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DOLM@STER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HE IDOLM@STER는 765 프로덕션 소속 아이돌을 육성하여 스타로 만드는 육성 시뮬레이션 아케이드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프로듀서가 되어 아마미 하루카, 키사라기 치하야 등 10명의 아이돌을 육성하며, 레슨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아이돌의 능력치를 향상시키고 오디션을 통해 팬을 확보하여 랭크를 올린다. 게임은 아침, 밤의 사무소 활동과 레슨, 오디션, 프로그램 출연 등으로 진행되며, 은퇴 콘서트를 통해 프로듀서 랭크가 결정된다. 아케이드 게임의 성공 이후 Xbox 360으로 이식되었으며, 게임 음악, 드라마 CD, 만화, 소설 등 다양한 파생 상품으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돌을 소재로 한 비디오 게임 - Tokyo 7th 시스터즈
Tokyo 7th 시스터즈는 2034년을 배경으로 아이돌 유닛을 육성하여 새로운 아이돌 시대를 개척하는 여정을 그리는, 모기 신타로 기획 및 Donuts 개발의 리듬 게임 및 아이돌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 아이돌을 소재로 한 비디오 게임 - 앙상블 스타즈!
앙상블 스타즈!는 남자 아이돌 육성을 목표로 하는 사립 유메노사키 학원을 배경으로, 프로듀서가 되어 아이돌들을 프로듀스하고 학생회와의 갈등과 SS 우승을 향한 이야기를 다루는 아이돌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 프린세스 메이커 5
프린세스 메이커 5는 현대 사회를 배경으로 왕족 출신 소녀를 8년간 양육하며, 부모의 직업, 등장인물과의 상호작용, 혁명 세력과의 전투 등을 통해 딸의 능력치를 성장시켜 다양한 엔딩을 맞이하는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 앙상블 스타즈!
앙상블 스타즈!는 남자 아이돌 육성을 목표로 하는 사립 유메노사키 학원을 배경으로, 프로듀서가 되어 아이돌들을 프로듀스하고 학생회와의 갈등과 SS 우승을 향한 이야기를 다루는 아이돌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 아이돌마스터 - THE IDOLM@STER (애니메이션)
THE IDOLM@STER 애니메이션은 A-1 Pictures에서 제작하고 2011년에 방영된 TV 애니메이션으로,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의 게임 THE IDOLM@STER 시리즈를 원작으로, 765 프로덕션 소속 아이돌 후보생들이 일류 아이돌로 성장하는 군상극을 그리고 있으며, 2014년에는 후속편인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개봉되었다. - 아이돌마스터 - 아이돌마스터 플래티넘 스타즈
아이돌마스터 플래티넘 스타즈는 플레이스테이션 4용 아이돌 육성 게임으로, 프로듀서가 되어 아이돌을 육성하고 라이브를 통해 팬을 늘려 프로듀서 랭크를 올리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12주 동안 프로듀스, 라이브, 영업 및 레슨을 진행하고 의상과 유닛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 THE IDOLM@STER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게임 정보 | |
![]() | |
| 제목 | THE iDOLM@STER (아이돌마스터) |
| 개발사 | 메트로 |
| 배급사 | 남코 |
| 디렉터 | 아케이드: 아키히로 이시하라 Xbox 360: 히로유키 오노다 |
| 프로듀서 | 아케이드: 준이치로 코야마 Xbox 360: 요조 사카가미 |
| 시리즈 | The Idolmaster |
| 플랫폼 | 아케이드 엑스박스 360 |
| 장르 | 육성 시뮬레이션 리듬 |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멀티플레이어 |
| 아케이드 시스템 | Namco System 246 |
| 출시일 | |
| Xbox 360 | () |
| 애니메이션 정보 | |
| 캐릭터 디자인 | 쿠보오카 토시유키 |
| 기타 정보 | |
| 아케이드 가동 시기 | 2005년 7월 26일 - 2010년 8월 31일 |
| 인터페이스 | 터치 패널 리라이터블 카드 |
| 기판 | SYSTEM256 |
| 캐릭터 보이스 | 있음 |
2. 게임의 상세
''아이돌마스터''(THE IDOLM@STER)는 플레이어가 765 프로덕션(765 Pro) 소속 프로듀서가 되어 10명의 아이돌을 육성하는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다.[1] 플레이어는 프로듀서로서 아이돌의 능력치(스탯)를 올리고 팬을 확보하여 톱 아이돌을 목표로 경쟁한다.
게임의 기본적인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 스탯: 아이돌의 능력치는 보컬, 댄스, 비주얼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뉜다. 레슨을 통해 이러한 스탯을 올릴 수 있으며, 스탯이 올라감에 따라 아이돌의 전체적인 이미지 레벨도 상승한다.[4]
- 인기 트렌드: 아이돌 보고서를 통해 보컬, 댄스, 비주얼 이미지의 현재 인기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트렌드에 맞춰 아이돌을 프로듀스하는 것이 중요하다.[40]
- 노래 및 의상: 각 아이돌 유닛은 최대 세 곡의 노래를 공연할 수 있으며, 노래와 의상은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다. 노래와 의상은 각각 보컬, 댄스, 비주얼 속성을 가지고 있어 아이돌의 스탯에 영향을 미친다.[40]
- 레슨: 아이돌의 스탯을 향상시키는 5가지 미니 게임 형태의 레슨이 제공된다. 레슨 성과에 따라 아이돌의 능력치가 상승한다.[4]
- 커뮤니케이션: 플레이어는 아이돌과 대화하고 그녀의 대중 노출을 늘리기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대화 중 선택지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결과가 달라지며, 좋은 기억이나 나쁜 기억이 남게 된다.[5]
- 오디션: 아이돌은 오디션을 통해 팬을 확보하고 랭크를 올릴 수 있다. 오디션에서는 심사위원에게 어필하여 점수를 얻어야 하며, 획득한 별의 수에 따라 합격 여부가 결정된다.[6]
- 은퇴: 아이돌 유닛은 특정 조건(예: 특정 시간까지 충분한 팬을 얻지 못하는 경우)을 만족하면 은퇴하게 된다. 랭크가 A 또는 S인 경우, 62주차에 은퇴가 강제된다.[10]
2. 1. 게임의 흐름
ナムコ プロダクション일본어/나무코 프로덕션)의 개성 풍부한 아이돌 후보생 중에서 최대 3명을 선택해, 얼마나 많은 팬에게 지지를 받는 아이돌로 프로듀스할 수 있을까를 겨룬다. 플레이어는 765 프로덕션의 신입 프로듀서[64]가 되어, 네트워크를 이용해 전국 규모의 랭킹을 겨룬다.1유닛에서의 프로듀스 흐름은 다음과 같다.
1. 프로듀스하는 유닛의 멤버를 선택한다.
2. 유닛명을 결정한다. 가나(히라가나·가타카나)와 영숫자, 한자가 입력 가능하다. 사용할 수 있는 한자에 대해서는 공식 사이트를 참조한다.
3. 레슨과 커뮤니케이션을 진행시키거나, 오디션을 받는다. 이 반복으로 팬을 획득해, 아이돌 랭크를 상승시켜 간다.
- 레슨을 받으면, 유닛의 파라미터나 레벨을 올릴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을 실시하면, 후술하는 '추억'이 증가해 오디션만큼 많지는 않지만 팬도 획득할 수 있다.
- 오디션에 합격하면 TV출연이 되어, 각 오디션의 규모에 응한 수의 팬을 획득할 수 있다. 불합격이었던 경우는 약간 팬이 감소하지만, 보기 드물게 불합격에서도 약간 팬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4. 규정 기간 내에 규정 랭크에 도달할 수 없었던 경우, 혹은 일정기간 프로듀스한 다음은 활동 정지가 되어 은퇴 콘서트를 실시한다. 그 후 프로듀스 평가를 산정, 프로듀서 랭크가 변동한다.[70]
1회 플레이에서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1. 플레이 개시 시
- 크레딧 투입과 프로듀서 카드 및 유닛 카드의 읽기를 실시한다. 조작은, 완전한 신규 플레이 시/기존 유닛의 프로듀스 속행 시/신유닛의 프로듀스 개시 시에 각각 다르다.
- 신규 플레이 시는, 크레딧을 투입한 후에 프로듀서명을 결정해 1주째가 멤버 선택, 2주째에 의상 규칙과 작곡가에게의 인사를 실시해, 3주째에 곡선택과 전용 오디션에의 참가라는 3주 분의 플레이가 된다.
- 기존 유닛의 프로듀스 속행 시는, 우선 프로듀서 카드를 삽입해 패스워드를 입력. 그 후 메뉴로부터 '활동 중인 유닛을 프로듀스한다'를 선택해, 계속 실시하는 유닛의 카드를 삽입한다.
- 신유닛의 프로듀스 개시 시는, 메뉴 화면의 표시까지는 기존 유닛과 같지만, 메뉴 표시에 임하여 '새롭게 유닛을 프로듀스한다'를 선택한다. 케이스 내의 유닛 카드를 구입하거나, 소지의 카드 (후술하는 'THE IDOLM@STER MASTERPIECE'시리즈의 초회판 등에 동고되는 리라이터블 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덧붙여 2번째 이후의 유닛의 프로듀스 개시 시는, 1주째에 멤버 선택·곡선택·의상 선택을 모두 실시한다. 단, 프로듀서 랭크가 견습 (첫회 프로듀스 최종 평가가 0점이었던 경우)의 경우는, 신규 플레이와 같이 튜토리얼을 실시한다.
- 프로듀서 카드의 사용 회수가 제한 (50회)에 이른 후의 플레이 개시 시에는, 프로듀서 카드를 읽어들인 후 갱신 처리를 실시한다. 크레딧 투입 후 구카드가 '갱신제'라고 인자되어 배출, 계속되어 신카드가 배출된 이후는 새로운 프로듀서 카드를 이용한다.
2. 플레이 개시 전에 음성의 볼륨이나 출연시의 화면 표시의 ON/OFF를 지정할 수 있다. 출연시 표시를 OFF로 하면 오디션에 합격했을 때의 출연 풍경은 방송되지 않는다.
3. 아침의 인사 후, 필요에 따라서 곡변경 혹은 갈아 입기를 실시해, 레슨 or오디션에 진행된다.
4. 레슨 or오디션의 종료후, 팬수의 변동이 보고되어 1주가 종료. 여기서 컨티뉴의 선택이 가능 (유닛의 활동 종료 시를 제외).
5. 게임 종료 시, 유닛 카드로 프로듀스 상황이 써진 후, 프로듀서 카드로 갈아넣어 프로듀서 상태를 기록하는 것으로 1회의 플레이가 종료. 프로듀서 카드의 사용 회수 제한이나, 후술 하는 휴대 전화 사이트의 '출근부'로 표시되는 출근 회수는 이 단계를 통과한 회수로 계산된다.
여기에서는 통상 (2주째 이후) 아침과 밤에 프로듀서가 실시하는 것에 대하여 말하지만, 프로듀스 개시 직후의 1주째는 아침의 진행이 다르다 (멤버의 선택 등을 실시한 뒤 레슨이나 오디션을 선택하지만, 1주째는 반드시 레슨을 실시하게 된다).
2. 2. 사무소
프로듀서는 통상적으로 2주차부터 아침과 밤에 일정한 업무를 수행한다. 프로듀스 시작 직후 첫 주에는 일반적인 진행 대신 멤버를 선택하고 레슨이나 오디션을 선택하는데, 이때는 반드시 레슨을 받아야 한다.[69]구체적인 내용은 '아침' 및 '밤'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2. 2. 1. 아침
사무실에 출근해 이번 주의 활동 상황을 확인하고, 아이돌에게 인사를 하거나 휴식을 취하게 할 수 있다. 인사에 성공하면 아이돌의 텐션이 올라가지만, 실패하면 떨어진다.[69] 이때 아이돌의 텐션 변화는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지만, 완전히 무작위로 결정된다. 만약 인사를 선택하지 않고 시간이 초과되면, 가장 나쁜 결과가 자동으로 선택된다.[69]휴식을 선택하면 그 주는 바로 끝나고 다음 주로 넘어간다. 2주 연속으로 휴식을 선택하면, 유닛을 은퇴시킬지 결정해야 한다. 은퇴를 선택하면 은퇴 콘서트가 열린다.[69]
그다음, 현재 유행하는 정보, 이미지 레벨, 특별 오디션의 합격 여부를 확인한다. 특별 오디션 합격 상황은 9개의 별 모양으로 표시되는데, 합격한 오디션은 밝게 표시된다.[69]
이어서, 부를 곡이나 의상을 변경할지, 아니면 아무것도 변경하지 않을지 선택한다. 곡과 의상은 동시에 바꿀 수 없다. 곡을 변경하려면 한 번 더 확인을 거쳐야 하며, 한 유닛당 최대 2번까지만 곡을 바꿀 수 있다.[69]
마지막으로, 레슨을 받을지 오디션을 볼지 선택한다.[69]
프로듀스 시작 직후 첫 주에는 위와 같은 일반적인 진행 대신, 멤버를 선택하고 레슨이나 오디션을 고르게 된다. 이때 첫 주에는 무조건 레슨을 받아야 한다.[69]
2. 2. 2. 밤
사무소로 돌아와 아이돌 랭크 보고를 받는다.[69] 팬 수와 순위 변동을 확인하고, 랭크 업 리미트 판정도 이때 받는다.팬으로부터의 선물을 확인하고 1주의 활동을 종료한다.[69] 선물은 의상, 액세서리, 팬 레터, 불행의 편지 중 하나이다. 아무것도 받지 않거나, 한 번에 2개를 받거나,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받는 경우도 있다. 팬 레터는 해당 아이돌의 텐션을 회복시키고, 불행의 편지는 유닛 전원의 텐션을 낮춘다. 팬 레터의 내용은 일반 공모를 통해 선정된 것이다.[69]
2. 3. 레슨
파라미터나 이미지 레벨을 올리기 위해서는 레슨이 필요하며, 다음과 같은 5종류가 있다. 레슨장의 임시 휴업도 있으며, 그 경우 해당 레슨은 선택할 수 없다.[69]- 보이스 레슨: 음악 게임과 비슷한 레슨.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음표 위를 통과하는 바의 움직임에 맞춰, 바가 통과하는 음표와 같은 색의 버튼을 타이밍 좋게 누른다. 바가 음표 중앙에 있을 때 버튼을 누르면 높은 평가를 받는다. 난이도가 올라가면 음표의 수가 최대 10개까지 늘어난다. 보컬 파라미터가 성장하고, 댄스도 약간 성장한다.
- 포즈 레슨: 리허설에서 표시되는 각 카메라의 화살표 방향(4방향)을 기억하고, 무작위로 나타나는 카메라에 대응하는 올바른 방향을 지시하는 레슨. 모든 방향을 빠르게 지시할수록 높은 평가를 받는다. 난이도가 올라가면 카메라의 수가 최대 6개까지 늘어난다. 비주얼 파라미터가 성장하고, 댄스도 약간 성장한다.
