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7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7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은 1947년 인도-파키스탄 분할 이후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의 귀속 문제를 둘러싸고 인도와 파키스탄 사이에 발발한 전쟁이다. 영국령 인도 제국 해체 과정에서 힌두교도 번왕과 이슬람교도 주민 간의 갈등으로 귀속 문제가 결정되지 못했고, 파키스탄의 부족 민병대 침공과 인도의 군사 개입으로 전쟁이 시작되었다. 국제 연합의 중재로 정전 협정이 체결되었지만, 카슈미르는 인도와 파키스탄으로 분할되었고, 이후에도 여러 차례 분쟁이 발생했다. 이 전쟁으로 카슈미르의 약 60%는 인도가, 나머지는 파키스탄이 실효 지배하게 되었으며, 이는 현재까지도 이어지는 카슈미르 분쟁의 시발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인도 - 폴로 작전
폴로 작전은 1948년 9월 인도 자치령이 하이데라바드 주의 독립 유지를 우려하여 군사적으로 합병한 작전으로, 전투 후 대규모 종교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 - 1949년 인도 - 런던 선언
- 1947년 파키스탄 - 파키스탄 운동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영국령 인도에서 무슬림 국가 파키스탄 건국을 목표로 전개된 정치 운동인 파키스탄 운동은 사예드 아흐마드 칸의 사상적 영향과 전인도 무슬림 연맹 결성을 통해 구체화되었고, 무함마드 알리 진나의 지도 아래 1947년 인도 분할과 함께 파키스탄 독립으로 결실을 맺었다.
1947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쟁 원인 | 파슈툰족 부족민과 파키스탄의 타놀리가 잠무 카슈미르를 침공하여 시작 |
기간 | 1947년 10월 - 1949년 1월 1일 (1년 10주) |
장소 | 잠무 카슈미르 |
결과 | 통제선 설정 잠무 카슈미르의 1/3을 파키스탄이 통제. 나머지 지역은 인도가 통제.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인도}} [[File:Flag of Jammu and Kashmir (1936-1953).svg|23px]] 잠무 카슈미르 국가군 |
교전국 2 | 파키스탄 (보급 지원만) 파키스탄 준군사 조직 Gilgit Scouts Kurram Militia 프런티어 스카우트 파슈툰족 부족 민병대 아자드 카슈미르 비정규군 인도 국민군 참전 용사 무슬림 연맹 국가 방위대 [[File:Flag of Swat.svg|23px]] 스와트 군대 [[File:Liwa-e-Ahmadiyya 1-2.svg|23px]] 푸르칸 부대 |
지휘관 | |
인도 측 지휘관 | 루이 마운트배튼}} 자와할랄 네루 로브 록하트 로이 부처 K. M. 카리아파 [[File:Flag of Jammu and Kashmir (1936-1953).svg|23px]] 하리 싱 [[File:Flag of Jammu and Kashmir (1936-1953).svg|23px]] 메르 찬드 마하잔 [[File:Flag of Jammu and Kashmir (1936-1953).svg|23px]] 셰이크 압둘라 |
파키스탄 측 지휘관 | 무함마드 알리 진나}} 리아쿠아트 알리 칸 프랭크 메저비 더글러스 그레이시 콜. 아크바르 칸 쿠르시드 안와르 자만 키아니 윌리엄 브라운 |
전력 | |
인도 측 전력 | (정보 없음) |
파키스탄 측 전력 | (정보 없음) |
사상자 및 피해 | |
인도 측 사상자 | 육군 사망자 1,103명 잠무 & 카슈미르군 사망 또는 실종 추정 1,990명 인도 공군 사망 32명 부상자 3,154명 총 군인 사상자: 6,279명 |
파키스탄 측 사상자 | 사망자 6,000명 부상자 약 14,000명 총 군인 사상자: 20,000명 |
관련 전쟁 |
2. 배경
19세기 초, 현재 "잠무 카슈미르"로 알려진 지역은 아프가니스탄의 아미르(왕)가 통치하는 영토에서 분리된 22개의 작은 독립 국가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은 라지푸트 왕이 통치했으며, 무굴 제국 또는 캉그라 주의 지배를 받다가 란지트 싱 휘하의 시크 제국에 복속되었다.[26]
제1차 영국-시크 전쟁 (1845–46) 이후, 시크 제국은 동인도 회사에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도그라 왕조의 굴라브 싱이 카슈미르를 인수하고 잠무 카슈미르의 초대 마하라자가 되었다. 이 왕국은 1947년 인도가 독립할 때까지 영국령 인도 제국에서 두 번째로 큰 번왕국이었다.
2. 1. 영국령 인도 제국의 해체와 번왕국의 귀속 문제
1945년 9월 2일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영국령 인도 제국은 해체 수순을 밟았다. 1947년 8월 15일, 영국령 인도는 힌두교 중심의 인도 자치령과 이슬람교 중심의 파키스탄 자치령으로 분리 독립했다. 대부분의 번왕국들은 종교 분포에 따라 인도나 파키스탄에 귀속되었으나,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은 번왕이 힌두교도이고 주민의 다수가 이슬람교도라는 특수한 상황 때문에 귀속 문제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었다.[26]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의 번왕 하리 싱은 독립을 원했지만, 주민들 사이에서는 파키스탄 귀속을 요구하는 폭동이 일어났다. 결국 1947년 10월 21일, 이슬람 민병대가 파키스탄으로부터 진입하면서 상황이 급변했고, 번왕은 인도에 군사적 지원을 요청하게 되었다.
