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일본 시리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0년 일본 시리즈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세이부 라이온스의 대결로, 세이부가 4승 무패로 우승을 차지했다. 10월 20일부터 24일까지 열린 시리즈에서 세이부는 1차전부터 4차전까지 승리하며 2년 만에 9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MVP는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감투상은 오카자키 가오루, 우수 선수상은 와타나베 히사노부, 쓰지 하쓰히코, 이토 쓰토무가 각각 수상했다. 시리즈는 TV와 라디오를 통해 중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0년 야구 - 1990년 월드 시리즈
1990년 월드 시리즈는 신시내티 레즈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를 4승 무패로 꺾고 우승한 대회로, 신시내티 레즈의 탄탄한 불펜과 결정적인 안타를 바탕으로 예상을 깨고 스윕 승리를 거두며 1976년 이후 첫 우승이자 양 팀 모두에게 마지막 월드 시리즈 출전으로 기록되었다. - 1990년 야구 - 1990년 한국시리즈
1990년 한국시리즈는 정규 시즌 1위 LG 트윈스가 삼성 라이온즈를 꺾고 우승했으며, 삼성은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를 거쳐 한국시리즈에 진출했고, LG는 1차전 대승을 시작으로 4승을 거두며 창단 첫 포스트시즌 승리를 기록했다. - 1990년 10월 - 독일의 재통일
독일의 재통일은 냉전 종식과 동독 주민들의 민주화 요구, 서독 정부의 통일 정책에 힘입어 동독이 서독에 흡수 통합되면서 45년 만에 이루어진 사건으로, 경제, 화폐, 정치 제도의 통합과 국제적인 승인을 통해 분단을 극복한 상징적인 사례이지만, 동서독 간 경제적 격차와 사회·문화적 이질감이라는 과제도 남겼다. - 1990년 10월 - 1990년 성전산 폭동
1990년 성전산 폭동은 예루살렘 성전산에서 유대교 단체의 초막절 행사 강행 시도와 이슬람교 측의 반발로 이스라엘 경찰과 팔레스타인인 간에 발생한 충돌로, 이스라엘 경찰의 실탄 사용으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여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았다.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포스트시즌 - 1998년 일본 시리즈
1998년 일본 시리즈는 요코하마 베이스타스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를 4승 2패로 꺾고 38년 만에 우승을 차지했으며 스즈키 다카노리가 MVP를 수상한, 머신건 타선 요코하마와 니시구치 후미야의 세이부 간의 프로 야구 포스트시즌 경기였다.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포스트시즌 - 1985년 일본 시리즈
1985년 일본 시리즈는 한신 타이거스가 세이부 라이온스를 4승 2패로 꺾고 창단 첫 우승을 차지한 경기로, 요시다 요시오 감독의 한신은 랜디 바스, 가케후 마사유키, 오카다 아키노부 등의 타선을, 히로오카 다쓰로 감독의 세이부는 이시게 히로미치, 기요하라 가즈히로, 오토 다케시 등이 활약했으며, 시리즈 MVP는 랜디 바스가 수상했다.