- 가사 레슨: 견본 가사를 참고하여, 몇 개의 문자가 바뀐 가사를 올바르게 재배열하는 레슨. 가사는 한 글자마다 블록화되어 배열되며, 공백도 한 글자로 취급한다. 모든 재배열을 빠르게 할수록 높은 평가를 받는다. 난이도가 올라가면 가사의 길이가 길어지고, 재배열하는 문자 수가 늘어난다(최대 2쌍). 보컬 파라미터가 크게 성장한다.
- 댄스 레슨: 견본 발의 방향에 맞춰, 아래쪽에서 회전하고 있는 발의 방향을 올바르게 맞춰 멈추는 레슨. 모든 발을 빠르게 맞출수록 높은 평가를 받는다. 방향을 맞출 때 원의 테두리가 하얗게 빛났을 때 멈추면, 발의 각도가 견본과 약간 달라도 문제 없다. 난이도가 올라가면 회전 속도가 빨라지고, 회전하는 발의 수가 최대 5개까지 늘어난다. 댄스 파라미터가 크게 성장한다.
- 표현력 레슨: 화면 전체에 흩어져 움직이는 바 중에서, 아래의 가사 색과 같은 색의 바를 모두 누르는 레슨. 지시된 색의 모든 바를 빠르게 누를수록 높은 평가를 받는다. 난이도가 올라가면, 지시된 색의 바의 수가 최대 5개까지 늘어나고, 바의 움직임이 빨라진다. 비주얼 파라미터가 크게 성장한다.
1주 동안의 레슨은 통상 6회이며, 듀오나 트리오에서는 처음에 이 6회를 각 멤버에게 할당한다. 텐션(후술)에 따라 멤버별로 레슨 횟수가 변동될 수 있다. 1회마다 평가가 표시되며, 그 평가에 따라 다음 레슨의 난이도가 변화한다. A・B 평가의 경우 난이도가 올라가고, C 평가에서는 변동 없으며, D・E 평가 및 Bad의 경우 난이도가 내려간다. 난이도가 높을수록 파라미터가 늘어나는 양이 많아진다.
또한 조건을 만족하면 커뮤니케이션 후에 보너스 레슨이 발생하여, 통상 레슨과 마찬가지로 레슨을 진행할 수 있다. 1주 동안 2번 레슨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단기간에 파라미터를 크게 늘릴 기회가 된다. 임시 휴업이 아닌 한, 같은 레슨을 2번 연속으로 진행해도 상관없다. 보너스 레슨 발생에 확실한 조건은 없지만, 후술하는 것처럼 커뮤니케이션이 취소된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2. 4. 커뮤니케이션
레슨이 끝나면 아이돌과 대화를 한다. 듀오나 트리오일 경우에는 대화할 캐릭터를 선택한다. 대화 중 아이돌의 질문에 답하거나 얼굴을 닦아주는 등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며, 그 결과에 따라 아이돌이 가진 추억의 수가 달라진다.[69]| 커뮤니케이션 종류 | 오디션용 추억 변화 | 은퇴 콘서트용 추억 변화 | 추가 설명 |
|---|---|---|---|
| 퍼펙트 커뮤니케이션 | 텐션 높음: +5, 텐션 보통 이하: +3 | +4 | |
| 굿 커뮤니케이션 | +2 | +2 | |
| 노멀 커뮤니케이션 | +1 | +1 | |
| 배드 커뮤니케이션 | 변화 없음 | -1 | 텐션이 낮으면 오디션용 추억도 -1 (단, 0 미만으로 감소하지 않음) |
추억은 두 종류가 있는데, 평소에는 오디션용 추억만 텐션 게이지에 표시된다. 은퇴 콘서트용 추억은 은퇴 콘서트 직전에 확인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선택지 중에는 모에 요소나 농담이 섞인 것도 있어서, 정답이 아닌 선택지를 골라 캐릭터의 반응을 즐기는 플레이어도 있다.
텐션이 낮으면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일이 취소되고 대신 두 번째 레슨을 받게 되지만, 보너스 레슨은 받을 수 없다.
2. 5. 오디션
팬을 얻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프로그램 출연을 위한 오디션에 합격해야 한다.[69] 레슨을 통해서도 팬이 약간 증가하지만, 대부분의 팬은 오디션 성적에 따라 결정된다. 오디션 후에는 보너스 레슨이 발생하지 않는다.오디션의 종류, 진행 과정, 채점 방법, 논플레이어 캐릭터(NPC), 프로그램 출연, 은퇴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2. 5. 1. 오디션의 종류
오디션은 크게 랭크 EF 한정 오디션, 전국 오디션, 특별 오디션의 3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69] 각 오디션에는 프로그램 출연 횟수와 팬 획득 인원 수가 설정되어 있다. 프로그램 출연 횟수는 해당 오디션의 승자 횟수이며, 팬 획득 인원 수는 승리 시 획득할 수 있는 팬 인원의 표준값이다.- 랭크 EF 한정 오디션: 랭크 F와 E만 참가할 수 있다. 이미지 레벨에 따른 제한이 있다.
- * 레어 오디션 'NEW BE@T'의 최상위 (획득 인원수 )는 이미지 레벨 제한 없음.
- * 최저 랭크인 'HOP JAM' (획득 인원수 )은 F랭크 한정.
- 전국 오디션: 랭크에 관계없이 참가할 수 있다. 일부 이미지 레벨에 따른 제한이 있다.
- * 제한이 없는 것은 통상 오디션의 최상위 'LOVE LOVE LIVE' (획득 인원수 )
- * 레어 오디션 'IDOL VISION' (획득 인원수는 혹은 ).
- 특별 오디션: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참가할 수 있으며, 한 번 합격하면 이후 같은 오디션에는 참가할 수 없다.
- * 온라인이 아니면 도전하지 못하고, CPU가 섞였을 경우는 강력한 NPC도 등장하는 가혹한 오디션이다.
- * 아이돌 랭크를 B랭크로 하기 위해서는 3개, A랭크로 하기 위해서는 6개 (마스터계를 3개 모두 클리어 하고 그 외에 3개), S랭크로 하기 위해서는 모든 특별 오디션에서 승리해야 한다.
- * 팬 획득 인원 수는 별도 기재가 없는 경우 이다.
- ** '''마스터 계열 특별 오디션''' (참가 조건: 이미지 레벨 8 이상)
'''보컬 마스터''' - 유행 순위: 보컬, 댄스, 비주얼 순으로 고정.
'''댄스 마스터''' - 유행 순위: 댄스, 비주얼, 보컬 순으로 고정.
'''비주얼 마스터''' - 유행 순위: 비주얼, 보컬, 댄스 순으로 고정.
- ** '''가희 낙원''' - 참가 조건: 이미지 레벨 7이상+접수마다 바뀌는 캐릭터 조건 (연령별: 중학생 이하/고등학생 이상, 성격별: 건강계/점잖은/담력 있음). 듀오나 트리오에서는 멤버 중 1명이 해당하면 된다.
- ** '''컬러풀 메모리즈''' - 참가 조건: 추억 15개 이상 (듀오나 트리오에서는 멤버 전원의 합계가 15개 이상). 팬 획득 인원 수 .
- ** '''LONGTIME''' - 참가 조건: 활동주 25주 이상. 팬 획득 인원 수 .
- ** '''루키즈''' - 참가 조건: 활동주 13주 이하. 팬 획득 인원 수 .
- ** '''TOP×TOP''' - 참가 조건: 오디션 무패.
- ** '''HIT-TV''' - 참가 조건: 합격률 70% 이상 + 이미지 레벨 10 이상.
2. 5. 2. 오디션 개시까지
우선 플레이어는 참가하고 싶은 오디션을 선택해 엔트리를 한다. 참가 조건이 있는 오디션에서 조건을 채우지 못하면 엔트리할 수 없고 다시 선택해야 한다. 확인 화면에서 취소하거나 참가 조건을 채우지 못해 튕긴(이미 참가자가 가득 차서 튕긴 횟수는 카운트되지 않는다) 횟수가 3회가 되면, 유닛의 이미지 레벨로 수험 가능한 전국 오디션에 강제적으로 엔트리된다.[69]오디션 확인 화면에서는 다른 참가자를 확인할 수 있다. 내용은 각 유닛의 아이돌 랭크와 과거 5전의 전적 및 수험 시의 유행 이미지(단, 마스터계 오디션을 받았을 때는 그 받은 오디션) 등이다. 엔트리 결정 후에는 접수 시간이 종료될 때까지 어필문을 입력할 수 있다(히라가나, 가타카나, 영숫자와 정형문의 입력을 할 수 있다). 덧붙여 오디션의 테두리 색은 실제로 그 오디션에서 채용되는 유행 1위 이미지이다. 유행이 변동된 직후에는 사장에게 들은 유행 정보와 다른 유행의 오디션이 출현하고 있는 일이 있다.[69]
엔트리 접수 종료 후에는 모든 참가자의 어필문, 유닛 이미지, 이미지 레벨, 기자 상태 등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참가자 6팀 중 플레이어 유닛 중에서 무작위로 1팀이 선택되고(NPC/CPU의 유닛은 절대로 선택되지 않는다), 그중 1명이 대표로 심사위원에게 자세를 말한다. 그 후 각 프로듀서가 한마디씩, 자신이 프로듀스하고 있는 아이돌을 응원하고 심사가 시작된다.[69]
자세 및 응원 시에는 3가지 선택지가 표시되며, 선택에 성공하면 아이돌의 텐션은 오르고, 실패하면 내린다(캐릭터에 따라서는, 자세를 말할 때 선택되지 않는 것으로 텐션이 변동하는 일이 있다). 어느 선택지로 텐션이 오를지는 정해져 있지 않다.[69]
2. 5. 3. NPC
논플레이어 캐릭터(NPC)는 플레이어가 직접 조작하지 않는 캐릭터를 의미한다. THE IDOLM@STER에서는 오디션 참가 인원수가 부족할 때 자동으로 CPU가 참가하는 것 외에, NPC가 대전에 참가하기도 한다. NPC는 레벨이나 랭크가 다양하며, 기자가 붙어있는 유닛도 있다. 주로 특별 오디션에 많이 등장하지만, 전국 오디션이나 EF 랭크 한정 오디션에도 등장한다.플레이어와 NPC를 구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69]
- 프로듀서명과 유닛명의 관련성: NPC는 프로듀서명과 유닛명이 특정 작품이나 설정을 반영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큐어 블랙'의 프로듀서명은 '일요일 8시 반'인데, 이는 애니메이션 '두 사람은 프리큐어'의 방송 시간대이다. '레드 숄더'의 프로듀서명은 '메르키아 X1'인데, 이는 애니메이션 '장갑기병 보톰즈'에 등장하는 부대의 통칭이다.
- 가공의 점포명: NPC는 접속원으로 표시되는 점포명이 고유의 가상 점포로 되어 있다.
- 기자 상태와 전적의 모순: NPC는 고유의 기자 설정이 있기 때문에, 전적과 기자 상태가 모순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전회 순위가 6위인데 유능한 기자가 붙어 있거나, 1위인데 악덕 기자가 붙어 있는 식이다.
- 코멘트에 사용된 한자: 플레이어는 어필 코멘트 입력 시 정해진 한자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형문에 없는 한자가 코멘트에 포함되어 있다면 NPC로 간주할 수 있다.
오프라인 상태에서는 NPC가 엔트리하지 않지만, 온라인에서 엔트리 접수 중 NPC가 참가한 후 회선이 끊겨도 해당 NPC는 그대로 오디션에 참가한다.
2. 5. 4. 오디션 중
오디션 심사는 1곡을 다 부를 때까지 3번 진행되며, 각 유닛은 1번의 심사마다 9번의 어필을 할 수 있다. 어필은 3종류의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하는 통상 어필과, 멤버가 가지고 있는 추억을 사용하여 모든 항목에 일제히 어필하는 추억 어필이 있다.[49]통상 어필은 비주얼, 댄스, 보컬의 3가지 장르에 대응하는 어필 바를 터치하여 수행한다.[50] 2명 이상의 유닛이라면, 어필 시간 내에 복수의 어필 바를 순차적으로 터치하여 복수의 장르에 어필을 할 수 있다. 그 경우, 각 장르에 가산되는 어필 포인트는 동시 어필 수에 따라 1/2 혹은 1/3으로 감소한다(소수점 이하는 올림). 곡의 리듬에 맞춰 타이밍 좋게 어필 바를 터치하면 '''나이스 어필'''이 되어, 더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추억 어필은 화면 중앙에 표시되는 "추억 패널"을 터치하여, 화면 중앙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흘러가는 12개의 패널 중 1개를 터치하여 수행한다. Good 패널을 누르면 '''Good 어필'''이 되어 모든 장르에 어필 포인트가 더해짐과 동시에 모든 심사원의 흥미(후술)가 회복된다. Bad 패널을 누르거나 누르지 않고 넘어가면 '''Bad 어필'''이 되어, 모든 장르의 어필 포인트가 감소함과 동시에 모든 심사원의 흥미가 떨어진다. Good 패널과 Bad 패널의 개수 비율은, 아침 인사 종료 시점에서의 유닛의 텐션에 따라 다르다. 또한, 추억 패널은 텐션 중 또는 높음에서는 Bad 패널이 연속되지 않으며, 텐션 중 또는 낮음에서는 Good 패널이 연속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텐션 중에서는 반드시 Good과 Bad가 번갈아 흘러나온다. 추억 어필에도 앞서 언급한 나이스 어필이 적용되어, 터치한 타이밍에 따라 어필 포인트(Bad의 경우에는 어필 포인트 감점)가 증가한다. 추억 어필은 1번의 오디션 당 최대 3번까지(단, 소지한 추억이 2개 이하면 그 수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가능 횟수는 추억 패널에 표시된다. 2번째, 3번째가 될수록 화면 중앙에 흐르는 패널의 속도가 빨라진다. 복수 인원 유닛에서는 사용할 때마다 멤버 중 가장 많은 추억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추억을 소모한다.
또한 각 심사원에게는 각각 '''흥미'''라는 심사원의 텐션 값이 설정되어 있다. 각 플레이어가 어필을 할 때마다, 해당 장르를 담당하는 심사원의 흥미가 감소해 간다. 오디션 중에 흥미가 0이 된 심사원은 나가 버리고, 그 장르에서의 모든 득점이 무효가 된다. 오디션의 진행에 따라, 각 심사원이 자신의 담당 장르에서의 순위 변동에 대한 코멘트를 할 때도 있으며, 흥미가 일정 값까지 떨어지면 심사에 질린다는 것을 나타내는 코멘트가 표시된다.