2. 2.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의 상황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의 번왕 하리 싱은 힌두교도였지만, 주민의 80%가 이슬람교도였다. 1947년 인도-파키스탄 분할 당시, 하리 싱은 인도와 파키스탄 중 어느 곳으로 귀속할지 결정하지 못하고 독립을 원했으나, 주민들 사이에서는 파키스탄 귀속을 요구하는 폭동이 발생했다.[27]
1945년 9월 2일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영국령 인도 제국은 1947년8월 15일 인도 자치령과 파키스탄 자치령으로 분할될 예정이었다. 대부분의 번왕국은 인도 또는 파키스탄에 귀속되었으나,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을 포함한 몇몇 번왕국은 귀속 문제를 결정하지 못했다.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은 다양한 민족 및 종교 공동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카슈미르 계곡과 무자파라바드 구는 무슬림 다수(90% 이상) 지역이었다. 자무 지역은 동부(우담푸르, 자무, 레아시)에 힌두교도와 무슬림이 거의 같은 비율로 분포했고, 서부(미르푸르, 역사적 푼치 구)에는 무슬림이 다수였다. 동부 산악 지역인 라다크에는 불교도가, 발티스탄에는 무슬림이 다수였다. 북부 길기트 에이전시는 압도적인 무슬림 지역으로, 영국이 직접 통치하다가 권력 이양 직전 마하라자에게 반환되었다.
셰이크 압둘라의 잠무 & 카슈미르 국민 회의는 인도 국민 회의와 동맹을 맺고 인도 가입을 지지하는 세속주의 정치 운동이었다. 반면, 자무 지역 무슬림들은 전 인도 무슬림 연맹과 동맹을 맺고 파키스탄 가입을 지지하는 전 잠무 & 카슈미르 무슬림 회의를 지지했다. 자무 지역 힌두교도들은 인도와의 완전한 합병을 지지했다.[27] 이러한 상황에서 독립을 유지하려는 하리 싱의 결정은 신중한 선택이었다.
3. 전쟁 발발
1945년 9월 2일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되면서 영국령 인도 제국은 해체될 예정이었지만, 1947년 8월 15일 정식 독립에 앞서 종교 대립으로 인해 힌두교 중심의 인도와 이슬람교 중심의 파키스탄으로 분할 독립하게 되었다. 영국령 인도는 직할령 및 번왕국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대부분의 번왕국은 인도 또는 파키스탄에 귀속되어 큰 문제는 없었다. 그러나 몇몇 번왕국에서 문제가 발생했는데, 양 세력 사이에 있던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도 그중 하나였다.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은 번왕 하리 싱이 힌두교도였지만, 주민의 80%가 이슬람교도였다. 하리 싱은 독립을 원했지만, 주민들 사이에서는 파키스탄 귀속을 요구하는 폭동이 일어났다. 1947년 10월 21일, 파키스탄의 지원을 받은 이슬람교도 민병대가 카슈미르로 진입하기 시작했다.[28] 이에 하리 싱은 인도에 군사 지원을 요청했고, 1947년 10월 27일 인도 자치령으로의 귀속을 결정했다. 인도군이 스리나가르에 배치되면서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3. 1. 파키스탄의 개입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은 번왕이 힌두교도였지만 주민의 80%가 이슬람교도여서 인도와 파키스탄 중 어느 쪽에 귀속될지 결정하지 못하고 있었다. 카슈미르의 번왕 하리 싱은 독립을 원했지만, 주민들 사이에서는 파키스탄 귀속을 요구하는 폭동이 일어났다. 10월 21일, 이슬람 민병대가 파키스탄에서 진입하기 시작했고, 번왕은 이에 대항하기 위해 인도에 무력 개입을 요청하여 전쟁이 발발하게 되었다.[28]파키스탄은 부족 민병대에게 무기와 물자를 지원했으며, 곧 파키스탄 정규군도 투입되어 카슈미르 서부를 중심으로 전투가 벌어졌다.[29] 인도 군 소식통에 따르면, 파키스탄군은 '오퍼레이션 굴마르그(Operation Gulmarg)'라는 계획을 세워 8월 20일부터 실행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1,000명의 파슈툰족 부족민으로 구성된 20개의 부족 민병대가 여러 파슈툰 부족에서 모집되어 9월 첫째 주까지 반누, 와나, 페샤와르, 코하트, 탈, 노셰라에 있는 여단 본부에서 무장될 예정이었다. 이들은 10월 18일 아보타바드의 발진 지점에 도착하여 10월 22일에 잠무-카슈미르로 넘어갈 예정이었다. 10개의 부족 민병대는 무자파라바드를 통해 카슈미르 계곡을 공격하고, 다른 10개는 푼치, 빔버 및 라왈라코트에서 반군에 합류하여 잠무로 진격할 계획이었다.[28]
파키스탄 측은 오퍼레이션 굴마르그 계획의 존재를 부인하지만, 파키스탄의 슈자 나와즈는 10월 22일 카슈미르 침공에 연루된 22개의 파슈툰 부족을 목록에 올렸다.[29]
4. 전개 과정
1945년 9월 2일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영국령 인도 제국은 해체될 예정이었다. 1947년 8월 15일 정식 독립에 앞서 종교 대립으로 힌두교 중심의 인도와 이슬람교 중심의 파키스탄으로 분할 독립하게 되었다. 영국령 인도는 직할령 및 번왕국으로 구성되었으며, 대부분 번왕국은 인도 또는 파키스탄에 귀속되었으나, 일부 번왕국에서 문제가 발생했고, 잠무-카슈미르 번왕국도 그중 하나였다.
잠무-카슈미르 번왕국은 번왕 하리 싱이 힌두교도였지만, 주민의 80%가 이슬람교도였다. 하리 싱은 독립을 원했으나, 주민들은 파키스탄 귀속을 요구하며 폭동을 일으켰다.
