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2022년 11월 8일에 치러진 선거로, 435개 연방 하원 의석을 선출했다. 선거구 재획정으로 인해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46개 주에서는 단순 다수결 투표, 알래스카와 메인에서는 결선 투표제가 사용되었다. 민주당과 공화당을 포함한 다양한 정당과 무소속 후보들이 출마했으며, 공화당이 하원 다수당 지위를 확보했다. 선거 결과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우편 투표 증가와 예상보다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즉시 발표되지 않았으며, 낙태 문제, 경제 상황, 유권자들의 불만 등이 선거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미국의 선거 - 2022년 미국 주지사 선거
2022년 미국 주지사 선거는 36개 주와 3개 준주에서 치러졌으며, 공화당이 민주당보다 더 많은 주지사를 배출했다. - 2022년 미국의 선거 - 2022년 미국 중간선거
2022년 미국 중간선거는 2020년 대선 이후 치러진 선거로, 인플레이션, 낙태 등 다양한 이슈들이 쟁점이 되었으며, 하원은 공화당, 상원은 민주당이 장악하고 하원 의장 선출 과정에서 공화당 내부 분열이 드러나는 등 파장을 낳았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5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50년-1851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127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며, 휘그당, 입헌통일당, 자유토지당, 주권당, 무소속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위스콘신 준주의 주 승격으로 하원 의석이 증가한 첫 선거로, 휘그당이 근소하게 승리했으며, 텍사스와 아이오와 주의 신설로 의석이 증가하는 등 의회의 정치적 역학 관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202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
---|---|
선거 개요 | |
선거 이름 | 202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국가 | 미국 |
선거 유형 | 의회 |
선거 진행 여부 | 아니오 |
이전 선거 | 202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2020년 |
선거일 | 2022년 11월 8일 |
다음 선거 | 202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2024년 |
선출 의석 수 | 435석 |
과반 의석 수 | 218석 |
주요 정당 | |
정당 1 | 공화당 |
정당 1 대표 | 케빈 매카시 |
정당 1 대표 임기 시작일 | 2019년 1월 3일 |
정당 1 이전 선거 결과 | 213석, 47.2% |
정당 1 선거 전 의석 수 | 212석 |
정당 1 획득 의석 수 | '222' |
정당 1 의석 변동 | '[[File:Increase2.svg|}|alt=}|link=|}]] 9' |
정당 1 득표율 변동 | ' 2.8%' |
정당 2 | 민주당 |
정당 2 대표 | 낸시 펠로시 |
정당 2 대표 임기 시작일 | 2003년 1월 3일 |
정당 2 이전 선거 결과 | 222석, 50.3% |
정당 2 선거 전 의석 수 | 220석 |
정당 2 획득 의석 수 | '213' |
정당 2 의석 변동 | '[[File:Decrease2.svg|}|alt=}|link=|}]] 9' |
정당 2 득표율 변동 | ' 3.0%' |
선거 결과 | |
![]() | |
지도 설명 | '[[File:Increase2.svg|}|alt=}|link=|}]] 민주당 획득 [[File:Decrease2.svg|}|alt=}|link=|}]] 민주당 유지 ' |
선거 전 하원 의장 | 낸시 펠로시 |
선거 전 하원 의장 소속 정당 | 민주당 |
선거 후 하원 의장 | 케빈 매카시 |
선거 후 하원 의장 소속 정당 | 공화당 |
총 득표수 (정당 1) | '54,227,992' |
득표율 (정당 1) | '50.0%' |
총 득표수 (정당 2) | 51,280,463 |
득표율 (정당 2) | 47.3% |
2. 선거 배경
202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2020년 미국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른 새로운 선거구 획정으로 치러졌다. 대부분의 주에서는 단순 다수결 투표 제도를 사용했지만, 알래스카, 메인, 조지아, 루이지애나 등 일부 주에서는 결선 투표제나 다른 방식을 사용했다.[139][140]
가디언은 2022년 2월 보도를 통해,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나타난 게리맨더링으로 인해 경쟁적인 하원 의석 수가 매우 적을 것이며, 이는 통치를 어렵게 하고 정치적 양극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139][140]
2. 1. 선거구 재획정
이번 하원의원 선거는 2020년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른 새로운 연방 하원 선거구 획정에 따라 치러진다. 텍사스는 2석, 콜로라도, 플로리다, 몬태나, 노스캐롤라이나, 오리건은 각각 1석씩 의석이 늘어난다. 반면, 캘리포니아, 일리노이, 미시간, 뉴욕,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 웨스트버지니아는 각각 1석씩 의석이 줄어든다.[128]2020년 미국 인구 조사 결과에 따라 인구 이동으로 인해 캘리포니아, 일리노이, 미시간, 뉴욕,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 웨스트버지니아는 각각 한 석을 잃었고, 콜로라도, 플로리다, 몬태나, 노스캐롤라이나, 오리건은 각각 한 석을 얻었으며, 텍사스는 두 석을 얻었다.[128]
3. 주요 정당 및 후보
202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는 민주당, 공화당 외에도 자유당, 녹색당 등 여러 정당과 무소속 후보들이 참여했다. 주요 정당별 후보는 다음과 같다.
