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캅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캅카스는 대캅카스 산맥 북쪽과 흑해, 카스피해 사이의 지역을 가리키며, 고대부터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해 온 곳이다. 17세기 이후 러시아 제국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캅카스 전쟁 등 저항이 있었고, 많은 북캅카스인들이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다. 20세기에는 북카프카스 산악 공화국이 독립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소비에트 연방에 편입되었다. 소련 붕괴 이후 체첸 등 일부 지역에서 독립을 요구하며 무력 충돌이 발생했고, 현재도 테러, 납치 등의 위험으로 인해 여행 경고가 내려지고 있다. 북캅카스는 다양한 민족 구성과 복잡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정치적 불안정성을 안고 있는 지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캅카스 - 남캅카스
남캅카스는 코카서스 산맥 남쪽에 위치하며 아르메니아, 조지아, 아제르바이잔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자원이 풍부하며 정치적 긴장이 높은 곳이다. - 캅카스 - 캅카스 알바니아
캅카스 알바니아는 고대에 현재의 아제르바이잔과 다게스탄 일부 지역에 존재했던 왕국으로, 로마, 파르티아, 사산 제국의 영향을 받았으며 기독교를 받아들인 후 아르메니아 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으나, 현대 아제르바이잔에서 역사 수정주의적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 북캅카스 - 다게스탄 공화국
다게스탄 공화국은 북캅카스 산맥 남쪽과 카스피해 연안에 위치한 러시아 연방의 공화국으로, 30개 이상의 민족이 공존하는 다민족 국가이며 이슬람교가 주요 종교이고 풍부한 천연자원에도 불구하고 부정부패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복잡한 역사를 거쳐 현재까지 독특한 정체성을 유지하고 세계적인 종합격투기 선수들을 배출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 북캅카스 - 인구셰티야 공화국
인구셰티야 공화국은 러시아 연방의 구성주로 카프카스 산맥에 위치하며 북오세티야 공화국, 체첸 공화국, 조지아와 국경을 접하고, 인구시인이 대다수이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러시아 연방에 경제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마르슈트카가 주요 교통수단인 온대성 기후 지역이다. - 러시아의 지리 - 시베리아
우랄 산맥 동쪽에 위치한 시베리아는 러시아 영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유목 민족의 터전이었으나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어 자원 개발이 이루어졌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의 일부로서 경제 성장과 함께 환경 문제, 민족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는 지역이다. - 러시아의 지리 - 북아시아
북아시아는 러시아의 우랄 산맥 동쪽 지역으로, 서쪽은 유럽, 북쪽은 북극해, 동쪽은 베링 해, 남쪽은 동아시아 및 중앙아시아와 접하며, 서시베리아 평원, 중앙 시베리아 고원, 동시베리아 산지 등 지형을 이루고, 냉대 기후이며, 약 3천 3백만 명이 거주하고, 러시아어가 공용어로 사용된다.
북캅카스 | |
---|---|
지도 | |
명칭 | |
한국어 | 북캅카스 |
러시아어 | 세베르니 카프카스 |
아바르어 | хьундасеб Кавказ |
아디게어 | Темыр Къафкъас |
체첸어 | Къилбаседа Кавказ |
카라차이-발카르어 | Шимал Кавказ |
인구시어 | Даькъасте |
카바르디어 | Ишхъэрэ Къаукъаз |
오세트어 | Цæгат Кавказ |
로마자 표기 | Sеbеrnyj Kavkaz |
기타 명칭 | 프레드카프카지예 시스카카서스 포어코카서스 |
일반 정보 | |
위치 | 동유럽 |
좌표 | 43°21′18″N 42°26′31″E |
소속 국가 | 러시아 |
구성 연방 주체 | 아디게야 공화국 체첸 공화국 다게스탄 공화국 인구셰티야 공화국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칼미키야 공화국(일부)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크라스노다르 지방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 로스토프주(일부) 스타브로폴 지방 |
주민 | 북캅카스인 |
시간대 | UTC+03:00 |
최고봉 | 엘브루스 산(5,642m) |
기타 정보 | |
추가 정보 | 북캅카스는 그레이터 캅카스 산맥 북쪽에 위치하여 유럽으로 간주된다. 남오세티야 및 압하지야와 국경을 공유한다. 이 두 지역은 국제적으로 조지아의 일부로 인정받는다. |
2. 역사
북캅카스는 코카서스어족, 인도유럽어족, 투르크어족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여러 민족 집단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정치적 불안정이 나타나기도 한다.
2008년판 ''세계 간략 아틀라스(Concise Atlas of the World, Second Edition)''에 따르면, 북캅카스(시스캅카수스) 지역은 유럽과 아시아를 구분하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구분"의 유럽 쪽에 위치한다.
