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ETI@hom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ETI@home은 외계 지적 생명체 탐색(SETI)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전 세계 개인 컴퓨터의 유휴 자원을 활용하여 전파 신호를 분석하는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이다. 1999년 시작되어 2020년까지 운영되었으며, 2010년 기준으로 BOINC 플랫폼 내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와 컴퓨터를 보유했다.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 등의 관측 데이터를 분석하여 외계 문명의 신호를 탐색했으며, 2020년 3월 31일 새로운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민과학 - DIY 생물학
    DIY 생물학은 생물학 분야의 접근성 확대를 목표로 개인이나 소규모 단체가 과학 연구에 참여하도록 장려하는 운동으로, 오픈 소스 장비와 커뮤니티 실험실을 통해 접근성을 높이며, 생물정보학, 유전 공학 등을 주요 연구 주제로 다룬다.
  • 시민과학 - INaturalist
    iNaturalist는 자연 관찰 기록 공유, 종 식별, 생물 다양성 정보 제공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이자 시민 과학 프로젝트로, 사진 기반 자동 종 식별, 위치 정보 설정, 다양한 프로젝트 지원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생물 다양성 연구, 환경 교육, 시민 과학 참여를 촉진한다.
  • BOINC - 셀 컴퓨팅
    셀 컴퓨팅 βirth는 게놈 분석, 전투 재현, HD 영상 제작 등 다양한 분야의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를 제공했다.
  • BOINC - 월드 커뮤니티 그리드
    월드 커뮤니티 그리드는 IBM이 2004년에 설립하여 사용자들이 기증한 컴퓨터의 유휴 자원을 활용해 인도주의적 연구를 지원하는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로, 현재는 BOINC 플랫폼을 통해 운영되며 크렘빌 연구소에서 소유권을 가지고 수많은 자원 봉사자들의 참여를 통해 과학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
SETI@home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프로젝트 개요
SETI@home 로고
SETI@home 로고
개발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배포일1999년 5월 17일
최신 릴리스 버전SETI@home v8: 8.00
최신 릴리스 날짜2015년 12월 30일
NVIDIA 및 AMD/ATi GPU 카드용 SETI@home v88.12 / 2016년 5월 19일
AstroPulse v77.00 / 2014년 10월 7일
nVidia 및 AMD/Ati GPU 카드용 AstroPulse v77.10 / 2015년 4월 23일
상태휴면
목표외계 지적 생명체의 무선 증거 발견
자금 조달공공 자금 및 개인 기부
운영 체제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리눅스, 안드로이드, macOS, 솔라리스, IBM AIX, FreeBSD, DragonFly BSD, OpenBSD, NetBSD, HP-UX, IRIX, Tru64 유닉스, OS/2 Warp, eComStation
플랫폼크로스 플랫폼
장르자원 봉사 컴퓨팅
라이선스GPL
웹사이트SETI@home 공식 웹사이트
활성 사용자감소 91,454명 (2020년 3월)
총 사용자증가 1,803,163명 (2020년 3월)
활성 호스트144,779대 (2020년 3월)
총 호스트165,178대 (2020년 3월)
사용자 정의 배경 및 로고 스크린세이버
추가 정보
NASA 관련 기사ET, phone SETI@home!
APOD외계인 검색 방법
SETI@home 클래식SETI@home Classic: 기념
넷 토크 라이브ET 검색!
뉴욕 타임즈 기사외계인 탐색, 잠시 중단
와이어드 기사SETI@Home 종료, 그러나 외계 생명체 탐색은 계속
새로운 영역, 이정표, 다음 단계SETI@home 포럼 스레드

2. 역사

미국 의회에서 SETI(지구 외부의 지적 생명체를 탐색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예산 지원을 중단하면서, 프로젝트를 계속하기 위해 새로운 방식이 필요했다.[12] 단일 또는 소수의 대용량 컴퓨터를 사용하는 대신, 전 세계의 유휴 컴퓨터 자원을 활용하는 분산 컴퓨팅 방식인 "SETI@home"(At Home|앳 홈영어)이 등장했다.

SETI@home의 초기 목표는 두 가지였다.[13]


  • 지구 밖 지적 생명체 탐지를 위한 관측 분석을 지원하여 과학적 연구를 수행하는 것
  • "자원 봉사 컴퓨팅" 개념의 실현 가능성과 실용성을 증명하는 것


두 번째 목표는 성공적이었다. SETI@home 개발의 기반이 된 BOINC 환경은 현재 다양한 분야의 계산 집약적인 프로젝트들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첫 번째 목표는 아직 뚜렷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SETI@home을 통해 외계 지적 생명체(ETI) 신호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관측 분석이 "잘못된 문제"가 아니라는 가정 하에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아직 조사되지 않은 하늘 영역이 광대하고(98% 이상),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각 지점을 여러 번 조사해야 한다.

호주 파크스 천문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남반구를 분석하려는 계획이 있었지만,[29] 2018년 6월 3일 기준으로 프로젝트 웹사이트에서 언급되지 않고 있다. 다른 계획으로는 다중 빔 데이터 레코더, 근 실시간 지속성 검사기, Astropulse(펄스 신호를 찾는 데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등이 있었다.[30] Astropulse는 기존 SETI@home과 협력하여 빠르게 회전하는 펄서, 폭발하는 원시 블랙홀 등 새로운 천체 물리학적 현상을 탐지할 수 있다.[31] Astropulse의 최종 공개 버전 베타 테스트는 2008년 7월에 완료되었고, 더 많은 CPU를 사용하는 작업 단위를 처리할 수 있는 고사양 컴퓨터에 작업 단위를 배포하기 시작했다.

2020년 3월 31일, UC 버클리는 SETI@Home 클라이언트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고 프로젝트를 종료했다. 이는 자원 봉사자들의 참여가 줄어든 결과였으며, 결과를 처리하는 동안 잠시 중단이 필요했기 때문이다.[32]

2. 1. SETI@home Classic

1999년 5월 17일부터 2005년 12월 5일까지 진행된 최초의 SETI@home은 BOINC가 존재하지 않던 시절의 단일 프로젝트였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SETI@home과 비교하기 위하여 "SETI@home Classic"이라 부르고 있다.

2. 2. 현재의 SETI@home (BOINC)

현재는 BOINCBerkeley Open Infrastructure for Network Computing|버클리 개방형 네트워크 컴퓨팅 인프라영어으로 불리는 분산 컴퓨팅을 지원하는 오픈 플랫폼 프로그램에서 작동하는 하나의 프로젝트로 등록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2010년 기준으로 BOINC 내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와 컴퓨터를 보유한 프로젝트이다.

3. 과학적 배경 및 원리

SETI@home은 지구 밖의 지적 생명체를 탐지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전파 신호를 분석하여 인공적인 신호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프로젝트는 칼 세이건 원작의 영화 '콘택트'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SETI의 전신인 오즈마 계획은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지만, 현재까지 외계 지성의 흔적을 찾지 못하고 있다.[77]

SETI@home의 두 가지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지구 밖의 지적 생명체를 탐지하기 위한 관찰 분석을 지원하여 유용한 과학적 작업을 수행하는 것[12]
  • "자원 봉사 컴퓨팅" 개념의 실현 가능성과 실용성을 증명하는 것[13]


두 번째 목표는 BOINC 환경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를 지원함으로써 성공적으로 달성되었다. 그러나 첫 번째 목표인 외계 지적 생명체 신호 탐지는 아직까지 결정적인 결과를 얻지 못했다. 하지만, 하늘의 대부분이 아직 조사되지 않았고,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각 지점을 여러 번 조사해야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찰 분석 작업은 계속되고 있다.

3. 1. 전파 신호 분석

SETI는 지적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행성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한 반복 패턴을 보이는 인공적인 전파 신호를 가려낸다. 외계 신호는 전파망원경으로 수신하며, 여기에는 별의 탄생이나 블랙홀호킹 복사 등 자연적인 전파가 포함된다. 인공적인 전파를 가려내려면 높은 연산 능력의 슈퍼컴퓨터가 필요하다. SETI@home은 전 세계 개인용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슈퍼컴퓨터의 역할을 수행하여 신호를 분석한다.