주 | 선거구 | 민주당 | 공화당 | 자유당 | 녹색당 | 기타 정당/무소속 |
---|---|---|---|---|---|---|
앨라배마 | 앨라배마 제1선거구 | 무공천 | 제리 칼 | 알렉산더 렘리 | ||
앨라배마 제2선거구 | 필리스 하비홀 | 배리 무어 | 조나단 럴츠 | |||
앨라배마 제3선거구 | 린 베지 | 마이크 로저스 | 토마스 카슨 | |||
앨라배마 제4선거구 | 릭 네이버스 | 로버트 애더홀트 | 존 코크런 | |||
앨라배마 제5선거구 | 캐티 와너스탠턴 | 데일 스트롱 | 필립 그리어 | |||
앨라배마 제6선거구 | 무공천 | 개리 팔머 | 안드리아 치포 | |||
앨라배마 제7선거구 | 테리 슈얼 | 비어트리스 니콜스 | 개빈 구드먼 | |||
아칸소 | 아칸소 제2선거구 | 킨테사 하타와이 | 프렌치 힐 | 미첼 화이트 | ||
아칸소 제3선거구 | 로렌 말레헤즈 | 스티브 워맥 | 미첼 캘러지아스 | |||
아칸소 제4선거구 | 존 화이트 | 브루스 웨스터맨 | 그레고리 맥스웰 | |||
캘리포니아 | 캘리포니아 제10선거구 | 마크 디솔니어 | 무공천 | 미첼 케르 |
3. 1. 민주당 (미국)
202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총 213석을 얻어, 공화당에 이어 제2당이 되었다. 이는 이전 선거 대비 9석 감소한 결과이다. 민주당의 총 득표율은 47.3%였다.각 주별 민주당 후보 및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주 | 선거구 | 민주당 후보 | 주 | 선거구 | 민주당 후보 |
---|---|---|---|---|---|
앨라배마 | 앨라배마 제1선거구 | 무공천 | 애리조나 | 애리조나 제1선거구 | |
앨라배마 제2선거구 | 필리스 하비홀 | 애리조나 제2선거구 | 톰 오핼러런 | ||
앨라배마 제3선거구 | 린 베지 | 애리조나 제3선거구 | 루번 가이에고 | ||
앨라배마 제4선거구 | 릭 네이버스 | 애리조나 제4선거구 | 그레그 스탠턴 | ||
앨라배마 제5선거구 | 캐티 와너스탠턴 | 애리조나 제5선거구 | 하비에르 라모스 | ||
앨라배마 제6선거구 | 무공천 | 애리조나 제6선거구 | |||
앨라배마 제7선거구 | 테리 슈얼 | 애리조나 제7선거구 | 라울 그리할바 | ||
알래스카 | 알래스카 선거구 | 애리조나 제8선거구 | |||
아칸소 | 아칸소 제1선거구 | 몽트 호지스 | 애리조나 제9선거구 | ||
아칸소 제2선거구 | 킨테사 하타와이 | 캘리포니아 | 캘리포니아 제1선거구 | 맥스 스테이너 | |
아칸소 제3선거구 | 로렌 말레헤즈 | 캘리포니아 제2선거구 | 제러드 후프먼 | ||
아칸소 제4선거구 | 존 화이트 | 캘리포니아 제3선거구 | 커밋 존스 | ||
콜로라도 | 콜로라도 제1선거구 | 다이아너 디젯 | 캘리포니아 제4선거구 | 마이크 톰슨 | |
콜로라도 제2선거구 | 조 네구스 | 캘리포니아 제5선거구 | 미첼 바클리 | ||
콜로라도 제3선거구 | 애덤 프리쉬 | 캘리포니아 제6선거구 | 아미 베라 | ||
콜로라도 제4선거구 | 이케 매코클 | 캘리포니아 제7선거구 | 도리스 매추이 | ||
콜로라도 제5선거구 | 다비드 토레스 | 캘리포니아 제8선거구 | 존 가라멘디 | ||
콜로라도 제6선거구 | 제이슨 크로우 | 캘리포니아 제9선거구 | 조쉬 하더 | ||
콜로라도 제7선거구 | 브리타니 페터선 | 캘리포니아 제10선거구 | 마크 디솔니어 | ||
콜로라도 제8선거구 | 야디라 카라베오 | 캘리포니아 제11선거구 | 낸시 펠로시 | ||
코네티컷 | 코네티컷 제1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12선거구 | 바버라 리 | ||
코네티컷 제2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13선거구 | 애덤 그레이 | |||
코네티컷 제3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14선거구 | 에릭 스월웰 | |||
코네티컷 제4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15선거구 | 케빈 물린, 데이비드 캐너파 | |||
코네티컷 제5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16선거구 | 애나 에슈, 리시 쿠마르 | |||
델라웨어 | 델라웨어 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17선거구 | 로 커너 | ||
플로리다 | 플로리다 제1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18선거구 | 조 로프그린 | ||
플로리다 제2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19선거구 | 지미 파네타 | |||
플로리다 제3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20선거구 | 마리사 우드 | |||
플로리다 제4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21선거구 | 짐 코스타 | |||
플로리다 제5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22선거구 | 루디 샐러스 | |||
플로리다 제6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23선거구 | 드렉 마셜 | |||
플로리다 제7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24선거구 | 설루드 카버할 | |||
플로리다 제8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25선거구 | 라울 루이즈 | |||
플로리다 제9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26선거구 | 줄리아 브라운리 | |||
플로리다 제10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27선거구 | 크리스티 스미스 | |||
플로리다 제11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28선거구 | 주디 추 | |||
플로리다 제12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29선거구 | 토니 카르데나스, 안헬리카 두에냐스 | |||
플로리다 제13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30선거구 | 애덤 시프, 마에브 걸 | |||
플로리다 제14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31선거구 | 그레이스 나폴리타노 | |||
플로리다 제15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32선거구 | 브래드 셔먼 | |||
플로리다 제16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33선거구 | 피트 아길라르 | |||
