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LSD (비디오 게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SD: 드림 에뮬레이터는 1998년 일본에서 플레이스테이션용으로 출시된 1인칭 탐험 게임이다. 이 게임은 최대 10분 동안 무작위로 생성되는 꿈의 세계를 탐험하며, 벽이나 오브젝트에 부딪히면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독특한 게임 플레이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켄 이시이, μ-Ziq 등 여러 음악가들이 참여한 500여 개의 음악 패턴과 몽환적인 분위기로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2010년에는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를 통해 재출시되었다. 게임은 꿈의 세계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일본에서는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꿈을 소재로 한 작품 - 나방의 꿈
    이선희 데뷔 20주년 기념 음반 《나방의 꿈》은 이승기의 데뷔곡 〈내 여자라니까〉를 타이틀곡으로, 싸이가 작사, 작곡 및 랩 피처링에 참여한 후속곡 〈나방의 꿈〉과 〈아버지〉, 그리고 이선희의 대표곡 〈J에게〉 리메이크 버전을 수록했다.
  • 꿈을 소재로 한 작품 - 당신이 잠든 사이에 (2017년 드라마)
    《당신이 잠든 사이에》는 미래를 꿈꿀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기자와 검사, 경찰관이 협력하여 꿈에서 본 미래의 사건을 막는 이야기를 그린 로맨스, 법정, 판타지 장르의 드라마이다.
  • 1998년 비디오 게임 - 센티멘탈 그래피티
    아버지의 직장 때문에 이사를 자주 다니며 여러 소녀들과 인연을 맺은 고등학생이 정체불명의 편지를 받고 발신인을 찾아 전국을 여행하는 어드벤처 게임인 《센티멘탈 그래피티》는 플레이어가 소녀들과 관계를 발전시키며 호감도와 애절함 수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엔딩을 맞이하는 미디어믹스 작품이다.
  • 1998년 비디오 게임 - 에어가이츠
    에어가이츠는 드림팩토리가 개발하고 스퀘어가 배급한 3D 격투 게임으로, 360도 자유로운 움직임과 인터럽트 시스템, 저스트 프레임 시스템, 필살기 게이지를 활용한 전투 메커니즘을 특징으로 하며, 플레이스테이션 버전에는 던전 크롤 형식의 RPG 경험을 제공하는 퀘스트 모드와 《파이널 판타지 VII》 캐릭터 및 노무라 테츠야가 디자인한 오리지널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 플레이스테이션 (콘솔) 게임 - 마리의 아틀리에: 잘부르그의 연금술사
    마리의 아틀리에: 잘부르그의 연금술사는 1997년 발매된 플레이스테이션 게임이자 연금술을 소재로 한 아틀리에 시리즈의 첫 작품으로, 연금술 학교 학생 마를로네가 졸업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 연금술을 배우고 재료를 채집하며 아이템을 제작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으며 턴제 전투, 다양한 엔딩, 아틀리에 운영 등의 요소를 포함하고 2023년에는 HD 리메이크 버전이 출시되었다.
  • 플레이스테이션 (콘솔) 게임 - 명탐정 코난
    《명탐정 코난》은 고등학생 탐정 쿠도 신이치가 검은 조직의 독약으로 어린아이가 된 후 에도가와 코난으로 활동하며 검은 조직을 추적하고 사건을 해결하는 일본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다양한 조력자들과 함께 FBI, CIA와 협력하여 검은 조직의 실체를 밝히는 이야기이지만, 장기 연재로 추리 요소 부족에 대한 비판도 있다.
LSD (비디오 게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LSD: 드림 에뮬레이터 커버 아트
LSD: 드림 에뮬레이터 커버 아트
제목LSD: 드림 에뮬레이터
장르탐험 게임
모드싱글 플레이어
플랫폼플레이스테이션
개발 정보
개발사아스믹 에이스 엔터테인먼트
배급사아스믹 에이스 엔터테인먼트
프로듀서사토 오사무
디자이너사토 오사무
아시베 사토시
니시카와 히로코
프로그래머마에다 요시노리
아티스트사토 오사무
고시마 카즈히로
이즈카 노보루
작곡가사토 오사무
켄 이시이
Jimi Tenor
μ-Ziq
Morgan Geist
PANTUNE MUSIC
M.P.D.
Out Ass Mao
출시 정보
출시일1998년 10월 22일 (일본)
기타 정보
CERO 등급CERO-D
내용 아이콘폭력
형식SLPS-01556 (초회판)
SLPS-01642 (통상판)

2. 게임 플레이

''LSD: Dream Emulator''(이하 LSD)는 플레이어가 뚜렷한 목표 없이 초현실적 속 세계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탐험 게임이다.[1][2][3] 게임은 1인칭 시점으로 진행되며, 플레이어는 이동과 시점 변경 외에 특별한 행동을 할 수 없다.[1]

꿈 속을 탐험하다가 벽이나 특정 물체 등에 부딪히면 '링크(Link)'라고 불리는 현상을 통해 다른 장소나 장면으로 이동하게 된다.[1] 한 번의 꿈은 정해진 시간(최대 10분) 동안 지속되며, 시간이 다 되거나 특정 조건 하에 꿈에서 깨어나게 된다.[1] 꿈에서 깨어나면 그날의 플레이가 종료되고, 꿈의 내용에 따라 다음 꿈에 영향을 주는 그래프가 표시된다.[1]

