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부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부팡은 1938년부터 1949년까지 칭하이 성을 지배한 중국의 군벌이다. 그는 린샤 현에서 태어나 이슬람교 교육을 받았으며, 칭하이 장교 훈련소를 졸업했다. 중원대전 이후 장제스를 지지하며 칭하이 성 주석이 되었고, 1930년대 후반에는 중국 공산당과 싸웠다. 그는 칭하이에서 경제 발전을 추진하고 교육, 의료, 농업, 위생 분야를 발전시켰지만, 티베트인과 골록족을 탄압하고 종교 탄압을 가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1949년 중국 인민해방군에게 패배한 후 망명하여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대사로 활동하다가 사우디 시민권을 얻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마부팡 - [인물]에 관한 문서

2. 생애

마부팡은 린샤현에서 서쪽으로 35km 떨어진 모니거우향(漠泥沟乡)에서 태어나, 이슬람교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6][7] 19세까지 이맘이 되기 위한 공부를 했으나, 이후 형 마부칭처럼 군인의 길을 걸었다.[8] 칭하이 장교 훈련소를 졸업한 후, 중원대전에서 펑위샹국민군을 지지하다가 장제스 측으로 전향했다.[1]

1931년 아버지 마치가 사망하자 그의 권력은 형 마린(군벌)이 승계했으며, 마린은 칭하이성 주지사로 임명되었다. 마린은 문관 지사였고, 마부팡은 무관 지사였기에 둘은 서로 다투며 싫어했다. 마부팡은 백성들에게 그의 삼촌 마린만큼 존경받지 못했는데, 마린은 백성들이 숭배했다.[9]

1936년, 장제스의 명령으로 마중잉의 잔여 세력, 간쑤성 병력, 닝샤 성의 마훙쿠이와 마훙빈의 도움을 받아, 마부팡과 마부칭은 장궈타오가 이끄는 21,800명의 중국 공산당 부대를 소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9] 같은 해, 마부팡은 새로 조직된 제2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0]

1937년, 마부팡은 중국 국민당의 도움을 받아 삼촌 마린을 압박하여 권좌에서 물러나게 하고 칭하이성 주지사가 되었다. 이로써 군사 및 민간 권력을 모두 장악한 그는 1949년 공산당에 패배할 때까지 칭하이성을 통치했다.

장제스(오른쪽)가 1942년 8월 시닝에서 회족 장군 마부팡(왼쪽에서 두 번째), 마부칭(왼쪽에서 첫 번째)과 만나는 모습.


왼쪽


중일 전쟁 발발 후, 마부팡은 마표 휘하의 기병 사단을 파견하여 일본군과 싸우게 했다. 마훙쿠이와 마부팡의 무슬림 기병대의 격렬한 저항으로 인해, 일본군은 전쟁 기간 동안 란저우를 점령하지 못했다.[46] 1941년 시닝이 일본군의 공습을 받자, 살라족 무슬림 장군 한유원이 방어를 지휘했다.

1942년, 장제스는 중국 북서부를 순방하며 마부칭과 마부팡을 만났다. 마부팡은 중국 국민당 제6기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일리 반란 당시 우루무치를 보호하기 위해 무슬림 기병대를 이끌고 파견되었다.[5]

국공 내전 시기, 마부팡은 후종난과 함께 펑더화이의 중국 인민 해방군을 격파하기도 했으나,[67] 1949년 8월 란저우 전투에서 패배하고 홍콩으로 도주했다.[68] 이후 장제스의 권유에도 불구하고, 메카 순례를 명분으로 사우디 아라비아로 망명했다.[71]

263x263px


263x263px


1950년 이집트로 이주한 마부팡은 중국 국민당 이슬람 반란 (1950–1958)의 시작을 선언하며 중국 무슬림은 결코 공산주의에 항복하지 않을 것이며 공산군에 대항하여 게릴라전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74][75] 1957년 중화인민공화국과 이집트의 수교 이후, 사우디 아라비아 주재 중화민국 대사로 임명되었다.[79] 1961년 대사직에서 물러난 후, 사우디 아라비아 시민권을 취득하고 1975년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서 거주했다.[81]

마부팡의 주요 직책은 다음과 같다.

기간직책
1928년제9 신규 사단 지휘관
1932년제2 신규 군단 지휘관
1938년~1949년칭하이성 군정장관
1938년~1941년제82 군단 지휘관
1943년~1945년제40 집단군 사령관


2. 1. 초기 생애와 성장

마부칭의 동생인 마부팡은 린샤현에서 서쪽으로 35km 떨어진 모니거우향(漠泥沟乡)에서 태어났다.[6] 그의 아버지 마치(马麒)는 1915년 칭하이에서 닝하이군을 창설했다.[6]

마부팡은 이슬람교 교육을 받았다.[7] 마치는 마부팡에게 이맘이 되도록 공부시켰으나, 19세까지 공부한 후 형처럼 군사 경력을 쌓았다.[8] 마부팡은 칭하이 장교 훈련소 졸업생이었다.[1]

2. 2. 권력 장악

1936년, 장제스의 명령에 따라, 마중잉의 잔여 세력, 간쑤성의 병력, 닝샤 성의 마훙쿠이와 마훙빈의 도움을 받아, 마부팡과 그의 형제 마부칭은 장궈타오가 이끄는 21,800명의 부대가 중국 공산당 기지를 확장하기 위해 황허강을 건너는 것을 소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9] 같은 해 마부팡은 새로 조직된 제2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0]

마부팡은 14대 달라이 라마가 그의 전임자를 계승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달라이 라마가 사실상 가택 연금 상태가 되도록 그의 부하들을 배치했다. 그는 이것이 "보호"를 위해 필요하다고 말하며, 달라이 라마가 티베트로 떠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11] 그는 10만 중국 은화를 요구하며 달라이 라마가 칭하이 성에서 티베트로 이동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했다.[12][13][14]

비록 그의 삼촌 마린이 공식적으로 칭하이 성 지사였지만, 마부팡은 그 지역에서 사실상의 군사 권력을 가지고 있었고, 외국인들도 이를 인정했다.[15] 1936년 가을, 마부팡은 삼촌을 권력에서 몰아내고 그를 대체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였다.[17] 마부팡은 마린의 지위를 유지하기 어렵고 견딜 수 없게 만들었고, 마린은 메카하지를 떠남으로써 권력에서 사임했다.[18]

1938년, 중국 국민당의 지지를 얻은 마부팡은 숙부 마린을 몰아내고, 칭하이 성의 주석(지사)이 되어 명실상부 칭하이 지방의 지배자가 되었다. 군사력과 정치력을 손에 넣은 마부팡은 1949년까지 칭하이 지방을 지배했다. 같은 시기, 자신의 세력권에서 조카 마중잉과 경쟁하고 싶지 않았던 마부팡, 마부칭, 마훙쿠이, 마훙빈 등은 마중잉에게 간쑤 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등 다른 지역에서 발전할 것을 권하고 이를 지원했다.[9]

이집트 무함마드 나기브 대통령과


1949년 8월, 마부팡은 펑더화이가 이끄는 중국 인민해방군에게 패배하여, 간쑤 성의 성도 란저우를 점령당했으며, 마부팡은 먼저 충칭, 그리고 홍콩으로 도망쳤다. 10월, 장제스로부터 서북부로 돌아가 중국 인민해방군과 항전을 계속하라는 권유를 받은 마부팡은 메카 순례를 명분으로 친족과 부하 200여 명을 이끌고 사우디 아라비아로 도주했다. 1950년, 마부팡은 뇌물을 써서 여권을 손에 넣어 이집트로 이동했다. 1957년, 이집트와 중화인민공화국 간에 국교가 수립되자, 마부팡은 중화민국 주재 대사로 사우디 아라비아에 부임했다. 1961년, 조카를 측실로 삼은 것이 드러나 스캔들이 되어 대사직에서 사임하게 되었다. 중화민국으로부터의 형벌을 피하고 싶었던 마부팡은 대만으로 돌아가지 않고 사우디 아라비아 시민이 되었으며, 1975년에 사망할 때까지 사우디 아라비아에 머물렀다.

2. 3.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



1937년 베이핑-톈진 전투에서 일본의 공격이 시작되자, 마부팡은 중국 정부에 일본군과의 싸움을 벌일 준비가 되어 있다고 전보를 통해 알렸다.[45] 루거우차오 사건 직후, 그는 마표 휘하의 기병 사단을 일본군과 싸우기 위해 동쪽으로 파견할 준비를 했다. 마부칭과 마부팡은 장제스와 전화로 일본군에 대한 전투 계획을 논의했으며, 마부팡의 정예 기병대가 일본에 맞서 출동했다. 이 기병대의 다수는 투르크계 살라족 무슬림이었다.

