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니아스-시멀루에이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5년 니아스-시멀루에이 지진은 2005년 3월 28일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메단 남서쪽 245km 해역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8.6의 거대 지진이다. 이 지진은 2004년 인도양 지진의 진앙과 가까운 순다 해구에서 발생했으며, 니아스 섬에서 수백 채의 건물이 파괴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지진으로 인해 쓰나미 경보가 발령되었지만, 실제 쓰나미는 비교적 소규모로 발생했다. 국제 사회는 인도네시아에 긴급 구호 및 재건 지원을 제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자연재해 - 2005년 태풍
2005년에는 23개의 태풍이 발생했고, 3개의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꿀랍, 로키, 하이탕, 마와르, 탈림, 나비, 카눈, 담레이, 룽왕 등이 주요 태풍이었고, 맛사, 나비, 룽왕은 제명되었다. - 2005년 인도네시아 - 2005년 발리 폭탄 테러
2005년 발리 폭탄 테러는 2005년 10월 1일 발리의 짐바란 해변과 쿠타 지역에서 발생한 연쇄 폭탄 테러로, 자살 폭탄 테러범 3명을 제외하고 20명이 사망하고 129명이 부상했으며, 배후로는 자마아 이슬라미야(JI)가 지목되었다.
2005년 니아스-시멀루에이 지진 | |
---|---|
지도 정보 | |
![]() | |
![]() | |
지진 정보 | |
이름 | 2005년 니아스-시멀루에이 지진 |
발생 시각 (UTC) | 2005년 3월 28일 16시 09분 37초 |
발생 시각 (현지 시각) | 2005년 3월 28일 23시 09분 37초 |
발생 시각 (한국 시각) | 2005년 3월 29일 01시 09분 37초 |
지속 시간 | 알 수 없음 |
규모 | 8.6 Mw (모멘트 규모) |
깊이 | 30.0 km |
위치 | 북위 2.09도, 동경 97.15도 인도네시아 |
진원지 | 수마트라섬 메단 남서쪽 245km 해상 (니아스섬 인근) |
단층 | 순다 섭입대 |
유형 | 대규모 지진 |
여진 | 존재 |
전진 | 알 수 없음 |
피해 정보 | |
영향 지역 | 인도네시아 |
최대 진도 | VIII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
쓰나미 | 시멀루에이섬에서 3.0m |
산사태 | 발생 |
사망자 | 915–1,314명 |
부상자 | 340–1,146명 |
지반 가속도 | 알 수 없음 |
추가 정보 | |
ANSS URL | ANSS URL |
ISC 이벤트 | ISC 이벤트 |
2. 지진 발생 및 특징
2005년 니아스-시멀루에이 지진은 약 2분간 지속되었다. 지진 발생 직후 24시간 동안 규모 M5.5에서 M6.0 사이의 여진이 총 8차례 발생했다. 진앙은 2004년 인도양 지진의 진앙과 근접했지만, 순다 메가스러스트의 서로 다른 부분이 파열된 별개의 지진이며, 이전 지진과 관련된 응력 변화로 발생한 유발지진으로 추정된다.[33]
이 지진으로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연안의 니아스섬에서는 수백 채의 건물이 파괴되었다. 구눙시톨리에서는 건물 약 30%가 붕괴되었고, 활주로가 손상되어 구호 활동이 지연되었다.[7]
지진의 진동은 수마트라섬 전역에서 강하게 느껴졌으며, 반다아체에서는 광범위한 정전이 발생하고 수천 명이 집을 떠나 고지대로 피난했다. 태국과 말레이시아 서해안에서도 강하게 느껴졌으며, 쿠알라룸푸르에서는 고층 건물에서 대피령이 내려졌다. 몰디브, 인도, 스리랑카에서도 약한 진동이 감지되었다.