유저들 사이에서는, 의도적으로 하나의 장르를 중점적으로 어필하거나 Bad 어필을 하여 심사원의 흥미를 0으로 만들어 나가게 하는, "제노사이드 전법"이라고 불리는 플레이 스타일이 만들어졌다. 이것으로 인해 그 전까지의 심사 경과에서 확실히 졌을 유닛이 상위에 떠오르고, 후술하는 프레시 승리로 승리하는 경우도 있다. 심사원은 2명까지 나갈 수 있다(그 경우, 남은 1명의 흥미 값은 변동하지 않는다).
2. 5. 5. 채점 방법
9회의 어필이 종료될 때마다 (앞서 언급한 특별 오디션 '루키즈'에서는 27회 종료 시) 중간 심사로 각 유닛의 어필 포인트가 집계된다. 각 항목에 대해 다음과 같은 득점 계산이 이루어지며, 화면 하단의 진행 바에 표시된다.[69]- 각 장르별로 어필 포인트 상위 3팀에게 해당 장르의 유행도에 따른 수의 별(☆)이 주어진다(유행 1위가 5점, 2위가 3점, 3위가 2점).
- 어필 포인트가 최하위인 유닛에게는 -1점(앞서 언급한 가희 낙원만 -3점)의 페널티가 주어진다.
이로 인해 1회의 중간 심사에서 얻을 수 있는 점수는 10점 ~ -3점(-9점)이 된다.
이를 3번 반복하여 (루키즈에서는 27회의 어필 종료 후에 심사를 하기 때문에 심사는 1회로 종료) 획득한 별의 수를 집계하여 오디션마다 설정된 인원의 합격자가 발표된다. 순위는 다음 규칙으로 결정된다.
- 획득한 별이 많은 쪽이 상위.
- 획득한 별이 동일할 경우 플레이어의 유닛과 CPU(NPC도 포함)의 유닛 사이에서는 플레이어가 상위. 참고로 CPU나 NPC끼리 동점이 된 경우에는 엔트리 번호가 젊은 쪽이 승리한다.
- 플레이어끼리 동점인 경우에는 유닛의 인원수에 관계없이 활동 주가 적은 쪽이 상위.
- 활동 주가 같고 동점인 플레이어 유닛 사이에서는 유닛의 인원수가 적은 쪽이 상위 (솔로 > 듀엣 > 트리오).
- 동점 · 동인원 · 활동 주도 같은 플레이어 유닛 사이에서는 랜덤으로 결정.
결과 발표 시, 보더라인에 여러 유닛이 존재하고, 동점임에도 불구하고 합격 유닛과 불합격 유닛이 나올 경우, 해당 보더라인상의 유닛 중 어떤 유닛이 두 번째 이후의 조건으로 합격했는지에 대한 코멘트가 나온다. 이 형태로 합격하는 것을 속칭 '프레쉬 승리', 불합격하는 것을 '프레쉬 패배'라고 부른다. 특히 합격 枠이 단 하나뿐인 특별 오디션에서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오디션 종료 후에는 전체 유닛의 득점이 표시된다. 이 때 화면을 터치하면 각 절의 어필 포인트나 순위 표시로 전환된다.
'''어필 포인트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획득한 별의 수로 승패가 결정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극단적인 예로, 쏟아부은 어필 포인트가 1위는 1,350점이고 3위는 100점이었다고 해도, 1위와 3위가 획득하는 별의 수는 같다. 특별 오디션의 HIT-TV 외에는 3위 안에만 들면 별을 받을 수 있으므로, 다른 아이돌보다 능력적으로 다소 밀리더라도, 앞서 언급한 '제노사이드'로 과거 중간 심사에서 떨어진 항목의 심사위원을 돌려보냄으로써 격차를 좁히거나, 동점으로 만들어 '프레쉬 승리'로 역전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것이 이 게임의 재미있는 점이자, 무서운 요소이기도 하다.
유행 순위에 따라 어필의 들어가는 경향을 시작 전에 추측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단순히 그에 따라 어필을 하는 것만으로는 오디션에서 계속 승리하기는 어렵다. 오디션 중의 라이벌들의 어필, 심사위원의 코멘트와 흥미, 자신과 라이벌의 추억에 의한 어필에 따라 상황은 시시각각 변해간다. 프로듀서에게는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임기응변으로 대응하는 솜씨가 요구된다.
2. 5. 6. 프로그램 출연
프로그램 출연은 오디션에 합격한 후 진행된다. 센터 타워에서도 방송되지만, 여러 명이 플레이하는 경우에는 방송되지 않을 수 있다.햅쌀 이상 랭크의 프로듀서는 출연 전 파트 에디트를 할 수 있다.[69] 파트 에디트에서는 노래 가사와 대사의 각 구절을 어떤 멤버가 부를지 선택한다. 여러 멤버가 같은 구절을 부를 수 있지만, 각 구절은 최소 한 명이 불러야 한다. '9:02 pm'처럼 곡에 대사가 있는 경우, 대사 담당 멤버도 지정할 수 있다.
출연 중에는 화면에 나타나는 테두리를 드래그하여 원하는 타이밍에 놓으면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여러 장 찍었을 때는 마지막 사진이 유닛 카드 표면에 인쇄된다. 휴대 전화 사이트 '메모리즈☆플리즈'에서 다운로드하여 배경화면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출연 중에는 다음과 같은 어필/엑시던트 효과가 발생하여 팬 획득 인원 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어필: 화면이 빛나고 멤버가 포즈를 취하며 카메라가 유닛에 접근한다. 획득 인원 수가 증가하는 유일한 효과이다.
- 보컬 엑시던트: 화면이 붉어지며 가사를 잊는다 (보컬이 없는 상태). 가사가 없는 부분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 댄스 엑시던트: 화면이 푸르러지며 전원이 넘어진다.
- 비주얼 엑시던트: 화면이 노래지며 발밑 등에 카메라가 향한다 (얼굴이 화면에 들어오지 않음).
2. 6. 은퇴
활동 중인 유닛이 다음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면 은퇴하게 된다.[69]- 규정 기간까지 랭크업하지 못한 경우.
- 아이돌 랭크가 A랭크 이상으로, 규정 기간(솔로 유닛은 61주, 듀오 및 트리오 유닛은 62주)에 도달한 경우.
- 아침 인사를 할 때 2주 연속 휴식을 취하고, 그 후 강제 해산을 선택한 경우.
은퇴 시에는 '''은퇴 콘서트'''를 열고 해당 유닛은 활동을 종료한다. 은퇴 콘서트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69]
1. '''회장 선택'''
- 은퇴 콘서트를 열 회장을 선택한다. 회장은 총 5곳 중 최종적인 아이돌 랭크에 따라 후보가 2곳 선택되며, 그 중에서 선택한다. 회장과 이미지 레벨에 따라 은퇴 콘서트의 열광도를 나타내는 게이지의 초기값이 결정된다.
2. '''의상・악곡 선택'''
- 의상과 악곡을 선택한다. 악곡은 과거에 해당 유닛이 불렀던 곡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3. '''아이돌과의 대화'''
- 아이돌과의 대화를 나눈다. 듀오나 트리오의 경우 호감도가 가장 높은 1명과의 대화가 된다. 이 대화와 텐션, 그리고 선택한 악곡에 따라 콘서트의 열광도를 나타내는 게이지의 변화율이 결정된다. 또한 은퇴 콘서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추억의 수도 여기서 발표된다.
4. '''콘서트'''
- 콘서트 중 화면 하단에 열광도를 나타내는 게이지가 표시된다. 종료 시 게이지가 일정 값 이상이면 은퇴 콘서트 성공이다. 앞서 언급한 변화율에 따라 열광도가 변화하며, 그동안의 커뮤니케이션 결과에 따른 수의 "추억"을 사용하여 게이지를 늘릴 수 있다. 남은 턴 수와 잔량에 따라 여러 개를 사용하여 룰렛 성공률을 높이는 경우가 있다.
5. '''아이돌과의 대화'''
- 콘서트 종료 후, 아이돌과의 마지막 대화를 나눈다. 이 내용은 회장과 결과에 따라 달라진다. 그 후 은퇴 콘서트까지 포함한 프로듀스의 실적에 따라 프로듀서의 랭크가 변동한다.
참고로 콘서트 회장으로 돔을 선택하고, 열광도 바와 캐릭터의 호감도가 일정 값 이상으로 콘서트에 성공한 경우에는, 마지막에 THE IDOLM@STER의 곡과 함께 스태프 롤이 흐른다.[69]
3. 아이돌에 관해서
아이돌 마스터의 아이돌은 보컬, 댄스, 비주얼의 세 가지 이미지로 나뉘며, 각각의 이미지는 유행에 따라 순위가 주기적으로 변동된다.[69] 프로듀서는 유행에 맞춰 아이돌의 능력치를 조정하고, 레슨, 오디션, 의상 및 액세서리, 곡 선택 등을 통해 아이돌을 성장시켜야 한다.
아이돌의 능력치는 레슨 및 오디션 승리를 통해 성장하며, 의상, 액세서리, 악곡에 따라 보정된다. 반면 매주 아침, 오디션을 보지 않는 경우, 같은 이미지의 곡을 계속 선택하는 경우, 랭크 B 이상에서 오디션에 불합격하는 경우에는 능력치가 감소한다.
각 아이돌은 고유의 텐션을 가지며, 높음, 보통, 낮음의 세 단계로 나뉜다. 텐션은 아이돌의 어필 포인트, 추억 사용 시 성공률, 레슨 및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친다. 프로듀서는 아이돌의 텐션을 항상 주시하며 게임을 진행해야 한다.
프로듀스 가능한 곡은 총 10곡이며, 각 곡마다 보컬, 댄스, 비주얼 이미지가 설정되어 있다. 한 유닛은 최대 3곡까지 선택할 수 있으며, 10주 이상 같은 곡을 유지하면 능력치가 감소한다.
의상과 액세서리는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나, 일부 캐릭터는 변경 시 텐션이 감소할 수 있다. 의상과 액세서리는 능력치 보정 효과를 가지며, 특정 시리즈 액세서리 착용 시 추가 보너스가 있다.
아이돌 랭크는 팬 수에 따라 결정되며, 랭크 B 이상은 특정 수의 특별 오디션 합격이 필요하다. 랭크마다 다음 랭크 승격 기한이 정해져 있다.
오디션 참가자 목록에는 예능 기자가 표시될 수 있다. 민완 기자는 능력치를 일시적으로 상승시키지만, 가십 기자는 저하시키므로 주의해야 한다.
3. 1. 유행 이미지와 파라미터
이 게임에는 유행하는 이미지가 있으며, 다음 3가지 종류의 이미지가 순위별로 주기적으로 바뀐다. 유행이 바뀌면 능력치 조정이 필요하다. 유닛에도 3가지 능력치가 있으며, 이 중 가장 높은 항목이 유닛 이미지가 된다.- 보컬(가창력)
- 댄스(무용 동력)
- 비주얼(외모)
엄밀하게는 성격치라는 것도 존재하지만, 성격치는 캐릭터의 능력 감퇴 경향을 상관적으로 나타내는 정도이므로 의식할 필요는 없다.
이 3가지 능력치는 아래 조건에 따라 변동한다.
- 성장 조건
- 레슨 성적에 따른 성장
- 오디션에 승리했을 때의 성장
- 의상, 액세서리, 악곡의 수정치에 의한 보정
- 유능한 기자의 확보나 각종 부스트에 의한 보정
- 감퇴 조건
- 매주 아침에 미세하게 감퇴한다(프로듀스의 진행도와 캐릭터에 따라 감퇴 경향이 다르다).
- 4주 연속으로 오디션을 보지 않는다(5주 이상 연속한 경우도 1회만. 회복 불가능).
- 같은 이미지의 프로듀스 곡을 연속으로 선택하고, 그 상태로 8주 이상 경과한다.
- 랭크 B 이상에서 오디션 불합격이 된다(Ver1. 30부터 랭크 C 이하의 불합격 감퇴는 없어짐).[69]
- 10주 이상 같은 곡을 부르게 한다.
- 도타캔|취소일본어을 발생시킨다(회복 불가능).
- 의상, 액세서리, 악곡에 의한 보정(의상이나 대부분의 액세서리는 3가지 중 1개의 파라미터에 대한 수정이 마이너스가 된다).
- 악덕 기자가 붙어 있는 것에 의한 보정
능력치는 화면 오른쪽 위에 3색 부채꼴을 조합한 원으로 표시되며, 주 초의 유행 체크 시에는 왼쪽 아래에 크게 표시된다. 이 그래프에서는 각 능력치는 부채꼴의 반지름으로 표시되며, 3가지 중 가장 높은 항목(유닛 이미지가 되는 항목)은 항목명이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각 능력치의 밸런스나 합계치 등에 따라 2(반쪽짜리 아이돌)~16(아이돌 신)까지의 이미지 레벨이 산출된다. 레벨 1(초보 레벨)은 데뷔 전 상태에만 적용되며, 통상시에는 레벨 1로 떨어뜨릴 수 없다.
능력치 표시에서 각 항목은 레슨으로 늘린 기초 능력을 나타내는 어두운 부분과, 곡 이미지, 의상, 액세서리 및 오디션에 합격한 것으로 얻을 수 있는 각각의 보정치를 나타내는 밝은 부분이 존재한다. 어두운 부분은 일정 값까지 성장하면 성장이 멈추며, 해당 유행 파라미터는 레슨을 실시해도 성장하지 않게 된다. 감퇴 시에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어두운 부분이 깎이지만, 레슨을 실시하는 것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각 캐릭터에 파라미터의 상승률이나 감퇴 기간이 붙어 있으며, 15주째의 제1단계와 30주째의 제2단계를 거쳐 감퇴 타입별 보정에 의해 파라미터가 내려간다. 상승률은 높으면 레슨을 했을 때 파라미터가 성장하기 쉬워진다. 감퇴 기간은 늦으면 파라미터의 높이를 유지하는 기간이 길어진다(듀오나 트리오의 경우는 감퇴 기간은 전 멤버 중 가장 불리한 기간이 된다). Ver1. 30에서는 각각의 감퇴 타입의 특성이 강해져, 조숙형은 더욱 감퇴 개시가 빨라지고, 만성형은 더욱 감퇴 개시가 늦어졌다.[69]
| 타입 | 상승률 | 감퇴 기간 | 제1단계 감퇴 | 제2단계 이후 감퇴 | 해당 캐릭터 |
|---|---|---|---|---|---|
| 표준형 | 표준적 | 표준적 | 적음 | 완만 | 아마미 하루카, 미우라 아즈사, 키쿠치 마코토 |
| 조숙형 | 높음 | 빠름 | 심함 | 심함 | 키사라기 치하야, 아키즈키 리츠코, 미나세 이오리 |
| 만성형 | 낮음 | 늦음 | 없음 | 매우 완만 | 하기와라 유키호, 타카츠키 야요이, 후타미 아미·마미 |
3. 2. 텐션
아이돌에게는 각각 텐션이 설정되어 있으며, 높음, 보통, 낮음의 3가지로 나뉜다. 파라미터 그래프의 왼쪽에 있는 하트가 그것을 나타낸다. 텐션은 빨강 또는 보라(높음)・연두(보통)・청록 또는 검정(낮음)의 3색 하트가 겹쳐진 게이지로 표시된다.[69] 또한, 같은 레벨 안에서도 세부적인 값으로 게이지로 표시되며, 이 게이지가 0이 되면 1레벨 텐션이 떨어진다. 대화에 의해 게이지가 MAX가 되어도 하트의 수가 회복되지는 않는다. 단, 휴식을 취하거나, 오디션에 합격하거나, 아이돌 랭크 보고 후에 팬레터가 도착하거나, 아이돌 랭크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텐션 상승은 하트 마크 단위로 회복되고 게이지도 회복된다.또한, 랭킹에 표시되는 "내일의 럭키 프로듀서"나, 휴대폰 사이트 연동 "메일☆플리즈", "전 주에 레슨을 선택하여 레슨・커뮤니케이션・보너스 레슨 모두에서 퍼펙트" 중 하나를 만족했을 경우, 다음 1플레이에 한해 텐션이 보라색 하트 3개(게이지 MAX)로 고정된다.[69] 단, 발동이 활동 종료와 겹쳤을 경우에는 발동하지 않는다. 또한, 앞의 2가지 조건은 온라인이 아니면 발동하지 않는다.
