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iving in the Material World는 조지 해리슨의 1973년 솔로 스튜디오 앨범이다. 이 앨범은 1971년 방글라데시 난민 구제 콘서트 이후 해리슨이 겪은 좌절감과 힌두교 영성에 대한 심취를 반영한다. 앨범은 발매와 동시에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미국 빌보드 200 차트 1위를 기록했으며,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앨범에는 "Give Me Love (Give Me Peace on Earth)"와 같은 해리슨의 대표곡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2006년과 2014년에 리마스터링되어 재발매되었다. 2024년에는 50주년 기념 확장판이 발매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 해리슨의 음반 - The Concert for Bangladesh (음반)
    조지 해리슨이 방글라데시 난민을 돕기 위해 개최한 콘서트 실황 앨범인 "The Concert for Bangladesh"는 에릭 클랩튼, 링고 스타, 밥 딜런 등 유명 음악가들이 참여하여 상업적 성공과 그래미상 수상했지만, 수익금 관리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 조지 해리슨의 음반 - All Things Must Pass
    조지 해리슨의 1970년 솔로 앨범 All Things Must Pass는 비틀즈 해체 후 그의 음악적 역량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밥 딜런, 에릭 클랩튼과의 교류, 종교적 탐구, 필 스펙터의 프로듀싱이 더해져 풍성한 사운드를 자랑하며 "My Sweet Lord"와 같은 히트곡을 탄생시켜 상업적 성공과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았다.
  • 애플 레코드 음반 - Goodnight Vienna
    링고 스타의 1974년 앨범인 Goodnight Vienna는 존 레논, 엘튼 존, 해리 닐슨 등 유명 뮤지션들이 참여했으며, 상업적인 성공과 함께 미국과 영국에서 각각 골드 및 실버 인증을 받았다.
  • 애플 레코드 음반 - John Lennon/Plastic Ono Band
    존 레논의 1970년 솔로 데뷔 앨범 John Lennon/Plastic Ono Band는 아서 야노프 박사의 원초 요법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그의 심리적 고통과 어린 시절 트라우마를 진솔하게 담아낸 앨범으로, "Mother", "Working Class Hero", "God" 등의 대표곡과 간결한 사운드, 솔직하고 강렬한 가사가 특징이다.
  • 1973년 음반 - Life in a Tin Can
    비지스가 1973년에 발표한 앨범 "Life in a Tin Can"은 로스앤젤레스에서 녹음되었으나 혁신 부족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레코드 월드에서 "올해의 앨범"으로 선정되었으며, "Saw a New Morning"을 포함한 8곡과 여러 뮤지션의 참여가 특징이다.
  • 1973년 음반 - Houses of the Holy
    레드 제플린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Houses of the Holy는 블루스 록에서 벗어나 스윙, 레게, 사이키델릭 등 다양한 장르를 시도했으며, 엇갈린 평가에도 불구하고 영국과 미국 차트 1위를 기록하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 [음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음반 커버
음반 커버
장르
길이43분 55초
레이블애플
제작 정보
아티스트조지 해리슨
발매일1973년 5월 30일
녹음1971년 2월
1972년 10월–1973년 3월
스튜디오애플, 런던
FPSHOT, 옥스퍼드셔
EMI, 런던
프로듀서조지 해리슨
필 스펙터(Try Some, Buy Some 참여)
싱글
싱글 1Give Me Love (Give Me Peace on Earth)
싱글 1 발매일1973년 5월 7일
앨범 연대기
이전 앨범The Concert for Bangladesh
이전 앨범 발매년도1971년
다음 앨범Dark Horse
다음 앨범 발매년도1974년

2. 배경

조지 해리슨은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으로 인한 인도주의적 위기에 대응하여 방글라데시 난민 구제 콘서트를 개최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287][288][289] 그러나 콘서트 이후 모금된 자금의 전달 문제와 여러 복잡한 상황에 지쳐 좌절감을 느꼈다.[290][291]

해리슨은 1970년 세 번째 음반인 《All Things Must Pass》를 발표한 이후, 1971년 8월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방글라데시 콘서트 이후 1년 넘게 솔로 활동을 중단했다.[292][293][294] 1971년 마지막 몇 달 동안, 링고 스타애플 레코드 소속 아티스트의 싱글 프로듀싱, 라비 샹카르의 다큐멘터리 《라가》 홍보 등의 활동을 했다.[297][298] 1972년 2월 28일에는 런던에서 메르세데스-벤츠를 운전하다가 사고를 일으켜 부상을 당하기도 했다.[239]

이 공백 기간 동안 해리슨은 힌두교 영성과 크리슈나 의식에 더욱 깊이 심취했다.[20][21][22] 종교 학자이자 국제 크리슈나 의식 협회 신자인 조슈아 그린은 1972년 8월 해리슨이 유럽으로 휴가를 떠나 하루 종일 하레 크리슈나 만트라를 외웠으며, 이것이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앨범을 녹음하기 위한 "준비"였다고 묘사했다.[31][32]

3. 곡 목록

모든 곡은 조지 해리슨이 작사/작곡했다.

번호곡 제목시간
1Give Me Love (Give Me Peace on Earth)3:36
2Sue Me, Sue You Blues4:48
3The Light That Has Lighted the World3:31
4Don't Let Me Wait Too Long2:57
5Who Can See It3:52
6Living in the Material World5:31
번호곡 제목시간
7The Lord Loves the One (That Loves the Lord)4:34
8Be Here Now4:09
9Try Some, Buy Some4:08
10The Day the World Gets 'Round2:53
11That Is All3:43



"The Lord Loves the One (That Loves the Lord)"와 앨범 타이틀곡은 A. C. 박티베단타 스와미 프라브후파다의 가르침에서 직접적인 영감을 받았다.[43][44] "Give Me Love (Give Me Peace on Earth)"에서 해리슨은 힌두교 바잔 스타일(헌신적인 노래)과 서양 가스펠 음악을 혼합하여 "My Sweet Lord"의 공식을 반복했다.[46] 그는 자서전 ''I Me Mine''에서 이 곡을 "나, 주님, 그리고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 사이의 기도이자 개인적인 진술"이라고 묘사했다.[47] "Sue Me, Sue You Blues"는 폴 매카트니가 1971년 비틀즈를 해체하기 위해 대법원에 소송을 제기한 것에 대한 언급이다.[58]

3. 1. 오리지널 발매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앨범에 수록될 조지 해리슨의 곡들은 ''All Things Must Pass'' 세션에서 남은 곡들을 다시 작업하기보다는 1971-72년 기간에 만들어졌다.[37] 1970년에 작곡되어 1971년 2월에 전 로네츠 멤버 로니 스펙터(Ronnie Spector)와 함께 녹음한 "Try Some, Buy Some"만이 예외였다.[38] 이 곡들은 방글라데시 자선 콘서트 전후의 감정을 담은 "The Day the World Gets 'Round" 등을 포함하여, 그의 영적인 헌신을 반영했다.[39]

하레 크리슈나 운동의 창시자인 A. C. 박티베단타 스와미 프라브후파다의 가르침은 이 앨범에 수록된 해리슨의 일부 곡에 영향을 미쳤다.