SETI@home은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과 그린 뱅크 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를 사용한다.[14] 데이터는 망원경이 다른 과학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동안 "피기백" 또는 "수동적"으로 수집, 디지털화, 저장 후 SETI@home 시설로 전송된다. 이후 데이터는 주파수와 시간 단위로 작은 조각으로 파싱, 분석되어 잡음으로 간주될 수 없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찾는다. 자원 봉사 컴퓨팅을 통해 SETI@home은 수백만 개의 데이터 조각을 가정용 컴퓨터로 전송, 분석 결과를 보고받는다.

소프트웨어는 전자기 간섭과 구별되는 다섯 가지 유형의 신호를 검색한다:[15]

  • 전력 스펙트럼의 급증
  • 전송 전력의 가우시안 함수 상승 및 하강
  • 삼중 신호 – 연속 세 개의 전력 급증
  • 펄스 (신호 처리) 신호
  • 자기 상관은 신호 파형을 감지


잠재적 외계 지적 생명체(ETI) 신호는 성간 매질과 지구에 대한 상대적 움직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잠재적인 "신호"는 섬광 잡음과 구별하기 위해 여러 방법으로 처리된다. 예를 들어, 다른 행성은 지구에 대해 속도와 가속도로 움직여 "신호" 주파수를 시간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SETI@home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현상을 처리하여 확인한다.

이는 라디오를 여러 채널 (방송)에 맞추고 신호 강도 미터를 보는 것과 유사하다. 신호 강도가 증가하면 주목한다. 기술적으로는 다양한 속도 및 지속 시간의 이산 푸리에 변환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포함한다.

3. 2. 분산 컴퓨팅

SETI@home은 전 세계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슈퍼컴퓨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신호를 분석한다. 미국에서 SETI에 대한 국가 예산 지원이 중단되자, 프로젝트를 계속하기 위해 단일 또는 소수의 대용량 컴퓨터가 아닌 전 세계에서 유휴 상태인 컴퓨터 자원을 활용하는 분산 컴퓨팅 방식인 "@home"(At Home영어, 집에서)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현재는 BOINC(Berkeley Open Infrastructure for Network Computing영어)라는 분산 컴퓨팅을 지원하는 오픈 플랫폼 프로그램에서 작동하는 하나의 프로젝트로 운영되고 있으며, 2010년 기준으로 BOINC 내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와 컴퓨터를 보유한 프로젝트이다.

SETI@home의 원래 목표 두 가지는 다음과 같다.

  • 지구 밖의 지적 생명체를 탐지하기 위한 관찰 분석을 지원하여 유용한 과학적 작업을 수행하는 것[12]
  • "자원 봉사 컴퓨팅" 개념의 실현 가능성과 실용성을 증명하는 것[13]


두 번째 목표는 완전히 성공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현재의 BOINC 환경은 다양한 분야에서 계산 집약적인 많은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

SETI@home에서는 아레시보 천문대의 관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외계 지적 생명체로부터의 무선 신호 증거를 찾는다. 데이터는 다른 과학적 프로그램에 따라 전파 망원경을 사용할 때 함께 채취되며, 디지털화되어 기록된 후 SETI@home 시설로 보내진다. 거기서 데이터를 시간과 주파수로 나누어 작은 덩어리로 만들고, 전 세계의 컴퓨터에 분배하여 노이즈가 아닌 정보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신호를 찾는다. SETI@home의 핵심은 데이터를 작게 나누어 수백만 대의 개인용 컴퓨터에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다시 받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일반적으로 최신 슈퍼컴퓨터를 필요로 하는 분석을 인터넷 커뮤니티의 도움으로 달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노이즈로부터 다음 4가지 종류의 신호를 식별한다.[52]

  • 파워 스펙트럼에서의 스파이크(돌출된 부분)
  • 송신 전력의 가우스 함수적 변동.
  • 전력 스파이크가 3회 연속된 것.
  • 펄스 신호. 협대역 디지털 전송의 가능성이 있다.


ETI 신호는 성간 물질과 지구와의 상대 운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신호"의 가능성이 있는 데이터는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되어 노이즈가 아닌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행성은 항성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경우가 많고, 지구에서 보면 상대적으로 가속도 운동을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신호"가 있었다고 해도 주파수가 시시각각 변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분석이 SETI@home 소프트웨어로 수행된다.

이는 신호 강도계를 보면서 라디오를 방송국 주파수에 맞추는 것과 유사하며, 기술적으로는 이산 푸리에 변환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많이 사용한다.

이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을 당시에는 컴퓨터 능력을 연구 개발에 기부할 수 있는 수단이 거의 없었지만, 현재는 다수의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가 존재하여 일반 사용자들의 CPU 시간을 놓고 경쟁하고 있다.

또한, 비트코인으로 대표되는 암호화폐 채굴이 금전적인 보상이 있는 분산 컴퓨팅이기 때문에, 무상으로 진행되는 과학 프로젝트에게는 CPU 시간을 빼앗는 강력한 경쟁자가 되었다. 채굴용으로 Graphics Processing Unit가 대량으로 사용된 결과, GPU가 시장에서 품귀 현상을 겪게 되어 SETI@home에서도 분석 시스템 증강에 사용할 GPU를 구하기 어려워졌다.[71] 하지만, 2019년 경에는 GPU를 이용한 채굴로는 충분한 수익을 얻기 어려워지면서 GPU 수급 상황은 개선되었다.

3. 3. 데이터 처리 과정

SETI@home 프로젝트는 외계 지적 생명체의 신호를 찾기 위해 전파망원경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 데이터 수집: 푸에르토리코에 있는 아레시보 천문대의 전파망원경에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데이터에는 외계 신호뿐만 아니라 별, 블랙홀 등에서 나오는 다양한 자연적인 전파도 포함되어 있다.[14]
  • 데이터 분할: 수집된 데이터는 용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 세계의 개인용 컴퓨터로 분산하여 보낸다.[14]
  • 데이터 분석: BOINC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에서 데이터 분석이 이루어진다. 소프트웨어는 전자기 간섭과 구별되는 다음 다섯 가지 유형의 신호를 찾는다.[15]
  • 전력 스펙트럼의 급증
  • 전송 전력의 가우시안 함수 상승 및 하강
  • 삼중 신호 (연속 세 개의 전력 급증)
  • 펄스 (신호 처리) 신호
  • 자기 상관 신호
  • 결과 전송: 분석된 결과는 다시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로 보내진다.


잠재적인 외계 신호는 성간 매질과 지구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주파수가 변할 수 있다. SETI@home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 과정은 라디오 채널을 맞추면서 신호 강도를 확인하는 것과 유사하며, 기술적으로는 이산 푸리에 변환을 포함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사용한다.[52]

4. 기술적 특징

SETI@home은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과 그린 뱅크 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외계 지적 생명체로부터의 전파 신호를 탐색한다.[14] 데이터는 망원경이 다른 과학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동안 "피기백" 또는 "수동적"으로 수집되며, 디지털화되어 저장된 후 SETI@home 시설로 전송된다.