텐션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기본이 되는 것은 텐션 중간 상태이며, 이 때는 추억 사용 시의 룰렛이 Good:Bad=6:6으로 교대로 나타난다.
- 텐션 높음
- 텐션 중간일 때보다 어필 1회당 어필 포인트가 15% 증가한다.[69]
- 추억을 사용할 때 Good의 비율이 높아진다(Good9:Bad3, 원래 Bad가 되는 패널 중 3개가 Good으로 바뀐다).[69]
- 나이스 어필의 접수 시간이 텐션 중간일 때보다 길다.[69]
- 레슨 시에 1회분 땡땡이를 칠 수 있다.[69]
- 커뮤니케이션 결과가 퍼펙트일 경우, 획득할 수 있는 추억의 수가 더욱 증가한다(통상 3개에서 높은 텐션 시 5개로 증가).[69]
- 밤에 팬으로부터의 선물이 도착하지 않을 수 있다.[69]
- 텐션 낮음
- 아침에 아이돌이 사무실에 나타나지 않아 1주가 낭비되고 파라미터나 팬 수가 감소하는 "약속 불이행"이 발생할 수 있다. 단, 유키호는 텐션 중간일 때도 약속 불이행이 발생할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발생 확률이 다른 캐릭터보다 낮다.[69]
- 텐션 중간일 때보다 1회당 어필 포인트가 10% 감소한다.[69]
- 추억을 사용할 때 Bad의 비율이 높아진다(Good3:Bad9, 원래 Good 패널 중 3개가 Bad로 바뀐다).[69]
- 나이스 어필의 접수 시간이 텐션 중간일 때보다 짧다.[69]
- 레슨 후 커뮤니케이션이 발생하지 않고 빈 시간에 레슨을 하는 경우가 있다.[69]
- 레슨 종료 후 아이돌 쪽에서 추가 레슨을 신청하는 경우가 있어, 레슨 횟수가 증가할 수 있다.[69]
- 커뮤니케이션 결과가 배드일 경우 추억이 감소한다.[69]
- 밤에 팬으로부터의 선물이 도착한 후에 "이번 주는 더욱 선물이 있습니다"라고 표시되며 두 번째 선물이 도착할 수 있다. 단, 선물이 2개 도착하는 경우 첫 번째 선물에 팬레터 및 불행의 편지가 오지 않으며, 두 번째 선물에 불행의 편지가 오는 일도 없다.[69]
각 멤버의 텐션 레벨이 다른 상태로 듀오나 트리오 유닛을 구성할 경우, 추억을 사용할 때 Good:Bad의 비율이 바뀔 수 있다.[69]
이상의 내용으로 보아 텐션을 항상 의식하며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3. 3. 프로듀스곡
본작에서는 아이돌이 부르는 10가지 곡이 준비되어 있다. 각 곡에는 이미지가 설정되어 있으며, 한 유닛을 프로듀스하는 동안 3곡까지 선택할 수 있다. 곡은 10주 정도 지나면 세상에 질려 아이돌의 파라미터가 감소한다. 그래도 변경하지 않으면 13주째에 유닛으로부터 충고가 발생한다. 그 후에도 파라미터가 계속 감소하며, 최종적으로는 1주마다 해당 곡의 이미지 파라미터가 감소한다. 곡을 바꾸면 파라미터 감소가 멈추지만, 같은 이미지의 곡을 선택하면 페널티로 파라미터가 더 감소한다.[69]각 캐릭터마다 특정 곡을 선택하면 다른 곡보다 파라미터가 높아지는 곡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오디션 시 어필 타이밍은 선택한 곡의 BPM에 영향을 받는다.[69]
등장하는 곡과 이미지는 다음과 같다.[69]
| 이미지 | 곡명 | 작사 | 작곡 |
|---|---|---|---|
| 보컬 이미지 | 태양의 질투 | 모리 유리코 | 시이나 고 |
| 푸른 새 | 모리 유리코 | 시이나 고 | |
| 마법을 걸어줘! | 고우사키 사토루 | ||
| 9:02pm | yura | Jesahm | |
| 댄스 이미지 | THE IDOLM@STER | 나카무라 메구미 | 사사키 히로토 |
| First Stage | 나카무라 메구미 | 사사키 히로토 | |
| 에이전트 밤을 걷다 | LindaAl-CUE | ||
| 비주얼 이미지 | 안녕!! 아침밥 | 나카무라 메구미 | 사사키 히로토 |
| Here we go!! | yura | Jesahm | |
| 긍정적! | mft | 나카가와 코지 | |
3. 4. 의상과 액세서리
의상은 횟수 제한 없이 변경할 수 있다. 단, 캐릭터에 따라 의상 변경 시 텐션이 내려가 자주 변경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69] 의상은 기본 옷과 머리, 몸, 손, 발 4가지 액세서리로 구성되며, 각각 파라미터 변화량이 설정되어 있다.[69] 대부분의 액세서리는 2가지 항목을 올리고 1가지 항목을 내리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옷과 액세서리 자체에도 가장 성장하는 파라미터 항목에 따른 이미지 설정이 되어 있다.[69]옷과 액세서리는 매주 활동 종료 시에 도착하는 선물로 받을 수 있다. 액세서리는 휴대 전화용 사이트에서 포인트와 교환하여 얻을 수도 있다.[69] 일부 액세서리는 입수 확률이 낮은 희귀 아이템이거나, 특별 오디션에서 승리해야만 얻을 수 있다.[69]
같은 이름을 가진 2~4 부위의 액세서리 시리즈를 여러 개 장착하면 장착 수에 따른 보너스를 받을 수 있다.[69] 같은 부위에 여러 아이템이 있는 시리즈도 있다.[69]
3. 5. 아이돌 랭크
아이돌 랭크는 팬 수에 따라 정해진다. 단, 랭크 B 이상은 특정 수의 특별 오디션에 합격해야 한다. 또한 랭크마다 다음 랭크로 올라갈 수 있는 기한이 정해져 있다. 아래는 솔로 기준이며, 듀오나 트리오는 인원수에 따라 기한이 늘어난다.[69]| 랭크 | 팬 수 | 특별 오디션 합격 조건 | 승격 기한 |
|---|---|---|---|
| 랭크 외 | 해당 없음 | 첫 플레이 튜토리얼 종료까지 (3주차 종료 시 F 랭크로 자동 승격) | |
| 랭크 F | 1만 명 미만 | 없음 | 13주 종료까지 |
| 랭크 E | 1만 명 이상 | 없음 | 23주 종료까지 |
| 랭크 D | 10만 명 이상 | 없음 | 33주 종료까지 |
| 랭크 C | 30만 명 이상 | 없음 | 46주 종료까지 |
| 랭크 B | 70만 명 이상 | 3개 이상 | 56주 종료까지 |
| 랭크 A | 100만 명 이상 | 6개 이상, 마스터 계열 전부 제패 | 61~62주에 프로듀스 종료 |
| 랭크 S | 150만 명 이상 | 9종 전부 합격 | 61~62주에 프로듀스 종료 |
3. 6. 예능 기자
본작에는 2종류의 예능 기자가 등장한다. 기자의 유무는 오디션 참가자 일람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NPC의 경우, NPC마다 붙어 있는 기자가 설정되어 있으며(예를 들어 '패왕 엔젤'은 민완 기자, '레드 숄더'는 가십 기자), NPC에 관해서는 과거의 전력과 관계없이 붙어 있는 기자는 고정되어 있다.[69]; 민완 기자
: 푸른 실루엣의 기자. 민완 기자가 있는 오디션에서 1위를 하면 자신의 유닛을 특별 취재해 준다. 그 사이에는 파라미터가 일시적으로 상승한다. 3주 활동하거나, 오디션에서 1위 이외의 결과가 나오면 사라진다.[69]
; 가십 (악덕) 기자
: 붉은 실루엣의 기자. 가십 기자가 있는 오디션에서 낙선하면 자신의 유닛이 스토킹당한다. 그 사이에는 파라미터가 일시적으로 저하된다. 3주 활동하거나, 오디션에서 승리하면 사라진다.[69]
: 패배하면 반드시 붙는 것은 아니며, 동시에 낙선한 다른 플레이어의 유닛에 붙는 경우나, 플레이어 유닛이 1개뿐일 때 패배해도 붙지 않는 경우가 있다. 단, 낙선 유닛 간에 가십 기자가 붙는 확률은 각 유닛의 아이돌 랭크와 관련되어 있다.[69]
4. 플레이어에 관한 데이터
이 게임에서는 프로듀서 카드와 유닛 카드, 두 종류의 카드를 사용한다.[69] 카드는 일반적으로 본체에서 발행되며, 표면은 열에 의해 파란색 또는 투명하게 변하는 감열 잉크로 다시 쓸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카드 오른쪽 하단에 표시된 ID는 같은 플레이어의 카드라면 프로듀서, 유닛에 관계없이 동일하며, 이를 통해 플레이어 확인 및 휴대 전화 사이트 연동 시 데이터 관리를 수행한다.
2010년 3월 4일에는 같은 해 3월 1일에 플레이한 카드에서 프로듀서 카드 데이터의 최종 플레이 날짜가 2004년 11월 1일이 되거나, 3월 2일 이후의 플레이에서도 정상적으로 반영되지 않는 오류가 발생했다. 반다이 남코 게임스는 2010년 3월 1일에 플레이했던 유저를 대상으로 프로듀서 카드를 교환하는 조치를 취했다.
전국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데이터는 매일 심야에 집계되어 타워에 랭킹으로 표시되며, 휴대 전화 사이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랭킹 우선순위는 랭크 > 팬 수이므로, 랭크 A의 200만 명보다 랭크 S의 150만 명이 더 높은 순위가 된다. '전당 입성 아이돌 랭킹', '유명 프로듀서 랭킹' 외에는 과거 15일간 플레이된 유닛이 집계 대상이다.[69]
휴대폰 사이트 '아이돌마스터'는 소프트뱅크, NTT 도코모, au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일부 기종 제한 있음), 월정액 315엔(일부 무료)이다. i모드용 사이트는 2009년 7월 23일에 리뉴얼되어 월정액 무료 코스와 525엔 코스가 추가되었다. 리뉴얼 전 사이트(아케이드 연동)와 리뉴얼 후 사이트(아이돌마스터 모바일)는 URL이 다르므로, 즐겨찾기를 그대로 해두면 리뉴얼 전 사이트에 접속하게 된다.[69]
회원으로 등록하면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69]
- 해프닝☆로케: 액세서리와 교환할 수 있는 포인트[71]를 획득할 수 있다.
- 메일☆플리즈: 아이돌들로부터 휴대폰으로 메일을 받을 수 있다.
- 메모리즈☆플리즈: 출연 당시 사진을 배경 화면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 액세서리 숍: 모은 포인트[71]로 '휴대폰 액세서리'(배경 화면)나 '아케이드용 액세서리'와 교환할 수 있다.
- 아케이드 연동: 현재 상태와 아케이드판 전국 랭킹을 확인할 수 있다.
- 사무소: 프로듀서(플레이어)끼리 팀을 결성할 수 있다.
- 출근부: 프로듀서(플레이어)가 지금까지 어느 점포에서 플레이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점포별 누계 및 전월·당월 플레이 횟수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 기능을 이용하여 2006년 3월 중순부터 4월 말까지 남코 직영점에서의 총 플레이 횟수에 따른 선물 캠페인이 진행되었다.
- 미니 게임(도코모 한정): 2006년 3월 23일 현재, '아즈사의 오미쿠지', '치하야의 리버시', '마코토의 INLINE SKATER', '야요이의 비 조심보', '유키호의 위로 타이핑'이 배포되고 있다.
2008년 3월에는 휴대폰 사이트에서의 표시가 일부 변경되어 과거에 프로듀스했던 유닛의 최종 스테이터스도 참조할 수 있게 되었다.
4. 1. 프로듀서 랭크
프로듀서에게는 랭크가 부여되며, 은퇴 콘서트를 마친 결과에 따라 변동된다.[69] 프로듀서 랭크의 종류와 프로듀스 가능 인원 수는 다음과 같다.| 랭크 | 프로듀스 가능 인원 수 | 비고 |
|---|---|---|
| 견습 프로듀서 | 1명 | |
| 신출내기 프로듀서 | 2명 | 듀오 유닛 편성 가능 |
| 햅쌀 프로듀서 | 3명 | 파트 에디트 가능 |
| 보통 프로듀서 | 4명 | |
| 중견 프로듀서 | 5명 | 트리오 유닛 편성 가능 |
| 민완 프로듀서 | 6명 | |
| 인기인 프로듀서 | 7명 | |
| 초인기인 프로듀서 | 8명 | |
| 아이돌마스터 | 9명 |
은퇴 콘서트를 마쳤을 때 산출되는 평가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최종적인 이미지 레벨
- 최종적인 팬 획득 인원 순위 (오프라인에서는 갱신되지 않음. 활동 시작부터 종료까지 모두 오프라인으로 플레이한 경우에는 999만 9999위로 간주)
- 오디션 전적 (특별 오디션 승리 수 포함)
- 최종 아이돌 랭크
- 아이돌의 호감도
이렇게 산출된 평가와 현재 프로듀서 랭크에 따라, 이번 프로듀스에서 프로듀서 랭크가 어떻게 변동될지가 결정된다. 민완 프로듀서 이상의 랭크에서는 최종 성적이 좋지 않으면 1~2 랭크 하락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변동 후의 프로듀서 랭크가 견습이었을 경우 (버전 1.01까지 은퇴 콘서트를 진행한 P 카드에 한함), 다음 프로듀스에서도 처음 3주는 튜토리얼이 된다.
