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4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4리그는 2020년 출범한 대한민국의 세미프로 축구 리그로, 한국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4부 리그에 해당한다. 2015년 대한축구협회의 발표에 따라 기존의 내셔널리그와 K3리그를 통합하여 출범했으며, K3리그와 K4리그 간의 승강제를 시행한다. K리그 클럽의 2군 팀도 참가할 수 있으며, 상위팀은 K3리그로 승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축구 4부 리그 - K3리그 어드밴스
K3리그 어드밴스는 2017년 K3리그 분리 후 출범한 대한민국 4부 축구 리그로, 2016년 K3리그 상위 12개 팀이 참가하여 수도권에 구단이 집중되어 있으며 포천 시민축구단이 최다 우승팀이고 K4리그로 강등될 수 있다. - 아시아의 축구 4부 리그 - 일본 풋볼 리그
일본 풋볼 리그는 1999년 J2리그 출범 후 일본 축구 리그 시스템의 4부 리그에 해당하며, 기존 JFL 클럽 중 일부는 J1리그에서 경쟁하기도 했고, 2019년부터 단일 리그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아마추어 축구 리그이다. - 2020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K3리그
K3리그는 대한민국 3부 축구 리그로, 2007년 아마추어 리그로 시작하여 2020년 내셔널리그와 통합되었으며, K4리그와의 승강제와 더불어 향후 K리그2와의 승강제 도입을 계획하고, 홈 앤 어웨이 방식의 리그전을 기본으로 다양한 구단들이 참가한다. - 2020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세군다 페데라시온
세군다 페데라시온은 스페인 축구 리그 시스템의 4부 리그로서, 2021-22 시즌부터 기존 세군다 디비시온 B가 개편되어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90개 팀이 5개 그룹으로 나뉘어 경쟁하고, 각 그룹 우승팀은 프리메라 페데라시온으로 승격, 하위 팀들은 테르세라 페데라시온으로 강등된다. - 대한민국의 프로 스포츠 리그 - KBO 리그
KBO 리그는 1982년 출범한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리그로, 초기 6개 구단에서 현재 10개 구단이 단일 리그 체제로 운영되며 포스트시즌을 통해 우승팀을 가리고 올스타전이 개최된다. - 대한민국의 프로 스포츠 리그 - K3리그
K3리그는 대한민국 3부 축구 리그로, 2007년 아마추어 리그로 시작하여 2020년 내셔널리그와 통합되었으며, K4리그와의 승강제와 더불어 향후 K리그2와의 승강제 도입을 계획하고, 홈 앤 어웨이 방식의 리그전을 기본으로 다양한 구단들이 참가한다.
K4리그 | |
---|---|
기본 정보 | |
이름 | K4리그 |
로마자 표기 | K4 Rigeu |
한글 표기 | K4리그 |
국가 | 대한민국 |
창립 | 2020년 |
주최 | 대한축구협회 |
리그 등급 | 4부 |
참가 팀 수 | 12 |
승격 | K3리그 |
강등 | 없음 |
국내 컵 | 한국 FA컵 |
현재 시즌 | 2024 |
웹사이트 | kfa.or.kr |
리그 정보 | |
대륙 연맹 | AFC |
주관 단체 | 대한축구협회 |
리그 시스템 | 대한민국 축구 리그 시스템 |
시즌 정보 | |
최근 우승 팀 | 전북 현대 모터스 B |
최다 우승 팀 | 파주 시민 포천 시민 고양 KH 여주 FC 전북 현대 모터스 B |
최다 우승 횟수 | 각 1회 |
중계 정보 | |
텔레비전 | 네이버 스포츠 STN 스포츠 아프리카TV |
2. 역사
2015년 12월 대한축구협회는 내셔널리그와 K3리그를 통합하여 프로 및 세미프로 축구인 K리그1, K리그2, K3리그, K4리그와 아마추어 축구 간의 승강제를 위한 새로운 아마추어 리그를 2020년까지 출범한다고 밝혔다.[8] 2017년부터 K3리그는 2개의 리그로 나뉘어 승강제를 시행하였다.