데이터는 주파수와 시간 단위로 작은 조각으로 파싱되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되어 잡음으로 귀착될 수 없는 신호를 검색한다. 이 과정은 전자기 간섭과 구별되는 다섯 가지 유형의 신호를 검색한다:[15]


  • 전력 스펙트럼의 급증
  • 전송 전력의 가우시안 함수 상승 및 하강
  • 삼중 신호 – 연속 세 개의 전력 급증
  • 펄스 (신호 처리) 신호
  • 자기 상관 신호 파형


잠재적인 "신호"는 외부 공간의 모든 방향에 이미 존재하는 섬광 잡음과 구별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처리된다. 예를 들어, 다른 행성은 지구에 대해 속도와 가속도로 움직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는 잠재적인 "신호"의 주파수를 시간에 따라 이동시킬 것이다. SETI@home 소프트웨어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처리하여 어느 정도 확인한다. 이 과정은 대부분 다양한 속도 및 지속 시간의 이산 푸리에 변환을 포함하는 많은 디지털 신호 처리를 포함한다.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가진 사람은 누구나 무료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SETI@home에 참여할 수 있다. 관측 데이터는 푸에르토리코아레시보 천문대에서 공급받은 SATA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기록되며, 각 드라이브에는 약 2.5일 분량의 관측 데이터가 저장되어 버클리 대학교로 전송된다.[20] 아레시보에는 광대역 인터넷 접속이 없으므로 데이터는 우편으로 버클리로 보내야 한다.[21]

버클리에 도착하면 데이터를 시간 영역주파수 영역으로 나누어 107초 분량의 ''작업 단위''로 나눈다.[22] 이는 약 0.35 메가바이트에 해당하며, 시간상으로는 겹치지만 주파수상으로는 겹치지 않는다.[20] 이러한 작업 단위는 SETI@home 서버에서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되어 분석된다. 데이터는 버클리의 SETI@home 컴퓨터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 병합되고, 간섭은 제거되며, 가장 흥미로운 신호를 찾기 위해 다양한 패턴 감지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이 프로젝트는 2015년부터 GPU 처리를 위해 CUDA를 사용했다.[23] 2016년에 SETI@home은 브레이크스루 리슨 프로젝트의 데이터 처리를 시작했다.[24]

4. 1. 소프트웨어

SETI@home 소프트웨어는 외계 지적 생명체의 신호를 찾기 위해 아레시보 천문대와 그린 뱅크 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를 분석하는 프로그램이다. 초기에는 "SETI@home Classic"이라는 단일 프로젝트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BOINC(버클리 오픈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 컴퓨팅) 플랫폼의 일부로 운영되고 있다.[79]

SETI@home 3.08(클래식)


이 소프트웨어는 전파 망원경 데이터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분석하며, 잡음과 구별되는 다섯 가지 유형의 신호(전력 스펙트럼의 급증, 가우시안 함수 형태의 전송 전력 변화, 삼중 신호, 펄스 신호, 자기 상관 신호 등)를 찾는다.[15]

데이터는 푸에르토리코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수집되어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로 전송된 후, 전 세계 자원봉사자들의 컴퓨터로 분산되어 분석된다.[20][21][22]

SETI@home 4.45


초기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SETI@home Classic"은 1999년 5월 17일부터 2005년 12월 15일까지 실행되었으며, SETI@home 프로젝트만 실행할 수 있었다. 이후 BOINC 플랫폼으로 대체되면서, 클래식 Mac OS를 사용하는 구형 매킨토시 컴퓨터는 더 이상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없게 되었다. 소니플레이스테이션 3 콘솔에서도 SETI@home을 사용할 수 있었다.[25]

현재 BOINC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macOS, 리눅스 등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다.[79] 사용자는 화면 보호기 형태로 작동시키거나,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여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15년부터 GPU 처리를 위해 CUDA를 사용했으며,[23] 2016년에는 브레이크스루 리슨 프로젝트의 데이터 처리를 시작했다.[24]

4. 1. 1. SETI@home Enhanced

2006년 5월 3일 "SETI@home Enhanced"라는 새로운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이 나왔다. 이는 그동안 발전한 컴퓨터 기술에 따라 외계에서 오는 전파를 좀 더 자세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변경된 프로그램으로서, 기존에 비해 처리 시간은 더 걸리지만 그에 따라 크레딧(Credit영어)도 더 받을 수 있게 되었다.[80]

이 새로운 버전은 컴퓨터가 프로젝트 시작 당시보다 더 많은 계산 집약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원래 SETI@home(BOINC) 소프트웨어보다 가우시안 신호와 일부 종류의 펄스 신호에 대해 두 배 더 민감했다. 이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은 일부 작업 단위에서 이전 버전보다 더 빠르게 실행되도록 최적화되었다. 그러나 일부 작업 단위(과학적으로 가장 우수한 작업 단위)는 훨씬 더 오래 걸렸다.

또한 SETI@home 응용 프로그램의 일부 배포는 특정 유형의 CPU에 최적화되었다. 이는 "최적화된 실행 파일"이라고 불렸으며 해당 CPU에 특정한 시스템에서 더 빠르게 실행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2007년 기준으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인텔 프로세서 및 해당 명령어 집합에 최적화되었다.[26]

4. 1. 2. Astropulse

Astropulse는 기존의 SETI@home을 확장한 새로운 타입의 SETI 프로젝트이다. 기존 SETI@home이 AM이나 FM 라디오와 같이 좁은 주파수 대역에서 외계 신호를 찾는 반면, Astropulse는 더 넓은 대역에서 외계 신호를 찾는다.[81]

Astropulse는 외계 생명체의 신호뿐만 아니라 빠르게 회전하는 펄사(Pulsar), 블랙홀, 또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형태의 천문 현상까지도 탐색한다.

일반적인 SETI@home Enhanced 작업 유닛 크기(360KiB)보다 훨씬 큰 8MiB의 작업 유닛을 사용하며, Credit 또한 SETI@home(100 내외)보다 훨씬 높은 800 이상을 받는다. 그러나 작업 유닛은 항상 존재하지 않으며, 선택적으로 받을 수는 없지만 받지 않도록 설정할 수는 있다.[81]

Astropulse는 펄스 신호를 탐색하기 위해 일관성 있는 디스퍼전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63] Astropulse와 원래의 SETI@home을 조합하면, 고속으로 회전하는 펄서, 폭발하는 원시 블랙홀, 그 외의 미지의 천체 물리학적 현상을 검출할 가능성이 있다.[64] Astropulse의 최종 일반 릴리스 버전의 베타 테스트는 2008년 7월에 완료되었으며, 그 직후부터 고성능 머신에 Astropulse용 작업 유닛 배포가 시작되었다.

4. 1. 3. CUDA

NVIDIA의 CUDA(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utre영어)를 이용한 그래픽 처리 장치(GPU) 컴퓨팅을 지원한다. SETI@home Enhanced 유닛에만 제공되며, CPU보다 훨씬 빠른 연산 속도를 제공한다. CUDA를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면 빠른 계산이 가능하다.[23]

CUDA 작업 시에는 화면 전환이나 동영상 재생 등이 느려지거나 끊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CUDA는 NVidia GPU에만 적용되며, ATI 계열 그래픽 카드는 공식적으로 지원되지 않는다.

2015년부터 GPU 처리를 위해 CUDA를 사용하기 시작했다.[23] 2008년 경에는 GPGPU도 이용 가능하게 되어, CPU만 이용하는 것보다 대폭 처리 속도가 향상되었다.[60] 2019년 현재는 Nvidia, AMD, Intel의 비디오 카드 및 내장 그래픽으로 GPGPU에 대응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었다.

4. 2. 최적화 프로그램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SETI 프로그램은 여러 CPU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위 호환성을 가지도록 작성되었다. 예를 들어, x86 계열 CPU의 경우 인텔 펜티엄 급 이상 CPU에서는 모두 작동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그 이후에 나온 CPU들의 MMX (명령어 집합)SSE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어 최신 CPU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최신 CPU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CPU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CPU/OS별로 각각 최적화된 프로그램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기본 프로그램보다 10%-40% 정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82]

또한, 공식적인 지원은 아니지만 GPU 연산을 지원하지 않던 ATI 계열 GPU를 이용하여 Astropulse를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존재한다.[83]

하지만 이러한 프로그램은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아니어서 계산 결과가 오류로 판정될 수 있으며, 잘못 설치하면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에 대해 어느 정도 지식이 있는 사람들의 조언을 받고 설치하는 것이 안전하다.

