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시 국가는 농업 발달로 도시가 형성되면서 시작되었으며,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에서 처음 등장했다.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 중세 이탈리아의 도시 국가, 한자 동맹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강대국에 병합되거나 영토 국가로 전환되기도 했다. 현대에는 싱가포르, 모나코, 바티칸 시국 등이 주권 도시 국가로 존재하며, 홍콩과 마카오 등은 높은 자치권을 누리는 비주권 도시 국가로 간주된다. 룩셈부르크, 지부티 등 소규모 국가들도 도시 국가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런던, 티라나, 홍콩 등에서 새로운 도시 국가 설립을 위한 움직임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시국가 - 모나코
모나코는 프랑스 리비에라에 위치한 작은 독립국으로, 그리말디 가문의 통치 아래 관광과 금융을 중심으로 경제적 번영을 이루었으며, 카지노와 모나코 그랑프리 등으로 유명하다. - 도시국가 - 싱가포르
싱가포르는 말레이 반도 남단에 위치한 도시 국가로, "사자 도시"를 뜻하는 싱가푸라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며, 스탬퍼드 래플스에 의해 무역 기지로 설립된 후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자 발전된 도시 국가로 성장했고, 다민족 국가로서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며 강력한 정부 주도의 경제 정책과 엄격한 법률 체계를 특징으로 한다. - 나라 분류 - 연방제
연방제는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가 권력을 분담하는 정치 체제이며, 지역 이익과 국가 이익의 조화, 다양한 민족 집단의 이익 조정 등 복잡한 과제를 수반하며, 단일 국가, 연합, 제국 등 다른 국가 형태와 구별된다. - 나라 분류 - 아랍 세계
아랍 세계는 북아프리카와 서남아시아를 포괄하는 지역으로 아랍어 사용, 문화적 유대, 지리적 인접성을 특징으로 하며, 아랍 연맹 회원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치 형태와 석유 의존적인 경제 구조를 가진다. - 정치지리학 - 해외
해외는 대한민국 이외의 지역을 의미하며, 각 국가 및 문화권에 따라 범위가 다르게 인식되고, 역사적으로 대륙 간 이동 수단 발달과 현대 비행기 발달로 해외여행이 보편화되었다. - 정치지리학 - 유럽 대륙
유럽 대륙은 지리적 경계가 불명확하여 맥락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며, 유럽 본토, 주변 섬과 반도, 유럽 연합 회원국 등을 포함하거나 제외하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여 사용에 주의가 필요한 용어이다.
도시국가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정의 | 독립적이거나 자치적인 도시를 영토로 하는 독립체 |
예시 | 싱가포르, 모나코, 바티칸 시국, 홍콩 |
역사적 도시 국가 | |
고대 |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 고대 로마 페니키아의 도시 중앙아메리카의 마야 문명의 도시 메소포타미아 고대 이집트 |
중세/근대 | 이탈리아의 도시 국가 독일의 자유 도시 한자 동맹의 도시 스위스의 도시 중세 러시아의 도시 일본의 자유 도시 (지나이마치) |
현대 도시 국가 | |
지정학적 특징 | 작은 영토 높은 인구 밀도 경제적 강점 정치적 안정 |
예시 | 싱가포르 모나코 바티칸 시국 홍콩 함부르크 |
정치 및 사회 | |
정치 | 독립된 주권 보유 자체적인 정부와 법률 시스템 |
경제 | 무역 및 금융 중심지 역할 높은 생활 수준 |
사회 | 다양한 문화가 공존 높은 수준의 교육과 의료 서비스 |
법적 지위 | |
독립 국가 | 주권 국가로 국제법상 인정받는 독립적인 실체 |
자치 지역 | 특정 국가 내에서 자치권을 가지는 지역 (예: 홍콩) |
관련 개념 | |
행정 구역 | 도시 국가의 지위를 가지는 도시 또는 지역 |
독립 도시 | 행정 구역의 한 종류, 넓은 의미에서 도시 국가의 특징을 지니기도 함 |
연방 국가 | 도시 국가와는 달리, 여러 주가 모여 하나의 국가를 형성 |
국민국가 | 국민을 기반으로 형성된 국가로, 도시 국가와는 다른 개념 |
기타 | |
참고 | 도시 계획 지속 가능한 개발 스마트 시티 |
2. 역사적 배경
인간은 육식 동물의 포식을 피하고 식량 조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촌락을 형성했다. 촌락 구성원들은 질서 유지를 위해 관습법을 제정하고 권력을 통해 강제했으며, 이는 주권을 가진 정치 사회로서 기능했다. 초기에는 이동 생활로 촌락 규모가 작았지만, 농업과 목축의 발전으로 정착하면서 도시를 형성했다.