2020년 K4리그는 대한민국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4부 리그 역할을 하며, 실업 리그 최상위였던 내셔널리그와 K3리그를 통합하여 K3리그와 K4리그로 재편되어 출범하였다. 2019년 12월, K4리그는 기존 K3리그의 K3리그 어드밴스 및 K3리그 베이직 참가 11개 팀과 신규 창단팀 FC 남동, 진주시민축구단을 포함하여 총 13개 팀으로 구성되는 것이 확정되었다.[9]
2. 1. 출범 배경 (2015-2019)
2015년 12월 대한축구협회는 2020년까지 내셔널리그와 K3리그를 통합하여 프로축구인 K리그1, K리그2, 세미프로축구인 K3리그, K4리그, 그리고 아마추어 축구와의 승강제를 위해 새로운 아마추어리그를 출범한다고 밝혔다.[8] 2017년부터 K3리그가 2개의 리그로 나뉘어 승강제를 시행하였다.2020년 K4리그는 대한민국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4부 역할이자 실업 리그의 최상위 리그였던 내셔널리그와 K3리그를 통합하여 K3리그와 K4리그로 재편되어 출범하였다. 2019년 12월 K4리그는 기존 K3리그의 K3리그 어드밴스와 K3리그 베이직에 참가하던 11개 팀과 신규 창단팀인 FC 남동과 진주시민축구단이 더해져 총 13개 팀으로 꾸려지는 것이 확정되었다.[9]
2019년 시즌 종료 후 한국 축구 리그의 리브랜딩이 진행되면서 기존의 K3리그 베이직(아마추어 리그)이 폐지되고, 그 대안으로 세미프로 리그인 K4리그가 창설되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의 K3리그 어드밴스와 K3리그 베이직과 마찬가지로, K3리그와 K4리그 사이에 승강이 이루어진다.
2. 2. K4리그 출범과 초기 (2020-2022)
2020년 K4리그는 대한민국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4부 역할이자 실업 리그의 최상위 리그였던 내셔널리그와 K3리그를 통합하여 K3리그와 K4리그로 재편되어 출범하였다. 2019년 12월 K4리그는 기존 K3리그의 K3리그 어드밴스와 K3리그 베이직에 참가하던 11개 팀과 신규 창단팀인 FC 남동과 진주시민축구단이 더해져 총 13개 팀으로 꾸려지는 것이 확정되었다.[9] 2019년 시즌 종료 후 한국 축구 리그의 리브랜딩이 진행되면서 기존의 K3리그 베이직(아마추어 리그)이 폐지되고, 그 대안으로 세미프로 리그인 K4리그가 창설되었다. 기존 K3리그 어드밴스의 5팀과 기존 K3리그 베이직의 6팀, 그리고 신설된 2팀이 K4리그에 참가하여 총 13개 팀으로 첫 시즌이 개최되었다. 시즌 종료 후 이천시민축구단이 재정난으로 인해 해산했다.2021년 시즌부터 젊은 선수 육성을 목표로, 기존에는 K리그 클럽의 리저브팀이 R리그에만 참가할 수 있었던 것과 달리 K4리그 신규 참가가 허용되었다(K3리그 승격도 가능). 이에 따라 강원 FC B가 이 시즌부터 참가했고, 다른 3팀이 신규로 참가했다. 1팀이 해산하여 총 16팀으로 리그전이 진행되었다. K3리그의 김포 FC가 다음 해부터 K리그2 참가가 승인되었기 때문에, K4리그 3위와 4위 팀이 승격 플레이오프를 치러 승자는 K3리그로 승격했다.
2022년에는 새롭게 K리그 클럽의 2군 팀 3팀(전북 현대 모터스 B, 대구 FC B, 대전 하나 시티즌 B)이 참가했다. 3팀이 K3리그로 승격하고 1팀이 K3리그에서 강등되었기 때문에, 총 17팀으로 리그 경기가 진행되었다. 이 시즌에는 출전 불가능한 선수를 기용한 부정 행위가 발생하여, 양평 FC, FC 남동, FC 충주가 각각 3경기, 7경기, 12경기씩 몰수패 처리되었다.[5] 또한, FC 남동은 7경기를 남겨두고 시즌 중반에 해산되었다.[6] 이 시즌에는 K3리그의 천안시티 FC와 충북 청주 FC가 K리그2에 참가했기 때문에 승강 플레이오프는 없어졌다. 리그 우승을 차지한 고양 KH FC가 시즌 종료 후 해산되었기 때문에, 2위 양평 FC와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춘천시민FC 2팀이 K3리그에 승격했다.