"The Lord Loves the One (That Loves the Lord)"와 앨범의 타이틀곡은 모두 프라브후파다의 가르침에서 직접적인 영감을 받았다.[43][44] "Give Me Love (Give Me Peace on Earth)"에서 해리슨은 힌두교 바잔 스타일(또는 헌신적인 노래)과 서양 가스펠 음악을 혼합하여 1970-71년 국제적인 히트곡인 "My Sweet Lord"의 공식을 반복했다.[46]

해리슨이 ''All Things Must Pass''에서 선보인 크리슈나에 대한 찬양은 긍정적인 신앙의 축제였지만,[48] 그의 최신 작품들은 방글라데시 경험의 결과로 더욱 엄격한 면모를 보였다.[49][50]

다른 노래 주제들은 비틀즈의 유산을 다루었는데,[53] "Living in the Material World"와 "Sue Me, Sue You Blues"[54][55]와 같이 밴드의 역사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하거나, "The Light That Has Lighted the World", "Who Can See It", "Be Here Now"에서 이전의 정체성에서 벗어나 현재를 살고 싶어하는 해리슨의 소망을 표현했다.[56] "Who Can See It"의 가사는 존 레논폴 매카트니에 비해 해리슨이 열등한 지위에 있었던 것에 대한 그의 실망감을 반영하고 있으며,[57] "Sue Me, Sue You Blues"는 매카트니가 1971년에 밴드를 사업체로 해체하기 위해 대법원에 소송을 제기한 것에 대한 그의 언급이었다.[58]

해리슨은 ''Living in the Material World''에 수록된 11곡 중 9곡과 앨범에 수록되지 않은 "Miss O'Dell"[64]의 저작권을 자신의 Material World Charitable Foundation에 기증했다.[163]

음악은 "Try Some, Buy Some"을 제외하고는 모두 1971년부터 1972년에 걸쳐 만들어졌으며,.[244] 바가바드 기타의 구절을 도입한 곡 등, 신에 대한 마음이 담긴 곡이 많이 수록되었다.[243] 1973년 1월부터 밥 딜런 부부를 집에 초대하여 앨범 제작을 재개했고,[247] 같은 달 하순, 보컬, 퍼커션, 해리슨의 슬라이드 기타, 혼으로 이루어진 베이직 트랙에 대규모 오버더빙이 이루어졌다.[247] 3월 상순, 바햄의 오케스트라와 코러스 오버더빙이 종료되었다.[243]

앨범 아트 디자인은 전작과 마찬가지로 디자이너 톰 윌크스와 그의 비즈니스 파트너인 크레이그 바운에게 의뢰했으며,[245] 가사 카드 삽입 시트에는 아르주나와 함께 마차를 탄 크리슈나가 마법의 일곱 머리 말인 우차이슈라바스에 의해 이끌리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245] 앨범 재킷에는 힌두교 메달을 든 해리슨의 손을 키를리안 사진으로 촬영한 사진이 사용되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의 초심리학부에서 촬영되었다.[248][245] 더블 재킷 왼쪽에는 해리슨, 스타, 혼, 포어먼, 홉킨스, 켈트너, 라이트 등 레코딩 참가 뮤지션들이 긴 테이블에 앉아 식사와 와인을 즐기는 모습이 담겨 있는데, 이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최후의 만찬을 의도적으로 패러디한 것이다.[249] 이 사진은 캘리포니아의 연예 변호사 에이브 서머의 자택에서 켄 마커스에 의해 촬영되었다.[245] 재킷의 테이블 옆에 찍힌 유모차와 간호사는 패티 보이드와의 사이에 아이를 갖지 못했다는 사실과 1970년에 사망한 어머니 루이즈를 기리는 마음을 각각 나타낸다고 추측된다.[245]

3. 1. 1. Side one

Side one영어에 수록될 곡들은 올 싱스 머스트 패스 세션에서 남은 곡들을 다시 작업한 것이 아니라, 1971-72년 기간에 만들어진 곡들이 주를 이루었다.[37] 1970년에 작곡되어 1971년 2월에 전 로네츠 멤버 로니 스펙터(Ronnie Spector)와 함께 녹음한 "Try Some, Buy Some"이 예외였다.[38] 하레 크리슈나 운동의 창시자인 A. C. 박티베단타 스와미 프라브후파다의 가르침은 이 앨범에 수록된 해리슨의 일부 곡에 영향을 미쳤다.[43][44]

음악은 전작 올 싱스 머스트 패스 세션의 미발표곡이 아니라, "Try Some, Buy Some"을 제외하고는 모두 발표 후 1971년부터 1972년에 걸쳐 만들어졌다.[244] 또한 바가바드 기타의 구절을 도입한 곡 등, 신에 대한 마음이 담긴 곡이 많이 수록되었다.[243]

번호곡 제목시간
1Give Me Love (Give Me Peace on Earth)3:36
2Sue Me, Sue You Blues4:48
3The Light That Has Lighted the World3:31
4Don't Let Me Wait Too Long2:57
5Who Can See It3:52
6Living in the Material World5:31


3. 1. 2. Side two

"The Lord Loves the One (That Loves the Lord)"와 앨범의 타이틀곡은 모두 하레 크리슈나 운동의 창시자인 A. C. 박티베단타 스와미 프라브후파다의 가르침에서 직접적인 영감을 받았다.[43][44]

3. 2. 2006년 리마스터

2006년 9월 25일, 본 작품의 리이슈반이 발매되었다. 2006년 최신 디지털 리마스터링이 적용되었으며, 보너스 트랙 2곡이 추가되었다. 풀 컬러 북클릿, 새로운 사진과 라이너 노트, 해리슨의 손글씨 가사와 악곡 해설, DVD가 새롭게 추가되었다.[250]

