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은 아크틱 몽키즈의 데뷔 앨범으로, 2006년 1월에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영국에서 가장 빠르게 판매된 데뷔 앨범이 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23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앨범은 인디 록, 개러지 록 리바이벌,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영국 청소년들의 삶을 다룬다. 싱글 "I Bet You Look Good on the Dancefloor"와 "When the Sun Goes Down"이 영국 싱글 차트 1위를 차지했으며, 앨범은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여러 매체에서 최고의 앨범으로 선정되었다. 앨범 커버 속 흡연 장면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악틱 몽키즈의 음반 - Five Minutes with Arctic Monkeys
    Five Minutes with Arctic Monkeys는 2005년 아크틱 몽키즈가 자체 레이블을 통해 한정 발매한 싱글로, "Fake Tales of San Francisco"의 재녹음 버전과 "From the Ritz to the Rubble"을 수록하여 희귀성으로 인해 소장 가치가 높다.
  • 악틱 몽키즈의 음반 - Who the Fuck Are Arctic Monkeys?
    《Who the Fuck Are Arctic Monkeys?》는 악틱 몽키즈가 발매한 EP로, 싱글 차트 1위 곡 이후 발매되었으며, 앤디 니컬슨의 앰프 고장으로 인해 알렉스 터너가 단독으로 선보인 곡을 포함하고, 논란의 언어 사용으로 인해 라디오 방송 횟수가 적었다.
  • 2006년 데뷔 음반 - Everytime We Touch
    카스카다의 데뷔 스튜디오 앨범 《Everytime We Touch》는 2002년에 발매되어 유로댄스, 팝, 일렉트로니카 장르를 융합하고 젊은 날의 사랑을 테마로 하며, 빌보드 200 차트 67위에 데뷔하는 등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평론가들의 평가는 엇갈렸다.
  • 2006년 데뷔 음반 - Taylor Swift
    테일러 스위프트의 데뷔 스튜디오 앨범 《Taylor Swift》는 10대 시절의 경험을 담은 컨트리 음악으로, 여러 싱글의 성공과 함께 그의 데뷔를 알렸다.
  • 2006년 음반 - ReGame?
    《ReGame?》는 넥스트가 6집 제작 전 음악적 성과를 기념하고 팬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발매한 앨범으로, 신곡 〈The Last Love Song〉을 제외하고는 신해철의 이전 밴드 곡들을 60인조 체코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여 웅장하게 재해석했으며 다양한 뮤지션들이 참여했고 멤버 교체가 있었다.
  • 2006년 음반 - Crazy For You
    Crazy For You는 이승기의 2집 앨범이며, 타이틀곡 〈하기 힘든 말〉은 여러 음악 방송에서 1위를 차지하고 MKMF에서 발라드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이름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종류스튜디오 음반
아티스트Arctic Monkeys
담배를 피우는 남자의 파란색조 흑백 사진. 밴드 이름은 왼쪽 상단에 있다.
음반 커버
발매일2006년 1월 23일
녹음2005년 6월 – 9월
장르인디 록
개러지 록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펑크 록
얼터너티브 록
포스트 브릿팝
길이40분 56초
레이블Domino
프로듀서Jim Abbiss
녹음 장소
장소The Chapel (South Thoresby)
2 Fly (Sheffield)
싱글
싱글 1I Bet You Look Good on the Dancefloor
싱글 1 발매일2005년 10월 17일
싱글 2When the Sun Goes Down
싱글 2 발매일2006년 1월 16일
차트 성적
영국1위
미국24위
이전 음반
음반명Five Minutes with Arctic Monkeys
발매년도2005년
다음 음반
음반명Who the Fuck Are Arctic Monkeys?
발매년도2006년
관련 정보
참고"Mardy Bum"은 Telstar, Munich에서 녹음되었으며, Alan Smyth가 프로듀싱함.

2. 역사

2. 1. 결성 및 초기 활동 (2002-2004)

2. 2. 데뷔 앨범 발매 및 성공 (2005-2006)

2002년 결성된 아크틱 몽키즈는 공연장에서 팬들에게 무료 데모 CD를 자주 배포했고, 팬들은 밴드의 음악을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 업로드하며 밴드의 인기는 급증했다.[15] 앨범 발매 전, "Mardy Bum", "I Bet You Look Good on the Dancefloor", "Fake Tales of San Francisco", "Dancing Shoes", "Still Take You Home", "Riot Van", "When the Sun Goes Down", "A Certain Romance" 트랙이 2004년 말에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공개되었고, 비공식 컴필레이션 앨범 ''Beneath the Boardwalk''에 수록되었다.