1990년 일본 시리즈 | |
---|---|
기본 정보 | |
국가 | 일본 |
연도 | 1990 |
시리즈 우승팀 | |
우승팀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4회 우승) |
우승팀 리그 | 퍼시픽 리그 |
우승팀 감독 | 모리 마사아키 |
우승팀 시즌 성적 | 81승 45패 4무, 승률 0.643, 2위와 게임차: 12 |
준우승팀 | |
준우승팀 | 요미우리 자이언츠 (0회 우승) |
준우승팀 리그 | 센트럴 리그 |
준우승팀 감독 | 후지타 모토시 |
준우승팀 시즌 성적 | 88승 42패, 승률 0.677, 2위와 게임차: 22 |
경기 정보 | |
경기 날짜 | 10월 20일–24일 |
MVP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SEI) |
감투상 | 오카자키 가오루 (YOM) |
방송 정보 | |
텔레비전 방송 | NTV (1-2차전) TBS (3차전) TV 아사히 (4차전) NHK ETV (4차전) NHK BS-1 (모든 경기) |
라디오 방송 | NHK 라디오 제1방송 TBS (JRN) JOQR (NRN) NBS (NRN) 라디오 닛폰 NACK5 |
2. 감독
1990년 일본 시리즈에 출전한 감독은 센트럴 리그의 요미우리 자이언츠 후지타 모토시와 퍼시픽 리그의 세이부 라이온스 모리 마사아키였다. 요미우리 후지타 감독은 "(스모에 비유하면) 시작하자마자 그대로 밀려 넘어지고, 경기장 밖으로 나갔다"라고 회고할 정도로 세이부에 압도적인 패배를 당했고,[4] 생애 마지막 일본 시리즈 지휘가 되었다. 세이부 모리 감독은 상대의 찬스를 모두 막아내는 견고한 수비를 바탕으로 승리했다는 인식을 보였다.[11] 후지타와 모리 감독은 1959년 일본 시리즈에 요미우리 선수로 출전했으며, 후지타는 선수와 감독으로서 모두 일본 시리즈 4연패를 경험했다.
2. 1. 소속 리그
1990년 일본 시리즈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경기 일정
날짜 경기 원정 구단(선공) 스코어 홈 구단(후공) 개최 구장 10월 20일 1차전 세이부 5 - 0 요미우리 도쿄 돔 10월 21일 2차전 세이부 9 - 5 요미우리 10월 22일 이동일 10월 23일 3차전 요미우리 0 - 7 세이부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 10월 24일 4차전 요미우리 3 - 7 세이부 우승: 세이부 라이온즈 (2년 만에 9번째)
4. 경기 기록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경기 시간 관중수 10월 20일(토) 1차전 세이부 라이온스 5 - 0 요미우리 자이언츠 도쿄 돔 13시 04분 2시간 58분 46,008명 10월 21일(일) 2차전 세이부 라이온스 9 - 5 요미우리 자이언츠 13시 02분 3시간 36분 46,153명 10월 22일(월) 이동일 10월 23일(화) 3차전 요미우리 자이언츠 0 - 7 세이부 라이온스 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13시 04분 2시간 48분 31,804명 10월 24일(수) 4차전 요미우리 자이언츠 3 - 7 세이부 라이온스 13시 03분 3시간 15분 31,804명 우승: 세이부 라이온스(2년 만에 9번째)
5. 경기 결과 상세
날짜 경기 원정 구단(선공) 스코어 홈 구단(후공) 개최 구장 비고 10월 20일(토) 1차전 세이부 5 - 0 요미우리 도쿄 돔 세이부 와타나베 히사노부 완봉승 10월 21일(일) 2차전 세이부 9 - 5 요미우리 도쿄 돔 세이부, 2연승 10월 22일(월) 이동일 10월 23일(화) 3차전 요미우리 0 - 7 세이부 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세이부 와타나베 도미오 완봉승 10월 24일(수) 4차전 요미우리 3 - 7 세이부 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세이부, 4연승으로 우승 우승: 세이부 라이온스 (4승, 2년 만에 9번째)
세이부 라이온스는 4연승으로 1990년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세이부의 2년 만의 우승이자, 니시테쓰 시대를 포함하여 통산 9번째 우승이었다. 세이부의 4연승은 무승부를 포함하지 않은 스트레이트 승리로는 1960년 다이요 웨일즈 이후 30년 만의 기록이며, 무승부를 포함하면 1975년 한큐 브레이브스 이후 4팀, 5번째 기록이다. 특히 세이부는 전신인 니시테쓰 시대를 포함하여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스트레이트 4연승을 기록했다.
반면,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4연패로 시리즈를 마감했다. 요미우리의 시리즈 무승 패배는 3번째였으며, 전년도 일본 시리즈 우승팀이 스트레이트 4연패를 당한 것은 2022년 현재까지 유일한 사례이다.