DVD에는 1991년 에릭 클랩튼과 함께 진행한 일본 공연에서의 Give Me Love 영상, 아카이브 영상 슬라이드 쇼와 함께 Miss O'Dell 등이 흐르는 영상, 1973년 영상을 배경으로 Living in the Material World가 흐르는 영상이 수록되어 있다.[251]

3. 2. 1. 보너스 트랙

2006년 9월 25일, 본 작품의 리이슈반이 발매되었다. 2006년 최신 디지털 리마스터링이 적용되었으며, 새롭게 2곡이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었다. 풀 컬러 북클릿이 부속되었고, 새로운 사진과 라이너 노트, 해리슨의 손글씨 가사와 악곡 해설, DVD가 새롭게 추가되었다.[250]

2014년 9월 22일에는 2014년 최신 리마스터링을 거쳐 재발매되었다.[252] 내용은 기본적으로 2006년반과 동일하지만, 보너스 트랙으로 "방글라데시"가 추가되었으며, 일본반만 SHM-CD로 발매되었다.[253]

'''※2006년에 EMI에서 재발매된 스페셜 에디션판 부속 DVD.'''

  • 기브 미 러브 - ''Give Me Love(Give Me Peace on Earth)'' (1991년 12월 15일 도쿄 돔에서 녹음)
  • : 라이브 비디오 (미발표)
  • 미스 오델 - ''Miss O'Dell'' (얼터너티브 버전) (2:29)
  • : 보컬 트랙의 다른 버전 (미발표)
  • 수 미, 수 유 블루스 - ''Sue Me, Sue You Blues'' (어쿠스틱 데모 버전) (4:48)
  • : 데모 버전 (미발표)
  • 리빙 인 더 머테리얼 월드 -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 : 비디오 클립 (미발표)

3. 3. 2014년 리마스터

2014년 9월 22일, 2014년 최신 리마스터링을 거쳐 《Living in the Material World》가 재발매되었다.[252] 내용은 기본적으로 2006년반과 동일하지만, 보너스 트랙으로 〈Bangla Desh〉가 추가되었으며, 일본반만 SHM-CD로 발매되었다.[253]

3. 3. 1. 보너스 트랙

제목재생 시간
Deep Blue3:47
Miss O'Dell2:33
Bangla Desh3:57



2006년 9월 25일, 본 작품의 리이슈반이 발매되었다. 2006년 최신 디지털 리마스터링이 적용되었으며, 새롭게 2곡이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었다.[250] 2014년 9월 22일에는 2014년 최신 리마스터링을 거쳐 재발매되었으며, 보너스 트랙으로 〈방글라데시〉가 추가되었다.[253]

4. 제작

조지 해리슨은 1971년 방글라데시를 위한 인도주의 지원 사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지만,[287][288][289] 모금된 돈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지치고 좌절했다.[290][291] 그는 1970년 솔로 앨범 《All Things Must Pass》의 후속곡을 녹음하는 대신, 1971년 8월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두 번의 방글라데시 콘서트 이후 1년 넘게 솔로 활동을 중단했다.[292][293][294]

1971년 말, 그는 링고 스타애플 레코드 소속 가수들의 싱글 프로듀싱을 돕고, 라비 샹카르의 다큐멘터리 《라가》 홍보를 도왔다.[297][298] 1972년 8월에는 실라 블랙의 곡 〈When Every Song Is Sung〉 녹음에 참여했다.[299]

이 기간 동안 해리슨은 힌두교 영성에 더욱 심취했으며, 특히 A.C. 박티베단타 스와미 프라부파다와의 친분을 통해 크리슈나 의식에 헌신했다.[20][21][22] 그러나 그의 영적인 헌신은 일관되지 않았고, 때로는 세속적인 쾌락에 빠지기도 했다.[23][24] 1972년 8월, ''방글라데시를 위한 콘서트'' 다큐멘터리 영화가 개봉된 후, 해리슨은 유럽으로 혼자 운전 여행을 떠났고, 그 동안 하레 크리슈나 만트라를 계속 외웠다고 한다.[14][31][32]

해리슨은 당초 필 스펙터와 함께 새 앨범을 프로듀싱할 계획이었으나, 스펙터의 변덕스러운 행동과 과도한 음주로 인해[74] 1972년 10월 세션이 시작될 때 해리슨이 단독 프로듀서가 되었다.[75]

4. 1. 녹음

조지 해리슨은 전작 《All Things Must Pass》의 프로듀서였던 필 스펙터를 다시 기용했지만, 스펙터의 불안정한 행동과 음주 문제로 인해 제작이 지연되자 해리슨이 직접 프로듀서를 맡았다.[245] 스펙터가 프로듀스한 곡은 "트라이 썸 바이 썸"뿐이다.

클라우스 포어만에 따르면, 녹음 세션은 주로 해리슨의 자택 스튜디오인 FPSHOT에서 진행되었지만, 일부는 런던의 애플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졌다.[245] 짐 켈트너는 해리슨이 이 앨범 녹음 기간 동안 금연과 힌두교 염주 착용을 통해 육체적, 정신적으로 최상의 상태를 유지했다고 회상했다.[246]

해리슨은 어쿠스틱 및 일렉트릭 기타 파트를 주로 담당했다. 전작에 이어 포어만과 게리 라이트가 참여했고, 존 바햄이 스트링과 코러스 편곡을 맡았다.[245] 《방글라데시 난민 구제 콘서트》에 참여했던 짐 켈트너, 니키 홉킨스, 짐 혼이 새롭게 참여했다.[245]

4. 2. 오버더빙 및 믹싱

All Things Must Pass의 웅장한 사운드 오브 사운드 프로덕션 이후,[70] 해리슨은 이번에는 더 절제된 사운드를 원했고, 나중에 표현했듯이, 곡들을 "자유롭게" 하고자 했다.[71][72] 그는 이전처럼 필 스펙터와 공동 프로듀싱을 할 의도였지만,[73] 스펙터의 변덕스러운 행동과 알코올 섭취[74] 때문에 1972년 10월에 세션이 시작되자 해리슨이 이 프로젝트의 유일한 프로듀서가 되었다.[75] 그러나 해리슨이 레온 러셀, 짐 고든, 피트 햄 및 존 바햄과 같은 뮤지션들이 참여한 1971년 녹음을 사용했기 때문에 "Try Some, Buy Some"에 스펙터의 이름이 크레딧에 올랐다.[77]