"I Bet You Look Good on the Dancefloor"는 2005년 10월 17일 발매되어 영국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했다.[15] 이 곡은 슈가베이비스의 "Push the Button"을 밀어내고 1위를 차지했다. 2006년 1월 16일 발매된 "When the Sun Goes Down" 역시 영국 싱글 차트 1위에 올랐다.[15]

데뷔 앨범은 원래 2006년 1월 30일에 발매될 예정이었으나, "높은 수요"로 인해 2006년 1월 23일로 앞당겨졌다.[16] 이는 앨범이 온라인 파일 공유 사이트에 유출된 영향을 막기 위한 시도로 추측되었다.[16] 앨범은 발매 첫 주에 363,735장이 판매되어 영국 역사상 가장 빠르게 판매된 데뷔 앨범이 되었다.[17] 2006년 2월 21일 미국에서 발매되어, 역사상 두 번째로 빠르게 판매된 데뷔 인디 앨범이 되었고,[17] 첫 주에 약 34,000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앨범 차트에서 24위를 기록했고, 2017년 8월에 50만 장 판매를 나타내는 RIAA 골드 인증을 받았다. 이 앨범은 오스트레일리아아일랜드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싱글로 발매되지는 않았지만, "Mardy Bum" 트랙은 2006년 중반 영국 전역의 라디오 플레이리스트에 올랐다. "A Certain Romance"는 ''Pitchfork Media''#REDIRECT의 2006년 최고의 트랙 100곡 중 90위,[22] ''NME''의 10년대 최고의 트랙 100곡 중 10위,[10] "지난 15년간 최고의 트랙 150곡" 목록에서 140위에 올랐다.[23] 미국에서는 "Fake Tales of San Francisco"가 앨범의 세 번째 싱글로 발매되어 ''빌보드'' 차트에서 30위를 기록했다.

3. 앨범

3. 1. 구성 및 내용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은 인디 록,[1][2] 개러지 록 리바이벌,[1][3]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1] 펑크 록,[1][4] 얼터너티브 록,[1][5] 그리고 포스트 브릿팝[6] 장르로 분류된다. 이 앨범은 "젊은 잉글랜드 북부 클럽 애호가들의 삶"에 관한 컨셉 앨범으로 여겨지기도 한다.[7]

수록된 곡들은 모두 1인칭 내러티브로 기록되어 있다. "I Bet You Look Good on the Dancefloor", "Still Take You Home", "You Probably Couldn't See for the Lights but You Were Staring Straight at Me", "Dancing Shoes"는 나이트클럽에서의 인간 행동을 다룬다. 알렉스 터너는 "Dancing Shoes"에 대해 "사람들은 아무리 가면을 쓰더라도 밖에 나가면 항상 작업하려고 한다"는 내용이라고 설명한다.[8]

"From the Ritz to the Rubble"은 나이트클럽 보디가드에 대한 이야기이며, "Red Light Indicates Doors Are Secured"는 밤 외출 후 택시를 잡는 어려움을, "When the Sun Goes Down"은 셰필드 니프센드 지역의 매춘부들에게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9] 이 외에도 "Mardy Bum"과 같은 로맨틱한 관계나, "Fake Tales of San Francisco", "A Certain Romance"와 같은 청소년 서브컬처를 주제로 한 곡들이 있다. "A Certain Romance"는 "지역 주민들을 비난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노래의 끝에서 그들을 용서하는 듯한 기이하게 공정한 노래"로 묘사되기도 했다.[10]

3. 2. 제목 및 아트워크

이 앨범의 제목은 앨런 실리토가 쓴 소설 토요일 밤과 일요일 아침의 한 구절에서 따왔다.[11] 터너는 "우리(악틱 몽키즈)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많은 말을 하고 있고, 당신은 그것에 대해 통제할 수 없어요."라고 말하며 두 작품 간 유사성과 제목의 적절성을 언급했다.[11] 또한 "'The View from the Afternoon', 'Dancing Shoes', 'Still Take You Home' 그리고 'From the Ritz to the Rubble'을 포함한 곡들은 주말의 그 부분을 다루고 같은 캐릭터가 등장한다."라고 덧붙였다.[12]