인도 군 소식통에 따르면, 파키스탄군은 '오퍼레이션 굴마르그(Operation Gulmarg)'라는 계획을 세워 8월 20일부터 실행했다.[28] 이 계획에 따르면, 1,000명씩의 파슈툰 부족민으로 구성된 20개 ''라슈카르''(부족 민병대)가 9월 첫째 주까지 반누, 와나, 페샤와르, 코하트, 탈, 노셰라의 여단 본부에서 무장될 예정이었다. 10월 18일 아보타바드에서 출발하여 10월 22일에 잠무-카슈미르로 진입할 계획이었다. 10개 ''라슈카르''는 무자파라바드를 거쳐 카슈미르 계곡을 공격하고, 다른 10개는 푼치, 빔버, 라왈라코트에서 반군과 합류하여 잠무로 진격할 예정이었다.[28]
10월 21일, 이슬람교도 민병대가 파키스탄에서 진입하자, 하리 싱은 인도에 무력 개입을 요청했다. 10월 27일, 스리나가르에 인도군 병력이 배치되면서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이 시작되었다.
10월 22일, 파슈툰 부족이 무자파라바드를 공격했다. 무자파라바드와 도멜 주변 국경 지역 주둔 주(州)군은 부족군에 빠르게 패배했고(무슬림 주군은 반란 가담), 수도로 가는 길이 열렸다. 부족민으로 위장한 파키스탄 육군 군인들이 침략자들 중에 있었고, 파키스탄 육군으로부터 물류 지원도 받았다. 침략군은 스리나가르로 진격하기보다 점령한 국경 지역 도시에서 주민들을 상대로 약탈 등을 저질렀다.[51] 푼치 강 계곡에서 주군은 포위된 마을로 후퇴했다.[52]
파키스탄 부족들은 잠무 카슈미르에서 많은 힌두교도와 시크교도 민간인들을 참수했다.[53] 인도 편입 후, 인도는 데완 란지트 라이 중령 지휘하에 병력과 장비를 스리나가르로 공수, 번왕국 군대를 강화하고 방어선을 구축, 도시 외곽에서 부족 군대를 격퇴했다. 초기 방어 작전에는 수도와 비행장을 하룻밤 동안 지켜낸 바드감 전투의 주목할 만한 방어가 포함되었다.
길기트에서는 길기트 스카우트라는 주(state) 준군사 조직이 침략 부족 군대에 합류, 주의 북부 지역을 장악했다. 치트랄 병력도 부족 군대에 합류했는데, 통치자 무자파르 울-물크는 파키스탄에 편입되었다.[55][56][57]
곧 파키스탄 정규군도 투입되어 카슈미르 서부를 중심으로 전투가 벌어졌다.
4. 1. 주요 전투
다음은 1947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의 주요 전투들이다.- 샬라텡 전투: 인도군이 장갑차[54]를 동원하여 부족 민병대를 격퇴하고 스리나가르를 방어한 결정적인 전투였다. 이 승리로 인도군은 바라물라와 우리를 탈환할 수 있었다.
- 조지 라 고개 전투 (작전 바이슨): 인도군은 제2차 세계 대전때 사용된 M5 스튜어트 경전차를 분해하여 수송한 후, 조지 라 고개에서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 이 공격으로 고개를 점령하고, 드라스와 카르길을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 푼치 포위전: 인도군은 1년 넘게 포위된 푼치를 구원하기 위해 노력했다. 여러 차례의 시도 끝에 마침내 포위망을 뚫고 푼치를 구원하는 데 성공했다.
- 무자파라바드 함락: 1947년 10월 22일, 파슈툰 부족이 무자파라바드를 공격하여 점령했다.[37][38]
- 미르푸르 함락: 1947년 11월 25일, 파키스탄의 PAVO 기병대가 부족군과 협력하여 미르푸르를 점령했다.[58]
- 우리 및 바라물라 탈환: 샬라텡 전투에서 승리한 인도군이 바라물라와 우리를 탈환했다.
- 징가르 및 라자우리 탈환: 인도군이 반격을 통해 징가르와 라자우리 지역을 탈환했다.
- 케란과 구라이스 점령: 인도군이 카슈미르 계곡 북쪽으로 진격하여 케란과 구라이스를 점령했다.( 작전 Eraze)[61]
- 스카르두 함락: 1948년 8월 14일, 셰르 정 타파 대령이 지휘하는 인도군이 1년간의 포위 공격 끝에 스카르두를 파키스탄 육군[67] 및 습격자들에게 넘겨주었다.
4. 2. 국제 연합의 개입
국제 연합은 1948년 1월 20일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39를 통해 정전을 요구했지만, 전쟁은 계속되었다.[43] 1948년 12월 31일에 유엔의 중재로 정전이 성립되었다.[43]5. 전쟁의 결과
1948년 12월 31일,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을 둘러싸고 벌어진 1947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은 국제 연합의 중재로 정전이 이루어지면서 카슈미르 지역이 인도와 파키스탄으로 분할되는 결과를 낳았다.[43][44][45]
국제 연합은 1948년 1월 20일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39를 통해 정전을 요구했으나, 전쟁은 계속되었다. 결국 1948년 12월 31일 정전 협정이 체결되면서 인도는 카슈미르 계곡, 잠무, 라다크를 포함한 번왕국 영토의 약 3분의 2를 실효 지배하게 되었고,[72][73][74][75] 파키스탄은 아자드 카슈미르와 길기트-발티스탄 지역을 차지했다.