1973년 1월 또는 2월 발매가 계획되었으며, 앨범 제목은 ''The Light That Has Lighted the World''로 알려졌다.[73] 한 달 안에 제목은 ''The Magic Is Here Again''로 발표되었으며,[79][80] 롤링 스톤 잡지의 잘못된 보도에 따르면 에릭 클랩튼이 공동 프로듀싱을 하고 앨범은 1972년 12월 20일에 발매될 예정이었다.[75]

세션은 런던의 애플 스튜디오와 해리슨의 자택 스튜디오인 FPSHOT에서 주로 진행되었다고 클라우스 부어만은 말한다.[75][88] 런던 W1에 위치한 애플 스튜디오는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레코드 커버에 눈에 띄게 명시되어 해리슨이 비틀즈 소유의 녹음 시설을 옹호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88][92]

세션은 11월 말까지 계속되었으며,[75] 니키 홉킨스자메이카로 가서 롤링 스톤즈의 새 앨범 작업을 시작했다.[96] 이 기간 동안 해리슨은 라비 샹카르와 알리 악바르 칸을 위해 애플 레코드에서 1월에 발매될 새로운 라이브 앨범을 공동 프로듀싱했는데,[97] 그것이 바로 호평을 받은 ''In Concert 1972''였다.[98]

5. 앨범 아트

해리슨은 전작과 마찬가지로 앨범 아트 디자인을 디자이너 톰 윌크스와 그의 비즈니스 파트너 크레이그 바운에게 의뢰했다. 가사 카드 삽입 시트에는 아르주나와 함께 마차를 탄 크리슈나가 마법의 일곱 머리 말 우차이슈라바스에 의해 이끌리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앨범 재킷에는 힌두교 메달을 든 해리슨의 손을 킬리안 사진으로 촬영한 이미지가 사용되었다. 이 사진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의 초심리학부에서 촬영되었다.[200] 더블 재킷의 왼쪽에는 해리슨, 링고 스타, 혼, 부어만, 홉킨스, 켈트너, 라이트 등 레코딩에 참여한 뮤지션들이 긴 테이블에 앉아 식사와 와인을 즐기는 모습이 담겨 있다. 이 사진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최후의 만찬을 패러디한 것이며, 사진작가 켄 마커스가 캘리포니아의 연예 변호사 에이브 서머의 자택에서 촬영했다. 재킷에 찍힌 유모차와 간호사는 패티 보이드와의 사이에 아이를 갖지 못했다는 사실을, 빈 휠체어는 1970년에 사망한 어머니 루이즈를 기리는 마음을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된다.[200]

6. 반응 및 평가

조지 해리슨은 1971-72년 방글라데시를 위한 인도적 지원 프로젝트로 국제적인 영웅이 되었지만,[3][4][5] 모금된 자금이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제대로 전달되도록 하는 데 지쳐 좌절했다.[6][7] 그는 호평을 받은 1970년 3중 앨범인 ''All Things Must Pass''의 후속작을 녹음하는 대신, 1971년 8월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두 번의 방글라데시 콘서트 이후 1년 이상 솔로 활동을 중단했다.[8][9][10]

이 기간 동안 해리슨은 힌두교 영성에 헌신했으며, 특히 A.C. 박티베단타 스와미 프라부파다와의 친분을 통해 크리슈나 의식에 대한 헌신은 새로운 경지에 이르렀다.[20][21][22] 1972년 8월, ''방글라데시를 위한 콘서트'' 다큐멘터리 영화가 전 세계적으로 개봉되자 해리슨은 혼자 유럽으로 운전 여행을 떠났으며, 그는 나중에 이 기간 동안 하루 종일 멈추지 않고 하레 크리슈나 만트라를 외웠다고 주장했다.[31][32]

2024년 11월 15일, ''Living in the Material World''의 50주년 기념 확장 슈퍼 디럭스 박스 세트가 재발매되었다.[208][209] 이 세트에는 오리지널 앨범의 리믹스 버전, 초기 테이크, 올리비아 해리슨과 레이첼 쿠퍼가 큐레이팅한 60페이지 분량의 하드커버 책이 포함되었다. 또한, 더 밴드 (로비 로버트슨, 레본 헬름, 가스 허드슨, 릭 단코)와 링고 스타가 참여한 미공개 곡 "Sunshine Life for Me (Sail Away Raymond)"의 새로운 버전이 담긴 7인치 싱글도 포함되었다.[208][209]

비틀즈 저자 케네스 워맥은 리믹스 버전에 대해 "아티스트의 50년 된 비전을 유지하면서 녹음의 선명도를 높였다"고 평가했다.[210] 언컷의 톰 피녹은 리믹스에서 밝아진 오케스트라 파트, 해리슨의 "더 깨끗하고 날카로운" 보컬, 그리고 "앨범 특유의 건조하고 금욕적인 분위기가 강화"되었다고 호평했다.[207] 롤링 스톤의 롭 셰필드는 5점 만점에 4점을 부여하며, 이 앨범을 해리슨의 "가장 심오하게 이상한" 앨범이자 50주년 기념 재발매를 통해 "오랫동안 과소평가된 걸작"으로서 "뒤늦은 찬사"를 받는다고 평했다.[206]

6. 1. 상업적 성공

Living in the Material World영어는 발매와 동시에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미국 빌보드 톱 LP & 테이프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고 5주 동안 정상을 유지했다.[265] 발매 2일 만에 50만 장 이상 판매되어 RIAA로부터 골드 디스크를 받았다. 영국에서는 2위에 머물렀지만,[263] 호주캐나다 앨범 차트에서도 정상을 차지했다.[254][257]

차트 (1973–74)순위
호주 Go-Set 톱 20 앨범[254]1
호주 Kent Music Report[255]2
벨기에 앨범 차트[256]1
캐나다 RPM 100 앨범[257]1
네덜란드 메가차트 앨범[258]5
프랑스 SNICOP 앨범 차트[269]10
일본 오리콘 LP 차트[259]9
노르웨이 VG-lista 앨범[260]4
스페인 앨범 차트[261]1
스웨덴 Kvällstoppen 차트[256][262]2
UK 앨범 차트[263]2
영국 Melody Maker 팝 30 앨범[264]5
미국 빌보드 톱 LP & 테이프[265]1
미국 Cash Box 톱 100 앨범[266]1
미국 Record World 앨범 차트[267]1
서독 미디어 컨트롤 앨범[268]20



