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홈 서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홈 서버는 하드웨어,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며, 가정 내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NAS 등 다양한 하드웨어를 활용하며, 윈도우, 리눅스 등 다양한 운영 체제를 사용할 수 있다. 웹 서버, 파일 서버, 미디어 서버, 메일 서버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활용하며, 원격 접속을 통해 외부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 홈 서버는 가정 자동화, 개인 미디어 관리, 보안 강화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지만, 보안 문제, 기술적 장벽, 인터넷 환경 등의 과제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홈 서버 - 가정용 게이트웨이
    가정용 게이트웨이는 가정 내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연결하는 장치로, 라우팅, NAT, 방화벽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웹 인터페이스나 앱으로 구성 가능하지만 보안 취약점의 문제가 있다.
  • 홈 서버 - 플러그 컴퓨터
    플러그 컴퓨터는 다양한 입출력 포트와 저전력 시스템 온 칩 프로세서를 갖춘 소형 컴퓨터로, 미디어 서버, 파일 공유, 백업 서비스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 서버 - 슈퍼 서버
    슈퍼 서버는 TCP 래퍼를 통해 접근 권한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서버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메모리 사용량 감소 및 시스템 관리 효율성을 높이지만, 높은 연결 요청 빈도에서는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inetd, launchd, systemd, ucspi-tcp, xinetd 등이 대표적인 구현체이다.
  • 서버 - 씨마이크로
    씨마이크로는 2007년 설립되어 투자 유치 후 AMD에 인수된 서버 개발 회사로, SM10000, SM15000 시리즈 등의 제품을 개발하고 버라이즌과의 협력 및 여러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 가전제품 - 전자레인지
    전자레인지는 극초단파 에너지를 이용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기기로, 마그네트론과 유전 가열 방식을 사용하며, 금속 용기 사용 등에 주의해야 한다.
  • 가전제품 - 백열등
    백열등은 필라멘트에 전류를 흘려 열로 빛을 내는 조명 기구로, 19세기 후반 여러 발명가에 의해 개발되어 발전을 거듭했으나, 낮은 에너지 효율성으로 인해 LED 전구로 대체되며 현재는 특수한 용도로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홈 서버
홈 서버
용도파일 공유
미디어 스트리밍
게임 서버 운영
웹 호스팅
스마트 홈 자동화
개인 클라우드
백업 및 복구
개발 및 테스트 환경
장점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
중앙 집중식 관리
맞춤 설정
접근성
비용 효율성
단점초기 설정 및 유지 관리 필요
보안 취약점 관리 필요
전력 소비
소음
공간
고려 사항하드웨어 요구 사항
소프트웨어 선택
보안
백업
원격 접근
운영체제Windows
Linux
FreeNAS
unRAID
소프트웨어Plex
Nextcloud
OpenHAB
Docker
웹 서버 (Apache, Nginx)
데이터베이스 (MySQL, PostgreSQL)
보안방화벽 설정
강력한 비밀번호 사용
정기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침입 탐지 시스템
VPN 사용
활용 사례개인 데이터 저장 및 관리
미디어 서버 구축
스마트 홈 제어
웹사이트 호스팅
게임 서버 운영

2. 홈 서버의 구성 요소

홈 서버는 하드웨어, 운영체제, 그리고 다양한 서비스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 하드웨어: 홈 서버는 목적과 예산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단일 보드 컴퓨터(SBC),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AS) 등 다양한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다.[7] 저전력, 저소음, 소형화된 하드웨어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가정 환경에서는 서버룸을 마련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숙성이 중요하며, 상시 가동으로 인한 전기 요금도 고려해야 하므로 절전형 기기가 선호되지만, 일반적인 기기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는 트레이드 오프가 발생할 수 있다.

