Хърсъ |
러시아어 | Хорс |
기타 이름 | 호르스-다즈보그 |
관련 정보 | |
관련 인물 | 블라디미르 |
관련 문서 | 초기 연대기 이고르 원정기 성모 마리아의 고행 여행 주석에서 발견된 성 그레고리우스의 설교... 거룩한 아버지 성 요한 크리소스톰의 설교...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자의 설교... 거룩한 사도들의 설교와 계시 |
2. 어원
"호르스"라는 이름은 이란어군(스키타이 또는 사르마티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베스타어로 태양의 신성을 의미하는 흐바레크샤에타, "태양"을 뜻하는 페르시아어 "호르시드(خورشید|호르시드fa)", 호라산, 화레즘 등의 지명이 이러한 연관성을 시사한다.
고대 러시아 자료에서는 이 신의 이름이 Xърсъ, ''Xŭrsŭ'', Хорсъ, ''Xorsŭ'', Хъросъ, ''Xŭrosŭ'' 등으로 표기되었으며, 현대 러시아 문헌에서는 ''Khors'' ()로 표기된다. 마치에이 스트리이코프스키는 ''Khorsum'' ()으로 표기하기도 했다. 영어권에서는 음역 표기 시스템에 따라 ''Khors'', ''Hors'', ''Xors'' 등으로 표기된다.[2][3]
호르스는 『초기 연대기』 980년 조항에서 키예프 언덕에 모셔진 여섯 신상 중 하나로 언급되며[2][3][5][6], 11세기경 그리스어에서 슬라브어로 번역된 『성 그레고리오스의 설교 해설』에서도 슬라브어 번역자가 키예프 언덕의 호르스를 언급하며 이교 신앙을 설명하고 있다[7]。하지만 러시아 외 다른 슬라브 민족에게서 숭배된 흔적은 발견되지 않는다.[3]。
"빛나는 태양"을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등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는 견해가 있다.[3][4]。블라디미르 1세 시대 루스인 거주 지역에는 바랑인, 튀르크계 민족 등 다양한 민족이 살았고, 이란계 민족과의 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이다.[8]。이러한 배경에서 호르스의 기원을 이란의 태양신[2][9]이나 튀르크계 민족에서 찾는 설[8]이 제기되었다. 이집트 신화의 태양신 호루스와 관련짓는 설도 있다.[2]。
『이고르 군기』에서는 호르스가 태양신으로 묘사되지만, 실제 신격은 명확하지 않다.[10]。『이고르 군기』는 호르스를 역병이나 사냥의 신으로 설명하기도 한다.[11]。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는 "위대한 호르스"라고 불렸으나, 구체적인 신화는 전해지지 않는다.[12]。
2. 1. 이란어군 기원설
"호르스"라는 이름은 이란어군(스키타이 또는 사르마티아)에 그 어원을 두는 것으로 생각된다. 아베스타어로 태양의 신성을 의미하는 흐바레크샤에타, "태양"을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호르시드(خورشیدfa)", 호라산, 화레즘 등의 지명을 이와 연결해 생각할 수 있다.19세기부터 제기되어 온 코르스라는 신명의 어원에 관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견해는 이란어파이다. 러시아 역사학자 표트르 부트코프는 코르스를 "슬라브의 아폴론"이라고 칭하며, 그의 이름을 페르시아어의 ''خورشید''(xuršit) 및 오세트어의 ''xur'', ''xor'' "태양"과 오세트어의 ''xorošŭ'', ''хоrsŭ'', ''xorsu'' "좋음"과 연결한 최초의 인물 중 하나였다.[2] 이란어 ''xvar'' "후광", 인도 언어의 ''hāra'', ''hāras'' "불"[3] 또는 페르시아어 ''xoršid'' "태양", ''Xuršid'' "태양신" 또한 제안되었다.[2][4] 이란어 단어는 만시족과 칸티족의 하늘 신인 ''크로네스''와 우드무르트어의 ''kvar'' "하늘", "공기"의 어원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
블라디미르 토포로프는 ''코르스''라는 이름이 호라즘에서 온 병사들에 의해 키예프로 태양 숭배와 함께 전해졌다고 믿었으나, 이 이론은 심하게 비판받았다. 미하일 바실리예프는 그 이름이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차용된 것이 아니라, 기원전 1천 년경 사르마티아인-알란족으로부터 유래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2]
이란어 어원 외에도 다른 이론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오세트어 ''xorz'' "좋음"에서 초기 차용된 것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원래 "코르스에 속하는, 코르스의"를 의미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러시아어 단어 ''khoroshiy'' "좋음"을 설명하기도 하지만, 이 가능성은 막스 파스메르에 의해 기각되었다.