차트 (2006)순위
프랑스 SNEP 앨범 차트[269]14
일본 오리콘 앨범 차트[270]33
미국 빌보드 톱 팝 카탈로그[271]36



차트 (1973년)순위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차트[272]24
네덜란드 앨범 차트[273]39
프랑스 앨범 차트[274]16
미국 빌보드 연말 차트[275][276]43


6. 2. 비평가들의 반응



50주년을 기념하여, ''Living in the Material World''는 2024년 11월 15일에 확장된 슈퍼 디럭스 박스 세트로 재발매되었다.[208][209] 여기에는 오리지널 앨범의 새롭게 리믹스된 버전, 초기 테이크, 그리고 올리비아 해리슨과 레이첼 쿠퍼가 큐레이팅한 60페이지 분량의 하드커버 책이 포함되어 있다. 실물 에디션에는 더 밴드 (로비 로버트슨, 레본 헬름, 가스 허드슨 그리고 릭 단코)와 링고 스타가 참여한, 이전에 공개되지 않은 "Sunshine Life for Me (Sail Away Raymond)"의 새로운 버전이 담긴 7인치 싱글이 포함되었다.[208][209]

비틀즈 저자인 케네스 워맥은 리믹스 버전에 대해 "아티스트의 50년 된 비전을 유지하는 데 매우 주의하면서 녹음의 정의를 더욱 뚜렷하게 제공한다"고 칭찬했다.[210] ''언컷''의 톰 피녹 역시 리믹스의 밝아진 오케스트라 파트, 해리슨의 "더 깨끗하고 날카로운" 보컬, 그리고 "앨범의 독특한 건조하고 금욕적인 분위기가 강화되었다"고 칭찬했다.[207] ''롤링 스톤''에서 별 4개(5개 만점) 리뷰를 쓴 롭 셰필드는 이 앨범을 해리슨의 "가장 심오하게 이상한" 앨범이자 50주년 기념 재발매를 통해 "오래도록 과소평가된 걸작"으로 "오래 기다린 찬사"를 받는다고 평했다.[206]

```