  • 운영 체제: 홈 서버는 사용자에게 친숙하거나 편리한 운영 체제라면 무엇이든 사용할 수 있다. BSD,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 MacOS 서버, 솔라리스, 윈도우 홈 서버 및 기타 종류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등이 사용될 수 있다.[7] 개인의 취미와 기호에 따라 리눅스 계열, BSD 계열(FreeBSD, NetBSD, OpenBSD, macOS 등), OpenSolaris, 윈도우 계열(Windows Server 2003 등의 서버용 윈도우나 Windows XP와 같은 클라이언트용 윈도우) 외에도 홈 서버 전용 Microsoft Windows Home Server 등이 사용된다. 윈도우 계열과 일부 리눅스 계열은 OS 라이선스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무료 OS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 소프트웨어: 홈 서버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소프트웨어를 활용한다.
  • 웹 서버: 파일을 공유하거나 웹 페이지를 서비스하기 위해 사용된다. 아파치, IIS 등이 대표적이다.[1]
  • 파일 서버: NAS 역할을 하며, 파일 공유 및 권한 설정을 위해 사용된다. 삼바 (윈도우, 리눅스 파일 공유), Netatalk (Mac 파일 공유) 등이 사용된다.[3]
  • 미디어 서버: 사진, 음악, 비디오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한다. DLNA 등의 표준 프로토콜이나 아이튠즈와 같은 사유 시스템을 통해 미디어에 접근할 수 있다.[3]
  • 메일 서버: 개인 도메인 이름으로 이메일을 처리한다. 로컬 네트워크에 있어 접근 속도가 빠르고 보안이 강화된다는 장점이 있다.[1]
  • 기타 서버: 비트토렌트 클라이언트, 고퍼 서버, CCTV DVR, IM 클라이언트/서버, 게임 서버, 연합형 소셜 네트워크 등 다양한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

2. 1. 하드웨어

홈 서버는 목적과 예산에 따라 다양한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단일 보드 컴퓨터(SBC),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AS) 등이 사용된다.[7] 저전력, 저소음, 소형화된 하드웨어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단일 보드 컴퓨터ARM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홈 서버 구동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오래된 데스크톱 및 노트북도 홈 서버로 재사용할 수 있다.[7] 휴대 전화는 일반적으로 ARM 기반 단일 보드 컴퓨터로서 강력하며, 리눅스 운영 체제를 실행할 수 있는 경우 개인의 데이터와 서비스를 자체 휴대 전화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가정 환경에서는 서버룸을 마련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숙성이 중요하며, 상시 가동으로 인한 전기 요금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절전형 기기가 선호되지만, 일반적인 기기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는 트레이드 오프가 발생할 수 있다.

  • HP 미디어스마트 서버

2. 2. 운영 체제

홈 서버는 각기 다른 수많은 운영 체제를 실행할 수 있다. 자신만의 홈 서버를 구축하는 사람들은 자신에게 친숙하거나 편리한 운영 체제라면 무엇이든 사용할 수 있다.

OS는 개인의 취미와 기호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된다. 리눅스 계열, BSD 계열(FreeBSD, NetBSD, OpenBSD, macOS 등), OpenSolaris, 윈도우 계열(Windows Server 2003 등의 서버용 윈도우나 Windows XP와 같은 클라이언트용 윈도우) 외에도 홈 서버 전용 Microsoft Windows Home Server 등이 있다.

윈도우 계열과 일부 리눅스 계열은 OS 라이선스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무료 OS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2. 3. 소프트웨어

홈 서버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소프트웨어를 활용한다.