플레이 횟수는 게임 내 날짜로 기록되며, 꿈을 반복해서 꿀수록 텍스처나 등장하는 오브제, 캐릭터 등이 변화하여 꿈의 세계는 점점 더 예측 불가능하고 환각적으로 변해간다.[1] 단순히 공간을 탐험하는 것 외에도 짧은 시가 나타나거나 독특한 동영상이 재생되는 등 다양한 패턴의 꿈을 경험할 수 있다. 드물게 등장하는 '회색 인간'[1](또는 신사[17][18])과 접촉하면 플래시백 기능이 제한되는 등[1] 게임 플레이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2. 1. 기본 시스템

''LSD: Dream Emulator''(이하 LSD)는 플레이어가 정해진 목표 없이 초현실적인 의 세계를 탐험하는 탐험 게임으로[1][2][3], "플레이 가능한 꿈"[1][2]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게임은 1인칭 시점으로 3D 환경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진행된다.[1] 플레이어는 앞뒤 이동, 회전, 옆걸음, 달리기, 뒤돌아보기 등의 기본적인 움직임만 할 수 있으며,[1] 다른 비디오 게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공격, 점프 등의 특수한 조작이나 액션은 존재하지 않는다.[1]

게임은 다양한 초현실적인 장소를 특징으로 한다. 이 게임 내 스크린샷은 토끼와 곰 비 플레이어 캐릭터가 그러한 장소를 배회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꿈속 세계를 돌아다니다가 벽이나 특정 오브제, 캐릭터, 또는 특정 터널 통과 등으로 다른 장소나 장면으로 순간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링크(Link)'라고 부른다.[1] 이 링크는 무작위적으로 발생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때로는 일정한 규칙성을 띠기도 한다.

2. 2. 꿈의 세계



''LSD: Dream Emulator''(이하 LSD)에서 플레이어는 1인칭 시점의 3차원 공간 환경 속 의 세계를 탐험하게 된다.[1] 특별한 목표 없이 단순히 꿈 속을 방황하는 것이 주된 플레이 방식으로, "플레이 가능한 꿈"[1][2]으로 묘사되기도 하는 탐험 게임이다.[1][2][3] 플레이어는 앞뒤 이동, 회전, 옆걸음, 달리기, 뒤돌아보기 외에 특별한 조작이나 액션을 할 수 없다.[1] 꿈속을 돌아다니다 특정 물체나 벽 등에 부딪히면 '링크'라고 불리는 현상을 통해 꿈의 다른 장면으로 워프하게 된다.[1] 이 링크는 기본적으로 무작위이지만, 때로는 일정한 규칙성을 보이기도 한다.

꿈의 세계는 일본 마을, 들판, 도시, 집, 공장, 초원 등 탐험할 수 있는 여러 장소로 구성되어 있다.[3] 이러한 환경은 기본적으로 정적이지만, 플레이 횟수가 누적됨에 따라 텍스처가 바뀌거나 무작위 오브제, 동물, 캐릭터가 등장하며 변화한다.[1][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형의 색상이나 모양, 캐릭터의 모습 등이 변용하며, 때로는 텍스처가 의미를 알 수 없는 이미지나 문구, 시 등으로 바뀌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는 꿈의 세계를 점점 더 초현실주의적이고 환각 예술적인 모습으로 만들어간다.[1]

한 번의 꿈은 최대 10분 동안 지속되며, 무작위 장소에서 시작한다.[1] 초원과 같이 평화로운 장소에서는 시간이 천천히 흐르지만, 스릴 넘치는 장소에서는 시간이 빠르게 흐른다. 정해진 시간이 지나거나 스테이지 가장자리(절벽)에서 떨어지면 꿈에서 깨어나 그날의 플레이가 종료되고 타이틀 화면으로 돌아간다.[1] 하루의 꿈이 끝나면, 그 내용에 따라 "Upper", "Downer", "Static", "Dynamic"으로 평가되는 그래프가 표시되며, 이는 다음 꿈의 내용에 영향을 미친다.[1]

꿈의 내용은 단순히 세계를 걷는 것 외에도 짧은 시가 나타나거나 실사 동영상이 재생되는 등 다양한 패턴이 존재한다. 때로는 동영상만 보고 하루가 종료되는 경우도 있다.

꿈의 세계에는 드물게 "회색 인간(Grey Man)" 또는 "그림자 인간(Shadow Man)"으로도 불리는 수수께끼의 인물이 출현한다.[1] 이 캐릭터는 게임 내에서 유일하게 '적'이라고 할 수 있는 존재로, 그와 접촉하면 기억이 소거되어 플래시백(지금까지 꾼 꿈의 리플레이)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1] 플래시백 기능은 게임 내 며칠이 지나면 메인 메뉴에 나타나며, 마지막으로 꾼 꿈의 축약된 버전을 다시 경험할 수 있게 해준다.[1]

2. 3. 시간 제한 및 그래프

한 번의 은 최대 10분 동안 지속된다.[1] 게임 화면에는 남은 시간이 표시되지 않는다. 꿈속 시간의 흐름은 장소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초원과 같이 평화로운 장소에서는 시간이 천천히 흐르지만, '바이올런스 거리'와 같은 스릴 넘치는 장소에서는 시간이 더 빨리 흐른다.