세이부의 4승은 모두 4점 차 이상의 압도적인 승리였다. 이는 세이부가 투타에서 요미우리를 압도했음을 보여준다.
경기 후 요미우리의 후지타 모토시 감독은 "시작하자마자 밀려 넘어져 경기장 밖으로 나갔다"며 완패를 인정했다. 후지타 감독에게는 이번 시리즈가 생애 마지막 일본 시리즈 지휘였다.
당시 요미우리 선수 회장이었던 오카자키 가오루는 "나의 야구관이 바뀌었다"는 말을 남겼고, 하라 다쓰노리는 훗날 감독으로서 세이부에 대한 인상을 "콤플렉스, 트라우마적인 것마저 느낀다"고 회고했다.
세이부의 모리 마사토시 감독은 "상대의 찬스를 모두 수비로 막아낸 것이 세이부 야구"라고 평가했다.
5. 1. 1차전
10月20日일본어 도쿄 돔에서 열린 1차전에서 세이부의 와타나베 히사노부가 완봉승을 거두며 기선을 제압했다.[1] 세이부의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는 1회 초 3점 홈런을 기록하며 팀 승리에 기여했다.[14]
요미우리의 선발 투수는 사전 예상과 달리 사이토 마사키가 아닌 마키하라 히로미였다.[15] 세이부는 1회초 2사 3루에서 기요하라 가즈히로가 볼넷으로 출루한 뒤,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가 3볼 0스트라이크에서 홈런을 쳐 3점을 선취했다. 이는 일본 시리즈에서 9번째로 나온 첫 타석 홈런이다.[14] 기요하라에 따르면, 세이부는 "마키하라 히로미는 3볼 0스트라이크에서 변화구를 던지지 않는다"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타격을 했다고 한다.[16]
반면 요미우리는 1회말 선두 타자 시노즈카 가즈노리가 볼넷으로 출루했지만, 포수 이토 츠토무의 견제에 걸려 아웃되었다. 세이부의 모리 감독은 경기 후 인터뷰에서 "이토의 견제가 가장 컸다"고 말했다.[14]
세이부는 5회와 9회에 각각 1점씩 추가 득점을 올렸고, 선발 투수 와타나베 히사노부는 완봉승을 거두었다.[1] 또한 와타나베는 1경기 3번트를 성공하며 일본 시리즈 타이 기록을 세웠다.[14]
선수 | 기록 |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완봉승[1] |
마키하라 히로미 (요미우리) | 패전 투수[1]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1회초 3점 홈런 (일본 시리즈 첫 타석 홈런, 9번째)[14]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경기 3번트 (일본 시리즈 타이 기록)[14] |
5. 2. 2차전
10월 21일 - 도쿄 돔에서 열린 2차전은 세이부가 난타전 끝에 요미우리를 9-5로 꺾고 2연승을 달렸다.[1]팀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득점 | 안타 | 에러 |
---|---|---|---|---|---|---|---|---|---|---|---|---|
세이부 | 2 | 2 | 3 | 0 | 0 | 0 | 1 | 1 | 0 | 9 | 13 | 0 |
요미우리 | 0 | 2 | 0 | 1 | 1 | 0 | 0 | 1 | 0 | 5 | 9 | 2 |
세이부의 이토 쓰토무는 2회 2점 홈런,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는 3회 1점 홈런을 기록하며 공격을 이끌었다.[1] 요미우리의 오카자키 가오루 (2회 2점), 시노즈카 도시오 (8회 1점)도 홈런을 기록했다.