플로리다 제17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34선거구 | 지미 고메스, 데이비드 킴 | |||
플로리다 제18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35선거구 | 노르마 토레스 | |||
플로리다 제19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36선거구 | 테드 류 | |||
플로리다 제20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37선거구 | 시드니 카믈라저, 얀 페리 | |||
플로리다 제21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38선거구 | 린다 산체스 | |||
플로리다 제22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39선거구 | 마크 터카노 | |||
플로리다 제23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40선거구 | 아지프 마무드 | |||
플로리다 제24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41선거구 | 윌 롤린스 | |||
플로리다 제25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42선거구 | 로버트 가르시아 | |||
플로리다 제26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43선거구 | 막신 워터스 | |||
플로리다 제27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44선거구 | 나네테 바라간 | |||
플로리다 제28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45선거구 | 제이 첸 | |||
조지아 | 조지아 제1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46선거구 | 로우 코레아 | ||
조지아 제2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47선거구 | 캐티 포터 | |||
조지아 제3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48선거구 | 스티븐 훌러헌 | |||
조지아 제4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49선거구 | 마이크 리빈 | |||
조지아 제5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50선거구 | 스콧 피터스 | |||
조지아 제6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51선거구 | 새러 제이콥스 | |||
조지아 제7선거구 | 캘리포니아 제52선거구 | 후안 바르가스 | |||
조지아 제8선거구 | |||||
조지아 제9선거구 | |||||
조지아 제10선거구 | |||||
조지아 제11선거구 | |||||
조지아 제12선거구 | |||||
조지아 제13선거구 | |||||
조지아 제14선거구 | |||||
하와이 | 하와이 제1선거구 | ||||
하와이 제2선거구 | |||||
아이다호 | 아이다호 제1선거구 | ||||
아이다호 제2선거구 | |||||
일리노이 | 일리노이 제1선거구 | ||||
일리노이 제2선거구 | |||||
일리노이 제3선거구 | |||||
일리노이 제4선거구 | |||||
일리노이 제5선거구 | |||||
일리노이 제6선거구 | |||||
일리노이 제7선거구 | |||||
일리노이 제8선거구 | |||||
일리노이 제9선거구 | |||||
일리노이 제10선거구 | |||||
일리노이 제11선거구 | |||||
일리노이 제12선거구 | |||||
일리노이 제13선거구 | |||||
일리노이 제14선거구 | |||||
일리노이 제15선거구 | |||||
일리노이 제16선거구 | |||||
일리노이 제17선거구 | |||||
인디애나 | 인디애나 제1선거구 | ||||
인디애나 제2선거구 | |||||
인디애나 제3선거구 | |||||
인디애나 제4선거구 | |||||
인디애나 제5선거구 | |||||
인디애나 제6선거구 | |||||
인디애나 제7선거구 | |||||
인디애나 제8선거구 | |||||
인디애나 제9선거구 | |||||
아이오와 | 아이오와 제1선거구 | ||||
아이오와 제2선거구 | |||||
아이오와 제3선거구 | |||||
아이오와 제4선거구 | |||||
캔자스 | 캔자스 제1선거구 | ||||
캔자스 제2선거구 | |||||
캔자스 제3선거구 | |||||
캔자스 제4선거구 | |||||
켄터키 | 켄터키 제1선거구 | ||||
켄터키 제2선거구 | |||||
켄터키 제3선거구 | |||||
켄터키 제4선거구 | |||||
켄터키 제5선거구 | |||||
켄터키 제6선거구 | |||||
루이지애나 | 루이지애나 제1선거구 | ||||
루이지애나 제2선거구 | |||||
루이지애나 제3선거구 | |||||
루이지애나 제4선거구 | |||||
루이지애나 제5선거구 | |||||
루이지애나 제6선거구 | |||||
메인 | 메인 제1선거구 | ||||
메인 제2선거구 | |||||
메릴랜드 | 메릴랜드 제1선거구 | ||||
메릴랜드 제2선거구 | |||||
메릴랜드 제3선거구 | |||||
메릴랜드 제4선거구 | |||||
메릴랜드 제5선거구 | |||||
메릴랜드 제6선거구 | |||||
메릴랜드 제7선거구 | |||||
메릴랜드 제8선거구 | |||||
매사추세츠 | 매사추세츠 제1선거구 | ||||
매사추세츠 제2선거구 | |||||
매사추세츠 제3선거구 | |||||
매사추세츠 제4선거구 | |||||
매사추세츠 제5선거구 | |||||
매사추세츠 제6선거구 | |||||
매사추세츠 제7선거구 | |||||
매사추세츠 제8선거구 | |||||
매사추세츠 제9선거구 | |||||
미시간 | 미시간 제1선거구 | ||||
미시간 제2선거구 | |||||
미시간 제3선거구 | |||||
미시간 제4선거구 | |||||
미시간 제5선거구 | |||||
미시간 제6선거구 | |||||
미시간 제7선거구 | |||||
미시간 제8선거구 | |||||
미시간 제9선거구 | |||||
미시간 제10선거구 | |||||
미시간 제11선거구 | |||||
미시간 제12선거구 | |||||
미시간 제13선거구 | |||||
미네소타 | 미네소타 제1선거구 | ||||
미네소타 제2선거구 | |||||
미네소타 제3선거구 | |||||
미네소타 제4선거구 | |||||
미네소타 제5선거구 | |||||
미네소타 제6선거구 | |||||
미네소타 제7선거구 | |||||
미네소타 제8선거구 | |||||
미시시피 | 미시시피 제1선거구 | ||||
미시시피 제2선거구 | |||||
미시시피 제3선거구 | |||||
미시시피 제4선거구 | |||||
미주리 | 미주리 제1선거구 | ||||
미주리 제2선거구 | |||||
미주리 제3선거구 | |||||
미주리 제4선거구 | |||||
미주리 제5선거구 | |||||
미주리 제6선거구 | |||||
미주리 제7선거구 | |||||
미주리 제8선거구 | |||||
몬태나 | 몬태나 제1선거구 | ||||
