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소련 대기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0년대 소련 대기근은 1930년대 초 소련에서 발생한 대규모 기근으로, 1921-1922년 러시아 대기근 이후 다시 발생했다. 이오시프 스탈린의 제1차 5개년 계획에 따른 급속한 산업화와 농업 집단화 정책이 식량 수요 증가와 농업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여 기근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특히 쿨라크에 대한 탄압은 농민들의 저항을 불러일으켰다. 기근의 원인과 집단 학살 여부에 대한 학술적 논쟁이 있으며, 우크라이나와 카자흐스탄에서 수백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소련 정부는 기근의 존재를 부인하고 외국의 지원을 거부했으며, 언론 통제를 통해 기근의 심각성을 축소 보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0년 소련 - 산업당 재판
산업당 재판은 1930년 소련에서 부르주아 전문가들이 소련 경제 파괴를 모의한 반혁명 조직 '산업당'을 결성했다는 혐의로 기소된 공개 재판으로, 스탈린 시대 정치 탄압의 대표적 사례이다.
1930년대 소련 대기근 | |
---|---|
개요 | |
![]() | |
발생 위치 | 러시아 SFSR (카자흐 ASSR), 우크라이나 SSR |
원인 | 논쟁 중; 고의적인 공학적 설계, 경제적 실정, 산업화로 인한 수요 급증으로 인한 낮은 수확량 등의 이론이 있음 |
최초 보도 | 가레스 존스 |
사망자 수 | 약 570만 ~ 870만 명 |
용의자 | 이오시프 스탈린 휘하의 소비에트 정부 |
수상 | 월터 듀란티, 퓰리처상 통신 보도 부문 |
출판 금지 | 기근의 증거는 고스콤스타트에 의해 억압됨 |
명칭 | |
카자흐어 | 1931–1933 жылдардағы кеңестік аштық |
러시아어 | Советский голод 1930–1933 годов |
우크라이나어 | Голодомор 1930–1933 років |
관련 정보 | |
일부 | 러시아와 소련의 가뭄 및 기근 |
사건 | |
관련 인물 | 이오시프 스탈린 |
2. 전개 과정
1921년-1922년 러시아 대기근 이후, 1930년대 초 소련에서 다시 대기근이 발생했다.
2. 1. 학술적 관점
홀로도모르 집단학살 문제는 현대 정치에서 중요한 쟁점이며, 소련의 정책이 집단학살의 법적 정의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46][47]몇몇 학자들은 기근이 소련 정부의 집단학살적 캠페인이었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한다. J. 아치 게티는 "새로운 문서고에서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압도적인 의견은 1930년대의 끔찍한 기근이 어떤 집단학살 계획의 결과라기보다는 스탈린주의의 서투름과 경직성의 결과였다는 것이다"라고 주장한다.[48] 스티븐 G. 위트크로프트는 기근 당시 소련 정부의 정책이 명백한 살인이나 집단학살이 아닌 사기와 과실치사에 해당하는 범죄 행위였다고 본다.[51] 요시프 스탈린의 전기 작가 스티븐 코트킨은 "기근에 대한 스탈린의 책임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면서도, 비생산적이고 불충분한 소련의 조치로 인해 많은 사망을 막을 수 있었지만, 스탈린이 의도적으로 우크라이나인을 몰살하려 했다는 증거는 없다고 지적한다.[52] 로널드 그리고르 서니 교수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기근을 집단학살로 보지 않고, 잘못된 판단과 계산 착오에 따른 소련 경제 정책의 결과로 본다고 설명한다.[53]
마이클 엘먼 교수는 데이비스와 위트크로프트의 '의도'에 대한 견해가 지나치게 좁다고 비판한다. 그는 "그들[데이비스와 위트크로프트]에 따르면, 오직 농민의 사망을 유발하는 것을 유일한 목표로 하는 행동만이 의도로 간주된다. 다른 목표(예: 기계 수입을 위한 곡물 수출)를 가진 행동을 취했지만 행위자가 농민들이 굶어 죽을 것을 '분명히 알고' 있었다면, 농민을 의도적으로 굶어 죽게 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은 '의도'에 대한 일반적인 법적 해석에 반하는 해석이다"라고 비판한다.[54] 마틴 쇼는 이러한 엘먼의 견해를 지지하며, 지도자가 자신의 정책으로 인해 대규모 기근 사망이 발생할 것을 알면서도 정책을 계속 시행했다면, 정책의 유일한 의도가 아니었더라도 이러한 사망을 의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55]
엘먼은 스탈린이 인도에 반하는 죄를 저지른 것은 분명하지만, 그가 집단학살을 저질렀는지는 집단학살 정의에 따라 판단해야 하며,[54] 다른 많은 사건들도 집단학살로 간주될 수 있다고 말한다.[56] 그는 기근으로 인한 과도한 사망과 관련하여 "독특한 스탈린주의 악"에만 집착하는 것을 비판하며, 1921-1922년 러시아 기근 등 러시아 역사에서 기근과 가뭄은 스탈린 집권 이전부터 흔하게 발생했다고 지적한다. 또한 19세기와 20세기에 중국, 인도, 아일랜드,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기근이 만연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엘먼은 G8이 "대량 사망을 줄이기 위한 명백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 과실치사 또는 형사상 과실로 인한 대량 사망에 대한 죄가 있으며", 스탈린의 "행동은 19세기와 20세기의 많은 통치자보다 더 나쁘지 않았다"고 평가한다.[57]
마크 토거는 작물 실패, 불충분한 구호 노력, 그리고 외국 위협과 농민 투기꾼에 대한 소련 지도자들의 무능함과 편집증 외에도 자연 재해에 더 큰 비중을 두어 기근을 설명했다.[58] 그는 "1932-1933년의 가혹한 조달은 기근을 도시 지역에서만 옮겼지만" 낮은 수확량은 "기근을 불가피하게 만들었다"고 보았다. 토거는 기근을 "1932년 곡물 조달의 결과이자 의도적인 집단학살 행위"로 받아들이기는 어렵지만, "정권은 여전히 1930년대 초 소련 인구의 박탈과 고통에 대한 책임이 있으며", "[집단화 및 강제 산업화]의 영향이 예상보다 더 심각했음을 보여준다"고 결론 내렸다.[59]