http://lunatics.kwsn.info/index.php lunatics라는 사이트에서 비공식적으로 개조하여 배포하던 개발자 두 명이 자원 봉사 개발자로 SETI@home에 참여하게 되면서, 공식적으로 고속화된 클라이언트가 사용되게 되었다. 따라서 PC에서 CPU나 GPU를 사용하여 자원 봉사 컴퓨팅에 참여하고 있었을 경우, 대부분의 참가자가 별다른 지식 없이도 고속화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몇몇 개인이나 기업이 SETI@home을 비공식적으로 개조하여 속도를 향상시켰고, 이로 인해 처리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그러한 변경을 쉽게 감지할수 있도록 수정이 되었다. 하지만 이것은 BOINC가 비공식적인 클라이언트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니다. 단지 잘못된 결과를 반환하는 클라이언트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며,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부정 데이터가 혼입되는 것을 막고 있다. BOINC에서는 데이터를 교차 검증하고 있지만[75], 두 클라이언트가 동일한 잘못된 데이터를 반환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한 번 부정 데이터를 반환한 클라이언트는 신뢰할 수 없는 클라이언트로 등록된다. 자주 보이는 비공식 클라이언트로는, SSE (SSE2, SSSE3, SSE4.1)를 사용하여 처리를 고속화하는 것이 있다.[76] 프로세서가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사용하도록 선택하면 결과가 부정확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5. 참여 방법

SETI@home은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과 그린 뱅크 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외계 지적 생명체로부터의 전파 신호를 탐색하는 프로젝트이다.[14] 망원경이 다른 과학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동안 데이터를 "피기백" 또는 "수동적"으로 수집하여 디지털화하고 저장한 후, SETI@home 시설로 전송한다. 이 데이터는 주파수와 시간 단위로 작은 조각으로 파싱되고, 소프트웨어를 통해 분석되어 잡음으로 판단할 수 없는 신호, 즉 정보를 포함하는 변화를 찾는다. SETI@home은 자원 봉사 컴퓨팅을 활용하여 수백만 개의 데이터 조각을 가정용 컴퓨터로 전송하고 분석 결과를 보고받는다. 이를 통해 방대한 데이터 분석 문제를 인터넷 기반의 대규모 컴퓨터 자원 대여 커뮤니티를 통해 효율적으로 해결한다.

소프트웨어는 전자기 간섭과 구별되는 다섯 가지 유형의 신호를 검색한다.[15]


  • 전력 스펙트럼의 급증
  • 전송 전력의 가우시안 함수 상승 및 하강 (전파원의 통과에 따른 망원경 빔의 주엽을 나타낼 수 있음)
  • 삼중 신호 – 연속 세 개의 전력 급증
  • 펄스 (신호 처리) 신호 (이는 협대역 디지털 스타일 전송을 나타낼 수 있음)
  • 자기 상관은 신호 파형을 감지


외계 지적 생명체(ETI) 신호는 성간 매질과 지구에 대한 상대적 움직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잠재적인 "신호"는 외부 공간의 섬광 잡음과 구별하기 위해 여러 방법으로 처리된다. 예를 들어, 다른 행성은 지구에 대해 속도와 가속도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아 잠재적 신호의 주파수가 시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SETI@home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현상을 고려하여 신호를 확인한다.

이 과정은 여러 채널 (방송)로 라디오를 튜닝하고 신호 강도 미터를 살펴보는 것과 유사하며, 신호 강도가 증가하면 주목한다. 기술적으로는 다양한 속도 및 지속 시간의 이산 푸리에 변환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사용한다.

버클리의 SETI@home 컴퓨터는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병합하고, 간섭을 제거한 후 다양한 패턴 감지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가장 흥미로운 신호를 찾는다.

2016년부터 SETI@home은 브레이크스루 리슨 프로젝트의 데이터 처리를 시작했다.[24]

이전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수준의 계산 능력을 활용하여, 기존에는 감지하기 힘들었던 미약한 신호도 탐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15년, 유리 밀너의 지원으로 왕립 학회에서 발표된 브레이크스루 이니셔티브(Breakthrough Initiatives)[65] 프로젝트 중 하나인 브레이크스루 리슨(Breakthrough Listen)[66]에 의해, 그린뱅크 망원경에서 얻은 데이터가 2016년 4월 12일부터 SETI@home 작업 단위로 배포되었다.[67]

브레이크스루 리슨은 그린뱅크 망원경 외에도 릭 천문대의 자동 행성 탐지 망원경과 호주의 파크스 천문대[68]를 관측 대상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파크스 천문대의 데이터는 SETI@home 작업 단위 배포 종료 시점까지 실제로 배포되지 않았다.

아레시보 천문대의 관측 데이터 또한 SETI@home 작업 단위로 계속 배포되었다.

5. 1. 요구 사항

인터넷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가 있다면 누구나 무료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시켜 SETI@home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CPU, 디스크 공간, 네트워크 대역폭의 일부를 사용하여 작업한다.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하지 않을 때 화면 보호기 형태로 작동하며, 자원 사용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해 화면 보호기를 끄고 백그라운드로 작업을 진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관측 데이터는 푸에르토리코아레시보 천문대에서 36 기가바이트 자기 테이프에 기록되며, 테이프 1개는 15.5시간 분량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것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로 우송된다.[57] 아레시보에는 높은 대역폭의 인터넷 연결이 없기 때문에, 데이터를 버클리로 먼저 우송한다.[58] 버클리에서는 데이터를 107초마다 시간 영역으로 분할하고, 주파수 영역으로 분할하여 "work unit"으로 만든다.[59] 각 work unit는 약 0.35MB(2019년 현재 약 0.7MB) 크기로, 시간적으로는 전후 데이터와 약간 겹치지만, 주파수 영역에서는 겹치지 않는다.[57] 이 work unit은 SETI@home 서버에서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 컴퓨터로 보내 분석한다.

이 프로젝트는 2015년부터 GPU 처리를 위해 CUDA를 사용했다.[23]

5. 2. 통계

SETI@home 프로젝트는 외계 지적 생명체의 증거를 발견하지는 못했지만, 여러 기록을 남겼다. 520만 명 이상이 참여한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로, 2001년 9월 26일에는 총 1021회의 부동소수점 연산을 수행하여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78] 이는 역사상 가장 큰 컴퓨팅으로 인정받았다.[27] 2019년 10월 25일 기준으로 초당 평균 989테라플롭스(TeraFLOPS)의 부동소수점 연산을 기록하고 있다.[78]

1999년 5월 17일 출시 이후 이 프로젝트는 누적 200만 년 이상의 컴퓨팅 시간을 기록했다. 2013년 6월 23일 기준으로 233개국에 145,000대 이상의 활성 컴퓨터(총 140만 대)를 보유하여 668 테라플롭스 이상의 연산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28] 이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인 톈허-2 컴퓨터의 연산 능력(33.86 페타플롭스)의 약 50분의 1 수준이었다.

520만 명이 넘는 전 세계 참가자를 보유한 이 프로젝트는 당시까지 가장 많은 참가자를 기록한 자원봉사 컴퓨팅 프로젝트였다. 원래 의도는 5만~10만 대의 가정용 컴퓨터를 활용하는 것이었다.[18]

6. 결과 및 성과

SETI@home은 지구 밖의 지적 생명체를 탐지하기 위한 관찰 분석을 지원하고, "자원 봉사 컴퓨팅" 개념의 실현 가능성과 실용성을 증명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2][13] "자원 봉사 컴퓨팅"은 성공적으로 증명되었으며, 현재 BOINC 환경은 다양한 분야의 계산 집약적인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

SETI@home은 아레시보 천문대와 그린 뱅크 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외계 지적 생명체로부터의 전파 신호 증거를 탐색한다.[14] 데이터는 망원경이 다른 과학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동안 수집되며, 디지털화 및 저장 후 SETI@home 시설로 전송된다. 그 후 데이터는 주파수와 시간 단위로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져 소프트웨어를 통해 분석된다. 이 소프트웨어는 전자기 간섭과 구별되는 다음 다섯 가지 유형의 신호를 검색한다.[15]


  • 전력 스펙트럼의 급증
  • 전송 전력의 가우시안 함수 상승 및 하강
  • 삼중 신호 – 연속 세 개의 전력 급증
  • 펄스 (신호 처리) 신호
  • 자기 상관


잠재적인 외계 지적 생명체(ETI) 신호는 성간 매질과 지구에 대한 기원의 상대적 움직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잠재적인 "신호"는 외부 공간의 모든 방향에 이미 존재하는 섬광 잡음과 구별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처리된다.