1949년 7월, 인도와 파키스탄은 카라치 협정을 체결하여 휴전선을 설정하고, 결의안 91 (1951)에 따라 인도와 파키스탄의 유엔 군사 감시단(UNMOGIP)이 휴전 위반을 감시하게 되었다.[76][77]
이 전쟁으로 인도는 1,104명이 사망하고 3,154명이 부상당했으며,[15] 파키스탄은 약 6,000명이 사망하고 14,000명이 부상당했다.[18]
이후 1965년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이 발발했으나, 1972년 심라 협정을 통해 휴전선이 통제선으로 변경되고 무력 사용이 금지되었다. 1984년, 인도는 군사 작전을 통해 시아첸을 획득했다.[82]
5. 1. 군사적 평가
1947년 10월 초, 푼치 지역에서 무장 봉기가 시작되었다.[37][38] 이 봉기는 주 육군에서 탈영한 부대, 휴가 중인 파키스탄 육군 현역 군인, 퇴역 군인, 그리고 자발적으로 참여한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10월 3일부터 4일 사이에 토라르(라왈라코트 근처)에서 첫 번째 충돌이 발생했다.[39] 반군은 빠르게 푼치 지역 대부분을 장악했고, 푼치 시에 주둔한 주 병력은 포위되었다.[40][41]미르푸르 지역의 코틀리 구에서는 10월 8일경 살리그람과 오웬 파탄의 국경 초소가 반군에게 점령되었다. 세한사와 스로치도 함락되었다. 주 병력 기록에 따르면, 증원군으로 파견된 무슬림 장교들이 반군 편에 가담하여 동료들을 살해했다. 파키스탄 육군은 교전 부대 간의 무선 통신을 담당했다.[42]
10월 22일, 무자파라바드 지역에서 파슈툰 부족의 공격이 시작되었다. 이들 중에는 부족민으로 위장한 파키스탄 육군 군인들이 많았고, 파키스탄 육군으로부터 물류 지원도 받았다.[51] 길기트에서는 길기트 스카우트라는 준군사 조직이 침략하는 부족 군대에 합류하여 주의 북부 지역을 장악했다. 부족 군대에는 치트랄 병력도 합류했는데, 치트랄의 통치자 무자파르 울-물크는 파키스탄에 가담했다.[55][56][57]
파키스탄 부족들은 잠무 카슈미르에서 많은 힌두교도와 시크교도 민간인들을 참수했다.[53] 1947년 11월 25일, 미르푸르는 파키스탄 PAVO 기병대의 도움을 받은 부족군에게 점령되었다.[58] 이로 인해 1947년 미르푸르 학살이 발생했고, 힌두교 여성들이 부족군에게 납치되어 파키스탄으로 끌려가 라왈핀디의 사창가에서 팔렸다. 약 400명의 여성들이 납치를 피하기 위해 미르푸르의 우물에 뛰어들어 자살했다.[59]
5. 1. 1. 인도
인도는 인도 편입 이후, 데완 란지트 라이 중령의 지휘 아래 병력과 장비를 스리나가르로 공수하여 번왕국 군대를 강화하고 방어선을 구축했으며, 도시 외곽에서 부족 군대를 격퇴했다.[42] 초기 방어 작전에는 극심한 불리함 속에서 수도와 비행장을 하룻밤 동안 지켜낸 바드감 전투의 주목할 만한 방어가 포함되었다. 이 성공적인 방어에는 인도 장갑차[54]가 샬라텡 전투에서 펼친 측면 기동이 포함되었다. 패배한 부족 군대는 바라물라와 우리까지 추격되었고, 이 도시들도 탈환되었다.푼치 계곡에서는 부족 군대가 주(state) 군대를 계속 포위했다.
인도군은 카슈미르 계곡 지역에서 계속 공격을 가하며 북쪽으로 진격하여 케란과 구라이스를 점령했다(작전 Eraze).[61] 또한 티트왈을 향한 반격을 격퇴했다. 잠무 지역에서는, 푼치에 포위된 병력이 탈출하여 일시적으로 외부와 다시 연결되었다.
이 기간 동안 전선은 안정되기 시작했다. 푼치 포위전은 계속되었다. 조지 라 고개를 점령하기 위해 77 공수 여단 (아탈 준장)이 실패한 공격을 감행했다. 이 공격의 이전 별칭인 작전 덕은 카리아파에 의해 작전 바이슨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7 기병대의 M5 스튜어트 경전차는 분해된 상태로 스리나가르를 통과하여 다리를 건너 옮겨졌고, 마드라스 공병대의 두 야전 중대가 조지 라를 가로지르는 당나귀 길을 지프 트랙으로 개조했다. 11월 1일, 2개 연대의 25 파운더 곡사포와 1개 연대의 QF 3.7인치 산악 곡사포의 지원을 받은 기갑 부대가 여단을 기습 공격하여 고개를 점령하고 부족 및 파키스탄군을 마타얀과 이후 드라스로 밀어냈다. 여단은 11월 24일 카르길에서 레에서 진격해 온 인도군과 합류했고, 그들의 상대는 결국 스카르두 방향으로 북쪽으로 철수했다.[64]
5. 1. 2. 파키스탄
파키스탄 육군은 초기에는 부족 민병대를 지원하며 간접적으로 개입했다. 1947년 10월 초 푼치 지역에서 무장 봉기가 시작되었는데,[37][38] 교전 세력은 "주 육군에서 탈영한 부대, 휴가를 나온 파키스탄 육군 현역 군인, 퇴역 군인, 그리고 자발적으로 일어난 기타 지원병들"로 구성되었다. 최초의 충돌은 1947년 10월 3~4일 토라르(라왈라코트 근처)에서 발생했다.[39] 반군은 곧 푼치 지역 전체를 거의 장악했고, 푼치 시에 주둔한 주 병력은 심한 포위 공격을 받았다.[40][41]10월 8일경, 미르푸르 지역의 코틀리 구에서 젤룸 강에 있는 살리그람과 오웬 파탄의 국경 초소가 반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세한사와 스로치는 약간의 교전 후 함락되었다. 주 병력 기록에 따르면 증원군과 함께 파견된 무슬림 장교들이 반군 편에 서서 동료 주 병력을 살해했다. 교전 부대 간의 무선 통신은 파키스탄 육군에 의해 운영되었다.[42]