일부 역사학자와 학자들은 기근을 소련이 카자흐족에게 자행한 집단학살로 묘사하지만,[60] 이를 뒷받침할 증거는 거의 없다.[61] 역사학자 사라 캐머런은 스탈린이 카자흐족을 굶겨 죽일 의도는 없었지만, 정권의 정치적, 경제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부 사망을 필요한 희생으로 간주했다고 주장한다. 캐머런은 기근이 국제 연합(UN)의 집단학살 정의에는 부합하지 않지만, 문화 파괴를 육체적 절멸만큼이나 집단학살로 간주한 라파엘 렘킨의 원래 집단학살 개념에는 부합한다고 본다.[51] 나자르바예프 대학교의 니콜로 피안치올라 부교수는 더 나아가 렘킨의 집단학살 개념에 따르면 소련의 모든 유목민이 카자흐족뿐만 아니라 이 범죄의 피해자였다고 주장한다.[62]
2. 1. 1. 원인
1921–1922년 러시아 기근과는 달리, 1930년대 소련 대기근 당시에는 가뭄이 심각하지 않았다.[23] 그럼에도 불구하고 1931년과 1932년에는 두 번의 흉작이 있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자연 조건의 결과였다.[24] 1930–1933년 카자흐 기근에서 가장 중요한 자연적 요인은 1927년부터 1928년까지의 주트였으며,[25] 이 시기는 극심한 추위로 가축이 굶주리고 풀을 뜯을 수 없었다.[51]웨스트버지니아 대학교의 역사가 마크 타우거는 기근이 자연 재해로 인한 낮은 수확량, 도시화 및 소련의 산업화로 인한 식량 수요 증가, 그리고 국가의 곡물 수출이라는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주장한다.[26] 마이클 엘만은 1932–1933년 곡물 수출량이 180만 톤에 달했는데, 이는 500만 명을 1년 동안 먹일 수 있는 양이라고 말한다.[54]
1928년 당에서 채택한 스탈린의 제1차 5개년 계획 (소련)은 경제의 급속한 산업화를 요구했다. 중공업에 대한 투자로 소비재 부족이 발생했고, 도시 노동력도 증가했다. 집단화는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증가하는 도시 노동력을 먹여 살릴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큰 곡물 비축량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쿨라크는 스탈린 정권으로부터 특히 적대적인 대우를 받았다. 소련은 약 100만 가구의 쿨라크(소련 문서 보관 데이터에 따르면 1,803,392명)를 청산했다.[27] 쿨라크는 재산을 몰수당하고 처형되거나, 굴라크에 수감되거나, 노동 수용소로 추방되었다. 나머지 농민들에 대한 강제 집단화는 종종 격렬한 저항에 직면하여 농업 생산성을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강제 집단화는 스탈린의 급속한 산업화 목표 달성에 기여했지만, 1932–1933년의 기근에도 기여했다.[28]
일부 학자들에 따르면, 소련의 집단화와 소련 국가의 기타 정책이 기근 사망의 주요 원인이었으며(초과 사망의 52%), 우크라이나인과 독일인이 차별을 받았다는 증거가 존재한다.[29] 미시간 주립 대학교 역사학과 교수인 루이스 H. 지겔바움은 우크라이나가 대부분의 농가가 생산할 수 없는 수준으로 설정된 곡물 할당량으로 특히 큰 타격을 입었다고 말한다.
2021년 안드레이 마르케비치, 나탈리야 나우멘코, 낸시 첸이 발표한 경제 정책 연구 센터 논문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은 기근에 해당하는 중앙 계획 정책으로 더 큰 타격을 입었고, 우크라이나 인구가 많은 지역에는 더 적은 수의 트랙터가 지급되었다. 이 논문은 전반적인 민족 차별이 중앙 계획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며, 우크라이나에서만 기근 사망의 92%와 우크라이나, 러시아, 벨라루스 전체 기근 사망의 77%가 우크라이나인에 대한 체계적인 편견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결론 내린다.[30]
하지만 기근에 대한 집단화와 높은 조달 할당량 설명은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우크라이나 지역인 키이우와 하르키우가 다른 지역보다 훨씬 적은 양의 곡물을 생산했다는 사실에 의해 의문이 제기된다.[31] 이에 대한 잠재적인 설명은 하르키우와 키이우가 1930년에 곡물 조달을 이행하고 초과 달성하여, 이 지역의 배급량이 1931년에는 조달 할당량이 2배로 증가한 반면, 전국 평균 조달률은 9% 증가했고, 하르키우와 키이우는 오데사주 및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의 일부 라욘의 조달 할당량이 감소했다는 것이다. 프투하 인구 및 사회 연구소의 나탈리야 레브추크는 "1931년 하르키우와 키이우 주의 라욘별로 크게 증가한 곡물 할당량의 분배는 밀 파종 면적과 잠재적인 곡물 생산 능력에 비례하지 않아 매우 불균형하고 정당하지 않았다."라고 설명한다.[32]
올레 볼로비나는 농민들의 저항과 그에 따른 탄압이 우크라이나와 독일인 및 우크라이나인과 같은 민족 소수가 거주하는 러시아 지역에서 기근의 중요한 요인이었다고 언급하며, 이는 소련 당국에 따르면 "파시즘과 부르주아 민족주의"에 의해 오염되었다고 한다.[31]
역사가 스티븐 G. 휘트크로프트는 소련 정부의 "잘못된 정책"에 더 큰 비중을 두었으며, 특히 그는 그 정책이 우크라이나를 특별히 겨냥한 것은 아니었지만, 우크라이나가 "인구 통계적 이유"로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는 점을 강조했다.[37] 휘트크로프트는 기아의 주요 원인은 곡물 부족이었다고 말한다.[38] 휘트크로프트에 따르면, 기근 이전 소련의 곡물 수확량은 5,500만 톤에서 6,000만 톤 사이였는데,[39] 이는 부분적으로 습한 날씨와 낮은 견인력으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1]
요시프 스탈린은 당내 부하린 파벌의 투쟁, 블라디미르 레닌 치하의 신경제 정책에 대한 농민들의 반발, 그리고 산업화의 필요성 때문에 농민으로부터 "공물" 또는 "세금"을 징수해야 한다고 선언했다.[63]
1928년 2월, 신문 프라우다는 처음으로 쿨락에 대한 폭로를 담은 자료를 게재했으며, 시골에서 부유한 농민들이 광범위하게 지배하고 쿨락이 공산당 세포를 침범했다고 묘사했다.[70] 쿨락과 중산층 농민으로부터 곡물 재고를 수용하는 것은 "일시적인 비상 조치"라고 불렸다. 나중에 일시적인 비상 조치는 "계급으로서의 쿨락 제거" 정책으로 바뀌었다.[70] 이오시프 스탈린은 1929년 12월 27일 "계급으로서의 쿨락 제거"를 발표했다.[73]
또한 1928년 소련 카자흐스탄에서 당국은 "리틀 10월"이라고 알려진 부유한 카자흐인들, 즉 바이로부터 가축을 몰수하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 캠페인으로 인해 1만 명 이상의 바이들이 추방되었을 수 있다.