고대 오리엔트의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인들이 최초로 농업을 했다고 여겨지며, 그들이 최초의 도시 국가를 건설했다. 이들은 도시 중심에 신전을 짓고, 촌락 주위에 성벽을 쌓고, 성벽 밖의 농지와 목초지와 함께 독립된 국가를 형성했다.[47] 고대 그리스의 소국들과 고대 로마, 고대 인도(인더스 문명), 고대 중국 등 고대에는 세계 여러 곳에서 도시 국가를 볼 수 있었다.
초기 도시 국가는 자급자족 체제였지만, 인접 도시 국가 간 교역이 시작되면서 교역에 종사하고 도시 생활자의 식량을 조달하는 데 충분한 농지나 목초지를 가지지 않은 도시 국가도 성립했다. 도시 국가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은 고대 중국에서 야인이라고 불렸다.
일반적으로 도시 국가들의 국제 관계에서는 강대한 도시 국가가 약소한 도시 국가를 종속시키거나, 상호 동맹을 맺는 경향이 있었다. 고대 그리스에서 아테네가 맹주가 된 델로스 동맹이 대표적인 예이다.[47] 이러한 도시 국가 연합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토 국가로 전환되기도 했다. 로마 제국, 아케메네스 왕조, 전국 시대의 제후들과 진, 한 제국 등이 그 예이다. 도시 국가는 단순한 지방 단위가 되기도 했다.
고대와 달리 중세 유럽의 도시 국가들은 상공업에 종사하는 인구를 가졌다. 이들은 영토 국가 간 무역 중개나 수공업 제품 수출로 성립했다. 베네치아 공화국 등의 이탈리아 소국들, 신성 로마 제국의 제국 자유 도시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47] 16세기 이후 절대 왕정으로 이행하면서 도시 국가들도 왕권 아래 편입되었지만, 근현대까지 존속한 경우도 있었다. 일본의 사카이나 하카타도 중세 유럽의 도시 국가와 유사하게 자치를 행하였으나,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천하 통일 사업 과정에서 자치를 잃었다.