앨범 커버는 더 바이올렛 메이의 리드 싱어이자 레버런드 앤 더 메이커스의 리드 싱어 존 맥클루어의 형제인 밴드의 절친한 친구, 크리스 맥클루어의 흑백 사진이다.[11] 이 사진은 리버풀의 코로바 (리버풀) 바에서 이른 아침에 촬영되었다.[11] 밴드는 그와 그의 사촌, 그리고 그의 가장 친한 친구에게 밤에 사용할 70파운드를 주었다.[13] NHS Scotland의 로렌스 그루어는 커버가 "흡연이 괜찮다는 생각을 강화한다"고 비판하며 논란을 일으켰다.[14] 그러나 밴드의 제품 관리자는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흡연은 그에게 좋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라며 반박했다. 앨범의 빌보드 광고는 커버 사진과 유사한 이미지를 사용했지만 담배는 없었다. 디지털적으로 앨범 커버는 종종 흑백에서 벗어나 약간 푸른색조로 수정된다.

3. 3. 평가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는 발매와 동시에 평론가들로부터 광범위한 호평을 받았다. 메타크리틱에서는 33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82점을 받아 "보편적인 호평"을 받았다.[24] 많은 연말 목록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했으며 현대의 고전으로 칭송받았다.[34]

''NME''는 아크틱 몽키즈를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밴드"라고 선언했으며, 특히 알렉스 터너의 가사와 셰필드 묘사, 청소년들의 밤 생활은 칭찬을 받았고, 그는 "관찰의 대가"로 불렸다.[28] ''USA 투데이''는 "올해 최고의 CD를 듣지 못할 것"이라고 썼으며, "완전히 전염성이 있다"고 평했다.[34] ''MusicOMH''는 이 앨범이 "음악에 다시 한 번 빠져들게 만드는" 종류의 기타 록이라고 언급했다.[35]

많은 평론가들과 영국 언론계 인사들은 아크틱 몽키즈가 사람들이 음악을 찾는 방식을 혁신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36] 평론가들은 영국 청소년 문화를 묘사하고 1990년대 이후 쇠퇴했던 영국 인디 음악을 부활시킨 이 앨범을 크게 칭찬했다.[15]

2013년, 발매 7년 후, ''롤링 스톤''은 "아크틱 몽키즈가 세상을 정복하는 데 필요한 것은 황량한 강철 도시에서 젊고 지루한 시절에 대한 거친, 라거에 젖은 곡들이었다[...] 터너의 삐걱거리는 멜로디와 밴드의 들쭉날쭉한 기타 공격 덕분에, 미국조차도 격렬하고 섹시한 "I Bet You Look Good on the Dance Floor"와 같은 펍 펑크 명곡에 저항할 수 없었다."라고 썼다.[37]

출판물수상 내역순위
피치포크지난 25년간 최고의 앨범 200선 (독자 목록)79[38]
롤링 스톤2000년대 최고의 앨범 100선41[39]
역대 최고의 앨범 500선 (2012)371[40]
롤링 스톤의 역대 최고의 데뷔 앨범 100선 (2022)97[41]
NME역대 영국 최고의 앨범 100선5[42]
NME 역대 최고의 앨범 500선19[43]


  • 바클레이카드 머큐리상 수상
  • 최고의 앨범 – ''Q'' 어워드[44]
  • 올해의 앨범 – ''NME''[45]
  • 올해의 앨범 – ''Crossbeat'' 잡지 (일본)[46]
  • 올해의 앨범 – ''타임''[47]
  • 올해의 앨범 – ''핫 프레스'' (아일랜드)[48]
  • 최고의 국제 앨범 – 메테오 뮤직 어워드 (아일랜드)[49]
  • 최고의 영국 앨범 – 2007 브릿 어워드[50]
  • 최고의 영국 그룹 – 2007 브릿 어워드[50]
  • 최우수 얼터너티브 음악 앨범 – 2007 그래미 어워드[51]


