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천년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천년설은 그리스도의 재림 이후 천년의 평화로운 시대가 도래한다는 종말론적 신념이다.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기독교 재건주의에서 특히 강조된다. 후천년설은 천년왕국을 문자적으로 해석하거나, 오랜 기간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는 등 다양한 해석을 가진다. 복음의 정복 범위와 수단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20세기 이후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겪으면서 낙관적인 입장은 줄어들었다. 주요 지지자로는 존 번연, 찰스 호지, B. B. 워필드 등이 있다. 후천년설은 성경의 종말에 대한 묘사와 모순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년왕국 - 전천년설
전천년설은 그리스도의 재림 이전에 지상에 문자 그대로의 천년 왕국이 세워질 것이라는 기독교 종말론의 한 관점으로, 초기 기독교부터 존재했으며 현대에는 역사적 전천년설과 세대주의적 전천년설로 나뉜다. - 천년왕국 - 무천년설
무천년설은 예수 그리스도가 지상에서 통치할 미래의 천년 왕국을 부정하며, 예수는 현재 하늘에서 통치하고 천년 왕국은 교회 시대와 함께 존재한다는 기독교 종말론의 한 관점이다. - 종말론 - 제3제국
제3제국은 역사와 사상 속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 용어로, 요아킴 데 피오레의 삼시대설에서 비롯된 이상 사회, 러시아와 북유럽 사상가들의 이상 국가, 아르투르 묄러 판 덴 브루크의 제3의 제국 건설 주장을 포함하며, 나치 독일이 선전 용어로 사용했지만 그 의미와 목표는 차이가 있고, 헨리크 입센의 희곡에서도 다른 의미로 등장하므로 시대적, 사상적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 - 종말론 - 묵시
묵시는 '덮개를 떼는 것'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용어로, 유대교와 기독교 문학에서 초자연적 계시를 통해 종말론적 구원과 초월적 현실을 드러내는 묵시 문학을 지칭하며, 꿈, 환상, 천사 등을 통해 숨겨진 지혜를 전달하고 미래에 대한 관심과 신비적 상징주의, 가명 사용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요한 묵시록 - 천년왕국
천년왕국은 종교와 신념 체계에서 미래의 이상적인 시대를 의미하며, 기독교의 천년설, 유대교 경전, 이슬람의 마흐디 등 다양한 종교와 사상에 나타나 사회 운동과 유토피아 사상에 영향을 주었고, 왜곡된 사례도 있다. - 요한 묵시록 - 요한의 묵시록
요한의 묵시록은 신약성경의 마지막 책으로 사도 요한이 기록한 종말론적 예언을 담고 있으며, 묵시록의 주요 주제들을 다루면서 다양한 해석과 논쟁, 예술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후천년설 |
---|
2. 역사적 배경
사보이 선언에는 후천년설 종말론에 대한 초기 신조 진술 중 하나가 포함되어 있는데, 마지막 날에 적그리스도가 멸망하고 유대인들이 부름을 받으며, 그리스도의 교회가 확장되어 평화롭고 영광스러운 상황을 누릴 것이라는 기대를 담고 있다.[18]
후천년설은 천년왕국을 문자적인 1,000년으로 보기도 하고, 상징적인 오랜 기간으로 보기도 한다는 점에서 무천년설과 유사하다. 하나님의 왕국이 그리스도의 재림까지 역사를 통해 점진적으로 확장되며, 사탄의 세력은 점차 쇠퇴한다고 가르친다. 이러한 선의 점진적인 승리에 대한 믿음으로 인해 후천년설 지지자들은 자신들을 "낙관적 천년설"이라고 칭하며, 전천년설과 무천년설 지지자들을 "비관적 천년설"이라고 부르기도 한다.[8]
존 제퍼슨 데이비스는 존 오웬(17세기), 조나단 에드워즈(18세기), 찰스 호지(19세기)와 같은 사람들이 후천년설적 관점을 분명히 했다고 지적한다. 데이비스는 19세기에 이 견해가 지배적이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말에 "전쟁 상황이 낳은 비관주의와 환멸"로 인해 다른 종말론적 입장에 의해 가려졌다고 주장한다.[18]
17세기 영국에서는 종말론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개혁파 신학자들은 성경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전천년설을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1658년 크롬웰이 사망하고 청교도의 공화정이 끝나면서 스튜어트 왕조가 부활하며 전천년설은 쇠퇴하고, 후천년설이 대두되었다. 이는 일부 청교도 신학자들의 저작에서 나타났으며, 영국 성공회의 성서 주석가 대니얼 휘트비가 이 설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18]
19세기에는 전천년설이 다시 세력을 얻었고, 세대주의라는 새로운 요소가 더해졌다. 특히 남북 전쟁 이후의 미국에서는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이 널리 퍼졌다.[18]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는 진화론의 영향으로 후천년설이 널리 받아들여졌다. 20세기에는 개혁주의 신학자들이 이 입장을 취했지만,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겪으면서 낙관적인 후천년 왕국 입장은 줄어들었다.[18]
기독교 재건주의는 후천년설을 강조한다.[18]
3. 주요 내용
요한계시록 20장을 무천년설 논자만큼 상징적으로 보지는 않지만,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문자 그대로의 해석을 고집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순교자의 부활이나 천년기에 그리스도가 실제로 이 땅에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리스도의 재림 때가 다가올수록, 내재적인 하나님의 힘은, 하나님의 여러 적들에 대해, 보다 강력한 형태로 발휘되며, 그러한 교회의 황금 시대(천년기) 후에 짧은 배교, 즉 선과 악의 세력 간의 항쟁이 있으며, 이어서 그리스도의 재림, 죽은 자 가운데서의 부활, 마지막 심판이라는 사건이 일어난다고 본다.