2. 1. 고대
역사적으로 잘 알려진 도시 국가로는 수메르의 우루크와 우르, 고대 이집트의 테베와 멤피스가 있다.[6] 초기의 도시 국가는 도시 주변의 농지와 목초지에서 식량을 조달하는 자급자족 체제였다.[47] 고대 오리엔트의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수메르인들이 최초로 농업을 했다고 여겨지며, 그들이 최초의 도시 국가를 건설했다. 수메르인들은 도시 중심에 신전을 짓고, 촌락 주위에 성벽을 쌓았으며, 성벽 밖의 농지와 목초지를 포함하여 독립된 국가를 형성했는데, 이것이 도시 국가의 원초적인 형태이다.[47]페니키아의 도시 국가로는 티레와 시돈이 있었고,[6] 키프로스에는 페니키아 정착지인 키티온도 도시 국가였다.[7]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예: 아테네, 스파르타, 테베, 고린토)[6], 로마 공화국(도시 국가에서 거대한 제국으로 성장함)[6], 마야와 콜럼버스 이전 메소아메리카의 다른 문화(예: 치첸이트사, 티칼, 코판, 몬테알반)[6], 고대 인도(인더스 문명)[47], 고대 중국(황하 문명)[47] 등 고대에는 세계 여러 곳에서 도시 국가를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시 국가들은 국제 관계에서 강대한 도시 국가가 약소한 도시 국가를 종속시키거나, 상호 동맹을 맺어 밀접하게 결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도시 국가 연합의 예로는 고대 그리스에서 아테네가 맹주가 되어 가맹 도시 국가들을 종속시킨 델로스 동맹이 잘 알려져 있다.[47]
2. 2. 중세
중세 유럽의 도시 국가들은 대부분 자급자족할 만큼의 농지나 목초지를 가지지 못하고 상공업에 종사하는 인구를 기반으로 하였다. 이러한 도시 국가들은 영토 국가 간의 무역 중개나 수공업 제품의 수출로 성립하였다.[47] 즉, 영토 국가의 존재를 전제로 도시가 국가로서 독립하여 탄생한 것이 중세의 도시 국가이다.베네치아 공화국 등의 이탈리아 소국들, 신성 로마 제국의 제국 자유 도시 등이 중세 유럽 도시 국가의 예로 들 수 있다.[47] 당시 유럽은 봉건 사회로 농업 경제를 전제로 하였기 때문에, 상공업을 기반으로 하려면 그것과는 다른 국가 기구가 필요했다. 16세기 이후 절대 왕정으로의 이행과 함께, 봉건 제후들과 마찬가지로 도시 국가들도 왕권 아래에 편입되었지만, 근현대까지 존속한 경우도 많았다.
신성 로마 제국(962~1806)에서는 80개가 넘는 자유제국도시들이 중세와 근세 초기에 상당한 자치권을 누렸으며,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국제법에 따라 법적으로 뒷받침되었다. 초기 한자 도시 중 세 곳인 브레멘, 함부르크, 뤼벡과 같이 일부 도시들은 외국 세력과의 경제 관계를 긴밀하게 맺어 상당한 외교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개별 도시들은 종종 다른 도시 또는 인접 지역과 방어 동맹을 맺었다.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 동안 북부와 이탈리아 중부에서는 다양한 규모의 부속지를 거느린 도시 국가가 표준적인 정치 체제가 되었다. 특히 11세기부터 15세기까지 이탈리아 도시 국가 시대는 눈부신 경제 발전, 무역, 제조업, 상업 자본주의와 함께 도시화가 가속화되었고, 지중해 세계와 유럽 전체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 기간 동안 대부분의 이탈리아 도시 국가는 시뇨리아와 같은 단일 통치자 또는 곤자가 가문, 스포르차 가문과 같은 왕조에 의해 통치되었다.[9]
대표적인 도시 국가는 다음과 같다:
- 피렌체 공화국, 밀라노 공국, 페라라 공국,[10] 산마리노, 모데나와 레지오 공국, 우르비노 공국, 만토바 공국, 루카 공화국.
- 강력한 해양 공화국들: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아말피 공화국, 피사 공화국, 안코나 공화국, 가에타 공국.
학자들은 바이킹족들이 세웠던 아일랜드의 도시 국가들, 그 중 가장 중요한 더블린 왕국을 중세 도시 국가들로 분류하기도 한다.[65] 덴마크 역사가 폴 홀름(Poul Holm)은 중세 아일랜드의 바이킹 식민 도시, 특히 더블린 왕국을 도시 국가로 분류했다.[7]
동남아시아 본토의 역사에서 귀족 집단, 불교 지도자 등이 정착지를 자치 또는 반자치 도시 국가로 조직했다. 이들은 ''무앙''으로 불렸으며, 일반적으로 조공 관계에 있었는데, 이는 현재 만달라 또는 '중첩된 주권'으로 묘사된다. 소규모 도시 국가는 더 큰 도시 국가에, 그리고 더 큰 도시 국가는 또 다른 더 큰 도시 국가에 조공을 바치는 방식이었다. 이 시스템은 19세기 유럽 열강의 식민지화가 일어날 때까지 존재했다.