2020년 3월 31일, UC 버클리는 SETI@Home 클라이언트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여 노력을 종료했다. 프로그램 측에서는 자원 봉사 처리로 "수익 감소" 지점에 도달했으며 결과를 처리하는 동안 노력을 일시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32]

호주 파크스 천문대의 데이터를 가져와 남반구를 분석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29] 2018년 6월 3일 기준으로 이 계획은 프로젝트 웹사이트에서 언급되지 않았다. 다른 계획으로는 다중 빔 데이터 레코더, 근 실시간 지속성 검사기, 그리고 Astropulse가 있었다.[30] Astropulse는 기존 SETI@home과 협력하여 빠르게 회전하는 펄서, 폭발하는 원시 블랙홀 또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천체 물리학적 현상과 같은 다른 소스를 감지한다.[31]

6. 1. 주요 발견

SETI@home 프로젝트는 현재까지 외계 지적 생명체(ETI)의 신호를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추가 분석이 필요한 몇 가지 후보 신호를 식별했다.[16] 이 중 가장 주목할 만한 후보는 2004년 9월 1일에 발표된 전파원 SHGb02+14a이다.[53]

천문학자 세스 쇼스택은 2004년에 드레이크 방정식을 근거로 2020년에서 2025년 사이에 외계 생명체와의 접촉을 증명할 결정적인 신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19][54] 이는 SETI@home의 장기적인 노력이 결실을 맺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SETI@home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활용한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가 효과적인 분석 도구이며, 가장 강력한 슈퍼컴퓨터를 능가할 수 있다는 것을 과학계에 입증했다.[17][55]

6. 2. 과학적 기여

SETI@home은 두 가지 주요 목표를 가지고 시작되었다.

  • 지구 밖 지적 생명체를 탐사하기 위한 관측 분석을 지원하여, 과학적으로 유의미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12]
  • "자원 컴퓨팅" 개념의 실현 가능성과 실용성을 증명하는 것[13]


두 번째 목표는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받는다. 현재 SETI@home의 개발 기반인 BOINC 환경은 다양한 분야에서 계산 집약적인 많은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

첫 번째 목표는 현재까지 뚜렷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SETI@home을 통해 외계 지적 생명체(ETI) 신호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은 관측 분석이 "잘못된 문제"가 아니라는 가정 하에 이루어지고 있다. 아직 하늘의 대부분(98% 이상)이 조사되지 않았으며,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각 지점을 여러 번 조사해야 한다.

현재까지 이 프로젝트는 어떠한 ETI 신호도 확인하지 못했다. 그러나 추가 분석을 위해 강도 급증이 노이즈로 쉽게 설명되지 않는 여러 후보 목표(하늘 위치)를 식별했다.[16] 현재까지 가장 중요한 후보 신호는 2004년 9월 1일에 발표된 전파원 SHGb02+14a이다.

이 프로젝트는 외계 지적 생명체를 찾는다는 주요 목표는 달성하지 못했지만,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사용하는 자원 컴퓨팅 프로젝트가 실행 가능한 분석 도구로 성공할 수 있으며, 심지어 가장 큰 슈퍼컴퓨터를 능가할 수 있다는 것을 과학계에 입증했다.[17] 그러나 사용된 컴퓨터의 규모가 원래 의도했던 5만~10만 대[18]보다 훨씬 증가한 것이 과학적으로 프로젝트에 도움이 되었는지는 입증되지 않았다.

천문학자 세스 쇼스택은 2004년에 드레이크 방정식을 기반으로 2020년에서 2025년 사이에 결정적인 신호와 외계 생명체와의 접촉 증거를 얻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19] 이는 SETI@home의 장기적인 노력이 결실을 맺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7. 경쟁 및 윤리적 문제

SETI@home 프로젝트는 많은 사용자가 참여하면서 경쟁, 부정행위, 윤리적 문제 등 다양한 측면을 드러냈다.
경쟁은 SETI@home 초기부터 나타난 현상이다. 사용자들은 더 많은 작업 단위를 처리하기 위해 개인 또는 팀 단위로 경쟁했으며, 이러한 경향은 BOINC 플랫폼 도입 이후 더욱 심화되었다.
부정행위는 경쟁 과열 속에서 발생했다. 일부 사용자들은 처리하지 않은 작업에 대한 점수를 얻기 위해 시스템을 속이려고 시도했다. SETI@home은 이러한 부정행위를 막기 위해 여러 대의 컴퓨터에 동일한 작업 단위를 할당하고, 그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윤리적 문제는 주로 "보깅(Borging)"이라는 행위와 관련되어 발생한다. 보깅은 스타 트렉보그에서 따온 용어로, 회사나 학교 등 업무용 컴퓨터에 SETI@home을 설치하여 개인적인 이득을 취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행위는 회사 자원의 오용으로 간주되어 해고 등의 징계를 받을 수 있다. 실제로 오하이오 주 정부와 한 학교에서 보깅으로 인해 해고 및 책임자 사임 사건이 발생했다.[33][34] 2005년에는 SETI@home 구 버전 사용자 중 약 3분의 1이 회사나 학교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41]

7. 1. 경쟁적 측면

SETI@home 사용자들은 최대한 많은 작업 단위를 처리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기 시작했다. 개인 사용자들의 노력을 합치기 위해 팀이 결성되었다. 이러한 경쟁은 BOINC의 도입과 함께 더욱 커지고 확대되었다.

어떤 경쟁과 마찬가지로, 시스템을 "속여" 수행되지 않은 작업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으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부정행위를 막기 위해 SETI@home 시스템은 각 작업 단위를 여러 컴퓨터로 전송하며, 이를 "초기 복제"라고 한다(현재 '''2'''회). 각 반환된 작업 단위에 대한 크레딧은 최소 수의 결과가 반환되고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부여되며, 이를 "최소 정족수"라고 한다(현재 '''2'''회). 계산 오류 또는 허위 데이터 제출로 인해 충분한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최소 정족수에 도달할 때까지 더 많은 동일한 작업 단위가 전송된다. 올바른 결과를 반환한 모든 컴퓨터에 부여되는 최종 크레딧은 동일하며, 각 컴퓨터가 주장한 값 중 가장 낮은 값이다.

일부 사용자는 직장에서 SETI@home을 설치하고 실행했다. 이는 스타 트렉보그에서 따온 "보깅" 행위로 알려져 있다. 일부 경우, SETI@home 사용자는 회사 자원을 오용하여 작업 단위 결과를 얻었으며, 최소 두 명의 개인이 엔터프라이즈 프로덕션 시스템에서 SETI@home을 실행한 혐의로 해고되었다.[33] "SETI 스크린세이버로 해고된 사람 있나요?"라는 제목의 스레드가 뉴스 그룹 alt.sci.seti에 있으며, 1999년 9월 14일부터 시작되었다.[34]

다른 사용자들은 집에서 많은 양의 장비를 모아 "SETI 팜"을 만들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마더보드, CPU, RAM, 전원 공급 장치만으로 구성된 여러 대의 컴퓨터로 구성되며, 디스크가 없는 워크스테이션으로 선반에 배치되어 리눅스 또는 구버전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를 "헤드리스"(모니터 없이)로 실행한다.[35]

7. 2. 부정행위

SETI@home 사용자들은 최대한 많은 작업 단위를 처리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기 시작했고, 개인 사용자들의 노력을 합치기 위해 팀이 결성되었다. 이러한 경쟁은 BOINC의 도입과 함께 더욱 커지고 확대되었다.

어떤 경쟁과 마찬가지로, 시스템을 "속여" 수행되지 않은 작업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으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부정행위를 막기 위해 SETI@home 시스템은 각 작업 단위를 여러 컴퓨터로 전송하며, 이를 "초기 복제"라고 한다(현재 '''2'''회). 각 반환된 작업 단위에 대한 크레딧은 최소 수의 결과가 반환되고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부여되며, 이를 "최소 정족수"라고 한다(현재 '''2'''회). 계산 오류 또는 허위 데이터 제출로 인해 충분한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최소 정족수에 도달할 때까지 더 많은 동일한 작업 단위가 전송된다. 올바른 결과를 반환한 모든 컴퓨터에 부여되는 최종 크레딧은 동일하며, 각 컴퓨터가 주장한 값 중 가장 낮은 값이다.