정해진 10분이 지나거나, 스테이지 가장자리의 절벽에서 떨어지거나, 특정 물체와 상호작용하거나, 죽으면 꿈에서 깨어나게 된다.[1] 꿈이 끝나면 그날 꾼 꿈의 내용에 따라 "Upper", "Downer", "Static", "Dynamic" 네 가지 상태로 평가되는 그래프가 나타나며, 이 그래프는 다음 꿈의 내용에 영향을 미친다.[1]

플레이 횟수는 날짜("Day 001" 형식)로 기록된다. 꿈을 여러 번 꿀수록 지형의 색상이나 모양, 캐릭터의 모습 등 꿈 세계의 내용이 점차 초현실주의적이고 환각 예술적으로 변해간다.[1] 게임 내에서 며칠이 지나면 메인 메뉴에 "플래시백" 옵션이 나타나 마지막으로 꾼 꿈의 축약된 버전을 다시 경험할 수 있다.[1] 하지만 꿈속에는 드물게 회색 인간(그림자 인간 또는 신사[17][18]라고도 불림)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 캐릭터와 접촉하면 기억이 지워져 플래시백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되고 현재 꿈에서 진행된 내용이 초기화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

2. 4. 플래시백

게임 플레이를 통해 경험한 꿈들은 플래시백 기능을 통해 다시 볼 수 있다. 이는 '지금까지의 기억의 리플레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꿈속 세계에는 드물게 '수수께끼의 신사'라고 불리는 인물이 나타나는데[17][18], 이 인물과 접촉하게 되면 플레이어의 기억이 소거되어 플래시백 기능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 신사는 게임 내에서 유일하게 플레이어에게 불이익을 주는 존재로, 일종의 '적'으로 간주될 수 있다.

3. 개발

''LSD: 드림 에뮬레이터'' 개발에 참여한 주요 스태프는 다음과 같다.[4][5][22]

역할이름
프로듀스, 오프닝·오리지널 BGM사토 오사무
컨셉, 기획사토 오사무, 아시베 사토시
추가 CG 디자인사토 오사무, 이이즈카 노보루, 미나미 신타로, 요르그 샤움 Jörg Schaum영어
개발 디렉터, 메인 프로그램마에다 요시노리
맵 디자인아시베 사토시, 니시카와 쿄코
메인 CG, 무비 디자인고시마 카즈히로
오리지널 드림 다이어리니시카와 쿄코
패키지 디자인미나미 신타로
추가 프로그램코가 타쿠
효과음미즈데 히로시
커버 디자인DJ Food영어
리믹스 (그래픽 디자인)숀 부스 Shaun Booth영어 (Gescom영어, 오테커), 맷 로치 Matt Roache영어, 앤드루 서튼 Andrew Sutton영어 (Think Electric), GROOVISIONS, HEX, 케빈 포크스 Kevin Foakes영어 (DJ Food)
스페셜 땡스이이다 카즈토시, 가토 겐소, 이토 히로시, 타카하시 신타로, 이이즈카 쇼, 고시마 유미, MORI & MOCHI, 무라타 토모키, 모치즈키 토시노리, 나카무라 와타루, 우에하라 마사미치, 아스카 치과 클리닉, BEAMS, KISS, VAL, CONSCIOUS DREAMS


3. 1. 개발 배경

''LSD: 드림 에뮬레이터''는 일본의 멀티미디어 아티스트 사토 오사무가 제작한 게임이다.[4] 사토는 1980년대에 사진과 작곡으로 예술 활동을 시작했으며, 1990년대에 들어서는 디지털 그래픽 디자인컴퓨터 아트 분야로 활동 영역을 넓혔다.[5] 그는 중학생 시절 크라프트베르크의 앨범 『인간 해체』(1978년) 재킷 사진에 충격을 받고 음원을 접하면서 테크노팝 및 전자 음악에 깊이 빠져들었다.[22] 이후 음악 잡지 『사운드&레코딩 매거진』의 로고 및 표지 디자인을 담당하고, 음악 유닛 EP-4의 사토 카오루를 만나 그의 레이블에서 앨범 『Objectless』(1983년)를 발매했으며, TV 프로그램 음악 제작, 그래픽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22]

1990년대 CD-ROM 기술에 주목한 사토는 상호작용이 가능한 3D 애니메이션 비디오 제작을 시도했다. 그의 목표는 게임 자체가 아니라, 게임 플랫폼을 현대 미술 작품 창작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었다.[4] 개인전에서 CD-ROM의 가능성을 발견한 그는 PC용 소프트웨어 『동뇌』(1994년)와 『중천』(1995년)을 출시했다.[22] 특히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재팬의 지원으로 1994년에 출시한 ''동뇌''는 일본과 미국에서 발매되었으며, 미국에서의 성공과 수상에 힘입어 다음 프로젝트인 ''LSD''의 제작 자금을 확보할 수 있었다.[4][5]