소비에트 연방 북캅카스 크라이의 외곽 경계는 현재의 북캅카스 경제 지역(라이온)과 동일하며, 로스토프 주, 크라스노다르 크라이, 스타브로폴 크라이와 7개의 공화국이 이 지역에 포함된다. 이전의 북캅카스 군관구(오크루그)에는 아스트라한 주, 볼고그라드 주, 칼미키아 공화국이 포함되었다. 행정 중심지는 1934년 1월 10일까지 로스토프나도누, 1936년 1월까지는 피아티고르스크, 그 후 오르조니키제(현재 블라디카프카스), 1936년 12월 15일부터는 보로실로프스크(현재 스타브로폴)였다.
이 지역에서 활동하는 준군사 조직으로는 캅카스 산악 민족 연합이 있다. 이 조직은 반조지아 성향을 띠며, 1992년-1993년 아브하즈 전쟁에 참여했고, 깃발과 정치적 어젠다를 북카프카스 산악 공화국의 것과 직접적으로 연계했다.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북캅카스의 고대 문화는 클린야르 문화로 알려져 있으며, 코반 문화가 가장 주목할 만하다.[5]
시스캅카수스는 역사적으로 비옥한 석회질 체르노젬 토양 위주로 폰토-카스피아 초원으로 덮여 있었으며, 거의 완전히 경작되고 방목되어 왔다. 서쪽으로는 아조프 해, 동쪽으로는 카스피 해와 접해 있다.
2. 2. 러시아 제국 시대
17세기 이후 코사크를 선두로 러시아 제국이 남하하기 시작했다. 19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영향력이 배제되고 북캅카스는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지만, 러시아화에 저항하는 여러 민족과의 전쟁(캅카스 전쟁)은 러시아 제국을 크게 괴롭혔다. 체르케스인 등 북캅카스 민족 중에는 러시아의 지배를 피해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한 사람들도 많았으며, 현재도 옛 오스만 제국 영토인 시리아나 요르단 등에는 북캅카스계 민족의 후손들이 많이 거주한다.[5] 1850년대부터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약 100만 명의 북캅카스 무슬림(체르케스인, 체첸인, 인구시인, 오세트인 등)이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했다. 오스만 정부는 북캅카스 난민들을 오늘날 터키,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이스라엘, 이라크, 조지아, 불가리아, 루마니아, 세르비아, 코소보, 그리스, 키프로스, 북마케도니아의 영토에 정착시켜 광대한 북캅카스 디아스포라를 형성했다.2. 3. 소비에트 연방 시대
1917년 3월, 북카프카스 산악 공화국은 2월 혁명으로 인한 러시아의 불안정한 상황을 이용하여 분리 독립을 선언했다. 산악 공화국은 러시아 내전에 소규모로 참전하여 백군 장군 안톤 덴킨의 자원군과 치열하게 충돌했으나, 자원군이 적군에게 패배하면서 상황이 종료되었다. 이후 이 지역은 비공식적으로 소비에트 연방에 점령되었고, 공화국은 1921년 1월 비폭력적인 합병을 받아들여 산악 ASSR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1924년 10월, 산악 ASSR은 해체되어 여러 자치구와 주로 대체되었다.[5]2. 4. 현대 (소련 붕괴 이후)
소련 붕괴 이후, 남카프카스에서는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가 독립했지만, 북카프카스의 여러 자치 공화국(체첸, 인구시 등)은 러시아로부터 독립을 인정받지 못했다.[6][7][8]북카프카스 지역에서는 러시아와 카프카스 에미레이트 및 2015년 6월부터 이슬람 국가와 연계된 무장 세력 간의 저강도 무력 충돌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불안과 반란이 발생했다. 반란이 가장 심했을 때는 폭력이 주로 체첸, 다게스탄, 인구셰티야, 카바르디노-발카리아에 집중되었고, 북오세티야-알라니야, 카라차이-체르케시아, 스타브로폴 지방, 볼고그라드주와 같은 주변 지역에서도 산발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반란은 비교적 잠잠해졌다.
2017년 12월 19일, FSB 청장 알렉산드르 보르트니코프는 북카프카스의 반군 지하조직을 최종적으로 제거했다고 발표하며 반란의 공식적인 종식을 선언했지만, 북카프카스 지역의 테러 대응 작전은 계속되고 있다.[9][10]
2022년 6월, 미국 국무부는 테러, 납치, 내란 위험을 이유로 체첸과 엘브루스 산을 포함한 북카프카스 지역 여행 자제를 권고했다.[11]
이 지역에서 활동하는 다른 준군사 조직으로는 카프카스 산악 민족 연합이 있다. 이 조직은 반조지아 성향을 띠며, 1992년-1993년 아브하즈 전쟁에 참여했고, 깃발과 정치적 어젠다를 산악 공화국의 것과 직접적으로 연계했다.