몬태나 제2선거구 | |||||
네브래스카 | 네브래스카 제1선거구 | ||||
네브래스카 제2선거구 | |||||
네브래스카 제3선거구 | |||||
네바다 | 네바다 제1선거구 | ||||
네바다 제2선거구 | |||||
네바다 제3선거구 | |||||
네바다 제4선거구 | |||||
뉴햄프셔 | 뉴햄프셔 제1선거구 | ||||
뉴햄프셔 제2선거구 | |||||
뉴저지 | 뉴저지 제1선거구 | ||||
뉴저지 제2선거구 | |||||
뉴저지 제3선거구 | |||||
뉴저지 제4선거구 | |||||
뉴저지 제5선거구 | |||||
뉴저지 제6선거구 | |||||
뉴저지 제7선거구 | |||||
뉴저지 제8선거구 | |||||
뉴저지 제9선거구 | |||||
뉴저지 제10선거구 | |||||
뉴저지 제11선거구 | |||||
뉴저지 제12선거구 | |||||
뉴멕시코 | 뉴멕시코 제1선거구 | ||||
뉴멕시코 제2선거구 | |||||
뉴멕시코 제3선거구 | |||||
뉴욕 | 뉴욕 제1선거구 | ||||
뉴욕 제2선거구 | |||||
뉴욕 제3선거구 | |||||
뉴욕 제4선거구 | |||||
뉴욕 제5선거구 | |||||
뉴욕 제6선거구 | |||||
뉴욕 제7선거구 | |||||
뉴욕 제8선거구 | |||||
뉴욕 제9선거구 | |||||
뉴욕 제10선거구 | |||||
뉴욕 제11선거구 | |||||
뉴욕 제12선거구 | |||||
뉴욕 제13선거구 | |||||
뉴욕 제14선거구 | |||||
뉴욕 제15선거구 | |||||
뉴욕 제16선거구 | |||||
뉴욕 제17선거구 | |||||
뉴욕 제18선거구 | |||||
뉴욕 제19선거구 | |||||
뉴욕 제20선거구 | |||||
뉴욕 제21선거구 | |||||
뉴욕 제22선거구 | |||||
뉴욕 제23선거구 | |||||
뉴욕 제24선거구 | |||||
뉴욕 제25선거구 | |||||
뉴욕 제26선거구 | |||||
노스캐롤라이나 | 노스캐롤라이나 제1선거구 | ||||
노스캐롤라이나 제2선거구 | |||||
노스캐롤라이나 제3선거구 | |||||
노스캐롤라이나 제4선거구 | |||||
노스캐롤라이나 제5선거구 | |||||
노스캐롤라이나 제6선거구 | |||||
노스캐롤라이나 제7선거구 | |||||
노스캐롤라이나 제8선거구 | |||||
노스캐롤라이나 제9선거구 | |||||
노스캐롤라이나 제10선거구 | |||||
노스캐롤라이나 제11선거구 | |||||
노스캐롤라이나 제12선거구 | |||||
노스캐롤라이나 제13선거구 | |||||
노스캐롤라이나 제14선거구 | |||||
노스다코타 | 노스다코타 선거구 | ||||
오하이오 | 오하이오 제1선거구 | ||||
오하이오 제2선거구 | |||||
오하이오 제3선거구 | |||||
오하이오 제4선거구 | |||||
오하이오 제5선거구 | |||||
오하이오 제6선거구 | |||||
오하이오 제7선거구 | |||||
오하이오 제8선거구 | |||||
오하이오 제9선거구 | |||||
오하이오 제10선거구 | |||||
오하이오 제11선거구 | |||||
오하이오 제12선거구 | |||||
오하이오 제13선거구 | |||||
오하이오 제14선거구 | |||||
오하이오 제15선거구 | |||||
오클라호마 | 오클라호마 제1선거구 | ||||
오클라호마 제2선거구 | |||||
오클라호마 제3선거구 | |||||
오클라호마 제4선거구 | |||||
오클라호마 제5선거구 | |||||
오리건 | 오리건 제1선거구 | ||||
오리건 제2선거구 | |||||
오리건 제3선거구 | |||||
오리건 제4선거구 | |||||
오리건 제5선거구 | |||||
오리건 제6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 펜실베이니아 제1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제2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제3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제4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제5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제6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제7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제8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제9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제10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제11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제12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제13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제14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제15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제16선거구 | |||||
펜실베이니아 제17선거구 | |||||
로드아일랜드 | 로드아일랜드 제1선거구 | ||||
로드아일랜드 제2선거구 | |||||
사우스캐롤라이나 | 사우스캐롤라이나 제1선거구 | ||||
사우스캐롤라이나 제2선거구 | |||||
사우스캐롤라이나 제3선거구 | |||||
사우스캐롤라이나 제4선거구 | |||||
사우스캐롤라이나 제5선거구 | |||||
사우스캐롤라이나 제6선거구 | |||||
사우스캐롤라이나 제7선거구 | |||||
사우스다코타 | 사우스다코타 선거구 | ||||
테네시 | 테네시 제1선거구 | ||||
테네시 제2선거구 | |||||
테네시 제3선거구 | |||||
테네시 제4선거구 | |||||
테네시 제5선거구 | |||||
테네시 제6선거구 | |||||
테네시 제7선거구 | |||||
테네시 제8선거구 | |||||
테네시 제9선거구 | |||||
텍사스 | 텍사스 제1선거구 | ||||
텍사스 제2선거구 | |||||
텍사스 제3선거구 | |||||
텍사스 제4선거구 | |||||
텍사스 제5선거구 | |||||
텍사스 제6선거구 | |||||
텍사스 제7선거구 | |||||
텍사스 제8선거구 | |||||
텍사스 제9선거구 | |||||
텍사스 제10선거구 | |||||
텍사스 제11선거구 | |||||
텍사스 제12선거구 | |||||
텍사스 제13선거구 | |||||
텍사스 제14선거구 | |||||
텍사스 제15선거구 | |||||
텍사스 제16선거구 | |||||
텍사스 제17선거구 | |||||
텍사스 제18선거구 | |||||
텍사스 제19선거구 | |||||
텍사스 제20선거구 | |||||
텍사스 제21선거구 | |||||
텍사스 제22선거구 | |||||
텍사스 제23선거구 | |||||
텍사스 제24선거구 | |||||
텍사스 제25선거구 | |||||
텍사스 제26선거구 | |||||
텍사스 제27선거구 | |||||