2. 1. 발생 메커니즘
2004년 12월 26일 수마트라 지진의 여진이 줄어들고 규모도 작아진 2005년 3월 28일 16시 9분 36초 (UTC)에, 2004년 수마트라 지진의 진원지에서 남동쪽 약 250km 해역에서 모멘트 규모(Mw) 8.6의 지진이 발생했다.[26] 이 지진은 2004년 수마트라 지진의 여진이 아닌, 다른 지역을 진원으로 하는 유발 지진(광의의 여진이라고도 불림)이다.2004년 12월 26일 수마트라 지진으로 판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소되었고, 그 대신 판의 다른 부분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원래 있던 단층에 왜곡이 축적되어 발생했다. 즉, 수마트라 지진이 방아쇠가 된 지진으로 여겨진다. 이 지진의 진원역 연장은 약 350km로 추정된다. 이 진원역은 2004년 수마트라 지진의 진원역과 인접해 일부가 중복되며, 두 지진의 진원역을 합치면 1,600km에 달한다.[27] 그 때문에 2004년 지진과 이번 지진은 도카이·난카이·난카이 연동형 지진과 같은 연동형 거대 지진이었을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인도-오스트레일리아 판과 유라시아 판의 경계 지역에서 최근 지진이 발생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지진에 대한 경계가 필요하다는 연구와 보고가 있었다.
니아스 섬 부근에서는 1861년에 쓰나미를 동반한 M8 이상의 지진이 발생한 적이 있으며, 이 지진의 진원역 바로 남쪽에서도 1833년에 M8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다.[28]
2. 2. 규모 및 진원
2004년 12월 26일 수마트라 지진의 여진이 줄어들고 규모도 작아진 2005년3월 28일 16시 9분 36초 (UTC)에, 2004년 수마트라 지진의 진원지에서 남동쪽 약 250km 해역에서 모멘트 규모(Mw) 8.6[26]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은 수마트라 지진의 여진이 아닌, 다른 지역을 진원으로 하는 유발 지진(광의의 여진)이다.2004년 12월 26일 수마트라 지진으로 판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소되었고, 그 대신 판의 다른 부분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원래 있던 단층에 왜곡이 축적되어 발생한, 수마트라 지진이 방아쇠가 된 지진으로 여겨진다. 이 지진의 진원역 연장은 약 350km로 추정된다. 진원역은 2004년 수마트라 지진의 진원역과 인접해 일부가 중복되며, 두 지진의 진원역을 합치면 1600km에 달한다.[27] 그 때문에, 2004년 지진과 이번 지진은 연동형 거대 지진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순위 | 명칭 | 발생일 (UTC) | 규모(Mw) |
---|---|---|---|
1 | 칠레, 발디비아 | 1960년5월 22일 | 9.5 |
2 | 알래스카, 프린스 윌리엄 만 | 1964년3월 28일 | 9.2 |
3 | 수마트라·안다만 제도 | 2004년12월 26일 | 9.1 |
동일본 대지진 | 2011년3월 11일 | ||
5 | 캄차카 반도 동방 해역 | 1952년11월 5일 | 9.0 |
6 | 칠레, 비오비오 | 2010년2월 27일 | 8.8 |
에콰도르-콜롬비아 | 1906년1월 31일 | ||
8 | 알류샨 열도, 랫 제도 | 1965년2월 4일 | 8.7 |
9 | 알류샨 열도, 유니마크 섬 | 1946년4월 1일 | 8.6 |
아삼-티베트 | 1950년8월 15일 | ||
알류샨 열도, 안드레아노프 제도 | 1957년3월 9일 | ||
수마트라 북부 | 2005년3월 28일 | ||
수마트라 북부 서쪽 해역 | 2012년4월 11일 | ||
규모는 미국 지질조사소에 의한 것 |
발생 시각은 UTC로 '''2005년 3월 28일 오후 4시 9분 36초'''이다. 진원은 수마트라 섬 메단 남서쪽 245km 지점, '''북위 2도 4분 26.4초''', '''동경 97도 0분 46.8초''', '''깊이 30km'''이다. 모멘트 규모(Mw)는 8.6 (기상청은 Mj 8.5)이며, 인도-오스트레일리아 판과 유라시아 판의 경계 지역인 순다 해구에서 발생했다. 지진에 의한 강한 흔들림은 수마트라 섬 서안에서는 2분 정도, 반다아체 등에서는 3분 정도 지속되었다. 폭이 큰 수평 흔들림이었다.
