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BS TV 문학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 TV 문학관은 한국 문학 작품을 드라마로 제작하여 방영한 프로그램으로, 1979년 '문예극장'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과 형식의 변화를 거쳐왔다. 1980년부터 1987년까지의 1기는 TV 문학관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 작품을 드라마로 제작했다. 이후 '드라마 초대석', '논픽션 드라마', 'TV 문예극장', '신 TV 문학관', 'TV 문학관 2기', 'HD TV 문학관', '2011 TV 문학관' 등으로 이어졌으며, 2023년에는 공영방송 50주년 특집으로 과거 작품들을 재방송하기도 했다.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다루었으며, 고화질(HD) 제작을 시도하는 등 영상미를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외등'은 2006년 골든 체스트상 TV 영화 부문 동상을 수상했으며, 2005년 KBS 연기대상에서 특집 단막극 연기상을 수상했다.

2. 프로그램 역사

KBS TV 문학관은 여러 차례 명칭과 형식 변경을 거듭하며 한국 문학 드라마의 발전을 이끌어왔다.

KBS TV 문학관한국어의 전신인 '문예극장'은 1979년부터 1980년까지 방영되며 한국 단편 문학 드라마 제작의 초석을 다졌다.

1979년 4월 13일 김동인 원작의 배따라기를 시작으로, 김유정 원작의 봄 봄, 주요섭 원작의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나도향 원작의 벙어리 삼룡이 등이 방영되었다. 현진건 원작의 빈처는 1979년 5월 11일에 방영되었으며,

20px
https://www.youtube.com/watch?v=UlnKNhtVIlY 빈처에서 볼 수 있다. 정비석 원작의 성황당, 유진오 원작의 창랑정기 등이 이어졌다.

김이석의 학춤은 1979년 6월 1일에 방영되었고, https://www.youtube.com/watch?v=3T6W2-AD_G0 학춤에서 볼 수 있다. 오영수 원작의 메아리, 김동리 원작의 역마, 박종화 원작의 아랑의 정조 등이 계속해서 방영되었다. 황순원의 잃어버린 사람들, 이상 원작의 날개, 계용묵 원작의 백치 아다다 등이 방영되었다. 백치 아다다는 1979년 7월 20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ZUIstk4POjw 백치 아다다에서 볼 수 있다.

김정한 원작의 수라도, 이광수 원작의 유정, 염상섭 원작의 표본실의 청개구리 등이 방영되었다. 표본실의 청개구리는 1979년 8월 24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r1lrjEbA3aw 표본실의 청개구리에서 볼 수 있다. 최정희 원작의 바다, 이무영 원작의 제1과 제1장 등이 이어졌다. 제1과 제1장은 1979년 9월 14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7zYH0O0TTkc 제1과 제1장에서 볼 수 있다.

안수길 원작의 취국, 최인욱 원작의 월하취적도 등이 방영되었다. 월하취적도는 1979년 9월 28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7zJW467hnlk 월하취적도에서 볼 수 있다. 이효석 원작의 메밀꽃 필 무렵은 1979년 10월 5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wn9dhuTPPsw 메밀꽃 필 무렵에서 볼 수 있다. 채만식 원작의 순공있는 일요일, 강신재 원작의 절벽 등이 이어졌다. 절벽은 1979년 10월 19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dFLBw8DP9nl 절벽에서 볼 수 있다.

손소희 원작의 그날의 햇빛은은 1979년 10월 26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MyA1GePFd9s 그날의 햇빛은에서 볼 수 있다. 곽하신 원작의 여명의 곡, 장덕조 원작의 함성, 박화성 원작의 샌님 마님 등이 방영되었다. 손창섭 원작의 잉여인간은 1979년 12월 7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17P8FRk2ZM 잉여인간에서 볼 수 있다.

정한숙 원작의 전황당 인보기는 1979년 12월 14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1LP9J-l84N4 전황당 인보기에서 볼 수 있다. 허윤석 원작의 길주막은 1979년 12월 21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yZVFocBjVbA 길주막에서 볼 수 있다. 박영준 원작의 체취는 1979년 12월 28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TSKaVlFSTpk 체취에서 볼 수 있다.

1980년에는 이종환 원작의 사도전서, 오유권 원작의 소문, 박경수 원작의 작은 왕국 등이 방영되었다. 하근찬 원작의 흰 종이 수염은 1980년 2월 8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NE09HGhrw8w 흰 종이 수염에서 볼 수 있다. 임옥인 원작의 후처기, 장용학 원작의 지동설 등이 이어졌다. 지동설은 1980년 2월 22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GU6AkEmRj3E 지동설에서 볼 수 있다.

