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AFC 아시안컵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5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진행되었다. 총 20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를 통해 본선 진출팀을 결정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자동 진출 자격을 얻었다. 팔레스타인은 2014년 AFC 챌린지컵 우승으로 본선에 합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AFC 아시안컵 - 2015년 AFC 아시안컵 결승전
2015년 AFC 아시안컵 결승전은 대한민국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였으며, 연장 접전 끝에 오스트레일리아가 2-1로 승리하여 AFC로 편입된 후 첫 아시안컵 우승을 차지했다. - 2015년 AFC 아시안컵 - 2015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
2015년 AFC 아시안컵에 참가하는 각 국가별 선수 명단은 각 팀의 감독, 등번호, 포지션, 이름, 생년월일, 출장 경기 수, 득점, 소속 클럽 정보와 함께 제공된다. - AFC 아시안컵 예선 -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방식을 공유하여 4단계로 진행되었고, 총 24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하여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다퉜으며, 개최국 참가 및 동티모르 몰수패 등의 사건이 있었다. - AFC 아시안컵 예선 -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총 10개 조로 나뉜 조별 리그에서 각 조 1위 팀들이 본선에 진출하여 이라크,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중국, 쿠웨이트, 일본, 카타르, 대한민국, 태국, 이란이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회이다. - 2014년 축구 - 2014년 AFC 챔피언스리그
2014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아시아 최강 클럽을 가리는 대회이며, AFC 랭킹에 따라 출전권이 배정되고,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FC가 우승했다. - 2014년 축구 -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은 브라질에서 독일과 아르헨티나 간에 열렸으며, 독일이 연장전에서 마리오 괴체의 결승골로 승리하여 유럽 팀 최초로 아메리카 대륙 월드컵에서 우승했다.
2015년 AFC 아시안컵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2015년 AFC 아시안컵 예선 |
영어 대회 이름 | 2015 AFC Asian Cup qualification |
일정 | 2013년 2월 6일 – 2014년 3월 5일 |
참가 팀 수 | 20 |
연맹 수 | 1 |
경기 수 | 60 |
득점 수 | 161 |
총 관중 수 | 406,462 |
최고 득점자 | 레자 구차네자드(이란) (5골) 알리 마브쿠트(아랍에미리트) (5골) |
이전 대회 | 2011년 |
다음 대회 | 2019년 |
관련 웹사이트 | AFC 아시안컵 뉴스 |
2. 시드 배정
조 추첨식은 2012년 10월 9일 18:00(UTC+11)에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 개최되었다.[2][14] 예선에 참가하는 20개 팀은 4개 팀씩 5개 조로 나뉘며, 각 조는 아래의 시드 배정 포트에서 한 팀씩 배정받았다. 각 조는 홈 앤드 어웨이 리그전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며, 각 조 상위 2개 팀과 모든 조를 통틀어 가장 성적이 좋은 3위 팀 1개가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한다.[3][13]
다음 국가들은 "신흥 국가"로 분류되어 본선 예선 추첨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이 팀들은 2012년 AFC 챌린지컵 또는 2014년 AFC 챌린지컵에서 우승할 경우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 참가 자격을 얻는다.
- 아프가니스탄 † ‡
- 방글라데시 † ‡
- 부탄 †
- 브루나이 ‡
- 캄보디아 † ‡
- 중화 타이베이 † ‡
- 괌 ‡
- 인도 † ‡
- 키르기스스탄 † ‡
- 라오스 † ‡
- 마카오 † ‡
- 몰디브 † ‡
- 몽골 † ‡
- 미얀마 † ‡
- 네팔 †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파키스탄 † ‡
- 팔레스타인 † ‡
- 필리핀 † ‡
- 스리랑카 † ‡
- 타지키스탄 † ‡
- 투르크메니스탄 † ‡
;참고
- † 2012년 AFC 챌린지컵 예선 참가팀
- ‡ 2014년 AFC 챌린지컵 예선 참가팀
- 동티모르는 2012년 AFC 챌린지컵과 2014년 AFC 챌린지컵 예선에 모두 불참하였다.
- 북마리아나 제도는 2014년 AFC 챌린지컵 예선에 참가하였으나, AFC 준회원국이기 때문에 AFC 아시안컵에는 참가할 수 없다.