2. 1. 1. 비판
이란어 차용설은 종교 학자들에게는 큰 문제 없이 받아들여졌지만, 막스 파스머와 같은 언어학자들은 음성학적 문제를 제기한다. 이란어 'hva-'는 슬라브어 단모음 ъ ('ŭ')를 설명할 수 없고, 'š'는 슬라브어에서 's'로 남아있을 수 없다. 루키 규칙에 따르면, 단어가 규칙 완성 후 차용된 경우 'х' ('h') 또는 'š' ('sh')로 남아있어야 한다.[1]이란어 어원론은 역사적인 문제도 안고 있다. 블라디미르 대공 통치 기간에는 이란이 이미 이슬람교로 개종한 상태였고, 페르시아어 단어 'Xoršid'는 "태양"만을 의미할 뿐 종교적 의미가 없었기 때문에 호르스는 이 시기에 차용될 수 없었다. 이 이름은 아베스타어 'Hvar'(최종 '-s' 때문에) 또는 'hvarə хšаētəm'에서 파생될 수 없다. 이 표현은 사산 왕조 시대에 중세 페르시아어로 'xwaršēδ'/'xoršid'로 축약되었으며, 이 시기 태양 숭배는 신 미트라에게로 옮겨졌다. 또한 초기 단계에서 우상 파괴가 페르시아에서 만연했고, 이란 신들의 우상은 성스러운 불로 대체되었다. 그렇다면 동슬라브족이 짧은 시간 안에 페르시아에서 'xwaršēδ'/'xoršid'라는 단어를 차용하여 급격한 음성 변화를 일으키고, 호르스를 판테온에서 그렇게 높은 위치에 놓았다는 것은 불분명하다.[2] 바실리예프는 복잡한 가정을 통해 사르마티아-알란 단어 '*xors'/'*xūrs' "왕-태양"의 존재를 제안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지만, 여기서도 앞서 언급한 음성학적 문제가 발생한다.[3]
안드레이 베스코프는 이란 이론에 대한 포괄적인 비판을 제기했다.[4]
2. 2. 슬라브어군 기원설
알렉산데르 브뤽너는 이 신명의 슬라브 기원설을 제시했다. 그는 폴란드어에서 ''Chъrsъ''가 ''chars''처럼 들린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 단어를 "여위고, 수척하며, 야윈" 생물을 의미하는 폴란드어 고어구 ''przecharsła'' (koza|염소pl) 또는 ''wycharsł'' (mężczyzna|남자pl), 혹은 체코어 단어 ''krsati'', ''krsnouti'' ("여위게 하다, 수척하게 하다"), ''krsek'' ("난쟁이"), ''zakrsly'', ''krs'' ("왜성 관목")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여기서 ''ch''와 ''k''의 전형적인 교환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원래 ''k''를 보존한 폴란드어 단어는 ''karślak'' ("매듭투성이 나무") 또는 지명 ''Karsy''이다.브뤽너는 이 단어들의 원시 슬라브어 형태가 형용사 ''*kъrsъ'' ("쇠퇴한, 여윈, 난쟁이"), 동사 ''*kъrsati'' ("감소하다, 쇠퇴하다"), ''*krsnąti'' ("체중을 줄이다")로 재구성되었으며, 이는 인도유럽어 ''*kr̥ḱós'' ("여윈")에서 유래한다고 보았다. 미하우 우친스키는 이 해석을 지지하며, 신명의 원시 슬라브어 형태인 ''*Xъrsъ''가 이전의 ''*Kъrsъ''에서 유래하며, 고대 세르비아어 Хьрсь와 고대 불가리아어 Xrъсъ, 지명 (고대 폴란드어 ''*Kars'' 및 ''*Chars'', 세르비아어 ''Hrs'' 및 고대 러시아어 ''Хорсъ'' 등), 그리고 형용사 ''*kъrsъ'' ("여윈")에서 파생된 성씨와 형식적으로 동일하다고 보았다. 그는 이 재구성이 어원적으로 정확하며, 달이 "여윈"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달 해석과 의미상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슬로바키아 언어학자 마틴 푸카네츠는 신명 ''코르스''가 원시 슬라브어 기원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원시 슬라브어 TorT가 동슬라브어에서 ToroT로 바뀌어야 하지만, ''*Xorosъ''와 같은 표기는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 신명이 서슬라브어와 남슬라브어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증거가 없다고 보았다.