마훙쿠이와 마부팡의 무슬림 기병대의 격렬한 저항으로 인해, 일본군은 전쟁 기간 동안 란저우를 점령할 수 없었다.[46] 마부팡은 또한 티베트인과 접촉하려는 일본 요원들을 방해했으며, 일본 요원으로부터 "적"으로 불렸다.[47]

마부팡의 군대는 허난성에서 일본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마부팡은 그의 친척인 마표 장군이 지휘하는 군대를 허난에서 일본군과 싸우도록 보냈다. 마부팡이 파견한 칭하이 출신 한족, 살라족, 중국 무슬림, 둥샹족, 그리고 티베트 병사들은 일본 제국 육군에 맞서 죽을 때까지 싸웠고, 포위되었을 때는 포로로 잡히는 것을 거부하며 자살했다. 일본군을 물리쳤을 때, 무슬림 군대는 승리를 증명하기 위해 칭하이로 돌려보낸 소수의 포로를 제외하고는 모두 학살했다. 1940년 9월, 일본군이 무슬림 칭하이 군대에 대한 공세를 시작했을 때, 무슬림들은 매복하여 많은 일본군을 죽여 후퇴하게 만들었다. 일본군은 시신을 수습할 수 없어, 일본으로 보내기 위해 시신에서 팔을 잘라 화장했다. 이후 일본군은 다시는 비슷한 공세를 시도하지 않았다.

시닝은 제2차 중일 전쟁 중인 1941년에 일본 전투기의 공습을 받았다. 폭격은 칭하이의 모든 민족들을 일본에 대항하게 만들었다. 살라족 무슬림 장군 한유원은 일본 비행기의 공습 동안 시닝시의 방어를 지휘했다. 한유원은 군사 기지 방공호에 숨어 있던 마부팡으로부터 전화로 지시를 받던 중, 시닝에서 일본 비행기의 공습에서 살아남았다. 폭격으로 사람의 살점이 청천백일기 깃발에 튀었고, 한유원은 잔해에 묻혔다. 피를 흘리며 잔해에서 끌려 나온 한유원은 절뚝거리면서 기관총을 잡고 일본 비행기에 다시 발사하며 그의 모국어인 살라어로 일본인을 저주했다.

1942년, 중화민국 정부 수반인 장제스신장 위구르 자치구, 간쑤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산시성, 칭하이를 포함한 중국 북서부를 순방하여 마부칭과 마부팡을 모두 만났다. 이때 마부팡은 5만 명의 정예 병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55]

마부팡은 중국 국민당 제6기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국민당 중국 정부는 마부팡에게 그의 군대를 여러 차례 신장으로 진격시키라고 명령했다. 마부팡은 1945년 일리 반란 당시 위구르군으로부터 우루무치를 보호하기 위해 국민당에 의해 무슬림 기병대를 이끌고 우루무치로 파견되었다.[5]

마부팡은 1949년 징기스칸의 사당을 위린에서 시닝으로 옮겼다.[58][59] 1949년 4월 7일 마부팡과 마훙쿠이는 공동으로 공산군과 계속 싸울 것이며, 그들과 협약을 맺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60] 공산군이 진격하면서 전투가 계속되었다.[61]

후 종난과 마부팡 장군은 다섯 개 군단을 이끌고 바오지 근처에서 펑더화이 장군의 군대를 격파하여 중국 인민 해방군 (PLA) 15,000명을 죽였다.[67]

1949년 8월, 마부팡은 공수 보급품을 요청하기 위해 광저우에 있는 국민당 정부에 비행기를 타고 갔고, 그의 아들 마지위안은 란저우에서 국민당 군대를 지휘하며 기자들에게 도시를 방어하겠다고 조언했다. 그러나 정부는 그의 요청을 거부했고, 마부팡은 란저우로 돌아간 다음 그곳을 포기하고 트럭을 타고 시닝으로 후퇴했다.[68] 그러자 중국 공산당의 중국 인민 해방군은 펑더화이 장군의 지휘 아래 란저우 전투에서 마부팡의 군대를 격파하고 간쑤성의 수도인 란저우를 점령했다. 마부팡은 시닝에서 쫓겨나 충칭을 거쳐 홍콩으로 도주했다. 그는 5만 달러를 가지고 있었다.[69] 10월, 장제스는 그에게 서북 지역으로 돌아갈 것을 촉구했지만, 그는 200명 이상의 친척과 부하들과 함께 하지라는 명목으로 메카로 도주했다.[71]

마부팡과 그의 아들 마지위안, 사촌 마부캉, 조카 마청샹 등은 사우디 아라비아로 도주했다. 그러나 1년 후 마부팡과 마부캉은 이집트 카이로로 이주했고, 그의 아들 마지위안은 10명의 장군과 함께 대만으로 이주했다.[72][73]

마부팡 장군은 1950년 1월 9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중국 국민당 이슬람 반란 (1950–1958)의 시작을 선언하며 중국 무슬림은 결코 공산주의에 항복하지 않을 것이며 공산군에 대항하여 게릴라전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74][75]

2. 4. 망명과 죽음



1949년 8월, 마부팡은 펑더화이가 이끄는 중국 인민해방군에게 패배하여 란저우를 점령당했다. 이후 마부팡은 충칭을 거쳐 홍콩으로 도망쳤다.[79] 10월, 장제스는 마부팡에게 서북부로 돌아가 중국 인민해방군에 맞서 싸울 것을 권유했지만, 마부팡은 메카 순례를 명분으로 가족 및 부하 200여 명과 함께 사우디 아라비아로 피신했다.[79] 1950년, 마부팡은 뇌물을 사용해 여권을 얻어 이집트로 이동했다.[79]

1957년, 이집트와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 외교 관계가 수립되자, 마부팡은 타이베이에 의해 사우디 아라비아 주재 중화민국 대사로 임명되었다.[79] 그는 4년간 대사직을 수행했으며, 타이완으로는 돌아가지 않았다.[80] 1961년, "부패 및 무능" 혐의로 해임되었다.[80]

마부팡은 대사 재직 중, 사우디 아라비아에 거주하는 전 위구르 무프티인 압둘 아하드 하메드의 요청을 받았다. 하메드는 중국 밖에 거주하며 중화민국 여권을 소지한 위구르인들에게 편의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마부팡은 이 요청을 거부하고, "동투르키스탄"이라는 용어 사용을 거부했다. 그는 신장 자치구가 중국의 일부이며, 동투르키스탄 독립 운동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중화민국의 공식 입장을 지지하는 편지를 보냈다.[82]

1961년, 조카를 측실로 삼은 사실이 밝혀져 대사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중화민국의 처벌을 피하기 위해 마부팡은 타이완으로 돌아가지 않고 사우디 아라비아 시민권을 취득했다.[81] 그는 1975년 72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거주했다.[81] 마부팡은 아들 마지위안을 두었으며, 마지위안은 마부팡의 군대에서 사단장을 역임했다.[81]

3. 통치와 정책

마부팡은 중국 국민당의 지지를 받으며 삼촌 마린을 몰아내고 1938년 칭하이 성 지사가 되어 군사 및 민간 권력을 장악했다.

마부팡은 티베트인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그의 군대에는 일부 티베트 불교 신자들이 복무했지만, 다른 이들은 그의 군대에 의해 억압받고 살해당했다. 그는 겉으로는 민족 간의 평화와 관용을 외쳤지만,[42] 실제로는 다양한 민족 출신의 군인들을 징집하여 칭하이 내 소수 민족들을 억압하는 정책을 펼쳤다.[43]

14대 달라이 라마가 전임자를 계승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던 마부팡은 달라이 라마를 사실상 가택 연금 상태로 만들고, "보호"를 위해 필요하다는 명목으로 티베트로 떠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11] 그는 10만 중국 은화를 요구하며 달라이 라마의 칭하이 성에서 티베트로의 이동을 지연시키려 했다.[12][13][14]

마부팡은 골록에 7차례의 섬멸 작전을 감행하여 수천 명의 골록족 부족민들을 제거했고, 칭하이 북동부와 동부에서 많은 골록족 부족 티베트인들을 몰살하고 티베트 불교 사찰을 파괴했다. 1939년에는 암도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 중 하나인 레공의 티베트 불교 사찰을 공격하고 파괴했으며, 1941년에는 군대를 보내 창가르 사원을 파괴, 약탈하고 승려들을 쫓아냈다. 1939년에서 1941년 사이에는 칭하이 남부의 티베트 부족들이 세금 문제로 반란을 일으켰지만, 마부팡의 "진압 작전"에 의해 진압되어 학살당했다.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는 위수 바탕 공항을 수리하여 티베트 분리주의자들의 독립 추구를 막도록 마부팡에게 명령했다. 장제스는 1942년 마부팡에게 티베트 침공에 대비해 무슬림 군인들에게 경계 태세를 갖추도록 명령했고,[50] 마부팡은 수천 명의 병력을 티베트 국경으로 이동시켰다.[51]

종교 정책에 있어서 마부팡은 이허와니(이크완) 종파를 지원하여 사회를 근대화하고 교육을 개선하며 낡은 전통을 개혁하도록 했다. 그는 종교 관련 업무와 성직자를 국가 및 민간 업무와 분리하여, 종교는 교육, 도덕 등 비행정적 문제만 다루도록 했다.[111] 반면, 살라피 무슬림은 박해하고 "이단", "외국인"으로 취급하여 이동하거나 공개적으로 예배하는 것을 금지했다.[112] 하지만, 다신교도가 공개적으로 예배하는 것을 허용하고, 기독교 선교사들이 칭하이성에 주둔하는 것을 허용하는 등 종교에 따라 다른 정책을 펼쳤다.