승리 투수는 시오자키 데쓰야(1승), 패전 투수는 사이토 마사키(1패)이다.[1]
5. 3. 3차전
1990년 10월 23일,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에 위치한 세이부 라이온스 구장에서 열린 3차전에서 세이부 라이온스가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7-0으로 꺾었다.[1] 세이부의 와타나베 도미오는 완봉승을 거두며 팀의 3연승을 이끌었고, 아키야마 고지는 6회에 1점 홈런을 기록하며 팀 승리에 기여했다.[1]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총점 | 안타 | 실책 | |
---|---|---|---|---|---|---|---|---|---|---|---|---|
요미우리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5 | 0 |
세이부 | 3 | 0 | 0 | 0 | 0 | 1 | 0 | 3 | X | 7 | 9 | 1 |
5. 4. 4차전
10월 24일 - 세이부 라이온스 구장에서 열린 4차전에서 세이부는 5회말 대거 6득점에 성공하며 역전승을 거두고 일본 시리즈 우승을 확정지었다. 궈타이위안이 승리 투수가 되었다.[1]경기 초반은 요미우리가 리드했다. 3회초 크로마티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얻었고, 5회초에는 무라타 신이치의 솔로 홈런으로 2-0으로 앞서나갔다.
그러나 5회말 세이부는 기요하라의 동점 적시타와 데스트라데의 역전 적시타를 포함해 6안타를 몰아치며 대거 6득점, 단숨에 경기를 뒤집었다.
세이부의 선발 투수 궈타이위안은 6이닝 3실점으로 호투했고, 7회부터 시오자키가 등판하여 3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팀 승리를 지켰다.
9회말 2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시오자키는 코마다를 투수 땅볼로 처리하며 경기를 마무리했고, 세이부는 4연승으로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1]
경기 후 세이부의 모리 감독은 "선수들의 집중력이 대단했고, 모두가 불덩이가 되어준 것이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11] 반면 요미우리의 후지타 감독은 "모든 것은 감독이 형편없었기 때문에 졌다"며 패배를 자책했다.[4]
선수 | 기록 |
---|---|
무라타 신이치 (요미우리) | 홈런 (5회 1점) |
가와아이 (요미우리) | 홈런 (6회 1점) |
6. 수상 선수
7. 시리즈 후 평가 및 영향
1990년 일본 시리즈는 세이부 라이온즈가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상대로 4연승을 거두며 압도적인 우승을 차지한, 일본 프로야구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사건이다.
세이부는 4경기 모두 4점 차 이상으로 승리하여 "완벽한 야구를 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3] 이는 모리 마사아키 감독의 뛰어난 용병술과 선수들의 기량이 조화를 이룬 결과였다. 반면 요미우리는 주축 투수들의 부진, 타선의 침묵, 잦은 실책으로 무기력하게 패배하며 자존심을 구겼다.[4] 요미우리 감독 후지타 모토시는 "(스모에 비유하면) 시작하자마자 그대로 밀려 넘어지고, 경기장 밖으로 나갔다"라고 회고할 정도로 일방적인 경기였다.[4]
당시 요미우리 선수 회장이었던 오카자키 이쿠는 "나의 야구관이 바뀌었다"라고 말했으며,[4] 하라 다츠노리는 세이부에 대해 "잘하는 것을 넘어, 콤플렉스, 트라우마적인 것마저 느낀다"라고 표현했다.[7]
세이부 감독 모리 마사토시는 오카자키의 코멘트에 대해 "상대의 찬스를 모조리 수비로 막아나갔던 수비가 견고한 세이부 야구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11]
이 시리즈는 요미우리 왕조의 몰락을 알리는 신호탄이자, 세이부 왕조의 전성기를 상징하는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일본 프로야구 역사상 가장 일방적인 시리즈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세이부 선수였던 히라노 겐은 "일본 시리즈를 하면서 무서움은 전혀 없었다. 틀림없이 이길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 정도로 자신 있는 시리즈였다"라고 회상했다.[13]
후지타와 모리 감독은 모두 1959년 일본 시리즈에 요미우리 선수로 출전했으며, 후지타는 선수와 감독으로서 모두 일본 시리즈 4연패를 경험하게 되었다.