사토는 여전히 자신을 게임 개발자가 아닌 예술가로 여겼으며, 플레이스테이션을 예술과 음악 창작 매체로 사용하고자 했다.[5] 그는 소니가 이미 정교하고 실험적인 콘셉트를 수용하고 있다고 판단했고, 세가닌텐도는 상대적으로 장난감 회사 이미지가 강하다고 생각하여 플레이스테이션을 플랫폼으로 선택했다.[4] ''LSD''의 핵심 아이디어는 사토가 레이싱 게임을 플레이하던 중 떠올랐다. 그는 레이싱 게임에 서툴러서 어렵고 지루하게 느꼈고, 차를 벽에 들이받으면 다른 차원으로 이동하는 상상을 했다. 이는 자신처럼 게임에 능숙하지 않은 플레이어들에게 더 큰 즐거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했다.[4][5] 이를 바탕으로 꿈처럼 비논리적이고 쉽게 잊히는 특성을 지닌 가상의 세계를 만들기로 했다.[4] 게임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스믹 에이스 엔터테인먼트 소속 게임 디자이너 니시카와 히로코가 약 10년간 기록한 꿈 일기에서 많은 영감을 얻었다.[1][3][5][22]

사토는 게임에 명확한 목표를 부여하지 않았다. 그는 인간의 존재 자체가 단순한 목표로 축소될 수 없듯이, 비디오 게임에서도 목표 설정은 본질적이지 않다고 보았기 때문이다.[4] 그는 꿈이 지닌 부조리함을 게임 세계관에 반영하여 플레이어가 다양한 해석을 할 여지를 남기고자 했다.[22]

음악가이기도 한 사토는 직접 게임의 사운드트랙을 작곡했다. 그는 약 500개의 음악 패턴을 만들기 위해 샘플링 기법을 사용했는데, 완성된 멜로디보다 이 방식이 꿈의 혼돈 상태를 더 잘 표현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1][4][5] 그는 특히 영국 워프 레코드 레이블에서 나오는 음악의 영향을 받았다. 처음에는 게임에 아시아적 색채를 더하기 위해 오음계 멜로디를 더 많이 사용하려 했으나, 이시이 켄과 같은 일본 프로듀서들의 국제적인 성공을 보고 그럴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5]

게임 제목 'LSD'는 히피와 사이키델릭 문화에 대한 관심을 끌기 위해 동명의 약물인 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에서 따왔다.[5] 하지만 이 약어는 게임 내에서 단일한 의미로 고정되지 않았다. 대신 '인생에서의 감각적인 꿈'(in Life, the Sensuous Dreameng)이나 '림보 속의 고요한 꿈'(in Limbo, the Silent Dreameng)처럼 다양한 해석이 게임 안에 제시되었다. 사토는 이를 통해 꿈의 혼돈과 혼란스러움을 표현하고자 했다.[4]

사토 오사무는 게임 발매와 비슷한 시기에 사운드트랙 앨범과 꿈 일기 서적 등을 내고 전시회, 클럽 이벤트 등으로 홍보했지만, 그의 의도와 달리 게임에 대한 반응은 미미했다.[22]

3. 2. 개발 과정

''LSD: 드림 에뮬레이터''는 일본의 멀티미디어 아티스트 사토 오사무가 개발한 작품이다.[4] 사토는 1980년대 사진과 작곡으로 예술 활동을 시작해 1990년대 디지털 그래픽 디자인컴퓨터 아트로 영역을 넓혔다.[5] 그는 CD-ROM 기술을 활용한 상호작용적 3D 애니메이션 비디오 제작을 시도했는데, 이는 게임 개발보다는 게임 플랫폼을 현대 미술 창작의 매개체로 사용하려는 의도였다.[4] 1994년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재팬의 지원으로 첫 프로젝트인 ''Eastern Mind: The Lost Souls of Tong Nou''를 출시했고,[4][5] 이 작품이 미국에서 좋은 반응을 얻으며 차기작인 ''LSD''의 제작 기반을 마련했다.[5]

사토는 자신을 게임 개발자가 아닌 아티스트로 여겼고, 플레이스테이션을 예술과 음악 창작 도구로 활용하고자 했다.[5] 그는 세가닌텐도와 달리 소니가 이미 정교하고 실험적인 콘셉트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플레이스테이션을 개발 플랫폼으로 선택했다.[4]

''LSD''의 핵심 아이디어는 사토가 레이싱 게임을 플레이하던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게임 실력이 부족했던 그는 벽에 충돌했을 때 단순히 게임이 끝나거나 불이익을 받는 대신, 다른 차원으로 이동하는 상상을 했다. 이는 자신처럼 게임에 능숙하지 않은 플레이어들에게 더 흥미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4][5] 이를 바탕으로 꿈처럼 비합리적이고, 경험한 뒤에는 쉽게 잊히는 특성을 가진 가상의 세계를 구상하게 되었다. 사토는 게임에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지 않았는데, 이는 인간의 존재 자체가 단순한 목표로 환원될 수 없듯이 비디오 게임에서도 목표가 반드시 필요한 요소는 아니라는 그의 철학에 따른 것이었다.[4]

게임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스믹 에이스 엔터테인먼트 소속 게임 디자이너 니시카와 히로코(西川宏子)를 비롯한 개발 스태프들이 약 10년간 기록해 온 꿈 일기에서 영감을 얻었다.[1][3][5][22] 사토는 꿈이 본질적으로 부조리하다고 생각했기에, 게임 역시 명확한 설명 없이 플레이어의 다양한 해석을 유도하는 부조리한 세계관을 지향했다.[22]