2009년에 이 앨범은 MTV의 '역대 최고의 앨범' 온라인 투표에서 9위에 올랐다.[52] 이 앨범은 또한 책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에 포함되었다.[53] 2022년 ''롤링 스톤''의 "역대 최고의 데뷔 앨범 100선" 목록에서 97위에 올랐다.[54] 2021년 5월 현재, 이 앨범은 영국 인디 차트에 706주 동안 머물렀다.[55]

3. 4. 수록곡 목록

알렉스 터너가 모든 가사를 썼고, Arctic Monkeys가 모든 곡을 작곡했다.[56]

1. The View from the Afternoon - 3:38

2. I Bet You Look Good on the Dancefloor - 2:53

3. Fake Tales of San Francisco - 2:57

4. Dancing Shoes - 2:21

5. You Probably Couldn't See for the Lights but You Were Staring Straight at Me - 2:10

6. Still Take You Home - 2:53

7. Riot Van - 2:14

8. Red Light Indicates Doors Are Secured - 2:23

9. Mardy Bum - 2:55

10. Perhaps Vampires Is a Bit Strong But... - 4:28

11. When the Sun Goes Down - 3:20

12. From the Ritz to the Rubble - 3:13

13. A Certain Romance - 5:31

총 재생 시간: 40:56

3. 4. 1. 정규 앨범

알렉스 터너가 모든 가사를 썼고, Arctic Monkeys가 모든 곡을 작곡했다.[56]

1. The View from the Afternoon - 3:38

2. I Bet You Look Good on the Dancefloor - 2:53

3. Fake Tales of San Francisco - 2:57

4. Dancing Shoes - 2:21

5. You Probably Couldn't See for the Lights but You Were Staring Straight at Me - 2:10

6. Still Take You Home - 2:53

7. Riot Van - 2:14

8. Red Light Indicates Doors Are Secured - 2:23

9. Mardy Bum - 2:55

10. Perhaps Vampires Is a Bit Strong But... - 4:28

11. When the Sun Goes Down - 3:20

12. From the Ritz to the Rubble - 3:13

13. A Certain Romance - 5:31

총 재생 시간: 40:56

3. 4. 2. 싱글

4. 참여진

크레딧은 라이너 노트를 참조했다.[57]

'''아크틱 몽키즈'''


  • 알렉스 터너 - 리드 보컬, 백 보컬, 리드 기타, 리듬 기타, 퍼커션 (10)
  • 제이미 쿡 - 리듬 기타, 리드 기타, 백 보컬 (1-3, 6, 8, 11-12)
  • 앤디 니콜슨 - 베이스 기타, 백 보컬
  • 맷 헬더스 - 드럼, 퍼커션, 백 보컬 (1-6, 8, 11-12)


'''기술'''

  • 짐 애비스 - 프로듀싱, 녹음, 믹싱 (트랙 9)
  • 앨런 스미스 - 프로듀싱 (트랙 9), 추가 녹음 (트랙 11)
  • 이완 데이비스 - 녹음
  • 안드레아스 바이어 - 녹음 (트랙 9)
  • 사이먼 '바니' 바니콧 - 믹싱
  • 오웬 스키너 - 믹싱 보조
  • 조지 마리노 - 마스터링


'''디자인'''

  • 주노 리버풀 - 디자인
  • 미미 골드소프 - 디자인
  • 알렉산드라 울코비츠 - 사진
  • 앤디 브라운 - 사진

4. 1. 밴드 멤버

알렉스 터너는 리드 보컬, 백 보컬, 리드 기타, 리듬 기타, 퍼커션 (10)을 담당했다.[57] 제이미 쿡은 리듬 기타, 리드 기타, 백 보컬 (1-3, 6, 8, 11-12)을 담당했다.[57] 앤디 니콜슨은 베이스 기타와 백 보컬을 담당했다.[57] 맷 헬더스는 드럼, 퍼커션, 백 보컬 (1-6, 8, 11-12)을 담당했다.[57]

'''기술'''

짐 애비스는 프로듀싱, 녹음, 믹싱 (트랙 9)을 담당했다.[57] 앨런 스미스는 프로듀싱 (트랙 9), 추가 녹음 (트랙 11)을 담당했다.[57] 이완 데이비스는 녹음을 담당했다.[57] 안드레아스 바이어는 녹음 (트랙 9)을 담당했다.[57] 사이먼 '바니' 바니콧은 믹싱을 담당했다.[57] 오웬 스키너는 믹싱 보조를 담당했다.[57] 조지 마리노는 마스터링을 담당했다.[57]