일부 사용자는 직장에서 SETI@home을 설치하고 실행했는데, 이는 스타 트렉의 보그에서 따온 "보깅" 행위로 알려져 있다. 일부 SETI@home 사용자는 회사 자원을 오용하여 작업 단위 결과를 얻었으며, 최소 두 명의 개인이 엔터프라이즈 프로덕션 시스템에서 SETI@home을 실행한 혐의로 해고되었다.[33] 1999년 9월 14일부터 뉴스 그룹 alt.sci.seti에 "SETI 스크린세이버로 해고된 사람 있나요?"라는 제목의 스레드가 있다.[34]

다른 사용자들은 집에서 많은 양의 장비를 모아 "SETI 팜"을 만들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마더보드, CPU, RAM, 전원 공급 장치만으로 구성된 여러 대의 컴퓨터로 구성되며, 디스크가 없는 워크스테이션으로 선반에 배치되어 리눅스 또는 구버전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를 "헤드리스"(모니터 없이)로 실행한다.[35]

여러 개인과 회사에서 더 빠른 결과를 얻기 위해 소프트웨어의 분산 부분에 대한 비공식적인 변경을 시도했지만, 이는 모든 결과의 무결성을 훼손했다.[46] 그 결과, 이러한 변경을 더 쉽게 감지하고 신뢰할 수 없는 클라이언트를 발견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해야 했다. BOINC는 비공식 클라이언트에서도 실행되지만, 서로 다른, 즉 잘못된 데이터를 반환하는 클라이언트는 허용되지 않으므로 결과 데이터베이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BOINC는 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해 상호 검증에 의존한다.[47] 그러나 신뢰할 수 없는 클라이언트는 동일한 잘못된 데이터를 보고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손상시키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식별해야 한다. 매우 인기 있는 비공식 클라이언트(lunatic)는 사용자가 SSE, SSE2, SSE3, SSSE3, SSE4.1 및 AVX와 같은 프로세서의 특수 기능을 활용하여 더 빠른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7. 3. 윤리적 문제 (보깅)

SETI@home 사용자들은 더 많은 작업 단위를 처리하기 위해 경쟁하기 시작했다. 개인 사용자들의 노력을 합치기 위해 팀이 결성되기도 했다. 이러한 경쟁은 BOINC의 도입과 함께 더욱 커지고 확대되었다.

일부 사용자는 직장에서 SETI@home을 설치하고 실행했다. 이는 스타 트렉보그에서 따온 "보깅"이라는 행위로 알려져 있다. 일부 경우, SETI@home 사용자는 회사 자원을 오용하여 작업 단위 결과를 얻었으며, 최소 두 명의 개인이 엔터프라이즈 프로덕션 시스템에서 SETI@home을 실행한 혐의로 해고되었다.[33] "SETI 스크린세이버로 해고된 사람 있나요?"라는 제목의 스레드가 뉴스 그룹 alt.sci.seti에 있으며, 1999년 9월 14일부터 시작되었다.[34]

기록된 사례를 보면, 한 개인은 미국 오하이오 주에서 사용되는 컴퓨터에 SETI@home 소프트웨어를 명시적으로 가져와 사용한 이유로 해고되었다.[38] 또 다른 사건에서 한 학교 IT 이사는 자신의 설치가 학교 구역에 100만달러의 제거 비용을 초래했다는 이유로 사임했다.[39] 2005년 10월 16일 기준으로, 소프트웨어의 비-BOINC 버전 처리의 약 1/3이 직장 또는 학교 기반 컴퓨터에서 수행되었다.[41]

8. 한국의 관련 프로젝트

한국에서는 여러 SETI 관련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국립과천과학관의 SETI KOREA 프로젝트, 충북대학교천문연의 한국 중력렌즈망원경 네트워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코리아앳홈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8. 1. SETI KOREA 프로젝트

2008년11월 개관한 국립과천과학관에는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든 대중용 외계인 탐색 전용 전파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전파망원경의 지름은 7.2m이며, 주 연구 주제는 외계 지적생명체 탐사로, SETI@home 프로젝트를 벤치마킹하였다. 과학관은 시험 가동 중인 이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우주에서 오는 약한 전파 신호를 포착, 분석하는 작업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은하 평면 주변 및 250여 개 외계 행성계를 겨냥해 탐사 작업을 벌일 예정이다.[84][85]

8. 2. 한국 중력렌즈망원경 네트워크

한정호 충북대학교 교수와 박병곤 천문연 박사 연구팀은 지적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 행성계를 찾는 연구를 위해 2009년부터 칠레,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에 시야가 매우 넓은 망원경 3대를 연결해 외계 행성을 발굴하는 '한국 중력렌즈망원경 네트워크'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85]

8. 3. 코리아앳홈 프로젝트

2003년 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슈퍼 컴퓨팅센터에서 분산 컴퓨팅 시스템을 활용하는 코리아앳홈 프로젝트를 제작하여 기후, 생명, 수학 분야에 활용하였다.[1]

2010년 프로젝트는 중단되었으며, 해당 사이트는 운영되고 있지 않다.[1]

9. 한계점 및 향후 전망

SETI@home은 외계 지적 생명체를 탐색하는 프로젝트였지만, 몇 가지 한계점과 함께 미래 전망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한계점


  • 기술적 한계: SETI@home은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했지만, 데이터베이스 오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문제 등으로 인해 프로젝트 참여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 재정적 어려움: SETI 연구는 정부 자금 지원이 부족하고 민간 자금에 의존해야 했기 때문에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2008년에는 운영 지속을 위해 기부를 요청하기도 했다.[71]
  • 아레시보 천문대 폐쇄 위협: SETI@home 데이터의 주요 출처였던 아레시보 천문대가 예산 문제로 폐쇄될 위기에 처하면서 데이터 공급 중단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미래 전망

  • 자원 봉사 컴퓨팅의 성공: SETI@home은 "자원 봉사 컴퓨팅" 개념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했다. 이를 통해 개발된 BOINC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
  • 지속적인 탐색 노력: 외계 지적 생명체의 신호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지만, SETI@home은 관측 분석이 헛된 노력이 아니라는 믿음을 가지고 탐색을 계속했다.
  • 새로운 기술 도입: 다중 빔 데이터 레코더, 근 실시간 지속성 검사기, Astropulse 등의 기술을 도입하여 탐색 범위를 넓히려는 시도가 있었다.
  • 브레이크스루 리슨과의 협력: 브레이크스루 리슨 프로젝트를 통해 그린뱅크 망원경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계속했다.
  • SETI@home과 SERENDIP에서 얻은 결과를 분석하여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9. 1. 기술적 한계

SETI@home은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과 그린 뱅크 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외계 지적 생명체로부터의 전파 신호를 찾는다.[14] 데이터는 망원경이 다른 과학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동안 "피기백" 또는 "수동적"으로 수집된다. 데이터는 디지털화되어 저장된 후 SETI@home 시설로 전송된다. 그런 다음 데이터는 주파수와 시간 단위로 작은 조각으로 나뉘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되어 잡음으로 판단할 수 없는 신호를 검색한다.

소프트웨어는 전자기 간섭과 구별되는 다섯 가지 유형의 신호를 찾는다.[15]

  • 전력 스펙트럼의 급증
  • 전송 전력의 가우시안 함수 상승 및 하강
  • 삼중 신호 – 연속 세 개의 전력 급증
  • 펄스 (신호 처리) 신호
  • 자기 상관은 신호 파형을 감지


잠재적 외계 지적 생명체(ETI) 신호는 성간 매질과 지구에 대한 기원의 상대적 움직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잠재적인 "신호"는 외부 공간의 모든 방향에 이미 존재하는 섬광 잡음과 구별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처리된다. 예를 들어, 다른 행성은 지구에 대해 속도와 가속도로 움직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는 잠재적인 "신호"의 주파수를 시간에 따라 이동시킬 것이다. SETI@home 소프트웨어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처리하여 어느 정도 확인한다.