음악가이기도 했던 사토는 게임의 사운드트랙 역시 직접 작곡했다. 그는 약 500개에 달하는 방대한 음악 패턴을 샘플링 기법을 이용해 제작했는데, 완성된 멜로디보다는 단편적인 사운드의 조합이 꿈의 혼란스러운 상태를 더 효과적으로 표현한다고 판단했다.[1][4][5] 특히 영국 워프 레코드 레이블의 전자 음악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초기에는 게임에 아시아적인 색채를 더하기 위해 오음계 멜로디를 사용하려 했으나, 이시이 켄과 같은 일본 테크노 뮤지션들의 국제적인 성공을 보며 그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 되었다고 한다.[5]

게임 제목인 "LSD"는 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라는 동명의 약물을 직접적으로 연상시키는데, 이는 히피나 사이키델릭 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한 의도도 있었다.[5] 하지만 게임 내에서 이 약어는 '인생에서, 감각적인 꿈(in Life, the Sensuous Dream)' 또는 '림보에서, 침묵하는 꿈(in Limbo, the Silent Dream)' 등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겨두었다. 사토는 이러한 모호함을 통해 꿈의 혼돈과 혼란스러움을 표현하고자 했다.[4]

사토 오사무는 게임 발매와 거의 동시에 사운드트랙 앨범, 꿈 일기 내용을 담은 서적 등을 출판하고, 전시회나 클럽 이벤트를 통해 적극적으로 게임을 홍보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발매 초기 게임에 대한 반응은 그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일부 마니아층 사이에서만 주목받는 데 그쳤다.[22]

4. 음악

게임 플레이 중에는 약 500가지 패턴의 배경 음악이 재생되며, 이는 켄 이시이를 비롯한 여러 뮤지션들이 참여하여 제작되었다. 게임의 프로듀싱과 오프닝 및 오리지널 배경 음악은 사토 오사무가 주로 담당했다. 게임 초회 한정판에는 사운드트랙 CD가 특전으로 포함되기도 했다.[23]

이후 게임의 사운드트랙은 『'''LSD & REMIXES'''』라는 제목의 앨범으로 1998년 10월 21일에 정식 발매되었으며,[24] 2018년에는 게임 발매 20주년을 기념하여 리마스터 버전인 『'''LSD REVAMPED'''』가 발매되었다.[25]

4. 1. 게임 음악

게임 플레이 중에는 500가지 패턴의 배경 음악이 재생된다. 이 음악들은 켄 이시이를 비롯한 여러 뮤지션들이 제작에 참여했다. 게임의 프로듀싱과 오프닝 및 오리지널 배경 음악은 사토 오사무가 담당했다. 게임 초회 한정판에는 사운드트랙 CD가 특전으로 포함되었다.

참여 뮤지션 및 곡 목록은 다음과 같다.

  • 「Long Tall Eyelash」 - 켄 이시이, μ-Ziq
  • 「Funky Solution」 - Jimmy Tenor|지미 테너eng
  • 「TV-River」 - Morgan Geist|모건 가이스트eng
  • 「Professional Problem」 - Pantune Music
  • 「Oriental Grill」 - M.P.D.
  • 「Come On And...」 - Out Ass Mao[23](사토 오사무)

4. 2. 사운드트랙

게임 플레이 중에는 약 500가지 패턴의 배경 음악이 재생된다. 이 음악들은 사토 오사무가 미디 작업을 통해 단독으로 제작했으며[22], 켄 이시이와 같은 뮤지션들이 리믹스에 참여하기도 했다. 게임 초회 한정판에는 특전으로 음악 CD "Lucy in the Sky with Dynamites"가 포함되었다. 이 CD의 제작에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참여했다.

  • 프로듀스, 일렉트릭 웨이브, 음악 프로그램, 디지털 컨덕트: 사토 오사무 (Out Ass Mao)
  • 키보드, 프로그램: 야마모토 테츠야
  • 신시사이저, 베이스, 프로그램: 미즈데 히로시
  • 기타: 나리타 시노부
  • 트럼펫: 테라우치 시게루
  • 첼로: 코마츠 유미
  • 소프라노 보이스: 야나기사와 아키
  • 믹스: 야마자키 토오루, 사토 오사무
  • 레코딩 & 믹스 스튜디오: room8
  • 마스터링: 타나카 미츠카즈
  • 마스터링 스튜디오: 소니 시나노마치 스튜디오


=== LSD & REMIXES ===

LSD & REMIXESeng플레이스테이션용 게임 LSDeng사운드트랙 앨범이다. 1998년 10월 21일에 뮤직 마인 레이블을 통해 2CD 형태로 발매되었다.[24] 앨범의 장르는 전자 음악, 테크노, IDM, 브레이크비트, 드럼 앤 베이스, 게임 음악 등이며, 총 재생 시간은 DISC 1이 49분 15초, DISC 2가 51분 30초이다. DISC 1에는 사토 오사무가 작곡한 오리지널 믹스가, DISC 2에는 켄 이시이, Jimi Tenor|지미 테너eng, μ-Ziq, Morgan Geist|모건 가이스트eng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참여한 리믹스 트랙이 수록되었다.

'''DISC 1: Original Mixes'''

모든 곡은 사토 오사무 작곡이다.