텍사스 제28선거구 | |||||
텍사스 제29선거구 | |||||
텍사스 제30선거구 | |||||
텍사스 제31선거구 | |||||
텍사스 제32선거구 | |||||
텍사스 제33선거구 | |||||
텍사스 제34선거구 | |||||
텍사스 제35선거구 | |||||
텍사스 제36선거구 | |||||
텍사스 제37선거구 | |||||
텍사스 제38선거구 | |||||
유타 | 유타 제1선거구 | ||||
유타 제2선거구 | |||||
유타 제3선거구 | |||||
유타 제4선거구 | |||||
버몬트 | 버몬트 선거구 | ||||
버지니아 | 버지니아 제1선거구 | ||||
버지니아 제2선거구 | |||||
버지니아 제3선거구 | |||||
버지니아 제4선거구 | |||||
버지니아 제5선거구 | |||||
버지니아 제6선거구 | |||||
버지니아 제7선거구 | |||||
버지니아 제8선거구 | |||||
버지니아 제9선거구 | |||||
버지니아 제10선거구 | |||||
버지니아 제11선거구 | |||||
워싱턴 | 워싱턴 제1선거구 | ||||
워싱턴 제2선거구 | |||||
워싱턴 제3선거구 | |||||
워싱턴 제4선거구 | |||||
워싱턴 제5선거구 | |||||
워싱턴 제6선거구 | |||||
워싱턴 제7선거구 | |||||
워싱턴 제8선거구 | |||||
워싱턴 제9선거구 | |||||
워싱턴 제10선거구 | |||||
웨스트버지니아 | 웨스트버지니아 제1선거구 | ||||
웨스트버지니아 제2선거구 | |||||
위스콘신 | 위스콘신 제1선거구 | ||||
위스콘신 제2선거구 | |||||
위스콘신 제3선거구 | |||||
위스콘신 제4선거구 | |||||
위스콘신 제5선거구 | |||||
위스콘신 제6선거구 | |||||
위스콘신 제7선거구 | |||||
위스콘신 제8선거구 | |||||
와이오밍 | 와이오밍 선거구 |
{| class="wikitable"
! 주 !! 민주당 의석수 !! 변동
|-
| 앨라배마 || 1 ||
|-
| 알래스카 || 1 || 1
|-
| 애리조나 || 3 || 2
|-
| 아칸소 || 0 ||
|-
| 캘리포니아 || 40 || 2
|-
| 콜로라도 || 5 || 1
|-
| 코네티컷 || 5 ||
|-
| 델라웨어 || 1 ||
|-
| 플로리다 || 8 || 3
|-
| 조지아 || 5 || 1
|-
| 하와이 || 2 ||
|-
| 아이다호 || 0 ||
|-
| 일리노이 || 14 || 1
|-
| 인디애나 || 2 ||
|-
| 아이오와 || 0 || 1
|-
| 캔자스 || 1 ||
|-
| 켄터키 || 1 ||
|-
| 루이지애나 || 1 ||
|-
| 메인 || 2 ||
|-
| 메릴랜드 || 7 ||
|-
| 매사추세츠 || 9 ||
|-
| 미시간 || 7 ||
|-
| 미네소타 || 4 ||
|-
| 미시시피 || 1 ||
|-
| 미주리 || 2 ||
|-
| 몬태나 || 0 ||
|-
| 네브래스카 || 0 ||
|-
| 네바다 || 3 ||
|-
| 뉴햄프셔 || 2 ||
|-
| 뉴저지
3. 2. 공화당 (미국)
202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공화당은 총 222석을 확보하여 다수당이 되었다. 이는 이전 선거 대비 9석 증가한 결과이다. 공화당은 앨라배마, 애리조나, 아칸소, 플로리다, 조지아 등 여러 주에서 의석을 유지하거나 추가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캘리포니아, 뉴욕, 텍사스 등 인구가 많은 주에서 의석을 늘렸다.주 | 전체 의석 수 | 공화당 의석 수 | 변동 |
---|---|---|---|
앨라배마 | 7 | 6 | |
애리조나 | 9 | 6 | 2 |
아칸소 | 4 | 4 | |
캘리포니아 | 52 | 12 | 1 |
플로리다 | 28 | 20 | 4 |
조지아 | 14 | 9 | 1 |
아이다호 | 2 | 2 | |
인디애나 | 9 | 7 | |
아이오와 | 4 | 4 | 1 |
캔자스 | 4 | 3 | |
켄터키 | 6 | 5 | |
루이지애나 | 6 | 5 | |
메릴랜드 | 8 | 1 | |
미시간 | 13 | 6 | 1 |
미네소타 | 8 | 4 | |
미시시피 | 4 | 3 | |
미주리 | 8 | 6 | |
몬태나 | 2 | 2 | 1 |
네브래스카 | 3 | 3 | |
네바다 | 4 | 1 | |
뉴저지 | 12 | 3 | 1 |
뉴욕 | 26 | 11 | 3 |
노스캐롤라이나 | 14 | 7 | 1 |
노스다코타 | 1 | 1 | |
오하이오 | 15 | 10 | 2 |
오클라호마 | 5 | 5 | |
오리건 | 6 | 2 | 1 |
펜실베이니아 | 17 | 8 | 1 |
사우스캐롤라이나 | 7 | 6 | |
사우스다코타 | 1 | 1 | |
테네시 | 9 | 8 | 1 |
텍사스 | 38 | 25 | 2 |
유타 | 4 | 4 | |
버지니아 | 11 | 5 | 1 |
워싱턴 | 10 | 2 | 1 |
웨스트버지니아 | 2 | 2 | 1 |
위스콘신 | 8 | 6 | 1 |
와이오밍 | 1 | 1 |
전체적으로 공화당은 50.0%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이는 민주당의 47.3%보다 높은 수치이다.
이번 선거에서는 총 20명의 공화당 하원 의원이 퇴임했으며, 이 중 8명은 다른 공직에 출마했다.[52]
3. 3. 기타 정당 및 무소속
주 | 선거구 | 자유당 | 녹색당 | 기타 정당/무소속 |
---|---|---|---|---|
앨라배마 | 앨라배마 제1선거구 | 알렉산더 렘리 | ||
앨라배마 | 앨라배마 제2선거구 | 조나단 럴츠 | ||
앨라배마 | 앨라배마 제3선거구 | 토마스 카슨 | ||
앨라배마 | 앨라배마 제4선거구 | 존 코크런 | ||
앨라배마 | 앨라배마 제5선거구 | 필립 그리어 | ||
앨라배마 | 앨라배마 제6선거구 | 안드리아 치포 | ||
앨라배마 | 앨라배마 제7선거구 | 개빈 구드먼 | ||
아칸소 | 아칸소 제2선거구 | 미첼 화이트 | ||
아칸소 | 아칸소 제3선거구 | 미첼 캘러지아스 | ||
아칸소 | 아칸소 제4선거구 | 그레고리 맥스웰 | ||
캘리포니아 | 캘리포니아 제10선거구 | 미첼 케르 |
4. 선거 결과
202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결과, 공화당이 222석, 민주당이 213석을 차지하여 공화당이 다수당이 되었다. 당초 예상을 깨고 민주당이 선전했는데, 이는 도브스 판결 이후 낙태 문제에 대한 유권자들의 우려,[10] 극단적인 성향의 공화당 후보들에 대한 반감,[11][12][13]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 부정 논란,[14] 청년층 투표율 증가[9]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코로나19 범유행 이후 우편 투표 증가와 치열한 접전으로 인해 일부 선거구에서는 결과 발표가 지연되기도 했다.[23] 특히 워싱턴 3구에서는 민주당 마리 글루센캠프 페레즈 후보가 승리할 확률이 2%에 불과하다는 예측[31]을 뒤엎고 당선되는 이변이 일어났다.[30]