일본의 사카이나 하카타도 거의 완전한 자치를 행하였던 점에 비추어 볼 때, 중세 유럽의 도시 국가에 상당하는 지역이었다고 생각된다. 유럽의 도시 국가들이 왕권 아래에 편입되어 간 것과 마찬가지로, 사카이와 하카타도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천하 통일 사업 과정에서 자치를 잃었다.
2. 3. 근대, 현대
17세기에서 20세기 유럽에서는 나폴레옹 전쟁과 독일, 이탈리아 통일 과정을 거치면서 많은 도시 국가들이 영토 국가 체제로 통합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단치히(그단스크), 피우메(리예카) 등이 국제 연맹의 보호 아래 자유시가 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부분 소멸했다.[19][20]신성 로마 제국(962~1806)에서는 80개가 넘는 자유제국도시들이 중세와 근세 초기에 상당한 자치권을 누렸으며,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국제법에 따라 법적으로 뒷받침되었다. 초기 한자 도시 중 세 곳인 브레멘, 함부르크와 뤼벡과 같이 일부 도시들은 외국 세력과의 경제 관계를 긴밀하게 맺어 상당한 외교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1806년 신성 로마 제국의 해체 이후, 브레멘 자유한자도시(1806~11, 1813~71), 마인강 프랑크푸르트 자유시(1815~66), 함부르크 자유한자도시(1806~11, 1814~71), 뤼벡 자유한자도시(1806~11, 1813~71), 크라쿠프 자유시(1815~1846)는 공식적으로 주권 도시 국가가 되었다.
상하이 국제조계(1845년–1943년)는 자체적인 법률 제도, 우편 서비스 및 통화를 갖춘 국제 지역이었다. 북아프리카 탕헤르 시 내에 있던 탕헤르 국제지구는 처음에는 프랑스, 스페인, 영국이 공동 관리했고, 이후 포르투갈,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스웨덴, 미국이 추가되었다.
트리에스테 자유 지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7년부터 1954년까지 이탈리아 북부와 유고슬라비아 사이, 아드리아해 북부에 위치한 중앙 유럽의 독립 지역이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있었다. 유엔은 트리에스테 자유 지역을 도시 국가로 만들려고 시도했지만, 실질적인 독립을 얻지는 못했고, 1954년에는 이탈리아와 유고슬라비아 사이에 분할되었다.
20세기 서베를린은 주권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1948년부터 1990년까지 다른 어떤 국가에도 속하지 않는, 법적으로 독립된 상태로 기능했다.
현대에는 싱가포르, 모나코, 바티칸 시국 등이 주권 도시 국가로 남아있다.
3. 현대의 도시 국가
싱가포르, 모나코, 바티칸은 2022년 현재에도 존속하는 도시 국가이다. 이들은 영토가 좁고 인구가 적지만, 경제, 금융, 관광 등 특정 분야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진 경우가 많다.