1861년에 니아스섬 부근에서 쓰나미를 동반한 M8 이상의 지진이 발생한 적이 있으며, 이 지진의 진원역 바로 남쪽에서도 1833년에 M8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다.[28]
2. 3. 여진 및 애프터슬립
본진 이후 8번의 여진이 발생했다. 이 여진은 순다 해구의 애프터슬립에 의해 발생했다.[13] 이 거대 지진은 수마트라 섬 해안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다. 지표 변형을 기반으로, 수마트라 아래의 층상 탄성 공간에서 11m의 단층 미끄러짐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되었다.[13] 탄성 환경으로 인해 수렴하는 해양 및 대륙판은 에너지를 축적하고 마찰에 의해 잠긴다. 대륙판은 뒤로 밀려나 짧아지면서 융기를 일으킨다. 수렴하는 판이 마찰력을 초과(변형)하여 단층을 따라 미끄러짐을 유발한다. 3월 28일 지진 이후, 애프터슬립은 11개월 동안 계속 발생하여 약 8.2 규모의 피해를 입혔다.[13]지각 융기의 증거는 cGPS 스테이션, 산호의 최고 생존 수준, 지진 동시 미끄러짐을 사용하여 기록되었다.[14] 2005년 지진 전에 이미 3개의 cGPS 사이트가 설치되었고, 지진 후에 3개가 더 설치되었다.[15] 이들은 지진으로 인한 움직임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수마트라 GPS 어레이와 스테이션은 지진 동시 변위를 기록할 수 있었다. 과학자들은 또한 조수와 관련하여 포라이트 산호 머리를 관찰하여 융기를 연구할 수 있었다.[16] 일반적으로 산호 머리는 최고 산호가 대기에 노출되어 해당 산호를 죽이고 성장을 멈출 때까지 위로 자란다.[15] 지진 동시 미끄러짐이 발생하면 산호 머리의 더 낮은 부분이 물 속에 남아 있고 가장 높은 생존 조직은 새로운 최고 생존 수준을 나타낸다.[15] 지각 융기 전의 최고 생존 수준과 그 이후 최고 생존 수준을 측정하면 얼마나 많은 융기가 발생했는지에 대한 증거를 제공할 수 있다.
3. 피해 상황
2005년 3월 31일 12시 기준으로, 약 2,000명이 사망했다는 정보가 있다. 특히 니아스섬은 진원에서 수십 km로 가까워 많은 건물이 붕괴되었고, 섬 동쪽 해안 도시에서는 건물의 대다수가 붕괴되고 다수의 화재가 발생했다. 지진 후 집계에 따르면, 약 1,000명의 섬 주민이 사망했다.
건물 붕괴의 주요 원인은 니아스와 시멀루에섬의 건물 건설 방식 때문이었다. 붕괴된 건물 대부분은 비설계 건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이 있었다.
- 모래/시멘트 모르타르를 사용한 1~2층 소성 벽돌 또는 콘크리트 블록 조적조 주택
- 같은 재료의 2~4층 주택 겸 상점
- 목조 건물
니아스와 시멀루에의 주요 문제는 상점 주택이 구조 분석이나 도면 없이 현장 감독과 시공업자의 관행에 따라 건설된다는 점이었다.[10] 이러한 관행 때문에 건물 허가 시스템이 시행되지 않아 부실한 자재 품질이나 시공 불량 문제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2~4층 상점 주택은 자금 확보에 따라 건설되므로 새로운 기둥과 벽을 건설하는 데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린다. 이 시스템의 문제는 기둥의 접합부가 불충분하여 흔들림 시 전단 파괴가 발생한다는 것이다.[10] 결국 니아스와 시멀루에의 구조물에서 가장 큰 문제는 지속적인 건설과 건축 규정 준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었다.