```

위의 코드는 허용되지 않는 템플릿 문법이 사용되었으므로 제거한다.

```

50주년을 기념하여, ''Living in the Material World''는 2024년 11월 15일에 확장된 슈퍼 디럭스 박스 세트로 재발매되었다.[208][209] 여기에는 오리지널 앨범의 새롭게 리믹스된 버전, 초기 테이크, 그리고 올리비아 해리슨과 레이첼 쿠퍼가 큐레이팅한 60페이지 분량의 하드커버 책이 포함되어 있다. 실물 에디션에는 더 밴드 (로비 로버트슨, 레본 헬름, 가스 허드슨 그리고 릭 단코)와 링고 스타가 참여한, 이전에 공개되지 않은 "Sunshine Life for Me (Sail Away Raymond)"의 새로운 버전이 담긴 7인치 싱글이 포함되었다.[208][209]

비틀즈 저자인 케네스 워맥은 리믹스 버전에 대해 "아티스트의 50년 된 비전을 유지하는 데 매우 주의하면서 녹음의 정의를 더욱 뚜렷하게 제공한다"고 칭찬했다.[210] ''언컷''의 톰 피녹 역시 리믹스의 밝아진 오케스트라 파트, 해리슨의 "더 깨끗하고 날카로운" 보컬, 그리고 "앨범의 독특한 건조하고 금욕적인 분위기가 강화되었다"고 칭찬했다.[207] ''롤링 스톤''에서 별 4개(5개 만점) 리뷰를 쓴 롭 셰필드는 이 앨범을 해리슨의 "가장 심오하게 이상한" 앨범이자 50주년 기념 재발매를 통해 "오래도록 과소평가된 걸작"으로 "오래 기다린 찬사"를 받는다고 평했다.[206]

7. 영향 및 유산

Living in the Material World영어는 조지 해리슨의 종교적 신념과 철학을 반영하는 작품으로, 그의 음악적 유산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앨범의 종교적인 주제는 일부 비판을 받았지만, 해리슨의 진솔한 영적 탐구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Give Me Love (Give Me Peace on Earth)"는 힌두교 바잔 스타일(또는 헌신적인 노래)과 서양 가스펠 음악을 혼합하여 1970-71년 국제적인 히트곡인 "My Sweet Lord"의 공식을 반복했다.[46] 그는 1980년 자서전 ''I Me Mine''에서 이 곡을 "나, 주님, 그리고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 사이의 기도이자 개인적인 진술"이라고 묘사했다.[47]

앨범의 수록곡들은 해리슨의 대표곡으로 자리 잡았으며, 특히 "Give Me Love (Give Me Peace on Earth)"는 미국에서 그의 두 번째 1위 히트곡이 될 정도로 그의 대표적인 히트곡 중 하나이다.[128]

리드 싱글의 광고, 1973년 5월


''Living in the Material World''는 1973년 5월 30일 미국에서 (애플 카탈로그 번호 SMAS 3410)과 6월 22일 영국에서 (애플 PAS 10006) 발매되었다.[133] 즉각적인 상업적 성공을 거두어,[134] ''빌보드'' 톱 LPs & 테이프 차트에서 11위로 진입하여 2주 차인 6월 23일에 1위를 기록하여, 윙스의 앨범을 밀어냈다.[135] ''Material World''는 미국 차트에서 5주 동안 정상을 지켰고, 선주문에 따라 발매 2일 만에 50만 장 이상 판매되어 골드 디스크를 RIAA로부터 받았다.[136][137] 이 앨범의 전 세계 판매량은 거의 100만 장에 달한다.[138]

영국에서는 링고 스타의 영화 ''That'll Be the Day'' 사운드트랙에 밀려 2위에 머물렀다.[139] ''Material World''는 또한 호주[211]캐나다[214]의 앨범 차트에서도 정상을 차지했다. 1975년 1월, 캐나다 음반 산업 협회는 골드 앨범으로 인증되었다고 발표했다.[140]

''Living in the Material World''로 해리슨은 "Give Me Love"가 앨범이 1위를 차지하는 동안 정상을 차지하면서 두 번째로 ''빌보드'' 더블을 달성했다.[71] 작가 빌 해리에 따르면, 이 앨범은 전 세계적으로 3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144]

8. 인증

지역인증
오스트레일리아[300]골드
캐나다[301]골드
미국[302]골드


참조

[1] 서적 Leng, pp. 124, 140
[2] 서적 Clayson, p. 318
[3] 서적 Schaffner, pp. 147, 159
[4] 서적 Leng, p. 121
[5] 서적 Tillery, p. 100
[6] 서적 George Harrison, p. 220
[7] 서적 Doggett, pp. 180–81, 192
[8] 서적 Lavezzoli, pp. 193–94
[9] 간행물 Liner note essay by Kevin Howlett, The Apple Years 1968–75 book (Apple Records, 2014), p. 31
[10] 서적 Woffinden, pp. 48, 68
[11] 웹사이트 Nicky Hopkins http://www.rocksback[...] Disc and Music Echo 2012-09-24
[12] 서적 Leng, pp. 123–24
[13] 서적 The Editors of Rolling Stone, p. 43
[14] 서적 Badman, p. 79
[15] 서적 George Harrison, pp. 60–61
[16] 서적 Doggett, p. 192
[17] 서적 Badman, pp. 54–56
[18] 서적 Leng, p. 123
[19] 서적 Madinger & Easter, pp. 439–40
[20] 서적 Allison, pp. 45–47
[21] 서적 Leng, p. 124
[22] 서적 Huntley, pp. 87, 89
[23] 서적 George Harrison, p. 254
[24]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 In His Own Words http://www.superseve[...] 2012-01-18
[25] 서적 O'Dell, p. 188
[26] 서적 Clayson, p. 330
[27] 서적 Clayson, pp. 293, 325
[28] 서적 Badman, pp. 67–68
[29] 서적 Tillery, pp 118–19
[30] 서적 Clayson, p. 320
[31] 서적 Clayson, p. 248
[32] 서적 Greene, p. 194
[33] 서적 Tillery, pp. 111, 162
[34] 서적 Clayson, p. 306
[35] 서적 Greene, p. 198
[36] 서적 Greene, p. 133.
[37] 서적 Madinger & Easter, p. 439.
[38] 서적 Leng, pp. 105, 133.
[39] 서적 Woffinden, pp. 69–70.
[40] 서적 George Harrison, pp. 246, 254, 258.
[41] 서적 Tillery, pp. 111–12.
[42] 서적 George Harrison, pp. 226, 248.
[43] 서적 Lavezzoli, pp. 194–95.
[44] 웹사이트 Chapter 1 – The Hare Krsna Mantra: 'There's nothing higher …' A 1982 Interview with George Harrison http://harekrishna.c[...] 2020-01-24
[45] 서적 Greene, pp. 194, 195.
[46] 서적 Leng, p. 157.
[47] 서적 Harrison, p. 246.
[48]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All Things Must Pass https://web.archive.[...] 2000-10-12
[49] 서적 Leng, p. 137.
[50] 서적 Inglis, pp. 37–38.
[51] 서적 Huntley, pp. 91–92.
[52] 서적 George Harrison, p. 240.
[53] 서적 Clayson, p. 322.
[54] 서적 MacDonald, p. 326.
[55]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Revisited, Part One (2014): The dark horse bolting out of the gate http://www.elsewhere[...] 2021-02-17
[56] 서적 Leng, pp. 126–28, 129–30, 131, 133.
[57] 서적 Leng, p. 129.
[58] 서적 Doggett, pp. 156, 157.
[59] 서적 Leng, p. 131.
[60] 서적 Tillery, p. 111.
[61] 서적 Allison, pp. 141, 157.
[62] 서적 Ingham, p. 134.
[63] 서적 Inglis, pp. 39–40.
[64] 서적 George Harrison, p. 385.
[65] 서적 George Harrison, p. 386.
[66] 서적 Madinger & Easter, p. 438.
[67] 서적 Clayson, p. 315.
[68] 웹사이트 Material World Charitable Foundation" > About http://www.georgehar[...] 2017-05-22
[69] 서적 Huntley, pp. 88–89.
[70] 서적 Schaffner, p. 142.
[71] 서적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reissue booklet EMI Records 2006
[72] 서적 Rolling Stone
[73] 서적
[74] 간행물 George Harrison – Reconsidered Musician (magazine) 1987-11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DVD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2011
[92] 서적
[93] 웹사이트 Rocks Off: The Nicky Hopkins Website http://rocksoff.org/[...] 2021-01-07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간행물 Review: Ravi Shankar Ali Akbar Khan, In Concert 1972 Gramophone (magazine) 1997-06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Doggett, pp. 192–93.
[107] 서적 Lavezzoli, p. 193.
[108] 서적 Leng, p. 130.
[109] 서적 Inglis, pp. 40–41.
[110] 서적 Huntley, p. 92.
[111] 서적 Schaffner, pp. 111, 159.
[112] 서적 Leng, pp. 129, 134–35.
[113] 서적 Badman, p. 91.
[114] 서적 Leng, p. 138.
[115] 서적 Spizer, p. 256.
[116] 뉴스 Tom Wilkes: Graphic designer responsible for many celebrated album cover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9-07-15
[117] 간행물 Booklet accompanying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reissue EMI Records 2006
[118] 서적 Lavezzoli, p. 194.
[119] 서적 Woffinden, pp. 71–72.
[120] 서적 Clayson, pp. 324–25.
[121] 서적 Tillery, p. 112.
[122] 서적 Allison, p. 42.
[123] 서적 George Harrison, p. 258.
[124] 서적 Madinger & Easter, p. 440.
[125] 서적 Badman, pp. 94–95, 98.
[126] 서적 Schaffner, p. 158.
[127] 서적 Rodriguez, pp. 155, 258.
[128] 서적 Spizer, p. 249.
[129] 서적 George Harrison, plate XXXIII, p. 389.
[130] 서적 Olivia Harrison, pp. 308–09.
[131] 서적 Spizer, pp. 255–56.
[132] 서적 Carr & Tyler, p. 106.
[133] 서적 Castleman & Podrazik, p. 125.