4. 2. 카드의 종류
이 게임에서는 프로듀서 카드와 유닛 카드, 두 종류의 카드를 사용한다.[69] 카드는 일반적으로 본체에서 발행되며, 표면은 열에 의해 파란색 또는 투명하게 변하는 감열 잉크로 다시 쓸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카드 오른쪽 하단에 표시된 ID는 같은 플레이어의 카드라면 프로듀서, 유닛에 관계없이 동일하며, 이를 통해 플레이어 확인 및 휴대 전화 사이트 연동 시 데이터 관리를 수행한다.- 프로듀서 카드: 프로듀서의 정보를 기억한다. 카드 오른쪽 위에 "P"로 표시되어 있다.
- 오른쪽 상단: 프로듀서 랭크와 이름
- 왼쪽 하단: 카드 갱신까지의 플레이 횟수 (0~50회)
- 중앙: 프로듀스 상황 (현재 프로듀스 중인 멤버와 남은 프로듀스 가능 인원 수)
- 하단: 액세서리 소유 수와 ID
- 유닛 카드: 아이돌(유닛)의 정보를 기억하며, 각 아이돌(유닛)마다 1장씩 사용한다. 카드 좌측 상단에 "U"라고 표시되어 있다.
- 오른쪽 상단: 프로듀서와 유닛명
- 왼쪽 하단: 현재 아이돌 랭크
- 오른쪽 하단: 활동 주 수와 현재 팬 인원 수, ID
- 중앙: 현재 곡과 얼굴 사진 (최근 프로그램 출연 시 마지막에 촬영된 사진 반영)
4. 2. 1. 랭킹
전국의 플레이어들의 플레이 데이터는 매일 심야에 집계되어 타워에 랭킹으로 표시된다. 보컬 마스터, 댄스 마스터, 비주얼 마스터는 발표 때마다 10팀씩 타워에서 영상이 표시되며, 그 외는 목록으로 표시된다. 휴대 전화 사이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69]랭킹의 우선 순위는 랭크 > 팬 수이므로, 랭크 A의 200만 명보다 랭크 S의 150만 명이 더 높은 순위가 된다. '전당 입성 아이돌 랭킹', '유명 프로듀서 랭킹' 이외에는 과거 15일간 플레이된 유닛이 집계 대상이다.[69]
| 종류 | 설명 | 순위 |
|---|---|---|
| 인기 랭킹 | 현재 활동하고 있는 유닛의 팬 수 랭킹 | 1~100위 |
| 보컬 마스터 | 보컬 이미지 유닛(가장 성장한 파라미터가 보컬)의 팬 수 랭킹 | 1~20위 |
| 댄스 마스터 | 댄스 이미지 유닛의 팬 수 랭킹 | 1~20위 |
| 비주얼 마스터 | 비주얼 이미지 유닛의 팬 수 랭킹 | 1~20위 |
| 유명 프로듀서 랭킹 | 각 프로듀서(플레이어)의 유닛 누계 팬 수 랭킹 (10억 명 초과 시 카운터 스톱) | 1~100위 |
| 전당 입성 아이돌 랭킹 | A랭크 이상으로 해산, 은퇴한 유닛의 최종 획득 팬 수 랭킹 | 1~100위 |
| 사무소 랭킹 | 휴대 사이트에서 설립한 사무소의 총 팬 수 랭킹 | 1~100위 |
| 아이돌별 랭킹 | 각 캐릭터의 솔로 한정 팬 수 랭킹 | 1~100위 |
| 내일의 럭키 프로듀서 | 하루 최대 30개 유닛 선정. 다음 날 플레이 시 1주간 파라미터 UP + 텐션 MAX 고정 효과 (발동 기간은 발표일 다음날 0시~23시 59분) | - |
4. 3. 휴대 사이트
휴대폰 사이트 '아이돌마스터'는 소프트뱅크, NTT 도코모, au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일부 기종 제한 있음), 월정액 315엔(일부 무료)이다. i모드용 사이트는 2009년 7월 23일에 리뉴얼되어 월정액 무료 코스와 525엔 코스가 추가되었다. 리뉴얼 전 사이트(아케이드 연동)와 리뉴얼 후 사이트(아이돌마스터 모바일)는 URL이 다르므로, 즐겨찾기를 그대로 해두면 리뉴얼 전 사이트에 접속하게 된다.회원으로 등록하면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해프닝☆로케''': 액세서리와 교환할 수 있는 포인트[71]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조)
- '''메일☆플리즈''': 아이돌들로부터 휴대폰으로 메일을 받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조)
- '''메모리즈☆플리즈''': 출연 당시 사진을 배경 화면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조)
- '''액세서리 숍''': 모은 포인트[71]로 '휴대폰 액세서리'(배경 화면)나 '아케이드용 액세서리'와 교환할 수 있다.
- '''아케이드 연동''': 현재 상태와 아케이드판 전국 랭킹을 확인할 수 있다.
- '''사무소''': 프로듀서(플레이어)끼리 팀을 결성할 수 있다.
- '''출근부''': 프로듀서(플레이어)가 지금까지 어느 점포에서 플레이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점포별 누계 및 전월·당월 플레이 횟수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 기능을 이용하여 2006년 3월 중순부터 4월 말까지 남코 직영점에서의 총 플레이 횟수에 따른 선물 캠페인이 진행되었다.
- '''미니 게임'''(도코모 한정): 2006년 3월 23일 현재, '아즈사의 오미쿠지', '치하야의 리버시', '마코토의 INLINE SKATER', '야요이의 비 조심보', '유키호의 위로 타이핑'이 배포되고 있다.
2008년 3월에는 휴대폰 사이트에서의 표시가 일부 변경되어 과거에 프로듀스했던 유닛의 최종 스테이터스도 참조할 수 있게 되었다.
4. 3. 1. 해프닝☆로케
소프트뱅크 모바일, NTT 도코모, au 휴대폰 기종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이다. (일부 기종 제한 있음) 회원 등록 시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71]주사위 어드벤처 게임 방식으로, 클리어 시 획득하는 시청률에 따라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월 최대 200p) 도코모, 소프트뱅크는 모든 기종, au는 일부 BREW 대응 기종에서 휴대폰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된다. (미지원 기종은 기능이 일부 축소된 웹 버전으로 플레이 가능)
다음은 출시된 지역별 게임 목록이다.
| 출시일 | 게임 제목 |
|---|---|
| 2005년 7월 | 교토 여행 하루카 편 |
| 2005년 8월 | 오카야마 여행 치하야 편 |
| 2005년 9월 | 나고야 여행 아즈사 편 |
| 2005년 11월 | 후쿠오카 여행 아미·마미 편 |
| 2006년 1월 | 요코하마 여행 이오리 편 |
| 2006년 4월 | 오키나와 여행 마코토 편 |
| 2006년 5월 | 도쿄 여행 리츠코 편 |
| 2006년 6월 | 홋카이도 여행 유키호 편 |
| 2006년 8월 | 오사카·고베 여행 야요이 편 |
4. 3. 2. 메일☆플리즈
사이트의 아케이드 연동으로 카드를 등록하고 휴대 전화의 메일 주소를 관련지으면, 때때로 다음의 메일이 도착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등록 답례 메일 - 주소 등록 시에, 프로듀스 중인 아이돌로부터 온다 (아무도 프로듀스하고 있지 않을 때는 오지 않는다).
- 자세 메일 - 유닛을 새롭게 프로듀스 개시한 후에 온다. 부스트 메일의 특성이 있다.
- 일상 메일 - 멤버가 각자의 일상생활의 풍경을 메일로 보내 온다.
- 부스트 메일 - 일시의 지정이 있어, 그 기간 중에 플레이를 개시하면 1주만 텐션이 MAX로 고정이 되어 파라미터도 약간 올라간다. 순수한 부스트 메일은 방치되어 곤란해 하고 있는 타입의 내용이지만, 그 외에 일부의 연동 메일이나 프로듀스 개시 시의 자세 메일, 오디션 패전 시의 감상 메일에도 설정되어 있다.
- 연동 메일 - 일부 커뮤니케이션의 내용과 결과에 연동한 메일이 온다. 일부에는 부스트 메일의 특성이 있다.
- 오디션 감상 메일 - 오디션의 결과 (합격·불합격)에 따른 메일이 온다. 불합격의 경우는 일시 지정이 있어, 이것도 또 부스트 메일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 은퇴 후 메일 - 프로듀스 종료 후의 유닛의 멤버 (야요이를 제외)로부터, 활동 중을 되돌아 보는 코멘트의 메일이 온다.
- 실수 메일 - 프로듀스하고 있지 않은 아이돌 (야요이를 제외)로부터 도착하는 실수의 메일. 프로듀스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아이돌 후보생들의 일상을 엿볼 수 있다. 덧붙여 이 메일은 기본적으로 (일부 예외 있음) 건명이 'Re: ~'가 되고 있어 친구 등으로부터의 메일에의 답신이 되고 있다.
각 아이돌에게는 개별 메일 주소와 부스트 메일에서의 시간대 조건 (시간대의 길이나 전날에 보낼지 당일에 보낼지 등)이 설정되어 있다. 또, 부스트 메일로 지정되는 시간대는 카드를 등록할 때에 묻는 '주로 플레이하는 시간대'가 영향을 주고 있다.
야요이가 은퇴 후 메일이나 실수 메일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개인 휴대 전화를 가지지 않고 프로듀스 기간 중에 대출받고 있다는 설정 때문이다.
4. 3. 3. 메모리즈☆플리즈
아케이드에서 텔레비전 출연을 완수했을 때 촬영한 화상을 대기 화면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과거 30매분이 보존되어 있으며, 때때로 공식 사이트 내의 상품 숍에서 플레이어마다 그러한 사진을 수록한 앨범 판매를 했다 (2006년 9월분까지는 희망자 중에서 추첨). 2006년 3월에는 같은 시스템으로 플레이어로부터 사진을 모집해, 365일 각각 게재된 2006년도 분의 캘린더가 발매되었다.5. 등장인물
765 프로덕션 소속 아이돌을 비롯한 등장인물에 대해서는 THE IDOLM@STER의 등장인물 항목을 참조.
6. 공식대회 '슈퍼 프로듀서 토너먼트'
2005년 12월 15일 10시부터 2006년 1월 15일 23시 59분까지 남코(현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가 주최한 유일한 공식 대회였다. 대회 규칙은 다음과 같았다.
- 기간 내에 새 유닛을 만들어, 기간 내 은퇴까지 플레이해야 한다.
- 휴대폰 공식 사이트에서 참가 신청을 해야 한다.
- 프로듀스 곡은 1곡으로 한정하며, 게임 중 곡을 변경할 수 없었다. 프로듀스 대상 곡은 'THE IDOLM@STER'를 제외한 9곡이었다.
- 특별 오디션 '보컬 마스터', '댄스 마스터', '비주얼 마스터' 중 하나 이상 합격해야 한다.
- 은퇴 시점의 팬 수에 프로듀서 랭크 및 아이돌별 보정을 더해 순위를 결정했다.
위 조건을 만족한 유닛을 대상으로 각 곡별 랭킹을 집계, 최종 순위 상위 10명 중 남코와 컬럼비아(Columbia)가 심사하여 각 곡당 1명(총 9명)을 'CD 프로듀서'로 선출, MASTERPIECE 04에 해당 유닛의 곡을 수록했다. CD 프로듀서를 제외한 참가자 중 50명을 '소책자 사진 프로듀서'로 선출하여 CD 소책자에 유닛 사진을 게재했다.
견습 프로듀서나 만성형 캐릭터에게 큰 보너스 포인트(핸디캡)를 주는 등, 견습 솔로 우대책을 마련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입상한 솔로 유닛(곡별 1위 포함)이 한 명도 선발되지 않았다. 또한 곡별 1위 유닛, 과거 부정행위로 아이돌 마스터 칭호를 획득한 프로듀서가 선발되는 등 일부 참가자들의 비판이 있었다.[1]
7. 파생 기획
아케이드 게임의 성공을 바탕으로, THE IDOLM@STER는 다양한 상품, 이벤트, 미디어 믹스로 파생 및 재창조되었다.
- '''가정용 콘솔 게임''' : 마이크로소프트의 Xbox 360용 게임으로 2007년 1월 25일 발매되었다. 이후 인기작을 염가판으로 내놓는 《Xbox 360 플라니타 콜렉션》으로 2007년 11월 1일에 다시 발매되었다.
- '''음반 및 드라마 CD''' : 게임 속 음악을 모은 OST 음반 CD 《THE IDOLM@STER MASTERPIECE》, THE IDOLM@STER MASTER BOX와 드라마 CD THE IDOLM@STER 드라마 CD Scene 시리즈등이 발매되었다.
- '''만화 및 소설''' : 이치진샤에서 코믹 앤솔로지, FOX 출판에서 앤솔로지 코믹, 엔터 브레인에서 컨셉 코믹 온/오프등이 만화책으로 출판되었고, 패미통 문고에서 소설이 출간되었다.
- '''애니메이션''' : 선라이즈에서 TVA 《아이돌마스터 XENOGLOSSIA》를 제작하여 2007년에 방영하였다. (아케이드판 원안, XBOX360판은 배제)
- '''공식 게임 대회''' : 2005년 12월 15일부터 2006년 1월 15일까지 반다이 남코가 주최한 공식 대회 '슈퍼 프로듀스 토너먼트'가 개최되었다.
- '''기타''' : 라디오 토크쇼, 라디오 CD, 기획 CD, 공연영상 DVD, 캐릭터 인형, 잡지 연재, 게임 캐릭터 정보 책자 등 다양한 상품이 출시되었다.
이러한 파생 기획들을 통해 각 아이돌 캐릭터는 현실의 아이돌 가수 못지않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반다이 남코 게임스와 미츠이 스미토모 VISA 카드가 협력하여 2008년 11월 17일부터 아이마스 VISA 카드 접수를 시작했다.[73]
'''바나 패스포트 카드'''
| 카드 종류 | 설명 |
|---|---|
| 태고의 달인×아이돌마스터 | 태고의 달인 Wii 결정판을 로손에서 예약하면 얻을 수 있는 카드. 디자인은 태고의 달인에 준거한다. |
| 아이마스 Edy 카드 | 바나 패스포트 카드로는 처음으로 Edy 기능이 부가된 하이브리드 사양이다. 도쿄 게임 쇼 2011에서 선행 판매되었다. |
| 쿠레나 2 퀸 아이돌마스터 ver. 가동 기념 카드 | 남코의 크레인 게임 기기 "쿠레나 2 퀸"에 아이돌과 그 사인이 그려진 버전의 가동에 맞춰 판매하는 카드로, 각 아이돌에 맞춰 총 12종류가 있다. 의상은 동일 기기에 그려진 일러스트와 같다. 기본적으로 이 기기가 가동되는 게임 센터에서 입수할 수 있다. |
| 아이돌마스터 10주년 기념 카드 | 2015년 후반부터 2016년 초반까지 판매되었으며 1탄부터 3탄까지 있다. |
대한민국에서는 2017년 4월 28일부터 드라마 아이돌마스터.KR - 꿈을 드림이 방영되고 있다.