'''디자인'''

주노 리버풀과 미미 골드소프는 디자인을 담당했다.[57] 알렉산드라 울코비츠와 앤디 브라운은 사진을 담당했다.[57]

4. 2. 제작진

크레딧은 라이너 노트를 참조했다.[57]

'''아크틱 몽키즈'''

  • 알렉스 터너 - 리드 보컬, 백 보컬, 리드 기타, 리듬 기타, 퍼커션 (10)
  • 제이미 쿡 - 리듬 기타, 리드 기타, 백 보컬 (1-3, 6, 8, 11-12)
  • 앤디 니콜슨 - 베이스 기타, 백 보컬
  • 맷 헬더스 - 드럼, 퍼커션, 백 보컬 (1-6, 8, 11-12)


'''기술'''

  • 짐 애비스 - 프로듀싱, 녹음, 믹싱 (트랙 9)
  • 앨런 스미스 - 프로듀싱 (트랙 9), 추가 녹음 (트랙 11)
  • 이완 데이비스 - 녹음
  • 안드레아스 바이어 - 녹음 (트랙 9)
  • 사이먼 '바니' 바니콧 - 믹싱
  • 오웬 스키너 - 믹싱 보조
  • 조지 마리노 - 마스터링


'''디자인'''

  • 주노 리버풀 - 디자인
  • 미미 골드소프 - 디자인
  • 알렉산드라 울코비츠 - 사진
  • 앤디 브라운 - 사진

5. 상업적 성과

5. 1. 판매량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은 발매 첫 주에만 36만 장 이상 판매되며 영국 역사상 가장 빠르게 팔린 데뷔 앨범이 되었다. 영국에서 138만 장 이상, 미국에서 30만 5천 장 이상 판매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230만 장 이상 판매된 것으로 추정된다.

판매량
지역인증인증 단위/판매량
오스트레일리아플래티넘70,000
캐나다골드50,000
덴마크2× 플래티넘40,000
이탈리아골드25,000
일본골드100,000
뉴질랜드골드7,500
영국8× 플래티넘2,400,000
미국플래티넘1,000,000


5. 2. 차트

순위오스트레일리아 (ARIA)[58]1오스트리아 (Ö3 오스트리아 탑 40)[58]23벨기에 (Ultratop Flanders)[58]9벨기에 (Ultratop Wallonia)[58]22캐나다 (빌보드)[58]16크로아티아 국제 앨범 (HDU)[58]8덴마크 (히트리센)[58]6네덜란드 (메하하르츠)[58]8핀란드 (수오멘 비랄리넨 리스타)[58]8프랑스 (SNEP)[58]17독일 (미디어 컨트롤)[58]20아일랜드 (IRMA)[58]1이탈리아 (FIMI)[58]40일본 (오리콘)[58]9뉴질랜드 (레코디드 뮤직 NZ)[58]5노르웨이 (VG-lista)[58]12폴란드 (ZPAV)[58]39포르투갈 (AFP)[58]29스코틀랜드 (OCC)[58]1스페인 (PROMUSICAE)[58]38스위스 (슈바이처 히트파라데)[58]16스웨덴 (스베리예토프리스탄)[58]26영국 (OCC)[58]1영국 인디펜던트 앨범 (OCC)[58]1미국 빌보드 200[58]24미국 인디펜던트 앨범 (빌보드)[58]1



차트 (2006)순위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ARIA)[59]53
벨기에 앨범 (Ultratop Flanders)[60]50
덴마크 앨범 (Hitlisten)[61]56
네덜란드 앨범 (Album Top 100)[62]56
유럽 핫 100 앨범 (Billboard)[63]33
프랑스 앨범 (SNEP)[64]131
아일랜드 앨범 (IRMA)[65]9
영국 앨범 (OCC)[66]4
월드와이드 앨범 (IFPI)[67]36