8. 미디어 중계
1990년 일본 시리즈의 미디어 중계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TV 중계는 1차전과 2차전은 니혼 TV가, 3차전은 TBS 텔레비전이, 4차전은 TV 아사히가 중계했다. 특히 4차전은 TV 아사히 계열 방송국 외 지역에서도 일부 동시 네트워크로 방송되었다. NHK는 모든 경기를 NHK 위성 제1 텔레비전에서 당일 밤 녹화 방송했다. 당초 4차전은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방송 예정이었으나, 국회 중계로 인해 NHK 교육 텔레비전에서 방송되었다.[1]
라디오 중계는 여러 방송사에서 진행되었다. NHK 라디오 제1은 1, 2, 3차전을 중계했고, 4차전은 당초 NHK 라디오 제1에서 방송 예정이었으나 국회 중계로 인해 NHK-FM에서 방송되었다.[1] TBS 라디오, 분카 방송, 닛폰 방송, 라디오 일본 등도 각 경기를 중계했다.
8. 1. TV 중계
- 1차전(10월 20일)
- * 니혼 TV
- ** 중계: 요시다 덴이치로 해설: 나가시마 시게오, 나카하타 기요시, 도이 쇼조(다음 해부터 오릭스 감독) 게스트 해설: 무라타 조지(롯데, 같은 해 은퇴)
- * NHK 위성 제1 텔레비전(중계 녹화)
- ** 해설: 나시다 마사타카
:※ 모든 경기가 NHK 위성 제1 텔레비전에서 경기 당일 밤에 녹화 방송되었다.
- 2차전(10월 21일)
- * 니혼 TV
- ** 중계: 야마시타 스에노리 해설: 에가와 스구루, 가케후 마사유키, 다카하시 나오키 게스트: 가와이 슌이치
- * NHK 위성 제1 텔레비전(중계 녹화)
- ** 해설: 쓰루오카 가즈토 게스트: 시노다 마사히로
- 3차전(10월 23일)
- * TBS 텔레비전
- ** 중계: 이시카와 아키라 해설: 하리모토 이사오, 고바야시 시게루 게스트 해설: 몬타 히로미쓰(오릭스)
- * NHK 위성 제1 텔레비전(중계 녹화)
- ** 해설: 히로오카 다쓰로 게스트: 다카하시 미치쓰나
- 4차전(10월 24일)
- * '''TV 아사히''' ≪계열 외 방송국(지역에 계열국이 없는 지역의 국)에서도 일부 동시 네트워크로 방송≫
- ** 중계: 아사오카 사토시 해설: 다케가미 시로, 와카마쓰 쓰토무, 히가시오 오사무
- : 게스트 해설: 오시타 쓰요시(히로시마 헤드 코치), 히로사와 가쓰미(야쿠르트), 니시자키 유키히로(닛폰햄)
- * NHK 교육 텔레비전·NHK 위성 제1 텔레비전(중계 녹화)
- ** 중계: 니시다 요시오 해설: 히로오카 다쓰로, 다카다 시게루 게스트 해설: 무라타 조지
:: 당초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방송 예정이었으나, 국회 중계 때문에 교육 텔레비전에서 방송되었다.
덧붙여, 5차전(세이부 구장)은 TV 아사히, 6·7차전(도쿄 돔)은 니혼 TV에서 각각 중계될 예정이었다.
8. 2. 라디오 중계
(10월 20일)(10월 20일)
(10월 20일)
(10월 20일)
(10월 20일)
(10월 20일)
(10월 20일)
(10월 21일)
(10월 21일)
(10월 21일)
(10월 21일)
(10월 21일)
(10월 21일)
(10월 23일)
(10월 23일)
(10월 23일)
(10월 23일)
(10월 23일)
(10월 23일)
(10월 23일)
(10월 24일)
(10월 24일)
(10월 24일)
(10월 24일)
(10월 24일)
(10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