본진 후 8번의 여진이 발생했다. 이 여진은 순다 해구의 애프터슬립에 의해 발생했다.[13] 이 거대 지진은 수마트라섬 해안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다. 지표 변형을 기반으로, 수마트라섬 아래의 층상 탄성 공간에서 11미터의 단층 미끄러짐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되었다.[13] 탄성 환경으로 인해 수렴하는 해양 및 대륙판은 에너지를 축적하고 마찰에 의해 잠긴다. 대륙판은 뒤로 밀려나 짧아지면서 융기를 일으킨다. 수렴하는 판이 마찰력을 초과(변형)하여 단층을 따라 미끄러짐을 유발한다. 3월 28일 지진 이후, 애프터슬립은 11개월 동안 계속 발생하여 약 8.2 규모의 피해를 입혔다.[13]
지각 융기의 증거는 cGPS 스테이션, 산호의 최고 생존 수준, 지진 동시 미끄러짐을 사용하여 기록되었다.[14] 2005년 지진 전에 이미 3개의 cGPS 사이트가 설치되었고, 지진 후에 3개가 더 설치되었다.[15] 이들은 지진으로 인한 움직임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수마트라 GPS 어레이와 스테이션은 지진 동시 변위를 기록할 수 있었다. 과학자들은 또한 조수와 관련하여 포라이트 산호 머리를 관찰하여 융기를 연구할 수 있었다.[16] 일반적으로 산호 머리는 최고 산호가 대기에 노출되어 해당 산호를 죽이고 성장을 멈출 때까지 위로 자란다.[15] 지진 동시 미끄러짐이 발생하면 산호 머리의 더 낮은 부분이 물 속에 남아 있고 가장 높은 생존 조직은 새로운 최고 생존 수준을 나타낸다.[15] 지각 융기 전의 최고 생존 수준을 측정하고, 그 이후 최고 생존 수준을 측정하면 얼마나 많은 융기가 발생했는지에 대한 증거를 얻을 수 있다.
3. 1. 인도네시아
지진은 약 2분간 계속되었으며, 지진 발생 직후 24시간 동안 규모 M5.5에서 M6.0 사이의 여진이 총 8차례 발생했다.[33] 진앙은 2004년 인도양 지진의 진앙과 근접했지만 순다 메가스러스트의 서로 다른 부분이 파열된, 이전에 발생했던 지진과 관련된 응력 변화로 발생한 유발지진으로 추정된다.[33]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연안의 니아스섬에서는 지진으로 수백 채의 건물이 파괴되었다. 니아스섬의 사망자 수는 최소 1천 명 이상이며, 니아스섬에서 가장 큰 마을인 구눙시톨리에서만 220명이 사망했다. 구눙시톨리 인구의 절반 이상인 27,000명이 피난을 떠났다.[7] 구눙시톨리의 건물 약 30%가 붕괴되었고, 활주로가 손상되어 비행기 착륙이 불가능해져 구호 활동이 지연되었다.[7]
이 지진은 수마트라섬 전역에서 강하게 느껴졌으며, 2004년 12월 쓰나미로 이미 큰 피해를 입었던 인도네시아의 반다아체에서 광범위한 정전이 일어났고 수천 명이 집을 떠나 고지대로 피난을 갔다.[8]
니아스와 시멀루에섬의 주요 기반 시설 피해는 교량이었다. 이는 침강과 [https://earthquake.usgs.gov/cfusion/external_grants/reports/G14AP00067.pdf 측방 확산]으로 인해 교량 지지대가 30cm에서 100cm까지 이동했기 때문이다.[9] 기타 피해로는 니아스섬에서 300채의 건물 파괴, 시멀루에섬에서 여러 채의 건물 파괴가 있었다.[19] 전반적으로 니아스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수도 구눙시톨리에 위치한 주요 발전소는 발전기 아래 기초가 흔들리고 변압기가 전복되는 피해를 입었으나 곧 수리되어 전력 공급이 재개되었다. 항구, 교량, 도로, 지역 보건소, 그리고 구눙시톨리에 있는 니아스섬의 주요 병원이 모두 파괴되었다.