#제목재생 시간
1Funky Solution5:50
2Long Tall Eyelush5:41
3TV River5:40
4Professional Problem4:57
5Oriental Grill4:18
6Come And On6:49
7Fax Factory4:40
8Fried BANANA5:18
9Say Cheeze6:02



'''DISC 2: Remixes'''

#제목리믹서재생 시간
1Long Tall Eyelush (Ken Ishii Mix)켄 이시이5:50
2Funky Solution (Jimi Tenor Mix)Jimi Tenor|지미 테너eng6:32
3Long Tall Eyelush (μ-Ziq mix)μ-Ziq8:11
4TV River (Morgan Geist Mix)Morgan Geist|모건 가이스트eng6:20
5Professional Problem (Pantune Music Mix)Pantune Music7:21
6Oriental Grill (M.P.D. mix)M.P.D.9:01
7Come On And (Out Ass Mao Mix)Out Ass Mao8:15



=== LSD REVAMPED ===

2018년 4월 11일, 게임 발매 20주년을 기념하여 디지털 리마스터 버전인 LSD REVAMPEDeng가 발매되었다.[25] 이 앨범은 기존 LSD & REMIXESeng의 곡들을 리마스터했으며, 총 재생 시간은 DISC 1이 52분 32초, DISC 2가 71분 59초이다. DISC 1에는 보너스 트랙 "Mayday"가 추가되었다. DISC 2에는 기존 리믹스 곡들과 더불어 Quarta 330, 하세가와 하쿠시, 오카모토 레이지, 조르지오 브레이즈 기븐 등이 참여한 새로운 리믹스가 추가로 수록되었다.[25]

'''DISC 1: New Originals'''

모든 곡은 사토 오사무 작곡이다.

#제목재생 시간
1Long Tall Eyelash 20185:41
2Come On And 20185:13
3Fax Factory 20184:40
4Fried Banana 20184:39
5Funky Solution 20185:51
6Oriental Grill 20184:19
7Professional Problem 20185:11
8Say Cheeze 20185:58
9TV River 20185:41
10Mayday (Bonus Track)5:19



'''DISC 2: Remixes'''

#제목리믹서재생 시간
1Long Tall Eyelush (ken ishii mix)켄 이시이5:50
2Long Tall Eyelash (μ-Ziq Mix)μ-Ziq8:11
3Come On And (Out Ass Mao Mix)Out Ass Mao8:15
4Come On And (Hakushi Hasegawa Mix) (New Remixes 2018)하세가와 하쿠시4:50
5Fax Factory (Reiji Okamoto (OKAMOTO'S) + Giorgio Blaise Givvn MIX) (New Remixes 2018)오카모토 레이지, 조르지오 블레이즈 기븐7:00
6Fried Banana (Out Ass Mao Mix) (New Remixes 2018)Out Ass Mao4:34
7Funky Solution (Jimi Tenor Mix)Jimi Tenor|지미 테너eng6:33
8Oriental Grill (M.P.D. Mix)M.P.D.9:00
9Professional Problem (Pantune Music Mix)Pantune Music7:22
10Say Cheeze (Quarta 330 Mix) (New Remixes 2018)Quarta 3304:04
11TV River (Morgan Geist Mix)Morgan Geist|모건 가이스트eng6:20


5. 발매

LSD는 1998년 10월 22일 일본에서 플레이스테이션용으로 출시되었다.[6] 개발자인 사토 오사무는 이전 작품 ''Eastern Mind: The Lost Souls of Tong Nou''와 마찬가지로 미국 출시를 희망했지만, 현지화에 대한 발언권을 더 이상 갖지 못해 무산되었다.[4][5][7]

게임은 일반판과 함께 보너스 CD "''Lucy in the Sky with Dynamites''"와 "''Lovely Sweet Dream''"이라는 책이 포함된 한정판 세트로도 발매되었다. 보너스 CD에는 약 1시간 분량의 애시드 테크노 음악이 수록되어 있으며, 책은 게임의 바탕이 된 니시카와 히로코의 꿈 일기에서 발췌한 내용과 영어 번역, 다양한 예술가들의 삽화로 구성되어 있다.[1][9]

또한, 게임과 함께 "''LSD and Remixes''"라는 제목의 2CD 사운드트랙 컴필레이션이 별도로 발매되었다. 여기에는 Ken Ishii, Jimi Tenor, μ-Ziq, Morgan Geist 등 여러 아티스트의 리믹스 트랙이 포함되었다.[4][10] 사토는 2019년에 이 트랙들을 다시 작업하여 사운드트랙의 새로운 버전을 출시하기도 했다.[11]

''LSD''는 발매 당시 판매량이 많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 오리지널 패키지는 중고 시장에서 구하기 어려우며, 매물이 나오면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경우가 많다.[1][2] 2010년 8월 11일에는 일본 PlayStation Store에서 플레이스테이션 3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용 게임 아카이브스 버전으로 재출시되어 다운로드 방식으로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1][6][8]

No.제목발매일대응 기종개발원발매원미디어형식비고출처
1LSD2010년 8월 11일플레이스테이션 3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OSD아스믹 에이스다운로드
(게임 아카이브스)
-410 메가바이트[19][20][21]


6. 평가 및 영향

''LSD: 드림 에뮬레이터''는 제한된 판매량과 독특한 내용으로 인해 출시 초기에는 주목받지 못하고 빠르게 잊혔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인터넷을 중심으로 컬트 팬을 확보하며 재평가받기 시작했다.[1][2][3] 게임의 독특한 경험과 실험성은 다양한 매체와 팬 활동을 통해 꾸준히 언급되고 있으며, 이는 게임의 지속적인 영향력을 보여준다.