민주당은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 등에서 선전하고,[33] 콜로라도와 뉴잉글랜드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뉴욕에서는 의석을 잃었다.[1] 공화당은 플로리다와 뉴욕에서 압승을 거두었다.[36][37][38]
2020년 선거구 재획정 과정에서 발생한 게리맨더링은 각 정당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공화당은 플로리다, 조지아, 텍사스, 테네시에서, 민주당은 일리노이와 뉴멕시코에서 의석을 늘렸다.[1][19]
최종적으로 공화당은 하원 다수당을 차지했지만, 그 격차는 예상보다 적었다.[46] 케빈 매카시 공화당 원내대표가 미국 하원의장에 도전했으나, 당내 일부 의원들의 반대로 인해[50][51] 2023년 1월에 치러진 2023년 미국 하원의장 선거는 1923년 이후 처음으로 첫 투표에서 의장을 선출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
총 득표율과 의석 분포는 다음과 같다.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수 |
---|---|---|---|
공화당 | 54,227,992 | 50.0% | 222 |
민주당 | 51,280,463 | 47.3% | 213 |
자유당 | 724,264 | 0.7% | - |
무소속 | 515,322 | 0.7% | - |
녹색당 | 69,802 | 0.1% | - |
헌법당 | 29,886 | 0.0% | - |
기타 정당 | 1,481,822 | 1.4% | - |
합계 | 108,443,387 | 100.0% | 435 |
주별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주명 | 영문 주명 | 선거구 수 | 민주당 | 공화당 |
---|---|---|---|---|
앨라배마 | Alabama | 7 | 1 | 6 |
알래스카 | Alaska | 1 | 1 | 0 |
애리조나 | Arizona | 9 | 3 | 6 |
아칸소 | Arkansas | 4 | 0 | 4 |
캘리포니아 | California | 52 | 40 | 12 |
콜로라도 | Colorado | 8 | 5 | 3 |
코네티컷 | Connecticut | 5 | 5 | 0 |
델라웨어 | Delaware | 1 | 1 | 0 |
플로리다 | Florida | 28 | 8 | 20 |
조지아 | Georgia | 14 | 5 | 9 |
하와이 | Hawaii | 2 | 2 | 0 |
아이다호 | Idaho | 2 | 0 | 2 |
일리노이 | Illinois | 17 | 14 | 3 |
인디애나 | Indiana | 9 | 2 | 7 |
아이오와 | Iowa | 4 | 0 | 4 |
캔자스 | Kansas | 4 | 1 | 3 |
켄터키 | Kentucky | 6 | 1 | 5 |
루이지애나 | Louisiana | 6 | 1 | 5 |
메인 | Maine | 2 | 2 | 0 |
메릴랜드 | Maryland | 8 | 7 | 1 |
매사추세츠 | Massachusetts | 9 | 9 | 0 |
미시간 | Michigan | 13 | 7 | 6 |
미네소타 | Minnesota | 8 | 4 | 4 |
미시시피 | Mississippi | 4 | 1 | 3 |
미주리 | Missouri | 8 | 2 | 6 |
몬태나 | Montana | 2 | 0 | 2 |
네브래스카 | Nebraska | 3 | 0 | 3 |
네바다 | Nevada | 4 | 3 | 1 |
뉴햄프셔 | New Hampshire | 2 | 2 | 0 |
뉴저지 | New Jersey | 12 | 9 | 3 |
뉴멕시코 | New Mexico | 3 | 3 | 0 |
뉴욕 | New York | 26 | 15 | 11 |
노스캐롤라이나 | North Carolina | 14 | 7 | 7 |
노스다코타 | North Dakota | 1 | 0 | 1 |
오하이오 | Ohio | 15 | 5 | 10 |
오클라호마 | Oklahoma | 5 | 0 | 5 |
오리건 | Oregon | 6 | 4 | 2 |
펜실베이니아 | Pennsylvania | 17 | 9 | 8 |
로드아일랜드 | Rhode Island | 2 | 2 | 0 |
사우스캐롤라이나 | South Carolina | 7 | 1 | 6 |
사우스다코타 | South Dakota | 1 | 0 | 1 |
테네시 | Tennessee | 9 | 1 | 8 |
텍사스 | Texas | 38 | 13 | 25 |
유타 | Utah | 4 | 0 | 4 |
버몬트 | Vermont | 1 | 1 | 0 |
버지니아 | Virginia | 11 | 6 | 5 |
워싱턴 | Washington | 10 | 8 | 2 |
웨스트버지니아 | West Virginia | 2 | 0 | 2 |
위스콘신 | Wisconsin | 8 | 2 | 6 |
와이오밍 | Wyoming | 1 | 0 | 1 |
종합 | ALL | 435 | 213 | 222 |
4. 1. 전체 의석수 변화
주명 | 선거구 수 | 민주당 | 공화당 |
---|---|---|---|
앨라배마 | 7 | 1 | 6 |
알래스카 | 1 | 1 | 0 |
애리조나 | 9 | 3 | 6 |
아칸소 | 4 | 0 | 4 |
캘리포니아 | 52 | 40 | 12 |
콜로라도 | 8 | 5 | 3 |
코네티컷 | 5 | 5 | 0 |
델라웨어 | 1 | 1 | 0 |
플로리다 | 28 | 8 | 20 |
조지아 | 14 | 5 | 9 |
하와이 | 2 | 2 | 0 |
아이다호 | 2 | 0 | 2 |
일리노이 | 17 | 14 | 3 |
인디애나 | 9 | 2 | 7 |
아이오와 | 4 | 0 | 4 |
캔자스 | 4 | 1 | 3 |
켄터키 | 6 | 1 | 5 |
루이지애나 | 6 | 1 | 5 |
메인 | 2 | 2 | 0 |
메릴랜드 | 8 | 7 | 1 |
매사추세츠 | 9 | 9 | 0 |
미시간 | 13 | 7 | 6 |
미네소타 | 8 | 4 | 4 |
미시시피 | 4 | 1 | 3 |
미주리 | 8 | 2 | 6 |
몬태나 | 2 | 0 | 2 |
네브래스카 | 3 | 0 | 3 |
네바다 | 4 | 3 | 1 |
뉴햄프셔 | 2 | 2 | 0 |
뉴저지 | 12 | 9 | 3 |
뉴멕시코 | 3 | 3 | 0 |
뉴욕 | 26 | 15 | 11 |
노스캐롤라이나 | 14 | 7 | 7 |
노스다코타 | 1 | 0 | 1 |
오하이오 | 15 | 5 | 10 |
오클라호마 | 5 | 0 | 5 |
오리건 | 6 | 2 | 4 |
펜실베이니아 | 17 | 9 | 8 |
로드아일랜드 | 2 | 2 | 0 |
사우스캐롤라이나 | 7 | 1 | 6 |
사우스다코타 | 1 | 0 | 1 |
테네시 | 9 | 1 | 8 |
텍사스 | 38 | 13 | 25 |
유타 | 4 | 0 | 4 |
버몬트 | 1 | 1 | 0 |
버지니아 | 11 | 6 | 5 |
워싱턴 | 10 | 8 | 2 |
웨스트버지니아 | 2 | 0 | 2 |
위스콘신 | 8 | 2 | 6 |
와이오밍 | 1 | 0 | 1 |
종합 | 435 | 213 | 222 |
202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하원 전체 435석 가운데 민주당은 213석, 공화당은 222석을 차지했다.