역사학자 스티븐 G. 휘트크로프트는 소련 당국이 무시하여 농업 기술 발전을 방해하고 결국 기근에 기여한 네 가지 문제를 열거했다:[42]
- "파종 면적의 과도한 확장"
- "견인력 감소"
- "경작 품질"
- "나쁜 날씨"
가뭄과 흉작으로 인해 우크라이나의 기근 상황이 인식된 후, 모스크바의 소련 정부는 해외로의 곡물 수출을 일부 금지했을 뿐만 아니라, 대외 무역 인민 위원회에 아시아 국가에서 57332.4ton의 곡물을 구매하라고 명령했다.[88] 곡물 수출량도 이전 해에 비해 감소했다.[89]
다음은 공식적으로 발표된 곡물 수출입 데이터이다.[91]
연도 | 곡물 수출 (톤) | 밀 수출 (톤) |
---|---|---|
1930 | 4,846,024 | 2,530,953 |
1931 | 5,182,835 | 2,498,958 |
1932 | 1,819,114 | 550,917 |
1933 | 1,771,364 | 748,248 |
2. 1. 2. 집단 학살 논쟁
홀로도모르 집단학살 문제는 현대 정치에서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으며, 소련의 정책이 집단학살의 법적 정의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46][47]여러 학자들은 기근이 소련 정부가 감행한 집단학살적 캠페인이었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 J. 아치 게티는 "새로운 문서고에서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압도적인 의견은 1930년대의 끔찍한 기근이 어떤 집단학살 계획의 결과라기보다는 스탈린주의의 서투름과 경직성의 결과였다는 것이다."라고 말한다.[48] 스티븐 G. 위트크로프트는 기근 동안의 소련 정부 정책이 노골적인 살인이나 집단학살이 아닌 사기와 과실 치사의 범죄 행위였다고 말한다.[51] 요시프 스탈린 전기 작가인 스티븐 코트킨은 "기근에 대한 스탈린의 책임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말하며, 생산적이지 않고 불충분한 소련 조치로 인해 많은 사망을 막을 수 있었지만 스탈린이 의도적으로 우크라이나인을 죽이려 했다는 증거는 없다고 말한다.[52] 역사학 교수 로널드 그리고르 서니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기근이 집단학살 행위였다는 견해를 거부하고, 대신 잘못된 생각과 잘못 계산된 소련의 경제 정책의 결과로 본다고 말한다.[53]
경제학 교수 마이클 엘먼은 데이비스와 위트크로프트의 의도에 대한 견해를 지나치게 좁다고 비판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들[데이비스와 위트크로프트]에 따르면, 오직 농민의 사망을 유발하는 것을 유일한 목표로 하는 행동만이 의도로 간주된다. 다른 목표(예: 기계 수입을 위해 곡물 수출)를 가진 행동을 취했지만 행위자가 농민들이 굶어 죽을 것을 '분명히 알고'있었다면, 농민을 의도적으로 굶어 죽게 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은 '의도'에 대한 일반적인 법적 해석에 반하는 해석이다."[54] 사회학자 마틴 쇼는 이러한 견해를 지지하며, 지도자가 자신의 정책의 궁극적인 결과가 기근으로 인한 대량 사망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정책을 시행한다면, 이는 정책의 유일한 의도가 아니었더라도 이러한 사망을 의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55]
엘먼은 스탈린이 분명히 인도에 반하는 죄를 저질렀지만, 그가 집단학살을 저질렀는지는 집단학살 정의에 달려 있으며,[54] 다른 많은 사건들도 집단학살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말한다.[56] 그는 기근으로 인한 과도한 사망과 관련하여 "독특한 스탈린주의 악"에 대한 고착에 비판적이며, 기근과 가뭄은 스탈린이 권력을 잡기 전인 1921-1922년 러시아 기근을 포함하여 러시아 역사 전반에 걸쳐 흔하게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또한 19세기와 20세기에 중국, 인도, 아일랜드, 러시아와 같은 국가에서 기근이 널리 퍼졌다고 말한다. 엘먼에 따르면, G8은 "대량 사망을 줄이기 위한 명백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 과실 치사 또는 형사상 과실로 인한 대량 사망에 대한 죄가 있으며", 스탈린의 "행동은 19세기와 20세기의 많은 통치자보다 더 나쁘지 않았다."[57]
역사학자 사라 캐머런은 스탈린이 카자흐족을 굶겨 죽일 의도는 없었지만, 정권의 정치적, 경제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부 사망을 필요한 희생으로 보았다고 주장한다. 캐머런은 기근이 국제 연합(UN) 정의의 의미에서 집단학살은 아니었지만, 문화 파괴를 육체적 절멸만큼이나 집단학살로 간주한 라파엘 렘킨의 원래 집단학살 개념을 준수한다고 믿는다.[51]
2. 2. 정책 및 사건
요시프 스탈린은 블라디미르 레닌의 신경제정책에 대한 농민들의 반발과 산업화에 필요한 자금 확보를 위해 농민에게서 "공물"을 징수해야 한다고 선언했다.[63] 이는 농민에 대한 사실상의 전쟁으로 이어졌고, 농촌 문화를 말살하여 소련 엘리트의 도시 문화에 흡수시키려는 시도였다.[63]1928년, 프라우다는 쿨락(부농)들이 농촌을 지배하고 공산당에 침투했다고 폭로했다.[70] 당은 쿨락과 중농으로부터 곡물을 징발하는 "일시적 비상 조치"를 시행했고, 이는 곧 "계급으로서의 쿨락 제거" 정책으로 전환되었다.[70] 스탈린은 1929년 12월 27일 "계급으로서의 쿨락 제거"를 발표하며, 쿨락의 저항을 분쇄하고 생산 수단을 박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73] 이로 인해 1930년부터 1931년까지 180만 명 이상의 농민이 추방되었다.[73][74][75]
소련의 집단화와 병행하여, 카자흐스탄에서는 1928년부터 "리틀 10월"이라 불리는 부유한 카자흐인(바이)의 가축 몰수 캠페인이 시작되었다.[62] 카자흐인들이 직접 몰수를 담당하여 사회 변화에 참여하도록 유도했으며, 이 과정에서 1만 명 이상의 바이가 추방되었을 수 있다.[62]