이 과정은 여러 채널 (방송)로 라디오를 튜닝하고 신호 강도 미터를 살펴보는 것과 다소 유사하다. 보다 기술적으로, 이는 대부분 다양한 속도 및 지속 시간의 이산 푸리에 변환을 포함하는 많은 디지털 신호 처리를 포함한다.

SETI@home은 일반적인 회계 및 비즈니스 데이터 또는 관계형 구조를 갖지 않기 때문에, SETI 데이터베이스 처리 부하에서 예상보다 더 어려운 실험 기술이 적용되기도 한다. 비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 사용은 종종 더 큰 처리 오버헤드와 데이터베이스 손상 및 완전한 데이터베이스 오류의 위험을 초래한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 오류는 프로젝트 참여율의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프로젝트는 더 방대한 데이터 세트를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로 전환하기 위해 여러 번 종료해야 했다. 하드웨어 오류는 하드웨어 오류가 종종 데이터베이스 손상과 결합되기 때문에 프로젝트 종료의 상당한 원인임이 입증되었다.

9. 2. 재정적 어려움

현재 SETI 연구에 대한 정부 자금 지원은 없으며, 민간 자금 지원 또한 항상 제한적이다. 버클리 우주 과학 연구소는 소규모 예산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왔으며, 이 프로젝트는 기부를 받아 원래 계획했던 기간보다 훨씬 더 오랫동안 진행될 수 있었지만, 여전히 다른 SETI 프로젝트 및 다른 우주 과학 프로젝트와 제한된 자금을 놓고 경쟁해야 한다.[71]

2007년 12월 16일 기부 요청에서 SETI@home은 현재의 부족한 상황을 언급하며 2008년까지 계속 운영하기 위해 476000USD의 기부를 촉구했다.[71]

9. 3. 아레시보 천문대 폐쇄

SETI@home 프로젝트 시작부터 처리에 사용된 데이터는 아레시보 천문대가 관측한 결과이며, 이 천문대는 미국 천문학 전리층 센터가 운영하고 코넬 대학교가 관리했다. 예산 삭감으로 인해 천문대는 적자에 시달리고 있었다.

미국 국립 과학 재단은 아레시보에 대한 자금 지원이 없으면 2011년에 천문대를 폐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렇게 되면 SETI@home에 대한 데이터 공급도 중단될 상황이었다.

2012년, 새로운 운영 체제로 폐쇄 위기는 넘겼지만, 2017년에는 대폭적인 예산 삭감으로 인해 다시 폐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최종적으로 자원 봉사 컴퓨팅 중단 시점까지 아레시보 천문대로부터의 데이터 수집은 계속 이루어졌지만, 브레이크스루 리슨 프로젝트를 통해 그린뱅크 망원경에서도 데이터를 얻고 있었기 때문에, 아레시보 천문대의 폐쇄가 SETI@home 프로젝트의 종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게 되었다.

9. 4. 미래 전망

SETI@home은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시작했다. 첫 번째는 외계 지적 생명체를 찾기 위한 관측 분석을 지원하여 과학에 기여하는 것이었고, 두 번째는 "자원 봉사 컴퓨팅"이라는 개념이 실제로 유용한지를 증명하는 것이었다.[13]

두 번째 목표는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받는다. SETI@home을 통해 개발된 BOINC는 현재 다양한 분야의 복잡한 계산이 필요한 프로젝트들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첫 번째 목표는 아직 뚜렷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SETI@home을 통해 외계 지적 생명체(ETI)의 신호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은 관측 분석이 "헛수고"가 아니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계속되고 있다. 아직 하늘의 대부분(98% 이상)이 조사되지 않았고, 가능성을 좁히기 위해서는 각 지점을 여러 번 조사해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외계 지적 생명체의 신호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추가 분석이 필요한 몇몇 후보 지점들이 발견되기도 했다.[16] 2004년 9월 1일에는 전파원 SHGb02+14a라는 가장 중요한 후보 신호가 발표되기도 했다.

SETI@home은 외계 지적 생명체를 찾는다는 주요 목표는 달성하지 못했지만,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한 자원 봉사 컴퓨팅이 효과적인 분석 도구가 될 수 있으며, 심지어 가장 강력한 슈퍼컴퓨터보다 뛰어날 수 있다는 것을 과학계에 증명했다.[17]

천문학자 세스 쇼스택은 2004년에 드레이크 방정식을 근거로 2020년에서 2025년 사이에 외계 생명체와의 결정적인 신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19]

호주 파크스 천문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남반구를 분석하려는 계획도 있었다.[29] 하지만, 2018년 6월 3일 기준으로 이 계획은 프로젝트 웹사이트에서 언급되지 않고 있다. 다른 계획으로는 다중 빔 데이터 레코더, 근 실시간 지속성 검사기, 그리고 Astropulse (펄스 신호를 찾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있었다.[30] Astropulse는 기존 SETI@home과 협력하여 빠르게 회전하는 펄서, 폭발하는 원시 블랙홀 등 새로운 천체 현상을 탐색할 계획이었다.[31] Astropulse의 베타 테스트는 2008년 7월에 완료되었고, 2008년 7월 중순부터 고사양 컴퓨터에 작업 단위가 배포되기 시작했다.

2015년 유리 밀너의 지원으로 시작된 브레이크스루 이니셔티브 프로젝트 중 하나인 브레이크스루 리슨을 통해, 그린뱅크 망원경에서 얻은 데이터가 2016년 4월 12일부터 SETI@home용 작업 단위로 배포되었다.[67]

브레이크스루 리슨은 그린뱅크 망원경 외에도 릭 천문대의 자동 행성 탐지 망원경과 호주의 파크스 천문대[68]의 데이터도 활용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파크스 천문대의 데이터는 SETI@home 작업 단위 배포 종료 시점까지 제공되지 않았다.

아레시보 천문대의 관측 데이터도 계속해서 SETI@home 작업 단위로 배포되었다.

2020년 3월 31일, 새로운 작업 단위 배포는 중단되었지만, 재전송된 작업 단위들이 모두 처리되기까지 몇 달이 걸렸다. 2020년 10월 29일, 모든 작업 단위의 처리가 완료되었다.