3. 경기 일정
아시아 축구 연맹(AFC)가 2015년 AFC 아시안컵 예선을 위해 할당한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4] 2013년 10월 15일, 11월 15일, 11월 19일은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날짜와 겹쳤기 때문에[4], 예선 참가국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경우를 대비하여 몇몇 대체 경기 날짜(예비일)가 할당되었다.[4]
연도 | 라운드 | 날짜 |
---|---|---|
2013년 | 1차전 | 2월 6일 |
2차전 | 3월 22일 | |
3차전 | 10월 15일 | |
4차전 | 11월 15일[4] | |
5차전 | 11월 19일[4] | |
2014년[5] | 예비일 | 1월 11일 |
예비일 | 1월 18일 | |
예비일 | 1월 25일 | |
예비일 | 1월 31일 | |
예비일 | 2월 4일 | |
6차전 | 3월 5일 |
4. 조별 리그
AFC 챌린지컵 참가국을 제외한 20개 팀이 예선에 참가했다. 참가팀들은 4개 포트로 나뉘어 추첨을 통해 5개 조(각 조 4팀)로 편성되었다. 예선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어 각 팀은 총 6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와 2위 팀, 그리고 각 조 3위 팀 중 가장 성적이 좋은 1개 팀이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13]
예선 조 추첨은 2012년 10월 9일 18:00(UTC+11)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 진행되었다.[14] 참가팀은 다음과 같다.
다음 팀들은 예선에 참가하지 않았지만, 2014년 AFC 챌린지컵 우승을 통해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 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
'''순위 결정 기준'''
각 조에서 팀 순위는 승점(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 기준에 따라 순위를 정한다.[6][18]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의 골득실차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의 득점 수 (원정 다득점 원칙은 적용되지 않음)
# 조별 리그 모든 경기에서의 골득실차
# 조별 리그 모든 경기에서의 득점 수
# 승점이 같은 두 팀이 최종전에서 맞붙었을 경우, 해당 경기에서의 승부차기 결과 (해당되는 경우)
# 추첨
4. 1.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비고 |
---|---|---|---|---|---|---|---|---|---|
오만 | 6 | 4 | 2 | 0 | 7 | 1 | +6 | 14 |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 |
요르단 | 6 | 3 | 3 | 0 | 10 | 3 | +7 | 12 | |
시리아 | 6 | 1 | 1 | 4 | 7 | 7 | 0 | 4 | 예선 탈락 |
싱가포르 | 6 | 1 | 0 | 5 | 4 | 17 | -13 | 3 |
- 2013년 2월 6일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요르단 4-0 싱가포르 (득점: 디브 18', 바니 아티아 52', 하이엘 55', 74')
- 2013년 2월 6일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 무스카트: 오만 1-0 시리아 (득점: 알-무크발리 39')
- 2013년 8월 14일 잘란브사르 스타디움, 싱가포르: 싱가포르 0-2 오만 (득점: 사이드 15', 알-파르시 45')2차전의 싱가포르 대 오만 및 시리아 대 요르단 경기는 2013년 3월 22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오만과 요르단 축구 협회의 요청에 따라 2013년 3월 26일에 열리는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 AFC 4차 예선 경기를 준비하기 위해 연기되었다.[7][26]
- 2013년 8월 15일 샤히드 다스트게르디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 시리아 1-1 요르단 (득점: 사유니 49' / 알-라함 57')시리아는 안보 문제로 인해 자국 밖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2차전의 싱가포르 대 오만 및 시리아 대 요르단 경기는 2013년 3월 22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오만과 요르단 축구 협회의 요청에 따라 2013년 3월 26일에 열리는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 AFC 4차 예선 경기를 준비하기 위해 연기되었다.[7][26][27]