10월 22일, 무자파라바드 지역에서 파슈툰 부족의 공격이 시작되었다. 이들 중에는 부족민으로 위장한 많은 현역 파키스탄 육군 군인들이 있었고, 파키스탄 육군으로부터 물류 지원을 받았다.[51] 길기트에서는 길기트 스카우트라고 불리는 준군사 조직이 침략하는 부족 군대에 합류하여 주의 북부 지역을 장악했다. 부족 군대에는 치트랄에서 온 병력도 합류했는데, 그 통치자인 무자파르 울-물크 치트랄의 메흐타르는 파키스탄에 편입되었다.[55][56][57]
이후 파키스탄은 정규군을 투입하여 전쟁을 확대했다. 하지만, 정규전에서는 인도군에 밀리는 양상을 보였다. 1947년 11월 25일, 미르푸르는 파키스탄의 PAVO 기병대의 도움으로 부족군에게 점령되었다.[58]
5. 2. 정전 협정과 분단
1948년 8월 13일 인도-파키스탄 유엔 위원회 결의안에 명시된 휴전 조건은 1949년 1월 5일에 위원회에서 채택되었다.[68] 이 결의안은 파키스탄이 정규군과 비정규군을 철수시키는 동시에 인도가 법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주 내에 최소한의 병력을 유지하는 것을 허용했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영토의 미래를 결정하기 위한 주민 투표가 실시될 예정이었다. 비무장화 단계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주민 투표는 한 번도 실시되지 않았고, 사실상 휴전선은 영구적인 선이 되었다. 일부 출처에서는 1월 5일을 휴전 시작일로 언급하기도 한다.[69]인도와 파키스탄은 1949년 7월 카라치 협정을 체결하고 감시관의 감독을 받는 휴전선을 설정했다. UNCIP가 종료된 후, 안전 보장 이사회는 결의안 91 (1951)을 통과시키고 휴전 위반을 감시하고 보고하기 위해 ''인도와 파키스탄의 유엔 군사 감시단''(UNMOGIP)을 설립했다.[76][77]
1965년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에서 두 차례의 전쟁 이후, 현지 상황에는 사소한 변화만 있었다. 마지막 전쟁 이후, 두 나라는 1972년 심라 협정에 도달하여 휴전선을 통제선으로 바꾸고 이를 넘어 무력 사용을 부인했다. 1984년, 인도는 단기 군사 작전을 시작한 후 시아첸을 획득했다.[82]
6. 전후 상황
1947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결과, 카슈미르의 60%는 인도가, 나머지는 파키스탄이 지배하게 되었다. 인도는 1,104명 사망, 3,154명 부상, 파키스탄은 약 6,000명 사망, 14,000명 부상이라는 인명 피해를 입었다.[15][18] 인도는 카슈미르 계곡, 잠무 구획, 라다크를 포함한 지역을, 파키스탄은 아자드 잠무 카슈미르와 길기트발티스탄을 차지했다.[72][73][74][75] 이 전쟁은 어느 한쪽의 승리 없이 교착 상태로 끝났다는 평가가 일반적이지만,[70] 인도가 분쟁 지역 대부분을 확보하여 승리했다는 평가도 있다.[71]
유엔 인도-파키스탄 군사 감시단(UNMOGIP)이 정전 감시를 위해 파견되었으나, 1965년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이 발발하면서 항구적인 평화는 오지 않았다. 파키스탄에서는 1951년 아크바르 칸 장군 주도로 쿠데타 미수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는 정부가 UN 중재와 휴전을 받아들인 것에 대한 불만에서 비롯되었다.[78][79][80][81] 1984년, 인도는 단기 군사 작전을 통해 시아첸을 획득했다.[82]
6. 1. 국제 사회의 노력
국제 연합은 1948년 1월 20일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39를 통해 정전을 요구했지만, 전쟁은 계속되었고 1948년 12월 31일에 정전이 이루어졌다.[43]1948년 8월 13일 인도-파키스탄 유엔 위원회 결의안에 명시된 휴전 조건은 1949년 1월 5일에 위원회에서 채택되었다.[68] 이 결의안은 파키스탄이 정규군과 비정규군을 철수시키는 동시에 인도가 법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주 내에 최소한의 병력을 유지하는 것을 허용했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영토의 미래를 결정하기 위한 주민 투표가 실시될 예정이었다. 비무장화 단계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주민 투표는 실시되지 않았고, 사실상 휴전선은 영구적인 선이 되었다. 일부 출처에서는 1월 5일을 휴전 시작일로 언급하기도 한다.[69]
인도와 파키스탄은 1949년 7월 카라치 협정을 체결하고 감시관의 감독을 받는 휴전선을 설정했다. UNCIP가 종료된 후, 안전 보장 이사회는 결의안 91 (1951)을 통과시키고 휴전 위반을 감시하고 보고하기 위해 ''인도와 파키스탄의 유엔 군사 감시단''(UNMOGIP)을 설립했다.[76][77]
1965년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이후, 현지 상황에는 사소한 변화만 있었다. 1971년 전쟁 이후, 두 나라는 1972년 심라 협정에 도달하여 휴전선을 통제선으로 바꾸고 이를 넘어 무력 사용을 부인했다.