7. 1. CD
의 CD는 크게 사운드 트랙 CD와 드라마 CD로 나뉜다. 사운드 트랙 CD는 게임에 사용된 음악을, 드라마 CD는 아이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사운드 트랙 CD로는 THE IDOLM@STER MASTERPIECE, THE IDOLM@STER MASTER BOX가 대표적이다.[72][51] 드라마 CD는 THE IDOLM@STER 드라마 CD Scene 시리즈가 있으며, 각 편마다 다른 아이돌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다양한 이야기를 펼친다.
7. 1. 1. 사운드 트랙 CD
; THE IDOLM@STER MASTERPIECE: 2005년 9월 28일에 발매된 CD 시리즈이다.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케이드판의 악곡(10곡)의 풀 버전과 게임 내에서 사용된 BGM을 수록하고 있다.
; THE IDOLM@STER MASTER BOX
: 2006년 7월 19일에 발매된 3장 구성의 CD BOX이다. 아케이드판의 각 악곡(10곡)의 전 캐릭터(9명) 분의 솔로 버전 및 반주가 수록되어 있다. 외부 BOX에는 시리얼 넘버가 기입되어 있다. 7650개 한정 생산된 통상판[72][51] 외에, 1st ANNIVERSARY LIVE 회장에서 765개 한정으로 발매된 「060723 버전」이 존재한다.
7. 1. 2. 드라마 CD
사운드 트랙 외에 드라마 CD도 발매되었다. 드라마 CD Scene. 01~04의 첫회분에는 우편 엽서가, 05~06의 첫회분에는 리라이터블 카드가 부속되었다.; THE IDOLM@STER 드라마 CD Scene. 01~하기와라 유키호&키쿠치 마코토편~
: 2005년 12월 22일 발매. 유키호와 마코토가 주역으로, 두 명이 765 프로에 들어갔을 때의 이야기이다. 01~04에는 보너스 트랙으로 '아이돌 후보생이 무엇인가의 직업에 분장한다'라는 코너가 있다. 01은 '만약 유키호가 엘리베이터 걸이라면', '만약 마코토가 미술 선생님이라면'이다.
; THE IDOLM@STER 드라마 CD Scene. 02~키사라기 치하야&타카츠키 야요이 편~
: 2006년 2월 24일 발매. 치하야와 야요이가 주역이다. 동시기에 765프로에 들어간 치하야와 야요이는 각각 다른 레슨을 받아 오디션에 도전하게 된다. 보너스 트랙은 '만약 치하야가 초밥 직공이라면', '만약 야요이가 대기업의 사장이라면'이다.
; THE IDOLM@STER 드라마 CD Scene. 03~아마미 하루카&아키즈키 리츠코&미나세 이오리편~
: 2006년 3월 24일 발매. 하루카, 리츠코, 이오리가 퍼스낼러티를 맡는 프로그램에 아야라고 자칭하는 소녀가 리퀘스트를 해 온다. 나를 잡아 보라는 아야를 둘러싸고 시부야에서 술래잡기가 시작된다. 보너스 트랙은 '만약 하루카가 놀라운 솜씨의 형사라면', '만약 리츠코가 택시 드라이버라면', '만약 이오리가 성냥팔이 소녀라면'의 3편이다.
; THE IDOLM@STER 드라마 CD Scene. 04~미우라 아즈사&후타미 아미·마미편~
: 2006년 4월 21일 발매. 사장의 명령으로 유닛을 짜게 된 아즈사와 아미·마미. 팬층도 방향성도 전혀 다른 2명 (3명)을 어떻게 브레이크 시키면 좋은 것인가? 오토나시 코토리 첫 출연. 보너스 트랙은 '만약 아즈사가 의사라면', '만약 아미 마미가 영주라면'이다.
; THE IDOLM@STER 드라마 CD Scene. 05 EXTRA STAGE 1
: 2006년 6월 23일 발매. 온천편과 하루 소장편의 2화가 수록되어 있다. 드라마 CD에서는 처음으로 오리지널 그림이 커버에 사용되었다. (게스트: 아키모토양개, 츠쿠이 교생, 와카모토 노리오)
; THE IDOLM@STER 드라마 CD Scene. 06 EXTRA STAGE 2
: 2006년 7월 21일 발매. 무인도편과 메이드 카페편의 2화가 수록되어 있다.
7. 2. 서적
THE IDOLM@STER 관련 서적은 다음과 같다.- 무크
- * 프리미엄 킷: 2005년 8월 발매. CD 사이즈 소책자와 리라이터블 카드 2매로 구성. 숍 인 바운드를 통한 인터넷 판매만 진행, 현재는 판매 종료.[1]
- * 아이돌마스터 플라티나 앨범: 2005년 10월 28일 발매. 게임 내용 설명, 스태프 및 캐스트 인터뷰, 의상 및 액세서리 소개 등을 담은 무크. 엔터 브레인 발매.[2]
- * 아이돌마스터 캐릭터 마스터: 2005년 12월 27일 발매. 각 곡의 안무를 연속 사진으로 싣고, 프로듀스 시작 직전의 스토리를 담음. 리라이터블 카드 부속, 애니메이트에서는 표지 디자인이 다른 버전이 발매. 이치진샤 발매.[3]
- 만화
- * 아이돌마스터: 원작 반다이 남코 게임스, 작화 초양지. '월간 콤프 에이스'에서 2006년 5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전 7회 연재. 메인 히로인은 아마미 하루카. 카도카와 서점의 모퉁이 강 코믹스 라벨로 발매.
- * 코믹 앤솔러지: Vol. 1 (2005년 11월 25일), Vol. 2 (2006년 1월 25일) 이치진샤 발매.
- * 앤솔러지 코믹: 2006년 3월 10일, FOX 출판 발매.
- * 컨셉 코믹: 온/오프 (2006년 4월 26일, 엔터 브레인 발매). 업무 중인 아이돌(온), 사적인 아이돌(오프)을 그린다는 컨셉.
- 소설 (패미통 문고, 엔터 브레인 발매)
- * 안락함의 선율: 2006년 1월 30일 발매. 메인 캐릭터는 키사라기 치하야.
- * 가슴벅찬 Summer Days: 2006년 2월 27일 발매. 메인 캐릭터는 아키즈키 리츠코.
7. 2. 1. 무크
- 프리미엄 킷
: 2005년 8월 발매. CD 사이즈의 소책자와 리라이터블 카드 2매로 구성되었다. 숍 인 바운드를 통해 인터넷으로만 판매되었으며, 현재는 판매가 종료되었다.[1]
- 아이돌마스터 플라티나 앨범
: 2005년 10월 28일 발매. 게임 내용 설명, 스태프 및 캐스트 인터뷰, 의상 및 액세서리 소개 등을 담은 무크이다. 엔터 브레인에서 발매하였다.[2]
- 아이돌마스터 캐릭터 마스터
: 2005년 12월 27일 발매. 각 곡의 안무를 연속 사진으로 싣고, 프로듀스 시작 직전의 스토리를 담았다. 리라이터블 카드가 부속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애니메이트에서는 표지 디자인이 다른 버전이 발매되었다. 이치진샤에서 발매하였다.[3]
7. 2. 2. 만화
; 아이돌마스터: 원작: 반다이 남코 게임스 / 작화: 초양지
: '월간 콤프 에이스'에서 2006년 5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전 7회 연재되었다.
: 메인 히로인은 아마미 하루카이다. 765 프로에 신인으로 입사한 지 얼마 안 된 프로듀서의 분투와 아이돌들과의 교류를 그리고 있다. “PROJECT IM@S” 발족 이전부터 연재되었기 때문인지, 이 작품만 커버에 “PROJECT IM@S”의 표기가 없다. 또, 아즈사가 마코토를 '쨩'을 붙이지 않고 '씨'를 붙여 부르는 등 원작과는 기본 설정이 일부 다르다. 단행본은 카도카와 서점의 모퉁이 강 코믹스 라벨로 발매되었다.
: # 2007년 9월 26일 발매
; 코믹 앤솔러지 Vol. 1
: 2005년 11월 25일, 이치진샤에서 발매.
; 코믹 앤솔러지 Vol. 2
: 2006년 1월 25일, 이치진샤에서 발매.
; 앤솔러지 코믹
: 2006년 3월 10일, FOX 출판에서 발매.
; 컨셉 코믹 온
: 2006년 4월 26일, 엔터 브레인에서 발매. 업무 중인 아이돌을 그린다는 컨셉이다.
; 컨셉 코믹 오프
: 2006년 4월 26일, 엔터 브레인에서 발매. 사적인 아이돌을 그린다는 컨셉이다.
7. 2. 3. 소설
엔터 브레인에서 사이토 유스케가 쓴 소설이 패미통 문고를 통해 2권 발매되었다. 삽화는 오이코 (현: 안닌도후)가 담당했다. 메인 캐릭터 외에 서브 캐릭터로 아마미 하루카와 하기와라 유키호가 등장한다(다른 캐릭터는 등장하지 않는다).- '''안락함의 선율'''
: 2006년 1월 30일 발매. 메인 캐릭터는 키사라기 치하야.
- '''가슴벅찬 Summer Days'''
: 2006년 2월 27일 발매. 메인 캐릭터는 아키즈키 리츠코.
7. 3. 크레딧 카드
반다이 남코 게임스와 미츠이 스미토모 VISA 카드가 협력하여 2008년 11월 17일부터 아이마스 VISA 카드 접수를 시작했다.[73]7. 4. 바나 패스포트 카드
| 카드 종류 | 설명 |
|---|---|
| 태고의 달인×아이돌마스터 | 태고의 달인 Wii 결정판을 로손에서 예약하면 얻을 수 있는 카드. 디자인은 태고의 달인에 준거한다. |
| 아이마스 Edy 카드 | 바나 패스포트 카드로는 처음으로 Edy 기능이 부가된 하이브리드 사양이다. 도쿄 게임 쇼 2011에서 선행 판매되었다. |
| 쿠레나 2 퀸 아이돌마스터 ver. 가동 기념 카드 | 남코의 크레인 게임 기기 "쿠레나 2 퀸"에 아이돌과 그 사인이 그려진 버전의 가동에 맞춰 판매하는 카드로, 각 아이돌에 맞춰 총 12종류가 있다. 의상은 동일 기기에 그려진 일러스트와 같다. 기본적으로 이 기기가 가동되는 게임 센터에서 입수할 수 있다. |
| 아이돌마스터 10주년 기념 카드 | 2015년 후반부터 2016년 초반까지 판매되었으며 1탄부터 3탄까지 있다. |
7. 5. 드라마
아이돌마스터.KR - 꿈을 드림은 대한민국에서 2017년 4월 28일부터 방영되고 있는 드라마이다.8. 개발
ナムコ プロダクション일본어/나무코 프로덕션)에서 개발한 아이돌 육성 게임 《THE IDOLM@STER》는, 플레이어가 프로듀서[64]가 되어 아이돌 후보생을 성장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게임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국 랭킹을 겨루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플레이어는 최대 3명의 아이돌을 선택하여 팬들의 지지를 얻도록 프로듀스해야 했다.
처음에는 사내에서 "팔리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의견도 있었지만,[68] 매장 테스트 플레이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어 개발이 속행되었다.[68] 2005년 7월 26일에 발매된 이후, 일본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특히 여성들에게도 인기가 높았다. 2005년 최고 인기 아케이드 게임으로 선정되어 수상하기도 했다.
구보오카 도시유키가 담당한 캐릭터 디자인은 오타쿠층을 겨냥한 모에 캐릭터가 아니라, 대중에게 호감을 얻을 수 있는 무난한 디자인으로 여성 팬들에게도 인기를 얻었다.
게임의 시스템은 다양하고 풍부한 표정의 3D 캐릭터와의 커뮤니케이션, 음악, 의상, 네트워크와 메일을 활용한 요소들로 호평을 받았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아이돌 음악, 상품, 드라마 CD 등 다양한 미디어로 확장되었으며, PROJECT IM@S라는 멀티미디어 전개로 발전했다.
같은 남코의 게임인 태고의 달인에도 16명의 캐릭터가 등장하며, 액세서리 중에는 태고의 달인 관련 아이템도 있다. 그러나 태고의 달인 시리즈에 다양한 곡들이 수록되는 것과 달리, 주연으로는 등장하지 않는다.
2002년경, 게임센터 기획을 구상하던 중 '여자아이를 통해 손님을 모은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하여, '아이돌', '오디션' 등의 연상을 통해 게임의 이미지가 구체화되었다.[68] 3년간의 개발 기간을 거쳐 2005년 7월에 정식 발매되었다.[68]
2010년 5월 28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종료가 발표되었고, 2010년 9월 1일 1시 59분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65] 네트워크 서비스 종료 후에는 휴대 전화 사이트 내 아케이드 연동 코너가 폐쇄되어 연동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고, 모든 케이스가 오프라인으로 전환되었다.[65]
남코의 공식 약칭은 "아이마스(IM@S)"이며, 타이틀 로고에서는 "I"가 소문자로 사용되지만, 텍스트 표기 시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67]
아케이드판 개발 당시부터 AMCG(Advanced Media Creation Girls)라는 호칭이 있었으며, PROJECT IM@S의 중심이 되는 Xbox 360판 매뉴얼 표지에도 로고가 남아있다.