차트 (2007)순위
영국 앨범 (OCC)[68]135



차트 (2013)순위
영국 앨범 (OCC)[69]155



차트 (2018)순위
영국 앨범 (OCC)[70]65



차트 (2019)순위
영국 앨범 (OCC)[71]74



차트 (2020)순위
영국 앨범 (OCC)[72]51



차트 (2021)순위
벨기에 앨범 (Ultratop Flanders)[73]178
영국 앨범 (OCC)[74]51



차트 (2022)순위
벨기에 앨범 (Ultratop Flanders)[75]155
영국 앨범 (OCC)[76]37



차트 (2023)순위
벨기에 앨범 (Ultratop Flanders)[77]180
영국 앨범 (OCC)[78]43



차트 (2000–09)순위
영국 앨범 차트 (OCC)[79]84



차트 (2010–19)순위
영국 바이닐 앨범 차트 (OCC)[80]18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은 여러 국가의 앨범 차트에서 상위권을 기록했다. 특히 영국 앨범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58]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는 24위에 올랐다.[58] 이 외에도 오스트레일리아[58], 아일랜드[58] 등 여러 국가에서 1위를 기록했다.

6. 수상 내역

출판물수상 내역순위
피치포크지난 25년간 최고의 앨범 200선 (독자 목록)79[38]
롤링 스톤2000년대 최고의 앨범 100선41[39]
역대 최고의 앨범 500선 (2012)371[40]
역대 최고의 데뷔 앨범 100선 (2022)97[41][54]
NME역대 영국 최고의 앨범 100선5[42]
NME 역대 최고의 앨범 500선19[43]



2009년에 이 앨범은 MTV의 '역대 최고의 앨범' 온라인 투표에서 9위에 올랐다.[52] 이 앨범은 또한 책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에 포함되었다.[53] 2021년 5월 현재, 이 앨범은 영국 인디 차트에 706주 동안 머물렀다.[55]

7. 사회적 영향 및 유산

악틱 몽키즈의 데뷔 앨범은 2000년대 영국 인디 록 씬을 부활시켰다는 평가를 받으며, 인터넷을 통한 음악 홍보 및 팬덤 형성의 새로운 방식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42][43] 앨범은 여러 매체에서 선정한 최고의 앨범 목록에 포함되었는데, ''NME''는 '역대 최고의 영국 앨범' 5위[42], '역대 최고의 앨범 500선' 19위[43], ''롤링 스톤''은 '역대 최고의 데뷔 앨범 100선'[41]에 이 앨범을 포함시켰다. ''피치포크'' 독자들은 이 앨범을 지난 25년간 최고의 앨범 200선 중 79위로 선정했다.[38] ''롤링 스톤''은 2000년대 최고의 앨범 100선에서 41위[39], 2012년 선정한 역대 최고의 앨범 500선에서 371위로 선정했다.[40]

8. 논란

8. 1. 앨범 커버 흡연 논란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의 앨범 커버에는 밴드 멤버의 친구인 크리스 맥클루어가 담배를 피우는 사진이 사용되었다. 이 사진은 그가 사진 촬영 7시간 전부터 술을 마셔 이미 취한 상태에서 촬영되었으며, 출연료는 없었지만 술값은 받았다고 한다.

