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조 시게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혼조 시게루는 1876년 효고현에서 태어난 일본 육군 군인으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러일 전쟁, 시베리아 출병 등에 참여했다. 1931년 관동군 사령관으로 재임하며 만주 사변을 일으켰으며, 2·26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았다. 1945년 전범으로 체포될 예정이 되자 자결했으며, 만주 사변에 대한 책임을 지고 천황의 만세와 조국의 부흥을 염원하는 유서를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도파 - 무타구치 렌야
일본 제국 육군 장군 무타구치 렌야는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 노구교 사건과 임팔 작전 등 주요 사건에 관여했으며, 전후 전쟁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그의 군사적 능력과 작전 실패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황도파 - 이소베 아사이치
이소베 아사이치는 일본 제국 육군 장교이자 2·26 사건의 주요 가담자로, 황도파 청년 장교 그룹의 핵심 인물로서 육군사관학교 사건에 연루되어 면관되었고, 2·26 사건 실패 후 사형 선고를 받고 총살형으로 처형되었으며, 그의 수기는 쇼와 천황과 일본 사회에 대한 비판을 담아 논쟁을 야기했다. - 만주사변의 인물 - 장쉐량
장쉐량은 만주 군벌 장작림의 아들이자 동북군 지휘관으로서 만주사변 당시 부저항 정책과 시안 사건 주도를 통해 국공합작을 이끌어낸 인물이며, 그의 삶과 행적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만주사변의 인물 - 이타가키 세이시로
이타가키 세이시로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만주사변과 중일 전쟁 등 일본 제국주의 침략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전쟁 범죄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 일본의 추밀고문관 - 야나기타 쿠니오
야나기타 구니오는 근대 일본 민속학의 기초를 세운 민속학자이자 문필가로, 농촌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민속학 연구에 몰두하여 일본 민속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데 기여했으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연구 부족이라는 한계점도 가진다. - 일본의 추밀고문관 - 무쓰 무네미쓰
무쓰 무네미쓰는 막말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활약한 일본의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불평등 조약 개정 및 청일 전쟁 승리를 이끌며 일본 근대화와 국제적 위상 강화에 기여했으나 삼국 간섭이라는 굴욕을 겪기도 했다.
혼조 시게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혼조 시게루 |
출생일 | 1876년 5월 10일 |
사망일 | 1945년 11월 30일 |
출생지 | 효고현 |
사망지 | 점령된 일본 |
닉네임 | 다쿠앙이시 (たくわん石) |
군사 경력 | |
소속 | 일본 제국 육군 |
복무 기간 | 1897년 – 1936년 |
최종 계급 | [[파일:帝國陸軍の階級―襟章―大将.svg|35px]] 육군 대장 |
주요 전투 | 러일 전쟁 시베리아 출병 중일 전쟁 |
지휘 | 제10사단 관동군 |
서훈 | |
훈장 | 보물 훈장 (1등) 금치훈장 (1등) 욱일대수장 (1등) |
기타 정보 | |
이후 활동 | 상병 보호원 총재 군사 보호원 총재 추밀 고문관 보도원 총재 |
묘소 | 다마 영원 |
2. 생애
혼조 시게루는 1876년 효고현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1897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898년 육군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대위로 진급했고, 일본 제국 육군 참모본부에서 여러 참모직을 맡았다. 1907년부터 베이징과 상하이에 무관으로 파견되었으며, 1919년에는 시베리아 출병에 참여한 후 장쭤린의 군사 고문을 지냈다. 1927년 중장으로 진급하여 1928년 제10사단장이 되었고, 1931년에는 관동군 사령관이 되어 만주 사변을 지휘했다.[18]