  • 웹 서버: 파일을 공유하거나 웹 페이지를 서비스하기 위해 사용된다. 아파치, IIS 등이 대표적이다.[1] WebDAV 기능을 통해 HTTP로 파일 전송을 할 수도 있다. 웹 서버는 에 공개하는 용도 외에도, 콘텐츠 관리나 서버 관리 용도로도 사용된다.[3]
  • 파일 서버: NAS 역할을 하며, 파일 공유 및 권한 설정을 위해 사용된다. 삼바 (윈도우, 리눅스 파일 공유), Netatalk (Mac 파일 공유) 등이 사용된다. 파일 서버는 비디오 서버, 스트리밍 서버와 연동되어 사용되기도 한다.[3]
  • 미디어 서버: 사진, 음악, 비디오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한다. DLNA 등의 표준 프로토콜이나 아이튠즈와 같은 사유 시스템을 통해 미디어에 접근할 수 있다. 미디어 센터 익스텐더를 지원하기도 한다. 플렉스, 젤리핀과 같은 서비스를 통해 미디어를 관리하고 메타데이터 및 자막을 자동으로 찾을 수 있다.[3][4]
  • 메일 서버: 개인 도메인 이름으로 이메일을 처리한다. 로컬 네트워크에 있어 접근 속도가 빠르고 보안이 강화된다는 장점이 있다.[1] PC-UNIX 계열에서는 Sendmail, Qpopper, qmail, Postfix, Exim 등이, Windows 계열에서는 XMail, Radish, Microsoft Exchange Server 등이 사용된다.[2] 다이나믹 DNS를 사용할 경우, 메시지 서브미션 에이전트를 이용해야 할 수도 있다.[3]
  • 기타 서버:
  • 비트토렌트 클라이언트: rTorrent, TorrentFlux, Tonido 등을 사용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시딩한다.
  • 고퍼 서버: PyGopherd, Bucktooth 등을 사용하여 월드 와이드 웹 이전의 하이퍼텍스트 문서 검색 프로토콜을 서비스한다.
  • CCTV DVR: 보안 목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녹화를 저장하고, 웹캠을 활용하여 임시 CCTV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
  • IM 클라이언트/서버: Irssi, tmsnc, Quassel 등의 클라이언트를 사용하거나, 개인용 XMPP 서버, IRC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
  • 게임 서버: 마인크래프트 등 멀티플레이어 게임 서버를 구축하여 운영할 수 있다.
  • 연합형 소셜 네트워크: 디아스포라*, GNU 소셜 등 분산 연합형 소셜 네트워크를 호스팅할 수 있다.

2. 3. 1. 웹 서버

일부 사용자들은 파일을 쉽고 공개적으로 (또는 홈 네트워크 상에서 개인적으로) 공유하기 위해 웹 서버를 구동하기도 한다. 다른 사용자들은 웹 페이지를 설정하여 가정에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이는 일부 ISP 서비스 조항에 위배될 수 있다. ISP의 포트 차단을 막기 위해 이러한 웹 서버들은 비표준 포트를 통해 구동되기도 한다. 홈 서버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웹 서버로는 아파치IIS가 있다.[1]

웹 서버로는 아파치 HTTP 서버(Apache HTTP Server)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윈도우 전용 AN HTTPD나 IIS(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등도 이용되고 있다.[3]

홈 서버는 좁은 의미로 자택에서 에 공개하고 있는 웹 서버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최근 상시 접속의 급속한 보급으로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되었고, 렌탈 서버에서는 실현할 수 없는 HTTPSSFTP 등의 보안 서버를 구축할 수 있으며, 용량을 신경 쓰지 않고 콘텐츠를 공개할 수 있다. 또한, CGI나 PHP 등의 서버 측에서 실행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만큼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충분한 방화벽 소프트웨어나 네트워크 장비를 갖추지 않으면 외부로부터의 공격에 약해진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가정용 OS에서는 안정된 동작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접속이 예상되는 서버에서는 Linux 등의 OS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3]

홈 서버의 웹 서버는 타인에게 공개하기 위한 서버인지, 콘텐츠나 서버 관리 등의 용도로 나뉜다.[3]

웹 서버 중에는 FTP를 사용하지 않고 HTTP를 통해 파일 전송이 가능한 기능인 WebDAV를 갖춘 것도 있다. 아파치 HTTP 서버모듈을 추가 설치하여 WebDAV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은 보안상의 문제로 FTP 프로토콜의 사용이 금지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WebDAV 자체도 FTP와는 다른 보안 문제를 안고 있을 수 있다.[3]

2. 3. 2. 파일 서버

홈 서버는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AS) 역할을 수행하여 모든 사용자의 파일을 한 곳에 안전하게 저장하고, 파일에 유연한 권한을 적용할 수 있다. 파일은 유효한 자격 증명이 주어지면 네트워크 상의 다른 시스템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공유 프린터에도 해당한다.

삼바가 설치된 유닉스리눅스 서버는 특정 버전의 윈도우 사용자에게 도메인 제어, 사용자 지정 로그온 스크립트, 로밍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도메인에 속한 장치에 로그온하여 "내 문서"와 개인화된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 환경 설정에 접근할 수 있으며, 가정 내 각 컴퓨터마다 여러 계정이 필요하지 않다.