농민들은 집단화에 반발하여 가축을 넘기는 대신 도살했다. 1930년 초 두 달 동안 수백만 마리의 가축이 도살되었고, 1934년 전연방 공산당(볼셰비키) 제17차 대회에서는 소 2,660만 마리와 양 6,340만 마리가 손실되었다고 보고되었다.[76] 소련 정부는 "가축의 악의적인 도살"을 처벌하는 법령을 발표했다.[77]
1930년 여름, 소련 정부는 곡물 수출을 늘리기 위해 식량 징발을 강화했다. 우크라이나는 소련 수확량의 27%를 생산했지만, 38%를 징발당했고, 1931년에는 42%를 징발당했다. 그러나 수확량 감소로 징발량은 줄었다.[78] 1933년 1월부터 4월 중순까지, 숨겨진 곡물을 찾기 위한 수색과 몰수가 이루어졌고, 스탈린은 곡물을 내놓지 않으면 처벌하겠다고 위협했다.[31]
1932년 8월 7일, 콜호스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이삭줍기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밭에 남은 곡식을 줍는 행위를 금지하고, 굶주린 농민들이 식량을 찾는 것을 막았다. 이 법으로 20만 명 이상이 선고받았고, 형벌은 종종 사형이었다.[54]
1932년 11월 20일, "블랙리스트 제도"가 공식화되었다.[95] 블랙리스트에 오른 지역은 식량 공급이 차단되고, 상점이 폐쇄되며, 무역이 중단되고, 공산당과 집단 농장 위원회가 숙청되었다.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쿠반 우크라이나인 지역, 그리고 소련 카자흐스탄에서 시행되었다.[62] 우크라이나에서는 392개 구 중 37개 구와 400개 이상의 집단 농장이 블랙리스트에 올랐다.[96][97]

1933년 1월, 스탈린은 "굶주린 농민들의 대량 탈출 방지" 비밀 법령에 서명하여 농민들의 이동을 제한했다.[102] 1932년 12월 27일 도입된 소련의 여권 제도는 농민들이 도시로 가는 것을 막았다. 여권 발급 권한은 콜호스의 우두머리에게 있었고, 신분증은 집단 농장의 행정부에서 보관했다. 국가정치보안부는 굶주린 지역에서 농민들의 탈출을 막기 위해 바리케이드를 설치했다.[104] 이 정책으로 약 15만 명이 추가로 사망했다는 주장이 있다.[54]
대기근에도 불구하고 소련 정부는 기근의 존재를 부인하고 외국의 지원을 거부했다.[110]
2. 3. 저항
농민들은 집단화와 강제적인 식량 징발에 저항했다. 이들은 소련 당국에 의해 강제로 토지를 몰수당하고, 집단 농장에 편입되는 것에 반대했다.[63]요시프 스탈린은 블라디미르 레닌 시기의 신경제정책에 대한 농민들의 반발과 산업화에 필요한 자금 조달을 위해 농민들로부터 "공물"을 징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강제적인 곡물 징발은 농민들에게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63]
특히 종교 탄압은 농민들의 저항을 더욱 부추겼다. 소련 당국은 교회를 폐쇄하고 성상을 불태우며 사제를 체포하는 등 종교를 탄압했다. 농민들은 교회를 차르 정권과 연관시키며, 소련의 종교 탄압을 적그리스도의 행위로 간주하고 저항했다.[82] 우크라이나 독립 정교회는 소련 당국에 의해 탄압받았으며, 이는 라파엘 렘킨에 의해 우크라이나인에 대한 제노사이드의 일환으로 간주되었다.[81]
소련 전역에서 기근 동안 당국에 대한 광범위한 저항이 있었다. OGPU의 기록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에서 932건, 북카프카스에서 173건 등 총 1,630건의 소요 사태가 발생했다.[34]
수천 명의 카자흐족은 강제 수집 운동에 폭력적으로 저항했으며, 1930년에만 8건의 반란이 발생했다.[124] 망기스타우 반도에서는 1929년부터 1931년 사이에 15,000명의 반군이 저항했다.[124] 일부 카자흐족은 수자크 시를 점령하여 몰수된 재산을 반환하고 곡물 창고를 파괴하기도 했다.[124]
러시아의 쿠반 지역에서도 코사크들이 강제 수집에 저항했다. 라자르 카가노비치는 쿠반 지역의 저항을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및 코사크 음모와 연관 지어 탄압했으며, 가장 반항적인 지역으로 지목된 폴타프스카이아 스타니차의 거의 모든 구성원이 추방되었다.[107]
2. 4. 참상
기근으로 인해 우크라이나[112]와 카자흐스탄[113]에서 광범위한 인육 섭취 현상이 발생했다는 증거가 기록되었다. 카자흐스탄에서는 굶주린 사람들이 남은 시신을 먹는 것에서부터 서로를 살해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기근 기간 동안 2,500명 이상이 인육 섭취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114]우크라이나의 경우, 한 여성 의사는 1933년 6월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아직 인육 섭취자가 되지는 않았지만 '내 편지가 당신에게 도달할 때까지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하지 못한다'"고 썼다. 당시 상황은 "생존은 육체적인 투쟁일 뿐만 아니라 도덕적인 투쟁"이었다고 묘사될 정도로 참혹했다.
3. 피해 규모
정확한 사망자 수는 기록 부족으로 파악하기 어렵지만, 최소 수백만 명에서 천만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153][154] 1932년부터 1933년까지 소련 대기근으로 인해 우크라이나에서 330만 명에서 390만 명,[153] 러시아에서 200만 명에서 300만 명,[147] 카자흐스탄에서 150만 명에서 200만 명(이 중 130만 명이 카자흐족)이 사망했다.[148][149][150][151] 1919–1922년 카자흐 기근 외에도, 이 사건으로 인해 카자흐스탄은 15년 만에 인구의 절반 이상을 잃었다. 기근으로 인해 카자흐족은 자국 공화국에서 소수가 되었다. 기근 전에는 공화국 인구의 약 60%가 카자흐족이었지만, 기근 후에는 공화국 인구의 약 38%만이 카자흐족이었다.[62][152]
다음은 기근 사망에 대한 여러 추정치를 정리한 것이다.