서기원 원작의 둔주는 1980년 3월 7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tV7NQNsbWCo 둔주에서 볼 수 있다. 이병주 원작의 쥘부채는 1980년 3월 14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rW63cs-oos8 쥘부채에서 볼 수 있다. 방기환 원작의 뱀딸기, 전영택 원작의 화수분 등이 방영되었다.

박완서 원작의 도둑맞은 가난은 1980년 4월 11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4EF2Wb_3Bpg 도둑맞은 가난에서 볼 수 있다. 김동인 원작의 곰네는 1980년 5월 9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AN2rF6q43h8 곰네에서 볼 수 있다. 조정래 원작의 살만한 세상, 강신재 원작의 젊은 느티나무, 이광수 원작의 소년의 비애 등이 방영되었다. 이범선 원작의 갈매기에 이어 1980년 6월 13일 전상국 원작의 고려장이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_ZcSA1_28b4 고려장에서 볼 수 있다.

1980년부터 1987년까지 방영된 KBS TV 문학관 1기는 본격적인 TV 문학관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문학 작품들이 드라마로 제작되어 시청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2. 1. 문예극장 (1979년 ~ 1980년)

KBS TV 문학관한국어의 전신인 '문예극장'은 1979년부터 1980년까지 방영되며 한국 단편 문학 드라마 제작의 초석을 다졌다.

1979년 4월 13일 김동인 원작의 배따라기를 시작으로, 김유정 원작의 봄 봄, 주요섭 원작의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나도향 원작의 벙어리 삼룡이 등이 방영되었다. 현진건 원작의 빈처는 1979년 5월 11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UlnKNhtVIlY 빈처에서 볼 수 있다. 정비석 원작의 성황당, 유진오 원작의 창랑정기 등이 이어졌다.

김이석의 학춤은 1979년 6월 1일에 방영되었고, https://www.youtube.com/watch?v=3T6W2-AD_G0 학춤에서 볼 수 있다. 오영수 원작의 메아리, 김동리 원작의 역마, 박종화 원작의 아랑의 정조 등이 계속해서 방영되었다. 황순원의 잃어버린 사람들, 이상 원작의 날개, 계용묵 원작의 백치 아다다 등이 방영되었다. 백치 아다다는 1979년 7월 20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ZUIstk4POjw 백치 아다다에서 볼 수 있다.

김정한 원작의 수라도, 이광수 원작의 유정, 염상섭 원작의 표본실의 청개구리 등이 방영되었다. 표본실의 청개구리는 1979년 8월 24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r1lrjEbA3aw 표본실의 청개구리에서 볼 수 있다. 최정희 원작의 바다, 이무영 원작의 제1과 제1장 등이 이어졌다. 제1과 제1장은 1979년 9월 14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7zYH0O0TTkc 제1과 제1장에서 볼 수 있다.

안수길 원작의 취국, 최인욱 원작의 월하취적도 등이 방영되었다. 월하취적도는 1979년 9월 28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7zJW467hnlk 월하취적도에서 볼 수 있다. 이효석 원작의 메밀꽃 필 무렵은 1979년 10월 5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wn9dhuTPPsw 메밀꽃 필 무렵에서 볼 수 있다. 채만식 원작의 순공있는 일요일, 강신재 원작의 절벽 등이 이어졌다. 절벽은 1979년 10월 19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dFLBw8DP9nl 절벽에서 볼 수 있다.

손소희 원작의 그날의 햇빛은은 1979년 10월 26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MyA1GePFd9s 그날의 햇빛은에서 볼 수 있다. 곽하신 원작의 여명의 곡, 장덕조 원작의 함성, 박화성 원작의 샌님 마님 등이 방영되었다. 손창섭 원작의 잉여인간은 1979년 12월 7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17P8FRk2ZM 잉여인간에서 볼 수 있다.

정한숙 원작의 전황당 인보기는 1979년 12월 14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1LP9J-l84N4 전황당 인보기에서 볼 수 있다. 허윤석 원작의 길주막은 1979년 12월 21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yZVFocBjVbA 길주막에서 볼 수 있다. 박영준 원작의 체취는 1979년 12월 28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TSKaVlFSTpk 체취에서 볼 수 있다.

1980년에는 이종환 원작의 사도전서, 오유권 원작의 소문, 박경수 원작의 작은 왕국 등이 방영되었다. 하근찬 원작의 흰 종이 수염은 1980년 2월 8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NE09HGhrw8w 흰 종이 수염에서 볼 수 있다. 임옥인 원작의 후처기, 장용학 원작의 지동설 등이 이어졌다. 지동설은 1980년 2월 22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GU6AkEmRj3E 지동설에서 볼 수 있다.