현재 Nebula라는 시스템이 개발 중이며, SETI@home의 자원 봉사 컴퓨팅 및 SERENDIP에서 얻은 결과를 분석하여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hoosing BOINC projects https://boinc.berkel[...] 2023-01-03
[2] 웹사이트 DownloadOther – BOINC https://boinc.berkel[...] 2023-01-03
[3] 웹사이트 Porting and optimizing SETI@home https://setiathome.b[...] 2023-01-03
[4] 웹사이트 Detailed stats – SETI@Home http://boincstats.co[...] 2020-03-05
[5] 웹사이트 ET, phone SETI@home! https://science.nasa[...] NASA 1999-05-23
[6] 웹사이트 How to Search for Aliens 1999-05-17
[7] 웹사이트 SETI@home Classic: In Memoriam http://setiathome.be[...] 2005-12-15
[8] 웹사이트 Searches For ET! http://www.nettalkli[...]
[9] 뉴스 The Search for E.T. Goes on Hold, for Now https://www.nytimes.[...] 2020-03-23
[10] 잡지 SETI@Home Is Over. But the Search for Alien Life Continues https://www.wired.co[...] 2020-03-03
[11] 웹사이트 New zones, a milestone, and next steps https://setiathome.b[...]
[12] 논문 SETI@home: an experiment in public-resource computing https://dl.acm.org/d[...] 2002-11-01
[13] 웹사이트 S.E.T.I. - 100000 pr https://sites.google[...]
[14] 웹사이트 Berkeley SETI https://seti.berkele[...]
[15] 웹사이트 How SETI@Home Works – What is SETI@home Looking For? http://seticlassic.s[...] SETI@Home Classic
[16] 웹사이트 Signal Candidate http://seticlassic.s[...] Classic SETI@home
[17] 웹사이트 BOINC combined – Credit overview http://boincstats.co[...] BOINCstats
[18] 웹사이트 Sullivan, et al.: Seti@Home http://seticlassic.s[...] Seticlassic.ssl.berkeley.edu
[19] 뉴스 First Contact Within 20 Years: Shostak http://www.spacedail[...] 2004-07-22
[20] 논문 SETI@home – Massively Distributed Computing for SETI http://setiathome.ss[...] 2001-01-01
[21] 웹사이트 About SETI@home page 2 http://seticlassic.s[...] Seticlassic.ssl.berkeley.edu
[22] 웹사이트 The SETI@home Sky Survey http://seticlassic.s[...] 2001-01-01
[23] 웹사이트 Applications https://setiathome.b[...]
[24] 웹사이트 Breakthrough Initiatives https://breakthrough[...]
[25] 웹사이트 SETI@home applications http://www.dotsch.de[...]
[26] 웹사이트 Seti@Home optimized science apps and information http://lunatics.kwsn[...] Lunatics.kwsn.net
[27] 웹사이트 Largest Computation http://www.guinnessw[...] HCI Entertainment 2005-01-01
[28] 웹사이트 SETI@Home Project http://boincstats.co[...] BOINC Stats
[29] 웹사이트 Southern Hemisphere Search – increasing SETI@home's sky coverage in the "Future directions of SETI@home" http://seticlassic.s[...] Classic SETI@home website
[30] 웹사이트 SETI@home Plans http://setiathome.be[...] SETI@home
[31] 웹사이트 Astropulse FAQ http://setiathome.be[...] Setiathome.berkeley.edu
[32] 웹사이트 SETI@Home ends its crowdsourced search for alien life after 21 years https://www.engadget[...] 2020-03-04
[33] 뉴스 BBC 2002 http://news.bbc.co.u[...] 2002-01-28
[34] 웹사이트 Anyone fired for SETI screensaver https://groups.googl[...]
[35] 웹사이트 SETI Stack and farm systems http://bhs.broo.k12.[...] Bhs.broo.k12.wv.us
[36] 뉴스 Giant Arecibo radio telescope collapses in Puerto Rico https://www.theguard[...] 2020-12-01
[37] 뉴스 Huge Puerto Rico radio telescope, already damaged, collapses https://apnews.com/a[...] 2020-12-01
[38] 웹사이트 Knock Down, Then Kick – O'Reilly Databases http://www.oreillyne[...] Oreillynet.com 2004-10-09
[39] 뉴스 Higley firing tied to alien-search software https://web.archive.[...] 2009-11-30
[40] 뉴스 Admin fired for incompetence, not alien search https://web.archive.[...] 2009-12-02
[41] 웹사이트 SETI@home computer venues http://seticlassic.s[...]
[42] 웹사이트 SETI@home now supports Intel GPUs http://setiathome.be[...] 2014-01-29
[43] 웹사이트 Stanford University tailors Folding@home to GPUs https://www.engadget[...] 2006-09-29
[44] 웹사이트 Folding@Home – GPGPU http://graphics.stan[...]
[45] 웹사이트 Apple iPad 2 As Fast As The Cray-2 Super Computer https://www.phoronix[...] 2012-09-16
[46] 논문 The SETI@Home Problem http://oldwww.acm.or[...]
[47] 웹사이트 SecurityIssues – BOINC – Trac http://boinc.berkele[...] Boinc.berkeley.edu
[48] 웹사이트 ET, phone SETI@home! http://science.nasa.[...] NASA 1999-05-23
[49] 웹사이트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https://apod.nasa.go[...] 1999-05-17
[50] 웹사이트 SETI@home Classic: In Memoriam http://setiathome.be[...] 2005-12-15
[51] 웹사이트 SETI@home hibernation https://setiathome.b[...]
[52] 웹사이트 How SETI@Home Works - What is SETI@home Looking For? http://seticlassic.s[...] SETI@Home Classic
[53] 웹사이트 Signal Candidate http://seticlassic.s[...] Classic SETI@home
[54] 뉴스 First Contact Within 20 Years: Shostak http://www.spacedail[...] Space Daily 2004-07-22
[55] 웹사이트 BOINC combined - Credit overview http://www.boincstat[...] BOINCstats
[56] 웹사이트 Sullivan, et al.: Seti@Home http://seticlassic.s[...] Seticlassic.ssl.berkeley.edu
[57] 논문 SETI@home — Massively Distributed Computing for SETI http://setiathome.ss[...]
[58] 웹사이트 About SETI@home page 2 http://seticlassic.s[...] Seticlassic.ssl.berkeley.edu
[59] 웹사이트 The SETI@home Sky Survey http://seticlassic.s[...]
[60] 웹사이트 “SETI@home”で“CUDA”が利用可能に、GPUによる処理で従来比5~10倍の高速化 https://forest.watch[...]
[61] 웹사이트 Largest Computation http://www.guinnessw[...] HCI Entertainment
[62] 웹사이트 SETI@Home Project http://www.boincstat[...] BOINC Stats
[63] 웹사이트 SETI@home Plans http://setiathome.be[...] SETI@home
[64] 웹사이트 Astropulse FAQ http://setiathome.be[...] Setiathome.berkeley.edu
[65] 웹사이트 Breakthrough Initiatives https://breakthrough[...]
[66] 웹사이트 Berkeley SETI https://seti.berkele[...]
[67] 웹사이트 Breakthrough Listen data now flowing. https://setiathome.b[...]
[68] 웹사이트 Southern Hemisphere Search - increasing SETI@home's sky coverage] in the "Future directions of SETI@home" http://seticlassic.s[...] Classic SETI@home website
[69] 뉴스 BBC 2002 http://news.bbc.co.u[...] BBC News 2002-01-28
[70] 웹사이트 SETI Stack and farm systems http://bhs.broo.k12.[...] Bhs.broo.k12.wv.us
[71] 웹사이트 仮想通貨採掘の流行でGPU入手性が低下、SETIの観測データ分析システム増強に影響 - Engadget Japanese https://japanese.eng[...] 2020-07-04
[72] 웹사이트 Knock Down, Then Kick - O'Reilly Databases http://www.oreillyne[...] Oreillynet.com 2004-10-09
[73] 웹사이트 Arizona School Employee Loses Job Searching for Aliens http://www.foxnews.c[...] FoxNews.com 2004-10-09
[74] 웹사이트 SETI@home computer venues http://seticlassic.s[...] 2006-06-12
[75] 웹사이트 SecurityIssues - BOINC - Trac http://boinc.berkele[...] Boinc.berkeley.edu
[76] 웹사이트 Seti@Home optimized science apps and information http://lunatics.kwsn[...] Lunatics.kwsn.net
[77] 뉴스 "외계 지적 생명체, 그들과의 만남을 고대하며"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09-03-06
[78] 웹인용 BOINCstats http://boincstats.co[...] 2012-04-16
[79] 웹인용 BOINC 웹사이트 다운로드 페이지 http://boinc.berkele[...] 2009-06-09
[80] 웹인용 What is SETI@home Enhanced? http://setiathome.be[...] 2010-01-27
[81] 웹인용 Astropulse FAQ http://setiathome.be[...] 2010-01-27
[82] 웹인용 Optimized Applications and Other Binaries http://setiathome.be[...] 2010-01-30
[83] 웹인용 CPU/ATI GPU hybrid AstroPulse for Windows released http://lunatics.kwsn[...] 2010-01-30
[84] 뉴스 "국내서도 외계 지적생명체 탐사 돌입" http://app.yonhapnew[...] 연합뉴스 2009-01-04
[85] 뉴스 "[천문의 해] <2> 외계 지적생명체 탐색 전파송출 35주년"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9-01-07
[86] 웹인용 "Cels@Home" website http://cels-at-home-[...] 2009-06-08
[87] 웹인용 "POEM@Home website http://boinc.fzk.de/[...] 2016-08-29
[88] 웹사이트 World Community Grid - Home http://www.worldcomm[...]
[89] 웹인용 "BRaTS@Home" website http://maxwell.dhcp.[...] 2007-06-11
[90] 웹인용 "TSP" website http://bob.myisland.[...] 2007-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