2. 3. 변화와 안정화 (2023-현재)
2023년 시즌까지는 각 팀이 두 번씩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리그를 진행했다. 상위 2팀은 K3리그로 자동 승격하고, 3위와 4위 팀은 승격 플레이오프를 거쳐 승자는 K3리그 14위 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참가팀이 줄어든 2024년 시즌에는 승격 플레이오프 없이 리그 3위 팀이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2022 시즌에는 K리그 클럽의 2군 팀 3팀(전북 현대 모터스 B, 대구 FC B, 대전 하나 시티즌 B)이 새로 참가했다. 3팀이 K3리그로 승격하고 1팀이 K3리그에서 강등되었기 때문에, 총 17팀으로 리그 경기가 진행되었다. 이 시즌에는 출전 불가능한 선수를 기용한 부정 행위가 발생하여, 양평 FC, FC 남동, FC 충주(충주시민FC)가 각각 3경기, 7경기, 12경기씩 몰수패 처리되었다.[5] 또한, FC 남동은 7경기를 남겨두고 시즌 중반에 해산되었다.[6] K3리그의 천안시티FC와 충북청주FC가 K리그2에 참가했기 때문에 승강 플레이오프는 없어졌다. 리그 우승을 차지한 고양 KH FC가 시즌 종료 후 해산되었기 때문에, 2위 양평 FC와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춘천시민FC 2팀이 K3리그에 승격했다.
2023 시즌에는 부산 아이파크의 리저브팀인 부산 아이파크 퓨처스(가칭), FC 세종(세종 바네스에서 개명), 고양 해피니스 FC(가칭)가 신규 참가했다. 충주시민FC는 FC 충주로 개편되었다. 처음에는 총 17개 팀으로 리그전을 치렀으나, 시즌 3분의 2를 소화하기 전에 고양 해피니스 FC(가칭)가 재정난으로 인해 철수했기 때문에, 해당 클럽과 관련된 모든 성적은 공식 기록에서 삭제되었다. 대구 FC B가 리그 2위로 시즌을 마치며 K리그 클럽의 리저브팀으로는 처음으로 K3리그 승격을 달성했다.
2024 시즌에는 남양주 FC(가칭)의 신규 참가가 인정된 반면, K3리그에서 유일하게 강등된 양주시민축구단(가칭)이 같은 시즌 참가를 보류했고, K리그 클럽의 리저브 2팀(강원 FC B와 부산 아이파크 퓨처스)이 해산했기 때문에, 총 13개 팀으로 리그전이 진행되었다. 상위 2팀이 자동 승격하고, 3위 팀이 K3리그 14위 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할 예정이었으나, K4리그 2위를 차지한 대전 하나 시티즌 B가 시즌 종료 후 해산을 결정했기 때문에, K3리그 자동 강등은 최하위 팀만 적용되었고, 승강 플레이오프는 K3리그 15위 팀과의 대결이 되었다. 이 결과, K4리그 우승팀 전북 현대 모터스 B가 K3리그로 승격했고, 대구 FC B는 1년 만에 K4리그로 강등되었다. 대전 하나 시티즌 B 외에 전주 시민축구단과 FC 세종이 시즌 종료 후 해산했다.
3. 리그 구성
K4리그에 참가하는 모든 클럽은 홈 앤 어웨이 시즌을 치른다. K3리그와 K4리그 사이에는 승강제가 존재하지만,[1] K4리그와 아마추어 리그인 K5리그 사이에는 승강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K3리그로 직접 승격될 수 있으며, 3위와 4위 팀은 승격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 진출한다.
4. 2025 시즌 참가팀
세종시청 종합운동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