1932년 만주국 건국 이후 군사 참의관으로 복귀하여 쇼와 천황에게 보고했고, 1933년 육군 대장으로 진급했다. 1935년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만주 사변의 공로로 남작 작위를 받았다.[1] 관동군 사령관 시절에는 한인애국단의 암살 표적이 되기도 했다.[19]
1936년 2·26 사건 당시 쇼와 천황의 수석 시종무관이었던 혼조는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았고,[3] 1937년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추밀고문관으로 활동하다, 1945년 일본 항복 이후 전범으로 체포되기 전 할복 자결했다.[9]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혼조 시게루는 1876년 효고현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1896년 9월 일본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897년 11월 졸업 후, 1898년 6월 육군 보병 소위로 임관하였다. 혼조의 동기로는 마사키 진자부로, 아베 노부유키, 아라키 사다오, 마쓰이 이와네 등 훗날 일본 육군의 장성이 되는 인물들이 있었다.1902년 육군대학교에 입교했지만 러일 전쟁으로 중퇴하였고, 1906년에 다시 들어가 1907년 11월에 졸업하였다. 졸업 후에는 참모본부에서 근무하였으며, 베이징과 상하이에 주재하기도 했다. 1919년 보병 제11연대장으로 시베리아 출병에 가담하였고, 이후 장쭤린 군사 고문을 맡았다.[1]
1924년 보병 제4여단장을 거쳐, 1925년 지나 주둔 육군무관을 역임하였다. 1928년 제10사단장을 거쳐 1931년 8월 관동군 사령관에 임명되었다.[18] 관동군 사령관 시절, 한인애국단의 유상근과 최흥식이 그를 암살하려 했으나 발각되기도 하였다.[19]
2. 2. 만주사변과 관동군 사령관
1931년 8월 1일, 혼조 시게루는 히시카리 다카시 대장의 뒤를 이어 관동군 사령관에 취임했다. 취임 전부터 미나미 지로 육군대신과 협의가 있었다는 것을 만주군 고급 참모 이타가키 세이시로 대좌와의 대화에서 확인했다고 한다 가즈토시는 말한다.[18] 그로부터 1개월 후인 9월 18일 류탸오후 사건이 일어났다. 혼조가 만주에 건너가기 전부터 만주의 정세는 불안정했고, 1928년 장쭤린 폭살 사건과 그 아들 장쉐량의 만철 병행선 건설, 만바오산 사건과 나카무라 대위 사건 등의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었다.혼조는 류탸오후 사건의 소식을 뤼순의 관사에서 들었다. 그는 9월 7일부터 다이시바시, 안산, 봉천, 싱안 링산, 장춘, 랴오양 등 각 주둔 부대의 검열을 실시하고, 18일 오후 10시가 되어서야 귀가했다. 그로부터 1시간 후, 목욕으로 피로를 풀고 있는데 고급 참모인 이타가키 세이시로로부터 긴급 전화가 걸려왔다. 오후 10시 30분경 봉천에서 중국군과 전투가 시작되었고, 긴급 상황이므로 이타가키의 독단으로 독립수비대를 움직였다는 연락이었다.
곧바로 혼조는 군장을 착용하고, 군용 열차로 봉천으로 향했다. 이 사이에 작전 참모인 이시하라 간지가 가져온 랴오양에 있는 제2사단의 봉천 파견을 결재하고, 전 관동군에 출동을 명령했다. 혼조는 전군 출동에 대해 불안을 느꼈지만, 이동 중인 군용 열차 안에서 괜찮은지 이시하라에게 묻자 이시하라는 "절대 문제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관동군 사령부 조례 제3조, 군사령관의 관외 출병권 조항에 근거합니다."라고 대답했다.
봉천은 관동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봉천 특무기관장 도히하라 겐지 대좌가 봉천 임시 시장에 취임했고, 그 외 만철 연선 지역도 점령되었다. 참모 본부는 이 건에 대해 "관동군의 출병은 자위권 발동이므로 인정하지만, 더 이상 무력 행사를 확대하지 않는다"라는 방침을 나중에 결정하고, 일본 정부도 이를 추인하여 각의 결정했다. 그러나 중앙의 명령 없이 월경 출격한 조선군의 지원을 받아 관동군은 금주, 하얼빈으로 점령지를 확대해 나갔다.
중화민국 측은 장제스가 이 건을 국제 연맹에 제소했지만, 영국 대표가 일본에 대한 신뢰감을 표명했기 때문에, 장제스의 의도는 빗나갔다. 그 후 1932년 3월 1일에 만주국의 건국이 선언되었고, 혼조는 같은 해 8월 8일에 군사 참의관 지령을 받았기 때문에 도쿄로 돌아가, 관동군의 군상에 대해 천황에게 배알하고 보고했다.
천황은 "류탸오후 사건은 관동군의 음모라는 소문을 들었는데, 진상은 어떠한가"라고 하문했다. 이에 대해 혼조는 "관동군 및 사령관인 저는 절대로 모략을 하지 않았습니다"라고 대답했고, 천황은 "그렇군, 다행이다"라고 말했다.