시멀루에섬의 피해는 덜 심각했고, 라시킨으로 연결되는 일부 전선이 손상되었지만 며칠 만에 수리되었으며, 새로 건설된 부두의 일부가 침수되었고, 공항의 터미널, 직원 숙소, 창고 건물이 파괴되었다.[10]
지진 발생 후 1개월 정도 후의 조사에 의해, 니아스 섬 주변에서는 대규모 지반 변동이 수 km에 걸쳐 일어나, 섬의 서쪽이 융기하고, 동부가 침강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때문에, 북서부 라헤와에서는 새로운 섬이 출현했고, 동부 해안에서는 수 개의 마을이 해중에 잠겨 토지를 잃었다.
3. 2. 기타 지역
이 지진은 수마트라섬 전역에서 강하게 느껴졌으며, 2004년 12월 쓰나미로 이미 큰 피해를 입었던 인도네시아 반다아체에서는 광범위한 정전이 발생하고 수천 명이 집을 떠나 고지대로 피난을 갔다. 태국과 말레이시아 서해안에서도 지진이 강하게 느껴져 쿠알라룸푸르에서는 고층 건물에서 대피령이 내려졌다. 몰디브, 인도, 스리랑카에서도 약한 지진이 느껴졌다.[33]동남아시아 서부에서는 큰 흔들림이 있었으며, 인도네시아 이외의 지역에서는 쓰나미를 피해 도로로 쏟아져 나온 많은 사람들로 인해 교통사고가 다수 발생했다.
4. 쓰나미
2005년 3월 28일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는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과 같은 대규모 쓰나미에 대한 우려를 낳았지만, 실제로는 비교적 소규모였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과 태국 정부는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고, 태국,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등 인도양 연안 국가들에서 대피령이 내려졌다. 특히 태국은 신속하게 대응했으나, 인도네시아 니아스섬과 같이 정보 전달이 원활하지 않아 대피에 어려움을 겪은 지역도 있었다. 스리랑카에서는 대피 과정 중 혼란으로 10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인도 남부 여러 주와 오스트레일리아 코코스 제도, 모리셔스, 마다가스카르, 세이셸 등에서도 경계령이 발령되었다. 당시 인도양에는 쓰나미 경고 체계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아, 2004년 12월 지진 이후 관련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신속한 정보 전달 및 대피에 어려움이 있었다.
4. 1. 쓰나미 발생 및 규모
이 지진으로 인도양 주변에서는 3개월 전 발생했던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과 유사한 대규모 쓰나미 발생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태국,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해안 지역에서는 대피령이 내려졌다. 하지만 2005년 지진은 비교적 소규모의 쓰나미만 일으켰다. 시멀루에섬에는 약 3m 높이의 쓰나미가 항구와 공항 시설에 피해를 입혔고, 니아스섬 서해안에는 약 2m 높이의 쓰나미가 기록되었다.[17] 인도양 전역에서는 험조장에서만 기록할 수 있는 매우 작은 수준의 미미한 쓰나미만 기록되었는데, 예를 들어 스리랑카 콜롬보에서는 0.21m의 쓰나미가 기록되었다.[18]미국 해양대기청(NOAA)과 태국 정부는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초기에는 특히 쓰나미 진원의 남부로 이동하는 대형 쓰나미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각 지역의 쓰나미 높이와 발생부터 도달까지의 시간은 다음과 같다.