3. 1. 주권 도시 국가
싱가포르는 자체적인 통화 (싱가포르 달러), 자체적인 군사력 (싱가포르군), 정치와 외교권 등을 가지고 있어서 완전히 자주적인 도시 국가로 보기도 한다.[64]모나코 공국은 프랑스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매우 작은 독립적인 도시 국가이다. 모나코빌(고대 요새 도시)과 모나코의 유명한 지역인 몬테카를로는 별개의 도시가 아니라 하나의 연속적인 도시 지역의 행정 구역이다. 비록 1917년까지는 세 개의 별개의 자치체였지만 말이다. 모나코 공국과 모나코 시(각각 특정 권한을 가짐)는 동일한 영토를 관할한다. 주로 의례적인 목적으로 작은 군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공격적인 세력에 직면했을 때는 프랑스에 의존해야 할 것이다.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섬나라 도시 국가로, 북쪽으로는 말레이시아, 남쪽으로는 인도네시아와 접해 있다. 약 728.3km2의 면적에 600만 명이 거주하고 생활하며,[23] 이로 인해 싱가포르는 모나코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구 밀도가 높은 국가가 되었다. 싱가포르는 1965년 말레이시아 연방에서 축출되기 전 2년 동안 말레이시아 연방의 일부였으며, 독립된 공화국, 도시이자 주권 국가가 되었다. ''이코노미스트''는 싱가포르를 "세계에서 유일하게 완벽하게 기능하는 도시 국가"라고 언급한다.[24] 특히, 싱가포르는 자체 통화, 대규모 상업 공항, 세계에서 가장 바쁜 환적 해상 항구 중 하나, 그리고 잠재적인 지역 침략자들로부터 국가 주권을 보호하기 위한 완전한 군대를 보유하고 있다.[24][25][26] WorldAtlas는 싱가포르를 세계 유일의 섬나라 도시 국가라고도 언급한다.[27]
1870년 9월까지 로마 시는 교황령의 일부로 교황의 통치를 받았다. 1870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국왕이 로마를 점령하자, 피우스 9세 교황은 새로이 형성된 이탈리아 왕국을 인정하지 않았다.
사실상 국왕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고서는 이동할 수 없었기 때문에, 피우스 9세와 그의 후임자들은 각각 "바티칸의 죄수"라고 주장하며, 교황좌에 오른 후 0.44km2에 달하는 교황령을 떠날 수 없었다.
이러한 교착 상태는 1929년 이탈리아 독재자 베니토 무솔리니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국왕과 피우스 11세 교황 사이에 협상한 라테란 조약에 의해 해결되었다. 이 조약에 따라 바티칸 시국은 교황을 수장으로 하는 독립국으로 인정받았다. 바티칸 시국은 자체적인 국적, 외교단, 국기, 그리고 우표를 가지고 있다. 인구가 1,000명 미만(대부분 성직자)으로 세계에서 가장 작은 주권 국가이다.
3. 2. 비주권 도시 국가

일부 도시 또는 도시 지역은 주권 국가가 아니지만, 연방의 구성 국가이거나 높은 자치권을 누릴 수 있다. 이들은 자신이 속한 주권 국가 내에서 "도시국가"로 기능한다. 역사학자 모겐스 허먼 한센(Mogens Herman Hansen)은 "도시국가는 자치적인 정치 단위이지만, 반드시 독립적인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35]
높은 자치권을 가진 비주권 도시로는 다음과 같은 곳들이 있다.
- 스페인(Spain): 세우타(Ceuta)와 멜리야(Melilla)[38] (자치 도시)
- 중국(China): 홍콩(Hong Kong)과 마카오(Macau)[35] (특별행정구)
- 프랑스(France): 파리(Paris) (주)
- 루마니아(Romania): 부쿠레슈티(Bucharest) (지방자치단체, 주와 동등한 특별 지위)
- 영국(United Kingdom): 지브롤터(Gibraltar)[39] (영국 해외 영토)
연방의 구성 국가로서 높은 자치권을 가진 비주권 도시국가는 다음과 같다.
- 아르헨티나(Argentina): 부에노스아이레스(Buenos Aires)[40]
- 오스트리아(Austria): 빈(Vienna)[41]
- 벨기에(Belgium): 브뤼셀(Brussels)
- 독일(Germany): 브레멘(Bremen (state)), 베를린(Berlin)과 함부르크(Hamburg)[35]
- 멕시코(Mexico): 멕시코시티(Mexico City)[42]
- 러시아(Russia): 모스크바(Moscow)와 상트페테르부르크(Saint Petersburg)[43]
- 스위스(Switzerland): 바젤슈타트주(Canton of Basel-Stadt)[44]
4. 유사 도시 국가
일부 소규모 국가들은 도시 국가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지부티,[28] 브루나이,[66][35] 쿠웨이트,[67][35][29][31] 바레인,[68][35][29] 카타르,[29][30] 몰타,[32][33][34] 산마리노[69][35][36][37] 등은 단일 도시가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룩셈부르크, 지부티, 쿠웨이트의 경우, 이러한 주요 도시가 너무 지배적이어서 국가 이름을 붙일 정도이다.