파일 서버에는 윈도우리눅스 서버의 파일을 LAN을 통해 공유하기 위해 Samba 서버가 사용되기도 한다. Mac용으로는 Netatalk가 있다. 현상자처럼 파일 서버 전용 NAS도 있다. 파일 서버는 동영상 저장에 이용하는 비디오 서버, 음악이나 동영상을 어디에서든 수신하며 시청할 수 있는 스트리밍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2. 3. 3. 미디어 서버

홈 서버는 사진, 음악, 비디오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가정 내 다른 장치나 인터넷으로 서비스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스페이스 시프팅, Tonido, Orb 참고). 사용자는 아이튠즈와 같은 사유 시스템이나 DLNA 같은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가정 내 어디에서든 홈 서버에 저장된 미디어에 접근할 수 있다. 윈도우 XP 미디어 센터 에디션,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은 홈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엑스박스 360을 포함한 미디어 센터 익스텐더에 상호작용 사용자 경험을 스트리밍하는 특정한 유형의 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한다.

윈도우 홈 서버는 내장된 윈도우 미디어 커넥트 기술을 통해 엑스박스 360과 기타 DLNA 기반 미디어 수신기에 미디어 스트리밍을 지원한다. HP와 같은 일부 윈도우 홈 서버 장치 제조업체들은 패킷비디오 TwonkyMedia 서버와 같은 완전한 DLNA 구현체를 통해 이 기능을 확장한다.

리눅스용으로 사용 가능한 미디어 서비스용 오픈 소스 프로그램이 다수 존재한다. LinuxMCE가 한 예로서, 다른 장치들이 서버 상의 하드 드라이브 이미지의 부팅을 시작할 수 있게 하고 셋톱박스와 같은 어플라이언스가 될 수 있게 한다. Asterisk, Xine, MythTV(다른 미디어 서비스 솔루션), VideoLAN, 슬림서버, DLNA 및 기타 수많은 오픈 소스 프로젝트들이 심리스한 홈 시어터/자동화/통화 경험을 위해 완전히 연동된다.

애플 매킨토시 서버에서는 아이튠즈, PS3 미디어 서버, Elgato 등의 옵션이 있다. 게다가 TV에 직접 연결되는 맥의 경우 Boxee가 완전한 기능의 미디어 센터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들은 일반적으로 항상 켜져 있으므로 TV나 라디오 튜너를 추가하면 언제든지 녹화/녹음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윈도우 홈 서버와 같은 서비스는 플렉스 및 젤리핀과 같은 서비스를 선호하여 크게 인기가 떨어졌다.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미디어를 NAS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내 장치로 스트리밍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외부 장치로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자동으로 사용자의 미디어를 정렬하고 메타데이터와 자막을 찾기도 한다. 또한 영화나 시리즈 내에서 사용자의 진행 상황을 추적하고 기억하여 중단된 부분부터 계속 진행할 수 있게 한다.[3][4]

이러한 서비스는 불법으로 획득한 미디어를 쉽게 관리하고 볼 수 있도록 하여 해적 행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5]

  • 프론트 로우 - 맥 OS X용
  • 리눅스MCE
  • MythTV
  • 플렉스 미디어 서버
  • 코디
  • 젤리핀

2. 3. 4. 메일 서버

많은 홈 서버는 소유자의 도메인 이름에 대한 이메일을 처리하는 메일 서버를 실행한다. 대부분의 상용 이메일 서비스보다 훨씬 더 큰 메일함과 최대 메시지 크기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로컬 네트워크에 있기 때문에 서버에 대한 접근은 외부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다. 또한 이메일이 원격 서버에 상주하지 않으므로 보안이 강화된다.[1]

PC-UNIX 계열에서는 Sendmail, Qpopper, qmail, Postfix, Exim 등이, Windows 계열에서는 XMail, Radish, Microsoft Exchange Server 등이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Java 플랫폼 기반의 Apache James 등이 있다.[2]

다이나믹 DNS를 사용하여 동적 IP 주소 회선에서 메일 서버가 작동하는 경우, 수신자의 프로바이더가 인바운드 포트 25 차단을 도입하면, 자택 메일 서버에서 전송된 메일이 수신자 프로바이더에서 거부될 수 있다.[3]

또한, 자택 서버 회선의 프로바이더가 아웃바운드 포트 25 차단을 도입하면, 외부 메일 서버의 TCP 25번 포트와 통신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메일을 전송할 수 없다. 대책으로는, 외부의 TCP 587번 포트의 메시지 서브미션 에이전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3]

2. 3. 5. 기타 서버

비트토렌트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시딩하는 데 홈 서버를 이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부 토렌트는 완료까지 수일에서 수주까지 소요될 수 있으며, 중단 없는 연결에서 더 나은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rTorrent와 같은 텍스트 기반 클라이언트와 TorrentFlux, Tonido와 같은 웹 기반 클라이언트를 사용할 수 있다.

