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17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176년은 남송 순희 3년, 금 대정 16년, 일본 안겐 2년, 서하 건우 7년, 리 왕조 찐푸 원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고려 명종 6년에 망이·망소이의 난이 일어났고, 일본에서는 운케이가 대일여래상 불상을 완성했다. 레냐노 전투에서 프리드리히 1세가 이끄는 신성 로마 제국군이 롬바르디아 동맹에게 패배했으며, 헨리 2세는 노섬프턴 대회를 통해 형사 사법 행정 규칙을 확립했다. 또한 웨일스 카디건 성에서 최초의 기록된 에이스테드보드가 열렸고, 미리오케팔론 전투가 벌어졌다. 주요 사망 인물로는 조위총, 윤인첨, 로쿠조 천황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176년
연도 정보
기원전기원전 1176년
로마 숫자MCLXXVI
서기1176년
세기12세기
천년기2천년기
주요 사건
문화1176년에 중국에서 금나라의 대정율력이 반포되었어.
정치1176년에 잉글랜드에서 노샘프턴 조약이 체결되었어.
탄생
날짜 미상레오폴트 6세 (오스트리아 공작, 사망 1230년)
요한 1세 (올덴부르크 백작, 사망 1233년)
8월 10일구토쿠 천황 (일본 천황, 사망 1242년)
사망
날짜 미상윌리엄 드 스큐리 (영국 귀족)
무야드 알딘 우나이즈 (다마스쿠스 통치자)
4월 20일리카르다 폰 베르크 (스폰하임-베르크 백작 부인)
7월 23일리타 폰 메르슈 (메르슈의 후작 부인)
9월 17일힐데가르트 폰 빙엔 (독일 베네딕토회 수녀)

2. 연호

3. 사건

3. 1. 동아시아

구분내용
간지병신
일본
중국
중국 주변
조선
베트남


3. 2. 서아시아 및 동유럽


  • 여름 - 만누엘 1세 콤네누스(Μανουήλ Α΄ Κομνηνός) 황제가 비잔티움 제국 원정군을 모아 셀주크의 수도 이코니움(Iconium)으로 진군했다. 한편, 셀주크 투르크(Seljuq Turks) 족은 농작물을 파괴하고 식수를 오염시켜 만누엘의 진군을 방해하고 비잔티움 군대를 메안데르 계곡(Büyük Menderes River)으로 유인하려 했다. 룸 술탄국(Sultanate of Rum)의 통치자 킬리즈 아르슬란 2세(Kilij Arslan II)는 이 원정 소식을 듣고 사절을 보내 평화를 요청했다.[1]
  • 9월 17일 – 미리오케팔론 전투(Battle of Myriokephalon): 셀주크 투르크 군이 베이셰히르 호(Lake Beyşehir) 근처 좁은 산길에서 매복하여 만누엘 1세가 이끄는 비잔티움 군대를 격파했다. 비잔티움 군대는 흩어지고 포위되었다. 큰 피해를 입고 공성 장비는 파괴되었다. 만누엘은 공황 상태로 도망치고 킬리즈 아르슬란 2세와 강화 조약을 체결해야만 했다.[2]
  • 아이유브 왕조의 이집트 총독 알 아딜 1세(Al-Adil I)가 콥트인(Copts)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킨트(Qift) 시의 기독교 콥트인들을 처형했다. 약 3,000명에 달하는 콥트인들이 도시 근처 나무에 매달려 처형당했다.
  • 봄 - 살라딘다마스쿠스(Damascus) 앞에서 잔기드(Zangid) 군대를 물리치고 누르 알 딘(Nur al-Din) (1174년 사망)의 미망인 아시마트(Asimat) 즉, 이스마트 아드-딘 카툰(Ismat ad-Din Khatun)과 결혼했다. 6월 24일 그는 휴전을 받아들이고 시리아(Syria)의 군주로 인정받았다.[3]
  • 여름 - 살라딘은 이스마일파(Isma'ilism) ("암살단")의 마시아프(Masyaf) 요새에 대한 포위 공격을 끝냈다. 이 요새는 라시드 알딘 시난(Rashid al-Din Sinan)이 지휘하고 있었다.
  • 가을 - 윌리엄 몽페라(William of Montferrat), 야파(Jaffa)와 아스칼론(Ascalon) 백작 ('''롱소드''')가 16세의 시빌라(Sibylla) 공주, 즉 발두인 4세(Baldwin IV) ('''나병왕''')의 여동생과 결혼했다.[4]
  • 르노 드 샤티용(Raynald of Châtillon)이 알레포(Aleppo) 감옥에서 석방되어 몸값을 지불하고 풀려났다. 함께 풀려난 인물은 에데사(Edessa) 백작직을 명목적으로 유지하고 있던 조슬랭 3세(Joscelin III)이다.