- 2013년 10월 15일 잘란브사르 스타디움, 싱가포르: 싱가포르 2-1 시리아 (득점: 카이룰 62', 가브리엘 82' / 라페 89')
- 2013년 10월 15일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요르단 0-0 오만
- 2013년 11월 15일 샤히드 다스트게르디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 시리아 4-0 싱가포르 (득점: 말키 10', 알 두니 83', 자팔 86', 알 아가 90+1')시리아는 안보 문제로 인해 자국 밖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27]
- 2013년 11월 19일 샤히드 다스트게르디 스타디움, 테헤란 (이란): 시리아 0-1 오만 (득점: 알-파르시 90+1')시리아는 안보 문제로 인해 자국 밖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27]
- 2014년 1월 31일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 무스카트: 오만 0-0 요르단4차전 오만 대 요르단과 5차전 싱가포르 대 요르단 경기는 2013년 11월 15일과 19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요르단이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경기에 진출하여 2013년 11월 14일과 20일에 열리는 경기로 인해 일정이 변경되었다.[28]
- 2014년 2월 4일 잘란브사르 스타디움, 싱가포르: 싱가포르 1-3 요르단 (득점: 카이룰 84'(PK) / 바밥 44', 하이엘 58', 알-라와슈데 90+2')4차전 오만 대 요르단과 5차전 싱가포르 대 요르단 경기는 2013년 11월 15일과 19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요르단이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경기에 진출하여 2013년 11월 14일과 20일에 열리는 경기로 인해 일정이 변경되었다.[28]
- 2014년 3월 5일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요르단 2-1 시리아 (득점: 바밥 24', 61' / 크리빈 80')
- 2014년 3월 5일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 무스카트: 오만 3-1 싱가포르 (득점: 알 호스니 19', 사이드 51', 알-하사니 69' / 샤흐릴 78')
4. 2. B조
'''경기 결과'''
날짜 | 시간 | 경기장 | 팀 1 | 결과 | 팀 2 | 득점자 | 관중수 | 심판 |
---|---|---|---|---|---|---|---|---|
2013년 2월 6일 | 15:30 |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 이란 | 5 - 0 | 레바논 | 구차네자드 26′, 62′ 네쿠남 45+1′ (페널티), 61′ (페널티), 80′ | 19,733 | 니시무라 유이치 (일본) |
2013년 2월 6일 | 19:00 | 방콕 라자망갈라 국립경기장 | 태국 | 1 - 3 | 쿠웨이트 | 태국: 차나팁 76′ 쿠웨이트: 티라톤 25′ (자책골), 파델 59′, 아만 65′ | 15,000 | 사토 류지 (일본) |
2013년 3월 22일 | 17:30 |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 레바논 | 5 - 2 | 태국 | 레바논: 차이토 6′, 22′, 하이다르 31′, 마투크 72′, 오니카 90+1′ 태국: 티티판 49′, 85′ | 7,000 | 김동진 (대한민국) |
2013년 3월 26일 | 19:35 | 쿠웨이트 시티 알사다쿠아 왈살람 스타디움 | 쿠웨이트 | 1 - 1 | 이란 | 쿠웨이트: 아와드 76′ (페널티) 이란: 쇼자에이 45′ | 12,321 | 이민후 (대한민국) |
2013년 10월 15일 | 17:30 |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 레바논 | 1 - 1 | 쿠웨이트 | 레바논: 가다르 50′ 쿠웨이트: 나세르 26′ | 15,000 | 라브샨 이르마토프 (우즈베키스탄) |
2013년 10월 15일 | 19:00 |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 이란 | 2 - 1 | 태국 | 이란: 호세이니 67′, 구차네자드 70′ 태국: 티라실 80′ | 17,330 | 압둘라 발리데 (카타르) |