[134] 서적 Doggett, p. 207.
[135] 서적 Castleman & Podrazik, p. 364.
[136] 서적 Castleman & Podrazik, pp. 332, 364.
[137] 서적 Badman, p. 103.
[138] 서적 Leng, p. 128.
[139] 웹사이트 Search: 07/07/1973 https://archive.toda[...] 2013-10-28
[140] 간행물 Certified for Canadian Gold" (CRIA trade advertisement) https://worldradiohi[...] RPM 1975-01-11
[141] 간행물 Capitol Canada https://books.google[...] Billboard 1975-02-08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웹아카이브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https://www.rollings[...] 1973-07-19
[149] 간행물 Top Album Picks: Pop https://books.google[...] Billboard 1973-06-09
[150] 잡지 Melody Maker 1973-06-09
[151] 기사 The New Harrison Album Melody Maker 1973-06-09
[152] 서적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NME Originals: Beatles – The Solo Years 1970–1980 IPC Ignite! 2005
[158] 기사 Holy Roller: Harrison NME 1973-06-09
[159] 잡지 The Christgau Consumer Guide https://www.robertch[...] 1973-10
[160] 서적
[161] 잡지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 George Harrison (Apple PAS 10006): A two-part appreciation Ear for Music 1973-09
[162] 서적
[163] 서적
[164] 서적
[165] 서적
[166] 서적
[167] 서적
[168] 웹아카이브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http://www.allmusic.[...]
[169] 잡지 Back Catalogue: George Harrison Blender 2004-04
[170] 잡지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Classic Rock 2006-12
[171] 웹아카이브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http://www.musicbox-[...] 2006-11
[172] 서적
[173] 웹아카이브 Critique de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George Harrison
[174]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Il Mantra del Rock https://www.ondarock[...]
[175] 웹아카이브 George Harrison: Album Guide
[176] 서적 Rodriguez, p. 157.
[177] 서적 The Editors of ''Rolling Stone'', p. 188.
[178] 간행물 The Music of George Harrison: An album-by-album guide Goldmine 2002-01-25
[179] 간행물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Q 2006-11
[180] 간행물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Mojo 2006-11
[181]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 CD Review http://www.vintagero[...] Vintage Rock 2006-10
[182] 서적 Cavanagh, p. 47.
[183] 웹사이트 The 10 Best Beatles Solo Albums https://web.archive.[...] Paste 2012-01-30
[184] 웹사이트 Paul McCartney: 'Egypt Station' Review" > "Ranking the Other Beatles Solo Albums https://ultimateclas[...] Ultimate Classic Rock 2018-09-05
[185] 뉴스 The Beatles: Their 10 best solo albums ranked, from Flaming Pie to Imagine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20-04-16
[186] 웹사이트 Music Review: George Harrison’s Apple Albums Remastered http://blogcritics.o[...] Blogcritics 2014-10-05
[187]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The Apple Years 1968–75 http://www.popmatter[...] PopMatters 2014-10-30
[188]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The Apple Years 1968–75 http://www.teamrock.[...] TeamRock 2014-10-08
[189] 간행물 George Harrison ''The Apple Years 1968–75'' Classic Rock 2014-11
[190] 서적 Clayson, pp. 302, 323.
[191] 서적 Rodriguez, pp. 156, 157.
[192] 웹사이트 The Rip Post Interview with Simon Leng https://web.archive.[...] The Rip Post 2006
[193] 서적 Leng, pp. 126, 129, 131–32, 141.
[194] 웹사이트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Re-Issue http://georgeharriso[...] georgeharrison.com 2006-06-22
[195] 웹사이트 Billboard Bits: George Harrison, Family Values, Antony http://www.billboard[...] billboard.com 2006-06-21
[196]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Bonus Tracks/DVD)''" > Track Listing – Disc 1 http://www.allmusic.[...] AllMusic
[197] 서적 Madinger & Easter, pp. 435, 442.
[198]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http://www.popmatter[...] PopMatters 2006-11-08
[199] 서적 Booklet accompanying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reissue EMI Records 2006
[200] 웹사이트 George Harrison's First Six Studio Albums to Get Lavish Reissues https://www.rollings[...] rollingstone.com 2014-09-02
[201] 간행물 The Many Solo Moods of George Harrison: Inside 'The Apple Years' Box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4-09-26
[202] 웹사이트 Give Me Love: George Harrison’s 'Apple Years' Are Collected on New Box Set http://theseconddisc[...] The Second Disc 2014-09-02
[203] 웹사이트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50th Anniversary Deluxe Edition) [Box Set] by [George Harrison] Reviews and Tracks" https://www.metacrit[...] 2024-11-22
[204]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album review https://www.louderso[...] 2024-11-15
[205]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50th Anniversary Edition) https://www.clashmus[...] Clash 2024-11-15
[206] 웹사이트 George Harrison's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is a Slept-on Masterpiece Worth Rediscovering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24-11-14
[207] 잡지 George Harrison –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50th anniversary edition https://www.uncut.co[...] 2024-11-18
[208] 간행물 George Harrison's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to Receive 50th Anniversary Box Set Reissue https://consequence.[...] Consequence 2024-09-19
[209] 간행물 George Harrison's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due for super deluxe release https://www.uncut.co[...] Uncut 2024-09-19
[210] 웹사이트 George Harrison's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50th anniversary deluxe remix sparkles https://www.salon.co[...] Salon.com 2024-11-15
[211] 간행물 Billboard Hit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Billboard 1973-08-25
[212]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213] 간행물 Billboard Hit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Billboard 1973-08-11
[214] 웹사이트 "RPM'' 100 Albums, June 30, 1973" http://www.collectio[...] 2014-04-09
[215]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http://dutchcharts.n[...] 2014-04-09
[216]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con Entertainment
[217]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http://norwegianchar[...] 2014-04-09
[218] 서적 Sólo éxitos: año a año, 1959–2002 Fundación Autor-SGAE 2005-09
[219] 웹사이트 "Swedish Charts 1972–1975/Kvällstoppen – Listresultaten vecka för vecka" > Juli 1973 > 17 & 24 Juli http://www.hitsaller[...] 2013-02-13