고퍼는 1990년대 초에 대중적이었고 월드 와이드 웹보다 앞섰던 하이퍼텍스트 문서 검색 프로토콜이다. 현재 남아있는 고퍼 서버의 다수는 PyGopherd 및 Bucktooth 고퍼 서버를 사용하는 홈 서버에서 구동된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CCTV DVR 솔루션을 통해 보안 목적으로 홈 서버에 비디오 카메라의 녹화를 허용할 수 있다. 동영상은 가정 내 PC나 기타 장치를 통해 볼 수 있다. 또한, 저렴한 USB 기반 웹캠을 홈 서버에 연결하여 임시 CCTV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서버가 항상 켜져 있기 때문에, 서버 위에서 구동되는 IRC 클라이언트나 IM 클라이언트는 인터넷에 고가용적으로 연결된다.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잠을 자거나, 일을 하거나, 학교에 있는 등) 발생하는 활동을 기록할 수 있다. Irssi와 tmsnc 등의 텍스트 기반 클라이언트들은 분리(detach)가 가능하며, 피진 등의 그래픽 클라이언트의 분리가 xmove를 사용하여 가능하다. Quassel은 이러한 종류의 이용을 위해 특정한 버전을 제공한다. 홈 서버는 또한 개인용 XMPP 서버와 IRC 서버 구동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매우 적은 대역으로 많은 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컨티늄, Tremulous, 마인크래프트, 등의 일부 멀티플레이어 게임들은 서버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이를 다운로드하여 자신만의 사설 게임 서버를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 중 일부는 비밀번호로 보호되어 클랜 멤버나 화이트리스트에 등재된 플레이어 등 선별된 그룹의 인원들만 서버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다. 그 밖의 경우에는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홈 서버는 디아스포라*, GNU 소셜과 같은 분산 연합형 소셜 네트워크를 호스팅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액티비티펍과 같은 연합형 프로토콜들은 수많은 소형 홈 서버들이 의미있는 방식으로 소통할 수 있게 하며 전통적인 대형 네트워크의 느낌을 제공한다.

3. 홈 서버의 관리 및 활용

홈 서버는 헤드리스로 구동되기도 하며 을 통해 원격으로 관리하거나, RDP, VNC, Webmin, 애플 리모트 데스크톱 등의 원격 데스크톱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통해 그래픽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1]

표준 웹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Webmin 인터페이스


홈 서버는 인터넷 상의 장치에서 가정 안으로 원격 접근을 제공하는데, 원격 데스크톱 소프트웨어와 기타 원격 관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3] 리눅스 서버에서는 VNC와 Webmin이 널리 쓰인다.[4] VNC는 클라이언트가 서버 GUI 데스크톱을 원격으로 볼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마치 서버 앞에 실제로 앉아 있는 것처럼 만들어준다.[4] Webmin은 사용자가 단순한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 구성 및 유지보수의 여러 측면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4] 이 둘은 모두 인터넷 어디에서나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4] 서버는 명령 줄 기반 텔넷SSH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접근할 수도 있다.[5]

홈 서버는 HTTP 프록시를 가질 수 있는데,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웹 접근 속도를 높이고, 특정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는 기관의 네트워크를 소유자가 사용하는 동안 차단 소프트웨어를 우회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공용 프록시는 종종 느리고 신뢰할 수 없으므로 개인 프록시를 직접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일부 프록시는 투명 프록시로 설정된 경우 로컬 네트워크의 웹사이트를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비교적 저렴한 CCTV DVR 솔루션을 통해 보안 목적으로 홈 서버에 비디오 카메라를 녹화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집 안의 PC 또는 다른 장치에서 비디오를 볼 수 있다. 일련의 저렴한 USB 기반 웹캠을 홈 서버에 연결하여 임시 CCTV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이미지 및 비디오 스트림은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VPN 소프트웨어로 SoftEther나 OpenVPN이 사용될 수 있다. 외부 네트워크로부터의 통신을 허용하기 때문에, 해킹 등 침입당할 위험성이 높아진다.