서기원 원작의 둔주는 1980년 3월 7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tV7NQNsbWCo 둔주에서 볼 수 있다. 이병주 원작의 쥘부채는 1980년 3월 14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rW63cs-oos8 쥘부채에서 볼 수 있다. 방기환 원작의 뱀딸기, 전영택 원작의 화수분 등이 방영되었다.

박완서 원작의 도둑맞은 가난은 1980년 4월 11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4EF2Wb_3Bpg 도둑맞은 가난에서 볼 수 있다. 김동인 원작의 곰네는 1980년 5월 9일에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AN2rF6q43h8 곰네에서 볼 수 있다. 조정래 원작의 살만한 세상, 강신재 원작의 젊은 느티나무, 이광수 원작의 소년의 비애 등이 방영되었다. 이범선 원작의 갈매기에 이어 1980년 6월 13일 전상국 원작의 고려장이 방영되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_ZcSA1_28b4 고려장에서 볼 수 있다.

2. 2. TV 문학관 (1기, 1980년 ~ 1987년)

1980년부터 1987년까지 방영된 KBS TV 문학관 1기는 본격적인 TV 문학관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문학 작품들이 드라마로 제작되어 시청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2. 3. 드라마 초대석 (1987년 ~ 1988년)

1987년 10월 17일부터 1988년 4월 23일까지 방영된 〈드라마 초대석〉은 문학 작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재의 드라마를 시도하였다. 박완서의 해산 바가지, 김주영의 목마 위의 여자, 서정인의 가을비, 이청준의 숨은 손가락, 최일남의 둘째 사위, 서정인의 원무, 이청준, 김용성의 바드레, 양귀자의 찻집 여자, 김문수, 박범신의 우리들 뜨거운 노래, 이제하의 강설, 윤흥길의 매우 잘 생긴 우산 한개, 손창섭의 내탓이로소이다, 이상문의 열두발자국, 서영은의 시인과 촌장, 김창동의 슈퍼스타를 위하여 등이 방영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큰 반향을 얻지 못하고 단기간에 종영되었다.

2. 4. 논픽션 드라마 (1988년 ~ 1989년)

KBS TV 문학관에서는 실제 인물들의 삶을 소재로 한 드라마를 제작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1988년 5월 7일 첫 방영된 〈가족사진〉을 시작으로, 1989년 8월 3일 방영된 〈잃어버린 꿈〉까지 총 43편의 논픽션 드라마가 제작되었다.

1988년 11월 12일에 방영된 21화 〈두사형수〉는 이홍구 극본, 이민홍 연출로, 서영진, 문창길, 정서임, 강영아, 장용, 박웅, 서우림, 홍영미, 이정웅, 이치우, 박경득, 신성문, 정해창, 양영준, 양재성, 문오장, 안영주, 황소영, 윤상미, 이용진, 이정욱, 윤성윤, 강효정 등이 출연했다. 해당 에피소드는 유튜브에서 시청할 수 있다.

1989년 3월 4일에 방영된 33화 〈서러운 땅〉은 김상수 극본, 윤흥식 연출로, 정재진, 윤성옥, 맹호림, 이한승, 남윤정, 송종원, 이호재, 박해상, 문미봉, 유병준, 변성현, 장은주, 김재진, 김소정 등이 출연했으며, 유튜브에서 시청 가능하다.