경제 정책에 있어서 마부팡은 교육, 의료, 농업, 위생 개선을 위한 국영 산업화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모든 학교에 식량과 교복을 제공하고, 도로와 극장을 건설했으며, 언론을 통제했다.[96] 그는 엄격한 조림 정책을 시행하여 수백만 그루의 나무를 심고 관개 시스템을 구축했다.[65] 또한 교육을 장려하고, 사업가들에게 해충 구제와 청결 유지를 통해 시닝 시를 체계적으로 청소하게 했다.[100]

마부팡은 린샤 후이족 자치주에 무슬림 소녀들을 위한 학교를 세워 현대적인 세속 교육을 제공했다.[2] 그는 화가 장대천을 스쿠범에 보내 둔황 불교 미술 연구를 돕게 했고,[101] 민요 작곡가 왕뤄빈을 후원하여 "아주 멀리 떨어진 그곳" 등의 민요 작곡을 지원했다.

마부팡의 주요 직책은 다음과 같다:

직책기간
제9 신규 사단 지휘관1928년
제2 신규 군단 지휘관1932년
칭하이성 군정장관1938년~1949년
제82 군단 지휘관1938년~1941년
제40 집단군 총사령관1943년~1945년
제26 사단 제77 여단 부사령관
신 제9 사단 사단장1931년 - 1934년
신편 제2군 군장, 제100사 사단장1934년 - 1938년
칭하이 성 주석1938년 - 1949년


3. 1. 군사 및 행정

마린(馬麟) 장군은 문관 지사였고, 마부팡은 무관 지사였다. 그들은 서로 다투며 싫어했다. 마부팡은 백성들에게 그의 삼촌 마린만큼 존경받지 못했는데, 마린은 백성들이 숭배했다.[9]

1936년, 장제스의 명령에 따라, 마중잉의 잔여 세력, 간쑤성의 병력, 닝샤 성의 마훙쿠이와 마훙빈의 도움을 받아, 마부팡과 그의 형제 마부칭은 장궈타오의 21,800명의 강력한 부대가 중국 공산당 기지를 확장하기 위해 황허강을 건너는 것을 소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37년, 마부팡은 중국 국민당의 도움을 받아 삼촌 마린에게 그의 지위를 양보하도록 강요했다. 그 시점에서 마부팡은 칭하이 성 지사가 되었고, 군사 및 민간 권력을 모두 갖게 되었으며, 1949년 공산당의 승리까지 그 자리에 머물렀다. 마부팡이 권력을 잡는 과정에서, 그는 마부칭과 사촌 마훙쿠이, 마훙빈과 함께 또 다른 사촌인 마중잉이 간쑤 성에서 승리하도록 도왔다. 그들은 마중잉이 자신들의 영역에서 경쟁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간쑤 성과 신장과 같은 다른 지역에서 자신의 권력 기반을 개발하도록 격려하고 지원했다. 마부팡은 간쑤 성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마중잉을 물리치고 신장으로 몰아냈다.

1936년, 마부팡은 새로 조직된 제2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0]

마부팡은 14대 달라이 라마가 그의 전임자를 계승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달라이 라마가 사실상 가택 연금 상태가 되도록 그의 부하들을 배치했다. 그는 이것이 "보호"를 위해 필요하다고 말하며, 달라이 라마가 티베트로 떠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11] 그는 10만 중국 은화를 요구하며 달라이 라마가 칭하이 성에서 티베트로 이동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했다.[12][13][14]

비록 그의 삼촌 마린이 공식적으로 칭하이 성 지사였지만, 마부팡은 그 지역에서 사실상의 군사 권력을 가지고 있었고, 외국인들도 이를 인정했다.[15] 그의 삼촌 마린이 칭하이 성 지사였을 때, 마부팡은 간쑤 성의 평화 담당관이었다.[16] 1936년 가을, 마부팡은 삼촌을 권력에서 몰아내고 그를 대체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였다.[17] 마부팡은 마린의 지위를 유지하기 어렵고 견딜 수 없게 만들었고, 마린은 메카하지를 떠남으로써 권력에서 사임했다.[18] 마린의 다음 직책은 국민 정부 위원회의 일원이 되는 것이었다. 한 인터뷰에서 마린은 "장제스에 대한 높은 존경심과 변함없는 충성심"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되었다.[19]

청나라는 그의 가족에게 "마(馬)"라는 성이 새겨진 노란색 기를 하사했다. 마부팡은 전투에서 이 기를 계속 사용했으며, 1936년 현재 그의 군대에는 30,000명의 무슬림 기병대가 있었다.[18]

쑹쯔원(T. V. Soong)과 중화민국의 마부팡이 1934년 칭하이성 시닝의 모스크를 방문


마부팡은 칭하이의 티베트인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의 군대에는 일부 티베트 불교 신자들이 복무했지만, 다른 이들은 그의 군대에 의해 짓밟히고 살해당했다.

1932년, 마부팡의 무슬림 군대와 한족 장군 류원후이는 13대 달라이 라마의 티베트 군대가 칭하이성을 침략하려 하자 격퇴했다. 마부팡은 티베트 군대를 제압하고 시캉성의 여러 현을 탈환했다. 스취, 덩커 및 기타 현들은 티베트인들에게서 빼앗겼고, 그들은 진사강의 반대편으로 밀려났다. 마부팡과 류원후이는 티베트 관리들에게 다시는 진사강을 건너지 말라고 경고했다. 휴전이 체결되어 전투가 종료되었다.

마부팡의 무슬림 군대의 명성은 티베트 군대와의 전쟁과 승리로 인해 높아졌다. 마표의 위상은 전쟁에서의 역할과 1937년 일본에 대항한 전투로 인해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티베트와의 국경 지역인 캄과 위수 지역에 대한 중국의 통제는 칭하이 군대에 의해 지켜졌다. 중국 무슬림이 운영하는 학교들은 티베트와의 전쟁에서의 승리를 이용하여 일본의 침략으로 인해 위험에 처한 중국 영토를 어떻게 방어했는지 보여주었다.

중국 국민당의 중화민국 정부는 마부팡이 골록에 7차례의 섬멸 작전을 감행하여 수천 명의 골록족 부족민들을 제거했을 때 그를 지원했다. 일부 티베트인들은 그가 공격한 횟수를 세며, 그들의 삶을 불가능하게 만든 일곱 번째 공격을 기억했다. 마부팡은 반공주의자였으며, 그의 군대는 칭하이 북동부와 동부에서 많은 골록족 부족 티베트인들을 몰살하고 티베트 불교 사찰을 파괴했다.

마부팡은 쿤룬 중학교를 설립하고 티베트 학생들을 모집하여 가혹한 군대 생활을 시켰다. 이 학교는 마부팡이 티베트인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군사 영역을 확장하면서 티베트어 통역사들의 중요한 공급원이 되었다. 마부팡은 더 많은 티베트인들을 물리치면서 그들을 자신의 군대에 징집하기도 했다.

마부팡은 1939년 암도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 중 하나인 레공의 티베트 불교 사찰을 공격하고 파괴했다. 마부팡은 1941년 군대를 보내 창가르 사원을 파괴하고 약탈했으며, 그의 군대는 승려들을 쫓아냈다. 공산주의자들이 정권을 잡은 후에야 사찰이 재건될 수 있었고, 승려들은 1953년에 돌아왔다. 마부팡의 공격을 받은 많은 사찰들은 골록족과 관련이 있었다.

1939년에서 1941년 사이에 칭하이 남부의 티베트 부족들은 세금 문제로 반란을 일으켰지만, 마부팡의 "진압 작전"에 의해 진압되어 학살당했고, 이로 인해 칭하이에서 티베트로 대규모 티베트 난민이 유입되었다.