가정 자동화는 일주일 24시간 내내 사용 가능한 가정의 장치가 필요한데, 이러한 가정 자동화 컨트롤러는 홈 서버에서 구동되기도 한다. 홈 서버는 가족 캘린더, 할 일 목록, 게시판 등 가족 구성원 간 소통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3. 1. 원격 접속

홈 서버는 헤드리스로 구동되기도 하며 을 통해 원격으로 관리하거나 RDP, VNC, Webmin, 애플 리모트 데스크톱 등의 원격 데스크톱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통해 그래픽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1]

홈 서버는 원격 데스크톱 소프트웨어와 기타 원격 관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인터넷 상의 장치에서 가정 안으로 원격 접근을 제공한다.[3] 윈도우 홈 서버는 가정 내 PC의 웹 인터페이스 및 원격 데스크톱 세션에 대한 원격 접근을 통해 홈 서버에 저장된 파일로의 원격 접근을 제공하며, Tonido는 포트 포워딩이나 기타 설정 없이 인터넷으로부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직접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3] 일부는 VPN 기술을 활용하기도 한다.[3]

리눅스 서버에서 VNC와 Webmin은 유명한 도구이다.[4] VNC는 클라이언트가 서버 GUI 데스크톱을 원격으로 볼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마치 서버 앞에 실제로 앉아 있는 것처럼 만들어준다.[4] Webmin은 사용자가 단순한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 구성 및 유지보수의 여러 측면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4] 이 둘은 모두 인터넷 어디에서나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4]

서버는 명령 줄 기반 텔넷SSH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접근할 수도 있다.[5]

3. 2. 보안

홈 서버는 원격 데스크톱 소프트웨어 및 기타 원격 관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인터넷 장치에서 홈 네트워크에 원격으로 접속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홈 서버는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홈 서버에 저장된 파일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며, 집안의 PC에서 원격 데스크톱 세션에 대한 원격 접속을 제공한다. 토니도(Tonido)는 포트 포워딩이나 기타 설정 없이 인터넷에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직접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사용자들은 VPN 기술도 자주 사용한다.

리눅스 서버에서는 VNC와 Webmin이 널리 사용된다. VNC를 사용하면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GUI 데스크톱을 원격으로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 콘솔에서 GUI가 실행될 필요는 없다. 동시에 여러 개의 '가상' 데스크톱 환경을 열 수도 있다. Webmin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간단한 웹 인터페이스에서 서버 구성 및 유지 관리의 여러 측면을 제어할 수 있다. 둘 다 인터넷 어디에서나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서버는 명령 줄 기반 텔넷 및 SSH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일부 네트워크는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웹 접근 속도를 높이고, 특정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는 기관의 네트워크를 소유자가 사용하는 동안 차단 소프트웨어를 우회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HTTP 프록시를 가지고 있다. 공용 프록시는 종종 느리고 신뢰할 수 없으므로 개인 프록시를 직접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일부 프록시는 투명 프록시로 설정된 경우 로컬 네트워크의 웹사이트를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비교적 저렴한 CCTV DVR 솔루션을 통해 보안 목적으로 홈 서버에 비디오 카메라를 녹화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집 안의 PC 또는 다른 장치에서 비디오를 볼 수 있다.

일련의 저렴한 USB 기반 웹캠을 홈 서버에 연결하여 임시 CCTV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이미지 및 비디오 스트림은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VPN 소프트웨어로 SoftEther나 OpenVPN이 사용될 수 있다. 외부 네트워크로부터의 통신을 허용하기 때문에, 해킹 등 침입당할 위험성이 높아진다.

3. 3. 가정 자동화

가정 자동화는 일주일 24시간 내내 사용 가능한 가정의 장치가 필요한데, 이러한 가정 자동화 컨트롤러는 홈 서버에서 구동되기도 한다.