회차방송일작품명극본연출출연자영상
(풀버전)
비고
1화1988년 5월 7일가족사진align="left"|align="left"|
2화1988년 5월 14일젖소엄마곽인행류시형align="left"|align="left"|
3화1988년 5월 21일장날서영명이현석align="left"|align="left"|
4화1988년 5월 28일코뿔소만세정성주박광호align="left"|align="left"|
5화1988년 6월 4일스물다섯살의 자서전오동석align="left"|align="left"|
6화1988년 6월 11일신혼여행에서 생긴일이유정장기오align="left"|align="left"|
7화1988년 6월 18일대한민국 김관식align="left"|align="left"|
8화1988년 7월 2일녹두와 술래잡기박광호align="left"|align="left"|
9화1988년 7월 9일굴레김혜정김종식align="left"|align="left"|
10화1988년 7월 23일장미빛 인생서영명이현석align="left"|align="left"|
11화1988년 7월 30일도시의 별들이관우이녹영align="left"|align="left"|
12화1988년 8월 6일귀천이관우백호빈align="left"|align="left"|
13화1988년 8월 13일산그늘김금주이상우align="left"|align="left"|
14화1988년 8월 20일코리아 마마장춘태이민홍align="left"|align="left"|
15화1988년 8월 27일스스로 갇힌 방김혜정김종식align="left"|align="left"|
16화1988년 10월 8일빼앗긴 이름박수복이현석align="left"|align="left"|
17화1988년 10월 15일꺼지지 않는 불align="left"|align="left"|
18화1988년 10월 22일상아탑의 빈 의자align="left"|align="left"|
19화1988년 10월 29일나는 살고싶다김항명백호빈align="left"|align="left"|
20화1988년 11월 5일님이 오시는지서영명이현석align="left"|align="left"|
21화1988년 11월 12일두사형수이홍구이민홍서영진 문창길 정서임 강영아
장용 박웅 서우림 홍영미
이정웅 이치우 박경득 신성문
정해창 양영준 양재성 문오장
안영주 황소영 윤상미 이용진
이정욱 윤성윤 강효정
[https://www.youtube.com/watch?v=92uOONiGifM 20px]align="left"|
22화1988년 11월 26일송면이의 서울행김혜정김종식align="left"|align="left"|
23화1988년 12월 3일춤추는 땅오정인박광호align="left"|align="left"|
24화1988년 12월 10일아빠와 선생님서영명이현석align="left"|align="left"|
25화1988년 12월 17일젬마의 겨울배명숙이녹영align="left"|align="left"|
26화1989년 1월 7일멜라콩을 아시나요김재현윤흥식박건식 연운경 윤덕용align="left"|
27화1989년 1월 14일다시 태어나는 강주한주이상우align="left"|align="left"|
28화1989년 1월 21일떠있는 섬윤용옥이민홍align="left"|align="left"|
29화1989년 1월 28일도시의 등불김혜정김종식align="left"|align="left"|
30화1989년 2월 11일아빠의 신호등오정인박광호align="left"|align="left"|
31화1989년 2월 18일당신의 에덴서영명이현석align="left"|align="left"|
32화1989년 2월 25일오욕의 덫배명숙이녹영align="left"|align="left"|
33화1989년 3월 4일서러운 땅김상수윤흥식정재진 윤성옥 맹호림 이한승
남윤정 송종원 이호재 박해상
문미봉 유병준 변성현 장은주
김재진 김소정
[https://www.youtube.com/watch?v=qRmFczz6Jj4 20px]align="left"|
34화1989년 3월 11일술래잡기김준일이상우align="left"|align="left"|
35화1989년 4월 1일위기의 계절오정인박광호align="left"|align="left"|
36화1989년 4월 8일철수의 꿈전영동이민홍align="left"|align="left"|
37화1989년 4월 15일봄을 위한 3중주김혜정김종식align="left"|align="left"|
38화1989년 4월 22일4%의 악마김재현윤흥식align="left"|align="left"|
39화1989년 4월 29일황혼일기김재현이현석홍성민 이일웅 김소원 이치우
민욱 권기선 김동완 곽정희
이필수 김영지
align="left"|
40화1989년 5월 6일운동화 한켤레이상우align="left"|align="left"|
41화1989년 5월 27일한자루 촛불로박성조백호빈align="left"|align="left"|
42화1989년 6월 3일나의 아버지배명숙이민홍align="left"|align="left"|
43화1989년 8월 3일잃어버린 꿈주은희김종식align="left"|align="left"|


2. 5. TV 문예극장 (1991년 ~ 1992년)

TV 문예극장(1991년 ~ 1992년)은 TV 문학관의 명맥을 잇기 위해 다시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제작되었으나, 짧은 기간 동안 방영되었다.[27][28][29]