3. 숭배
루스인의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키예프 대공 블라디미르 1세가 980년 궁전 바깥 언덕 위에 나무로 깎아 만든 슬라브 신들의 우상을 세웠는데, 페룬, 다즈보그, 스트리보그, 시마르글, 모코시 등과 함께 호르스의 우상도 세워졌다.[2][3][5][6] 블라디미르 대공의 슬라브 만신전에서 호르스는 페룬 다음가는 두 번째로 중요한 신으로 대접받은 것으로 보인다.
11세기경 그리스어에서 슬라브어로 번역된 『성 그레고리오스의 설교 해설』에서 슬라브어 번역자가 자신의 출신지에서 이교 신앙을 보충 설명하는 형태로 키예프 언덕의 호르스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7] 러시아 외 다른 슬라브 민족이 숭배한 흔적은 없다.[3]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 루스인의 거주 지역에는 바랑인과 튀르크계 민족 등 다양한 민족이 살고 있었으며, 이란계 민족과의 교류도 있었다.[8] 이러한 배경에서 호르스의 기원은 이란의 태양신이라는 설[2][9]과 튀르크계 민족에서 유래되었다는 설[8]이 있다. 이집트 신화의 태양신 호루스와 관련이 있다는 설도 있다.[2]
호르스는 『이고르 군기』에서 태양신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확실하지 않다.[10] 『이고르 군기』는 역병, 사냥의 신이라고도 설명한다.[11]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는 "위대한 호르스"라고도 불렸지만, 구체적인 신화는 전해지지 않는다.[12]
3. 1. 인명 및 지명
"호르스"라는 이름은 이란어군(스키타이 또는 사르마티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베스타어로 태양신을 뜻하는 흐바레크샤에타, "태양"을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호르시드(خورشید|호르시드fa)", 호라산, 화레즘 등의 지명이 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16~18세기 노브고로드주-세베리아 지역의 여러 수문지명(예: 호르소보 늪, 호르소프 저수지), 10~12세기 볼히니아의 지명, 다뉴브강 우안 불가리아의 하르소바 등이 언급되었다.[3] 우크라이나 보로바 구의 Гороховатка|호로호바트카uk 마을 근처, 현재 오스킬 저수지에 잠긴 호르시우카 마을 주민 중에는 '코르스'라는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있었다.[4]
고대 세르비아어 이름 Хьрсь, 고대 불가리아어 Хръсъ,[5] 세르비아어 Хрс, ''Hrs'', Хрсовик, ''Hrsovik'',[6] 고대 동슬라브어 Хорсъ,[5] 폴란드어 이름 다즈보그와 유사하게 다즈보그 신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존되었다.[7] 고대 체코어 이름 ''Chorúš''에도 보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6]
4. 해석
호르스는 『초기 연대기』 980년 조항에 키예프 언덕에 모셔진 6개의 신상 중 하나로 언급되었고[2][3][5][6], 11세기경 그리스어에서 슬라브어로 번역된 『성 그레고리오스의 설교 해설』에도 등장한다[7]。 러시아 외 다른 슬라브 민족에게서 숭배된 흔적은 없다[3]。
호르스라는 이름은 "빛나는 태양"을 뜻하는 페르시아어 등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3][4]。블라디미르 1세 시대 루스인 거주 지역에는 바랑인, 튀르크계 민족 등 다양한 민족이 살았고, 이란계 민족과의 교류도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8] 호르스는 이란의 태양신[2][9], 튀르크계 민족[8], 혹은 이집트 신화의 태양신 호루스[2]와 관련이 있다는 설이 있다.