출처 | 사망자 수 |
---|---|
R. W. 데이비스와 스티븐 G. 위트크로프트 (2004년) | 550만 명 ~ 650만 명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159] (2021년)[160] | 600만 명 ~ 800만 명 (우크라이나인 400만 명 ~ 500만 명) |
로버트 콘퀘스트[161] | (유럽 지역) 최소 700만 명, (카자흐 ASSR) 100만 명 |
마이클 엘먼[162] | 약 850만 명 |
노먼 나이마크[163] | 300만 명 ~ 500만 명 (우크라이나인) |
러시아 국가 두마 (2008년)[164] | 약 700만 명 (포볼즈예, 중앙흑토지대, 북캅카스, 우랄, 크림 반도, 서시베리아,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
기타 출처[165] | 500만 명 (우크라이나 시골 지역) |
올레 볼로위나 (2020년, 학살 연구 저널)[31] | 870만 명 (우크라이나 390만 명, 러시아 330만 명, 카자흐스탄 130만 명, 기타 공화국 소수) |
로버트 콘퀘스트가 추정한 1930년대 소련 농업 정책 희생자 수는 다음과 같다.[170]
항목 | 사망자 수 |
---|---|
부농 몰락 운동에 의한 사망자 수 | 650만 명 |
집단농업화에 의한 카자흐인의 사망자 수 | 100만 명 |
1932-33년의 기아 사망자 수 | 우크라이나: 500만 명, 북 코카서스: 100만 명, 기타 지역: 100만 명 |
합계 | 1450만 명 |
4. 이후
1934년 곡물 수확량은 양호했으나, 1936년에는 흉작이었다.[17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6년 가을부터 1947년 여름까지 우크라이나, 몰도바, 중앙 흑토 지대, 볼가강 하류 지역에서 가뭄으로 인한 기근이 발생하여 100만 명이 희생되었다.[172]
소련 내에서 기근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오랫동안 어려운 일이었다. 작가 미하일 알렉세예프는 1972년에 소련 현대사에 관한 저서들이 1933년 기근의 비극에 관해 "얼마나 사소한 것이라도 입을 다물고 있다"라고 말했다.[173] 작가 보리스 파스테르나크도 1930년대 초 콜호스를 시찰하고 "거기에는 너무나 비인간적이고, 상상할 수 없는 비참한 현실이 있었다. (...) 나는 병이 났다. 무려 1년 동안, 아무것도 쓸 수 없었다"라고 썼지만, 미발표 상태로 있었다.[174][173]
4. 1. 반응
홀로도모르 집단학살 문제는 현대 정치에서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으며, 소련의 정책이 집단학살의 법적 정의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46][47] 여러 학자들은 기근이 소련 정부가 감행한 집단학살적 캠페인이었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48][1][49][50] 요시프 스탈린 전기 작가인 스티븐 코트킨은 "기근에 대한 스탈린의 책임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말하며, 생산적이지 않고 불충분한 소련 조치로 인해 많은 사망을 막을 수 있었지만 스탈린이 의도적으로 우크라이나인을 죽이려 했다는 증거는 없다고 말한다.[52]몇몇 유명 언론인들, 특히 ''뉴욕 타임스''의 월터 듀랜티는 기근과 그 사망자 수를 축소 보도했다.[138] 1932년, 그는 소련의 제1차 5개년 계획 보도로 퓰리처상을 받았고, 기근을 취재한 가장 전문적인 서방 언론인으로 여겨졌다.[138] "러시아인, 굶주리지만 굶어 죽지 않는다"라는 기사에서 그는 우크라이나의 기아 상황을 언급하며, 북캅카스와 볼가 지역 하부를 포함한 소련 특정 지역에 광범위한 영양실조가 있었음을 인정하면서도 기아의 규모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하지 않고 기근이 없다고 주장했다.[139] 듀랜티의 보도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1933년 소련을 공식적으로 승인하고, 독립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의 공식 승인을 철회하는 결과를 낳았다.[140] 맬컴 머게리지와 개러스 존스를 포함한 다른 서방 언론인들도 당시 기근에 대해 보도했는데, 그들은 듀랜티의 보도를 심하게 비판했고 나중에 소련으로의 귀국이 금지되었다.[141]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어린 시절 러시아 스타브로폴 지방에서 소련 기근을 겪었다. 그는 회고록에서 "그 끔찍한 해 [1933년]에 내 고향 마을 프리볼노예 인구의 거의 절반이 굶어 죽었는데, 아버지의 두 누이와 한 형제도 포함되었다"고 회상했다.[142]

국제 사회는 1932–1933년의 사건에 대해 소련 정부를 비난해 왔지만, 우크라이나 기근을 집단 학살로 분류하는 것은 논쟁의 대상이다.[54]
참조
[1]
논문
The Turn Away from Economic Explanations for Soviet Famines
https://www.resear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11-26
[2]
서적
The Industrialisation of Soviet Russia Volume 5: The Years of Hunger
Palgrave Macmillan
2010
[3]
논문
Stalinism in Post-Communist Perspective: New Evidence on Killings, Forced Labour and Economic Growth in the 1930s
1996-09
[4]
웹사이트
The Kazakh Famine: The Beginnings of Sedentarization
https://www.sciences[...]
Paris Institute of Political Studies
2021-12-19
[5]
논문
The Kazakh Famine of 1930–33: Current Research and New Directions
https://www.research[...]
2021-11-19
[6]
논문
Famine on the South Siberia
http://www.philosoph[...]
[7]
논문
Demographic aftermath of the famine in Kazakhstan
http://demoscope.ru/[...]
2003-01-01
[8]
논문
Review of The Industrialisation of Soviet Russia, Vol. 1: The Socialist Offensive: The Collectivisation of Soviet Agriculture, 1929-1930.; The Industrialisation of Soviet Russia, Vol. 2: The Soviet Collective Farm, 1929-1930., R. W. Davies
https://www.jstor.or[...]
1982
[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0]
서적
The Harvest of Sorrow: Soviet Collectivization and the Terror-Famin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1]
논문
'Dekulakization' as a Facet of Stalin's Social Revolution (The Case of Perm Region)
https://www.research[...]
2021-11-21
[12]
논문
The Ukrainian Famine of 1932–1933 as Genocide in the Light of the UN Convention of 1948
https://khpg.org//en[...]
2021-11-20
[13]
서적
Everyday Stalinism: Ordinary Life in Extraordinary Times: Soviet Russia in the 1930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The First Five Year Plan, 1928-1932
https://uwaterloo.ca[...]
2022-10-03
[15]
서적
Joseph Stalin : dictator of the Soviet Union
https://www.worldcat[...]
2016
[16]
논문
Economic Statistics in the U.S.S.R.
https://www.jstor.or[...]
1947
[17]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he Holodomor
http://www.holodomor[...]
Holodomor Education
2015-12-26
[18]
서적
"The Touch of Civilization": Comparing American and Russian Internal Colonization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19]
논문
Born into the NEP Years: The First Five-Year Plan. Life and Fate
2022-12
[20]
논문
Ethnic Issues in the Famine of 1932–1933 in Ukraine
2009-05
[21]
뉴스
Welsh journalist who exposed a Soviet tragedy
http://www.walesonli[...]
2021-11-28
[22]
뉴스
1930s journalist Gareth Jones to have story retold: Correspondent who exposed Soviet Ukraine's manmade famine to be focus of new documentary
https://www.theguard[...]