3. 지리
지리적으로 북캅카스는 대캅카스 산맥의 북쪽 사면과 서쪽 끝 부분(러시아-조지아 국경의 쿠반 강 서쪽, 산맥 남쪽도 포함)을 가리킨다. 캅카스 산맥 북쪽에 펼쳐진 광대한 스텝 지대도 북캅카스에 포함되지만, 그 북쪽 경계는 일반적으로 쿠마-마느치 저지(쿠마 강, 마느치 강에 의해 형성된 저지대)로 여겨지며, 이보다 북쪽의 스텝은 동유럽 평원에 포함된다. 서쪽 끝은 아조프 해와 흑해를 잇는 케르치 해협이며, 동쪽은 카스피해에서 끝난다.[17]
4. 행정 구역
북캅카스는 대부분 러시아 연방 영토이며, 행정적으로는 북캅카스 연방관구(2010년 남부 연방관구에서 분리)와 북캅카스 경제지구로 구성된다. 북캅카스에 있는 연방 구성체는 크라스노다르 지방, 스타브로폴 지방과 같은 지방과, 서쪽에서 동쪽 순서대로 아디게 공화국,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카바르디노-발카리아 공화국, 북오세티야-알라니아 공화국, 잉구셰티야 공화국, 체첸 공화국, 다게스탄 공화국 등의 공화국으로 구성된다.[17]
5. 민족
북캅카스 지역에는 코카서스어족, 인도유럽어족, 투르크어족 등 다양한 언어와 종교를 가진 여러 민족 집단이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이것이 정치적 불안정으로 이어지기도 한다.[1] 17세기 이후 코사크를 선두로 러시아 제국이 남하하기 시작했다.[1] 19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영향력이 배제되고 북캅카스는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지만, 러시아화에 저항하는 여러 민족과의 전쟁(캅카스 전쟁)은 러시아 제국을 크게 괴롭혔다.[1] 체르케스인 등 북캅카스 민족 중에는 러시아의 지배를 피해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한 사람들도 많았으며, 현재도 옛 오스만 제국 영토인 시리아나 요르단 등에는 북캅카스계 민족의 후손들이 많이 거주한다.[1]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 남캅카스에서는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각 공화국이 독립했지만, 북캅카스에 있던 여러 자치 공화국(체첸, 잉구시 등)은 러시아로부터의 독립을 인정받지 못했다.[1]
북캅카스의 주요 민족은 다음과 같다.
6. 인구
러시아에서 북캅카스, 특히 산악 지대의 생명 기대 수명이 가장 높다.[12][13] 이 지역은 많은 백세인으로 유명하다.[14][15][16]
7. 불안정 (Unrest)
소련 붕괴 이후 북캅카스 지역에서는 러시아와 카프카스 에미레이트 및 이슬람 국가와 연계된 무장 세력 간의 저강도 무력 충돌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불안과 반란이 발생했다.[6][7][8]
반란은 체첸, 다게스탄, 인구셰티야, 카바르디노-발카리아 등 북캅카스 공화국에 집중되었으며, 북오세티야-알라니야, 카라차이-체르케시아, 스타브로폴 지방, 볼고그라드주와 같은 주변 지역에서도 산발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카프카스 산악 민족 연합과 같은 준군사 조직도 이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 조직은 반조지아 성향을 띄고 있으며, 1992년-1993년 아브하즈 전쟁에 참여했다.
참조
[1]
서적
Transcaucasia
https://books.google[...]
Dublin university magazine
1854
[1]
서적
Journey in the Caucasus
https://books.google[...]
Proceedings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Volumes 13–14
1869
[2]
백과사전
Europe
https://www.britanni[...]
2024-06-06
[3]
웹사이트
El'brus
https://education.na[...]
National Geographic
2024-06-06
[4]
서적
The Siberian Curse: How Communist Planners Left Russia Out in the Cold
Brookings Institution Press
[5]
학술지
Koban culture genome-wide and archeological data open the bridge between Bronze and Iron Ages in the North Caucasus
https://www.nature.c[...]
2024-01-04
[6]
뉴스
Six Russian soldiers killed in Chechnya
https://www.bbc.co.u[...]
2017-03-24
[7]
웹사이트
Russia's North Caucasus Insurgency Widens as ISIS' Foothold Grows
https://www.worldpol[...]
2016-04-12
[8]
뉴스
Why suspicion over St Petersburg metro attack is likely to fall on Islamist groups
https://www.theguard[...]
2017-04-04
[9]
웹사이트
Россия выиграла еще одну важнейшую битву
https://vz.ru/politi[...]
2017-12-19
[10]
법률
О ветеранах
[11]
웹사이트
Russia Travel Advisory
https://travel.state[...]
[12]
웹사이트
Демографический ежегодник Росс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of Russia (Rosstat)
[13]
웹사이트
Ожидаемая продолжительность жизни при рождении
https://www.fedstat.[...]
[14]
뉴스
Russia: Mountain Air Leads To Long Life In North Caucasus
https://www.rferl.or[...]
2007-06-01
[15]
웹사이트
Why the Caucasus Has So Many 100-Year-Olds
https://theculturetr[...]
2018-02-13
[16]
비디오
The Caucasus. The Oldest People In The World (Episode 3). Full Documentary
https://www.youtube.[...]
YouTube
2021-01-29
[17]
웹사이트
http://www.rferl.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