6. 2.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한민국은 인도-파키스탄 분쟁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양국 간의 평화적인 해결을 지지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한반도 문제와 카슈미르 문제의 유사성에 주목하며, 분단과 갈등의 해결을 위한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7. 주요 인물
주요 인물 | |
---|---|
인도 | 파키스탄 |
7. 1. 인도

잠무 카슈미르의 마하라자 하리 싱은 총리 람 찬드라 카크와 함께 어느 자치령에도 가입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 이유는 주 내의 무슬림 다수 인구가 인도에 가입하는 것을 불편하게 느낄 것이고, 주가 파키스탄에 가입할 경우 힌두교와 시크교 소수 민족이 취약해질 것이라는 점이었다.[27]
마하라자는 서부 지역의 반란과 파키스탄의 봉쇄로 인해 점점 더 궁지에 몰렸다. 그는 메르 찬드 마하잔 판사를 설득하여 총리직을 수락하도록 했지만 (절차상의 이유로 한 달 뒤에야 도착했다). 그는 마하잔을 통해 인도 지도자들에게 자신이 인도에 귀속될 의향이 있지만 정치 개혁을 시행할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전했다. 그러나 인도는 마하라자가 국민의 지지를 받지 않는 한 귀속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입장이었다. 인도 총리 자와할랄 네루는 셰이크 압둘라를 감옥에서 석방하고 주 정부에 참여시켜야 한다고 요구했다. 귀속은 그 이후에 고려될 수 있었다. 추가 협상 끝에 셰이크 압둘라는 1947년 9월 29일에 석방되었다.[36]
네루는 번왕국에 대한 많은 분쟁을 예상하고 다음과 같은 정책을 수립했다.
이 정책은 10월 1일 합동 방위 위원회 회의에서 리아카트 알리 칸에게 전달되었다. 칸의 눈은 그 제안에 "반짝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36]
인도 편입 이후, 인도는 데완 란지트 라이 중령의 지휘하에 병력과 장비를 스리나가르로 공수하여 번왕국 군대를 강화하고 방어선을 구축했으며, 도시 외곽에서 부족 군대를 격퇴했다. 초기 방어 작전에는 극심한 불리함 속에서 수도와 비행장을 하룻밤 동안 지켜낸 바드감 전투의 주목할 만한 방어가 포함되었다. 이 성공적인 방어에는 인도 장갑차[54]가 샬라텡 전투에서 펼친 측면 기동이 포함되었다. 패배한 부족 군대는 바라물라와 우리까지 추격되었고, 이 도시들도 탈환되었다.
푼치 계곡에서는 부족 군대가 주(state) 군대를 계속 포위했다.
길기트에서, 길기트 스카우트라고 불리는 주(state) 준군사 조직이 침략하는 부족 군대에 합류하여 이로써 주의 북부 지역을 장악했다. 부족 군대에는 치트랄에서 온 병력도 합류했는데, 그 통치자인 무자파르 울-물크 치트랄의 메흐타르는 파키스탄에 편입되었다.[55][56][57]
인도군은 이제 모든 전선에서 우위를 점하기 시작했다. 푼치는 1년 넘게 포위된 끝에 마침내 구원받았다. 이전에 상당한 진전을 보였던 고 히말라야 산맥의 길기트군은 마침내 패배했다. 인도군은 보급 문제로 인해 중단할 수밖에 없기 전까지 카르길까지 진격했다. 조지 라 고개는 (그 고도에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탱크를 사용하여 돌파되었고, 드라스가 탈환되었다.
용감한 행위에 대해, 많은 수의 군인과 장교들이 각자의 국가에서 최고 무공 훈장을 받았습니다. 다음은 인도 훈장인 파람 비르 차크라와 파키스탄 훈장인 니샨-에-하이더의 수상자 목록이다.
;인도
- 소름 나트 샤르마(사후 추서)
- 람스 나이크(Lance Naik) 카람 싱
- 2등 중위 라마 라가바 라네
- 나이크 자두 나트 싱 (사후 추서)
- 중대 하빌다르 메이저 피루 싱 셰카와트 (사후 추서)
7. 2. 파키스탄
- '''무함마드 알리 진나''': 파키스탄의 초대 총독으로, 카슈미르의 파키스탄 귀속을 주장하며 전쟁을 지원했다.
- '''리아콰트 알리 칸''': 파키스탄 초대 총리로, 카슈미르 문제 해결을 위해 인도와 협상을 시도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 '''아크바르 칸''': 파키스탄 육군 장교로, 카슈미르 침공 작전인 '굴마르그 작전'을 입안하고 부족 민병대를 지휘했다.
인도 군 소식통에 따르면 파키스탄군은 굴마르그 작전(Operation Gulmarg)이라는 계획을 준비하여 파키스탄 독립 며칠 후인 8월 20일부터 실행했다.[28] 이 계획에 따르면, 각각 1,000명의 파슈툰 부족민으로 구성된 20개의 ''라슈카르''(부족 민병대)가 다양한 파슈툰 부족에서 모집되어 9월 첫째 주까지 반누, 와나, 페샤와르, 코하트, 탈, 노셰라에 있는 여단 본부에서 무장될 예정이었다. 그들은 10월 18일 아보타바드의 발진 지점에 도착하여 10월 22일에 잠무-카슈미르로 넘어갈 것으로 예상되었다. 10개의 ''라슈카르''는 무자파라바드를 통해 카슈미르 계곡을 공격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다른 10개의 ''라슈카르''는 푼치, 빔버 및 라왈라코트에서 반군에 합류하여 잠무로 진격할 것으로 예상되었다.[28]
연대 기록에 따르면, 8월 마지막 주까지 제11 프린스 알버트 빅터 기병대 (국경 부대)(PAVO 기병대) 연대가 침공 계획에 대한 브리핑을 받았다. 셰르 칸 대령(군사 정보 국장)은 아크바르 칸 대령과 칸자다 대령과 함께 브리핑을 담당했다. 기병대 연대는 '자유 투사'들을 위한 무기와 탄약을 조달하고 세 개의 반군 부대를 설립하는 임무를 맡았다.[29] 10월 1일까지 기병대 연대는 반군 부대를 무장시키는 임무를 완료했다. "전쟁 기간 동안 소화기, 탄약 또는 폭발물이 부족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29]
학자들은 9월~10월 동안 파슈툰족의 상당한 이동이 있었다고 언급했다. 9월 13일까지 무장한 파슈툰족이 라호르와 라왈핀디로 흘러 들어갔다. 카슈미르 공격 준비는 스와트, 디르, 치트랄 번왕국에서도 언급되었다. 학자 로빈 제임스 무어는 파슈툰족이 인더스강에서 라비강까지 펀자브 국경을 따라 국경 습격에 연루되었다는 데 "의심의 여지가 거의 없다"고 말한다.