『이고르 군기』에서는 호르스를 태양신으로 묘사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10]。 『이고르 군기』는 호르스를 역병, 사냥의 신으로도 설명한다[11]。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 "위대한 호르스"로 불렸으나, 구체적인 신화는 전해지지 않는다[12]。
4. 1. 태양신
"호르스"라는 이름은 이란어군(스키타이 또는 사르마티아)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베스타어로 태양의 신성을 의미하는 흐바레크샤에타, "태양"을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호르시드(خورشیدfa)", 호라산, 화레즘 등의 지명과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3][4]루스인의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키예프 대공 블라디미르 1세는 980년에 궁전 바깥 언덕에 슬라브 신들의 우상을 세웠는데, 이때 페룬, 다즈보그, 스트리보그, 시마르글, 모코시 등과 함께 호르스의 우상도 세워졌다.[2][3][5][6] 블라디미르 대공의 슬라브 만신전에서 호르스는 페룬 다음으로 중요한 신으로 여겨졌다.
학자들은 호르스가 이란에서 기원했으며 태양과 관련된 특징을 지닌다고 본다. 이 신의 이름은 "태양"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다. 이고르 원정기에 따르면, "수탉이 울기 전에" 트무타라칸에 도착하여 "위대한 호르스의 길을 따라 달린" 브세슬라프 공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여 수탉이 울기 전에 성에 도착했고, 이러한 방식으로 태양을 "따라잡았다"고 묘사된다.[10][12]
《원초 연대기》에서 신들의 조각상을 나열할 때, 호르스와 태양신인 다즈보그 사이에는 다른 신들과 달리 "그리고"라는 접속사가 사용되지 않았다. 많은 학자들은 이것이 호르스가 다즈보그의 또 다른 이름이거나, 어떤 식으로든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본다.[7] 그러나 알렉산데르 브뤼크너는 이러한 견해에 반대하며 접속사의 부재는 무관하며 다즈보그와 호르스의 연관성은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 루스인의 거주 지역에는 바랑인과 튀르크계 민족 등 다양한 민족이 살고 있었고, 이란계 민족과의 교류도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8] 호르스의 기원은 이란의 태양신이라는 설[2][9]과 튀르크계 민족에서 유래되었다는 설[8]이 있다. 또한 이집트 신화의 태양신 호루스와 관련이 있다는 설도 있다.[2]
4. 2. 달의 신
일부 학자들은 코르스가 태양신이 아니라 달의 신이며, 그의 이름이 태양의 광선이 아니라 달의 광선을 가리킨다고 믿는다.[1]여기서 브세슬라프가 "늑대"로 불렸고 늑대인간이 달과 연관되어 있으며, 왕자의 여정이 밤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는 태양의 길이 아닌 달의 길을 따랐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2][3] 트무타라칸이 키예프에서 동쪽이 아닌 남동쪽에 있다는 점도 지적한다.[1] "암탉에게"라는 구절은 고대 동슬라브어에서 "늦게까지; 밤에", "새벽까지, 새벽 전에"를 의미했으며, 러시아 방언의 "до вторых кочетов"는 "늦게까지; 자정 이후"(직역: "다른 수탉까지")를 의미했다. "до"로 시작하는 구절은 밤을, "со"로 시작하는 구절(예: со вторыми кочетами)은 아침을 의미하므로, 브세슬라프가 밤에 도시에 도착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4] 또한, 슬라브 민속에서 "위대한"이라는 형용사는 종종 달과 관련되며, 폴란드어의 ''wielki księżyc'',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및 슬로베니아어의 ''velik mesec'' 등이 그 예시이다. 고대 러시아어 구절을 고대 노르드어 케닝 ''mána vegr'' "하늘"(직역: "달의 길")과 비교하기도 한다.[4]