마부팡 군대와 싸웠던 전 티베트 파 병사 아텐은 전투에 대한 증언을 했다. 그는 중국 무슬림들을 "사나웠다"고 묘사했다. 그와 그의 부대가 마부팡의 중국 무슬림 기병 2,000명에게 매복당한 후, 그는 총상을 입었고 "우리 그룹 대부분의 운명에 대해 환상을 갖지 않았"으며, 대부분이 전멸했다. 아텐은 또한 "티베트의 암도"가 마부팡에 의해 "점령"되었다고 주장했다.

마부팡은 민족 간의 평화와 관용을 외쳤다.[42]

마부팡의 기병대 군인들은 다양한 민족 출신이었다. 회족, 몽골족, 티베트인, 그리고 한족들이 모두 마부팡의 기병대에서 복무했다.[43] 이론적으로 마부팡의 민족 관용은 징집병들이 그의 군대 내에서 민족 간의 갈등을 피할 수 있도록 보장했다.

1937년과 1938년에 일본은 마부팡에게 접근하려 했지만 무시당했다.[44]

마부팡의 군인들은 대일본 전쟁 동안 제82군으로 지정되었다.

1937년, 베이핑-톈진 전투에서 일본의 공격이 시작되자, 마 계열의 회교도 장군 마부팡은 전보를 통해 중국 정부에 일본군과의 싸움을 벌일 준비가 되어 있다고 알렸다.[45] 루거우차오 사건 직후, 그는 회교도 장군 마표 휘하의 기병 사단을 일본군과 싸우기 위해 동쪽으로 파견할 준비를 했다. 마부칭과 마부팡은 장제스와 전화로 일본군에 대한 전투 계획을 논의했다. 마부팡의 최고 정예 기병대가 일본에 맞서 출동했다. 민족 투르크계 살라족 무슬림이 마부팡이 파견한 첫 번째 기병대의 다수를 차지했다.

마훙쿠이와 마부팡의 무슬림 기병대의 격렬한 저항으로 인해, 일본군은 전쟁 기간 동안 란저우에 도달하여 점령할 수 없었다.[46]

마부팡은 또한 티베트인과 접촉하려는 일본 요원들을 방해했으며, 일본 요원으로부터 "적"으로 불렸다.[47]

마부팡은 1938년 삼촌 마린을 권력에서 몰아내고 칭하이 성의 지사가 되었다.[48] 그는 군대를 지휘했다. 그는 그의 반일 감정 때문에 임명되었다.[1][49]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의 명령에 따라, 마부팡은 위수 바탕 공항을 수리하여 티베트 분리주의자들이 독립을 추구하는 것을 막았다. 장제스는 또한 1942년 마부팡에게 티베트 침공에 대비하여 그의 무슬림 군인들에게 경계 태세를 갖추도록 명령했다.[50] 마부팡은 이에 따라 수천 명의 병력을 티베트 국경으로 이동시켰다.[51] 장제스는 또한 티베트인들이 따르지 않으면 폭격을 가하겠다고 위협했다. 마부팡은 1941년에 티베트 불교 사찰인 창 사원을 공격했다.[52] 그는 또한 라브랑 사원을 끊임없이 공격했다.[53]

마부팡의 군대는 허난성에서 일본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마부팡은 그의 친척인 마표 장군이 지휘하는 군대를 허난에서 일본군과 싸우도록 보냈다. 마부팡이 파견한 칭하이 출신 한족, 살라족, 중국 무슬림, 둥샹족, 그리고 티베트 병사들은 일본 제국 육군에 맞서 죽을 때까지 싸웠고, 적에게 포위되었을 때는 포로로 잡히는 것을 거부하며 자살했다. 그들이 일본군을 물리쳤을 때, 무슬림 군대는 승리를 증명하기 위해 칭하이로 돌려보낸 소수의 포로를 제외하고는 모두 학살했다. 1940년 9월, 일본군이 무슬림 칭하이 군대에 대한 공세를 시작했을 때, 무슬림들은 그들을 매복하여 너무 많은 일본군을 죽여 그들이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일본군은 심지어 그들의 시신을 수습할 수도 없었고, 대신 일본으로 보내기 위해 화장하기 위해 시신에서 팔을 잘랐다. 일본군은 다시 비슷한 공세를 시도하지 않았다. 마표는 마부팡의 할아버지인 마하이옌의 여섯 번째 남동생인 마하이칭의 장남이었다.

일본과의 전쟁 동안, 마부팡은 제82군을 지휘했다.[54]

시닝은 제2차 중일 전쟁 중인 1941년에 일본 전투기의 공습을 받았다. 폭격은 지역 칭하이 몽골족과 칭하이 티베트족을 포함한 칭하이의 모든 민족들을 일본에 대항하게 만들었다. 살라족 무슬림 장군 한유원은 일본 비행기의 공습 동안 시닝시의 방어를 지휘했다. 한유원은 군사 기지 방공호에 숨어 있던 마부팡으로부터 전화로 지시를 받던 중, 시닝에서 일본 비행기의 공습에서 살아남았다. 폭격으로 사람의 살점이 청천백일기 깃발에 튀었고, 한유원은 잔해에 묻혔다. 피를 흘리며 잔해에서 끌려 나온 한유원은 절뚝거리면서 기관총을 잡고 일본 비행기에 다시 발사하며 그의 모국어인 살라어로 일본인을 개라고 저주했다.

마부캉과 마부팡은 일본 전투기가 시닝을 폭격했을 때 마표에 대해 논의하고 있었다.

1942년, 중화민국 정부 수반인 장제스신장 위구르 자치구, 간쑤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산시성, 그리고 칭하이를 포함한 중국 북서부를 순방하여 마부칭과 마부팡을 모두 만났다. 이때 마는 5만 명의 정예 병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55]

마부팡은 중국 민족주의 이맘 후쏭산을 지지했다.[56]

마 부팡은 1945년 중국 국민당 제6기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국민당 중국 정부는 마 부팡에게 친소련 성향의 성스차이 지사를 위협하기 위해 그의 군대를 여러 차례 신장으로 진격시키라고 명령했다. 이것은 신장에 정착하는 중국인들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57] 마 부팡은 1945년 일리 반란 당시 위구르군으로부터 우루무치를 보호하기 위해 국민당에 의해 무슬림 기병대를 이끌고 우루무치로 파견되었다.[5]

마 부팡은 1949년 징기스칸의 사당을 위린에서 시닝으로 옮겼다.[58][59] 1949년 4월 7일 마 부팡과 마 홍쿠이는 공동으로 공산군과 계속 싸울 것이며, 그들과 협약을 맺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60] 공산군이 진격하면서 전투가 계속되었다.[61] 마 부팡은 국민당에 의해 서북 지역의 모든 군사 및 정치 업무의 최고 책임자로 임명되었다.[62]

판첸 라마는 달라이 라마 정부에 의해 티베트에서 추방되었고, 1949년 9월 티베트를 상대로 군대를 이끌어 복수하기를 원했으며 마 부팡에게 도움을 요청했다.[63] 마 부팡은 판첸 라마와 달라이 라마에 대항하는 라마교 홍파를 후원했다. 칭하이는 홍파 구성원들의 "성역" 역할을 했고, 마 부팡은 쿰붐 사원을 판첸 라마가 완전히 자치하도록 허용했다.[64]

마 부팡 장군은 정부에 의해 중국 북서부 전체 지역의 최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며, ''TIME'' 잡지에서는 "텍사스의 13배" 크기로 "1,400만 명"의 인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3분의 1은 한족, 3분의 1은 무슬림 중국인, 나머지는 티베트인, 투르크인, 몽골인, 카자흐족"이라고 묘사했다. 그는 부대를 이끌고 뷰익을 타고 란저우에 입성하여 건물들을 점령하고 야영지를 설치했다.[65] 마 부팡은 또한 요시프 스탈린이 그의 부대에 보낸 40대의 소련 전투기와 싸워야 했다.[66]

후 종난과 마 부팡 장군은 다섯 개 군단을 이끌고 바오지 근처에서 펑 더화이 장군의 군대를 격파했다. 그들은 중국 인민 해방군 (PLA) 15,000명을 죽였다.[67]

1949년 8월, 마 부팡은 공수 보급품을 요청하기 위해 광저우에 있는 국민당 정부에 비행기를 타고 갔고, 그의 아들 마지위안은 란저우에서 국민당 군대를 지휘하며 기자들에게 도시를 방어하겠다고 조언했다. 그러나 정부는 그의 요청을 거부했고, 마 부팡은 란저우로 돌아간 다음 그곳을 포기하고 트럭을 타고 시닝으로 후퇴했다.[68] 그러자 중국 공산당의 중국 인민 해방군은 펑더화이 장군의 지휘 아래 란저우 전투에서 마 부팡의 군대를 격파하고 간쑤성의 수도인 란저우를 점령했다. 마 부팡은 시닝에서 쫓겨나 충칭을 거쳐 홍콩으로 도주했다. 그는 5만 달러의 돈을 가지고 있었다.[69] 홍콩의 아파트에 거주하면서 그는 메카로 도망갈 의사를 밝혔다.[70] 10월, 장제스는 그에게 PLA에 저항하기 위해 서북 지역으로 돌아갈 것을 촉구했지만, 그는 200명 이상의 친척과 부하들과 함께 하지라는 명목으로 메카로 도주했다.[71]