회차방송일작품명원작극본연출출연자영상
(풀버전)
비고
1화6월 16일만취당기김문수김혜수장기오임동진 장민호 신구 송승환
안해숙 남윤정 기정수 김희진
양영준 박경득 이대로 안병경
박해상 선동혁 이원종 하대경
조재훈 임병기 유순철 이한승
이두섭 장정희 김지예 정재은
이진수 김대환 서주희 김규민
이진원 조통달
[https://www.youtube.com/watch?v=cUlrW6Wg3BU 20px]align="left"|
2화7월 14일[27]이병주이홍구윤흥식이미연 이재룡 박진성 전운
김용건 정재순 김영식 김시원
백찬기 이원발 이은실 전은진
[https://www.youtube.com/watch?v=JaPSAKMwyj8 20px]align="left"|
3화8월 11일유년의 뜰오정희김혜수이현석강효정 박선영 강승우 문혁
김영옥 김청 백윤식 이일웅
전원주 장미자 박인환 윤여정
김기일 김기섭 김하림 박규식
이원종 곽정희 이병철 봉혜선
백찬기 박현정 이효정 정복임
정효진 송미령 최건호 박은주
홍승옥 김성녀
[https://www.youtube.com/watch?v=Ug93IlPXh3Q 20px]align="left"|
4화9월 8일검은 양복채희문문영남김충길변영훈 문미봉 정운용 이주경
최명수 김순철 김보미 정재순
윤병훈 장희진 최란 조양자
양형호 김윤형 송희남 임병기
방숙례 김민옥 윤관용 권오균
김형일 최재성 조정국 정형기
[https://www.youtube.com/watch?v=1Y5WIE2JM8I 20px]align="left"|
5화10월 13일저 깊푸른 강김영현이환경김재현박진성 김갑수 김진해 김인문
하미혜 장희진 이문환 김기복
김영기 김희진 곽정희 이현실
서상익 유순철 김대환 이원종
이영수 박시영 서창호 김영식
윤성국 최용욱 안동석 정진강
박영희 문혁 김선명
[https://www.youtube.com/watch?v=cnSaKfMjAHg 20px]align="left"|
6화11월 10일불항아리[28]이청준이환경이녹영신구 윤승원 권기선 민지환
김봉근 김해권 기정수 맹호림
박해상 곽정희 최용욱 신원균
차기환
[https://www.youtube.com/watch?v=-UtGnEcRioU 20px]align="left"|
7화1월 12일밤주막[29]고은유우제
김홍종
김홍종김봉근 정진 김영옥 홍성민
이미경 장인환 박건식 안병경
서상익 전원주 이원종 박정웅
김시원 김영식 김동완 유병준
유순철 김유행 김일란 문창길
한현배 최용욱 임영식 김종구
김상용 이인영 박상만 오기환
차양희 손영춘 서창호
[https://www.youtube.com/watch?v=pTt7sYsDmgg 20px]align="left"|
8화2월 9일황색시인추식(추성춘)윤혁민이유황안대용 이신재 김선영 박주아
김봉근 장희진 유명순 김소유
조재훈 유순철 박현순 장미자
김덕현 윤성국 이한승 선동혁
임성원 이한수 박정웅 신수강
김대환 김윤형 박승규 임영식
정주현 김하림 장칠군 박시영
이경실 양형호 김상용
[https://www.youtube.com/watch?v=zH_tXLgRN-I 20px]align="left"|
9화3월 8일인형 만들기최인석송원탁이현석조민수 이호재 심양홍 김용건
김청 홍성민 김기섭 유동근
최선자 전원주 김지영 봉혜선
이원종 이병철 이춘식 이운우
김성찬 장기용 이항수 문풍지
정효진 이필수 유태술 문홍식
최건호 손호균 김하균 유루나
김정연 오수민 손현주 권병준
김덕현 노현희 황선정 박현
이기철 배도환 이종길 서미애
[https://www.youtube.com/watch?v=07tkOL2K9p4 20px]align="left"|
10화4월 9일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박상우유하김충길선우재덕 이주경 김명신 박삼순
우수진 허진 김현아 김원미
박은영 정욱 김청
[https://www.youtube.com/watch?v=AQvYAnGD1Ug 20px]align="left"|
11화5월 14일집 내 집 뿐이리최인석최경식김재현김기섭 안옥희 김진해 문미봉
서재진 차효림 신수강 오수민
이종익 김영희 박종관 안병경
이원종 김인문 양택조 반석진
박건식 노영국 이한승 추석양
양형호 김영식 김동완 조은덕
장정희 서상익 이두섭 박상규
김대환 최석구 구한승 오성열
안효진 민병국 최용욱 최용팔
최건호
[https://www.youtube.com/watch?v=KYEtddDBbis 20px]align="left"|
12화6월 11일바디소리이원규최경식이녹영김봉근 변희봉 김지영 장학수
연운경 이문환 김희진 이원종
양재성 조재훈 최용욱 곽정희
이두섭 황건일 김대환 양은미
김성희 배도환 이규준 김남일
마두봉
[https://www.youtube.com/watch?v=q4k9gws6u3c 20px]align="left"|
13화6월 25일시간과 눈물이원하박병우홍성덕김영철 한혜숙 김병기 사미자
하미혜 이원종 김일란 고정일
김시원 문창길 송종원 신수강
하대경 박건식 이한승 유순철
기정수 박현정 황민 이윤정
김옥만 정상철
[https://www.youtube.com/watch?v=lpepi3hBK3A 20px]align="left"|
14화7월 22일소년의 거리최인석김홍종홍성민 허석 이주경 강철민
민욱 조용태 서상익 김시원
박건식 최석호 이경영 김영식
정재순 최동균 방숙례 김동완
노현희 이경실 최용욱 장행섭
박상만 김덕현 이항수 김상용
최건호 이종길 김준모 정동남
오성렬 이기철 한연수 권병준
양재원 박인서 김성희 윤영아
전경희 윤아 박삼순
align="left"|
취소[30][31]8월 27일미개인최인호문영남김충길문성근 윤병훈 양형호 안효진
이신재 박주아 정해창 최명수
곽정희 유명순 박현정 김윤형
김종구 유병준 윤관용 조준형
이한위 최건호 배도환 손호균
함석훈 김덕현 손현주 유복녀
이경실 강영하 서미애 김마리
김남일 박선영 황정규 길나나
김상은 이승현 이동현 유지연
최규영 서지미 이수근 박우진
장부일
[https://www.youtube.com/watch?v=QCxSZiEK1AI 20px]align="left"|
15화9월 24일월광오유권최경식김재현변희봉 권재희 서영진 김성현
서원미 안대용 정종준 이한승
윤성국 문미봉 안효진 박정웅
장희진 양형호 조재훈 이두섭
김영식 이한위 김대환 오수민
김나라 김성희 윤아
[https://www.youtube.com/watch?v=zi92vvvx7U0 20px]align="left"|
16화10월 29일사람홍성화김항명문영진임동진 민욱 정재순 박정수
김상아 이혜진 양영준 이두섭
유종근 박해상 기정수 박정웅
박승규 임영식 윤용덕 김하균
이기철 함석훈 박인서
align="left"|
17화12월 16일풍금이 있던 자리신경숙송원탁이현식하유미 김영철 전무송 김청
김정하 김인문 사미자 전원주
봉혜선 장미자 이종남 정미숙
이필수 최건호 심정완 이수근
김정환 박지애
[https://www.youtube.com/watch?v=pPXRAkr0tsA 20px]align="left"|