"쇠약한"이라는 이름 ''코르스''의 해석은 언어학자 완다 부지셰프스카가 지지했다. 그녀는 쇠퇴하는 달이 슬라브족 사이에서 "초라한, 연약한"이라고 불렸다고 보고한다. 폴란드 방언(포드할레와 크라쿠프 지역) ''wietek'', ''wiotek'', 고대 체코어 ''vetech'', 벨라루스어 ''v́òtak'' 및 러시아어 ''vétoch'' 등이 그 예시이다. 고대 폴란드어에서 ''wiotchy''라는 단어는 "마모, 사용, 노령으로 인해 쇠약해짐"을 의미했다.[5]
5. 프스코프 우상
1589년부터 1590년까지 러시아를 여행하며 프스코프를 묘사한 독일 여행가 요한 다비드 운데러는 프스코프 근처에 있었다고 추정되는 호르스와 우스라드의 조각상에 대해 언급했다. 운데러의 묘사에 따르면 이 돌 조각상들은 손에 십자가를 들고 있는 우사드와 뱀 위에 서서 한 손에는 칼을, 다른 한 손에는 벼락을 든 호르스였다.[1]
운데러는 일기에서 프스코프를 생생하게 묘사했지만, 원고를 편집할 때 다른 출처에서 가져온 요소를 추가했다. 운데러가 돌에 묘사된 신들의 이름을 알 수 없었던 주된 이유는 그가 언급한 우슬라드가 사실 가짜 신이었기 때문이다. 우슬라드의 이름은 연대기(원초 연대기)에서 페룬의 황금 조각상을 묘사하는 구절이 왜곡된 결과로 생겨났으며, 지그문트 폰 헤르베르슈타인은 '황금'(us zlat)이라는 단어를 독립적인 이름 '우스라드'로 인식했다. 우스라드는 러시아 신화에 존재한 적이 없었기에, 많은 역사가들은 언급된 구절을 신뢰할 수 없다고 여겼다.[1]
운데러는 1581-1582년에 프스코프 포위전에서 스테판 바토리의 야전 캠프가 한때 조각상 근처에 위치했음을 알고 있었고, 이 정보는 그가 묘사한 조각상의 위치를 찾는 데 기여했다. 야전 캠프는 프스코프 남쪽에 위치해 있었고, 평평한 지형과 숲이 우거진 언덕과 체렘차 강까지 뻗어 있는 산을 분리하는 프로미에지차 강 양쪽에 놓여 있었다. 1897년 발굴 조사에서 소위 ''돌 바바''(동유럽에서 사람을 묘사한 석상에 대한 일반적인 명칭)가 프로미에지차와 공장 사이에서 발견되면서 우상의 존재가 예상치 못하게 확인되었다. 조각상은 원래 자리에서 발견된 것은 아니었지만, 근처였음에 틀림없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스코프 박물관에 있던 조각상은 분실되었지만, 1928-1929년 사진이 남아있다. 우상의 길이는 약 100cm였고, 흉부에 십자가가 있었지만, 우상은 의도적으로 훼손되었고 머리만 온전하게 보존되었다.[1]
러시아 고고학자 아나톨리 키르피치니코프에 따르면 이 조각상은 슬라브교와 관련이 있다. 조각상의 위치와 십자가 표시는 운데러의 묘사와 정확히 일치한다. 태양의 고대 상징인 십자가는 조각상에 있는 신과 태양과의 관계를 증명하는 것이고, 조각상 자체는 호르스 또는 다즈보그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1] 일부 연구자들은 조각상이 기독교 문화에 속한다고 주장했다. 조각상은 8세기에서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1]
참조
[1]
웹사이트
Культурные ценности – Жертвы войны - Идол
http://www.lostart.r[...]
2021-02-13
[2]
문서
坂内 2004
[3]
문서
中堀 2013
[4]
서적
天空の世界神話
八坂書房
2009-09
[5]
문서
清水 1995
[6]
문서
ワーナー,斎藤訳 2004
[7]
문서
ワーナー,斎藤訳 2004
[8]
문서
ワーナー,斎藤訳 2004
[9]
문서
清水 1995
[10]
문서
ワーナー,斎藤訳 2004
[11]
문서
清水 1995
[12]
문서
ワーナー,斎藤訳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