2013년 11월 15일 | 18:35 | 쿠웨이트 시티 알사다쿠아 왈살람 스타디움 | 쿠웨이트 | 0 - 0 | 레바논 | 11,500 | 칼릴 알 감디 (사우디아라비아) | |
2013년 11월 15일 | 19:00 | 방콕 라자망갈라 국립경기장 | 태국 | 0 - 3 | 이란 | 데자가 28′, 구차네자드 42′, 자한바흐슈 90+5′ | 7,000 | 벤 윌리엄스 (오스트레일리아) |
2013년 11월 19일 | 17:30 |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 레바논 | 1 - 4 | 이란 | 레바논: 하이다르 79′ 이란: 사데기 39′, 데자가 51′, 네쿠남 55′ (페널티), 구차네자드 65′ | 100 | 탄 하이 (중국) |
2013년 11월 19일 | 18:35 | 쿠웨이트 시티 알사다쿠아 왈살람 스타디움 | 쿠웨이트 | 3 - 1 | 태국 | 쿠웨이트: 나세르 19′, 71′, 아와드 56′ (페널티) 태국: 몽콜 68′ | 5,000 | 발렌틴 코발렌코 (우즈베키스탄) |
2014년 3월 3일 | 17:30 | 카라지 엥게랍 경기장 | 이란 | 3 - 2 | 쿠웨이트 | 이란: 카리미 2′, 파델 61′ (자책골), 안사리파드 90+1′ 쿠웨이트: 알리 18′, 알-라시디 89′ | 7,000 | 드미트리 마셴체프 (키르기스스탄) |
2014년 3월 5일 | 21:00 | 방콕 라자망갈라 국립경기장 | 태국 | 2 - 5 | 레바논 | 태국: 티라텝 23′ (페널티), 아디삭 76′ 레바논: 가다르 2′, 마투크 18′, 46′, 사드 45+1′, 안타르 63′ | 5,000 | 야마모토 유다이 (일본) |
승점이 같은 팀의 순위는 다음 순서에 따라 결정한다.[18]
# 해당 팀 간의 승점
# 해당 팀 간의 득실차
# 해당 팀 간의 득점 수 (원정 다득점 규칙은 적용하지 않음)
# 조 전체 득실차
# 조 전체 득점 수
# 최종전에서 해당 팀이 대결했을 경우, 해당 경기에서 실시하는 승부차기 승자
# 추첨
4. 3. C조
'''2013년 2월 6일'''
- 17:30 UTC+4 - 이라크 1 : 0 인도네시아 @ 알라시드 스타디움, 두바이 (아랍에미리트)[29] (관중: 3,600)
- * 득점: 유니스 마흐무드 66'
- 20:15 UTC+3 - 사우디아라비아 2 : 1 중국 @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 담맘 (관중: 20,000)
- * 득점: 파하드 알-무왈라드 23', 나이프 하자지 77' (사우디) / 자오 쉬리 29' (중국)
'''2013년 3월 22일'''
- 19:35 UTC+8 - 중국 1 : 0 이라크 @ 허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창사 (관중: 31,621)
- * 득점: 위 다바오 90+3'
'''2013년 3월 23일'''
- 19:00 UTC+7 - 인도네시아 1 : 2 사우디아라비아 @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자카르타 (관중: 75,000)
- * 득점: 보아스 솔로사 5' (인도네시아) / 유세프 알-살렘 14', 55' (사우디)
'''2013년 10월 15일'''
- 19:00 UTC+7 - 인도네시아 1 : 1 중국 @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자카르타 (관중: 500)
- * 득점: 보아스 솔로사 67' (인도네시아) / 우시 36' (중국)
- 19:30 UTC+3 - 이라크 0 : 2 사우디아라비아 @ 암만 국제경기장, 암만 (요르단)[29] (관중: 12,000)
- * 득점: 오사마 하우사위 34', 나세르 알-샴라니 78'
'''2013년 11월 15일'''
- 19:35 UTC+8 - 중국 1 : 0 인도네시아 @ 산시 성 체육장, 시안 (관중: 33,217)
- * 득점: 우 레이 45+1'
- 19:30 UTC+3 - 사우디아라비아 2 : 1 이라크 @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 담맘 (관중: 21,600)
- * 득점: 타이시르 알-자심 18', 나세르 알-샴라니 60' (사우디) / 유니스 마흐무드 45+1' (이라크)
'''2013년 11월 19일'''
- 19:00 UTC+7 - 인도네시아 0 : 2 이라크 @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자카르타 (관중: 300)
- * 득점: 함마디 아흐메드 27', 카라르 자심 32'(페널티)
- 19:35 UTC+8 - 중국 0 : 0 사우디아라비아 @ 산시 성 체육장, 시안 (관중: 36,016)
'''2014년 3월 5일'''
- 18:00 UTC+4 - 이라크 3 : 1 중국 @ 샤르자 스타디움, 샤르자 (아랍에미리트)[29] (관중: 5,000)
- * 득점: 유니스 마흐무드 23', 43', 알리 아드난 58' (이라크) / 장 시저 73'(페널티) (중국)