1933년 3월 23일 훈1등 서보장을 수훈, 4월부터 시종무관장이 되었고, 6월에는 육군 대장으로 친임된다. 7월 28일, 만주 사변의 공로로 공1급 금치훈장을 수훈. 1934년 4월 29일, 훈1등 욱일대수장을 수훈하였다. 이 외에 만주국으로부터 대훈위 란화대수장을 수훈, 1935년 12월 26일에는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만주 사변의 공로로 남작 작위를 받았다.[1]
관동군 사령관 시절, 한인애국단의 유상근과 최흥식이 그를 암살하려 했으나 발각되기도 하였다.[19]
2. 3. 2·26 사건 연루 의혹
2·26 사건 당시 히로히토의 수석 시종무관이었던 혼조 시게루는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았다.[3]혼조의 사위 야마구치 이치타로 대위는 거사 당일 반란 부대에 협력했다. 야마구치는 이토 츠네오 소위를 통해 혼조에게 병사 500명의 출동과 습격 목표를 전달했으며, "지금 나왔으니, 잘 부탁한다"라는 메모를 남겨 사전 양해가 있었음을 시사했다.[3]
혼조는 헌병 사령관 이와사 로쿠로 중장, 시종무관 나카지마 테츠조 소장에게 전화 연락 후 궁으로 향했다. 혼조가 습격 목표였던 사람들에게 직접 연락했다면 와타나베 조타로 교육총감은 피해를 면했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3]
사건 다음 날, 반란군 진압 명령이 내려졌지만, 혼조는 청년 장교들의 정신을 인정해 달라며 여러 번 주상하는 등 반란 부대에 유리한 언동을 보였다. 그러나 쇼와 천황은 단호한 진압 방침을 굽히지 않았다. 이 과정은 혼조의 수기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3]
2·26 사건 이후 1936년 3월, 혼조는 대기 명령을 받고 이듬해 4월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3]
2. 4. 전후 자결
1945년 11월 19일, 연합군 최고사령부는 일본 정부에 혼조 시게루 등 11명을 전범으로 체포하여 스가모 형무소에 구금하도록 명령했다.[8] 다음 날인 11월 20일, 혼조 시게루는 아오야마에 있는 구 일본 육군대학 내 보도회 이사장실에서 할복 자결했다.[9] 누카타 히로시 전 육군 중장의 『육군성 인사국장의 회상』에 따르면 "미리 청산가리를 마신 후 할복하고 경동맥을 끊어 자결했다"고 하며, 검시서에는 "먼저 칼을 왼쪽 하복부에 깊이 2촌 찔러 넣어 이를 오른쪽 하복부까지 일자(一字)로 긋고, 다시 이를 반복하는 것 2회, 이어서 심장부를 찌르는 것 역시 3회, 마지막으로 다시 3번 오른쪽 경동맥부를 깊이 5분, 길이 5촌으로 찢어 죽음을 맞이했다"[9]고 기록되어 있다. 그의 묘소는 도쿄도 후추시에 있는 다마 묘지에 있다.3. 평가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평가 섹션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원문 소스가 제공되면 지침에 따라 수정하겠습니다.
참조
[1]
서적
The Sino-Japanese War, 1937-41
[2]
서적
The Generals of World War II
[3]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4]
서적
Encyclopedia of Military Biography
[5]
서적
華族総覧
講談社現代新書
[6]
뉴스
皇弟・溥儀と嵯峨浩子の結婚式
中外商業新報
1937-04-04
[7]
간행물
大東亜戦争 責任を取って自決した陸軍将官26人列伝
展望社
[8]
뉴스
荒木・南・小磯・松岡ら十一人に逮捕命令
朝日新聞
1945-11-20
[9]
간행물
大東亜戦争 責任を取って自決した陸軍将官26人列伝
展望社
[10]
간행물
大東亜戦争 責任を取って自決した陸軍将官26人列伝
展望社
[11]
아카이브
本庄繁
[12]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22-09-12
[13]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18-10-02
[14]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33-03-24
[15]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35-12-27
[16]
간행물
宮廷録事
官報
1945-01-16
[17]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36-04-07
[18]
서적
한국사 이야기 21:해방 그날이 오면
[19]
서적
백범일지
[20]
서적
일본제국 흥망사 (우리의 눈으로 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