이 사진에 대해 영국 국민 보건 서비스(NHS) 스코틀랜드 책임자인 그레어 박사는 "이 사진이 간접적으로 흡연을 권장하는 것이 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그는 "아크틱 몽키즈는 셰필드 출신이지만, 여기 스코틀랜드에서도 그들의 앨범은 매우 잘 팔리고 있다"면서, "저 사진은 마치 '담배를 피우는 것은 멋지다'와 같은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다. 따라 하고 싶어 하는 젊은이도 나올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밴드 매니저는 "저 사진이 흡연을 권장한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오히려 저 사진을 보고 흡연이 젊은이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라고 반박했다. 그레어 박사의 이러한 발언은 스코틀랜드에서 2006년 3월 말부터 공공장소에서의 흡연 금지가 시행된 배경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웹사이트 Ranking All the Arctic Monkeys Albums https://chaospin.com[...] 2022-04-11
[2] 웹사이트 All Things Reconsidered: 'Favourite Worst Nightmare' ten years later https://www.michigan[...] 2017-02-14
[3] 간행물 Coolest Garage Songs https://books.google[...] 2016-07-19
[4] 웹사이트 Arctic Monkeys –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review https://www.nme.com/[...] 2016-05-15
[5] 웹사이트 Review: Arctic Monkeys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https://www.slantmag[...] 2006-02-21
[6] 웹사이트 Arctic Monkeys Announce New Album https://pitchfork.co[...] 2021-12-25
[7] 간행물 Arctic Monkeys: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https://www.rollings[...] 2017-02-14
[8] 웹사이트 Arctic Monkeys' debut album in their own words https://www.nme.com/[...] 2020-04-21
[9] 뉴스 Arctic Monkeys,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https://www.theguard[...] 2009-07-21
[10] 웹사이트 100 Tracks of the Decade: A Certain Romance (2006) https://www.nme.com/[...] 2011-10-15
[11] 웹사이트 A Scummy Man and Mardy Bums: The ultimate Arctic Monkeys Album Guide https://www.nme.com/[...] 2007-06-18
[12] 뉴스 Monkeys explain album http://uk.news.launc[...] Yahoo! News 2021-03-21
[13] 뉴스 Familiar face? http://www.bbc.co.uk[...] BBC News - South Yorkshire 2006-03-29
[14] 뉴스 Arctic Monkeys defend album cover http://news.bbc.co.u[...] 2006-03-29
[15] 웹사이트 Spotlight Special: Arctic Monkeys -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https://www.clashmus[...] 2021-01-23
[16] 뉴스 Arctic Monkeys album rush released https://www.nme.com/[...] 2020-04-21
[17] 뉴스 Arctic Monkeys make chart history http://news.bbc.co.u[...] 2006-01-29
[18] 웹사이트 Official Charts Analysis: Arctic Monkeys' AM doubles predecessor's week-one sales http://www.musicweek[...] 2014-01-15
[19] 웹사이트 Award - bpi.html https://www.bpi.co.u[...]
[20] 뉴스 Arctic Monkeys plan new EP https://www.nme.com/[...] 2006-03-26
[21] 문서 The Official UK Charts Company – Chart Rules (9th edition) http://www.theoffici[...]
[22] 웹사이트 Pitchfork Feature: The Top 100 Tracks of 2006 http://pitchforkmedi[...] 2007-06-19
[23] 웹사이트 150 Best Tracks of the Past 15 Years https://www.nme.com/[...] 2011-10-15
[24] 웹사이트 Reviews for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by Arctic Monkeys https://www.metacrit[...] 2011-10-15
[25] 웹사이트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 Arctic Monkeys https://www.allmusic[...] 2014-02-19
[26] 간행물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https://www.ew.com/a[...] 2012-04-23
[27] 뉴스 OK, Britannia, we surrender https://www.latimes.[...] 2015-11-01
[28] 간행물 Arctic Monkeys: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https://www.nme.com/[...] 2011-10-15
[29] 웹사이트 Arctic Monkeys: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https://pitchfork.co[...] 2015-07-25
[30] 간행물 Arctic Monkeys: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2006-03-01
[31] 간행물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https://www.rollings[...] 2011-10-15
[32] 간행물 Arctic Monkeys: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https://books.google[...] 2015-11-01
[33] 뉴스 Consumer Guide: Radical Comfort http://www.robertchr[...] 2015-07-25
[34] 뉴스 Teen Spirit: Arctic Monkeys Observed in the Wild https://www.nytimes.[...] 2017-02-23
[35] 웹사이트 Arctic Monkeys -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 Am Not | album reviews http://www.musicomh.[...] musicOMH 2011-10-15
[36] 뉴스 The question: Have the Arctic Monkeys changed the music business? https://www.theguard[...] 2016-12-18
[37] 간행물 100 Best Debut Albums of All Time https://web.archive.[...] 2021-04-10
[38] 웹사이트 The 200 Best Albums of the Last 25 Years, According to Pitchfork Readers https://pitchfork.co[...] 2023-08-25