6. 1. 평가

''LSD: 드림 에뮬레이터''는 발매 당시 제한된 판매량과 독특한 내용으로 인해 빠르게 잊혔으나, 이후 몇 년 동안 열렬한 컬트 팬을 확보하게 되었다.[1][2][3] 게임 제작자 사토 오사무조차 출시 후 수년이 지나 서양에서 게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유를 정확히 알지 못했다. 마더보드(Motherboard)는 이러한 인기가 주로 인터넷의 영향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Cracked.com과 같은 유머 블로그나 게임의 기이한 특징을 활용하는 유튜브(YouTube)의 Let's Play 영상들이 인기를 견인했다고 보았다.[2] ''Hardcore Gaming 101''은 ''LSD''의 인기가 환각적이고 실험적인 게임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를 보여주는 증거라고 평가했다.[1] 많은 팬들의 문의로 결국 소니는 2010년 일본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에서 게임을 재출시했고, 이는 더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사토는 ''LSD''의 온라인 인기를 통해 자신을 알게 된 젊은 관객들이 그의 미술 전시회를 방문하는 것을 확인하기도 했다.[5] 영국의 인디 록 밴드 알트-J(Alt-J)는 사토로부터 직접 허가를 받아 ''LSD''의 스크린샷을 그들의 스튜디오 앨범 ''Relaxer''(2017)의 커버 아트로 사용했다.[5][12] 2011년부터는 한 팬이 Unity 엔진을 사용하여 개인용 컴퓨터용 비공식 리메이크 개발을 시작했으며, 2014년에는 공개 알파 버전이 출시되기도 했다.[13][14] 2020년에는 영어 팬 번역 버전이 공개되었다.[15]

게임 자체의 품질에 대해서는 상반된 평가가 존재한다. ''Kill Screen''은 ''LSD''를 "역대 가장 불안하고 예측 불가능하며 기묘한 비디오 게임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3] ''Hardcore Gaming 101''은 "실제 꿈의 느낌을 이토록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비디오 게임은 없었다"고 호평하며, 게임이 다소 오래되었을 수 있지만 여전히 경험할 가치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게임을 만화 시리즈 ''Little Nemo'', ''The Sandman'', 영화 ''Dreams'', 그리고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와 같은 꿈을 모방하도록 설계된 예술 작품에 비유했다.[1] 레드 불 뮤직 아카데미는 이 게임을 모든 게임 중 가장 "실험적인 타이틀" 중 하나라고 불렀다.[5]

반면, 일본의 게임 매체나 서적에서는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게임 서적 『초 쿠소게 2』의 필자 아베 히로키는 게임의 첫인상이 플레이스테이션 초기에 검증용으로 제작된 데모 작품과 비슷하며, 게임 플레이가 놀이라기보다는 지형 확인 작업 같다고 지적했다. 또한 조악한 폴리곤으로 만들어진 등장인물과 물체 때문에 호불호가 갈릴 것이라며 그래픽과 게임 시스템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아베는 작가인 사토 오사무가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주최 공모전에서 수상한 점을 언급하며, "특이한 아이디어로 업계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가치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외부 업계 관계자가 게임 제작에 참여함으로써 "게임이 세련되고 멋있어지고 테크노와 융합하면 일반 대중에게 침투해 잘 팔릴 것"이라는 착각이 발생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 게임을 "90년대 초중반 유행했던 멀티미디어 소동의 흐름을 따른, 좋았던 옛날 엉터리 시대의 컴퓨터 문화 숨결을 현재에 전하는 사기 냄새 나는 걸작"이라고 총평했다.

게임 서적 『악취미 게임 기행 2』의 필자 각푸 시시마루는 이 게임을 "스마트 드럭 계열의 무목적 환경 소프트웨어"로 규정했다. 그는 제목에 드러난 제작사의 적극적인 자세와 저렴한 가격, 도전적인 광고 문구는 호의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부조리 게임은 제작자의 뒤틀린 감성을 즐기는 것이 게임을 사랑하는 어른의 감상법"이라고 주장했다. 초기 콘셉트를 완벽하게 구현했다면 기적적인 게임이 될 수 있었겠지만, 당시 플레이스테이션의 기술적 한계로 인해 "단지 플레이하는 우리 범인들을 곤혹스럽게 만들 뿐으로 끝났다"며 게임성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시시마루는 이 게임이 개발자의 악의나 계산 없이 "수준 높은 오락을 제공하려는 순수한 창작자 정신으로 가득 차 있었다"고 하면서도, 오히려 악의가 없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처럼 엇갈린 평가 속에서도, ''LSD''는 일본 국외에서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오리지널 패키지 버전은 유럽의 eBay 등에서 4만 전후의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22]

6. 2. 영향

''LSD: 드림 에뮬레이터''는 제한된 판매량과 독특한 내용 때문에 출시 직후에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열렬한 컬트 팬을 확보하게 되었다.[1][2][3] 게임 제작자인 사토 오사무 본인에게도 출시 후 수년이 지나 서양 사용자들 사이에서 게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유는 미스터리였다. 마더보드는 이러한 인기 상승이 주로 인터넷의 영향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Cracked.com과 같은 유머 블로그나 게임의 기이한 특징을 보여주는 유튜브의 Let's Play 영상들이 인기를 견인했다는 것이다.[2] 게임 전문 웹사이트 ''Hardcore Gaming 101''에서는 ''LSD''의 인기가 환각적이고 실험적인 게임에 대한 수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했다.[1]