2021-11-28
[23]
서적
"Голод 1932–1933 годов в контексте мировых голодных бедствий и голодных лет в истории России – СССР"
Росспэн
2008
[24]
서적
The Industrialisation of Soviet Russia Volume 5: The Years of Hunger
Palgrave Macmillan
2010
[25]
간행물
'The Hungry Steppe: Famine, Violence, and the Making of Soviet Kazakhstan' by Sarah Cameron
https://asianreviewo[...]
2021-11-17
[26]
논문
Natural Disaster and Human Actions in the Soviet Famine of 1931–1933
https://www.research[...]
2021-11-14
[27]
서적
The Whisperers: Private Life in Stalin's Russia
Metropolitan Books
2007
[28]
웹사이트
Internal Workings of the Soviet Union – Revelations from the Russian Archive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8-11-19
[29]
논문
The Political Economy of Famine: The Ukrainian Famine of 1933
2021-03
[30]
논문
The Political-Economic Causes of the Soviet Great Famine, 1932–33
https://repec.cepr.o[...]
2021-11-26
[31]
논문
A Demographic Framework for the 1932–1934 Famine in the Soviet Union
2020-10
[32]
웹사이트
New Insights
https://gis.huri.har[...]
Ukrainian Research Institute at Harvard University
2022-01-22
[33]
논문
The Environmental Economy of the Soviet Famine in Ukraine in 1933: A Critique of Several Papers by Natalya Naumenko
https://econjwatch.o[...]
2023-10-16
[34]
서적
Holod 1932–1933 pp. v Ukrayini yak henotsyd: movoyu dokumentiv, ochyma svidkiv
https://shron2.chtyv[...]
2008
[35]
논문
Response to Professor Tauger's Comments
2023-09
[36]
논문
Counter-Reply to Naumenko on the Soviet Famine in Ukraine in 1933
2024-03
[37]
웹사이트
The Soviet Famine of 1931–33: Politically Motivated or Ecological Disaster?
http://www.internati[...]
UCLA International Institute
2003-05-05
[38]
서적
The Years of Hunger: Soviet Agriculture 1931–1933
Palgrave Macmillan
[39]
서적
The years of hunger: Soviet agriculture, 1931–1933
Palgrave Macmillan
[40]
뉴스
Analysis: Debating the undebatable? Ukraine Famine of 1932–1933
http://www.ukrweekly[...]
2002-07-14
[41]
간행물
Stalin, Grain Stocks and the Famine of 1932-1933
https://www.jstor.or[...]
1995-Autumn
[42]
서적
The Years of Hunger: Soviet Agriculture 1931–1933
Palgrave Macmillan
[43]
간행물
Natural Disaster and Human Actions in the Soviet Famine of 1931–1933
https://www.research[...]
2001-01
[44]
간행물
The Political Economy of Famine: The Ukrainian Famine of 1933
2021-03
[45]
서적
The Years of Hunger: Soviet Agriculture 1931–1933
Palgrave Macmillan
[46]
뉴스
The great famine debate goes on...
http://www.expressne[...]
University of Alberta
2005-11-30
[47]
뉴스
Holodomor 1932–1933 rr. yak henotsyd: prohalyny u dokazovii bazi
https://day.kyiv.ua/[...]
2007-02-17
[48]
간행물
The Future Did Not Work
https://www.theatlan[...]
2000-03-01
[49]
서적
The Industrialisation of Soviet Russia Volume 5: The Years of Hunger: Soviet Agriculture 1931–1933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50]
웹사이트
Review of Anne Applebaum's 'Red Famine: Stalin's War on Ukraine'
https://historynewsn[...]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18-07-01
[51]
간행물
The Complexity of the Kazakh Famine: Food Problems and Faulty Perceptions
2020-08
[52]
인터뷰
Terrible Talent: Studying Stalin
https://www.the-amer[...]
2017-11-08
[53]
서적
Red Flag Unfurled: History, Historians, and the Russian Revolution
Verso
[54]
간행물
Stalin and the Soviet famine of 1932–1933 Revisited
http://www.paulbogda[...]
Routledge
2007-06
[55]
서적
What is Genocid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56]
간행물
The Soviet Famine of 1932–1933 Reconsidered
Routledge
2008-06
[57]
간행물
Soviet Repression Statistics: Some Comments
http://sovietinfo.tr[...]
Routledge
2002-11
[58]
웹사이트
Review of Anne Applebaum's 'Red Famine: Stalin's War on Ukraine'
https://historynewsn[...]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18-07-01
[59]
간행물
The 1932 Harvest and the Famine of 1933
[60]
서적
'The Touch of Civilization': Comparing American and Russian Internal Colonization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61]
웹사이트
The Kazakh Famine: The Beginnings of Sedentarization
https://www.sciences[...]
Paris Institute of Political Studies
2013-09-28
[62]
간행물
Environment, Empire, and the Great Famine in Stalin's Kazakhstan
2020-08
[63]
서적
The Collectivization of Agriculture in Communist Eastern Europe:Comparison and Entanglements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4
[64]
간행물
Raphaël Lemkin, Genocide, Colonialism, Famine, and Ukraine
https://www.erudit.o[...]
2021-05-12
[65]
간행물
Internal Colonialism, Alien Rule, and Famine in Ireland and Ukraine
https://www.erudit.o[...]
2021-05-12
[66]
간행물
Stalin's Faminogenic Policies in Ukraine: The Imperial Discourse
https://www.erudit.o[...]
2021-05-12
[67]
간행물
Empire-Building, Imperial Policies, and Famine in Occupied Territories and Colonies
https://www.erudit.o[...]
2021-05-12
[68]
서적
The Touch of Civilization: Comparing American and Russian Internal Colonization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2017
[69]
서적
The Touch of Civilization: Comparing American and Russian Internal Colonization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2017
[70]
문서
Л. Д. Троцкий «Материалы о революции. Преданная революция. Что такое СССР и куда он идет»
[71]
문서
И. В. Сталин «К вопросу о ликвидации кулачества как класса»
[72]
서적
Stalin, a biography
[73]
서적
The Harvest of Sorrow: Soviet Collectivization and the Terror-Famine
Oxford University Press
[74]
서적
The Black Book of Communism: Crimes, Terror, Repression
Harvard University Press
[75]
서적
The Unknown Gulag. The Lost World of Stalin's Special Sett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76]
서적
The Harvest of Sorrow: Soviet Collectivization and the Terror-famin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2-19
[77]
간행물
"On measures against malicious slaughter of livestock"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SR, Institute of History
1930-01-16
[78]
서적
The Years of Hunger: Soviet Agriculture 1931–1933
Palgrave Macmillan
[79]
논문
Ukraine and Kazakhstan: Comparing the Famine
2018-07-23
[80]
논문
Sacrificing the Qazaqs: The Stalinist Hierarchy of Consumption and the Great Famine of 1931–33 in Kazakhstan
https://brill.com/vi[...]