마 부팡과 그의 아들 마지위안, 사촌 마 부캉, 조카 마 청샹과 같은 가족 구성원들은 사우디 아라비아로 도주했다. 그러나 1년 후 마 부팡과 마 부캉은 이집트 카이로로 이주했고, 그의 아들 마지위안은 10명의 장군과 함께 대만으로 이주했다.[72][73]

마 부팡 장군은 1950년 1월 9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중국 국민당 이슬람 반란 (1950–1958)의 시작을 선언하며 중국 무슬림은 결코 공산주의에 항복하지 않을 것이며 공산군에 대항하여 게릴라전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74][75] 그의 전 군대, 대부분 무슬림은 반란에서 주요 역할을 계속했다.[3]

1950년, 마 부팡은 카이로로 이주했다. 그는 아랍 국가들의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그곳에 있었다.[76][77] 마 부팡은 중국 국민당의 이집트 대표로 활동했다.[78]

마 부팡의 전 참모장은 공산당으로 전향하여 칭하이성 인민 대표 대회 상무위원회 부주석이 된 마원정이었다.[86]

마 부팡 휘하에서 복무한 또 다른 장교인 살라족 장군 한유문 역시 공산당으로 전향하여 중국 인민 해방군에 입대했다.

마 부팡은 북서부 사령부에 또 다른 참모장 마지를 두었다. 마지의 아들 마원잉은 나중에 유명한 재단사가 되었다.[87]

마 부팡은 한 이무와 한 유원 장군과 같은 많은 살라 장교들을 그의 군대에 모집했는데, 그들 대부분은 쉰화 현 출신이었다.

마 부팡의 정권은 "광신적으로 훈련되고 복종하는 중국 무슬림"의 지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가 총독직을 맡은 후, 그는 민간 통치로 전환했다. 그의 아들은 마 부팡의 군대에 대한 전 권한을 물려받았다.

마부팡의 주요 직책은 다음과 같다:

직책기간
제9 신규 사단 지휘관1928년
제2 신규 군단 지휘관1932년
칭하이성 군정장관1938년~1949년
제82 군단 지휘관1938년~1941년
제40 집단군 총사령1943년~1945년
제26 사단 제77 여단 부사령관
신 제9 사단 사단장1931년 - 1934년
신편 제2군 군장, 제100사 사단장1934년 - 1938년
칭하이 성 주석1938년 - 1949년



1936년, 장제스의 명령을 받은 마부팡은 형 마보칭과 함께 간쑤 성의 마중잉의 잔여 세력, 닝샤 성의 마훙쿠이, 마훙빈 부대의 지원을 받아, 중국 공산당의 지배권을 확대하려 황허 강을 건넌 장궈타오가 이끄는 2만 1800명의 홍군을 섬멸하는 데 성공했다.

1938년, 중국 국민당의 지지를 얻은 마부팡은 숙부 마린을 몰아내고, 칭하이 성의 주석(지사)이 되어 명실상부 칭하이 지방의 지배자가 되었다. 군사력과 정치력을 손에 넣은 마부팡은 중국 공산당에게 패배하는 1949년까지 칭하이 지방을 지배했다. 같은 시기, 자신의 세력권에서 조카 마중잉과 경쟁하고 싶지 않았던 마부팡, 마보칭, 마훙쿠이, 마훙빈 등은 마중잉에게 간쑤 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등 다른 지역에서 발전할 것을 권하고 이를 지원했다. 또한, 종파에서는 살라피즘을 신봉하는 종파를 이단으로 탄압하고[122], 이흐완 파를 우대했으며[123], 위구르족에 의한 동투르키스탄 독립 운동에는 일관되게 반대했다.[124]

1949년 8월, 마부팡은 펑더화이가 이끄는 중국 인민해방군에게 패배하여, 간쑤 성의 성도 란저우를 점령당했으며, 마부팡은 먼저 충칭, 그리고 홍콩으로 도망쳤다. 10월, 장제스로부터 서북부로 돌아가 중국 인민해방군과 항전을 계속하라는 권유를 받은 마부팡은 메카 순례를 명분으로 친족과 부하 200여 명을 이끌고 사우디 아라비아로 도주했다. 1950년, 마부팡은 뇌물을 써서 여권을 손에 넣어 이집트로 이동했다. 1957년, 이집트와 중화인민공화국 간에 국교가 수립되자, 마부팡은 중화민국 주재 대사로 사우디 아라비아에 부임했다. 1961년, 조카를 측실로 삼은 것이 드러나 스캔들이 되어 대사직에서 사임하게 되었다. 중화민국으로부터의 형벌을 피하고 싶었던 마부팡은 대만으로 돌아가지 않고 사우디 아라비아 시민이 되었으며, 1975년에 사망할 때까지 사우디 아라비아에 머물렀다. 마부팡은 수많은 측실을 거느렸으나, 아들은 그의 군대에서 지휘관이 된 마지위안 한 명뿐이었다.

3. 2. 경제 발전과 사회 개혁

마부팡은 봉건주의 및 소수민족 억압 비판을 피하기 위해 자신을 중국 민족주의자이자 반제국주의 투사로 내세웠다.[89][90] 당시 중국 국민당은 반봉건주의를 표방했고, 장제스 역시 봉건 군벌을 비판했기에 이러한 혐의는 매우 심각했다.[91] 마부팡은 자신의 군대가 "국민 군대, 인민의 힘"의 일부라고 해명했다.[92]

미국 언론인 존 로데릭은 마부팡을 사회주의자로 묘사하며 다른 마가벌 군벌에 비해 "우호적"이라고 평가했다.[93] 그는 마훙쿠이의 잔혹 통치와 대조되는 유쾌한 인물로 알려졌다.[94]

중일 전쟁으로 중국 동부 대부분이 황폐화되었지만, 칭하이성은 비교적 피해를 입지 않았다. 미국 학자 A. 도크 바넷은 마부팡 정부가 "중국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활발한 정부 중 하나"라며, 칭하이가 자체적으로 소규모 개발 및 재건 계획을 실행하고 있다고 칭찬했다.[95]

마부팡은 교육, 의료, 농업, 위생 개선을 위한 국영 산업화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모든 학교에 식량과 교복을 제공하고, 도로와 극장을 건설했으며, 언론을 통제했다.[96] 그의 정권은 독재적이었으며, "개인의 자유를 위한 공간이 거의 없었다"고 바넷은 평가했다.[96] 1947년 미국은 마부팡에게 시닝 시에 설치할 상수도(하수) 시스템을 판매했다.[97]

마부팡은 반공주의자였으며,[98] 칭하이 통치 기간 동안 "현대화가"이자 "개혁가"로 여겨졌다.[98] 그는 엄격한 조림 정책을 시행하여 수백만 그루의 나무를 심고 관개 시스템을 구축했다.[65] 그는 토양 침식 방지를 위해 나무 심기를 강조하며 "사막을 구원하는 것은 나무에 있다"고 말했다.[99] 또한 교육을 장려하고, 사업가들에게 해충 구제와 청결 유지를 통해 시닝 시를 체계적으로 청소하게 했다.[100]

마부팡은 린샤 후이족 자치주에 무슬림 소녀들을 위한 학교를 세워 현대적인 세속 교육을 제공했다.[2] 그는 화가 장대천을 스쿠범에 보내 둔황 불교 미술 연구를 돕게 했고,[101] 민요 작곡가 왕뤄빈을 후원하여 "아주 멀리 떨어진 그곳" 등의 민요 작곡을 지원했다. 왕뤄빈은 마부팡의 기병 사단을 위한 군가도 작곡했다.

3. 3. 소수 민족 정책

마부팡은 1936년 장제스의 명령에 따라 마중잉의 잔여 세력, 간쑤성 병력, 닝샤 성의 마훙쿠이와 마훙빈의 도움을 받아 장궈타오가 이끄는 2만 1800명의 중국 공산당 부대를 소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9] 1937년, 마부팡은 중국 국민당의 도움을 받아 삼촌 마린에게 그의 지위를 양보하도록 강요했고, 이후 칭하이 성 지사가 되어 군사 및 민간 권력을 모두 장악했다.

