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0년은 대한민국에서 이승만 대통령, 이시영 부통령, 이범석, 신성모, 장면 국무총리 시기에 일어난 주요 사건들을 다루는 연도이다. 1월 12일, 애치슨 라인이 발표되었고, 3월 10일에는 농지개혁법안이 통과되었다. 5월 30일에는 제2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으며,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여 서울이 점령당하고 한강 다리 폭파 사건이 발생했다. 한국 정부는 대구로 임시 수도를 옮겼다가 부산으로 이전했고, 8월 28일에는 1차 화폐개혁이 단행되었다. 9월에는 국군 여군이 창설되었고, 인천 상륙 작전이 개시되었으며, 서울을 탈환하고 38선 이북으로 진격했다. 10월에는 38선을 넘어 북진, AFKN 라디오가 서울에서 첫 전파를 발사했으며, 유엔군의 북진과 UNCURK 설치가 결의되었다. 12월에는 흥남 철수 작전이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대한민국 - 안동 전투
안동 전투는 한국 전쟁 초기 낙동강 방어선에서 국군 제8사단이 북한군 제12사단에 맞서 싸운 전투로, 국군의 철수 후 낙동강 방어선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1950년 대한민국 - 제1차 서울 전투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직후 조선인민군이 서울을 점령하기 위해 감행한 제1차 서울 전투는 국군의 초기 방어 실패와 한강 인도교 폭파로 인민군의 서울 점령으로 종결되었으나, 국군에게 피해를 줌과 동시에 한강 방어선 구축과 미군 개입을 위한 시간을 벌어주었다. - 연도별 대한민국 - 2014년 대한민국
2014년 대한민국은 새정치민주연합 창당, 통합진보당 해산 등의 정치적 사건과 세월호 침몰 사고 등 대형 참사, 한-호주 FTA 체결, 교황 방한, 인천 아시안 게임 개최, 남한산성과 농악의 유네스코 등재 등 사회, 경제, 문화적으로 다양한 사건들이 발생한 해이다. - 연도별 대한민국 - 1951년 대한민국
1951년 대한민국은 한국 전쟁 중 1·4 후퇴와 서울 함락 및 수복, 유엔 개입, 거창 양민 학살 사건 등 격렬한 군사적 사건과 함께 휴전회담 시작, 울산항선 완공 등 여러 외교적 노력이 있었던 해이다.
| 1950년 대한민국 | |
|---|---|
| 기본 정보 | |
| 연도 | 1950년 |
| 지역 | 대한민국 |
| 세기 | 20세기 21세기 |
| 관련 항목 | 1950년의 다른 사건 대한민국의 연도별 목록 한국사 연표 195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정치 및 경제 | |
| 주요 사건 | 6·25 전쟁 |
| 정치 상황 | 1948년 정치권 |
| 경제 지표 | 1950년 경제 지표 |
| 대중 문화 | |
| 영화 | 1950년 한국 영화 |
| 음악 | 1950년 한국 음악 |
2. 재임자
3. 사건
1950년 대한민국에서는 한국 전쟁이 발발하는 등 많은 사건이 있었다.
- 4월은 내용 없음
3. 1. 1월 ~ 3월
3. 2. 5월 ~ 6월
- 5월 30일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 6월 25일 - 한국전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산군이 38선 전역에서 남침을 개시하면서 6·25 전쟁이 발발했다.
- 6월 28일 - 한국전쟁: 서울이 조선인민군에 점령되었다.
- 6월 28일 - 한강 다리 폭파 사건으로 약 500-800명이 사망했다.
3. 3. 7월 ~ 9월
- 7월 20일 - 한국전쟁: 대한민국 정부, 대구에 임시수도를 둠.
- 8월 3일 - 한국전쟁: 다부동 전투 발생.
- 8월 18일 - 한국 전쟁: 대한민국의 임시 수도를 대구에서 부산으로 옮기다.
- 8월 28일 - 한국은행, 1차 화폐개혁(조선은행권 원:한국은행권 원 1:1) 단행.
- 9월 6일 - 국군, 여군 창설.
- 9월 15일 - 한국 전쟁: 06시를 기해 인천 월미도로 인천 상륙 작전을 개시하다.
- 9월 16일 - 한국 전쟁: 대한민국 국군과 유엔군, 낙동강 전선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에 총반격 시작.
- 9월 28일 - 한국 전쟁: 국군과 유엔군, 서울 탈환. 이날 이승만 대통령은 한국군에 38선 이북 진격명령.
3. 4. 10월 ~ 12월
- 10월 1일 - 한국전쟁: 대한민국 국군 3사단 26연대가 강원도 양양군에서 한국전쟁 발발 후 최초로 38선을 넘어 북진했다.
- 10월 4일 - 주한 미군방송(AFKN) 라디오가 서울에서 첫 전파를 발사했다.
- 10월 7일 - 유엔 총회에서 유엔군의 38선 이북 진격과 한국통일부흥위원단(UNCURK) 설치를 결의했다.
- 10월 9일 - 한국전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주요 기관과 단체 등을 평양에서 철수하면서 임시 수도를 강계로 정했다.
- 10월 12일 - 한국 전쟁: 김일성이 평양에서 철수했다.
- 10월 19일 - 한국 전쟁: 대한민국 국군이 평양을 탈환했다.
- 11월 6일 - 한국 전쟁: 더글라스 맥아더가 중국 월경(越境)을 성명했다.
- 11월 26일 -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회(UNCURK) 일행 12명이 서울에 도착했다.
- 12월 4일 - 한국전쟁: 대한민국 국군이 마지막으로 평양에서 철수했다.
- 12월 14일 - 한국전쟁: 흥남 철수작전이 시작되어 24일까지 계속되었다.
4. 탄생
- 1월 1일 - 가수 겸 기업가 허경영.
- 1월 19일 - 가수 겸 뮤지컬배우 이승규(탐 리).
- 1월 25일 - 대학 총장, 교육인 정영선.
- 1월 27일 - 배우 최종원.
- 2월 11일 - 가수 나훈아.
- 2월 16일 - 배우 이효춘.
- 2월 23일 - 성우 이종구.
- 3월 5일 - 배우 이영하.
- 3월 21일 - 가수 조용필.
- 5월 13일 - 성우 엄주환.
- 6월 10일 - 배우 김동현.
- 6월 25일 - 성우 기연호.
- 7월 3일 - 정치인 정동채.
- 7월 16일 - 국회의원 이완구.
- 7월 27일 - 성우 이인성.
- 7월 28일 - 방송인 임성훈.
- 8월 21일 - 화가 석철주.
- 9월 16일 - 성우 손정아.
- 9월 20일 - 가수 이정선.
- 10월 8일 - 성우 홍승옥.
- 10월 13일 - 배우 이소베 츠토무.
- 11월 5일 - 국회의원, 국회의장 정세균.
- 12월 1일 - 작곡가 빅현진.
- 12월 11일 - 성우 나수란.
- 12월 13일 -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감독 송일수.
- 12월 27일 - 전 야구 선수 장명부.
5. 사망
- 6월 11일 - 한국의 소설가 채만식.
- 7월 27일 - 대한민국의 군인(초대 육군참모총장) 채병덕.
- 9월 - 한국의 독립운동가 김병조.
- 9월 29일 - 대한민국의 시인 김영랑.
- 10월 15일 - 한국의 독립운동가 조만식.
- 10월 25일 - 한국의 소설가 이광수.
- 12월 10일 -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김규식.
- 12월 20일 - 대한민국의 기업가 박승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