리아콰트 알리 칸은 펀자브 정치인 미안 이프티카루딘을 카슈미르에서 반란을 조직할 가능성을 탐색하도록 보냈다. 한편, 파키스탄은 휘발유, 설탕, 소금과 같은 필수 물품 공급을 중단했다. 또한 목재 및 기타 제품의 무역을 중단하고 잠무로 가는 기차 운행도 중단했다.

한편, 사르다르 이브라힘은 수십 명의 반군과 함께 서펀자브로 도주하여 무리에 기지를 세웠다. 거기서 반군은 반란을 위한 무기와 탄약을 확보하고 카슈미르로 밀수하려 했다. 파키스탄 육군의 몇 안 되는 고위 장교 중 한 명인 아크바르 칸(Akbar Khan) 대령[35]은 카슈미르에 큰 관심을 갖고 무리에 도착하여 이러한 노력에 얽히게 되었다. 그는 육군 창고에서 4,000정의 소총을 반란군에게 돌려주었다. 그는 또한 "카슈미르 내부의 무장 반란"이라는 제목의 초안 계획을 작성하여 미안 이프티카루딘에게 파키스탄 총리에게 전달하도록 했다.
9월 12일, 총리는 미안 이프티카루딘, 아크바르 칸 대령, 그리고 또 다른 펀자브 정치인 사르다르 쇼카트 하야트 칸과 회의를 열었다. 하야트 칸은 무슬림 연맹 국민 경비대와 국경 지역의 무장 파슈툰 부족을 포함하는 별도의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총리는 두 계획 모두를 승인하고 무슬림 연맹 국민 경비대의 책임자인 쿠르시드 안와르(Khurshid Anwar)를 파견하여 국경 부족을 동원하도록 했다.
1948년 8월 13일 인도-파키스탄 유엔 위원회 결의안에 명시된 휴전 조건은 1949년 1월 5일에 위원회에서 채택되었다.[68] 이 결의안은 파키스탄이 정규군과 비정규군을 철수시키는 동시에 인도가 법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주 내에 최소한의 병력을 유지하는 것을 허용했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영토의 미래를 결정하기 위한 주민 투표가 실시될 예정이었다. 비무장화 단계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주민 투표는 한 번도 실시되지 않았고, 사실상 휴전선은 영구적인 선이 되었다. 일부 출처에서는 1월 5일을 휴전 시작일로 언급하기도 한다.[69]
파키스탄 측 사상자는 사망 약 6,000명, 부상 14,000명이었다.[18]
파키스탄의 전쟁 패배에 대한 불만으로 인해 1951년 아크바르 칸 장군이 이끄는 쿠데타 미수가 발생하여 리아콰트 알리 칸 총리 정부에 대항했다. 육군 장교들은 정부가 UN 중재와 휴전을 받아들인 것이 약하다고 생각했고 카슈미르 전체를 점령할 기회를 낭비했다고 생각했다.[78][79][80][81]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Conflicts since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
웹사이트
BBC on the 1947–48 war
http://news.bbc.co.u[...]
[3]
서적
An incredible war: Indian Air Force in Kashmir War 1947–1948
https://searchworks.[...]
KW Publishers in association with Centre for Air Power Studies
2014
[4]
간행물
[5]
간행물
[6]
간행물
[7]
서적
Art of Generalship
https://books.google[...]
Vij Books India Pvt Ltd
2015
[8]
서적
American Interests in South Asia: Building a Grand Strategy in Afghanistan, Pakistan, and India
https://books.google[...]
Aspen Institute
[9]
서적
Incomplete Partition: The Genesis of the Kashmir Dispute, 1947-1948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Islam and the Ahmadiyya Jama'at: History, Belief, Practice
https://books.google[...]
Hurst Publishers
2008
[11]
웹사이트
Furqan Force
https://www.theperse[...]
Persecution.org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서적
Operations in Jammu & Kashmir, 1947–48
https://ia801505.us.[...]
History Division, Ministry of Defence, Government of India
[15]
서적
Kargil from Surprise to Victory
HarperCollins Publishers India
[16]
서적
An incredible war: Indian Air Force in Kashmir war, 1947–48
Centre for Air Power Studies (New Delhi, India)
[17]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Modern Warfare in India: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o Present Tim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5-18
[18]
서적
With Honour & Glory: Wars fought by India 1947–1999
https://books.google[...]
Lancer Publishers
[19]
웹사이트
Indian military hysteria since 1947
https://www.thenews.[...]
2014-10-10
[20]
서적
India's Armed Forces: Fifty Years of War and Peace
https://books.google[...]
Lancer Publishers
[21]
문서
Stories of Heroism, Volume 1
[22]
논문
The First Kashmir War Revisited
2008-05
[23]
웹사이트
Pakistan Covert Operations
https://www.princeto[...]
[24]
서적
Conflict Between India and Pakistan: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8-01-01
[25]
웹사이트
Kashmir
https://www.britanni[...]
[26]
서적
History of the Panjab Hill States
https://books.google[...]
Superint., Gov. Print., Punjab
[27]
논문
The Question of Accession
https://books.google[...]
2010-11
[28]
서적
The Far-flung Frontiers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29]
논문
Pakistan Military Review, Volume 18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8-04-17
[30]
서적
State, Community and Neighbourhood in Princely North India, c. 1900–1950, By I. Copland.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5-04-26
[31]
서적
Kashmir and the Freedom Movement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2004
[32]
서적
Himalayan Frontiers of India: Historical, Geo-Political and Strategic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3]
논문
Response (to the reviews of ''The Origins of a Dispute: Kashmir 1947'')
1998-03
[34]
서적
Understanding Kashmir and Kashmiri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Fighting to the End: The Pakistan Army's Way of Wa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Kashmir in Conflict: India, Pakistan and the Unending War
https://books.google[...]