이들 국가는 싱가포르와 같은 진정한 도시 국가와는 구별되는데, 그 이유는 주요 도시(예: 룩셈부르크 시티)와 여러 주변 도시 및 마을(예: 에슈알제트와 다른 10개 도시)을 포함하고 자치적인 지방자치단체를 가지고 있고, 상당한 농촌 지역(예: 룩셈부르크 북부의 인구 밀도가 낮은 아이즐렉 숲)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5. 도시 국가의 미래
세계화와 도시화가 가속화되면서 도시의 역할과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미래에 도시 국가가 새로운 형태의 정치, 경제 단위로 부상할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5. 1. 제안된 도시 국가
베크타시 수피교단의 주권국가는 알바니아 티라나에 건설될 예정인 도시국가로, 알바니아 의회의 승인과 국민투표를 거쳐 설립될 예정이다.[45] 바티칸 시국과 유사한 구조를 갖도록 계획되었으며, 알바니아 총리 에디 라마와 베크타시 수피교단의 지도자 바바 몬디가 제안했다. 이들은 급진적인 이데올로기 대신 온건한 이슬람 가치를 증진하기 위해 주권을 확보하는 것을 희망한다. 베크타시 수피교단의 주권국가는 티라나 동부 교외에 위치할 것이며, 세계에서 가장 작은 국가가 될 것이다.런던 독립 운동은 영국으로부터 독립된 도시 국가를 추구하는 운동이다.[46]
홍콩 독립 운동은 홍콩이 중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는 것을 추구하는 운동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ity-state Definition, History, & Facts
https://www.britanni[...]
2020-04-19
[2]
웹사이트
How a tiny city-state became a military powerhouse with the best air force and navy in Southeast Asia
https://www.business[...]
2020-10-15
[3]
웹사이트
City-states never disappeared: Hamburg, Hong Kong, Singapore
https://www.smartcit[...]
2020-10-15
[4]
웹사이트
Capital Facts for Hong Kong
https://www.worldsca[...]
2020-10-15
[5]
간행물
A New Era for the City-State?
Forbes
2010
[6]
서적
A short history of Europe: from the Greeks and Romans to the present day
MacMillan
1998
[7]
논문
Viking Dublin and the City-State Concept: Parameters and Significance of the Hiberno-Norse Settlement
Special-Trykkeriet Viborg
2000
[8]
서적
Ideal of Human Unity
1970
[9]
웹사이트
Italy - Italy in the 14th and 15th centuries
https://www.britanni[...]
2021-05-12
[10]
서적
Cesare Borgia
https://books.google[...]
Chelsea House
1987
[11]
서적
The Art of Not Being Governed: An Anarchist History of Upland Southeast Asia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2]
서적
Siam Mapped: A History of the Geo-Body of a Nation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7
[13]
서적
A History of Thailand: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14]
뉴스
The Explainer: Bamboozled by the barangay
http://news.abs-cbn.[...]
2017-10-02
[15]
서적
Raiding, Trading, and Feasting: The Political Economy of Philippine Chiefdoms
https://books.google[...]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16]
학술지
The Organization of Intra-Regional and Long-Distance Trade in Pre-Hispanic Philippine Complex Societies
[17]
서적
Urban Development and Civil Society: The Role of Communities in Sustainable C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18]
웹사이트
Customs of the Tagalogs
https://web.archive.[...]
[19]
서적
Danzig – Biographie einer Stadt
https://books.google[...]
C.H. Beck
2011-02
[20]
서적
Das Bistum Danzig in Lebensbildern
https://books.google[...]
LIT Verlag
[21]
멀티레퍼런스
From Paris to Sèvres: the partition of the Ottoman Empire at the Peace Conference of 1919–1920
https://archive.org/[...]
