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설 원순 중모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설 원순 중모음은 혀의 위치가 전설과 후설의 중간이고 입술이 둥글게 되는 모음이다. 국제 음성 기호(IPA)로는 [o̞]로 표기된다. 한국어의 'ㅗ', 일본어의 'お', 영어의 일부 방언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각 언어의 음운론적 특징에 따라 실현 방식이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음 - 중설 모음
    중설 모음은 혀의 위치가 입의 중앙에 위치하여 발음되는 모음으로, 혀의 높이, 앞뒤 위치, 입술의 둥글림 여부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된다.
  • 모음 - 비모음
    비음화는 모음 발음 시 비강 공명이 더해지는 음운 현상으로, 모음 높이에 영향을 주며 언어에 따라 적용 범위와 정도가 다르고, 프랑스어 비음 모음의 발달 과정은 구강 모음과 비음 자음 결합 후 비음 자음 탈락으로 설명되며,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고 한국어에서는 외국어 표기에 'ㅇ' 받침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예외도 있다.
후설 원순 중모음
발음
설명중간 후설 원순 모음
IPA 기호o̞, ɔ̝
IPA 번호307, 430
십진수111, 798
브라유o, 6, gh
해당 모음이 있는 단어 예시 (영어)(제공된 정보 없음)
해당 모음이 있는 단어 예시 (한국어)(제공된 정보 없음)
해당 모음이 있는 단어 예시 (기타 언어)(제공된 정보 없음)
기타

2. 주요 특징


  • 혀의 위치가 뒤쪽이다.
  • 입술을 둥글게 오므려 발음하는 원순 모음이다.
  • 혀의 높이는 고모음과 저모음의 중간인 중모음이다.

2. 1. 음성학적 특징

후설 원순 중모음은 혀의 위치가 전설과 후설의 중간인 중설 모음이며, 입술이 둥글게 되는 원순 모음이다. 혀의 높이는 중모음과 근접중모음 사이에서 변동한다.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는 [o̞]로 표기된다.

3. 언어별 사용

후설 원순 중모음은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는 모음이다.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아프리칸스어bok|보크af염소일반적으로 IPA에서는 로 표기. 음높이는 중모음 과 근접중모음 사이에서 변동.[1]
아랍어لـون|lōn|론ar헤자지 아랍어[1]
체코어oko|오코cs[1]
덴마크어måle|몰레da측정하다[1]
네덜란드어och|오흐nl아아암스테르담 방언[1]
프랑스어pont|퐁프랑스어다리파리 방언, 비음화[1]
독일어voll|폴de가득 찬남부 독일, 스위스 및 오스트리아[1]
그리스어πως|pos|포스el어떻게[1]
히브리어שלום|shalom|샬롬he평화[1]
이탈리아어forense|포렌세it법의표준 이탈리아어[1]
말레이어پوكوق|pokok|포콕ms나무[1]
노르웨이어lov|로브no도시 동부 노르웨이어[1]
루마니아어acolo|아콜로ro거기[1]
러시아어сухой|sukhoy|수호이ru마른[1]
세르보크로아트어코드[1]
스페인어todo|토도es모두[1]
태국어โต[1]
튀르키예어kol|콜tr[1]


3. 1. 한국어

보리|bori한국어 ('보리')[2] 한국어의 'ㅗ'는 중설 중모음 [o̞]로 실현된다.[2] 한국어 음운론 참조.

3. 2. 일본어

일본어/ [2] ('아이') 일본어의 'お'는 중설 중모음 [o̞]로 실현된다. 일본어 음운론 참조.

3. 3. 영어

영어에서는 일부 방언에서 후설 원순 중모음이 나타난다. 남아프리카 영어, 마오리 영어, 스코스어, 카디프 방언에서 'thought'는 로 발음되며, 이는 '생각'을 의미한다. 일부 미국 영어와 요크셔 방언에서 'Cambodia'는 로 발음되며, 이는 '캄보디아'를 의미한다.[1]

3. 4. 기타 언어

b'''o'''k|보크af[1] : ('염소')

لـ'''و'''ن|rtl=yes|lōn|론ar[1] : ('색')

'''o'''k'''o'''|오코cs[1] : ('눈')

m'''å'''le|몰레da[1] : ('측정하다')

'''o'''ch|오흐nl[1] : ('아아') (암스테르담 방언)

p'''ont'''|퐁프랑스어[1] : ('다리') (파리 방언)

v'''o'''ll|폴de[1] : ('가득 찬') (남부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π'''ω'''ς|포스el / ''p'''o'''s''[1] : ('어떻게')

שלום|rtl=yes|shalom|샬롬he[1] : ('평화')

f'''o'''rense|포렌세it[1] : ('법의') (표준 이탈리아어)

پوكوق|포콕ms ''/ p'''o'''k'''o'''k''[1] : ('나무')

l'''o'''v|로브no[1] : ('법') (도시 동부 노르웨이어)

ac'''o'''l'''o'''|아콜로ro[1] : ('거기')

сух'''о'''й|수호이ru[1] : ('마른')

/ [1] : ('코드')

t'''o'''d'''o'''|토도es[1] : ('모두')

โต|또th[1] : ('큰')

k'''o'''l|콜tr[1] : ('팔')

참조

[1] 기타
[2] 기타
[3] 웹사이트 On the vowel system in present-day Slovene http://nl.ijs.si/is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