- 20:30 UTC+3 - 사우디아라비아 1 : 0 인도네시아 @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 담맘 (관중: 9,500)
- * 득점: 파하드 알-무왈라드 87'
4. 4. D조
득점: 이브라힘 (55'), 아흐메드 (90+3')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이란)
'''2013년 2월 6일'''
19:15 UTC+4 - 예멘 0 : 2 바레인 @ 샤르자 샤르자 스타디움 (아랍에미리트)[30] (관중: 450명)
득점: 아에쉬 (49'), 알 아메르 (85')
심판: 칼릴 알 감디 (사우디 아라비아)
'''2013년 3월 22일'''
20:45 UTC+8 - 말레이시아 2 : 1 예멘 @ 샤알람 샤알람 스타디움 (관중: 80,000명)
득점: 아잠딘 (27'), 크리릴 (80') / 알-하그리 (12')
심판: 피터 그린 (호주)
'''2013년 3월 22일'''
18:45 UTC+3 - 바레인 1 : 0 카타르 @ 리파 바레인 국립경기장 (관중: 1,950명)
득점: 아에쉬 (20')
심판: 압둘라 알 힐라리 (오만)
'''2013년 10월 13일'''
19:30 UTC+3 - 카타르 6 : 0 예멘 @ 도하 타니 빈 자심 경기장 (관중: 11,920명)
득점: 이브라힘 (4' pk, 61', 76'), 알-하이도스 (24'), 소리아 (70'), 아피프 (90+1')
심판: 발렌틴 코발렌코 (우즈베키스탄)
'''2013년 10월 15일'''
20:45 UTC+8 - 말레이시아 1 : 1 바레인 @ 샤알람 샤알람 스타디움 (관중: 6,500명)
득점: 노르샤룰 (70') / 살레 (45+1')
심판: 사토 류지 (일본)
'''2013년 11월 15일'''
17:45 UTC+3 - 바레인 1 : 0 말레이시아 @ 리파 바레인 국립경기장 (관중: 2,000명)
득점: 압둘-라티프 (72')
심판: 모센 토르키 (이란)
'''2013년 11월 15일'''
16:00 UTC+4 - 예멘 1 : 4 카타르 @ 알아인 셰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 (아랍에미리트)[30] (관중: 350명)
득점: 알-사시 (26') / 소리아 (3'), 하산 (32'), 카솔라 (54'), 제도 (68')
심판: 마라이 알 아와지 (사우디 아라비아)
'''2013년 11월 19일'''
20:45 UTC+8 - 말레이시아 0 : 1 카타르 @ 샤알람 샤알람 스타디움 (관중: 4,079명)
득점: 알-알리 (65')
심판: 김상우 (대한민국)
'''2013년 11월 19일'''
17:45 UTC+3 - 바레인 2 : 0 예멘 @ 리파 바레인 국립경기장 (관중: 600명)
득점: 살민 (2'), 아에쉬 (88')
심판: 니시무라 유이치 (일본)
'''2014년 3월 5일'''
18:25 UTC+3 - 카타르 0 : 0 바레인 @ 도하 타니 빈 자심 경기장 (관중: 12,878명)
심판: 파하드 알-미르다시 (사우디 아라비아)
'''2014년 3월 5일'''
18:00 UTC+4 - 예멘 1 : 2 말레이시아 @ 알아인 타흐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아랍에미리트)[30] (관중: 311명)
득점: 알-사로리 (60') / 암리 (16'), 파크리 (77')
심판: 발렌틴 코발렌코 (우즈베키스탄)
4. 5. E조
'''경기 결과'''
날짜 | 시간 (UTC) | 팀 1 | 결과 | 팀 2 | 득점 1 | 득점 2 | 경기장 | 관중 수 | 심판 |
---|---|---|---|---|---|---|---|---|---|
2013년 2월 6일 | 16:00 UTC+5 | 우즈베키스탄 -- | 0 – 0 | -- 홍콩 | 타슈켄트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경기장 | 16,287 | 알리 압둘나비 (바레인) | ||
2013년 2월 6일 | 18:00 UTC+7 | 베트남 -- | 1 – 2 | -- 아랍에미리트 | 후인 꾸옥 아인 59' | 칼릴 6'(pen.) 파르단 67' |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 | 7,200 | 스트레브레 델로프스키 (오스트레일리아) |
2013년 3월 22일 | 20:00 UTC+8 | 홍콩 -- | 1 – 0 | -- 베트남 | 찬 와이 호 87' | 홍콩 웡곡 경기장 | 6,639 | 압둘라흐만 압두 (카타르) | |
2013년 3월 22일 | 17:45 UTC+4 | 아랍에미리트 -- | 2 – 1 | -- 우즈베키스탄 | 칼릴 58' 마브쿠트 61' | 가도예프 16' | 아부다비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 21,357 | 탄하이 (중화인민공화국) |
2013년 10월 15일 | 20:00 UTC+8 | 홍콩 -- | 0 – 4 | -- 아랍에미리트 | 마브쿠트 30, 55, 90' 아바스 90+5' | 홍콩 홍콩 대구장 | 7,923 | 김종혁 (대한민국) | |