홈 오토메이션은 효과적인 제어 및 관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작동하는 장치에 자주 의존한다. 전통적인 홈 서버가 이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지만, 라즈베리 파이 및 기타 단일 보드 컴퓨터(SBC)의 등장과 사용 증가가 두드러졌다. 특히 라즈베리 파이와 같은 이러한 장치는 Gladys 및 홈 어시스턴트와 같은 홈 오토메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유연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SBC 기반 솔루션으로의 이러한 전환은 홈 오토메이션을 더욱 접근 가능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만들었으며, 더 광범위한 사용자가 다양한 스마트 홈 장치를 원활하게 제어하고 통합하여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3. 4. 기타 활용

홈 서버는 가족 캘린더, 할 일 목록, 게시판 등 가족 구성원 간 소통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4. 홈 서버 구축의 과제

홈 서버 구축에는 몇 가지 과제가 따른다.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허용하면 해킹 등 침입당할 위험성이 높아진다.[1]

집에서 서버를 운영하여 웹 서버 등의 서비스를 인터넷에 공개하려면, 일반적으로 고속 상시 접속 인터넷 회선이 필요하다. 또한 외부에서 도메인명으로 접속하기 위한 서비스 등록도 필요하다. 한국에서는 광 회선(FTTH), ADSL, CATV 등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 접속하여 IP 주소를 얻는다. 이때 집 서버를 운영하려면 공인 IP 주소가 필요하다.

ISP나 계약 종류에 따라 IP 주소는 고정 IP 주소와 유동 IP 주소로 나뉜다. 고정 IP 주소는 도메인 네임 서버에 등록하여 도메인명을 이름 해결함으로써 외부 접속이 가능하다. 반면 유동 IP 주소는 다이내믹 도메인 네임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IP 주소를 재등록해야 외부 접속이 유지된다.

IP 주소 형태와 관계없이 도메인명은 직접 취득하거나, 도메인명의 하위 부분을 대여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집합 주택 등에서는 사설 IP 주소가 할당되는 경우가 있어 일반적인 방법으로 집 서버 운영이 불가능할 수 있다. 공인 IP 주소를 받더라도 계약에 따라 집 서버 운영이 금지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4. 1. 보안 문제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허용하면 해킹 등 침입당할 위험성이 높아진다.[1]

4. 2. 인터넷 환경

집 서버에서 웹 서버 등의 서비스를 인터넷에 공개하려면 일반적으로 고속의 상시 접속 인터넷 회선이 필요하며, 외부에서 집 서버에 도메인명으로 접속하기 위한 서비스에 등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광 회선(FTTH)이나 ADSL, CATV 등이 집 서버의 회선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선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 접속하여 IP 주소를 얻지만, 집 서버를 운영하려면 이것이 공인 IP 주소여야 한다.

ISP나 ISP와의 계약 종류에 따라 IP 주소가 고정 IP 주소인지, 유동 IP 주소인지가 결정된다. 고정 IP 주소는 통상적으로 도메인 네임 서버에 등록하여 도메인명을 이름 해결함으로써 외부 접속을 받을 수 있다. 반면 유동 IP 주소는 다이내믹 도메인 네임 시스템을 사용하여 현재 IP 주소를 정기적으로 다시 등록해야 IP 주소가 변경되어도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다.

IP 주소 형태와 관계없이 도메인명은 직접 취득하거나, 도메인명의 하위 부분을 대여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집합 주택 등에서는 사설 IP 주소가 할당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집 서버를 운영할 수 없다. 또한, 공인 IP 주소를 얻더라도 계약에 따라 집 서버 운영이 금지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60+ Best Docker Containers for Home Server Beginners 2023 {{!}} SHB https://www.smarthom[...] 2023-04-06
[2] 웹사이트 Roaming Windows User Profiles - SambaWiki https://wiki.samba.o[...] 2023-12-23
[3] 웹사이트 What is Plex? https://support.plex[...] 2024-04-09
[4] 웹사이트 About Jellyfin {{!}} Jellyfin https://jellyfin.org[...] 2024-04-09
[5] 웹사이트 Plex makes piracy just another streaming service https://www.theverge[...] 2019-07-23
[6] 웹사이트 Software Development Kit for Windows Home Server http://msdn.microsof[...] 2009-03-19
[7] 웹사이트 Proceso de montaje del servidor de mi casa https://www.danielcl[...] 2021-12-10
[8] 웹사이트 http://msdn.microso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