지역 | 쓰나미 도달 시간 | 쓰나미 높이 |
---|---|---|
인도네시아 시멀루에섬 | 3~4분 후 | 3m 정도 |
인도네시아 니아스섬 | 2~3분 후 | 2m 정도 |
스리랑카 콜롬보 | 3시간 29분 후 | 25cm |
몰디브 말레 | 4시간 47분 후 | 10cm |
몰디브 간 | 4시간 40분 후 | 15cm (제1파 이후 50cm 정도의 간조 관측) |
몰디브 하닌마두 | 4시간 5분 후 | 20cm |
모리셔스 포트루이스 | 8시간 6분 후 | 20cm (60cm~70cm 간조 후 관측) |
세이셸 포트랄루 | 관측 없음 | - |
오만 살랄라 | 관측 없음 | - |
4. 2. 쓰나미 경보 및 대피
이 지진으로 인도양 주변에서는 3개월 전 일어났던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과 유사한 대규모 쓰나미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태국,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해안 지역에서는 대피령이 내려졌다. 하지만 2005년 지진은 비교적 소규모의 쓰나미만 일으켰다. 시멀루에이섬에는 약 3m 높이의 쓰나미가 항구와 공항 시설에 피해를 입혔고, 니아스섬 서해안에는 약 2m 높이의 쓰나미가 기록되었다.[17] 인도양 전역에서는 험조장에서만 기록할 수 있는 매우 작은 수준의 미미한 쓰나미만 기록되었는데, 예를 들어 스리랑카 콜롬보에서는 25cm의 쓰나미가 기록되었다.[18]미국 해양대기청(NOAA)과 태국 정부는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초기에는 특히 쓰나미 진원의 남부로 이동하는 대형 쓰나미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태국 남해안의 일부 지역에서는 대피령이 발령되었고,[4] NOAA는 수마트라 해안선 약 965km 길이 지역에 대피를 권고했다. 말레이시아 북부의 피낭주와 크다주, 스리랑카 동해안에서도 대피령이 발령되었으며, 스리랑카에서는 대피 도중 혼란으로 10명이 사망했다.[19] 2004년 쓰나미로 큰 피해를 입었던 인도 남부의 여러 주에서도 경계령이 내려졌다. 오스트레일리아 코코스 제도에서 30cm의 쓰나미가 발생하는 등 진앙지 남쪽에서 약한 쓰나미가 감지되자 인도양의 섬나라인 모리셔스, 마다가스카르, 세이셸 주민에게도 경계령을 발령했다. 2004년 12월 지진 이전부터 인도양 지역의 쓰나미 경고 체계에 대한 논의는 있었으나, 인도양에서는 그 체계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았다.
2005년 3월 28일 지진 발생 후 수십 분 만에 태국, 인도네시아, 니코바르 제도를 향해 쓰나미 경보가 발령되었고, 정보를 들은 사람들이 대피했다. 태국에서는 지진 발생 직후 비공식적으로 텔레비전 등을 통해 쓰나미 경보를 발령하여 신속하게 대응했다. 그러나 진앙에 가장 가까웠던 인도네시아의 니아스 섬처럼 정보가 전달되지 않은 지역도 많았으며, 대피 당시 인도양 연안의 많은 지역에서 혼란이 발생했다.
각 지역의 쓰나미 높이와 발생부터 도달까지의 시간은 다음과 같다.
지역 | 쓰나미 도달 시간 | 쓰나미 높이 |
---|---|---|
인도네시아 시멀루에 섬 | 3~4분 후 | 3m 정도 |
인도네시아 니아스 섬 | 2~3분 후 | 2m 정도 |
스리랑카 콜롬보 | 3시간 29분 후 | 25cm |
몰디브 말레 | 4시간 47분 후 | 10cm |
몰디브 간 | 4시간 40분 후 | 15cm (제1파 이후 50cm 정도의 간조 관측) |
몰디브 하닌마두 | 4시간 5분 후 | 20cm |
모리셔스 포트루이스 | 8시간 6분 후 | 20cm (60cm~70cm 간조 후 관측) |
세이셸 포트랄루 | 관측 없음 | |
오만 살랄라 | 관측 없음 |
5. 국제사회의 지원
2005년 니아스-시멀루에이 지진 발생 후, 국제사회는 인도네시아의 피해 복구와 구호를 위해 다양한 지원을 제공했다.