19세기에 이 견해가 지배적이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말에 "전쟁 상황이 낳은 비관주의와 환멸"로 인해 다른 종말론적 입장에 의해 가려졌다.
3. 1. 후천년설의 유형
후천년설은 복음이 세상을 정복하는 범위와 방법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
복음의 정복 범위에 따른 분류
복음의 정복 수단에 따른 분류후천년설 신봉자들은 복음이 세상을 정복하는 수단에 대해서도 의견이 갈린다.
미국에서 가장 두드러지고 조직적인 형태의 후천년설은 기독교 재건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R.J. 러쉬두니, 게리 노스, 케네스 젠트리, 그렉 바흐센에 의해 발전된 재건주의 형태의 후천년설을 지지한다.
3. 2. 해석상의 쟁점
후천년설 지지자들은 성경 해석, 특히 요한계시록의 해석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일부는 과거주의적 해석을 통해 성경의 종말론적 예언이 이미 성취되었다고 주장한다.[8] 그러나 B. B. 워필드와 프란시스 나이젤 리를 포함한 여러 주요 후천년설 지지자들은 요한 계시록에 대해서는 과거주의를 채택하지 않았다. 다른 후천년설 지지자들은 R. J. 러쉬두니와 P. 앤드루 샌들린처럼 계시록에 대해 관념론적 입장을 지지하며, 이를 "하나님과 악 사이의 진행 중인 싸움에 대한 상징적 묘사"로 정의한다.
후천년설에서 천년왕국은 문자 그대로 1,000년으로 보기도 하고, 무천년설과 유사하게 오랜 기간을 비유하는 상징적인 표현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상징적인 "천년"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천년이 이미 시작되었다고 이해한다. 이는 전천년설 지지자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덜 명확하고 덜 극적인 천년, 그리고 예상치 못한 그리스도의 재림을 의미한다.
후천년설은 사탄의 세력이 그리스도의 재림까지의 역사를 통해 하나님의 왕국의 확장을 통해 점진적으로 패배할 것이라고 가르친다. 이러한 믿음 때문에 후천년설 지지자들은 자신들을 "낙관적 천년설"이라고 칭하고, 전천년설과 무천년설 지지자들을 "비관적 천년설"이라고 칭한다.[8]
후천년설 논자들은 요한계시록 20장을 무천년설 논자만큼 상징적으로 보지 않지만,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문자 그대로의 해석을 고집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순교자의 부활이나 천년기에 그리스도가 실제로 이 땅에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리스도의 재림이 가까워질수록, 내재적인 하나님의 힘은 더욱 강력하게 발휘되며, 교회의 황금 시대(천년기) 후에 짧은 배교, 즉 선과 악의 세력 간의 항쟁이 있고, 이어서 그리스도의 재림, 죽은 자 가운데서의 부활, 마지막 심판이 일어난다고 생각한다.
4. 후천년설에 대한 비판
후천년설은 재림 이전에 황금 시대가 도래한다는 주장을 펼치는데, 이는 세상 종말에 대한 성경의 파국적인 묘사(예: 마태 24장)와 모순된다는 비판을 받는다.[18] 이러한 비판에 대해 후천년설 지지자들은 마태 24장 등의 파국적 묘사가 세상 종말이 아닌, 서기 70년에 실제로 일어난 이스라엘에 대한 심판에 대한 예언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마태 24장 34절("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이 세대가 지나가기 전에 이 모든 일이 다 이루어지리라")을 근거로, 이 사건이 예수 시대에 일어날 것이라고 언급되었다고 말한다. 여기서 '세대'의 원어인 '게네아'는 '시대, 30~33년의 시간'을 의미한다(The KJV New Testament Greek Lexicon).
또한, 성경은 악마가 오늘날에도 활동하고 있다고 말한다(베드로전서 5장 8절).[18] 이는 후천년설의 낙관적인 전망과 상충된다는 지적이다. 후천년설은 종말까지의 천년기를 교회와 악마의 싸움의 시기로 정의하기 때문에, 악마의 활동은 종말까지 계속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본다. 칼뱅은 "여기(요한계시록 20장)에서 말하는 천년은, 교회의 영원한 축복에 대해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이 세상에서 싸우는 교회를 기다리고 있는 여러 어려움에 대해 말하는 것이다"(기독교 강요 제3권 25·5)라고 언급했다.[18]
5. 주요 후천년설 지지자
참조
[1]
서적
The Greatest Commandment: Matthew 22:37
WestBow Press
2010
[2]
서적
Religion and the American Civil War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3]
서적
Perfectionist Politics: Abolitionism and the Religious Tensions of American Democracy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2
[4]
간행물
Savoy Declaration
[5]
서적
The Victory of Christ's Kingdom
Canon Press
1996
[6]
논문
"The Coming of the Lord: The Northern Protestant Clergy and the Civil War Crisi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7]
논문
The Coming of the Lord
[8]
서적
John's Revelation Unveiled
https://archive.org/[...]
El Paso, TX : Lamp Trimmers (Historicism Research Foundation) ; Lynnwoodrif, South Africa : Ligstryders
2024-08-03
[9]
서적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T&T Clark
1883
[10]
서적
The Millennium
Presbyterian & Reformed
1984
[11]
서적
Systematic Theology
Ross House Books
1994
[12]
서적
Biblical Doctrines
Oxford University Press
1929
[13]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Eerdmans
1981
[14]
서적
The Power of God Unto Salvation
Presbyterian Board of Publication
1902
[15]
서적
Prophecy and the Church
Baker
1945
[16]
서적
The Revelation of St. John
Macmillan
1887
[17]
서적
Prophecy and the Church
[18]
서적
聖書の教理
羊群社
[19]
서적
The Greatest Commandment: Matthew 22:37
WestBow Press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