마부팡은 칭하이의 티베트인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그의 군대에는 일부 티베트 불교 신자들이 복무했지만, 다른 이들은 그의 군대에 의해 짓밟히고 살해당했다. 겉으로는 민족 간의 평화와 관용을 외쳤지만,[42] 실제로는 다양한 민족 출신의 군인들을 징집하여 칭하이 내 소수 민족들을 억압하는 정책을 펼쳤다.[43] 그의 군대에는 회족, 몽골족, 티베트인, 그리고 한족들이 모두 복무했다.[43]

1938년, 마부팡은 숙부 마린을 몰아내고 칭하이 성 주석(지사)이 되어 1949년까지 칭하이 지방을 지배했다. 그는 이흐완 파를 우대했으며,[123] 위구르족에 의한 동투르키스탄 독립 운동에는 일관되게 반대했다.[124]

3. 3. 1. 티베트와의 관계

14대 달라이 라마가 그의 전임자를 계승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던 마부팡은 달라이 라마를 사실상 가택 연금 상태로 만들고, "보호"를 위해 필요하다는 명목으로 티베트로 떠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11] 그는 10만 중국 은화를 요구하며 달라이 라마의 칭하이 성에서 티베트로의 이동을 지연시키려 했다.[12][13][14]

1932년, 마부팡의 무슬림 군대와 한족 장군 류원후이는 13대 달라이 라마의 티베트 군대가 칭하이성을 침략하려 하자 격퇴하고 시캉성의 여러 현을 탈환했다. 스취, 덩커 등은 티베트인들에게서 빼앗겼고, 티베트 군대는 진사강 반대편으로 밀려났다. 마부팡과 류원후이는 티베트 관리들에게 다시는 진사강을 건너지 말라고 경고했으며, 이후 휴전이 체결되어 전투가 종료되었다. 이 승리로 마부팡 군대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고, 캄과 위수 지역에 대한 중국의 통제는 칭하이 군대에 의해 유지되었다.

중국 국민당의 중화민국 정부는 마부팡이 골록에 7차례의 섬멸 작전을 감행하여 수천 명의 골록족 부족민을 제거하는 것을 지원했다. 일부 티베트인들은 마부팡의 공격 횟수를 세며, 그들의 삶을 불가능하게 만든 일곱 번째 공격을 기억했다. 마부팡은 반공주의자였으며, 그의 군대는 칭하이 북동부와 동부에서 많은 골록족 부족 티베트인들을 몰살하고 티베트 불교 사찰을 파괴했다.

마부팡은 쿤룬 중학교를 설립, 티베트 학생들을 모집하여 가혹한 군 생활을 시켰다. 이 학교는 마부팡이 티베트인 거주 지역으로 군사 영역을 확장하면서 티베트어 통역사들을 확보하는 주요 수단이 되었다. 마부팡은 더 많은 티베트인들을 물리치면서 그들을 자신의 군대에 징집하기도 했다.

마부팡은 1939년 암도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 중 하나인 레공의 티베트 불교 사찰을 공격하고 파괴했다. 1941년에는 군대를 보내 창가르 사원을 파괴, 약탈하고 승려들을 쫓아냈다. 이 사찰은 공산당 집권 후에야 재건되었고, 승려들은 1953년에 돌아왔다. 마부팡의 공격을 받은 많은 사찰들은 골록족과 관련이 있었다.

1939년에서 1941년 사이, 칭하이 남부의 티베트 부족들은 세금 문제로 반란을 일으켰지만, 마부팡의 "진압 작전"에 의해 진압되어 학살당했고, 이로 인해 칭하이에서 티베트로 대규모 티베트 난민이 유입되었다.

마부팡 군대와 싸웠던 전 티베트 파 병사 아텐은 전투에 대한 증언을 했다. 그는 중국 무슬림들을 "사나웠다"고 묘사했다. 그와 그의 부대가 마부팡의 중국 무슬림 기병 2,000명에게 매복당한 후, 그는 총상을 입었고 "우리 그룹 대부분의 운명에 대해 환상을 갖지 않았"으며, 대부분이 전멸했다. 아텐은 또한 "티베트의 암도"가 마부팡에 의해 "점령"되었다고 주장했다.

마부팡은 민족 간의 평화와 관용을 외쳤지만,[42] 그의 기병대에는 회족, 몽골족, 티베트인, 한족 등 다양한 민족이 복무했다.[43]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는 위수 바탕 공항을 수리하여 티베트 분리주의자들의 독립 추구를 막도록 마부팡에게 명령했다. 장제스는 1942년 마부팡에게 티베트 침공에 대비해 무슬림 군인들에게 경계 태세를 갖추도록 명령했고,[50] 마부팡은 수천 명의 병력을 티베트 국경으로 이동시켰다.[51] 장제스는 티베트인들이 따르지 않으면 폭격하겠다고 위협했으며, 마부팡은 1941년에 티베트 불교 사찰인 창 사원을 공격하고[52] 라브랑 사원을 끊임없이 공격했다.[53]

마부팡은 판첸 라마와 협력하여 달라이 라마의 티베트 정권에 대항했다. 판첸 라마는 칭하이성에 머물렀다.

칭하이성(암도)이 마부팡의 통치하에 있었기 때문에 14대 달라이 라마와 그의 가족은 1939년 라싸로 이주하기 전까지 티베트어를 알지 못하고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109]

마부팡은 몽골족과 티베트족 사이의 노예 제도와 주종 관계를 없앴다. 우라딘 에르덴 불라그는 '중국의 변방에 있는 몽골족: 역사와 국가 통합의 정치'에서 "과거에는 몽골족과 티베트족이 영주와 노예로 나뉘었지만, 두 의장[마치와 마부팡]은 우리나라의 모든 민족의 평등 원칙을 고수하며 그 불합리성을 바로잡고 현명하게 개혁했다"고 썼다.[30]

칭하이성 스캬르갸 티베트 마을 근처, 황허강 주변 20km 떨어진 곳에는 동스나 마을에 무슬림들이 살고 있으며, 중국 정부에 의해 후이족으로 등록되어 있다. 이 마을의 노인 "후이족"은 불완전한 중국어를 사용하지만 완벽한 티베트어를 구사하며 티베트인들과 자주 교역하고, 자신들이 원래 티베트인이라고 말한다. 1931년에 태어난 한 남자는 "우리는 같은 피를 가지고 있고, 같은 조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서로 결혼했고, 같은 관습을 공유했으며, 같은 전통 원칙을 지켰습니다. 우리를 이슬람으로 개종시킨 사람은 마부팡이었습니다"라고 말했다.[110]

3. 4. 종교 정책

마부팡은 14대 달라이 라마가 그의 전임자를 계승하는 것을 원하지 않아, 달라이 라마를 사실상 가택 연금 상태로 만들었다. 그는 이것이 "보호"를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달라이 라마가 티베트로 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11] 그는 10만 중국 은화를 요구하며 달라이 라마의 티베트 이동을 지연시키기 위해 노력했다.[12][13][14]

마부팡은 이허와니(이크완) 종파를 지원하여 사회를 근대화하고 교육을 개선하며 낡은 전통을 개혁하도록 했다. 그는 종교 관련 업무와 성직자를 국가 및 민간 업무와 분리하여, 종교는 교육, 도덕 등 비행정적 문제만 다루도록 했다.[111]

이허와니는 근대주의를 표방하며 중국 문화와 정치에 강하게 동일시했지만, 살라피 무슬림은 비정치적이고 "원래" 형태의 이슬람을 강조했다. 1937년 살라피가 이허와니 무슬림 형제단과 공식적으로 분리되자, 마부팡은 그들을 박해하고 "이단", "외국인"으로 취급하여 이동하거나 공개적으로 예배하는 것을 금지했다.[112] 마부팡은 전통적인 수니파 거디무를 포함한 모든 비이허와니 집단을 억압하고, 이허와니 이맘을 강요했다. 그러나 공산당 집권 후, 거디무는 종교의 자유에 대한 공산당의 규칙을 이용해 이허와니 관행과 이맘을 막았다.[113]

살라피에 대한 억압과는 대조적으로, 마부팡은 다신교도가 공개적으로 예배하는 것을 허용하고, 기독교 선교사들이 칭하이성에 주둔하는 것을 허용했다. 그는 심지어 코코누르 호수 의식에 참석하여 중화민국 국가를 부르고, 쑨원 박사의 초상화와 호수의 신에게 절을 하고 제물을 바쳤다.[114] 그는 카자흐 무슬림을 초청하여 신을 기리는 의식에 참석하게 했으며,[115] 기독교 선교사들과 만나 복음서를 받기도 했다.[116][117] 그의 아들 마지위안은 기독교 선교사로부터 은잔을 받았다.[118]

1938년, 중국 국민당의 지지를 얻은 마부팡은 숙부 마린을 몰아내고, 칭하이 성의 주석(지사)이 되어 칭하이 지방을 지배했다. 그는 종파에서 살라피즘을 신봉하는 를 이단으로 탄압하고[122], 이흐완 파를 우대했다.[123]

판첸 라마는 달라이 라마 정부에 의해 티베트에서 추방되었고, 1949년 9월 티베트를 상대로 군대를 이끌어 복수하기를 원했으며 마부팡에게 도움을 요청했다.[63] 마부팡은 판첸 라마와 달라이 라마에 대항하는 라마교 홍파를 후원했다. 칭하이는 홍파 구성원들의 "성역" 역할을 했고, 마부팡은 쿰붐 사원을 판첸 라마가 완전히 자치하도록 허용했다.[64]

4. 논란과 비판

중화민국 중국 무슬림 장군 마부팡(왼쪽)과 그의 형제 마부칭(오른쪽). 둘 다 중국 국민당 소속이다.