5. 1. 한국의 지원
한국 정부는 2005년 니아스-시멀루에이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해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였다. 여러 NGO를 포함한 민간 단체들도 구호 활동에 참여하였다.[1]5. 2. 기타 국가 및 국제기구의 지원
유엔은 인도네시아 정부와 협력하여 강진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을 막기 위한 추가 조치를 취했다. 미국 국무부도 쓰나미 피해를 입은 국가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인도 정부는 지진 피해자를 위해 200만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34]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100만호주 달러의 긴급 원조를 제공하고, 인도네시아 정부의 요청에 따라 니아스섬에 오스트레일리아 방위군 의료진과 장비를 파견했다. 이 군사 원조 작전은 수마트라 어시스트 작전 2기 작전이라 불린다. 아체 지역을 떠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오스트레일리아 해군 소속 HMAS 커님블러는 싱가포르에서 지진 피해 지역으로 재파견되었다. 2005년 4월 2일 오전 9시 30분경, 커님블러에서 이륙한 웨스틀랜드 시 킹 헬리콥터 2기 중 1기인 '샤크02'가 의료진을 마을로 이송하던 도중 니아스섬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9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을 입었지만, 생존자는 다른 헬기를 통해 구조되어 이송되었다.[35][36] 이 사고는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오스트레일리아를 국빈 방문하기 하루 전에 발생했으며, 유도요노 대통령과 존 하워드 오스트레일리아 총리는 양국의 손실에 대해 서로 애도를 표했다. 미국은 100병상 규모의 병원선인 USNS 메르시를 니아스섬 인근에 배치했다.
6. 향후 전망 및 교훈
순다 해구를 따라 2005년 니아스-시멀루에 지진과 유사한 사건이 향후 100년 이내에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24] 이 단층을 따라 큰 규모의 변위를 일으킬 만큼 충분한 응력이 축적되기까지는 1세기 이상이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1861년에 이 단층을 따라 유사한 지진이 발생했다는 역사적 기록이 이를 뒷받침한다.[24]
2004년 12월 26일 수마트라 지진으로 판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소되었고, 대신 판의 다른 부분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원래 있던 단층에 왜곡이 축적되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즉, 2005년 지진은 수마트라 지진이 방아쇠가 된 유발 지진으로 여겨진다. 2005년 지진의 진원역 연장은 약 350km로 추정되며, 2004년 수마트라 지진의 진원역과 인접해 일부가 중복된다. 두 지진의 진원역을 합치면 1,600km에 달한다.[27] 그 때문에, 2004년 지진과 2005년 지진은 연동형 거대 지진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로 인해 인도-오스트레일리아 판과 유라시아 판의 경계 지역에서 최근 지진이 발생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지진에 대한 경계가 필요하다는 연구와 보고가 있었다.
또한, 니아스 섬 부근에서는 1861년에 쓰나미를 동반한 M8 이상의 지진이 발생한 적이 있으며, 이 지진의 진원역 바로 남쪽에서도 1833년에 M8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다.[28]
참조
[1]
웹사이트
Largest Earthquakes in the World Since 1900
https://earthquake.u[...]
U.S. Geological Survey
2024-11-19
[2]
문서
“M 8.6 - 78 Km WSW of Singkil, Indonesia.”
earthquake.usgs.gov/[...]
Earthquake Hazards Program,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4-11-21
[3]
논문
Field survey of the March 28, 2005 Nias-Simeulue earthquake and Tsunami
https://pubs.usgs.go[...]
2011
[4]
웹사이트
Southern Thailand evacuated after Indonesian earthquake
http://news.xinhuane[...]
2005-03-28
[5]
웹사이트
ISC-GEM Catalogue – Introduction
http://www.isc.ac.uk[...]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2024-10-17
[6]
웹사이트
Poster of the Northern Sumatra Earthquake of 28 March 2005 – Magnitude 8.7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0-07-22
[7]
간행물
"Hundreds Pulled from Rubble."
https://www.theguard[...]
2005-03-29
[8]
웹사이트
Up to 2,000 Feared Dead In Quake
https://www.theledge[...]