팬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문의로 소니는 2010년 일본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을 재출시했고, 이는 더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사토 오사무는 ''LSD''의 온라인 인기를 통해 자신을 알게 된 젊은 세대가 그의 미술 전시회를 찾는 경우가 늘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5] 영국의 인디 록 밴드 알트-J는 사토의 허락을 받아 ''LSD''의 스크린샷을 2017년 발매한 앨범 ''Relaxer''의 커버 아트로 사용했다.[5][12]

2011년에는 한 팬이 유니티 엔진을 이용해 개인용 컴퓨터용 비공식 리메이크 제작을 시작했으며, 2014년에는 공개 알파 버전이 배포되었다.[13][14] 2020년에는 영어 팬 번역이 공개되어 영어권 사용자들도 게임을 더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15]

게임 자체에 대한 평가로, ''Kill Screen''은 "역사상 가장 불안하고 예측 불가능하며 기묘한 비디오 게임 중 하나"라고 칭했다.[3] ''Hardcore Gaming 101''에서는 "실제 꿈의 느낌을 이토록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비디오 게임은 없었다"고 호평하며, 다소 오래된 게임이지만 여전히 경험할 가치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만화 ''Little Nemo'', ''샌드맨'', 영화 ''꿈 (1990년 영화)'',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등 꿈을 모방한 다른 예술 작품들과 비교하기도 했다.[1] 레드 불 뮤직 아카데미는 이 게임을 역대 가장 실험적인 게임 중 하나로 꼽았다.[5]

참조

[1] 뉴스 LSD: Dream Emulator http://www.hardcoreg[...] 2018-03-13
[2] 뉴스 The Elusive Creator of the Most Terrifying Video Games https://motherboard.[...] 2018-03-13
[3] 뉴스 Remaking the notorious PS1 freakout LSD: Dream Emulator https://killscreen.c[...] 2018-03-13
[4] 서적 PlayStation Anthology Geeks Line
[5] 웹사이트 Interview: Osamu Sato http://daily.redbull[...] 2018-03-13
[6] 간행물 LSD [PS] / ファミ通.com https://www.famitsu.[...] 2018-07-27
[7] Citation LSD Television commercial https://www.youtube.[...] 2018-03-13
[8] 웹사이트 LSD https://store.playst[...] 2018-03-13
[9] 서적 Raburī suīto dorīmu : LSD Mediafakutorī 1998-01-01
[10] 서적 LSD instruction manual Asmik Ace Entertainment 1998-01-01
[11] 웹사이트 LSD Dream Emulator Gets Remix Album for Twentieth Anniversary https://hardcoregame[...] 2023-10-19
[12] 뉴스 The bizarre inspiration behind Alt-J's creepy new artwork https://tonedeaf.com[...] 2018-03-13
[13] 뉴스 Fan Remake Of LSD: Dream Emulator Is Now Playable http://www.siliconer[...] 2018-03-13
[14] 뉴스 This awesome son-of-a-gun is remaking LSD: Dream Emulator https://www.destruct[...] 2018-03-13
[15] 웹사이트 Cult 1998 PlayStation Game LSD: Dream Emulator Is Finally Playable In English https://kotaku.com/c[...] 2020-05-05
[16] 웹사이트 LSD: Dream Emulator – Hardcore Gaming 101 https://web.archive.[...] 2018-03-13
[17] 웹사이트 20年時を経て、伝説のカルトゲーム『LSD』のサントラ『LSD REVAMPED』が発売! https://jp.ign.com/g[...] 2018-04-11
[18] 웹사이트 【好きなゲームが世間のクソゲーな人インタビュー】“夢の世界”を9年間歩き続けるプレイヤーに聞くゲーム「LSD」の魅力 https://nlab.itmedia[...] 2020-12-28
[19] 웹사이트 伝説のドリーム・ジェネレータ『LSD』がアーカイブスで配信 https://dengekionlin[...] KADOKAWA 2010-08-11
[20] 웹사이트 PlayStation Store最新情報。配信される新作タイトルは「フェイト/エクストラ」&「真・マスターオブモンスターズ Final EX」 https://www.4gamer.n[...] Aetas 2010-08-11
[21] 웹사이트 週刊ダウンロードソフトウェアカタログ 2010年8月第3週分、第4週分 https://game.watch.i[...] インプレス 2010-08-18
[22] 웹사이트 海外でカルト的に人気を集めるゲーム『LSD』サントラが20年ぶりに復活──Osamu Satoとは何者なのか? https://ototoy.jp/fe[...] オトトイ 2018-07-27
[23] 문서 佐藤理(OSAMU SATO)の[[アナグラム]]。
[24] 웹사이트 V.A. [ オムニバス ] KEN ISHII 佐藤 理,jimitenor,morgan geits,pantune music,osd,m.p.d. http://old.musicmine[...] MUSIC MINE
[25] 웹사이트 90年代カルトゲーム「LSD」のサントラ、オカモトレイジらのリミックス追加し復刻 https://natalie.mu/m[...] ナターシャ 2018-04-11
[26] 웹사이트 LSD: Dream Emulator for PlayStation (1998)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