2. 6. 신 TV 문학관 (1996년 ~ 1998년)

1996년부터 1998년까지 방영된 신 TV 문학관은 TV 문학관의 부활을 알렸으나, 제한적인 제작 편수로 인해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1996년 5월 12일 오정희 외 3명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길위의 날들〉[32]이 첫 방영되었으며, 김영기, 정애란, 심성보 등이 출연하였다. 9월 8일에는 이남희 원작의 〈슈퍼마켓에서 길을 잃다〉가 방영되었고 최명길, 이혜은 등이 출연했다. 10월 26일에는 윤대녕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천지간〉이 방영되었으며, 김상중, 심은하 등이 출연하였다.

1997년 3월 9일에는 이순원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아들과 함께 걷는 길〉이 방영되었으며, 김영철, 임동진 등이 출연하였다. 1998년 3월 1일에는 김용택, 송기숙, 송기원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나는 집으로 간다〉가 방영되었으며, 김명곤, 이신재, 박승태 등이 출연하였다.

2. 7. TV 문학관 (2기, 1999년 ~ 2003년)

1999년부터 2003년까지 방영된 KBS TV 문학관 2기는 매월 한 편의 작품을 방영하려 했으나, 제작 여건의 어려움으로 인해 소수의 작품만이 제작되었다.