I.B.Tauris
[37]
간행물
Qaiyum Khan and the War of Kashmir, 1947–48 AD.
http://www.sbbwu.edu[...]
[38]
간행물
Wars without End: The Indo-Pakistani Conflict
Sage Publications
1995-09
[39]
문서
History of the Azad Kashmir Regiment, Volume 1 (1947–1949)
Azad Kashmir Regimental Centre, NLC Printers, Rawalpindi
[40]
서적
Kashmir: Roots of Conflict, Paths to Peace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State, Community and Neighbourhood in Princely North India, c. 1900–1950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42]
서적
India, Pakistan and the Secret Jihad: The covert war in Kashmir, 1947–2004
https://books.google[...]
Routledge
[43]
문서
Incomplete partition: the genesis of the Kashmir dispute 1947–1948
Roxford
[44]
웹사이트
Kashmir-konflikten
http://snl.no/Kashmi[...]
2018-11-13
[45]
웹사이트
Kashmir-konflikten
https://www.nrk.no/u[...]
2002-01-02
[46]
서적
My Life and Times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Limited
2015-11-15
[47]
서적
Auchinleck: A Biography of Field-Marshal Sir Claude Auchinleck
https://books.google[...]
Cassell
[48]
서적
Gilgit Rebelion: The Major Who Mutinied Over Partition of India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2014-11-30
[49]
문서
Back to the future: the Khanate of Kalat and the genesis of Baluch Nationalism 1915–1955
[50]
서적
Frontier facets: Pakistan's North-West Frontier Province
https://books.google[...]
National Book Foundation; Lahore
[51]
웹사이트
I Indo-Pakistani War, 1947–1949
http://www.acig.info[...]
2003-10-29
[52]
문서
Operations in Jammu and Kashmir 1947–1948
Thomson Press (India) Limited, New Delhi
[53]
서적
The Making of Pakistani Human Bomb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5
[54]
웹사이트
Defence of Srinagar 1947
https://www.indiande[...]
[55]
서적
Persistence and transformation in the Eastern Hindu Kush: a study of resource management systems in Mehlp Valley, Chitral, North Pakistan
https://books.google[...]
In Kommission bei Asgard-Verlag
2007-01-01
[56]
서적
Pakistan: The Consolidation of a Na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57]
서적
Understanding Kashmir and Kashmiri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1-01
[58]
서적
Punjab Cavalry: Evolution, Role, Organisation and Tactical Doctrine 11 Cavalry, Frontier Force, 1849–1971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9]
서적
Kashmir: Its Aborigines and their Exodus
Lancer Publishers
[60]
웹사이트
Operations in Jammu and Kashmir 1947–1948
http://www.claws.in/[...]
[61]
서적
History of Operations in Jammu and Kashmir 1947–1948
History Department, Ministry of Defence, Government of India. (printed at Thomson Press (India) Limited)
[62]
서적
In the Line of Duty: A Soldier Remembers
https://books.google[...]
Lancer Publishers & Distributors
2000-01-01
[63]
서적
The battles of Zojila, 1948
https://books.google[...]
Har-Anand Publications
1997-12-31
[64]
서적
Operation Rescue:Military Operations in Jammu & Kashmir 1947–49
https://books.google[...]
Vision Books
[65]
서적
Trishul: Ladakh And Kargil 1947–1993
https://books.google[...]
Lancer Publishers
2003
[66]
서적
In a State of Violent Peace: Voices from the Kashmir Valley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Publishers
2015
[67]
서적
In a State of Violent Peace: Voices from the Kashmir Valley
HarperCollins Publisher
[68]
웹사이트
Resolution adopted by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for India and Pakistan on 13 August 1948.
https://www.mtholyok[...]
2016-04-03
[69]
서적
Embassies in Crisis: Studies of Diplomatic Missions in Testing Situation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70]
서적
Incomplete Partition: The Genesis of the Kashmir Dispute 1947–1948
Roxford Books
[71]
서적
Pakistan's National Security Approach and Post-Cold War Security: Uneasy Co-existenc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12-22
[72]
서적
New Zealand Defence Quarterly, Issues 24–29
https://books.google[...]
New Zealand. Ministry of Defence
[73]
서적
South Asia in World Politic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74]
서적
The Kingfisher History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Kingfisher
[75]
서적
Perspectives on Kashmir: the roots of conflict in South Asia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76]
웹사이트
UNMOGIP Background
https://www.un.org/e[...]
2017-06-29
[77]
간행물
The Oxford Handbook of United Nations Peacekeeping Oper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78]
서적
The Times and Trial of the Rawalpindi Conspiracy 1951: The First Coup Attempt in Pakistan
Oxford University Press
[79]
뉴스
Rawalpindi conspiracy case, part 1
https://www.nation.c[...]
2023-12-19
[80]
서적
Literature and Politics in the Age of Nationalism: The Progressive Episode in South Asia, 1932–56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81]
서적
Making Sense of Pakista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2]
서적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in South Asia: Trapped in Conflic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83]
서적
Battle Honours of the Indian Army 1757 – 1971
https://books.google[...]
Vision Books
[84]
서적
American Interests in South Asia: Building a Grand Strategy in Afghanistan, Pakistan, and India
https://books.google[...]
Aspen Institute
2011-11-03
[85]
문서
Bangash, Three Forgotten Accessions
2010
[86]
인용
Art of Generalship
https://books.google[...]
Vij Books India Pvt Ltd
2015
[87]
서적
Islam and the Ahmadiyya Jama'at: History, Belief, Practice
https://archive.org/[...]
Hurst Publishers
2008-10-27
[88]
웹인용
Furqan Force
https://www.theperse[...]
Persecution.org
2012-03-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