Ohio State University Press
1974
[22]
서적
The Last Treaty: Lausanne and the End of the First World War in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6-15
[23]
웹사이트
Environment
https://www.singstat[...]
[24]
뉴스
The Singapore exception
https://www.economis[...]
2015-07-18
[25]
서적
Leadership in Asia : persuasive communication in the making of nat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Delaware Press
1989
[26]
서적
Singapore 2065 : leading insights on economy and environment from 50 Singapore icons and beyond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Pte. Ltd.
2015-07-30
[27]
웹사이트
Cities That Are Also Sovereign States
https://www.worldatl[...]
2024-11-12
[28]
서적
Foreign Operations, Export Financing, and Related Programs, Volume 2.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Congress House Committee on Appropriations. Subcommittee on Foreign Operations, Export Financing, and Related Programs.
1992-04-15
[29]
서적
Sovereign City: The City-state Through Hist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30]
서적
Qatar: Securing the Global Ambitions of a City-state.
C Hurst & Co Publishers Ltd.
2014
[31]
서적
Anatomy of an oil-based welfare state: rent distribution in Kuwait.
Kuwait Programme on Development, Governance and Globalisation in the Gulf States
2011
[32]
웹사이트
The emblem of Malta, Department of Information, Official Website of President of Malta
https://web.archive.[...]
Doi.gov.mt
[33]
웹사이트
Draft National Strategy for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 Creative Malta
https://web.archive.[...]
Creativemalta.gov.mt
[34]
웹사이트
Malta
https://web.archive.[...]
[35]
서적
Introduction: The Concepts of City-States and City-State Culture.
Copenhagen Polis Centre
2000
[36]
서적
Sovereign City: The City-state Through History
https://press.uchi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37]
서적
A Comparative Study of Six City-State Cultures: An Investigation
2002
[38]
서적
A History of African Higher Education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2015
[39]
서적
Europe Since 1945: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null
[40]
웹사이트
Qué dice la Ley Cafiero
http://www.infobae.c[...]
Infobae.com
2012-05-02
[41]
웹사이트
From the Capital of the Austro-Hungarian Empire to the Capital of the Republic - History of Vienna
http://www.wien.gv.a[...]
2010-05-17
[4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Mexico City
https://data.conseje[...]
Gobierno de la Ciudad de México
2021-02-08
[43]
웹사이트
Договор между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ей и Республикой Крым о принятии в Российскую Федерацию Республики Крым и образовании в составе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новых субъектов
http://kremlin.ru/ne[...]
null
[44]
웹사이트
Welcome
http://www.bs.ch/dam[...]
null
[45]
뉴스
Albania Is Planning a New Muslim State Inside Its Capital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4-09-21
[46]
웹사이트
'Londependence' May Be a Dream, but More Autonomy for the City Is No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03-02
[47]
웹사이트
http://www.y-history[...]
[48]
웹사이트
city-state
http://dictionary.re[...]
[49]
웹사이트
city-state
http://www.thefreedi[...]
[50]
웹사이트
The emblem of Malta, Department of Information, Official Website of President of Malta
http://president.gov[...]
[51]
뉴스
This very crowded isle: England is most over-populated country in EU
http://www.dailymail[...]
데일리 메일
[52]
웹인용
''Draft National Strategy for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 Creative Malta''
http://www.creativem[...]
2013-10-20
[53]
웹사이트
Malta
https://www.ecb.euro[...]
[54]
서적
2000
[55]
서적
2005
[56]
서적
2000
[57]
서적
2005
[58]
서적
2002
[59]
서적
2002-01-01
[60]
서적
2000
[61]
서적
2000
[62]
서적
2005
[63]
서적
Anatomy of an oil-based welfare state: rent distribution in Kuwait.
2011
[64]
웹사이트
https://www.business[...]
[65]
서적
A Comparative Study of Thirty City-State Cultures
https://books.google[...]
Special-Trykkeriet Viborg
2000
[66]
서적
2000
[67]
서적
2000
[68]
서적
2000
[69]
서적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