[220] 웹사이트 "Artist: George Harrison" > Albums http://www.officialc[...] 2013-10-28
[221] 문서 Castleman & Podrazik, p. 342.
[222] 간행물 Billboard Top LP's & Tape https://books.google[...] Billboard 1973-07-14
[223] 간행물 Cash Box Top 100 Albums Cash Box 1973-07-14
[224] 간행물 The Album Chart Record World 1973-07-14
[225] 웹사이트 Album –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http://www.officialc[...] 2013-01-03
[226] 웹사이트 InfoDisc: Tous les Albums classés par Artiste > Choisir un Artiste dans la Liste http://infodisc.fr/A[...] 2014-04-13
[227] 웹사이트 Highest position and charting weeks of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reissue) by George Harrison http://www.oricon.co[...] 2011-09-13
[228] 간행물 Billboard Albums https://books.google[...] Billboard 2006-10-14
[229]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230] 웹사이트 Dutch charts jaaroverzichten 1973 http://dutchcharts.n[...] 2014-04-02
[231] 웹사이트 Les Albums (CD) de 1973 par InfoDisc http://www.infodisc.[...] 2014-04-13
[232] 웹사이트 "Billboard 1970's Album Top 50 (Part 1) > 1973" http://www005.upp.so[...] 2007-12-07
[233] 웹사이트 Top Pop Albums of 1973 http://www.billboard[...] 2012-02-11
[234] 간행물 From the Music Capitals of the World – Melbourne https://books.google[...] Billboard 1973-11-17
[235] 웹사이트 "Artist: George Harrison / Title: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https://www.riaa.com[...] 2021-05-12
[236] 문서 同映画は1967年から68年にかけてインドとアメリカで撮影されたが、その後資金繰りの目途が立たなくなり、制作が中断されていた。ハリスンの援助でアップル・コア#事業内容が配給元になることが決まり、制作が再開されて完成に至った。映画にはハリスンも出演している。
[237] 문서 シャンカルは東パキスタンがあったベンガル地方のバラモンブラフミンの出身で、犠牲になった親族もいたという。
[238] 문서 最高位はビルボード誌で23位、キャッシュボックス誌で20位、全英シングルチャートでは10位だった。
[239] 문서 同乗していた妻パティは意識不明の重傷を負った。
[240] 서적 Eight Arms to Hold You: The Solo Beatles Compendium 44.1 Productions
[241] 서적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The Music of George Harrison Hal Leonard
[242] 서적 George Harrison Sanctuary
[243] 서적 Here Comes the Sun: The Spiritual and Musical Journey of George Harrison John Wiley & Sons
[244] 서적 Eight Arms to Hold You: The Solo Beatles Compendium 44.1 Productions
[245] 서적 The Beatles Solo on Apple Records 498 Productions
[246] 간행물 George Harrison: Quiet Storm Mojo 2014-11
[247] 서적 The Beatles Diary Volume 2: After the Break-Up 1970–2001 Omnibus Press
[248] 서적 Working Class Mystic: A Spiritual Biography of George Harrison Quest Books
[249] 서적 The Love There That's Sleeping: The Art and Spirituality of George Harrison Continuum
[250] 서적 リヴィング・イン・ザ・マテリアル・ワールド ブックレット
[251] 웹사이트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Re-Issue http://georgeharriso[...] 2023-01-04
[252] 웹사이트 リヴィング・イン・ザ・マテリアル・ワールド [SHM-CD] https://www.universa[...] UNIVERSAL MUSIC JAPAN 2023-01-04
[253] 웹사이트 リヴィング・イン・ザ・マテリアル・ワールド [SHM-CD] https://www.universa[...] UNIVERSAL MUSIC JAPAN 2023-01-04
[254] 뉴스 Billboard Hit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Billboard 1973-08-25
[255]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256] 뉴스 Billboard Hit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Billboard 1973-08-11
[257] 웹사이트 "RPM" 100 Albums, June 30, 1973 http://www.collectio[...] Library and Archives Canada 2014-04-09
[258]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http://dutchcharts.n[...] dutchcharts.nl 2014-04-09
[259]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con Entertainment
[260]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http://norwegianchar[...] norwegiancharts.com 2014-04-09
[261] 서적 Sólo éxitos: año a año, 1959–2002 Fundación Autor-SGAE 2005-09
[262] 웹사이트 Swedish Charts 1972–1975/Kvällstoppen – Listresultaten vecka för vecka http://www.hitsaller[...] hitsallertijden.nl 2013-02-13
[263] 웹사이트 Artist: George Harrison http://www.officialc[...] Official Charts Company 2013-10-28
[264] 문서 Castleman & Podrazik
[265] 뉴스 Billboard Top LP's & Tape https://books.google[...] Billboard 1973-07-14
[266] 뉴스 Cash Box Top 100 Albums Cash Box 1973-07-14
[267] 뉴스 The Album Chart Record World 1973-07-14
[268] 웹사이트 Album –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http://www.officialc[...] charts.de 2013-01-03
[269] 웹사이트 InfoDisc: Tous les Albums classés par Artiste > Choisir un Artiste dans la Liste http://infodisc.fr/A[...] infodisc.fr 2014-04-13
[270] 웹사이트 Highest position and charting weeks of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reissue) by George Harrison http://www.oricon.co[...] Oricon Style 2011-09-13
[271] 뉴스 Billboard Albums https://books.google[...] Billboard 2006-10-14
[272]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273] 웹사이트 Dutch charts jaaroverzichten 1973 http://dutchcharts.n[...] 2014-04-02
[274] 웹사이트 Les Albums (CD) de 1973 par InfoDisc http://www.infodisc.[...] 2014-04-13
[275] 웹사이트 Billboard 1970's Album Top 50 (Part 1) > 1973 http://www005.upp.so[...] 2007-12-07
[276] 웹사이트 Top Pop Albums of 1973 http://www.billboard[...] billboard.biz 2012-02-11
[277]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http://www.allmusic.[...] AllMusic 2014-04-10
[278] 간행물 Back Catalogue: George Harrison Blender 2004-04
[279] 간행물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Classic Rock 2006-12
[280] 간행물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Mojo 2006-11
[281] 간행물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http://www.musicbox-[...] The Music Box 2006-11
[282] 서적 Graff & Durchholz
[283] 웹사이트 Critique de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George Harrison https://web.archive.[...] 2015-10-06
[284]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http://www.popmatter[...] PopMatters 2006-11-08
[285] 웹사이트 George Harrison: Album Guide https://web.archive.[...] 2014-04-09
[286] 서적 Leng
[287] 서적 Schaffner
[288] 서적 Leng
[289] 서적 Tillery
[290] 서적 George Harrison
[291] 서적 Doggett
[292] 서적 Woffinden
[293] 서적 Lavezzoli
[294] 서적 The Apple Years 1968–75 Apple Records 2014
[295] 간행물 Nicky Hopkins http://www.rocksback[...] Disc and Music Echo 1971-12-04
[296] 서적 Leng
[297] 서적 Badman
[298] 서적 Leng
[299] 서적 Madinger & Easter
[300] 뉴스 From the Music Capitals of the World – Melbourne https://books.google[...] Billboard 1973-11-17
[301] 웹인용 Certified for Canadian Gold" (CRIA trade advertisement) https://worldradiohi[...] RPM (magazine) 1975-01-11
[302] 웹사이트 "''Artist:'' George Harrison / ''Title:''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