케빈 스튜어트는 몽골족이 마부팡 휘하의 중국 국민당 관리들에게 학대받았다고 보고했다.[102][103]

마부팡은 판첸 라마와 협력하여 달라이 라마의 티베트 정권에 대항했다. 판첸 라마는 칭하이성에 머물렀다. 마부팡은 공산당의 승리가 임박했을 때 그가 중화민국 정부와 함께 대만으로 갈 것을 설득하려 했지만, 판첸 라마는 대신 공산당으로 망명하기로 결정했다. 판첸 라마는 달라이 라마와 달리 의사 결정에 대한 통제력을 행사하려 했다.[104] 또한 중국 국민당은 달라이 라마의 라싸 정권으로 확장했다.[106]

공산당 접수가 임박했을 때 마부팡은 칭하이호에서 티베트와 몽골 민병대를 소집하려 했다. 몽골 관료 왕벤바는 그 시도를 무산시키며 그들에게 싸우지 말 것을 촉구했고, 공산당의 승리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107]

5. 유산과 영향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게 수정하여 출력하겠습니다.)

6. 한국과의 관계

(이전 단계에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도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China Political Reports 1911-1960: 1942-1945 https://books.google[...] Archive Editions 2010-06-28
[2] 서적 The history of women's mosques in Chinese Islam: a mosque of their ow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6-29
[3] 서적 The Writings of Mao Zedong, 1949-1976: September 1945 - December 1955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0-06-28
[4] 서적 Beyond the Great Wall: urban form and transformation on the Chinese frontiers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06-28
[5] 서적 British documents on foreign affairs: reports and papers from the Foreign Office confidential print. From 1946 through 1950. Asia, Volume 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ublications of America 2010-06-28
[6] 간행물 The STRONGHOLD OF MUSLIM CHINA
[7] 서적 Intellectuals in the modern Islamic world: transmission, transformation,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0-06-28
[8] 서적 Devout societies vs. impious states?: transmitting Islamic learning in Russia, Central Asia and China, through the twentieth century :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colloquium held in the Carré des Sciences, French Ministry of Research, Paris, November 12–13, 2001 https://books.google[...] Schwarz 2010-06-28
[9] 서적 Journey into China https://books.google[...] E.P. Dutton & co., inc. 2010-11-28
[10] 서적 The China monthly review, Volumes 78-79 https://books.google[...] .W. Powell 2010-06-28
[11] 서적 Asia: journal of the American Asiatic Association, Volume 40 https://books.google[...] Asia Pub. Co. 2011-05-08
[12] 서적 A history of modern Tibet, 1913-1951: the demise of the Lamaist stat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06-28
[13] 서적 The Missing Peace: Artists and the Dalai Lama https://books.google[...] Earth Aware 2011-04-09
[14] 서적 From conflict to conciliation: Tibetan polity revisited : a brief historical conspectus of the Dalai Lama-Panchen Lama Standoff, ca. 1904-1989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1-04-09
[15] 서적 Journal of the Royal Central Asian Society, Volume 21 https://books.google[...] Royal Central Asian Society. 2010-06-28
[16] 서적 Ku Chieh-kang and China's new history: nationalism and the quest for alternative traditio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06-28
[17] 서적 Asia: journal of the American Asiatic Association, Volume 40 https://books.google[...] Asia Pub. Co. 2011-05-08
[18] 서적 Unbound: A True Story of War, Love, and Survival https://books.google[...] Hachette Digital, Inc. 2010-06-28
[19] 서적 The Moslem World, Volumes 31-34 https://books.google[...] Hartford Seminary Foundation 2011-05-08
[20] 서적 The historical status of China's Tibet https://books.google[...] 五洲传播出版社 2010-06-28
[21] 서적 The biographies of the Dalai Lamas https://books.google[...] Foreign Languages Press 2010-06-28
[22] 서적 India & China, 1904-2004: a century of peace and conflict https://books.google[...] Manak Publications 2010-06-28
[23] 서적 Khams pa histories: visions of people, place and authority: PIATS 2000, Tibetan studies, proceedings of the 9th Seminar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ibetan Studies, Leiden 2000 https://books.google[...] BRILL 2010-06-28
[24] 서적 Tibetan Buddhists in the making of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06-28
[25] 서적 Frontier passages: ethnopolitics and the rise of Chinese communism, 1921-1945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06-28
[26] 서적 The Journal of the Oriental Society of Australia, Volumes 31-34 https://books.google[...] Oriental Society of Australia 2010-06-28
[27] 서적 Historical themes and current change in Central and Inner Asia: papers presented at the Central and Inner Asian Seminar, University of Toronto, April 25–26, 1997, Volume 1997 https://books.google[...] Joint Centre for Asia Pacific Studies 2010-06-28
[28] 학위논문 Qinghai Across Frontiers: State- and Nation-Building under the Ma Family, 1911-1949 https://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2016-03-23
[29] 학위논문 Qinghai Across Frontiers: State- and Nation-Building under the Ma Family, 1911-1949 https://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2016-03-23
[30] 서적 Dilemmas The Mongols at China's edge: history and the politics of national unit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0-06-28
[31] 서적 China reconstructs, Volume 10 https://books.google[...] China Welfare Institute 2010-06-28
[32] 서적 China's campaign to "Open up the West": national, provincial, and loc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8
[33] 서적 The other global cit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US 2010-07-30
[34] 서적 The other global cit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US 2010-07-30
[35] 서적 Modern Tibetan literature and social change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10-06-28
[36] 서적 Amdo Tibetans in transition: society and culture in the post-Mao era: PIATS 2000: Tibetan studies: proceedings of the Ninth Seminar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ibetan Studies, Leiden 2000 https://books.google[...] BRILL 2010-06-28
[37] 서적 The Cultural Monuments of Tibet's Outer Provinces: The Qinghai part of Amdo https://books.google[...] White Lotus Press 2010-06-28
[38] 서적 Tibet and Nationalist China's Frontier: Intrigues and Ethnopolitics, 1928-49 https://books.google[...] UBC Press 2011-01-01
[39] 서적 Horseman in the snow: the story of Aten, an old Khampa warrior https://books.google[...] Information Office, Central Tibetan Secretariat 2011-06-01
[40] 서적 Warriors of Tibet: the story of Aten, and the Khampas' fight for the freedom of their country https://archive.org/[...] Wisdom Publications 2011-06-01
[41] 서적 Warriors of Tibet: the story of Aten, and the Khampas' fight for the freedom of their country https://archive.org/[...] Wisdom Publications 2011-06-01
[42] 서적 Contemporary Japan: A Review of Japanese Affairs https://books.google[...] Foreign affairs association of Japan
[43] 서적 Tibet and Nationalist China's Frontier: Intrigues and Ethnopolitics, 1928–49 https://books.google[...] UBC Press 2011-01-01
[44] 서적 China's inner Asian frontier: photographs of the Wulsin expedition to northwest China in 1923: from the archives of the Peabody Museum, Harvard University, and th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https://books.google[...] Peabody Museum and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06-28
[45] 뉴스 He Offers Aid to Fight Japan https://news.google.[...] 2010-11-28
[46] 서적 Collier's encyclopedia: with bibliography and index, Volume 14 https://books.google[...] Macmillan Educational Co. 2010-06-28
[47] 서적 Japanese agent in Tibet: my ten years of travel in disguise https://books.google[...] Serindia 2010-06-28
[48] 서적 The Cultural Monuments of Tibet's Outer Provinces: The Qinghai part of Kham https://books.google[...] White Lotus Press 2010-06-28
[49] 서적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E. P. Dutton & company, inc. 2010-06-28
[50] 간행물 The China Quarterly War or Stratagem? Reassessing China's Military Advance towards Tibet, 1942–1943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7-05
[51] 서적 China in the anti-Japanese War, 1937–1945: politics, cultur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10-06-28
[52] 서적 Inner Asia https://books.google[...] The White Horse Press for the Mongolia and Inner Asia Studies Unit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2010-06-28
[53] 서적 Labrang: a Tibetan Buddhist monastery at the crossroads of four civilizations https://books.google[...] Snow Lion Publications 2010-06-28
[54] 서적 The Organization and Order of Battle of Militaries in World War II: Volume VIII ? China https://books.google[...] Trafford Publishing 2013-05