4. 2. 주요 격전지 및 당선자
주명 | 선거구 수 | 민주당 | 공화당 |
---|---|---|---|
앨라배마 | 7 | 1 | 6 |
알래스카 | 1 | 1 | 0 |
애리조나 | 9 | 3 | 6 |
아칸소 | 4 | 0 | 4 |
캘리포니아 | 52 | 40 | 12 |
콜로라도 | 8 | 5 | 3 |
코네티컷 | 5 | 5 | 0 |
델라웨어 | 1 | 1 | 0 |
플로리다 | 28 | 8 | 20 |
조지아 | 14 | 5 | 9 |
하와이 | 2 | 2 | 0 |
아이다호 | 2 | 0 | 2 |
일리노이 | 17 | 14 | 3 |
인디애나 | 9 | 2 | 7 |
아이오와 | 4 | 0 | 4 |
캔자스 | 4 | 1 | 3 |
켄터키 | 6 | 1 | 5 |
루이지애나 | 6 | 1 | 5 |
메인 | 2 | 2 | 0 |
메릴랜드 | 8 | 7 | 1 |
매사추세츠 | 9 | 9 | 0 |
미시간 | 13 | 7 | 6 |
미네소타 | 8 | 4 | 4 |
미시시피 | 4 | 1 | 3 |
미주리 | 8 | 2 | 6 |
몬태나 | 2 | 0 | 2 |
네브래스카 | 3 | 0 | 3 |
네바다 | 4 | 3 | 1 |
뉴햄프셔 | 2 | 2 | 0 |
뉴저지 | 12 | 9 | 3 |
뉴멕시코 | 3 | 3 | 0 |
뉴욕 | 26 | 15 | 11 |
노스캐롤라이나 | 14 | 7 | 7 |
노스다코타 | 1 | 0 | 1 |
오하이오 | 15 | 5 | 10 |
오클라호마 | 5 | 0 | 5 |
오리건 | 6 | 4 | 2 |
펜실베이니아 | 17 | 9 | 8 |
로드아일랜드 | 2 | 2 | 0 |
사우스캐롤라이나 | 7 | 1 | 6 |
사우스다코타 | 1 | 0 | 1 |
테네시 | 9 | 1 | 8 |
텍사스 | 38 | 13 | 25 |
유타 | 4 | 0 | 4 |
버몬트 | 1 | 1 | 0 |
버지니아 | 11 | 6 | 5 |
워싱턴 | 10 | 8 | 2 |
웨스트버지니아 | 2 | 0 | 2 |
위스콘신 | 8 | 2 | 6 |
와이오밍 | 1 | 0 | 1 |
종합 | 435 | 213 | 222 |
202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결과, 공화당이 222석, 민주당이 213석을 차지하여 공화당이 다수당이 되었다.
다음은 은퇴, 다른 선거 출마, 또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은퇴한 현직 의원 목록이다.
- 앨라배마 5선거구: 모 브룩스는 미국 상원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은퇴했다.[83]
- 캘리포니아 22선거구: 코니 콘웨이가 은퇴했다.[84]
- 조지아 10선거구: 조디 하이스는 조지아 주 국무장관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은퇴했다.[85]
- 일리노이 16선거구: 애덤 킨징어가 은퇴했다.[86]
- 인디애나 9선거구: 트레이 홀링스워스가 은퇴했다.[87]
- 미시간 6선거구: 프레드 업턴이 은퇴했다.[88]
- 미주리 4선거구: 비키 하르츨러는 미국 상원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은퇴했다.[89]
- 미주리 7선거구: 빌리 롱은 미국 상원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은퇴했다.[90]
- 뉴욕 1선거구: 리 젤딘은 뉴욕 주지사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은퇴했다.[91]
- 뉴욕 23선거구: 조 샘폴린스키가 은퇴했다.[92]
- 뉴욕 24선거구: 존 카트코가 은퇴했다.[93]
- 뉴욕 27선거구: 크리스 제이콥스가 은퇴했다.[94]
- 노스캐롤라이나 13선거구: 테드 버드는 미국 상원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은퇴했다.[95]
- 오하이오 7선거구: 밥 깁스가 은퇴했다.[96]
- 오하이오 16선거구: 앤서니 곤잘레스가 은퇴했다.[97]
- 오클라호마 2선거구: 마크웨인 멀린은 미국 상원 특별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은퇴했다.[98]
- 펜실베이니아 12선거구: 프레드 켈러가 은퇴했다.[99]
- 텍사스 1선거구: 루이 고머트는 텍사스 법무장관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은퇴했다.[100]
- 텍사스 3선거구: 밴 테일러는 불륜을 인정하고 은퇴했다.[101]
- 텍사스 8선거구: 케빈 브래디가 은퇴했다.[102]
다음은 선거구 재조정으로 인해 여러 선거구가 합쳐져 재선에 도전하는 현직 하원 의원이 여러 명인 선거구 목록이다.