8. 1. 기획
쿠보오카 토시유키가 담당한 캐릭터 디자인은 당시 미소녀를 내세운 작품들과는 다른 방향으로, 많은 게이머들이 좋아할 수 있도록 비교적 대중적인 그림으로 그려졌다.[67] 캐릭터의 매력 덕분에 여성 플레이어도 적지 않았다. 툰 쉐이딩 기법을 사용하여 2D 그래픽에 가까운 표현과 쿠보오카의 디자인에 가까운 완성도를 추구했다.''아이돌마스터(THE IDOLM@STER)''는 플레이어가 765 프로덕션 소속 프로듀서가 되어 10명의 아이돌을 육성하는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여기에는 아마미 하루카, 키사라기 치하야 등이 포함된다.[1]
2000년대 초, 마그네틱 띠 카드를 사용해 진행 상황을 저장하는 아케이드 게임이 있었다.[13] 2001년,[18] 남코의 디자이너 이시하라 아키히로는 이 기술을 사용한 아케이드 게임을 만들기로 했다.[13] 이시하라는 플레이어가 매일 플레이하고 싶어하는 게임을 만들고자 했고, 이는 아케이드의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플레이어가 게임에 대한 정서적 애착을 가지려면, 소녀들과 친구가 될 수 있는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 적합하다고 생각했다.[13]
프로레슬링과 배구 등 다양한 주제를 고려한 끝에, 이시하라는 플레이어가 팝 아이돌을 육성하고 다른 플레이어와 경쟁하는 게임으로 결정했다.[13] 당시 Asayan과 같은 재능 검색 쇼의 인기도 영향을 주었다.[18]
개발팀은 터치스크린과 전국 온라인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등 당시 아케이드 게임과 차별화되는 게임을 만들고자 했다.[18] 이시하라는 현실적인 캐릭터를 개발하는 데 집중했고, 플레이어가 아이돌을 충분히 훈련시키지 못했을 때의 실수를 플레이어에게 부담시키고자 했다.[15]
모션 캡처를 사용하여 캐릭터의 현실적인 모습을 구현했다.[13] [16] 원래 12~13명의 아이돌이 포함될 예정이었으나, 최종적으로 9명으로 줄었다.[55] 모닝구 무스메의 아이돌은 미소녀 게임 캐릭터 유형에 영향을 주었다.[29]
아케이드 게임의 성공 후, 남코(현재 반다이)는 2006년 초부터 Xbox 360 포트를 개발하기 시작했다.[17] Xbox 360과 Xbox Live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의 품질을 개선하고 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었다.[13] 캐릭터는 모션 캡처를 포함하여 완전히 다시 만들어졌고, Xbox 360의 고화질 하드웨어 덕분에 더 자세한 디자인을 추가할 수 있었다.[13]
''아이돌마스터''는 2004년 2월 처음 공개되었다.[18] 2005년 7월 26일, System 246 아케이드 시스템 보드를 사용하는 아케이드 게임으로 출시되었다.[19] 세가의 ALL.Net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여 전국 아이돌 순위를 추적했다. 이 네트워크는 2010년 9월 1일에 중단되었다.[21]
8. 2. 캐릭터 설정
쿠보오카 토시유키가 담당한 캐릭터 디자인은 당시 유행하던 미소녀 디자인과는 다른, 비교적 대중적인 그림체로, 많은 플레이어들에게 호감을 얻었다.[67] 이는 여성 플레이어들에게도 어필하여, 여성 팬층도 적지 않았다. 쿠보오카 토시유키는 2002년 남코의 퀴즈 게임 청춘 퀴즈 컬러풀 하이스쿨의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하기도 했다. 또한, 본작은 2D 그래픽 (혹은 셀 애니메이션)에 가까운 표현과 쿠보오카 토시유키의 캐릭터 디자인에 최대한 가깝게 만들기 위해 셀 셰이딩 기법을 채용했다.8. 3. 캐스팅 및 음악 제작
본작의 캐릭터는 사카가미 요조의 생각에 따라, 좋아하는 캐릭터가 나올 수 있도록 다양한 성격을 가진 10명의 아이돌이 등장했다.[76] 아마미 하루카가 최초로 만들어졌고, 다음으로 키사라기 치하야, 하기와라 유키호, 키쿠치 마코토 순으로 만들어졌다.[76] 개발팀은 아이돌의 생활을 잘 알지 못했기 때문에 아이돌 게임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미소녀 게임과 같은 방법으로 캐릭터 설정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안경 소녀 등을 최소 한 명은 넣었다고 2020년 사에키 켄지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76]개발 초기에는 3인조 또는 2인조로 묶기 쉽다는 이유로 12명의 아이돌을 등장시킬 예정이었지만, 게임의 볼륨이 예상 이상으로 커져 아이돌 수를 9명으로 줄이기로 했다.[55] 후타미 아미와 후타미 마미는 2인 1조로 취급되어, 최종적으로 10명의 아이돌이 등장하게 되었다.[76]등장하지 못한 두 명의 아이돌은 긴 머리카락을 3DCG로 표현하는 것이 어렵다는 이유 때문이었으며, 이후 《THE IDOLM@STER SP》에서 각각 가나하 히비키와 시죠 타카네로 등장했다.[76]
아케이드 게임 기획이라는 점을 고려해, 미소녀 게임보다는 애니메이션풍의 그림체를 채용하는 방향으로 정해졌다. 처음에는 게임 내 영상을 모두 셀화로 하려고 했지만, 애니메이션 회사와의 금전적인 문제로 인해 보류되었다.[76] 이후 3DCG를 도입하자는 이야기가 나왔고, PlayStation 2용 소프트웨어 《유메리아》의 개발팀 중 한 명을 통해 쿠보오카 토시유키가 소개되어, 최종적으로 캐릭터 디자이너로 기용되었다.[56]
쿠보오카의 캐릭터 디자인은 당시 미소녀를 전면에 내세운 작품에 등장하는 디자인의 유행과는 다른 방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게임 플레이어들에게 호감을 얻기 위해 비교적 대중적인 그림으로 그려져 있다.[76] 캐릭터의 성격과 매력 덕분에 여성 플레이어도 적지 않다. 또한, 본작에서는 2D 그래픽(또는 셀 애니메이션)에 가까운 표현을 실현하기 위해, 그리고 쿠보오카의 캐릭터 디자인에 가까운 완성도를 추구하기 위해 툰 쉐이딩 기법을 채용하고 있다.
8. 4. 로케 테스트, 그리고 정식 운용으로
2000년대 초반, 플레이어의 진행 상황을 저장할 수 있는 마그네틱 띠 카드를 사용하는 아케이드 게임이 이미 사용되고 있었다.[13] 2001년,[18] 남코의 디자이너 이시하라 아키히로는 이 기술을 사용하는 아케이드 게임을 만들기로 결정했다.[13]이시하라는 플레이어가 매일 다시 플레이하고 싶어하는 게임을 만들고 싶어했고, 이는 아케이드의 성장에 연결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플레이어가 매일 게임을 플레이하려면 게임에 대한 정서적 애착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타겟 고객이 남성 플레이어임을 고려하여, 이시하라는 플레이어가 소녀 및 젊은 여성과 친구가 될 수 있는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 플레이어가 게임에 강한 정서적 애착을 형성하게 할 것이라고 생각했다.[13]
아케이드 게임을 둘러싼 경쟁 문화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이시하라는 프로레슬링과 배구를 포함한 다양한 게임 주제를 고려했다. 이시하라는 마침내 플레이어가 팝 아이돌을 육성하고 다른 플레이어의 아이돌과 경쟁하여 연예계 정점에 도달하는 게임으로 결정했다.[13]
남코의 일부 구성원들은 ''아이돌마스터''를 공개적으로 플레이하는 것이 어색하게 느껴지고 플레이어에게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게임이 처음 아케이드에서 테스트되었을 때, 플레이를 기다리는 긴 줄이 있었다. 입소문이 퍼지고 인기가 높아지면서 경쟁 게임 회사들은 자신들이 ''아이돌마스터''와 같은 게임을 가장 먼저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14]
''아이돌마스터''는 2004년 2월 전일본 아뮤즈먼트 머신 오퍼레이터 연합에서 처음 공개되었다.[18] 2005년 7월 26일 남코의 System 246 아케이드 시스템 보드를 사용하는 아케이드 게임으로 출시되었다.[19] 이 게임은 플레이어의 프로필과 저장 데이터가 포함된 2개의 재기록 가능한 카드를 발급하는 터치스크린 Rewritable Stage 아케이드 기기를 사용한다.[20] 또한 세가의 ALL.Net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여 전국 아이돌 순위를 추적한다. 이 네트워크는 2010년 9월 1일에 중단되었지만,[21] 아케이드 기기 중 일부는 여전히 남아 있다.[22]

8. 5. 케이스 관련
본작은 스테이션 케이스로, 같은 남코의 드래곤 크로니클 시리즈 케이스와 공통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같은 작품으로부터 전환도 존재한다. 이는 개발 초기부터 '드래곤 크로니클'과 같은 케이스를 이용할 계획이었기 때문이며, '아이돌마스터 플라티나 앨범'의 스태프 인터뷰에서도 다루어지고 있다[67]. 본작 가동 시에 '드래곤 크로니클'을 본작에 컨버전한 로케이션도 많았고, 한편으로 본작에 컨버전 후 케이스를 '드래곤 크로니클'로 역 컨버전한 로케이션도 일부 존재한다.2006년 12월에는 같은 케이스를 이용하는 '모두 단련하는 전뇌트레이닝'이 가동되었고, 2007년 1월 25일에는 엑스박스 360판이 발매된 영향도 있어 '드래곤 크로니클'에서 컨버전되어 소멸하는 경우가 다발했다. 또한 스테이션은 남아도 타워가 '모두 단련하는 전뇌트레이닝' 가동 개시 시에 컨버전된 로케이션도 있다 (본작 플레이에 지장은 없지만, 타워에서 방송할 수 없다).
케이스나 케이스 부근에 붙여지고 있는 뮤직 리스트나 캐릭터 리스트는 개발 도중에 작성된 것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기재되어 있는 곡명이나 캐릭터명이 현재와 다른 부분이 있다. 예를 들어 '''"푸른 새"'''(青い鳥), '9:0'''7'''pm', '에이전트 '''하늘'''을 가다'(エージェント空を往く) 등이 있다.
덧붙여 이 케이스는 2010년 오프라인화를 기념해 공식 사이트에서 지공예로 배포되고 있으며[74], 2011년에는 WAVE로부터 플라스틱 킷화되었다[75].
9. 그 외
공식 약칭은 "아이마스(IM@S)"이다[66]. 타이틀 로고에서는 "I"가 소문자로 사용되지만, 텍스트 표기 시에는 "I"를 대문자로 표기한다[67].
다양한 3D 캐릭터, 음악, 의상, 네트워크 및 메일 시스템 등이 호평을 받아, 아이돌 관련 음악, 상품, 드라마 CD 등 다양한 미디어로 전개되었다. 이는 PROJECT IM@S라는 멀티미디어 전개로 이어졌다. 아케이드판 개발 당시 AMCG(Advanced Media Creation Girls)라는 호칭이 있었고, Xbox 360판 매뉴얼 표지에도 해당 로고가 남아있다.
태고의 달인에도 16명의 캐릭터가 등장하며, 관련 액세서리도 있다. 그러나 태고의 달인 시리즈에 다양한 수록곡이 추가됨에도 주연으로 등장하지 않는 것은 플랫폼 차이 때문으로 보인다. TVA판 아이돌마스터 XENOGLOSSIA 관련 주제곡 및 캐릭터는 태고의 달인에 수록되지 않았다.
2010년 5월 28일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종료가 발표되었고, 2010년 9월 1일 1시 59분에 종료되었다. 종료 후 휴대 전화 사이트 내 아케이드 연동 코너가 폐쇄되어 연동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고, 모든 케이스가 오프라인이 되었다 (플레이는 가능하나 일부 기능 제한).[65]
2002년경 게임센터 기획 당시 '여자아이 아이돌'과 '아이돌 오디션' 아이디어에서 출발, 3년의 개발 기간을 거쳐 2005년 7월 발매되었다[68]. 초기에는 부정적 의견도 있었으나, 매장 테스트 플레이에서 좋은 반응을 얻어 개발이 계속되었다[68].
아케이드 기기는 "리라이터블 스테이지"로, 랭킹 표시용 라이브 타워와 플레이용 스테이션(Rewritable Stage)으로 구성된다. 캐릭터 및 유저 데이터는 전용 리라이터블 카드에 기록한다.
라이브 타워에는 전국 랭킹, 아이돌 TV 출연 영상 등이 표시된다. 랭킹은 순차 표시되며, 화면 우측 하단 센서에 손을 대면 스킵 가능하다. 오디션 합격 시 해당 라이브 영상이 라이브 타워에 재생된다. 플레이어 설정에 따라 영상 재생을 끄면, 플레이어 측 스테이션에도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스테이션은 중앙에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우측에 코인 투입구 및 헤드폰 꽂이, 좌측에 카드 삽입구가 있다. 모든 조작은 디스플레이 터치로 수행한다. 플레이 정보 저장을 위해 2종류의 전용 리라이터블 카드를 사용한다. 헤드폰 사용 시에도 외부 스피커에서 소리가 나온다.
네트워크는 ALL.Net을 이용한다. 가동 시 筐体(쿄타이)를 같이 사용하는 『드래곤 크로니클』과 본작 간 컨버트가 이루어진 로케이션이 많았다.
2006년 12월 같은 筐体(쿄타이)를 이용하는 『모두 함께 단련하는 전뇌 트레이닝』 가동, 2007년 1월 25일 Xbox 360판 발매 영향으로 『드래곤 크로니클』과 함께 컨버트되어 소멸하는 경우가 많았다. 스테이션은 남아있어도 타워가 『모두 함께 단련하는 전뇌 트레이닝』 가동 개시 시 컨버트된 로케이션도 있다 (플레이 지장은 없으나, 타워 방송 불가).
筐体(쿄타이)나 부근 뮤직 리스트, 캐릭터 리스트는 개발 도중 작성된 것이 그대로 사용되어, 곡명 및 캐릭터명이 현재와 다른 부분이 있다. (예: "'''푸'''른 새", "9:0'''7'''pm", 에이전트 '''하'''늘을 가다)
2010년 오프라인화 기념으로 筐体(쿄타이) 모티브 페이퍼 크래프트가 공식 사이트에서 배포되었고[60], 2011년 WAVE에서 프라 키트화되었다[61].
9. 1. 난이도
본작은 아케이드 게임으로서는 이질적인 깊이 있는 심리전과 계획성이 요구되는 게임이었다. 이러한 게임성 때문에 육성 메모를 기록하며 플레이하는 유저들이 많았고, 점포 내에서는 메모장이나 노트[76], 공략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정답 루트표 등을 펼쳐 놓고 플레이하는 광경을 볼 수 있었다. 가동 초기에는 난이도가 매우 높아 초심자가 아이돌 랭크를 D 이상으로 올리는 것이 어려웠다. 그 때문에, 오디션에서의 팬 획득 인원 수 증가, 합격 범위 확대, 하급 오디션에서의 이미지 레벨 제한 강화 (저레벨=활동 초기 유닛 보호) 등, 여러 차례의 조정을 통해 난이도를 낮춰갔다[69].유저들이 지적한 난이도가 높은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오디션 패배 시 능력치 감소 외에 얻는 것이 없었다. (높은 성격치 캐릭터는 감소폭이 적다.)
- 30주 이후에는 능력치 회복이 불가능하여 한 번의 패배가 이전의 플레이를 무의미하게 만들었다.
- 높은 게임 요금(도입 당시 1주에 200엔)으로 인해 재시도가 어려웠다.
아이돌 랭크 C까지는 통상 오디션만으로 도달 가능했지만, B 랭크 이상이 되려면 랭크마다 정해진 수의 특별 오디션을 통과해야 했다. 특별 오디션 합격 수가 부족하여 C 랭크에서 활동이 정지되는 경우나, S 랭크를 목표로 하려면 모든 특별 오디션을 클리어하고 'TOP×TOP'에서 승리할 때까지 패배가 용납되지 않는 점이 게임의 어려움을 상징했다. 그러나 2002년 AM쇼에 출전했을 때의 홍보물이나 케이스의 안내 카드 등에서 '서바이벌' 등의 어려움을 강조하는 문구가 사용된 점[67]을 보면 어느 정도 의도된 어려움이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이 대다수의 플레이어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아 조정마다 난이도를 낮추게 되었고, Xbox 360 이식 시에는 본래 의도와는 다른 결과의 보존 회피, 엄격한 스케줄 관리를 요구하는 사양 (틀어박혀 능력치 감소, 랭크 업 제한 등) 삭제 등의 형태로 게임성이 크게 변경되었다.