[55] 뉴스 CHINA: He Who Has Reason http://www.time.com/[...] 2011-04-11
[56] 서적 Intellectuals in the modern Islamic world: transmission, transformation,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0-06-28
[57] 서적 A regional handbook on Northwest China, Volume 1 https://books.google[...] Printed by the Human Relations Area Files 2010-06-28
[58] 서적 Nationalism and ethnoregional identities in Ch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6-28
[59] 서적 The Mongolia-Tibet interface: opening new research terrains in Inner Asia: PIATS 2003: Tibetan studies: Proceedings of the Tenth Seminar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ibetan Studies, Oxford, 2003, Volume 2003 https://books.google[...] BRILL 2010-06-28
[60] 뉴스 Moslem Generals to Fight On https://www.nytimes.[...] 2010-11-28
[61] 뉴스 MOSLEMS JOIN IN CHINA WAR https://pqasb.pqarch[...] 2010-11-28
[62] 뉴스 CHINA ADMITS Anti-Red Moslem Warlord Given Control Of Northwest https://pqasb.pqarch[...] 2010-11-28
[63] 뉴스 EXILED LAMA, 12, WANTS TO LEAD ARMY ON TIBET https://pqasb.pqarch[...] 2010-11-28
[64] 서적 East of home https://books.google[...] Harper 2010-06-28
[65] 뉴스 Foreign News: Ma v. Marx http://www.time.com/[...] 2011-04-11
[66] 서적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0-11-28
[67] 서적 Decisive encounters: the Chinese Civil War, 1946-1950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11-28
[68] 뉴스 CHINA: The Open Door http://www.time.com/[...] 2011-04-11
[69] 서적 Dilemmas of Victory: The Early Yea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0-11-29
[70] 뉴스 Foreign News: The Northwest Falls http://www.time.com/[...] 2011-04-11
[71] 서적 Intelligence digest, Volumes 11-12 https://books.google[...] Intelligence International Ltd. 2010-06-28
[72] 서적 China considers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Tauris 2010-06-28
[73] 서적 Mi Kungmubu Han'guk kungnae sanghwang kwallyŏn munsŏ Volumes 39-67 of 韓國 戰爭 資料 叢書 Volume 51 of 美 國務部 韓國 國內 狀況 關聯 文書, Korea (South). 國防部. 軍事 編纂 硏究所 https://books.google[...] 國防部軍事編纂硏究所 2010-06-28
[74] 뉴스 Chinese Moslem Head Says War Will Go On https://news.google.[...] 1950-01-10
[75] 뉴스 Western Face Lost In Asia https://news.google.[...] 1950-01-21
[76] 뉴스 Gen. Chennault Fights Communism https://news.google.[...] 1950-12-28
[77] 뉴스 Washington Merry-Go-Round https://news.google.[...] 2010-11-28
[78] 서적 Tibet, China & India, 1914–1950: A History of Imperial Diplomacy https://books.google[...] Roxford Books 2010-06-28
[79] 서적 Modern China: a guide to a century of chang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06-28
[80] 간행물 Islamic Modernism in China: Chinese Muslim Elites, Guomindang Nation-Building, and the Limits of the Global Umma, 1900-1960, Page 380 null Columbia University 2018-01-01
[81] 간행물 The Communist Party of China's United Front Work in the Gulf: The "Ethnic Minority Overseas Chinese" of Saudi Arabia as a Case Study https://kfcris.com/e[...] 2018-01-01
[82] 문서 Page 52, Ismail, Mohammed Sa'id, and Mohammed Aziz Ismail. Moslems in the Soviet Union and China. Translated by U.S. Government, Joint Publications Service. Tehran, Iran: Privately printed pamphlet, published as vol. 1, 1960 (Hejira 1380); translation printed in Washington: JPRS 3936, September 19, 1960.
[83] 문서 Page 53, Ismail, Mohammed Sa'id, and Mohammed Aziz Ismail. Moslems in the Soviet Union and China. Translated by U.S. Government, Joint Publications Service. Tehran, Iran: Privately printed pamphlet, published as vol. 1, 1960 (Hejira 1380); translation printed in Washington: JPRS 3936, September 19, 1960. https://web.archive.[...]
[84] 서적 China & world cultural exchange https://books.google[...] Cultural Exchange 2011-05-29
[85] 서적 China archaeology and art digest, Volume 4, Issues 2-3 https://books.google[...] Art Text (HK) Ltd. 2011-05-29
[86] 서적 Daily report: People's Republic of China, Issues 105-115 https://books.google[...] Distributed by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2010-06-28
[87] 서적 Changing clothes in China: fashion, history, na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06-28
[88] 서적 East of home https://books.google[...] Harper 2010-06-28
[89] 서적 Dilemmas The Mongols at China's edge: history and the politics of national unit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0-06-28
[90] 서적 Dilemmas The Mongols at China's edge: history and the politics of national unit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0-06-28
[91] 서적 China's Destiny and Chinese Economic Theory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10-06-28
[92] 서적 Dilemmas The Mongols at China's edge: history and the politics of national unit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0-06-28
[93] 서적 Covering China: the story of an American reporter from revolutionary days to the Deng era https://books.google[...] Imprint Publications 2010-06-28
[94] 서적 China pilot: flying for Chiang and Chennault https://books.google[...] Brassey's 2010-06-28
[95] 서적 "China's Communist Revolutions: Fifty Yea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0-12
[96] 서적 "China's communist revolutions: fifty yea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1-04-09
[97] 뉴스 CITY IN WEST CHINA TO GET PIPED WATER; American 'Sells' Warlord at Sining on System to Aid Health --People Suspect Clear Fluid https://www.nytimes.[...] 1947-02-03
[98] 서적 Modern China: a guide to a century of chang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06-28
[99] 서적 East of home https://books.google[...] Harper 2010-06-28
[100] 뉴스 ENLIGHTENED RULE BOLSTERS TSINGHAI; General Ma, War Lord, Enjoys Passion for Education -- He Taxes as Need Arises https://www.nytimes.[...] 1948-09-15
[101] 서적 Amdo Tibetans in transition: society and culture in the post-Mao era: PIATS 2000: Tibetan studies: proceedings of the Ninth Seminar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ibetan Studies, Leiden 2000 https://books.google[...] BRILL 2011-05-29
[102] 서적 "China's Monguor minority: ethnography & folktales Issue 59 of Sino-Platonic pape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t. of Asian and Middle Eastern Studies 2010-06-28
[103] 서적 "China's Monguor minority: ethnography & folktales Issue 59 of Sino-Platonic papers" https://www.google.c[...]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t. of Asian and Middle Eastern Studies 2010-06-28
[104] 서적 A History of Modern Tibet https://books.google[...]
[106] 서적 The Search for the Panchen Lama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10-06-28
[107] 서적 Dilemmas The Mongols at China's edge: history and the politics of national unit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0-06-28
[108] 뉴스 Three Provinces of the Snowland, Losar Tashi Delek! https://web.archive.[...] 2011-03-10
[109] 서적 The Economist https://books.google[...] Economist Group 2011-04-09
[110] 서적 Life and Marriage in Skya Rgya, a Tibetan Village https://books.google[...] YBK Publishers, Inc. 2021-12-12
[111] 서적 Confucianism and Spiritual Traditions in Modern China and Beyond https://books.google[...] BRILL 2014-04-24
[112] 서적 Guide to Islamist Movements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0-06-28
[113] 서적 China's Muslim Hui community: migration, settlement and sects https://books.google[...] Curzon Press 2011-04-09
[114] 서적 Dilemmas The Mongols at China's edge: history and the politics of national unit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0-06-28
[115] 서적 Dilemmas The Mongols at China's edge: history and the politics of national unit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0-06-28
[116] 서적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Volume 39, Part 1 https://books.google[...] The Association 2010-06-28
[117] 서적 Journal, Volume 39 https://books.google[...] The Association 2010-06-28
[118] 간행물 The Divine Word Missionaries in Gansu, Qinghai and Xinjiang, 1922–1953: A Bibliographic Note
[119] 서적 China handbook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1-06-05
[120] 서적 Who's who in China (Biographies of Chinese) https://books.google[...] 2011-06-05
[121] 서적 "Who's who in China, 1918-1950: 1931-1950" https://books.google[...] Chinese Materials Center 2011-06-05
[122] 서적 Guide to Islamist Movements M.E. Sharpe 2010-06-28
[123] 서적 Confucianism and Spiritual Traditions in Modern China and Beyond BRILL
[124] 문서 Moslems in the Soviet Union and Ch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