3. 3. 유럽


  • 5월 29일레냐노 전투: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로사''') 황제가 이끄는 신성 로마 제국군(약 5,500명)이 롬바르디아 동맹군에게 패배하여, ''pactum Anagnium''(즉, 아냐니 협정)이 체결된다.[5]
  • 봄 – 노섬프턴 대회(Assize of Northampton): 헨리 2세 왕은 1166년 클래런던에서 제정한 형사 사법 행정 규칙을 확립한다.
  • 겨울 – 1176년 카디건 에이스테드보드(1176 Cardigan eisteddfod): 웨일스(Wales)의 카디건 성(Cardigan Castle)에서 국제적인 낭송 축제가 열린다. 최초로 기록된 에이스테드보드(eisteddfod)이다.
  • 가을 – 프리드리히 1세가 알렉산데르 3세와 화해하고 그를 가톨릭 교회의 합법적인 교황으로 인정하다.[5]
  • 부르고뉴(Burgundy)의 센스 대성당(Sens Cathedral)에 초기 시계로 추정되는 호롤로지(horologe)가 설치되다.
  • 카르투시오회가 수도회로 승인받다.[6]
  • 9월 17일 - 미리오케팔론 전투가 벌어지다.

4. 탄생


  • 수부타이: 몽골 제국의 무장. ([1])
  • 10월 15일 - 레오폴트 6세: 독일 귀족. ([1])
  • 아그네스 폰 호엔슈타우펜: 독일 귀족 여성. ([1])
  • 알무아잠 이사: 아이유브 왕조의 다마스쿠스 통치자. ([1])
  • 안나 콤네네 앙젤리나: 니케아 제국의 황후. ([1])
  • 후지와라노 노부자네: 일본 화가. ([1])
  • 하치조인 다카쿠라: 일본 와카 시인. ([1])
  • 헨리 드 보훈: 초대 허퍼드 백작. ([1])
  • 휴 드 레이시: 초대 얼스터 백작. ([1])
  • 모드 르 바바수르: 잉글랜드 귀족 여성. ([1])
  • 테레사 폰 포르투갈: 레온 왕국의 왕비. ([1])
  • 윌리엄 롱에스페: 3대 솔즈베리 백작. ([1])
  • 5월 10일 - 고시나이 친왕: 헤이안 시대의 황족, 이세 사이궁. ([1])
  • 아사히나 요시히데: 가마쿠라 시대무장, 아사히나 씨의 당주. ([1])
  • 이치조 타카요시: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정치가. ([1])
  • 카지 노부자네: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1])

5. 사망


  • 고려의 무신 조위총
  • 윤관의 손자 윤인첨[1]
  • 4월 18일 – 갈디노 델라 살라(Galdino della Sala), 이탈리아 대주교 (1096년 출생)[2]
  • 4월 20일 – 리처드 드 클레어(Richard de Clare), 2대 펨브룩 백작, 잉글랜드 귀족 (1130년 출생)[3]
  • 5월 8일 – 데이비드 피츠제럴드(David FitzGerald), 세인트 데이비드스 주교 (1106년 출생)[4]
  • 5월 13일 – 마티아스 1세(Matthias I), 로렌 공작 (1119년 출생)[5]
  • 7월 20일슈시 내친왕 (요시코(Yoshika)), 일본 황후 (1141년 출생)[6]
  • 8월 14일 - 평자코, 헤이안 시대의 황족 (1142년 출생)
  • 8월 23일로쿠조 천황 (1164년 출생)
  • 9월 1일 – 모리스 피츠제럴드(Maurice FitzGerald), 랜스테판 영주, 잉글랜드 귀족
  • 9월 17일
  • * 발두인 2세(Baldwin of Antioch), 프랑스 귀족
  • * 요한 칸타쿠제노스(John Kantakouzenos), 비잔티움 장군
  • 10월 12일 – 윌리엄 도브니(William d'Aubigny), 1대 아룬델 백작, 잉글랜드 정치인 (1109년 출생)
  • 10월 23일 - 후지와라 테이시, 일본 황족 (1131년 출생)
  • 아흐마드 이븐 무하마드 사자완디(Ahmad ibn Muhammad Sajawandi), 페르시아 연대기 작가
  • 체카와 예셰 도르제(Chekawa Yeshe Dorje), 티베트 불교 승려 (1102년 출생)
  • 콘스탄스 드 프랑스(Constance of France), 프랑스 공주 (추정 날짜)
  • 후지와라노 테이시(Fujiwara no Teishi)(쿠조인(Kujō-in)), 일본 귀족 여성 (1131년 출생)
  • 야크사 그리피타(Jaksa Gryfita), 폴란드 귀족 및 기사 (1120년 출생)
  • 요한 두카스(John Doukas) (콤네노스(Komnenos)), 비잔티움 총독 (1128년 출생)
  • 클랭구르 토르스타인손(Klængur Þorsteinsson), 스칼홀트 주교 (1102년 출생)
  • 마르그레테 로스킬데(Margrethe of Roskilde), 덴마크 귀족 여성 및 성인
  • 미카엘 아스피에테스(Michael Aspietes), 비잔티움 귀족 및 장군
  • 로자문드 클리포드(Rosamund Clifford) (미인(the Fair)), 잉글랜드헨리 2세(Henry II of England)의 정부
  • 산차 폰세 데 카브레라(Sancha Ponce de Cabrera), 스페인 귀족 여성
  • 볼로다르 글레보비치(Volodar Glebovich), 민스크 공(Prince of Minsk) (추정 날짜)
  • 가와즈 스케타이, 헤이안 시대무장 (1146년? 출생)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2]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3]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4]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5]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Weidenfeld & Nicolson
[6] 서적 Chambers' Encyclopaedia: A Dictionary of Universal Knowledge, Volume II https://books.google[...] J. B. Lippincott Company 2018-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