2023-10-17
[81]
웹사이트
Role of Lemkin
https://education.ho[...]
Holodomor Research and Education Consortium
2021-12-19
[82]
서적
Peasant Rebels Under Stali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2-19
[83]
논문
Peasant Rebels Under Stalin
Chicago University Press
1990-12
[84]
간행물
Soviet Religious Policy in the Ukraine in Historical Perspective
[85]
간행물
Soviet Religious Policy in the Ukraine in Historical Perspective
[86]
간행물
Soviet Religious Policy in the Ukraine in Historical Perspective
[87]
논문
Ukraine and Kazakhstan: Comparing the Famine
2018-07-23
[88]
웹사이트
Коллекция документов ГАРФ, РГАЭ, РГАСПИ, ЦА ФСБ России по теме "ГОЛОД В СССР. 1930 - 1934 ГГ." Архивы России. Архивные справочники
http://portal.rusarc[...]
2023-01-26
[89]
서적
Red Famine: Stalin's War on Ukraine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21-12-19
[90]
서적
The Years of Hunger: Soviet Agriculture 1931–1933
Palgrave Macmillan
[91]
문서
SSSR v tsifrakh TSUNKHU Gosplana SSSR
TSUNKHU of the State Planning Committee of the USSR
[92]
문서
SSSR v tsifrakh TSUNKHU Gosplana SSSR
TSUNKHU of the State Planning Committee of the USSR
[93]
서적
Investigation of the Ukrainian Famine, 1932-1933: First Interim Report of Meetings and Hearings of and Before the Commission on the Ukraine Famine, Held in 1986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94]
뉴스
"Закон о пяти колосках"
https://www.terrahum[...]
2011
[95]
논문
Towards a Decentred History: The Study of the Holodomor and Ukrainian Historiography
University of Alberta
2015-01
[96]
웹사이트
Blacklisted Localities (Gallery)
https://gis.huri.har[...]
2022-10-23
[97]
웹사이트
"Chorni doshky" Holodomoru – ekonomichnyi metod znyshchennia hromadian URSR (SPYSOK)
http://www.istpravda[...]
2021-01-25
[98]
논문
Towards a Decentred History: The Study of the Holodomor and Ukrainian Historiography
https://www.ewjus.co[...]
2015-01-23
[99]
문서
Environment, Empire, and the Great Famine in Stalin's Kazakhstan
[100]
웹사이트
Blacklisted Localities (Gallery)
https://gis.huri.har[...]
2022-10-23
[101]
웹사이트
Population Losses (Gallery)
https://gis.huri.har[...]
2022-10-23
[102]
서적
The Affirmative Action Empire: Nations and Nationalism in the Soviet Union, 1923–1939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1-12-02
[103]
논문
The 1932 Harvest and the Famine of 1933
http://www.as.wvu.ed[...]
1991
[104]
서적
The Black Book of Communism: Crimes, Terror, Repress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1-12-02
[105]
서적
The Years of Hunger: Soviet Agriculture 1931–1933
Palgrave Macmillan
[106]
서적
The Years of Hunger: Soviet Agriculture 1931–1933
Palgrave Macmillan
[107]
간행물
Complicating the N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Famine: Reexamining the Case of Kuban
https://www.jstor.or[...]
2023-10-24
[108]
뉴스
Russia: Cossacks Punished
https://content.time[...]
Time
2023-10-22
[109]
웹사이트
What was Stanytsia Poltavska punished for?
https://holodomormus[...]
[110]
서적
The Years of Hunger: Soviet Agriculture 1931–1933
Palgrave Macmillan
[111]
웹사이트
The Hungry Steppe: Famine, Violence, and the Making of Soviet Kazakhstan by Cameron Sarah (review)
https://www.research[...]
2023-10-16
[112]
웹사이트
Seven million died in the 'forgotten' holocaust
http://www.ukemonde.[...]
2021-11-26
[113]
뉴스
Vyyavlennym vo vremya golodomora lyudoyedam khodivshiye po selam meditsinskiye rabotniki davali otravlennyye 'primanki' – kusok myasa ili khleba
http://fakty.ua/3280[...]
2021-11-26
[114]
간행물
Holodomor Archives and Sources: The State of the Art
http://www.harrimani[...]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1-11-26
[115]
웹사이트
http://www.mid.ru/ns[...]
[116]
웹사이트
Що писала тогочасна преса в Європі про Голодомор
https://www.ukrinfor[...]
2023-11-25
[117]
웹사이트
Голод 1932–1933 років на Україні: очима істориків, мовою документів
https://www.archives[...]
2016-12-21
[118]
서적
The Years of Hunger: Soviet Agriculture 1931–1933
Palgrave Macmillan
[119]
서적
The Years of Hunger: Soviet Agriculture 1931–1933
Palgrave Macmillan
[120]
웹사이트
"ТЕЛЕГРАМА ЦК ВКП(б) ЦЕНТРАЛЬНОМУ КОМІТЕТУ КП(б)У З ОГОЛОШЕННЯМ ПОСТАНОВИ ЦК ВКП(б) ВІД 1 СІЧНЯ 1933 р. ПРО ДОБРОВІЛЬНУ ЗДАЧУ ДЕРЖАВІ КОЛГОСПАМИ, КОЛГОСПНИКАМИ ТА ОДНООСІБНИКАМИ РАНІШЕ ПРИХОВАНОГО ХЛІБА ТА ВЖИТТЯ СУВОРИХ ЗАХОДІВ ЩОДО ТИХ, ХТО ПРОДОВЖУВАТИМЕ УКРИВАТИ ВІД ОБЛІКУ ХЛІБ"
[121]
뉴스
"Why did Stalin exterminate the Ukrainians?"
Den (newspaper)
2005-11-29
[122]
웹사이트
Главная
http://www.mid.ru/ns[...]
2016-12-21
[123]
웹사이트
Днепроспецсталь
http://www.dss-ua.co[...]
2024-05-25
[124]
웹사이트
1932 год. Запущен первый агрегат Днепрогэса
https://www.so-ups.r[...]
[125]
서적
I Photograph Russia
http://archive.org/d[...]
1934
[126]
간행물
Stalin and the Soviet famine of 1932–1933 Revisited
http://www.paulbogda[...]
Routledge
2007-06
[127]
간행물
Towards a Decentred History: The Study of the Holodomor and Ukrainian Historiography
[128]
서적
The Ukrainian Intelligentsia and Genocide: The Struggle for History, Language, and Culture in the 1920s and 1930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129]
서적
I Photograph Russia
http://archive.org/d[...]
1934
[130]
서적
I Photograph Russia
http://archive.org/d[...]