  • 1999년 5월 30일에는 오정희 원작, 박남준 극본, 장형일 연출의 오정희가 방영되었다. 출연진으로는 장수혜, 류종원, 방은희, 정동환 등이 있다.
  • 1999년 6월 27일에는 홍성원 원작, 손영목 극본, 이녹영 연출의 폭군이 방영되었다. 김성겸, 임혁, 전현, 전미선 등이 출연하였다.
  • 1999년 9월 26일에는 이문열 원작, 이란 극본, 장기오 연출의 아우와의 만남이 방영되었다. 김흥기, 이희도, 장민호, 여운계 등이 출연하였다.
  • 1999년 10월 24일에는 이순원 원작, 박남준 극본, 김충길 연출의 그가 걸음을 멈추었을 때가 방영되었다. 김규철, 방은진, 김진해, 황범식 등이 출연하였다.
  • 2000년 3월 5일에는 이균영 원작, 이란 극본, 장기오 연출의 길은 그리움을 부른다가 방영되었다.[33] 박진성, 김혜리, 명세빈, 송채환 등이 출연하였다.
  • 2000년 10월 25일에는 강석경 원작, 김병수 극본, 장기오 연출의 그 곳에 바람이 있었네가 방영되었다. 박지일, 정애리, 이대로, 김준모 등이 출연하였다.
  • 2000년 12월 27일에는 전경린 원작, 박언희 극본, 이민홍 연출의 다리가 있는 풍경이 방영되었다. 이휘향, 하재영, 지수원, 도지원 등이 출연하였다.
  • 2001년 3월 21일에는 김주영 원작, 김병수 극본, 장기오 연출의 홍어가 방영되었다. 김해숙, 임동진, 김수동, 정종준 등이 출연하였다.
  • 2002년 3월 3일에는 이순원 원작, 조정선 극본, 홍성덕 연출의 19세가 방영되었다. 안재홍, 박진용, 고동현, 이기호 등이 출연하였다.
  • 2003년 3월 2일에는 박범신 원작, 유현미 극본, 이민홍 연출의 향기로운 우물이야기가 방영되었다. 박동빈, 양은용, 오대규, 이일화 등이 출연하였다.
  • 2003년 5월 11일에는 공지영 원작, 김병수 극본, 장기오 연출의 누구에게나 마음속의 강물은 흐른다가 방영되었다. 전무송, 김윤경, 이일화, 송재호 등이 출연하였다.
  • 2003년 12월 28일에는 하성란 원작, 김혜정 극본, 김형일 연출의 곰팡이꽃이 방영되었다. 남궁민, 박현숙, 이얼, 이두일 등이 출연하였다.

2. 8. HD TV 문학관 (2005년 ~ 2009년)

HD TV 문학관은 고화질(HD)로 제작되어 영상미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당초 100편 완성을 목표로 하였으나, 낮은 시청률과 예산 부족 문제로 인해 20편만 제작된 채로 종영되었다.

2005년 5월 8일 황순원 원작의 소나기를 시작으로, 은희경의 내가 살았던 집(2화, 5월 15일 방송), 김동리역마(3화, 5월 22일 방송), 박범신의 외등(4화, 5월 29일 방송)이 차례로 방영되었다.

이후 2005년 12월에는 김경욱의 누가 커트 코베인을 죽였는가?(5화, 12월 22일 방송), 김탁환의 서러워라 잊혀진다는 것은(6화, 12월 23일 방송), 신경숙새야 새야(7화, 12월 24일 방송), 이효석메밀꽃 필 무렵(8화, 12월 25일 방송)이 방영되었다.

2006년 3월에는 하성란의 깃발(9화, 3월 4일 방송), 유익서의 노래여! 마지막 노래여!(10화, 3월 5일 방송)가 방영되었다.[34] 2006년 10월에는 김동리등신불(11화, 10월 6일 방송), 이기호의 나쁜소설(12화, 10월 7일 방송), 심윤경달의 제단(13화, 10월 8일 방송)이 방영되었다.

2007년 3월에는 박민규의 카스테라(14화, 3월 2일 방송),[35] 조세희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15화, 3월 3일 방송),[36] 방현석김미라의 랍스터를 먹는 시간(16화, 3월 4일 방송)이 방영되었다.[37]

2008년 3월에는 김유정의 봄, 봄봄(17화, 3월 3일 방송),[38] 정미경나의 피투성이 연인(18화, 3월 4일 방송)이 방영되었다.[39]

2009년에는 김훈의 언니의 폐경(19화, 3월 1일 방송),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20화, 12월 30일 방송)을 끝으로 HD TV 문학관은 종영되었다.

2. 9. 2011 TV 문학관 (2011년 ~ 2012년)

2011년 12월 7일부터 2012년 3월 2일까지 4편의 작품이 방영되었다.[40] 12월 7일에는 김동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광염 소나타가, 12월 8일에는 주요섭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가, 12월 9일에는 이덕재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엄지네'가 방영되었다. 2012년 3월 2일에는 김훈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강산무진'이 방영되었다.[40] 이후 제작이 중단되었다.