2024-11-21
[9]
문서
“The Northern Sumatra Earthquake of March 28, 2005.”
www.eeri.org/lfe/pdf[...]
The Northern Sumatra Earthquake of March 28, 2005
2005-08
[10]
웹사이트
The Northern Sumatra Earthquake of March 28, 2005
https://www.eeri.org[...]
2024-11-21
[11]
웹사이트
IOM's response to the 28 Mar 2005 Nias earthquake
https://reliefweb.in[...]
2024-11-21
[12]
웹사이트
Indonesia: Rebuilding a better Aceh and Nias
https://reliefweb.in[...]
2024-11-21
[13]
논문
Frictional Afterslip Following the 2005 Nias-Simeulue Earthquake, Sumatra
https://www.science.[...]
2024-09-20
[14]
웹사이트
Earthquakes
http://www.geology.w[...]
2024-10-17
[15]
논문
Deformation and Slip Along the Sunda Megathrust in the Great 2005 Nias-Simeulue Earthquake
https://www.science.[...]
2024-09-20
[16]
웹사이트
Uplift | Description & Characteristic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0-17
[17]
웹사이트
NCEI Hazard Tsunami Event Information
https://www.ngdc.noa[...]
2024-10-17
[18]
논문
Field Survey of the March 28, 2005 Nias-Simeulue Earthquake and Tsunami
https://doi.org/10.1[...]
2011
[19]
문서
“Today in Earthquake History.”
earthquake.usgs.gov/[...]
U.S. Geological Survey
2005
[20]
뉴스
India announces $2 mn relief for Indonesia
http://timesofindia.[...]
2005-03-29
[21]
웹사이트
Humanitarian aid 2004-05
https://www.awm.gov.[...]
2024-11-21
[22]
문서
“Ran Sea King Accident N16-100 ‘shark 02’ Nias Island Indonesia.”
www.atsb.gov.au/publ[...]
Atsb Crest
2024-11-21
[23]
문서
“Determining Hospital Ship (T-AH) Staffing Requirements ...”
apps.dtic.mil/sti/pd[...]
Determining Hospital Ship (T-AH) Staffing Requirements for Humanitarian Assistance Missions, Naval Health Research Center
2024-11-21
[24]
문서
The Sunda Megathrust: Past, Present and Future
tecto.caltech.edu/su[...]
2024-11-17
[25]
웹사이트
Magnitude 8.6 - NORTHERN SUMATRA, INDONESIA
http://earthquake.us[...]
USGS
[26]
문서
USGS速報はMw8.5、改定値Mw8.7、最終改定値Mw8.6に修正
[27]
문서
衛星SAR画像分析による 2004・2005 年スマトラ沖地震に伴う隆起沈降域の把握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時報
2006
[28]
웹사이트
Poster of the Northern Sumatra Earthquake of 28 March 2005 - Magnitude 8.7
http://earthquake.us[...]
USGS
[29]
간행물
ISC-GEM Global Instrumental Earthquake Catalogue (1900–2012)
http://www.isc.ac.uk[...]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30]
웹인용
M 8.6 - northern Sumatra, Indonesia
https://earthquake.u[...]
미국 지질조사국
[31]
간행물
PAGER-CAT Earthquake Catalog
https://earthquake.u[...]
미국 지질조사국
2009-09-04
[32]
웹인용
Southern Thailand evacuated after Indonesian earthquake
http://news.xinhuane[...]
2005-03-28
[33]
웹인용
Poster of the Northern Sumatra Earthquake of 28 March 2005 - Magnitude 8.7
https://earthquake.u[...]
2011-06-26
[34]
뉴스
India announces $2 mn relief for Indonesia
http://timesofindia.[...]
2005-03-29
[35]
웹인용
Navy Helicopter Crashes in Indonesia, Nine Personnel Presumed Dead
http://www.defence.g[...]
Australian Department of Defence
2006-05-27
[36]
뉴스
Nine Australians die in Nias chopper crash
http://www.abc.net.a[...]
ABC News Online
2005-0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