1934
[131]
서적
I Photograph Russia
http://archive.org/d[...]
1934
[132]
문서
Seeing like a soviet state: settlement of nomadic Kazakhs, 1928–1934
[133]
서적
Ukrainian Communism and Soviet Russian Policy Toward the Ukraine; an Annotated Bibliography, 1917-1953
https://books.google[...]
Research Program on the U. S. S. R.
1971
[134]
서적
The Harvest of Sorrow: Soviet Collectivization and the Terror-famin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135]
서적
The Harvest of Sorrow: Soviet Collectivization and the Terror-famin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136]
서적
The Harvest of Sorrow: Soviet Collectivization and the Terror-famin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137]
서적
The Harvest of Sorrow: Soviet Collectivization and the Terror-famin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138]
서적
Assignment in Utopia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139]
간행물
Russians Hungry, But Not Starving; Deaths From Diseases Due to Malnutrition High, Yet the Soviet Is Entrenched
https://www.nytimes.[...]
1933-03-31
[140]
서적
Stalin's Apologis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141]
뉴스
Welsh journalist hailed one of greatest 'eyewitnesses of truth' for exposing '30s Soviet famine
http://www.walesonli[...]
2013-06-20
[142]
서적
Manifesto for the Earth: Action Now for Peace, Global Justice and a Sustainable Future
https://books.google[...]
Clairview Books
[143]
웹사이트
Analysis Framework
http://www.un.org/ar[...]
United Nations
2021-11-14
[144]
웹사이트
Ukraine – World War I and the struggle for independence
https://www.britanni[...]
[145]
서적
Red Famine: Stalin's War on Ukraine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21-12-19
[146]
간행물
Famine in the USSR
https://archive.org/[...]
Russian Commercial Institute
2016-04-18
[147]
웹사이트
The U.S.S.R. from the death of Lenin to the death of Stalin – The Party versus the peasants
https://www.britanni[...]
[148]
간행물
The Collectivization Famine in Kazakhstan, 1931–1933
2001
[149]
웹사이트
The Kazakh Famine of 1930–33 and the Politics of History in the Post-Soviet Space
http://www.wilsoncen[...]
Wilson Center
2015-07-09
[150]
문서
Татимов М. Б. Социальная обусловленность демографических процессов. Алма-Ата, 1989. С.124
[151]
웹사이트
Famine of 1932
https://www.britanni[...]
2019-02-04
[152]
문서
"Алма-Ата. Дружбы народов надежный оплот"
http://world.lib.ru/[...]
[153]
웹사이트
http://lb.ua/news/20[...]
LB.ua
2012-07-21
[154]
웹사이트
Yulia Tymoshenko: our duty is to protect the memory of the Holodomor victims
http://www.tymoshenk[...]
Tymoshenko's official website
2012-07-21
[155]
뉴스
Harper accused of exaggerating Ukrainian genocide death toll
http://news.kievukra[...]
2012-07-21
[156]
서적
Demographic Trends and Patterns in the Soviet Union Before 1991
Routledge
[157]
서적
Heroes and Villains: Creating National History in Contemporary Ukraine
[158]
문서
After the Holodomor: The Enduring Impact of the Great Famine on Ukraine
[159]
웹사이트
Ukraine – The famine of 1932–33
http://www.britannic[...]
2008-06-26
[160]
웹사이트
The Party versus the peasants
https://www.britanni[...]
2021-11-15
[161]
서적
The Harvest of Sorrow: Soviet Collectivization and the Terror-Famin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62]
간행물
The Role of Leadership Perceptions and of Intent in the Soviet Famine of 1931–1934
http://www.paulbogda[...]
2008-07-04
[163]
서적
Stalin's Genocides (Human Right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4]
문서
Soviet famine of 1930s
[165]
웹사이트
Collectivization
http://soviethistory[...]
Michigan State University
2018-03-26
[166]
문서
世界各国史22 ロシア史
[167]
서적
Bloodlands
[168]
문서
ポーランド・ウクライナ・バルト史
[169]
문서
「日本人の目から見たホロドモール」 Kobe Gakuin University Working Paper Series No.28 2020年.
http://www.eb.kobega[...]
[170]
서적
悲しみの収穫
恵雅堂出版
[171]
문서
世界各国史22 ロシア史
[172]
문서
世界各国史22 ロシア史
[173]
서적
悲しみの収穫
恵雅堂出版
[174]
문서
Stalinism: Essays in Historical Interpretation
W. W. Norton & Company
[175]
간행물
Famine in the USSR
https://archive.org/[...]
1933
[176]
서적
Modernization from the Other Shore
https://books.google[...]
2009-06
[177]
저널
Famine on the South Siberia
http://www.philosoph[...]
[178]
저널
Demographic aftermath of the famine in Kazakhstan
http://demoscope.ru/[...]
2003-01-01
[179]
웹인용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he Holodomor
http://www.holodomor[...]
2015-12-26
[180]
서적
'"The Touch of Civilization": Comparing American and Russian Internal Colonization'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181]
저널
The Collectivization Famine in Kazakhstan, 1931–1933
2001
[182]
웹인용
The Kazakh Famine of 1930–33 and the Politics of History in the Post-Soviet Space
http://www.wilsoncen[...]
Wilson Center
2012-03-26
[183]
문서
Татимов М. Б. Социальная обусловленность демографических процессов. Алма-Ата,1989. С.124
[184]
웹인용
Famine of 1932 {{!}} Soviet history
https://www.britanni[...]
2019-02-04
[185]
웹인용
Nalyvaichenko called the number of victims of Holodomor in Ukraine
http://lb.ua/news/20[...]
LB.ua
2010-01-14
[186]
웹인용
Yulia Tymoshenko: our duty is to protect the memory of the Holodomor victims
http://www.tymoshenk[...]
Tymoshenko's official website
2010-11-27
[187]
문서
David R. Marples. ''Heroes and Villains: Creating National History in Contemporary Ukraine''. p.50
[188]
저널
Ethnic Issues in the Famine of 1932–1933 in Ukraine
https://archive.org/[...]
2009-05
[189]
문서
Запомнил и долю казахов в пределах своей республики - 28%. А за тридцать лет до того они составляли у себя дома уверенное большинство
http://world.lib.ru/[...]
[190]
저널
The Collectivization Famine in Kazakhstan, 1931–1933
2001-01-01
[191]
웹인용
Welsh journalist who exposed a Soviet tragedy
http://www.walesonli[...]
2009-11-13
[192]
뉴스
1930s journalist Gareth Jones to have story retold: Correspondent who exposed Soviet Ukraine's manmade famine to be focus of new documentary
https://www.theguard[...]
2009-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