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37년은 연호, 기년, 사건, 탄생, 사망 등을 다루는 해이다. 중국에서는 유송 원가 14년, 북위 태연 3년, 북량 승화 5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아이티우스의 서고트족과의 평화 조약,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서로마 제국 황제 즉위, 테오도시우스 2세와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딸 리키니아 에우독시아의 결혼, 왈롭 전투, 키니치 야크 쿠크 모의 사망,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의 교황 권리 침해 시도 등이 있다. 이 해에는 신라 지증왕, 살리안 프랑크족의 힐데리크 1세, 랭스 대주교 생 레미지우스가 태어났으며, 북량의 리징수 공주가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437년 | |
---|---|
개요 | |
연도 | 437년 |
세기 | 5세기 |
문화 | |
DOS 코드 페이지 | 코드 페이지 437 |
2. 연호
3. 기년
- 간지 : 정축
- 일본
- * 윤공황제 26년
- * 황기 1097년
- 중국
- * 송 : 원가 14년
- * 북위: 태연 3년
- * 북량: 승화 5년
- 조선
- * 고구려 : 장수왕 25년
- * 백제 : 비유왕 11년
- * 신라 : 눌지한국어왕 21년
- * 단기 2770년
- 불멸기원 : 980년 - 981년
- 유대력 : 4197년 - 4198년
유송 문제(文帝) 14년 및 북위 태무제(太武帝) 14년은 원본 문서의 내용에 따라 추가했다.
4. 사건
아이티우스(Flavius Aetius)는 남부 갈리아(Gaul)의 나르본(Narbonne)을 포위 공격한 테오도릭 1세(Theodoric I)로부터 방어하고 서고트족(Visigoths)과 평화 조약을 체결한 뒤 두 번째로 집정관이 되었다.[1]
7월 2일, 18세의 발렌티니아누스 3세(Valentinian III)가 서로마 제국의 황제로 통치하게 되었다. 그의 어머니 갈라 플라키디아(Galla Placidia)는 섭정을 끝냈지만, 450년에 사망할 때까지 계속해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1]
10월 29일,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동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Theodosius II)와의 정치 동맹을 굳히기 위해 딸 리키니아 에우독시아(Licinia Eudoxia)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결혼했다. 이는 테오도시우스 왕가(Theodosian dynasty)의 두 분파의 가족 재회를 의미한다.[1]
왈롭 전투(Battle of Wallop)에서 롬브리튼(Romano-British)의 지도자 암브로시우스 아우렐리아누스(Ambrosius Aurelianus)가 보르티게른(Vortigern) 왕 지휘하의 앵글로색슨족(Anglo Saxons)을 패배시켰다. 그는 『브리타니아 역사』(Historia Brittonum)에 따르면 영국(Great Britain) 서쪽의 모든 왕국을 얻었다.[1]
키니치 야크 쿠크 모가 11년의 통치 후 사망하였다. 그는 콜럼버스 이전 마야 문명의 창시자이자 코판(현대 온두라스)를 중심으로 한 최초의 통치자이다.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가 이탈리아에서 교황의 권리를 침해하려 시도하였다. 프로클루스는 공의회의 결정을 이행하려 하였으나, 교황 식스투스 3세는 일리리아 주교들에게 테살로니키에 있는 자신의 대리인에 대한 의무를 상기시켰다.
4. 1. 유럽
아이티우스(Flavius Aetius)는 남부 갈리아(Gaul)의 나르본(Narbonne)을 포위 공격한 테오도릭 1세(Theodoric I)로부터 방어하고 서고트족(Visigoths)과 평화 조약을 체결한 뒤 두 번째로 집정관이 되었다.[1]7월 2일, 18세의 발렌티니아누스 3세(Valentinian III)가 서로마 제국의 황제로 통치하게 되었다. 그의 어머니 갈라 플라키디아(Galla Placidia)는 섭정을 끝냈지만, 450년에 사망할 때까지 계속해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1]
10월 29일,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동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Theodosius II)와의 정치 동맹을 굳히기 위해 딸 리키니아 에우독시아(Licinia Eudoxia)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결혼했다. 이는 테오도시우스 왕가(Theodosian dynasty)의 두 분파의 가족 재회를 의미한다.[1]
왈롭 전투(Battle of Wallop)에서 롬브리튼(Romano-British)의 지도자 암브로시우스 아우렐리아누스(Ambrosius Aurelianus)가 보르티게른(Vortigern) 왕 지휘하의 앵글로색슨족(Anglo Saxons)을 패배시켰다. 그는 『브리타니아 역사』(Historia Brittonum)에 따르면 영국(Great Britain) 서쪽의 모든 왕국을 얻었다.[1]
4. 2. 메소아메리카
키니치 야크 쿠크 모가 11년의 통치 후 사망하였다. 그는 콜럼버스 이전 마야 문명의 창시자이자 코판(현대 온두라스)를 중심으로 한 최초의 통치자이다.4. 3. 종교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가 이탈리아에서 교황의 권리를 침해하려 시도하였다. 프로클루스는 공의회의 결정을 이행하려 하였으나, 교황 식스투스 3세는 일리리아 주교들에게 테살로니키에 있는 자신의 대리인에 대한 의무를 상기시켰다.5. 문화
wikitext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6. 탄생
7. 사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