Xbox 360 이식판인 ''THE IDOLM@STER''에서는 다음과 같은 변경점이 있었다.
- 호시이 미키가 765 프로덕션 소속 아이돌로 추가[9]
- 아이돌의 열정이 하트 옆의 가로 막대 형태로 표시되며, 검은색에서 파란색, 노란색, 주황색으로 증가.
- 각 아이돌 유닛이 최대 5곡까지 공연 가능 (이전과 같이 횟수 제한 없이 변경 가능).
- 스케줄 선택지가 홍보 활동(아케이드 버전의 커뮤니케이션 단계와 동일), 레슨, 오디션, 휴식의 네 가지로 변경[10].
- 휴식 선택 시 대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커뮤니케이션 단계와 같이 응답 선택지는 없음. 휴식을 선택하면 다음 주로 넘어가며 아이돌의 열정이 자동 증가.
- 랭크 업 제한이 제거되고, 플레이어는 달을 지정하여 52주 동안 아이돌 유닛을 프로듀스 가능[10] (아이돌 데뷔 전 3주 추가).
- Xbox Live를 사용한 온라인 플레이어 매칭 (Xbox Live 골드 구독 필요)[10][41], 무료 구독으로는 순위만 확인 가능.
- E, F 랭크 제한 오디션이 루키와 로컬 두 가지로 나뉘고, 전국 오디션은 최소 D 랭크 필요.
- 공연 중 최대 5장의 사진 저장 가능.
- 10개의 업적 포함[11].
10. 타 작품에서의 등장 및 콜라보레이션 등
다음은 타 작품에서의 등장 및 콜라보레이션에 대한 내용이다.
같은 남코 게임인 태고의 달인에서도 압도적인 인기를 바탕으로 16명 전부 등장하며, 액세서리 중에는 태고의 달인 관련 아이템도 있다.[65] 다만, 태고의 달인 시리즈를 거듭할수록 다양한 수록곡들이 수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연으로는 등장하지 않는데, 이는 플랫폼의 차이 때문으로 보인다. TVA판 아이돌마스터 XENOGLOSSIA의 관련 주제곡은 태고의 달인에 수록되지 않았고, 캐릭터도 등장하지 않는다.[68]
11. 반응
아이돌마스터는 여러 다른 작품들과 협업을 진행했다. 남코의 게임인 원더 모모에서는 주인공 '모모'를 연기하는 칸다 모모가 타카기 사장이 처음 프로듀스한 아이돌이라는 설정이 추가되어 아이돌 후보생들의 선배로 등장한다. 에이스 컴뱃 6 해방으로의 전장에서는 아이돌마스터 캐릭터가 그려진 기체가 다운로드 콘텐츠로 제공되었고, 이 기체들은 하세가와의 프라모델 시리즈로도 출시되었다. 릿지 레이서 비타에서도 캐릭터가 그려진 머신과 악곡이 다운로드 콘텐츠로 제공되었다.
앗토 게임즈, 바나페스! 타운, 원더 오션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사이트에서는 아바타 의상으로 아이돌마스터 아이템이 기간 한정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태고의 달인, 테일즈 오브 시리즈 등 여러 작품에 진출했으며, 자세한 내용은 아이돌마스터 시리즈의 작품 목록#타 작품과의 콜라보레이션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11. 1. 평가
전면 터치 패널, 시스템, 아케이드 게임 등 여러 가지 면에서 호평을 받았다. 특히, 다양하고 풍부한 표정의 풀 보이스 3D 캐릭터와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그 설정을 살린 다수의 음악과 의상, 네트워크와 메일을 사용한 시스템 등이 인기를 얻었다.[67]처음 게임이 개발되었을 때는 반대하는 사람들도 많았지만,[68] 일본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특히 여성들에게도 인기가 높았다. 2005년에는 최고 인기 아케이드 게임으로 선정되어 수상하기도 했다. 각각의 아이돌 캐릭터들에게 আলাদা 팬이 생길 정도로 캐릭터의 인기에 의존했다. 구보오카 도시유키가 담당한 캐릭터 디자인은 귀여운 인상이지만, 오타쿠 층의 지지를 받는 모에 캐릭터가 아니라 대중에게 널리 호감을 받는 비교적 무난한 디자인이었기 때문에 여성 팬들이 적지 않았다.
같은 남코 게임인 태고의 달인에서도 압도적인 인기를 바탕으로 16명 전부 등장하며, 액세서리 중에는 태고의 달인 관련 아이템도 있다.[67]
참조
[1]
웹사이트
Idol Data
http://www.idolmaste[...]
Namco Bandai Games
2013-07-19
[2]
웹사이트
http://www.idolmaste[...]
Namco Bandai Games
2013-07-19
[3]
웹사이트
http://www.idolmaste[...]
Namco Bandai Games
2013-07-20
[4]
웹사이트
http://www.idolmaste[...]
Namco Bandai Games
2013-08-05
[5]
웹사이트
http://www.idolmaste[...]
Namco Bandai Games
2013-08-05
[6]
웹사이트
http://www.idolmaste[...]
Namco Bandai Games
2013-08-05
[7]
웹사이트
TV出番
http://www.idolmaste[...]
Namco Bandai Games
2013-08-05
[8]
웹사이트
http://www.idolmaste[...]
Namco Bandai Games
2013-08-05
[9]
웹사이트
http://ascii.jp/elem[...]
ASCII Media Works
2013-08-05
[10]
웹사이트
http://ascii.jp/elem[...]
ASCII Media Works
2013-08-05
[11]
웹사이트
http://ascii.jp/elem[...]
ASCII Media Works
2013-07-31
[12]
웹사이트
Metro Game Products
http://www.metro-jap[...]
Metro
2013-07-21
[13]
웹사이트
Xbox 360で発売される『アイドルマスター』について語る開発陣の魂のコメントを公開!
http://www.famitsu.c[...]
Famitsu
2013-07-21
[14]
웹사이트
http://mantan-web.jp[...]
Mainichi Shimbun
2013-07-21
[15]
웹사이트
"THE IDOLM@STER」開発スタッフインタビュー! その2"
http://www.comptiq.c[...]
Kadokawa Shoten
2013-08-06
[16]
웹사이트
http://www.idolmaste[...]
Namco Bandai Games
2013-07-28
[17]
웹사이트
Xbox 360「アイドルマスター」
http://game.watch.im[...]
Impress Watch Corporation
2013-07-21
[18]
웹사이트
"THE IDOLM@STER」開発スタッフインタビュー! その1"
http://www.comptiq.c[...]
Kadokawa Shoten
2013-08-06
[19]
웹사이트
http://www.famitsu.c[...]
Famitsu
2013-07-19
[20]
웹사이트
http://www.idolmaste[...]
Namco Bandai Games
2013-07-18
[21]
웹사이트
http://www.idolmaste[...]
Namco Bandai Games
2013-07-18
[22]
웹사이트
"アイドルマスターミュージアム」が大阪,東京,福岡でオープン。オープニングイベント「アイドルマスター MUSIC FESTA」の詳細も発表"
http://www.4gamer.ne[...]
4Gamer
2013-07-20
[23]
웹사이트
https://www.amazon.c[...]
Amazon.co.jp
2013-08-08
[24]
웹사이트
アイドルマスター Xbox 360 プラチナコレクション
https://www.amazon.c[...]
Amazon.co.jp
2013-08-05
[25]
웹사이트
8月11日より『アイマス』など8作のXbox 360タイトルがDL販売へ
https://news.dengeki[...]
ASCII Media Works
2013-08-01
[26]
웹사이트
http://marketplace.x[...]
Xbox Live Marketplace
2013-08-08
[27]
웹사이트
http://marketplace.x[...]
Xbox Live Marketplace
2013-08-08
[28]
웹사이트
http://www.idolmaste[...]
Namco Bandai Games
2013-08-08
[29]
웹사이트
"THE IDOLM@STER」開発スタッフインタビュー! その3"
http://www.comptiq.c[...]
Kadokawa Shoten
2013-08-06
[30]
웹사이트
THE IDOLM@STER MASTERPIECE 01 魔法をかけて!
http://columbia.jp/p[...]
Nippon Columbia
2013-08-05
[31]
웹사이트
THE IDOLM@STER MASTERPIECE 05《通常盤》
http://columbia.jp/p[...]
Nippon Columbia
2013-08-05
[32]
웹사이트
THE IDOLM@STER MASTERWORK 00 「私はアイドル」
http://columbia.jp/p[...]
Nippon Columbia
2013-08-05
[33]
웹사이트
THE IDOLM@STER MASTERWORK 01
http://columbia.jp/p[...]
Nippon Columbia
2013-08-05
[34]
웹사이트
THE IDOLM@STER MASTERWORK 03
http://columbia.jp/p[...]
Nippon Columbia
2013-08-05
[35]
웹사이트
THE IDOLM@STER MASTER BOX
http://columbia.jp/p[...]
Nippon Columbia
2013-08-05
[36]
웹사이트
THE IDOLM@STER MASTER BOX II
http://columbia.jp/p[...]
Nippon Columbia
2013-08-05
[37]
웹사이트
http://www.famitsu.c[...]
Famitsu
2015-05-06
[38]
웹사이트
http://www.famitsu.c[...]
Famitsu
2013-07-19
[39]
웹사이트
Rumor: Japan's XBL Sign-Up Rate? Highest In The World
http://kotaku.com/ga[...]
Kotaku
2007-03-05
[40]
웹사이트
The iDOLM@STER: Massively Multiplayer J-Pop Teen Idol Career Building Sim
https://www.wired.co[...]
Wired (website)
2013-07-19
[41]
웹사이트
http://dengekionline[...]
ASCII Media Works
2013-08-06
[42]
웹사이트
iM@s←こんなちぢめ方どうですか?
http://www.idolmaste[...]
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2013-06-30
[43]
서적
アイドルマスター プラチナアルバム
[44]
웹사이트
"「アーケード版アイドルマスター ネットワーク接続サービス」終了のお知らせ"
https://www.idolmast[...]
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2013-06-30
[45]
문서
弊社商品の保守対応終了について
https://www.banasupp[...]
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2016-09
[46]
문서
保守終了一覧
https://www.banasupp[...]
バンダイナムコテクニカ
2017-10-01
[47]
문서
THE IDOLM@STER WEB - プレイに関する重要なお知らせ
https://web.archive.[...]
[48]
문서
アイドルマスター オフラインモードへの切り替え方法について
https://www.idolmast[...]
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2010-08
[49]
웹사이트
アケマス、10周年だって―アーケード版「アイドルマスター」ある日のプロデューサー業務を振り返ってみる|ゲーム情報サイト Gamer
https://www.gamer.ne[...]
Gamer
2020-01-28
[50]
웹사이트
アケマス、10周年だって―アーケード版「アイドルマスター」ビックリするほど好き過ぎたオーディションの魅力に迫る|ゲーム情報サイト Gamer
https://www.gamer.ne[...]
Gamer
2015-12-27
[51]
문서
THE IDOLM@STER MASTER BOX(コロムビア公式)
https://columbia.jp/[...]
[52]
문서
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での案内
https://web.archive.[...]
[53]
웹사이트
“進化”した「アイドルマスター」の魅力を、プロデューサーに聞いてみました(3/3)
https://nlab.itmedia[...]
2007-01-25
[54]
웹사이트
【特別企画】そもそも「アイドルマスター」ってなんなんだ?(前編) (1/2)
https://ascii.jp/ele[...]
ASCII
2008-02-25
[55]
웹사이트
『アイドルマスター』10周年を記念してガミP、ディレ1を直撃! 【周年連載】
https://dengekionlin[...]
2015-07-03
[56]
인터뷰
バンダイナムコ知新 第6回 アーケード版『アイドルマスター』誕生秘話【中編】 小山順一朗氏、石原章弘氏、梅木馨氏、深見和佳子氏、三枝芳宏氏、白井崇文氏、坂上陽三氏インタビュー
https://asobimotto.b[...]
2020-08-28
[57]
웹사이트
『アイドルマスター』15周年記念インタビュー中村繪里子さん(天海春香役)。「春香は憧れの存在です」
https://www.famitsu.[...]
2020-09-08
[58]
인터뷰
バンダイナムコ知新 第6回 アーケード版『アイドルマスター』誕生秘話【前編】 小山順一朗氏、石原章弘氏、梅木馨氏、深見和佳子氏、三枝芳宏氏、白井崇文氏、坂上陽三氏インタビュー
https://asobimotto.b[...]
2020-07-25
[59]
웹사이트
アイドルマスター : リアル世界に飛び出し始めた仮想アイドル 人気の理由は
https://mantan-web.j[...]
毎日新聞
2020-01-28
[60]
웹사이트
THE IDOLM@STER OFFICIAL WEB
http://www.bandainam[...]
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2012-05-26
[61]
웹사이트
えっ、あれがプラモデルになるんですか!?
https://ameblo.jp/pr[...]
アメーバブログ
2012-05-26
[62]
문서
[63]
문서
[64]
문서
[65]
웹인용
'아케이드판 아이돌 마스터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종료의 소식
http://www.idolmaste[...]
반다이 남코 게임스
2013-06-30
[66]
웹인용
iM@s ← 이런 줄이는 방법 어떻습니까?
http://www.idolmaste[...]
반다이 남코 게임스
2013-06-30
[67]
서적
아이돌마스터 플라티나 앨범
[68]
웹인용
아이돌마스터: 리얼 세계에 뛰쳐나오기 시작한 가상 아이돌 인기의 이유는 MANTAN WEB 2013년 3월 24일
http://mantan-web.jp[...]
2014-11-21
[69]
웹인용
THE IDOLM@STER WEB -플레이에 관한 중요한 소식
http://www.idolmaste[...]
2014-11-21
[70]
문서
[71]
문서
리뉴얼 후의 사이트 '아이돌마스터 모바일'로 월액 과금 혹은 추가 과금으로 구입하는, 컨텐츠 구입용의 포인트와는 명확하게 구별되고 있다.
[72]
웹사이트
THE IDOLM@STER MASTER BOX(컬럼비아 공식)
http://columbia.jp/i[...]
[73]
웹사이트
반다이 남코 게임스로의 안내
http://www.bandainam[...]
[74]
웹인용
THE IDOLM@STER OFFICIAL WEB
http://www.bandainam[...]
반다이 남코 게임스
2012-05-26
[75]
웹인용
어, 저것이 플라모델이 됩니까!?
http://ameblo.jp/pro[...]
아메바 블로그
2012-05-26
[76]
문서
예를 들면, 2006년 1월에 [[애니메이트]]에서 본작의 관련 상품의 구입으로 육성 메모용의 노트가 선물되는 캠페인을 하고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