회차방송일작품명원작극본스태프출연자영상
1화12월 7일광염 소나타김동인이란 이주연곽기원(기획), 이민홍(연출)양진우, 전소민, 이동규, 김꽃비, 권경하, 김경익, 김태훈, 김진근, 박정근, 한태규, 최지훈, 금호석, 신성훈, 이승구, 유상재, 최명경, 강지연, 이하영, 박찬환, 서희태, 김기현, 황보영, 마르코 테시오레, 정택현, 김준한, 조우성, 최지우[https://www.youtube.com/watch?v=tv-gihcPFik 20px]
2화12월 8일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주요섭박지숙곽기원(기획), 한준서(연출)장희진, 박병은, 김환희, 정영숙, 안해숙, 윤혜경, 안여진, 양현태, 김연수, 김세아[https://www.youtube.com/watch?v=B1oIDosjKMI 20px]
3화12월 9일엄지네이덕재이덕재, 성주현곽기원(기획), 홍성덕(연출)최지나, 정승원, 이민호, 정원중, 전무송, 이철민, 하시은, 경인선, 이한승, 곽정희, 김대환, 박노식, 손영순, 김추월, 최민금, 안대선, 정형금, 강철성, 신대현, 정병철, 지성근, 전현, 홍일권, 김주엽, 이대호[https://www.youtube.com/watch?v=ehyji6AxgvQ 20px]
4화3월 2일강산무진[40]김훈이인곽기원(기획), 김홍종(연출)서인석, 안재모, 황세정, 서갑숙, 고인범, 고인배, 김기두, 장준영, 안치욱, 임철현, 김재건, 박상만, 최건호, 손영순, 고진명, 이용녀, 이종구, 민응식, 조성규, 유재익, 김해곤, 최용욱, 송지현, 김기준, 서광재, 조문의, 윤영목, 백윤흠, 조경호, 유옥주, 송용호, 맹봉학, 이성희, 홍기준, 최황빈, 구연희, 신선희, 최한나, 남소연, 오기영, 이채미


2. 10. 2023 TV 문학관 (2023년)

공영방송 50주년 특집으로 편성했으며, 과거 작품들 중 일부를 선정하여 방송했다.

3. 주요 작품 목록

KBS TV 문학관에서 방영된 작품들은 2002년 11월 이후부터 드라마 등급 제도를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2017년 3월 1일부터는 TV 프로그램 등급 표시 외에 주제, 폭력성, 선정성, 언어, 모방 위험 등 분류 사유 표시를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3. 1. 1980년대

3. 1. 1. 주요 작가 및 작품

주어진 `summary`와 `source`가 비어있으므로, `title`인 "KBS TV 문학관"의 "주요 작가 및 작품"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빈 정보로는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3. 1. 2. 선정성 논란 작품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3. 2. 1990년대 이후

3. 2. 1. 주요 작가 및 작품

KBS TV 문학관의 주요 작가 및 작품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자료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로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4. 제작 특징

4. 1. 원작 각색

4. 2. 연출 및 영상미

4. 3. 출연진

5. 사회적 영향 및 평가

5. 1. 긍정적 측면

5. 2. 부정적 측면

6. 수상 내역

박범신 원작의 2005년 5월 29일에 방영된 외등은 2006년 제31회 골든 체스트상 TV 영화 부문 동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2005년 KBS 연기대상 특집 단막극 연기상 (홍수현 - 민혜주 역)을 수상하였다.

참조

[1] 설명
[2] 설명
[3] 뉴스 KBS1 TV 문학관 10년간 HD로 100편 제작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4] 뉴스 고화질 영상미로 TV 문학관 ‘부활’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5] 뉴스인용 'TV 문학관' 부활! '300편 엄선해 앙코르…내년 1월 3일 첫방' http://tvdaily.asiae[...] 티브이데일리 2009-12-24
[6] 설명 새마을의 신부들
[7] 설명 동천홍(東天紅)
[8] 설명
[9] 설명 달과 까마귀
[10] 설명 남사당의 하늘
[11] 설명 과부
[12] 설명 월남한 사람들
[13] 설명 정학준(鄭學準)
[14] 설명 눈 내리는 저녁 때
[15] 설명 인간신뢰
[16] 설명 미망(未忘)
[17] 설명 묘지의 태양
[18] 설명 홍소(哄笑)
[19] 설명 조만득 씨.
[20] 설명 객사(客死)
[21] 설명 횡액(橫厄)
[22] 설명 반행
[23] 설명 아네모네의 마담
[24] 설명 어제 울린 총소리
[25] 설명 뱀산
[26] 설명 필드
[27] 설명 거년(去年)의 곡(曲)
[28] 설명 불 머금은 항아리
[29] 설명
[30] 설명
[31] 뉴스인용 TV문예극장「미개인」방영취소 나병단체 항의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2-08-22
[32] 설명
[33] 설명 나뭇잎은 그리운 불빛을 만든다
[34] 설명
[35] 설명
[36] 문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공 (재구성)
[37] 문서 옴니버스 드라마 (재구성)
[38] 문서 봄, 봄 (개작)
[39] 문서 옴니버스 드라마 (재구성)
[40] 문서 3부작 드라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