- 플로리다 2선거구: 닐 던 (공화)이 알 로슨 (민주)을 꺾었다.[129]
- 조지아 7선거구: 루시 맥베스 (민주)가 캐롤린 보르도 (민주)를 꺾었다.[130]
- 일리노이 6선거구: 숀 캐스텐 (민주)이 마리 뉴먼 (민주)을 꺾었다.[131]
- 일리노이 15선거구: 메리 밀러 (공화)가 로드니 데이비스 (공화)를 꺾었다.[132]
- 미시간 11선거구: 헤일리 스티븐스 (민주)가 앤디 레빈 (민주)을 꺾었다.[133]
- 뉴욕 12선거구: 제리 내들러 (민주)가 캐롤린 말로니 (민주)를 꺾었다.[134]
- 텍사스 34선거구: 비센테 곤잘레스 (민주)가 마이라 플로레스 (공화)를 꺾었다.[135]
- 웨스트버지니아 2선거구: 알렉스 무니 (공화)가 데이비드 매킨리 (공화)를 꺾었다.[136]
다음은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와 해당 지역구 현직 의원의 정당이 다른 하원 의석 목록이다. (2020년 선거 결과는 선거구 재조정을 반영한 새로운 지역구 경계 기준)[138]
'''2020년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에게 투표했지만 민주당 현직 의원이 당선된 선거구'''
- 알래스카 전 지역구: 트럼프 +10.1, 메리 펠톨라 (민주) 재선 성공
- 애리조나 2: 트럼프 +7.9, 톰 오할러런 (민주) 재선 실패
- 아이오와 3: 트럼프 +0.3, 신디 악스네 (민주) 재선 실패
- 메인 2: 트럼프 +6.1, 자레드 골든 (민주) 재선 성공
- 오하이오 9: 트럼프 +2.9, 마시 캡터 (민주) 재선 성공
- 펜실베이니아 8: 트럼프 +2.9, 매트 카트라이트 (민주) 재선 성공
'''2020년 조 바이든에게 투표했지만 공화당 현역 의원이 당선된 지역구'''
- 애리조나 1: 바이든 +1.5, 데이비드 슈바이커트 (공화) 재선 성공
- 캘리포니아 22: 바이든 +12.9, 데이비드 발라다오 (공화) 재선 성공
- 캘리포니아 27: 바이든 +12.4, 마이크 가르시아 (공화) 재선 성공
- 캘리포니아 40: 바이든 +1.9, 영 김 (공화) 재선 성공
- 캘리포니아 45: 바이든 +6.2, 미셸 스틸 (공화) 재선 성공
- 네브래스카 2: 바이든 +6.3, 돈 베이컨 (공화) 재선 성공
- 뉴멕시코 2: 바이든 +5.9, 이베트 헤럴 (공화) 재선 실패
- 오하이오 1: 바이든 +8.5, 스티브 샤보 (공화) 재선 실패
- 펜실베이니아 1: 바이든 +4.6, 브라이언 피츠패트릭 (공화) 재선 성공
- 텍사스 34: 바이든 +15.7, 마이라 플로레스 (공화) 재선 실패
74개의 선거구에서 득표율 차이가 10% 이하로 결정되었다.
선거구 | 당선자 | 득표율 차이 |
---|---|---|
콜로라도 3 | 공화당 | 0.17% |
캘리포니아 13 | 공화당 | 0.42% |
미시간 10 | 공화당 | 0.49% |
뉴욕 17 | 공화당 (당적 변경) | 0.64% |
콜로라도 8 | 민주당 | 0.69% |
아이오와 3 | 공화당 (당적 변경) | 0.69% |
뉴멕시코 2 | 민주당 (당적 변경) | 0.70% |
코네티컷 5 | 민주당 | 0.79% |
워싱턴 3 | 민주당 (당적 변경) | 0.83% |
애리조나 1 | 공화당 | 0.88% |
뉴욕 22 | 공화당 | 0.98% |
뉴욕 18 | 민주당 | 1.35% |
애리조나 6 | 공화당 (당적 변경) | 1.50% |
뉴욕 19 | 공화당 (당적 변경) | 1.56% |
펜실베이니아 7 | 민주당 | 1.97% |
오리건 5 | 공화당 (당적 변경) | 2.08% |
펜실베이니아 8 | 민주당 | 2.45% |
오리건 6 | 민주당 | 2.45% |
캘리포니아 34 | 민주당 | 2.49% |
네브래스카 2 | 공화당 | 2.67% |
뉴저지 7 | 공화당 (당적 변경) | 2.80% |
캘리포니아 22 | 공화당 | 3.05% |
몬태나 1 | 공화당 | 3.16% |
노스캐롤라이나 13 | 민주당 | 3.19% |
버지니아 2 | 공화당 (당적 변경) | 3.41% |
캘리포니아 47 | 민주당 | 3.43% |
뉴욕 4 | 공화당 (당적 변경) | 3.59% |
위스콘신 3 | 공화당 (당적 변경) | 3.70% |
로드아일랜드 2 | 민주당 | 3.71% |
네바다 3 | 민주당 | 3.97% |
일리노이 17 | 민주당 | 3.97% |
버지니아 7 | 민주당 | 4.66% |
캘리포니아 41 | 공화당 | 4.69% |
노스캐롤라이나 1 | 민주당 | 4.74% |
플로리다 23 | 민주당 | 4.76% |
캘리포니아 45 | 공화당 | 4.83% |
네바다 4 | 민주당 | 4.83% |
미네소타 2 | 민주당 | 5.23% |
캘리포니아 49 | 민주당 | 5.26% |
오하이오 13 | 민주당 | 5.35% |
미시간 7 | 민주당 | 5.42% |
오하이오 1 | 민주당 (당적 변경) | 5.52% |
네바다 1 | 민주당 | 5.61% |
인디애나 1 | 민주당 | 5.68% |
메인 2 | 민주당 | 6.10% |
캘리포니아 27 | 공화당 | 6.48% |
버지니아 10 | 민주당 | 6.51% |
펜실베이니아 17 | 민주당 | 6.78% |
아이오와 1 | 공화당 | 6.81% |
워싱턴 8 | 민주당 | 6.87% |
플로리다 9 | 민주당 | 7.27% |
캘리포니아 3 | 공화당 | 7.30% |
오리건 4 | 민주당 | 7.48% |
뉴욕 3 | 공화당 (당적 변경) | 7.53% |
펜실베이니아 10 | 공화당 | 7.67% |
뉴욕 25 | 민주당 | 7.74% |
애리조나 2 | 공화당 (당적 변경) | 7.74% |
플로리다 13 | 공화당 (당적 변경) | 8.08% |
뉴햄프셔 1 | 민주당 | 8.13% |
아이오와 2 | 공화당 | 8.25% |
일리노이 14 | 민주당 | 8.32% |
캘리포니아 21 | 민주당 | 8.36% |
텍사스 15 | 공화당 | 8.48% |
텍사스 34 | 민주당 | 8.50% |
일리노이 6 | 민주당 | 8.72% |
노스캐롤라이나 6 | 민주당 | 8.85% |
위스콘신 1 | 공화당 | 8.91% |
캘리포니아 26 | 민주당 | 9.06% |
노스캐롤라이나 11 | 공화당 | 9.28% |
메릴랜드 6 | 민주당 | 9.58% |
캘리포니아 9 | 민주당 | 9.63% |
펜실베이니아 1 | 공화당 | 9.73% |
알래스카 전 지역구 | 민주당 | 9.93% |
조지아 2 | 민주당 | 9.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