2013년 10월 15일 | 18:00 UTC+5 | 우즈베키스탄 -- | 3 – 1 | -- 베트남 | 라시도프 69 아우 반 호안 74(o.g.) 세르게예프 90+2' | 응우옌 쫑 호앙 77' | 타슈켄트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경기장 | 5,675 | 모흐센 토르키 (이란) |
2013년 11월 15일 | 19:30 UTC+4 | 아랍에미리트 -- | 4 – 0 | -- 홍콩 | 살레 27 아바스 40 압둘라흐만 80' 알 함마디 88' | 아부다비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 10,871 | 알리레자 파가니 (이란) | |
2013년 11월 15일 | 19:00 UTC+7 | 베트남 -- | 0 – 3 | -- 우즈베키스탄 | 쇼디예프 40 세르게예프 46 라시도프 89' |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 | 9,000 | 김종혁 (대한민국) | |
2013년 11월 19일 | 20:00 UTC+8 | 홍콩 -- | 0 – 2 | -- 우즈베키스탄 | 쇼디예프 84' 아흐메도프 89' | 홍콩 홍콩 대구장 | 5,679 |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 |
2013년 11월 19일 | 19:30 UTC+4 | 아랍에미리트 -- | 5 – 0 | -- 베트남 | 아바스 19 마타르 25 마브쿠트 31 파르단 37 칼릴 90+2' | 아부다비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 9,674 | 사토 류지 (일본) | |
2014년 3월 5일 | 17:00 UTC+5 | 우즈베키스탄 -- | 1 – 1 | -- 아랍에미리트 | 세르게예프 85' | 알 함마디 67' | 타슈켄트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 15,000 | 김상우 (대한민국) |
2014년 3월 5일 | 21:00 UTC+7 | 베트남 -- | 3 – 1 | -- 홍콩 | 후인 꾸옥 아인 24 응우옌 안 둑 68 응우옌 쫑 호앙 83' | 로 콴이 81' |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 | 5,800 | 모흐드 아미룰 이즈완 빈 야아콥 (말레이시아) |
4. 6.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각 조 3위 팀 중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할 한 팀은 다음의 규칙에 따라 결정되었다.[6]# 승점
# 골 득실차
# 다득점
# 페어플레이 점수가 가장 낮은 팀 (경고 1점, 경고 누적 퇴장 및 직접 퇴장 3점, 경고 받은 후 직접 퇴장 4점)
# 추첨
5. 본선 진출팀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는 총 16개 팀이 진출했다. 본선 진출 자격은 개최국 자동 진출, 2011년 AFC 아시안컵 성적에 따른 자동 진출, AFC 챌린지컵 우승팀 자동 진출, 그리고 예선 통과로 나뉜다. 자세한 진출팀 명단과 자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자동 진출 팀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는 총 16개 팀이 출전하며, 다음 5개 팀은 예선을 거치지 않고 본선에 자동으로 진출했다.- 개최국 및 2011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 오스트레일리아
- 2011년 AFC 아시안컵 우승: 일본
- 2011년 AFC 아시안컵 3위: 대한민국
- AFC 챌린지컵 2012 우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AFC 챌린지컵 2014 우승: 팔레스타인
개최국인 오스트레일리아는 2011년 AFC 아시안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기 때문에, 개최국 자격과 지난 대회 성적 자격이 중복되어 예선 면제 쿼터가 하나 줄었다.[12] 이에 따라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하는 팀의 수는 이전 대회보다 1팀 늘어난 11개 팀이 되었다.
5. 2. AFC 챌린지컵을 통해 진출한 팀
- 2012년 AFC 챌린지컵 우승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14년 AFC 챌린지컵 우승팀: 팔레스타인
위 두 팀은 AFC 챌린지컵 우승 자격으로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5. 3. 예선을 통해 진출한 팀
통과 방식통과 날짜
진출 횟수
진출
성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