[39] 간행물 100 Best Albums of the 2000s: Arctic Monkeys,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https://www.rollings[...] 2014-01-29
[40] 웹사이트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s definitive list of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19-09-09
[41] 간행물 The 100 Best Debut Albums of All Time: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https://www.rollings[...] 2014-07-13
[42] 웹사이트 January 2006 https://web.archive.[...] 2007-02-04
[43] 웹사이트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100-1 https://www.nme.com/[...] 2023-08-25
[44] 웹사이트 News - Arctic Monkeys https://web.archive.[...] 2007-02-20
[45] 간행물 10 Best Albums https://web.archive.[...] 2011-10-15
[46] 웹사이트 Crossbeat Magazine http://www.arcticmon[...] 2007-02-20
[47] 간행물 Top 10 Everything 2006 https://web.archive.[...] 2014-01-29
[48] 웹사이트 Hot Press Album of the Year http://www.arcticmon[...] 2007-02-20
[49] 웹사이트 Meteor Awards http://www.arcticmon[...] 2007-02-20
[50] 뉴스 Entertainment | Arctic Monkeys scoop Brits double http://news.bbc.co.u[...] 2014-01-29
[51] 웹사이트 Arctic Monkeys https://www.grammy.c[...] 2021-04-09
[52] 웹사이트 MTV's Greatest Album Ever - The Results https://web.archive.[...] 2009-04-09
[53] 서적 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 Revised and Updated Edition Universe 2014
[54] 간행물 100 Best Debu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2-07
[55] 웹사이트 Official Independent Albums Chart Top 50 {{!}} Official Charts Company https://www.official[...] 2021-05-19
[56] 웹사이트 Arctic Monkeys -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https://www.allmusic[...]
[57] booklet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Domino Recording Company
[58] 웹사이트 Lista prodaje 36. tjedan 2023 https://www.top-list[...] Top of the Shops 2023-09-14
[59] 웹사이트 ARIA Charts - End Of Year Charts - Top 100 Albums 2006 http://www.aria.com.[...] Australian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2020-12-23
[60] 웹사이트 Jaaroverzichten 2006 https://www.ultratop[...] Ultratop 2020-12-23
[61] 웹사이트 Chart of the Year 2006 https://web.archive.[...] TOP20.dk 2021-07-18
[62] 웹사이트 Jaaroverzichten – Album 2006 https://dutchcharts.[...] 2020-12-23
[63] 간행물 2006 Year-End European Albums http://login.vnuemed[...] 2021-01-26
[64] 웹사이트 Top de l'année Top Albums 2006 https://snepmusique.[...] SNEP 2020-12-23
[65] 웹사이트 Best of 2006 - Albums http://www.irma.ie/b[...] Irish Recorded Music Association 2021-01-12
[66] 웹사이트 End of Year Album Chart Top 100 - 2006 http://www.officialc[...] Official Charts Company 2018-05-11
[67] 웹사이트 Top 50 Global Best Selling Albums for 2006 http://www.ifpi.org/[...] IFPI 2021-01-08
[68] 웹사이트 UK Year-End Charts 2007 http://www.ukchartsp[...] ChartsPlus 2021-06-04
[69] 웹사이트 End of Year 2013 http://www.ukchartsp[...] 2021-06-04
[70] 웹사이트 End of Year Album Chart Top 100 – 2018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20-12-23
[71] 웹사이트 End of Year Album Chart Top 100 – 2019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20-01-04
[72] 웹사이트 End of Year Album Chart Top 100 – 2020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21-01-05
[73] 웹사이트 Jaaroverzichten 2021 http://www.ultratop.[...] Ultratop 2022-01-05
[74] 웹사이트 End of Year Album Chart Top 100 – 2021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22-01-06
[75] 웹사이트 Jaaroverzichten 2022 https://www.ultratop[...] Ultratop 2023-01-14
[76] 웹사이트 End of Year Album Chart Top 100 – 2022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23-01-04
[77] 웹사이트 Jaaroverzichten 2023 https://www.ultratop[...] Ultratop 2024-01-07
[78] 웹사이트 End of Year Albums Chart – 2023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24-01-03
[79] 간행물 The Noughties' Official UK Albums Chart Top 100 United Business Media 2010-01-30
[80] 웹인용 Official Top 100 biggest selling vinyl albums of the decade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19-12-14
[81] Rolling Ston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Arctic Monkeys,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http://www.rollingst[...]
[82] Rolling Stone The 100 Best Debut Albums of All Time: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http://www.rollingst[...]
[83] 웹인용 "[뮤지션인터뷰] 악틱 멍키스, ‘우린 뻔한 음악 안 만들어’" http://www.unionpres[...] 유니온프레스 2011-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